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942A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942A
KR20180115942A KR1020170048475A KR20170048475A KR20180115942A KR 20180115942 A KR20180115942 A KR 20180115942A KR 1020170048475 A KR1020170048475 A KR 1020170048475A KR 20170048475 A KR20170048475 A KR 20170048475A KR 20180115942 A KR20180115942 A KR 20180115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paper
unit
tape
gripping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이태영
한장희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942A/ko
Priority to PCT/KR2017/008519 priority patent/WO2018190472A1/ko
Publication of KR2018011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쐐기형의 파지부; 및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와 각각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링크가 일 직선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Tape separation apparatus for chip mounter}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부착된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이형지만을 제거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전기, 전자 제품의 소형화 추세는 전자 부품의 고집적화, 초소형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밀도 및 초소형의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칩마운터(chip mounter)와 같은 부품 실장기는 각종 전자 부품을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PCB)의 실장 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에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판과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관계를 확인할 수있다. 부품 실장기의 헤드가 피더(feeder)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아 기판에 실장한 후,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를 부품과 기판 위에 덮어서 외부 요인으로부터 부품과 부품에 인접한 기판(101)의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는 부품에 직접 부착되는 본 테이프(102)와, 상기 본 테이프(102)를 덮으며 상측에 부착되는 이형지(103)로 구성된다. 본 테이프(103) 와 이형지(103)는 서로 접착되어 부폼 보호용 테이프(100)를 이루고, 사용자는 부폼 보호용 테이프(100)가 부품에 부착된 뒤 이형지(103)를 제거하여 본 테이프(102)만이 부품에 부착된 채로 남아 부품을 보호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테이프(102)가 기판(101)과 부품에 접착된 채로, 이형지(103)만을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형지(103)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기존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테이프(102)와 이형지(103)의 사이로 쐐기 형상의 빗면(104)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인입되어 본 테이프(102)로부터 이형지(103)를 일부 박리시킬 수 있다. 일부 박리된 이형지(103)를 기타 수단을 이용해 벗겨냄으로써 이형지(103)를 완전히 본 테이프(102)와 기판(10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형지(103)를 변형 및 제거하는 경우, 쐐기 형상의 빗면(104) 위치가 정확히 제어되지 않는 경우, 기판(101) 또는 기판(101)에 안착된 부품에 빗면(104)이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 대신 손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착성 소재가 도포된 접착 부재(107)를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촉시켜 이형지(103)를 본 테이프(102)로부터 박리시키는 방법이 소개된다. 접착 부재(107)를 이형지(103)의 상면 일단에 접촉시키고, 롤러(106) 등에 의해 말아올리는 방식으로 이형지(103)의 박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접착성 소재의 접착성이 사용 회수를 거듭할수록 줄어들어, 주기적으로 접착성 소재를 새로 도포하거나 접착 부재(107)를 교체해야 되는 관리상의 난점이 존재했다. 또한 이형지(103)의 두께 굽힘 힘 및 이형지(103)와 본 테이프(102), 기판(101)의 접착력보다 접착 부재(107)와 이형지(103)의 접착력이 더 커야 함에도 불구하고, 접착 부재(107)와 이형지(103) 사이의 접착력을 세밀하게 조정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적절하게 이형지(103)를 제거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복잡한 물리적 구성을 가지는 기기를 통해 이형지(103)를 박리시키는 기술이 존재하나, 복잡한 구조의 모듈을 수 개 배치해야 해서 전체 박리기의 규모가 지나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8739호(2016.09.20.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 테이프의 이형지만을 박리할 수 있는 테이프 박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는,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기로,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쐐기형의 파지부; 및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와 각각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링크가 일 직선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이형지의 하면 및 상기 본 테이프의 사이로 기체를 분출 가능한 블로워(blow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공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착부가 회동하는 방향과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음압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형지를 흡착하고 들어올리는 동작과, 물리적인 부재의 개입을 통해 이형지를 본 테이프로부터 박리시키는 동작이 별도의 제어 없이 동시에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으로 이형지의 박리가 가능하다.
