WO2018190472A1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0472A1
WO2018190472A1 PCT/KR2017/008519 KR2017008519W WO2018190472A1 WO 2018190472 A1 WO2018190472 A1 WO 2018190472A1 KR 2017008519 W KR2017008519 W KR 2017008519W WO 2018190472 A1 WO2018190472 A1 WO 20181904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lease paper
tape
unit
holding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85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환
이태영
한장희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1904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04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peeler for a component mou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pe peeler and a peeling method for a component mounter for removing only a release of a component protective tape attached to a substrate.
  • SMT surface mount technology
  • a component mounter such as a chip mounter receives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ransfers them to a mounting position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n mounts the component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PCB printed circuit board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tape for protecting the component can be confirmed.
  • the component protection tape 100 is covered on the component and the substrate to protect the component and the region of the substrate 101 adjacent to the component from external factors. Can be.
  • the component protection tape 100 is composed of a bone tape 102 directly attached to a component, and a release paper 103 covering the tape 102 and attached to the upper side.
  • the tape 103 and the release paper 103 ar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foam protection tape 100, and the user removes the release paper 103 after the foam protection tape 100 is attached to a part, so that only the tape 102 is removed.
  • a wedge-shaped slanted surface 104 is inserted between the present tape 102 and the release paper 103 along the arrow direction to partially peel the release paper 103 from the present tape 102.
  • the release paper 103 can be removed from the tape 102 and the board
  • the inclined plane 104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1 or a component seated on the substrate 101. There was a problem that damage was caused by the impact instead of the initial peeling.
  • a method of peeling the release paper 103 from the present tape 102 by bringing the adhesive member 107 coated with the adhesive material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is described.
  • Release of the release paper 103 is performed by bringing the adhesive member 107 into contact with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and rolling it up by the roller 106 or the like.
  • the adhesive property of the adhesive material decreases as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repeated, and there existed management difficulties in periodically applying a new adhesive material or replacing the adhesive member 107.
  •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7 and the release paper 103 must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bending force of the release paper 103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release paper 103 and the present tape 102 and the substrate 101, the adhesive member ( 107) and there is no method of finely adjust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release paper 103,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move the release paper 103.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pe peeler and a peeling method capable of peeling only the release of the tape in a physical structur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 a tape peeler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tape peeler for peeling off the release paper from the part protection tape composed of the release paper and the present tape attached to the release paper, the adsorption that adsorbs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part; A wedge-shaped gripping portion ent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adsorption unit and the holding unit, respectively, by a link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adsorption unit and the holding unit, wherein the driving unit is driven to move the link along a straight line. And the gripping part rotates to hold the absorbed release paper between the adsorption part and the gripping part.
  • the gripp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capable of blowing ga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and the present tape.
  • the drive unit may be driven by pneumatic.
  • the adsorption unit includes a gripping protrusion that grips the release paper between the adsorption unit and the gripping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ipping protrusion so that the release paper is disposed between the adsorption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 the gripping groove may include a gripping groove.
  • the link includes a first link connecting the suc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and a second link connecting the grip unit and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suction unit rotates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nd the grip unit rotates.
  • Directions to be differe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adsorption unit may include a nozzle that adsorbs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by using a negative pressure.
  • the adsorption portion is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Adsorbing; Entering a wedge-shaped gripper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Holding the adsorbed release paper between the adsorption unit and the holding unit; And peeling the gripped release paper from the component protection tape.
  • Adsorption and lifting of the release paper, and the operation of peeling the release paper from the tap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a physical member at the same time without a separate control can be more stable peeling of the release paper.
  • the adsorption unit adsorbs the release paper using a vacuum pad, semi-permanent use is possible, and the release paper can be adsorbed without fear of damaging the component, the part protection tape, or the substrate.
  •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mponent protection tape.
  •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mponent protection tape.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mb surface structure for peeling the release paper of the conventional component protection tape.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adhesive member for peeling release paper of a conventional component protection tape.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ape pee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ape pee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ape pee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release machine adsorbed the releas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peeler starts to lift the release paper adsorb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ylinder and the drive unit of the tape pee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tape peeler gripping release paper using a gripp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release paper is remove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release machine grips the release paper using the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gripper in a situation where a tape release machine grips a releas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gripper in a situation in which a tape release machine grips a releas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where a tape pee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eases the release paper from the tape for protecting the component by holding the release paper.
  •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sorption part 10, a grip part 20, a driving part 30, the adsorption part 10, and a grip part.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of a link 37 connecting the 20 to the driving unit 30 and a base 40 supporting the driving unit 30.
  • the adsorption part 10 is a component which adsorbs the release paper 103, and consists of the nozzle 12, the adsorption part body 11, the adsorption part link 14, and the vacuum tube 13 again.
  • the adsorption part 10 generates adsorption using a negative pressure for peeling the release paper 103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grip the release paper 103 between the gripper 20.
  • the nozzle 1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and serves to adsorb the release paper 103 to the adsorption unit 10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the vacuum tube 13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Therefore, it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n order to directly contact the release paper 103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ound pressure leaks. Since the nozzle 12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even when the first component protection tape 100 and the nozzle 12 meet each other, the nozzle 12 has a large impact on the component, the component protection tape 100, or the substrate 101.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release paper 103 without giving.
  • the material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ven when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a flexible contact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leaks out, thereby preventing the adsorption efficiency from falling.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ozzle 12 is represented as a circ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shapes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 the vacuum tube 13 is a component that serves t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to be supplied to the nozzle 12,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vacuum pump (not shown) to transfer the provided negative pressure to the nozzle 12. Therefore, the vacuum tube 1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nozzle 12, and connected to the nozzle 12 through an extended vacuum tube (not shown) opened inside the adsorption body 11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to the nozzle 12.
  • the adsorption part body 11 is a component to which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sorption part 10 are connected.
  • an extension vacuum pipe line connecting the nozzle 12 and the vacuum pipe line 13 may be formed inside the suction unit body 11,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vacuum pipe line has a vacuum pipe line 13 and the other end of the nozzle line. 12 may be connected.
  • first adsorption part joint 17 may be connected to the adsorption part body 11 to be connected to the link 37
  • the second adsorption part joint 16 may be connected to the adsorption part link 14. have.
