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722A1 -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 Google Patents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722A1
WO2018056722A1 PCT/KR2017/010412 KR2017010412W WO2018056722A1 WO 2018056722 A1 WO2018056722 A1 WO 2018056722A1 KR 2017010412 W KR2017010412 W KR 2017010412W WO 2018056722 A1 WO2018056722 A1 WO 20180567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hydrogel
sensor
unit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4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준수
구지영
봉지훈
서리
장인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217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7828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2173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2735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62,74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72750B2/en
Priority to CN201780071919.1A priority patent/CN109982826B/zh
Publication of WO20180567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7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01F33/84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with means for customizing the mixture on the point of sale, e.g. by sensing, receiving or analys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to be made
    • B01F33/8442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with means for customizing the mixture on the point of sale, e.g. by sensing, receiving or analys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to be made using a computer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nd converting it in a formula and a set of operation instructions, e.g. on the point of sa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2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individual droplets, e.g. from je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14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Abstrac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 및,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를 포함함으로써, 간편하고 편리하게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에 관한 관심은 계속해서 증대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 많은 시간 및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확대 등으로, 여성들의 피부 미용 화장품, 피부관리 서비스, 피부 미용 기기에 대한 비용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남성들도 피부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재 마스크팩(mask pack) 시장 규모는 단일 소형가전 시장 규모와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했으며, 추후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코트라 산업트렌드 리포트(2015.09)에 따르면, 2015년 한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4천억원, 중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4.4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한편, 전문 피부 관리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시간, 위생 및 비용적인 부분에서 부담이 있어, 개인 피부 미용 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장품 산업은 성숙기에 접어든 반면에 개인이 집에서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미용기기 시장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서, 피부 타입(type) 및 컨디션에 따라 사용자 스스로 제조하는 DIY 전문 마스크 팩 제조 기기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또한, '맞춤형 화장품' 매장 내 판매 제도의 도입에 따라 고객 요구에 맞춰 다양한 원료, 색소, 성분, 향료 등을 혼합한 화장품을 매장 내 즉석으로 만들어 판매할 수 있는 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성분을 혼합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장 또는 집에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기기 내 열 및 제형 상태, 제형 이동을 관리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 및,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를 포함함으로써, 간편하고 편리하게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성분을 혼합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매장 또는 집에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른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기기 내 열 및 제형 상태, 제형 이동을 관리할 수 있고, 더욱 빠른 속도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피부 미용 서비스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투입되는 캡슐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노즐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하이드로겔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팩 및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열 관리 구조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 센서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압 구분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 내 제형 이동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피부 미용 서비스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구비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a를 참조하면,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기타 동등한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 측정 기기(50)는 측정 전용 기기로 사용자의 얼굴 상태를 측정하여 수치화된 정보를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및/또는 소정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피부 측정 기기(50)로 사용자의 얼굴 피부 상태를 T존, 눈가, 팔자, 입가, U존 5가지 얼굴(10) 부위 별로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피부 측정 기기(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10)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 피부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10) 크기 및 형태, 센싱 항목별, 얼굴 부위별로 측정된 결과 데이터, 측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판별된 피부 상태 분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가정에서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이용하거나,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구비된 매장에서 피부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일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피부 측정 기기(50)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 후, 촬영으로 획득된 영상 데이터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및/또는 소정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이 피부 측정 기기(50)를 통해 얼굴(10)의 T존, 눈가, 팔자, 입가, U존 5부위를 순서대로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은 피부 측정 기기(50)를 T존(이마 1번), 눈가, 팔자, U존(왼쪽 1번), 입가(입술 아래 1번) 총 5부위, 총 5회 접촉하여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은 전용 카메라 또는 피부 측정 기기(50) 내 카메라를 통해 얼굴을 촬영하고, 비전 인식 기술에 기반하여 얼굴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는 스펙클(Speckle) 기술 기반 접촉식 피부 상태 측정 방법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비전 인식 기술 기반으로 3D 안면 윤곽을 측정할 수 있다.