별도 구동부가 아닌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두 가지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전체 박리기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이형지를 박리하기 위한 빗면 구조를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기존의 부품 보호용 테이프의 이형지를 박리하기 위한 접착 부재를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흡착한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흡착한 이형지를 들어올리기 시작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의 실린더와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파지부를 이용해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파지부를 이용해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에서 이형지를 제거한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가 이형지를 파지하여 부품 보호용 테이프에서 이형지를 박리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는 흡착부(10), 파지부(20), 구동부(30), 상기 흡착부(10) 및 파지부(20)를 구동부(30)와 연결하는 링크(37) 및 상기 구동부(30)를 지지하는 기저부(40)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흡착부(10)는 이형지(103)를 흡착하는 구성요소로, 다시 노즐(12), 흡착부 몸체(11), 흡착부 링크(14) 및 진공관로(13)로 구성된다. 흡착부(10)는 이형지(103)의 박리를 위해서 음압을 이용한 흡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파지부(20)와의 사이에서 이형지(103)를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12)은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하고, 진공관로(13)를 통해 전달된 음압을 이형지(103)의 상면에 가해 이형지(103)를 흡착부(10)에 흡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형지(103)와 직접 부드럽게 접함과 동시에 음압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고무와 같은 소재로 노즐(12)을 구성하므로, 최초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와 노즐(12)이 만날 때에도 노즐(12)이 부품,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 또는 기판(101)에 큰 충격을 주지 않고 이형지(103)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음압이 가해질 때에도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므로 유연한 접촉면이 형성되어, 음압이 새어 나가 흡착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노즐(12)의 횡단면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표현하였으나,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진공관로(13)는 상기 노즐(12)에 공급될 음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외부의 진공 펌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제공받은 음압을 노즐(12)로 전달한다. 따라서 진공관로(13)는 노즐(1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흡착부 몸체(11) 내부에 개설된 연장 진공관로(미도시)를 통해 노즐(12)과 연결되어 노즐(12)에 음압을 제공할 수도 있다.
흡착부 몸체(11)는 흡착부(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부 몸체(11)의 내부에는 노즐(12)과 진공관로(13)를 잇는 연장 진공관로가 형성될 수 있고, 연장 진공관로의 일단에는 진공관로(13)가, 타단에는 노즐(1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 몸체(11)에는 링크(37)와 연결되기 위해 제1 흡착부 조인트(17)가 연결될 수 있고, 흡착부 링크(14)와 연결되기 위해 제2 흡착부 조인트(16)가 연결될 수 있다. 흡착부 몸체(11)는 링크(37)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흡착부 조인트(17)를 통해 연결되고, 흡착부 링크(14)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흡착부 조인트(16)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흡착부 몸체(11)에는 파지 돌기(18)가 형성된다. 파지 돌기(18)는 노즐(12)과 인접한 위치에 노즐(12)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파지 돌기(18)는 후술할 파지 홈(271)과의 사이에 이형지(103)를 보다 잘 파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 돌기(18)와 파지 홈(271)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도 13 및 도 14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흡착부 링크(14)는 일단이 제2 흡착부 조인트(16)를 통해 흡착부 몸체(1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3 흡착부 조인트(15)를 통해 기저부(40)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부 링크(14)는 흡착부(10)가 기저부(40)로부터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20)는 이형지(103)를 파지하는 구성요소로, 다시 쐐기부(27), 블로워(262)(blower, 미도시), 파지부 몸체(21) 및 파지부 링크(22)로 구성된다. 파지부(20)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사용해 이형지(103) 하면으로 진입하여 이형지(103)를 들어올리고 흡착부(10)와의 사이에서 이형지(103)가 파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 몸체(21)는 파지부(20)의 구성요소들이 연결되거나 수용되는 구성요소로, 일측에 블로워(262), 쐐기부(27), 파지 홈(271)이 형성되고, 타측엔 블로워 홀(261)이 형성된다.