  • the adsorption part body 11 is connected via the first adsorption part joint 17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link 37, and through the second adsorption part joint 16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adsorption part link 14. Is connected, it can rotate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30).
  • Gripping projections 18 are formed in the adsorption portion body 11.
  • the gripping protrusion 18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12 face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nozzle 12.
  • the holding projection 18 serves to better grip the release paper 103 between the holding groove 271 to be described l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pping protrusion 18 and the gripping groove 27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One end of the adsorption part link 14 is connected to the adsorption part body 11 through the second adsorption part joint 16,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ase 40 through the third adsorption part joint 15. Therefore, the adsorption part link 14 serves to support the adsorption part 10 so as to be stably connected to and move from the base part 40.
  • the gripper 20 is a component that grips the release paper 103, and is composed of a wedge 27, a blower 262 (blower, not shown), a gripper body 21, and a gripper link 22. do.
  • the gripper 20 serves to enter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using these components to lift the release paper 103 and to hold the release paper 103 between the suction unit 10.
  • the gripper body 21 is a component to which the components of the gripper 20 are connected or accommodated, and a blower 262, a wedge portion 27, and a grip groove 271 are formed at one side and a blower hole at the other side. 261 is formed.
  • a through hole connecting the blower 262 and the blower hole 261 may be formed in the grip body 21, a blower 262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rough hole, and a blower hole 261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reof.
  • the first gripper joint 24 may be connected to the gripper body 21 to be connected to the link 37, and the second gripper joint 25 may be connected to the gripper link 22.
  • the gripper body 21 is connected via the first gripper joint 24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ink 37, and through the second gripper joint 25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ipper link 22. Is connected, it can rotate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30).
  • the wedge part 27 is a wedge-shaped component which is formed on an area close to the nozzle 12 and on one side of the grip part 20, and release paper 103 adsorbed by the nozzle 12 when the grip part body 21 rotates. ) To the bottom of the screen.
  • the wedge portion 27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iangle having an acute angle at its entire shape, but the shape of the wedge portion 27 may be variously modified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grip groove 27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stal end of the wedge 27.
  • the gripping groove 271 is a concave groove,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ripping protrusion 18 of the suction unit 10. Therefore, it serves to better grip the release paper 103 between the holding projection (18).
  • the blower 262 is a component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wedge portion 27, and serves to eject gas on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 the blower 262 may be connected to a blower hole 261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20, and may receive air pressure from an external pneumatic sour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blower hole 261 to eject gas. have.
  • an external pneumatic source not shown
  • the release paper 103 may be better adsorbed to the nozzle 12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present tape 102.
  • the gripper link 22 has one end connected with the gripper body 21 through the second gripper joint 2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with the base 40 through the third gripper joint 23. Therefore, the gripper link 22 serves to support the gripper 20 so that the gripper 20 can be stably connected and moved from the base 40.
  • the drive unit 30 is a component for operating b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tape pee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ving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holding unit 20 and the suction unit 10 by allowing the link 37 to move up and down along a straight line using pneumatic pressure.
  • it is a component capable of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it is possible to use a motor, a linear actuator, a solenoid, etc., using electric power, not the driving unit 30 using the pneumatic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ype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ive unit 30 includes a drive body 31, a sensor 34, a pneumatic hole 33, a drive bolt 35, a connection 36, and a cylinder 32, and the cylinder 32 is again a guide cylinder ( 322 and the driving cylinder 321.
  • the cylinder 32 which receives the driving force by the actual pneumatic force and transmits it to the link 37 is the driving cylinder 321, and the guide cylinder 322 guides the connecting portion 36 so that the driving force can be correctly transmitted along a straight line. It plays a role.
  • the driving cylinder 321 of the driving unit 30 which receives the pneumatic pressure through the first pneumatic hole 331 or the second pneumatic hole 332 is raised and lowere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cylinder 321 and the guide cylinder 322 ( 36 moves up and down, and this linear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gripping portion 20 and the suction portion 10 through the link 37.
  •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41 and 342 may be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iving cylinder 321 may be understood.
  • the sensor 34 may be a magnetic sensor 34,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nsor 34 may be used to detect a current position of the driving cylinder 321.
  • the driver body 31 is a component that forms the frame of the driver 30, and includes a space in which the cylinder 32 can move,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40.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32 occurring inside the drive body 3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driver bolt 35 is a component that fastens the driver body 31 to the base 40 so that the driver 30 is not separa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drive body 31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e cylinder (321).
  • Pneumatic hole 33 is a component for inputting the pneumatic pressure to the drive unit 30, the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 the link 37 is a component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6 of the driving unit 30 and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suction unit 10 and the holding unit 20, the first link 372 and the second link 371. It includes.
  • the first link 372 is connected to the adsorption part 10, and the second link 371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part 20.
  • the link 37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6 of the driving part 30 and the link bolt 38, but the fasten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nk 37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0 and moves up and down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riving unit 30 to perform a linear movement. At this time, a straight line along which the link 37 moves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ylinder 32 of the driving unit 30 extends.
  • the base 40 is a component that forms the frame of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part 4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link 14 through the third suction part joint 15, and is connected to the grip part link 22 through the third holding part joint 23 and the driving part bolt 35. It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30 through. Therefore, the components of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each component to be a reference point in operation.
  • the base 40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component mounter to allow the user to place the entire tape peeler 1 at a suitable location within the component mounter.
  • the base part 40 is formed in a wide plate shap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iving part 30, but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release machine 1 adsorbed the release paper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sorption part 10 is oriented so that the nozzle 12 may face downward, and the holding part 20 is arranged above the nozzle 12 and the wedge may be oriented generally downward.
  • the cylinder 32 of the drive unit 30, the connection unit 36, and the link 37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36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body 31.
  • the downwardly directed nozzle 1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of the component protection tape 100, and a negative pressure is provided through the vacuum pipe 13 of the suction unit 10. Therefore, the nozzle 12 connected to the vacuum tube 13 receives a negative pressure to adsorb the release paper 103.
  •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releas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to lift the release paper 103 adsorbed.
  • the driving unit 30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is adsorbed to the nozzle 12, the driving unit 30 starts to operate.