스펙클(Speckle) 기술 기반 접촉식 피부 상태 측정 방법은, 레이저의 광 간섭 현상에 기인한 스펙클 패턴을 촬영해서 피부 표면 상태를 분석하는 기술로, 주름, 모공, 기미, 색조, 유분, 수분, 탄력 등 총 7가지 인자(factor) 측정이 가능하다. 스펙클(Speckle) 기술 기반 접촉식 피부 상태 측정 방법은, 탄력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피부 상태 측정 방법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피부 측정 기기(50)는 각 측정값 모두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및 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측정 기기(50)는 측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판별된 피부 상태 분류하여 솔루션(silution)과 맵핑(mapping)할 수 있다.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판별, 솔루션(silution)과 맵핑(mapping)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측정된 피부의 수분 부족이 심각하다고 판별되면, 솔루션(silution)으로 보습 성분이 강화된 재료를 수용하는 수분 캡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얼굴 크기 값이 나오면 각 부위를 균등하게 5분할 영역으로 지정하여 해당 영역과 솔루션을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T존의 수분 부족이 심각하다고 판별되면, T존에 대한 솔루션으로 수분 캡슐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측정 결과에 대한 솔루션을 '수분 캡슐 3개, 탄력 캡슐 1개, 주름 캡슐 1개를 투입하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시각/음성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매장에서는 상기 피부 측정 기기(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10)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사이즈 및 형태, 피부 타입 별 상태 진단 및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측정 기기(50)는 태블릿 PC(70) 등 소정 전자기기로 직접 피부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소정 서버에 업로드하여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피부 측정 기기(50)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소정 태블릿 PC(70) 등 소정 전자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매장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측정 결과와 자신에게 맞춤화된 솔루션에 대해 그 자리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고객은 개인 스마트폰으로 측정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피부 측정 기기(50)로 사용자의 얼굴(10) 주요 부위 피부 상태 측정하고, 과학적으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통하여 실시간 개인 맞춤형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는 다양한 성분의 재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캡슐(210)이 투입되고, 복수의 캡슐(210) 내의 재료들을 혼합하여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은 사용자의 피부 타입(type) 및/또는 그날 피부 상태에 따른 수분, 탄력(주름), 영양, 미백, 트러블 진정 등 맞춤형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 투입하여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얼굴 측정을 통해 3D 프린터로 피부 부위별 꼭 맞는 해답을 선사하는 프리미엄(premium) 미용(beauty) 기기일 수 있다.
3D 프린터는, 3차원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체적인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로, 크게 적층형과 절삭형으로 분류된다. 적층형은 소정 재료를 분사하여, 미세한 두께의 레이어(layer)를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이고, 절삭형은 소재를 깎아 내며 물품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절삭형은 재료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적층형이 더 많이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3D 프린팅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적층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피부 상태 정보를 입력받고, 하이드로겔을 소재로 이용하여 피부 상태 정보에 최적화된 마스크팩(11)을 제조하는 일종의 3D 프린터(Printer)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측정된 사용자 얼굴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부위별 맞춤 제형으로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가 T존, 눈가, 팔자, 입가, U존 다섯 부위의 피부 상태 정보를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로 전송하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부위별로 맞춤형으로 성분이 혼합, 제조된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성분의 하이드로겔 제형이 수용된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 투입하고,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은 각 캡슐에 수용된 성분 및 배합 농도를 조절하여 겔 타입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별 마스크팩 사이즈(size) 최적화, 얼굴 부위 및 성분 배합 농도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그날 피부 상태에 따른 수분, 주름개선, 영양, 트러블 진정 등 기능성 맞춤형 캡슐을 투입, 마스크팩을 제조함으로써, 그날의 피부 상태, 얼굴 부위별 최적 성분 배합된 겔 타입 마스크팩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특정 부위를 위한 추가 화장품 구매, 이용이 필요없는 올인원(all in one) 에스테틱(esthetic)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 및 각 부위의 상태에 맞는 성분으로 마스크팩(11)을 제조함으로써, 전문 피부 관리실을 이용한 것 이상으로, 최적회된 성분이 빠르게 피부에 흡수되고, 더 뛰어한 효과를 느낄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개인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마스크팩 제조 과정을 단순히 하이드로겔 제어에 대한 산업(industrial) 공정이 아닌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사용자)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d와 도 2e를 참조하면, 매장에서는 마스크팩을 복수개 제조하여 케어(care) 패키지(package) 팩(3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클리(Weekly) 케어 패키지 팩(30)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패키지 팩 내 마스크팩들(31)을 사용하여 일주일 주기의 개인화 케어 후 다시 매장을 재방문하여 최신의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새로운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200),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310)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300),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400) 및, 상기 제형 분사부(400)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기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되어 마스크팩 형성을 위한 공간인 캐비티(cavity)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 영역(105)은 유리 등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1)는 상부의 불투명한 영역과 하부의 투명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상기 케이스(101)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형 고형화부(500)는, 상기 케이스(101)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전달부(300)와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일부는 상기 케이스(101)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케이스(101)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마스크팩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투명한 영역(105)은 그 자체가 개폐 가능한 도어로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이 