파지부 몸체(21)의 내부에는 블로워(262)와 블로워 홀(261)을 잇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통공의 일단에는 블로워(262)가, 타단에는 블로워 홀(261)이 연결될 수 있다. 파지부 몸체(21)에는 링크(37)와 연결되기 위해 제1 파지부 조인트(24)가 연결될 수 있고, 파지부 링크(22)와 연결되기 위해 제2 파지부 조인트(25)가 연결될 수 있다. 파지부 몸체(21)는 링크(37)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파지부 조인트(24)를 통해 연결되고, 파지부 링크(2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파지부 조인트(25)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쐐기부(27)는 파지부(20)의 일측이자 노즐(12)과 가까운 영역에 형성되는 쐐기형의 구성요소로, 파지부 몸체(21)의 회전시 노즐(12)이 흡착한 이형지(103)의 하면으로 진입한다. 쐐기부(27)는 전체 형상이 선단에 예각을 가지는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쐐기부(27)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쐐기부(27)의 선단부 중심에는 파지 홈(271)이 형성된다. 파지 홈(271)은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 흡착부(10)의 파지 돌기(18)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파지 돌기(18)와의 사이에 이형지(103)를 보다 잘 파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블로워(262)는 쐐기부(27)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이형지(103) 하면에 기체를 분출하는 역할을 한다. 블로워(262)는 파지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블로워 홀(261)과 연결되어, 블로워 홀(261)과 연결되는 외부의 공압원(미도시)으로부터 공압을 전달받아 기체를 분출할 수 있다. 쐐기부(27)가 이형지(103)의 하단으로 진입하고, 블로워(262)가 기체를 분출함에 따라 이형지(103)가 노즐(12)에 보다 잘 흡착되고 본 테이프(102)와 잘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파지부 링크(22)는 일단이 제2 파지부 조인트(25)를 통해 파지부 몸체(2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3 파지부 조인트(23)를 통해 기저부(40)와 연결된다. 따라서 파지부 링크(22)는 파지부(20)가 기저부(40)로부터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30)는 본 발명의 테이프 박리기(1)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는 공압을 이용하여 링크(37)가 직선을 따라 승하강하게 함으로써 파지부(20)와 흡착부(1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요소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공압을 이용한 구동부(30)가 아닌 전력을 이용한 모터, 리니어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부(30)는 구동부 몸체(31), 센서(34), 공압 홀(33), 구동부 볼트(35), 연결부(36) 및 실린더(32)를 포함하며, 실린더(32)는 다시 가이드 실린더(322)와 구동 실린더(321)로 나뉜다. 실제 공압에 의해 구동력을 받아 이를 링크(37)로 전달하는 실린더(32)는 구동 실린더(321)이며, 가이드 실린더(322)는 구동력이 바르게 직선을 따라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부(36)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공압 홀(331) 또는 제2 공압 홀(332)을 통해 공압을 입력받은 구동부(30)의 구동 실린더(321)가 승하강하면, 구동 실린더(321) 및 가이드 실린더(322)와 연결된 연결부(36)가 승하강하고, 이러한 직선 방향 구동력이 링크(37)를 통해 파지부(20)와 흡착부(10)에 전달된다. 이 때, 제1 센서(341) 및 제2 센서(342)가 구동 실린더(32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동 실린더(321)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센서(34)는 마그네틱 센서(34)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동 실린더(321)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데 쓰인다.
구동부 몸체(31)는 구동부(30)의 틀이 되는 구성요소로, 실린더(32)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며, 기저부(40)에 연결된다. 구동부 몸체(31) 내부에서 일어나는 실린더(32)의 동작과 관련해서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구동부 볼트(35)는 구동부(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기저부(40)에 구동부 몸체(31)를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구동 실린더(321)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구동부 몸체(31) 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 홀(33)은 공압을 구동부(30)에 입력하는 구성요소로, 그 자세한 작용은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링크(37)는 구동부(30)의 연결부(36)에 연결되어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제1 링크(372) 및 제2 링크(371)를 포함한다. 제1 링크(372)는 흡착부(10)와 연결되고, 제2 링크(371)는 파지부(20)와 연결된다. 링크(37)는 구동부(30)의 연결부(36)와 링크 볼트(38)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나 체결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링크(37)는 구동부(30)와 연결되어 구동부(30)가 전달하는 구동력에 의해 승하강하며 직선운동을 한다. 이 때 링크(37)가 따라서 운동하는 일 직선은 구동부(30)의 실린더(32)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다.