  • the driving unit 30 may be driven by supplying pneumatic pressure to the pneumatic hole 33.
  • pneumat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first pneumatic hole 331 to drive the cylinder 32 and the connection part 36.
  •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cylinder 32 by supplying air pressure to the driving unit body 3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driving cylinder 321 extending along the straight lin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tarts to move upwar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 One end of the drive cylinder 321 is accommodated in the drive body 31,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6).
  • the connection part 3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uide cylinder 322 again,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cylinder 322 is accommodated in the drive body 31. Since the guide cylinder 322 also extends along a straight lin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cylinder 321, the guide portion 36 can mov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cylinder 321 without changing its orientation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process. Play a role.
  • the connecting portion 36 is elevated as the cylinder 32 moves up and down, and the link 37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6 and the link bolt 38 also moves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6. Therefore, the link 37 also moves linearly along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ylinder 32 moves.
  • the adsorption part 10 connected through the first link 372 and the first adsorption part joint 17 and connected through the base 40 and the adsorption part link 14 is formed. It rotates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one link 372. 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of the adsorption part 10 becomes the 2nd adsorption part joint 16.
  • the adsorption section link 14 is connected to the base 40, and the first adsorption section joint 17 is forced in a linear direction by the first link 372, so that the second adsorption section joint 16 is It becomes the rotation axis.
  • the link 37 moves up and down, the second link 371 and the first gripper joint 24 are connected, and the gripper 20 connected through the base 40 and the gripper link 22 is formed. It rotates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two links 371. 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of the gripping portion 20 becomes the second gripping portion joint 25.
  • the gripper link 22 is connected to the base 40 and the first gripper joint 24 is forced in a linear direction by the second link 371, so that the second gripper joint 25 is It becomes the rotation axis.
  •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ipping portion 20 and the suction portion 10 rotate i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when confirming in FIG. 9, the adsorption part 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grip part 20 rotates clockwise.
  • the adsorption part 10 and the grip part 20 may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hile rotating oppositely.
  • the rotation direc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different direction may be selected to perform the purpose of gripping the release paper 103 between the adsorption unit 10 and the gripping unit 20.
  • the nozzle 12 As the suction part 10 rotates, the nozzle 12 also rotates. Since the nozzle 1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and adsorbs it, the adsorbed release paper 103 moves together with the nozzle 12. At the same time, the wedge portion 27 of the gripping portion 20 rotates and enters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paper 103. As the wedge part 27 rotates and enters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paper 103, gas is blown out of the blower 262 by pneumatic pressure supplied by a pneumatic source connected to the blower hole 261. The blown-out gas flows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03 so that the release paper 103 is lifted up better, and the gas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lease paper 103 and the present tape 102 and the release paper 103 is viewed. Better peel off).
  • the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unit 10 and the holding unit 20 as a driving force, resulting in a rotation. Since the adsorption part 10 must lift out the release paper 103, it moves upwards as a whole. This result can be obtained by the second adsorption part joint 16 serving as the rotating shaft only rotating in place and the first adsorption part joint 17 moving upward. Since the gripper body 21 should enter the release paper 103 downward, the gripper body 21 moves downwards as a whole and moves upward. This result can be achieved by the second gripper joint 25, which becomes the axis of rotation, only rotate in place, and the first gripper joint 24 moves upward.
  • 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ive cylinder 321 and the drive body 31 of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ving cylinder 321 is accommodated in the driving unit body 31 of the tape peeler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end of the drive cylinder 321 is housed in the drive body 31, which is referred to as a piston 3211 because it serves as a piston.
  • the guide cylinder 322 does not perform any action by pneumatic pressure, but merely serves as a guide to move the connection portion 36 along a straight line without twisting, so such a piston 3211 is not formed at one end.
  • the interior of the drive body 31 which receives the drive cylinder 321 has a diameter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than the piston 3211. This is because when the gas exchange between the body upper space 311 and the body lower space 312 occurs freely, as much pneumatic pressure as necessary for the piston 3211 is not applied.
  • the diameter of the drive cylinder 321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ston 3211, to form a body lower space 312 in the drive body 31 in which gas can be accommodated.
  • a body upper space 311 in which gas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drive body 31.
  • the pneumatic hole 33 is composed of a first pneumatic hole 331 and a second pneumatic hole 332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ylinder (32).
  • the pneumatic hole 33 is a hole opened to allow gas outflow and inflow into and out of the drive body 31. Therefore, the pneumatic pressure may be supplied by the pneumatic source, or the gas contained therein may be discharged.
  • the drive cylinder 321 formed integrally therewith also moves upward or downward. That is, the driving cylinder 321 moves up and down by the pneumatic pressure depending on which pneumatic hole 33 is supplied with the pneumatic pressure.
  • the user can control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ylinder 32 by connecting the pneumatic source to each pneumatic hole 33 and determining which pneumatic hole 33 to supply the pneumatic pressure.
  • the sensor 3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ylinder 32.
  • the sensor 34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piston 3211,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iston 3211 generated by the sensor 34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and used.
  •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peeler 1 grips the release paper 103 using the gripper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release paper 103 is removed while the tape peeler 1 grips the release paper 103 using the grip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sorption part 10 and the grip part 20 are ini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cylinder 32 of the driving part 30 is lifted to a limit that can be lifted and lowered, it rotates to form the wedge part 27 and the wedge part 27.
  • One region of the adsorption part 10 may be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release paper 103 adsorbed by the nozzle 12 and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adsorption unit 10 is partially ab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0 and the wave in a region where the adsorption unit 10 and the gripper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branches 20, and is gripped under press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suction unit 10 and the grip unit 20.
  • the release paper 103 may be hardly pressed to grip. Accordingly, the gripping protrusion 18 and the gripping groove 271 are introduced in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FIG.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p portion 20 in a situation where the tape peeler 1 grips the release paper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n order to better express the pressing situation of the release paper 103, the suction part 10 from which the nozzle 12 is removed is illustrated.
  • the gripping protrusions 18 protrude from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12, and the gripping grooves 271 are recessed and formed in the gripping portion 20.