도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투명한 영역(105)에 제조된 마스크팩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마스크팩의 원료가 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캡슐 안착부 또는 캡슐 투입/안착부 등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캡슐에는 다양한 성분의 마스크팩 제조 원료가 수용될 수 있고, 각 캡슐마다 다른 성분의 원료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슐 투입부(200)에는 캡슐이 투입되어 안착되는 복수의 투입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20)의 개수, 크기와 형상은 캡슐의 개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7개의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7회분 캡슐을 사용하는 경우에 7회분 캡슐의 높이 고려하여 캡슐을 수용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높이, 크기, 및 투입구(200)의 높이,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복수의 투입구(2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와 상기 복수의 투입구는 각각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5개의 캡슐을 투입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5개의 투입구(220)가 구비되고, 6개의 캡슐을 투입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6개의 투입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310)의 개수도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투입구(220)의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310)는 각각 상기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다른 투입구(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5개의 캡슐(210a, 210b, 210c, 210d, 210e)에 각각 대응하여 5개의 전용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에서는 유로(310)를 간략히 도시하였으나, 상기 유로(310)는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는 상당 부분 접촉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20), 유로(310)를 각 캡슐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것이 위생 및 관리 면에서 더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투입구(220)는 측면 투입 구조 등도 가능하지만 토출 용이성과 여액방지를 위해 상단 수직 투입 구조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높이, 크기 이외에, 마스크팩이 제조되는 캐비티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매장의 매대 또는 가정의 화장대에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설치되어 사용될 것을 고려하여, 매대 또는 화장대의 높이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매대 또는 화장대의 높이와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높이의 합이 국내 여성의 평균키보다 작게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높이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캡슐 투입 및 인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캡슐 투입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101)의 상판(102)도 개폐 가능하도록형성되거나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heating)하여 액상화하는 히팅부와 상기 액상화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에 수용된 제형이 액상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히팅부는 하나 이상의 열선 타입 열원을 포함할 수 있고, 열선은 각 투입구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열선을 구동하여 투입된 복수의 캡슐 중 하나 이상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액상화할 수 있다.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열선 타입의 히팅부로 약 60도로 캡슐 하부를 히팅하여 제형을 액상화한 후 캡슐을 가압하여 제형을 외부로 푸쉬(push)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캡슐이 정확히 안착 되었는지 감지하여 그 여부를 출력부(17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투입된 캡슐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형 전달부(300)는, 상기 복수의 유로(310)를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와 상기 복수의 유로(310) 내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형 전달부(300)의 히팅부는 하나 이상의 열선(320) 타입 열원을 포함할 수 있고, 열선(320)은 각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형 전달부(300)는 열선(320)을 구동하여, 유로(310) 내 온도를 약 60도 내지 66도로 유지하여 액상화된 제형의 점성 및 액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형 전달부(300)의 공압 조절부는 유로(310)의 공압을 조절하고, 필요시 유로(310)를 고압 펌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압 조절부는 펌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부의 펌핑을 통하여 유로(310) 내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노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노즐(410)은, 상기 복수의 유로(3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입구 및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작 속도 향상 및 위생을 목적으로, 기기(100) 내 투입구(220) 및 노즐(410)은 독립하여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410)은, 별도의 독립적인 복수개의 노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구 및 분사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노즐(410)을 이동시키는 암(4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암(420)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유로(310)를 통과하여 이동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외부로 분사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형 분사부(400)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3D 프린팅(printing)하는 디스펜싱(dispensing) 방식 3D 토출기일 수 있다.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은 고형화된 재료를 분사 직전 액상화하여 적층식으로 물품을 제작하는 방식으로서 제형 분사부(400)는 하이드로겔을 분사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은 암(420)이 움직이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마스크팩 제조 과정을 느낄 수 있도록 가시화 확보가 유용하며 속도가 빠른 FDM 델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Delta-Bot 암(420)은 분사 전 스탠바이(Standby) 상태에서는 Z축으로 하강하고, 제조 상태(Working)에는 X, Y축으로 운전하면서, 노즐(4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형 분사부(400)는 가시화가 뛰어난 FDM 델타방식을 우선하며, 마스크팩 제작 시 Delta-Bot 암(420)의 운전에 따라 노즐(410)이 하강하여 제형 고형화부(500)의 토출판(510) 표면에 하이드로겔을 디스펜싱한다. 또한, 하이드로겔의 디스펜싱 완료 후에는 Delta-Bot 암(420)의 운전에 따라 노즐(410)이 다시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노즐(410)의 온도를 60도 내지 75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토출판(510) 표면 중 제형이 토출될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노즐(400)을 복수의 영역들 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해당 영역에 필요한 성분의 재료들을 토출하고, 다음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성분의 재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캡슐 내 성분을 조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복수의 캡슐 중 어느 하나의 캡슐 내 재료를 일정양 토출한 후에, 다른 성분을 수용하고 있는 다음 캡슐의 재료를 일정양 토출할 수 있다.