기저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틀이 되는 구성요소이다. 기저부(40)는 제3 흡착부 조인트(15)를 통해 흡착부 링크(14)와 연결되고, 제3 파지부 조인트(23)를 통해 파지부 링크(22)와 연결되며, 구동부 볼트(35)를 통해 구동부(30)와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함에 있어서 기준점이 되도록 각 구성요소를 지지한다. 또한 기저부(40)는 부품 실장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체 테이프 박리기(1)를 부품 실장기 내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기저부(40)를 구동부(30) 후면에 배치되는 넓은 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부품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이형지(103)를 박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흡착한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초기 배치 및 배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흡착부(10)는 노즐(12)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향되고, 파지부(20)는 노즐(12)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쐐기가 전반적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구동부(30)의 실린더(32)와 연결부(36), 연결부(36)에 연결된 링크(37)는 구동부 몸체(3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하방을 향한 노즐(12)이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의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하고, 흡착부(10)의 진공관로(13)를 통해 음압이 제공된다. 따라서 진공관로(13)와 연결된 노즐(12)은 음압을 전달받아 이형지(103)를 흡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흡착한 이형지(103)를 들어올리기 시작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노즐(12)에 이형지(103)의 상면이 흡착된 뒤, 구동부(30)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구동부(30)는 공압 홀(33)에 공압이 공급됨으로써 구동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공압 홀(331)에 공압이 공급되어 실린더(32) 및 연결부(36)를 승강시키는 구동이 일어난다. 구동부 몸체(31)에 공압이 공급되어 실린더(32)를 구동시키는 작용에 대해서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상하방으로 직선을 따라 연장된 구동 실린더(321)가 구동력을 받아 상방으로 승강하기 시작한다. 구동 실린더(321)의 일단은 구동부 몸체(31) 내에 수용되어 있고, 타단은 연결부(36)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36)는 다시 가이드 실린더(322)의 일단에 연결되고, 가이드 실린더(322)의 타단은 구동부 몸체(3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 실린더(322)도 구동 실린더(321)와 같은 방향으로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결부(36)가 승하강 과정에서 배향이 변경되지 않고 구동 실린더(32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연결부(36)가 실린더(32)의 승강에 따라 일체로 승강하고, 연결부(36)와 링크 볼트(38)를 통해 연결된 링크(37) 역시 연결부(36)와 일체로 승강한다. 따라서 실린더(32)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일 직선을 따라 링크(37)도 직선 이동하게 된다.
링크(37)가 승강함에 따라, 제1 링크(372)와 제1 흡착부 조인트(17)를 통해 연결되고, 기저부(40)와 흡착부 링크(14)를 통해 연결된 흡착부(10)가 제1 링크(37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한다. 이 때 흡착부(10)의 회전축은 제2 흡착부 조인트(16)가 된다. 흡착부 링크(14)는 기저부(40)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흡착부 조인트(17)는 제1 링크(372)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제2 흡착부 조인트(16)가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링크(37)가 승강함에 따라, 제2 링크(371)와 제1 파지부 조인트(24)를 통해 연결되고, 기저부(40)와 파지부 링크(22)를 통해 연결된 파지부(20)가 제2 링크(37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한다. 이 때 파지부(20)의 회전축은 제2 파지부 조인트(25)가 된다. 파지부 링크(22)는 기저부(40)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파지부 조인트(24)는 제2 링크(371)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제2 파지부 조인트(25)가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파지부(20)와 흡착부(10)가 회동하는 방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도 9에서 확인할 때, 흡착부(1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파지부(2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흡착부(10)와 파지부(20)는 반대로 회동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러나 회동 방향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형지(103)를 흡착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파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른 방향의 선택이 가능하다.