  • the release paper 103 is further gripped by the holding projections 18 protruding further from the adsorption portion 10 and the holding grooves 271 concavely recessed from the wedge portions 27 of the holding portions 20, thereby providing a release paper ( 103 may be deformed surrounding the gripping protrusion 18. Therefore, as compared with simply holding the release paper 103 by the face-to-face, as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the release paper 103 can be gripped well.
  • FIG 1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pper 20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peeler 1 grips the release paper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rip groove 271 and the grip projection 18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grip projection 18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grip groove 271 is formed as a rectangular concave groove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the release paper 103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grip projection 18 and the grip groove 271. Can be gripped. However,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rotrusion 18 may be formed in a quadrangle and the grip groove 271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 the contact surfaces formed by the gripping grooves 271 and the gripping protrusions 18, the adsorption portion 10, and the gripping portion 20 are formed. This is because the release paper 103 may be torn due to the step difference of the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wedge portion 27 of FIG. Accordingly, the release paper 103 may be curved and deformed more smoothly without changing rapidly between different contact surfaces.
  • FIG. 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ape peeler 1 grips the release paper 103 to peel the release paper 103 from the component protection ta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lease paper 103 is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0, and is gripped between the adsorption unit 10 by the holding unit 20, and then the release paper 103 is viewed from the tape 102. You can see the action of peeling off completely.
  • the release paper 103 is moved by moving the release paper 103 in one direction or by moving the tape 102 in another direction.
  • the tape 102 and the release paper 10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ormer case, only the release paper 103 would move while the tape 102 and the substrate 101 were stopped. In the latter case, only the tape 102 and the substrate 101 would move while the release paper 103 was stopped. Because it is. Accordingly, the substrate 101 to which the tape 102 is bonded is moved by a conveyor or the like, or the tape peeler 1 holding the release paper 103 is moved to completely peel off the release paper 103 from the tape 102. You can.
  • the pneumatic pressure is provided to the first pneumatic hole 331 to lower the driving cylinder 32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6 and the link 37 are lowered integrally with the driving cylinder 321. do. Therefore, the adsorption part 10 and the grip part 20 are rotated as opposed to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9,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orientation as shown in FIG. 8.
  • the release paper 103 is separated from the nozzle 12 so that the user removes the release paper 103 from the tape pee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o the next substrate 101. It returns to the state which can perform the release paper 103 peel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쐐기형의 파지부; 및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와 각각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링크가 일 직선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부착된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이형지만을 제거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전기, 전자 제품의 소형화 추세는 전자 부품의 고집적화, 초소형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밀도 및 초소형의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칩마운터(chip mounter)와 같은 부품 실장기는 각종 전자 부품을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PCB)의 실장 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에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판과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관계를 확인할 수있다. 부품 실장기의 헤드가 피더(feeder)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아 기판에 실장한 후,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를 부품과 기판 위에 덮어서 외부 요인으로부터 부품과 부품에 인접한 기판(101)의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는 부품에 직접 부착되는 본 테이프(102)와, 상기 본 테이프(102)를 덮으며 상측에 부착되는 이형지(103)로 구성된다. 본 테이프(103) 와 이형지(103)는 서로 접착되어 부폼 보호용 테이프(100)를 이루고, 사용자는 부폼 보호용 테이프(100)가 부품에 부착된 뒤 이형지(103)를 제거하여 본 테이프(102)만이 부품에 부착된 채로 남아 부품을 보호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테이프(102)가 기판(101)과 부품에 접착된 채로, 이형지(103)만을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형지(103)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기존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테이프(102)와 이형지(103)의 사이로 쐐기 형상의 빗면(104)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인입되어 본 테이프(102)로부터 이형지(103)를 일부 박리시킬 수 있다. 일부 박리된 이형지(103)를 기타 수단을 이용해 벗겨냄으로써 이형지(103)를 완전히 본 테이프(102)와 기판(10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형지(103)를 변형 및 제거하는 경우, 쐐기 형상의 빗면(104) 위치가 정확히 제어되지 않는 경우, 기판(101) 또는 기판(101)에 안착된 부품에 빗면(104)이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 대신 손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착성 소재가 도포된 접착 부재(107)를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촉시켜 이형지(103)를 본 테이프(102)로부터 박리시키는 방법이 소개된다. 접착 부재(107)를 이형지(103)의 상면 일단에 접촉시키고, 롤러(106) 등에 의해 말아올리는 방식으로 이형지(103)의 박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접착성 소재의 접착성이 사용 회수를 거듭할수록 줄어들어, 주기적으로 접착성 소재를 새로 도포하거나 접착 부재(107)를 교체해야 되는 관리상의 난점이 존재했다. 또한 이형지(103)의 두께 굽힘 힘 및 이형지(103)와 본 테이프(102), 기판(101)의 접착력보다 접착 부재(107)와 이형지(103)의 접착력이 더 커야 함에도 불구하고, 접착 부재(107)와 이형지(103) 사이의 접착력을 세밀하게 조정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적절하게 이형지(103)를 제거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복잡한 물리적 구성을 가지는 기기를 통해 이형지(103)를 박리시키는 기술이 존재하나, 복잡한 구조의 모듈을 수 개 배치해야 해서 전체 박리기의 규모가 지나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 테이프의 이형지만을 박리할 수 있는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는,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기로,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쐐기형의 파지부; 및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와 각각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링크가 일 직선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이형지의 하면 및 상기 본 테이프의 사이로 기체를 분출 가능한 블로워(blow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공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착부가 회동하는 방향과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음압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 방법은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에 있어서, 흡착부가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단계; 쐐기형의 파지부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단계; 및 상기 파지된 이형지를 상기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형지를 흡착하고 들어올리는 동작과, 물리적인 부재의 개입을 통해 이형지를 본 테이프로부터 박리시키는 동작이 별도의 제어 없이 동시에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으로 이형지의 박리가 가능하다.