제형 고형화부(500)는, 상기 제형 분사부(400)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적층되는 토출판(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전면 하단부, 즉 제형 고형화부(500)는 마스크팩 박리가 용이하도록 개폐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토출, 적층되어 마스크팩이 만들어지는 토출판(510)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형 고형화부(500)는, 상기 제형 분사부(400)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하는 히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형 흐름성이 높지 않고, 상온에서 하이드로겔 고형화(Gelation) 가능할 경우에는 하단 제형 고형화부(500) 내 히팅 또는 냉각 소자를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변온성이 높고, 품질 변동성도 높다는 문제가 있다.
빠른 제조를 위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제형 고형화부(500)에 냉각 소자를 배치하여 제형을 급속 냉각 및 경화시키는 것은 선토출 제형과 후토출 제형 사이에 이형(떨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형 고형화부(500)는, 히팅 소자를 이용하여 50도 ~ 100도 내 설정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소정 시간 제형 액상 물성 유지하고, 이를 통해 계면 이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히팅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는 냉각 소자를 켰을 때보다 열을 빼앗기는 속도가 느리므로, 기 고형화된 윤곽 제형에 대해 열 전이(heat transfer)가 가능하여 접합면을 녹이고 계면 이형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침투하여 들어갔을 때 흐름성이 유지되어 빈 공간을 파고 들어가므로, 계면 사이 빈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형 고형화부(500)는 히팅 소자와 냉각 소자를 구비하여 히팅과 냉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60)는 상술한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16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및/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다른 전자기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피부 측정 장치(50),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주변에, 상기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50)는 상기 감지된 전자기기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다른 전자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마스크팩 제조 과정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등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 중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 이동시킬 하이드로겔 제형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50)는, 원료로 투입되는 다양한 제형 성분 중 마스크팩 1회의 제조에 사용할 성분의 종류 및 그 배합 농도를 설정하고, 설정에 따라 마스크팩이 제조되도록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의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 중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 이동시킬 하이드로겔 제형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60)로부터 입력되는 피부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그래픽 이미지에 기초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도록,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등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는 열선 타입 등의 열원을 포함하는 히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관리를 위해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중 적어도 일부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각 유닛에 포함되는 히팅부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입력부(110), 메모리(140), 출력부(170), 전원 공급부(1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하며, 이를 위해, 조작 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버튼에 의한, 전원 온/오프 신호, 시작 버튼에 의한 시작 신호, 일시 중지 버튼에 의한 일시 중지 신호 등을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오픈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통신부(1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에 투입해야 하는 캡슐 정보, 상기 캡슐 투입부(200)에 투입된 캡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미지 및/또는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유닛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투입되는 캡슐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 상이한 성분의 하이드로겔 제형이 복수의 캡슐(capsule)에 수용되어 투입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카트리지(cartridge)에 수용되어 투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70회분, 28회분 등의 대용량 카트리지(810), 70회분, 28회분 등의 성분별 대용량 카트리지(8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 카트리지(810, 820)는 물리적 교체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맞춤 케어 경험에 부정적이고, 카트리지 간 교체 시기가 상이하거나 카트리지 보관 및 위생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7회분의 위클리(Weekly) 카트리지(83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1회분 캡슐(840) 또는 7회분의 위클리(Weekly) 캡슐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 성분 가시성이 높고 사용자에게 전문 맞춤 케어 경험 제공에 유리하다.
한편, 매장 또는 가정에서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모두 고려하면 위클리(Weekly) 카트리지/캡슐 타입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클리(Weekly) 카트리지/캡슐 타입은, 캡슐 투입 경험(직접 제조 경험), 맞춤 케어 경험 등 감성 품질 강조, 만든 순간부터 유효기간 시작되므로 위생성 강조에 유리하다. 또한, 1부위 2성분 커스터마이즈(customize) 적용. 피부 재생 주기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캡슐 카테고리는 5개 또는 6개를 기본으로 하여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형 성분은 한국 기준 수분, 탄력, 영양, 미백, 트러블 진정 등 5가지를 기본으로 할 수 있고, 5개의 캡슐 카테고리가 존재하며 선호에 따라 5개 카테고리 내에서 확장 가능하다.
7회분 용 캡슐(Weekly Capsule) 성분 구성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구성 : 약 74g
- 정제수 56g
- 카라기난 파우더 7g
- 글리세린 2.1g
- 피부미용 기능물질 9.1g
카라기난 파우더는 물에 용해가능한 겔화 고분자의 일 예로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함량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원하는 점도를 얻지 못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너무 고점도가 되거나, 물에 다 녹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글리세린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피부에 밀착되고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물질 중 하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마다 한 성분에 대응할 수 있고, 그 성분은 다양하게 조합 가능하다. 또한, 조합 성분별로 색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캡슐', '카트리지'와 같은 하이드로겔 수용 부재의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피부 상태 측정 후, 매장의 직원은 측정 결과에 맞는 1회분 또는 7회분 캡슐 5개 또는 6개를 고객에게 확인시키며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 투입할 수 있다.