흡착부(10)가 회동하면서, 노즐(12) 역시 회동한다. 노즐(12)은 이형지(103)의 상면에 접하여 이를 흡착하고 있으므로, 흡착된 이형지(103)가 노즐(12)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파지부(20)의 쐐기부(27)가 회동하며 이형지(103)의 하단으로 진입한다. 쐐기부(27)가 회동하며 이형지(103)의 하단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블로워 홀(261)에 연결된 공압원이 공급한 공압에 의해 블로워(262)로부터 기체가 분출된다. 분출된 기체는 이형지(103) 하면으로 유입되어, 이형지(103)가 보다 잘 들어올려지도록 하고, 이형지(103)와 본 테이프(10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이형지(103)가 본 테이프(102)로부터 보다 잘 박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동부(30)의 직선 운동이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구동력으로 전달되어, 회동이라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흡착부(10)는 이형지(103)를 들어내야 하므로, 회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회전축이 되는 제2 흡착부 조인트(16)는 단지 제자리에서 회동하고, 제1 흡착부 조인트(17)는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파지부 몸체(21)는 이형지(103) 하방으로 진입하여야 하므로, 회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축이 되는 제2 파지부 조인트(25)는 단지 제자리에서 회동하고, 제1 파지부 조인트(24)는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공압을 이용한 구동부(30)에 의해 실린더(32)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동 실린더(321)와 구동부 몸체(31)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의 구동부 몸체(31) 내부에 구동 실린더(321)가 수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321)의 일단은 구동부 몸체(31) 내에 수용되어 있는데, 이 일단은 피스톤(piston) 역할을 하므로 피스톤(3211)으로 지칭한다. 가이드 실린더(322)는 공압에 의한 어떠한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연결부(36)가 비틀어지지 않고 직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피스톤(3211)이 일단에 형성되지 않는다.
구동 실린더(321)를 수용하는 구동부 몸체(31) 내부는 피스톤(3211)과 동일 또는 조금 더 큰 직경을 가진다. 몸체 상측 공간(311)과 몸체 하측 공간(312) 사이의 기체 교환이 자유롭게 일어나면, 피스톤(3211)에 필요한 만큼의 공압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구동 실린더(321)의 직경은 피스톤(32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기체가 수용될 수 있는 몸체 하측 공간(312)을 구동부 몸체(31) 내부에 형성한다. 피스톤(3211)의 상측에는 기체가 수용될 수 있는 몸체 상측 공간(311)이 구동부 몸체(31) 내부에 형성된다.
공압 홀(33)은 실린더(3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공압 홀(331) 및 제2 공압 홀(332)로 구성된다. 공압 홀(33)은 구동부 몸체(31) 내부와 외부의 기체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구멍이다. 따라서 공압원에 의해 공압이 공급될 수도 있고, 내부에 수용된 기체가 배출될 수도 있다.
제2 공압 홀(332)로 외부 공압원(미도시)에 의해 공압이 제공되는 경우, 몸체 하측 공간(312)에 기체가 유입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몸체 상측 공간(311)에 수용된 기체의 양 및 압력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3211)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 공압 홀(331)로 외부 공압원에 의해 공압이 제공되는 경우, 몸체 상측 공간(311)에 기체가 유입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몸체 하측 공간(312)에 수용된 기체의 양 및 압력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3211)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3211)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 실린더(321)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공압을 어떠한 공압 홀(33)에 제공하느냐에 따라 공압에 의해서 구동 실린더(321)가 승하강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공압원을 각 공압 홀(33)에 연결하고, 공압을 어떤 공압 홀(33)에 제공할지를 결정하여 실린더(32)의 승하강여부 및 승하강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34) 역시 공압 홀(33)과 유사하게, 실린더(3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센서(34)는 피스톤(32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센서(34)가 생성한 피스톤(3211)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파지부(20)를 이용해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파지부(20)를 이용해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에서 이형지(103)를 제거한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린더(32)의 승강에 의해 흡착부(10)와 파지부(20)가 회동을 마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형지(103)의 일단은 흡착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위치하여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의해 파지되어 있고, 상면이 노즐(12)에 의해 흡착되어 있다.
흡착부(10)와 파지부(20)는 최초 서로 이격된 상태에 놓여있다가, 구동부(30)의 실린더(32)가 승강할 수 있는 한계까지 승강한 경우, 회동하여 쐐기부(27)와 흡착부(10)의 일 영역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12)에 흡착되고 흡착부(10)의 회동에 의해 이동한 이형지(103)는 일부 영역이 흡착부(10)와 파지부(20)가 밀착된 영역에서 흡착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흡착부(10)와 파지부(20)에 의해 반대 방향에서 압력을 받아 파지된다.