별도 구동부가 아닌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두 가지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전체 박리기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흡착부는 진공패드를 사용하여 이형지를 흡착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부품, 부품 보호용 테이프 또는 기판의 손상 우려 없이 이형지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이형지를 박리하기 위한 빗면 구조를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이형지를 박리하기 위한 접착 부재를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흡착한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흡착한 이형지를 들어올리기 시작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실린더와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파지부를 이용해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파지부를 이용해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에서 이형지를 제거한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파지하여 부품 보호용 테이프에서 이형지를 박리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는 흡착부(10), 파지부(20), 구동부(30), 상기 흡착부(10) 및 파지부(20)를 구동부(30)와 연결하는 링크(37) 및 상기 구동부(30)를 지지하는 기저부(40)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흡착부(10)는 이형지(103)를 흡착하는 구성요소로, 다시 노즐(12), 흡착부 몸체(11), 흡착부 링크(14) 및 진공관로(13)로 구성된다. 흡착부(10)는 이형지(103)의 박리를 위해서 음압을 이용한 흡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파지부(20)와의 사이에서 이형지(103)를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12)은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하고, 진공관로(13)를 통해 전달된 음압을 이형지(103)의 상면에 가해 이형지(103)를 흡착부(10)에 흡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형지(103)와 직접 부드럽게 접함과 동시에 음압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고무와 같은 소재로 노즐(12)을 구성하므로, 최초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와 노즐(12)이 만날 때에도 노즐(12)이 부품,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 또는 기판(101)에 큰 충격을 주지 않고 이형지(103)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음압이 가해질 때에도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므로 유연한 접촉면이 형성되어, 음압이 새어 나가 흡착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노즐(12)의 횡단면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표현하였으나,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진공관로(13)는 상기 노즐(12)에 공급될 음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외부의 진공 펌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제공받은 음압을 노즐(12)로 전달한다. 따라서 진공관로(13)는 노즐(1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흡착부 몸체(11) 내부에 개설된 연장 진공관로(미도시)를 통해 노즐(12)과 연결되어 노즐(12)에 음압을 제공할 수도 있다.
흡착부 몸체(11)는 흡착부(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부 몸체(11)의 내부에는 노즐(12)과 진공관로(13)를 잇는 연장 진공관로가 형성될 수 있고, 연장 진공관로의 일단에는 진공관로(13)가, 타단에는 노즐(1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 몸체(11)에는 링크(37)와 연결되기 위해 제1 흡착부 조인트(17)가 연결될 수 있고, 흡착부 링크(14)와 연결되기 위해 제2 흡착부 조인트(16)가 연결될 수 있다. 흡착부 몸체(11)는 링크(37)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흡착부 조인트(17)를 통해 연결되고, 흡착부 링크(14)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흡착부 조인트(16)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흡착부 몸체(11)에는 파지 돌기(18)가 형성된다. 파지 돌기(18)는 노즐(12)과 인접한 위치에 노즐(12)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파지 돌기(18)는 후술할 파지 홈(271)과의 사이에 이형지(103)를 보다 잘 파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 돌기(18)와 파지 홈(271)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도 13 및 도 14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흡착부 링크(14)는 일단이 제2 흡착부 조인트(16)를 통해 흡착부 몸체(1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3 흡착부 조인트(15)를 통해 기저부(40)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부 링크(14)는 흡착부(10)가 기저부(40)로부터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20)는 이형지(103)를 파지하는 구성요소로, 다시 쐐기부(27), 블로워(262)(blower, 미도시), 파지부 몸체(21) 및 파지부 링크(22)로 구성된다. 파지부(20)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사용해 이형지(103) 하면으로 진입하여 이형지(103)를 들어올리고 흡착부(10)와의 사이에서 이형지(103)가 파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 몸체(21)는 파지부(20)의 구성요소들이 연결되거나 수용되는 구성요소로, 일측에 블로워(262), 쐐기부(27), 파지 홈(271)이 형성되고, 타측엔 블로워 홀(261)이 형성된다.
파지부 몸체(21)의 내부에는 블로워(262)와 블로워 홀(261)을 잇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통공의 일단에는 블로워(262)가, 타단에는 블로워 홀(261)이 연결될 수 있다. 파지부 몸체(21)에는 링크(37)와 연결되기 위해 제1 파지부 조인트(24)가 연결될 수 있고, 파지부 링크(22)와 연결되기 위해 제2 파지부 조인트(25)가 연결될 수 있다. 파지부 몸체(21)는 링크(37)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파지부 조인트(24)를 통해 연결되고, 파지부 링크(2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파지부 조인트(25)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쐐기부(27)는 파지부(20)의 일측이자 노즐(12)과 가까운 영역에 형성되는 쐐기형의 구성요소로, 파지부 몸체(21)의 회전시 노즐(12)이 흡착한 이형지(103)의 하면으로 진입한다. 쐐기부(27)는 전체 형상이 선단에 예각을 가지는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쐐기부(27)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쐐기부(27)의 선단부 중심에는 파지 홈(271)이 형성된다. 파지 홈(271)은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 흡착부(10)의 파지 돌기(18)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파지 돌기(18)와의 사이에 이형지(103)를 보다 잘 파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블로워(262)는 쐐기부(27)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이형지(103) 하면에 기체를 분출하는 역할을 한다. 블로워(262)는 파지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블로워 홀(261)과 연결되어, 블로워 홀(261)과 연결되는 외부의 공압원(미도시)으로부터 공압을 전달받아 기체를 분출할 수 있다. 쐐기부(27)가 이형지(103)의 하단으로 진입하고, 블로워(262)가 기체를 분출함에 따라 이형지(103)가 노즐(12)에 보다 잘 흡착되고 본 테이프(102)와 잘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파지부 링크(22)는 일단이 제2 파지부 조인트(25)를 통해 파지부 몸체(2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3 파지부 조인트(23)를 통해 기저부(40)와 연결된다. 따라서 파지부 링크(22)는 파지부(20)가 기저부(40)로부터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30)는 본 발명의 테이프 박리기(1)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는 공압을 이용하여 링크(37)가 직선을 따라 승하강하게 함으로써 파지부(20)와 흡착부(1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요소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공압을 이용한 구동부(30)가 아닌 전력을 이용한 모터, 리니어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부(30)는 구동부 몸체(31), 센서(34), 공압 홀(33), 구동부 볼트(35), 연결부(36) 및 실린더(32)를 포함하며, 실린더(32)는 다시 가이드 실린더(322)와 구동 실린더(321)로 나뉜다. 실제 공압에 의해 구동력을 받아 이를 링크(37)로 전달하는 실린더(32)는 구동 실린더(321)이며, 가이드 실린더(322)는 구동력이 바르게 직선을 따라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부(36)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공압 홀(331) 또는 제2 공압 홀(332)을 통해 공압을 입력받은 구동부(30)의 구동 실린더(321)가 승하강하면, 구동 실린더(321) 및 가이드 실린더(322)와 연결된 연결부(36)가 승하강하고, 이러한 직선 방향 구동력이 링크(37)를 통해 파지부(20)와 흡착부(10)에 전달된다. 이 때, 제1 센서(341) 및 제2 센서(342)가 구동 실린더(32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동 실린더(321)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센서(34)는 마그네틱 센서(34)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동 실린더(321)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데 쓰인다.