고객 피부 상태 및 선호에 따라 다양한 캡슐 라인업 중 선택 가능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총 5개 또는 6개의 캡슐을 투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함으로써, 제조 피드백이 강화될 수 있다.
캡슐들은 별도의 투입 순서 없이 안착구조 모양에 맞게 투입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적/물리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캡슐 투입구에 캡슐을 투입하면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출력부(170)는 캡슐의 안착 여부 상태를 시각적/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투입 캡슐 인지하여 진단 결과와 실 투입 캡슐 불일치 시 음성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9와 같이 출력부(170)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91)에 캡슐 안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직원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입력부(110)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캡슐 내 각 성분 제형이 히팅 및 푸쉬 구조에 의해 액상화되어 유로(310)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버튼을 누르면, 캡슐 투입부(200)의 캡슐 투입 안착 구조 하부에 열선 방식 히터를 구동하여 20초 이내 70℃ ~ 75℃로 캡슐 하부를 히팅할 수 있고, 캡슐 내 제형 성분을 액상화하여 레디(Ready)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각 제형은 유로 조절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되어 레디(Ready)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70)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91)에는 남은 시간, 현재 진행 상태(제조부위) 등 제조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캡슐 내 제형 액상화 후, 푸쉬(push) 구조 또는 피스톤 활용해 고압 가압하여 각 유로(310)로 제형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유로(310)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고, 각 유로(310)를 따라 제형이 유로(300) 내 공압 제어에 의해 노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액상 제형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각 유로(310)에는 접촉형 열선(320) 방식 히팅부를 적용하여 68℃ 근처를 유지함으로써 제형 액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로(310) 내 이동 알고리즘에 따라 공압 제어하여 제형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히팅 온도 및 펌프 압력을 동적 제어하여 각 성분을 레디(ready)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토출 순서에 따라 토출 제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제형에 대해 유로(310) 내 레디(Ready)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노즐(410)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도 11a는 노즐(410)의 전면도(Front view), 도 11b는 노즐(410)의 상면도(Top view), 도 11c는 노즐(410)의 저면도(Bottom view)를 예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다노즐 구조 활용하여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노즐(410)은, 복수의 유로(3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입구(411) 및 분사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순서에 따라 유로 알고리즘으로 동적 제어하여 노즐(410)을 통해 해당 부위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T존(1201) → 눈가(1202) → 팔자(1203) → 입가(1204) → U존(1205) 순서로 제형이 토출될 수 있다. 즉, 부위별 제형 토출은 상하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피부 상태 측정에 따른 우선 1순위 솔루션에 대응하는 1부위 1성분 토출 방식 또는,피부 상태 측정에 따른 우선 1,2순위 솔루션에 대응하는 1부위 2성분 토출 방식 또는,피부 상태 측정에 따른 부위별 완전 맞춤화를 위해 1부위 다 제형 토출 방식에 따라 제형을 토출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T존(1201), 눈가(1202), 팔자(1203), 입가(1204), U존(1205) 각 부위 토출 전 윤곽선 토출이 있을 경우, 윤곽선 형성 후 부위 내부 영역을 토출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토출판(510)의 열선 히팅 소자를 통해 기 토출된 제형의 액상을 유지함으로써, 선/후 토출 제형 간 계면 이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2와 같이 T존(1201), 눈가(1202), 팔자(1203), 입가(1204), U존(1205)의 토출이 완료되면 상단 좌우로 손잡이 모양을 추가로 프린팅하여 박리 용이성을 확보하고, 손이 마스크팩이 5부위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하이드로겔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하이드로겔 중 카라기난(Carrageenan)과 같은 검(Gum) 류는 도 13과 같이 Helix formation을 이루면서 고형화(Gelation) 되는데, 하이드로겔 고형화(Gelation) 조건은 1) 높은 하이드로겔 농도, 2) 낮은 온도, 3) K+ 등의 높은 Cation 농도 3가지 조건이다.