이 때, 단순히 면대 면으로 흡착부(10)와 파지부(20)가 만나는 경우 이형지(103)를 강하게 압박하여 파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파지 돌기(18)와 파지 홈(271)이 도입되며, 이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20)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서는 이형지(103)의 압박 상황을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하여 노즐(12)이 제거된 흡착부(10)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노즐(12)의 하방에 해당하는 영역에 파지 돌기(18)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파지부(20)에는 파지 홈(271)이 오목하게 파여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흡착부(10)로부터 더 돌출된 파지 돌기(18)와, 파지부(20)의 쐐기부(27)로부터 오목하게 파인 파지 홈(271)에 의해 추가로 이형지(103)가 파지되면서, 이형지(103)가 파지 돌기(18)를 둘러싸며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면대 면으로 이형지(103)를 파지하는 것에 비해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이형지(103)를 잘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파지한 상황에서 파지부(20)를 확대해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파지 홈(271)과 파지 돌기(18)의 형상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 돌기(18)가 사각형으로 돌출된 형태인 경우 파지 홈(271)이 이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파지 돌기(18)와 파지 홈(271)의 사이 공간에 이형지(103)를 파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대응되되 파지 돌기(18)는 사각형으로, 파지 홈(271)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순히 파지 홈(271)과 파지 돌기(18)를 완전히 대응되는 형상으로만 형성하는 경우, 파지 홈(271)과 파지 돌기(18)가 형성하는 접촉면과, 흡착부(10)와 파지부(20)의 쐐기부(27)가 형성하는 접촉면의 단차 때문에 이형지(103)가 찢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이한 접촉면 사이에서 이형지(103)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고 곡선을 그리며 보다 부드럽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가 이형지(103)를 파지하여 부품 보호용 테이프(100)에서 이형지(103)를 박리하는 상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형지(103)가 흡착부(10)에 의해 흡착되고, 파지부(20)에 의해 흡착부(10)와의 사이에서 파지된 뒤 이형지(103)를 본 테이프(102)로부터 완전히 벗겨내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이형지(10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박리기(1)에 의해 강하게 파지된 상태이므로, 이형지(103)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본 테이프(102)를 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 테이프(102)와 이형지(103)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본 테이프(102)와 기판(101)은 정지한 상태에서 이형지(103)만이 이동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 이형지(103)는 정지한 상태에서 본 테이프(102)와 기판(101)만이 이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컨베이어 등으로 본 테이프(102)가 접착된 기판(101)이 이동하거나, 이형지(103)를 파지하고 있는 테이프 박리기(1)가 이동하여 이형지(103)를 본 테이프(102)로부터 완전히 박리시킬 수 있다.