구동부 몸체(31)는 구동부(30)의 틀이 되는 구성요소로, 실린더(32)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며, 기저부(40)에 연결된다. 구동부 몸체(31) 내부에서 일어나는 실린더(32)의 동작과 관련해서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구동부 볼트(35)는 구동부(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기저부(40)에 구동부 몸체(31)를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구동 실린더(321)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구동부 몸체(31) 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 홀(33)은 공압을 구동부(30)에 입력하는 구성요소로, 그 자세한 작용은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링크(37)는 구동부(30)의 연결부(36)에 연결되어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제1 링크(372) 및 제2 링크(371)를 포함한다. 제1 링크(372)는 흡착부(10)와 연결되고, 제2 링크(371)는 파지부(20)와 연결된다. 링크(37)는 구동부(30)의 연결부(36)와 링크 볼트(38)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나 체결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링크(37)는 구동부(30)와 연결되어 구동부(30)가 전달하는 구동력에 의해 승하강하며 직선운동을 한다. 이 때 링크(37)가 따라서 운동하는 일 직선은 구동부(30)의 실린더(32)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다.
기저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틀이 되는 구성요소이다. 기저부(40)는 제3 흡착부 조인트(15)를 통해 흡착부 링크(14)와 연결되고, 제3 파지부 조인트(23)를 통해 파지부 링크(22)와 연결되며, 구동부 볼트(35)를 통해 구동부(30)와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함에 있어서 기준점이 되도록 각 구성요소를 지지한다. 또한 기저부(40)는 부품 실장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체 테이프 박리기(1)를 부품 실장기 내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기저부(40)를 구동부(30) 후면에 배치되는 넓은 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부품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이형지(103)를 박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흡착한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초기 배치 및 배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흡착부(10)는 노즐(12)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향되고, 파지부(20)는 노즐(12)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쐐기가 전반적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구동부(30)의 실린더(32)와 연결부(36), 연결부(36)에 연결된 링크(37)는 구동부 몸체(3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하방을 향한 노즐(12)이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의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하고, 흡착부(10)의 진공관로(13)를 통해 음압이 제공된다. 따라서 진공관로(13)와 연결된 노즐(12)은 음압을 전달받아 이형지(103)를 흡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흡착한 이형지(103)를 들어올리기 시작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노즐(12)에 이형지(103)의 상면이 흡착된 뒤, 구동부(30)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구동부(30)는 공압 홀(33)에 공압이 공급됨으로써 구동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공압 홀(331)에 공압이 공급되어 실린더(32) 및 연결부(36)를 승강시키는 구동이 일어난다. 구동부 몸체(31)에 공압이 공급되어 실린더(32)를 구동시키는 작용에 대해서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상하방으로 직선을 따라 연장된 구동 실린더(321)가 구동력을 받아 상방으로 승강하기 시작한다. 구동 실린더(321)의 일단은 구동부 몸체(31) 내에 수용되어 있고, 타단은 연결부(36)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36)는 다시 가이드 실린더(322)의 일단에 연결되고, 가이드 실린더(322)의 타단은 구동부 몸체(3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 실린더(322)도 구동 실린더(321)와 같은 방향으로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결부(36)가 승하강 과정에서 배향이 변경되지 않고 구동 실린더(32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연결부(36)가 실린더(32)의 승강에 따라 일체로 승강하고, 연결부(36)와 링크 볼트(38)를 통해 연결된 링크(37) 역시 연결부(36)와 일체로 승강한다. 따라서 실린더(32)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일 직선을 따라 링크(37)도 직선 이동하게 된다.
링크(37)가 승강함에 따라, 제1 링크(372)와 제1 흡착부 조인트(17)를 통해 연결되고, 기저부(40)와 흡착부 링크(14)를 통해 연결된 흡착부(10)가 제1 링크(37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한다. 이 때 흡착부(10)의 회전축은 제2 흡착부 조인트(16)가 된다. 흡착부 링크(14)는 기저부(40)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흡착부 조인트(17)는 제1 링크(372)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제2 흡착부 조인트(16)가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링크(37)가 승강함에 따라, 제2 링크(371)와 제1 파지부 조인트(24)를 통해 연결되고, 기저부(40)와 파지부 링크(22)를 통해 연결된 파지부(20)가 제2 링크(37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한다. 이 때 파지부(20)의 회전축은 제2 파지부 조인트(25)가 된다. 파지부 링크(22)는 기저부(40)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파지부 조인트(24)는 제2 링크(371)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제2 파지부 조인트(25)가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파지부(20)와 흡착부(10)가 회동하는 방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도 9에서 확인할 때, 흡착부(1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파지부(2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흡착부(10)와 파지부(20)는 반대로 회동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러나 회동 방향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형지(103)를 흡착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파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른 방향의 선택이 가능하다.