Helix-Helix intra-aggregation이 기 진행된 제형과 새로 토출되는 제형 사이에는 계면 이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본 발명은 제형 고형화부(500)의 히팅부를 통하여, 토출면에 중고온의 온도를 유지하고, 제형 액상화를 지속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토출 제형의 고형화를 방지하고 선토출 제형과 후토출 제형 사이의 inter-aggreagtion을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4는 온도와 이수 현상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 15는 온도에 따른 제형 물성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도 14는 하이드로겔 제형의 온도 4도(1410), 25도(1420), 35도(1430), 50도(1440) 별로 시간 경과에 따른 무게감소율을 분율로 하여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통적으로 약 50도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이수현상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온 기준, 2~3분 이상은 경과되어야 이수현상 가시화가 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4도 이하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겔 성분이 성분, 보습제 워터를 머금고 있어 이수 현상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또한,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겔 자체가 얼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4도 내지 3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현재 업체 제조공정에서 고형화시키는 온도이다. 냉각 챔버 온도를 -3도 내지 0도로 설정하면 내부에서 약 0도 내지 3도 온도 대에서 급속 고형화(Gelation)가 진행될 수 있다.
5도 내지 15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2 내지 3분 방치 시 이수현상 가시화가 가능하다.
상온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이수현상이 있는데, 이는 별도 에센스 분사 없이 하이드로겔 팩을 사용할 때 촉촉하게 젖어있는 이유이다.
55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액상 상태로, 55도 이상 온도에서 고형 겔(gel)이 액상 겔(gel)이 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액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55도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유닛에 히팅부를 구비하여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한다.
한편, 70도 내지 75도는, 현재 업체 제조공정에서 액상화시키는 온도로, 70도 기준 겔 점성은 5000~7000 CPs이다.
80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액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성은 낮아져 흐름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흐름성이 과다하면 냉각 제어가 어려울 수 있고, 겔 내 수분증발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14와 도 15에서 예시된 수치는 제형의 종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예시된 온도 수치 등도 제형의 종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기기, 예를 들어, 상술한 피부 측정 장치(50)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610).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로 투입될 수 있다(S1620).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또는 매장의 직원이 적절한 맞춤형 성분의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로 투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투입된 다수의 캡슐 중에서 적절한 맞춤형 성분의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의 열원이 구동되면서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게 된다(S1630).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heating)하여 액상화하여 유로(310)로 이동되고, 상기 유로(310)를 히팅하여 액상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을 상기 유로(3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즐(410)로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은 소정 순서에 따라 토출될 수 있다(S1640).
실시 예에 따라서는,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하이드로겔 제형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여 마스크팩을 완성할 수 있다(S1650).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팩 및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마스크팩(1910)에는 부착형 미세전류 패드로 구현되는 안티에이징 키트(1720) 등이 추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흡수 촉진 및 콜라겐 재생 효과를 가지는 안티에이징 키트(1720)의 추가 부착으로 피부 속까지 집중 관리하고 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온도 감응형 제형을 이용하여, 피부 접촉 시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팩, pH 감응형 제형을 이용하여, 피부 접촉 시 두께가 변하는 마스크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케이스 일부에는, 제조된 마스크팩(1800)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토출판(510) 자체를 개구부(515)를 통하여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마스크팩(1800)의 박리 및 부착 용이성 증대시킬 수 있고, 청소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케이스 일부에는, 제조된 마스크팩(1800)을 꺼내기 위한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제조 완료 후 입력부(110)의 오픈 버튼을 누르면, 개폐구조가 열리고 앞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토출판(510) 자체가 분리되어 마스크팩(1800)의 박리 및 부착 용이성 증대시킬 수 있고, 청소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원료로 이용하는 하이드로겔 제형 물성을 고려할 때, 제형 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factor)는 온도이다.
또한, 하이드로겔 제형 특성 상 토출 제어에 있어, 고온으로 액상화, 압력으로 토출 등 온도과 압력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온도에 의해 흐름성을 부여하여 제형 자체 자유낙하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마스크팩의 빠른 제조와 품질 특성 관리를 위하여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정밀한 추가 압력 제어가 필요하다.
한편, 토출 순서의 명확한 구분을 위해 캡슐 별 분사를 채택할 경우, 총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1부위 다성분 커스터마이즈(customize)가 힘들다.
따라서, 캡슐 별 분사가 아닌 여러 캡슐 내 제형이 유로로 이동되어 위치한 후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로 내에 제형들을 이동시켜 레디(ready)시키고, 하나 이상의 제형을 토출 하는 것은, 제조 시간이 단축되고, 다성분 커스터마이즈(customize)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반드시 대기해야만 하는 토출 비순서의 제형이 존재하고 이를 적절히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열 관리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제형의 이동을 동적으로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서 유로 내 압력을 더 정밀하게 제어 필요가 있다.