이형지(103)의 박리가 끝난 경우, 공압이 제1 공압 홀(331)에 제공됨으로써 구동 실린더(321)가 하강하고, 연결부(36) 및 링크(37)가 구동 실린더(321)와 일체로 하강한다. 따라서 흡착부(10)와 파지부(20)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내용과 반대로 회동하게 되고, 도 8과 같은 초기 위치 및 배향으로 돌아간다. 노즐(12)에 대한 음압의 제공이 중단되면, 이형지(103)가 노즐(12)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는 이형지(103)를 본 발명의 테이프 박리기(1)에서 제거하고 다음 기판(101)에 대해 이형지(103) 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테이프 박리기 10 : 흡착부
11 : 흡착부 몸체 12 : 노즐
13 : 진공관로 14 : 흡착부 링크
15 : 제3 흡착부 조인트 16 : 제2 흡착부 조인트
17 : 제1 흡착부 조인트 18 : 파지 돌기
20 : 파지부 21 : 파지부 몸체
22 : 파지부 링크 23 : 제3 파지부 조인트
24 : 제1 파지부 조인트 25 : 제2 파지부 조인트
27 : 쐐기부 30 : 구동부
31 : 구동부 몸체 32 : 실린더
33 : 공압 홀 34 : 센서
35 : 구동부 볼트 36 : 연결부
37 : 링크 38 : 링크 볼트
40 : 기저부 100 : 부품 보호용 테이프
101 : 기판 102 : 본 테이프
103 : 이형지 104 : 빗면
106 : 롤러 107 : 접착 부재
261 : 블로워 홀 262 : 블로워
271 : 파지 홈 311 : 몸체 상측 공간
312 : 몸체 하측 공간 321 : 구동 실린더
322 : 가이드 실린더 331 : 제1 공압 홀
332 : 제2 공압 홀 341 : 제1 센서
342 : 제2 센서 371 : 제2 링크
372 : 제1 링크 3211 : 피스톤

Claims (6)

  1.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에 부착된 본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품 보호용 테이프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테이프 박리기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이형지의 하면으로 진입하는 쐐기형의 파지부; 및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와 각각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링크가 일 직선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흡착된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 및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테이프 박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이형지의 하면 및 상기 본 테이프의 사이로 기체를 분출 가능한 블로워(blower)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테이프 박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를 상기 흡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파지하는 파지 홈을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착부가 회동하는 방향과 상기 파지부가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한 테이프 박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을 음압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테이프 박리기.
KR1020170048475A 2017-04-14 2017-04-1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KR20180115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75A KR20180115942A (ko) 2017-04-14 2017-04-1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PCT/KR2017/008519 WO2018190472A1 (ko) 2017-04-14 2017-08-07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75A KR20180115942A (ko) 2017-04-14 2017-04-1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42A true KR20180115942A (ko) 2018-10-24

Family

ID=6379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75A KR20180115942A (ko) 2017-04-14 2017-04-1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15942A (ko)
WO (1) WO2018190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152B (zh) * 2019-11-14 2022-09-20 广东天机工业智能系统有限公司 拨胶机构以及贴胶装置
CN113478945B (zh) * 2021-07-23 2023-05-02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撕膜装置
CN114704538B (zh) * 2022-03-24 2024-01-05 深圳市创立宏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辅料自动贴合装置
CN117246621B (zh) * 2023-11-10 2024-01-23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剥离电路板镀金层表面保护胶带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337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보호 필름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6508A (ko) * 2011-06-09 2012-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광테이프 박리장치
KR101830243B1 (ko) * 2011-11-09 2018-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KR20150077139A (ko) * 2013-12-27 2015-07-07 엘아이지인베니아 주식회사 봉지필름용 박리장치 및 이를 갖는 oled 패널용 봉지 시스템, 봉지필름용 박리장치의 박리 방법
JP2016039301A (ja) * 2014-08-08 2016-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剥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72A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5942A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CN1855363B (zh) 支承板分离装置及使用该装置的支承板分离方法
TWI390671B (zh) 矩形基板的分割設備
KR101511891B1 (ko) 적층 장치 및 적층 방법
CN112224864A (zh) 一种组装前撕膜流水线
KR101055876B1 (ko) 점착테이프 부착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18401A (ko) 점착 테이프 박리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박리 장치
TWI453158B (zh) 取料機構
JP2008023641A (ja) 部品保持ハンド、部品挿入方法および部品挿入機
JP2015012246A (ja) 基板供給装置及びその方法
JP6544195B2 (ja) 電極箔の搬送装置および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JP2012174742A (ja) ダイピックアップ装置
JP4561538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のノズルのクリーニングテープ、電子部品実装装置のノズル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CN209080382U (zh) 一种摄像模组剥单设备
JP4210406B2 (ja) 保護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20070387A (ko) 기판 박리 장치
KR101504147B1 (ko) 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CN210478069U (zh) 一种撕膜装置
CN112537114A (zh) 一种撕膜装置
KR102033795B1 (ko) 시트 부착 장치 및 시트 부착 방법
KR20180116049A (ko) 테이프 박리기
KR20200143791A (ko) 반도체 패키지 분리장치
KR102251089B1 (ko)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의 절연테이프 부착장치
JP4002444B2 (ja) 偏光板供給装置
CN110143479B (zh) 一种覆盖膜补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