흡착부(10)가 회동하면서, 노즐(12) 역시 회동한다. 노즐(12)은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하여 이를 흡착하고 있으므로, 흡착된 이형지(103)가 노즐(12)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파지부(20)의 쐐기부(27)가 회동하며 이형지(103)의 하단으로 진입한다. 쐐기부(27)가 회동하며 이형지(103)의 하단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블로워 홀(261)에 연결된 공압원이 공급한 공압에 의해 블로워(262)로부터 기체가 분출된다. 분출된 기체는 이형지(103) 하면으로 유입되어, 이형지(103)가 보다 잘 들어올려지도록 하고, 이형지(103)와 본 테이프(10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이형지(103)가 본 테이프(102)로부터 보다 잘 박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동부(30)의 직선 운동이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구동력으로 전달되어, 회동이라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흡착부(10)는 이형지(103)를 들어내야 하므로, 회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회전축이 되는 제2 흡착부 조인트(16)는 단지 제자리에서 회동하고, 제1 흡착부 조인트(17)는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파지부 몸체(21)는 이형지(103) 하방으로 진입하여야 하므로, 회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축이 되는 제2 파지부 조인트(25)는 단지 제자리에서 회동하고, 제1 파지부 조인트(24)는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공압을 이용한 구동부(30)에 의해 실린더(32)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동 실린더(321)와 구동부 몸체(31)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동부 몸체(31) 내부에 구동 실린더(321)가 수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321)의 일단은 구동부 몸체(31) 내에 수용되어 있는데, 이 일단은 피스톤(piston) 역할을 하므로 피스톤(3211)으로 지칭한다. 가이드 실린더(322)는 공압에 의한 어떠한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연결부(36)가 비틀어지지 않고 직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피스톤(3211)이 일단에 형성되지 않는다.
구동 실린더(321)를 수용하는 구동부 몸체(31) 내부는 피스톤(3211)과 동일 또는 조금 더 큰 직경을 가진다. 몸체 상측 공간(311)과 몸체 하측 공간(312) 사이의 기체 교환이 자유롭게 일어나면, 피스톤(3211)에 필요한 만큼의 공압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구동 실린더(321)의 직경은 피스톤(32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기체가 수용될 수 있는 몸체 하측 공간(312)을 구동부 몸체(31) 내부에 형성한다. 피스톤(3211)의 상측에는 기체가 수용될 수 있는 몸체 상측 공간(311)이 구동부 몸체(31) 내부에 형성된다.
공압 홀(33)은 실린더(3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공압 홀(331) 및 제2 공압 홀(332)로 구성된다. 공압 홀(33)은 구동부 몸체(31) 내부와 외부의 기체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구멍이다. 따라서 공압원에 의해 공압이 공급될 수도 있고, 내부에 수용된 기체가 배출될 수도 있다.
제2 공압 홀(332)로 외부 공압원(미도시)에 의해 공압이 제공되는 경우, 몸체 하측 공간(312)에 기체가 유입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몸체 상측 공간(311)에 수용된 기체의 양 및 압력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3211)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 공압 홀(331)로 외부 공압원에 의해 공압이 제공되는 경우, 몸체 상측 공간(311)에 기체가 유입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몸체 하측 공간(312)에 수용된 기체의 양 및 압력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3211)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3211)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 실린더(321)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공압을 어떠한 공압 홀(33)에 제공하느냐에 따라 공압에 의해서 구동 실린더(321)가 승하강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공압원을 각 공압 홀(33)에 연결하고, 공압을 어떤 공압 홀(33)에 제공할지를 결정하여 실린더(32)의 승하강여부 및 승하강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34) 역시 공압 홀(33)과 유사하게, 실린더(3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센서(34)는 피스톤(32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센서(34)가 생성한 피스톤(3211)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파지부(20)를 이용해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파지부(20)를 이용해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에서 이형지(103)를 제거한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린더(32)의 승강에 의해 흡착부(10)와 파지부(20)가 회동을 마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형지(103)의 일단은 흡착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위치하여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의해 파지되어 있고, 상면이 노즐(12)에 의해 흡착되어 있다.
흡착부(10)와 파지부(20)는 최초 서로 이격된 상태에 놓여있다가, 구동부(30)의 실린더(32)가 승강할 수 있는 한계까지 승강한 경우, 회동하여 쐐기부(27)와 흡착부(10)의 일 영역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12)에 흡착되고 흡착부(10)의 회동에 의해 이동한 이형지(103)는 일부 영역이 흡착부(10)와 파지부(20)가 밀착된 영역에서 흡착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의해 반대 방향에서 압력을 받아 파지된다.
이 때, 단순히 면대 면으로 흡착부(10)와 파지부(20)가 만나는 경우 이형지(103)를 강하게 압박하여 파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파지 돌기(18)와 파지 홈(271)이 도입되며, 이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20)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서는 이형지(103)의 압박 상황을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하여 노즐(12)이 제거된 흡착부(10)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노즐(12)의 하방에 해당하는 영역에 파지 돌기(18)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파지부(20)에는 파지 홈(271)이 오목하게 파여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흡착부(10)로부터 더 돌출된 파지 돌기(18)와, 파지부(20)의 쐐기부(27)로부터 오목하게 파인 파지 홈(271)에 의해 추가로 이형지(103)가 파지되면서, 이형지(103)가 파지 돌기(18)를 둘러싸며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면대 면으로 이형지(103)를 파지하는 것에 비해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이형지(103)를 잘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20)를 확대해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파지 홈(271)과 파지 돌기(18)의 형상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 돌기(18)가 사각형으로 돌출된 형태인 경우 파지 홈(271)이 이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파지 돌기(18)와 파지 홈(271)의 사이 공간에 이형지(103)를 파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대응되되 파지 돌기(18)는 사각형으로, 파지 홈(271)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순히 파지 홈(271)과 파지 돌기(18)를 완전히 대응되는 형상으로만 형성하는 경우, 파지 홈(271)과 파지 돌기(18)가 형성하는 접촉면과, 흡착부(10)와 파지부(20)의 쐐기부(27)가 형성하는 접촉면의 단차 때문에 이형지(103)가 찢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이한 접촉면 사이에서 이형지(103)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고 곡선을 그리며 보다 부드럽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파지하여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에서 이형지(103)를 박리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형지(103)가 흡착부(10)에 의해 흡착되고, 파지부(20)에 의해 흡착부(10)와의 사이에서 파지된 뒤 이형지(103)를 본 테이프(102)로부터 완전히 벗겨내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이형지(10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에 의해 강하게 파지된 상태이므로, 이형지(103)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본 테이프(102)를 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 테이프(102)와 이형지(103)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본 테이프(102)와 기판(101)은 정지한 상태에서 이형지(103)만이 이동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 이형지(103)는 정지한 상태에서 본 테이프(102)와 기판(101)만이 이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컨베이어 등으로 본 테이프(102)가 접착된 기판(101)이 이동하거나, 이형지(103)를 파지하고 있는 테이프 박리기(1)가 이동하여 이형지(103)를 본 테이프(102)로부터 완전히 박리시킬 수 있다.