특히, 흐름성이 높은 제형을 제어함에 있어서 중력 반대 방향의 압력(음(-)의 압력) 및 압력 세기의 조절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기기 내 열 및 제형 상태, 제형 이동을 관리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특별한 설명이 없더라도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열 관리 구조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 센서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210a, 210b, 210c, 210d, 210e)이 투입되는 투입구(220), 상기 투입된 복수의 캡슐(210a, 210b, 210c, 210d, 210e)이 안착되는 캡슐 체결부(240), 상기 복수의 캡슐(210a, 210b, 210c, 210d, 210e) 하부를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 예를 들어, 캡슐부 열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캡슐 투입부(200) 및 상기 복수의 캡슐(210a, 210b, 210c, 210d, 210e)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와 상기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를 히팅하는 히팅부, 예를 들어, 유로 열선(320), 상기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로 센서(2010, 2020, 2030), 공압을 활용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 내 유량 및 흐름을 조절하는 공압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체결부(240)는 제형 전달부(300)의 유로(310)에 연결되어 안착된 캡슐(210a, 210b, 210c, 210d, 210e)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유로(31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캡슐 투입부(200)의 캡슐부 열선은 제형을 액상화하고, 70도 내지 75도의 고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로 열선(320)은 제형의 액상을 유지하면서 전달하고, 68도 내지 70도의 중고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캡슐부 열선의 구동에 의해 액상화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제형 전달부(300)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로 이동시키는 가압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30)는 압전소자 등 푸쉬(Push) 구조를 활용하여 제형의 유로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서는 캡슐 체결부(240), 가압부(230), 유로 열선(320) 등을 임의의 캡슐(210e), 유로(310e) 경로에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캡슐 체결부(240), 가압부(230), 유로 열선(320) 등은 다른 나머지 캡슐과 유로에 대응해서 동일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이동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노즐(410)과 상기 노즐(410)을 히팅하는 히팅부, 예를 들어, 노즐 열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제형 분사부(400)와 상기 제형 분사부(400)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적층되는 토출판(510)과 상기 토출판(510)을 히팅하는 히팅부, 예를 들어, 토출판 열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제형 고형화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 분사부(400)의 노즐 열선은 75도 내지 80도의 고온을 유지하여 제형을 원할히 토출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형 고형화부(500)의 토출판 열선은 소정 시간 68도 내지 70도의 중고온을 유지함으로써, 선토출된 제형과 후토출되는 제형 사이의 계면 이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마스크팩 제조 과정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등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50)는, 원료로 투입되는 다양한 제형 성분 중 마스크팩 1회의 제조에 사용할 성분의 종류 및 그 배합 농도를 설정하고, 설정에 따라 마스크팩이 제조되도록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의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 중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 이동시킬 하이드로겔 제형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관리를 위해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각 유닛에 포함되는 열원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를 히팅하는 각 히팅부로 열선 타입 등의 열원을 이용한다.
열선 타입 히팅 장치(Electric Heater)는, 비교적 낮은 온도의 열원에 많이 쓰는 방식으로, 겔 제형 특성상, 100도 이하의 온도에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한데, 목적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수 초 이내로 짧은 편이고, 인장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선 타입 히팅 장치(Electric Heater)는, 여러 폼-팩터(Form-factor)로 만들 수 있으며, 실리콘 열선 이용시, 내열성 및 내구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선 타입 히팅 장치(Electric Heater)는, 별도 모듈 없이 전압만 연결되면 발열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압이 높을수록 목적 온도의 도달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는 열선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추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각 유닛의 열선으로 서미스터를 포함하는 테프론(PTFE) 열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테프론(PTFE) 열선은, 테프론이 코팅된 표면 위에는 거의 모든 물질이 달라붙지 않는 비점착성(Non-sticking), -260도에서 +260도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단시간 사용의 경우 300도에서도 견디는 내열성(Heat resistance), 테프론 코팅 표면에는 물이나 기름이 잘 묻지 않아 관리가 용이한 비유성(Non-wetting), 고체 중에서 가장 작은 마찰 계수를 나타내는 저마찰계수(Low coefficient of friction), 화학제품에 안정성을 보여주고, 약품이 침투되지 않는 내약품성(Chemical resistance), 광역의 주파수 내에서도 낮은 유전율 등 매우 높은 전기적 특성(Unique electrical properties)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캡슐부 열선, 상기 유로 열선, 상기 노즐 열선, 상기 토출판 열선을 제어하여 마스크팩 제조 과정에서 열 및 제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온도를 70도 내지 75도로 유지시켜 제형을 액상화하여 흐름성을 부여하고 대기하도록 캡슐부 열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유로(310)의 온도를 68도 내지 70도로 유지시켜 제형의 액상 상태 및 흐름성을 유지하고 전달되도록 유로 열선(3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노즐(410)의 온도를 75도 내지 80도로 유지시켜 제형의 액상 상태를 유지하고, 흐름성을 높혀, 제형이 원활히 토출되도록 노즐 열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토출판(510)의 온도를 68도 내지 70도로 유지시켜 계면 이형을 방지하도록 토출판 열선을 제어할 수 있다.