이형지(103)의 박리가 끝난 경우, 공압이 제1 공압 홀(331)에 제공됨으로써 구동 실린더(321)가 하강하고, 연결부(36) 및 링크(37)가 구동 실린더(321)와 일체로 하강한다. 따라서 흡착부(10)와 파지부(20)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내용과 반대로 회동하게 되고, 도 8과 같은 초기 위치 및 배향으로 돌아간다. 노즐(12)에 대한 음압의 제공이 중단되면, 이형지(103)가 노즐(12)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는 이형지(103)를 본 발명의 테이프 박리기(1)에서 제거하고 다음 기판(101)에 대해 이형지(103) 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4)

  1.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기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쐐기형의 파지부; 및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와 각각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링크가 일 직선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테이프 박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이형지의 하면 및 상기 본 테이프의 사이로 기체를 분출 가능한 블로워(blower)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테이프 박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홈을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착부가 회동하는 방향과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한 테이프 박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음압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공압을 상기 링크로 전달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구동 실린더의 현재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구동 실린더가 연장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테이프 박리기.
  9.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에 있어서,
    흡착부가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단계;
    쐐기형의 파지부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단계; 및
    상기 파지된 이형지를 상기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를 흡착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부가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음압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이형지의 하면 및 상기 본 테이프의 사이로 기체를 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를 파지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이형지를 파지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단계는, 상기 파지된 이형지를 이동시켜 상기 부품용 테이프로부터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단계는, 상기 본 테이프를 이동시켜 상기 부품용 테이프로부터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 방법.
PCT/KR2017/008519 2017-04-14 2017-08-07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WO201819047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75 2017-04-14
KR1020170048475A KR20180115942A (ko) 2017-04-14 2017-04-1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72A1 true WO2018190472A1 (ko) 2018-10-18

Family

ID=6379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8519 WO2018190472A1 (ko) 2017-04-14 2017-08-07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15942A (ko)
WO (1) WO201819047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152A (zh) * 2019-11-14 2021-05-14 广东天机工业智能系统有限公司 拨胶机构以及贴胶装置
CN113478945A (zh) * 2021-07-23 2021-10-08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撕膜装置
CN114704538A (zh) * 2022-03-24 2022-07-05 深圳市创立宏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辅料自动贴合装置
CN117246621A (zh) * 2023-11-10 2023-12-19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剥离电路板镀金层表面保护胶带的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337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보호 필름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6508A (ko) * 2011-06-09 2012-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광테이프 박리장치
KR20130051367A (ko) * 2011-11-09 2013-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KR20150077139A (ko) * 2013-12-27 2015-07-07 엘아이지인베니아 주식회사 봉지필름용 박리장치 및 이를 갖는 oled 패널용 봉지 시스템, 봉지필름용 박리장치의 박리 방법
KR20160018401A (ko) * 2014-08-08 2016-02-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박리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박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337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보호 필름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6508A (ko) * 2011-06-09 2012-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광테이프 박리장치
KR20130051367A (ko) * 2011-11-09 2013-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KR20150077139A (ko) * 2013-12-27 2015-07-07 엘아이지인베니아 주식회사 봉지필름용 박리장치 및 이를 갖는 oled 패널용 봉지 시스템, 봉지필름용 박리장치의 박리 방법
KR20160018401A (ko) * 2014-08-08 2016-02-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박리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박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152A (zh) * 2019-11-14 2021-05-14 广东天机工业智能系统有限公司 拨胶机构以及贴胶装置
CN113478945A (zh) * 2021-07-23 2021-10-08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撕膜装置
CN113478945B (zh) * 2021-07-23 2023-05-02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撕膜装置
CN114704538A (zh) * 2022-03-24 2022-07-05 深圳市创立宏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辅料自动贴合装置
CN114704538B (zh) * 2022-03-24 2024-01-05 深圳市创立宏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辅料自动贴合装置
CN117246621A (zh) * 2023-11-10 2023-12-19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剥离电路板镀金层表面保护胶带的装置及方法
CN117246621B (zh) * 2023-11-10 2024-01-23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剥离电路板镀金层表面保护胶带的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42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0472A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KR100976801B1 (ko) 윈도우 필름부착장치
TWI390671B (zh) 矩形基板的分割設備
WO2020222529A1 (ko)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WO20190176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D MODULE
WO2014035075A1 (ko) 자동 부품 노출 기기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WO2014084472A1 (ko) 웨이퍼 식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식각 공정
WO2011096611A1 (ko) 로봇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내지 필름 이송 및 타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67070A1 (ko) 반도체용 기판 보호필름의 직립식 박리 방법 및 직립식 박리 장치
WO2023033539A1 (ko) 배터리 모듈의 테이프 및 레진 자동 제거 시스템
WO2022215810A1 (ko) 하이브리드 이젝터를 구비한 픽 앤 플레이스 시스템
WO2014185576A1 (ko) 픽업 부품의 위치교정이 가능한 테이프 피더
WO2021137576A1 (ko) 전지 모듈 및 전지셀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20200061583A (ko) 인쇄회로기판용 양면테이프의 이형지 및 시트지 박리 장치
WO2018135740A1 (ko) Mlcc 적층용 상부금형
WO2015072593A1 (ko) 레이저 칩 본딩기의 칩 공급장치
WO2014003285A1 (ko) 웨이퍼 푸셔
WO2022014933A1 (ko) 테이프 제거 장치
KR20030060471A (ko) 반도체 팩키지 제조용 테이프 커버 박리 장치 및, 테이프커버 박리 방법
WO2023238984A1 (ko) 노즐 배출 장치
KR102251089B1 (ko)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의 절연테이프 부착장치
WO2022164032A1 (ko) 이재 유닛을 구비한 가압 활성화 장치
KR100840545B1 (ko) Pdp용 섀시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20200143791A (ko) 반도체 패키지 분리장치
WO2022014940A1 (ko) 테이프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057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057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