제형의 위치 및 흐름을 감지하는 복수의 유로 센서(2010, 2020, 2030)는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들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 센서(2010, 2020, 2030)는, 유로(310) 내부 중 상기 캡슐 투입부(200) 측 입구에 배치되는 제1 센서(2010), 상기 유로(310) 내부 중 상기 제형 분사부(400) 측 출구에 배치되는 제3 센서(2030), 상기 제1 센서(2010)와 상기 제3 센서(203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센서(20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3개의 유로 센서(2010, 2020, 2030)로 제형 이동을 감지한다. 유로 센서(2010, 2020, 2030)는 미세 전류 감지, 누수 센서, 압력 감지 센서, 압전소자 등을 활용하여 제형의 위치, 제형 흐름 속도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소정 센서의 길이(감지 범위)를 길게 하여 감지 커버 범위를 늘리고, 제형 흐름 속도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2010)는 각 캡슐에서 유로(310)로의 제형 토출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로, 상기 제1 센서(2010)에서 제형이 감지되면 공압 프로세스 작동을 레디(ready)할 수 있다.
제3 센서(2030)는 유로(310)에서 노즐(410)로의 제형 토출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로, 상기 제3 센서(2030)에서 제형이 지속 감지되면 토출 직전 상태에서 제형 토출 과정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센서(2020)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센서(2020a)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센서(202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2020)는 2개의 센서 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1과 같이, 제2 센서(202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부 센서(2020a)와 하부 센서(2020b)로 구성되거나,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센서 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센서(2020)는 제형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형의 이동을 감지하는 핵심 센서이다. 상기 제2 센서(2020)에서의 감지 결과의 차이에 따라 공압 조절부는 중력 방향의 양(+)의 공압(또는 양압), 중력 반대 방향의 음(-)의 공압(또는 음압)을 작동, 공급하게 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센서 번들(2020) 내부에는 독립된 센서(2020a, 2020b)가 2개 이상 존재하며, 번들(2020) 내 센서(2020a, 2020b) 간 인터렉션 통해 제형 흐름 방향성과 흐름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20a, 2020b)에서의 제형 감지 순서를 통해 흐름 방향성을 확인하고, 감지 시간을 통해 흐름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흐름성 높은 제형의 경우, 제2 센서(2020)를 지나쳐 제3 센서2030)로 직행할 가능성이 있어, 강력한 음압으로 토출을 방지하더도 토출 제어가 불가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센서(2020)를 독립된 센서들(2020a, 2020b)의 번들로 구성해 민감도와 커버 범위를 향상시킴은 물론, 제형 이동 속도와 이동 방향을 파악하여 보다 빠르게 흐름성 높은 제형에 대한 토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정밀 제어를 위해 여러 공압 모드를 반복 작동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한편, 토출 프로세스(Process)를 유로(310) 내 제형의 이동 및 감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캡슐에서 유로로 이동, 상기 제2 센서(2020) 근처 등 유로(310) 내 소정 위치에서 제형 홀딩(holding), 토출 순서가 되면 제형이 유로(310)에서 모두 토출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유로 센서(2010, 2020, 2030)에서 모두 제형이 감지되지 않는 제형이 아직 유로(310)로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서, 제형이 유로(310)에 이동된 직후에는 제1 센서(2010)에서만 제형이 감지된다. 이 때, 공압 조절부는 공압 프로세스를 레디(ready)할 수 있다.
이후, 제형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 센서(2010)와 제2 센서(2020)에서 제형이 감지되고, 공압 조절부는 상기 제2 센서(2020) 근처 등 유로(310) 내 소정 위치에서 제형이 홀딩되도록 적절한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형이 토출될 순서에 해당하면, 토출을 위한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해당 유로에서는 제형이 노즐(410) 측 출구에 배치된 제3 센서(203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토출 순서 및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센서(2010)와 제2 센서(2020)에서도 제형이 감지될 수도 있다. 제형이 토출됨에 따라 제1 센서(2010), 제2 센서(2020), 제3 센서(2030) 순서로 제형이 감지되지 않게 될 수 있다.
토출이 완료되면, 제형이 모두 유로(310)를 빠져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유로 센서(2010, 2020, 2030)에서 모두 제형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유로 센서(2010, 2020, 2030)에서 센싱되는 제형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유로(310)에 적절한 공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압 조절부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각 유로 내에 공압을 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압 구분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5단위의 기본 공압 구분 정의를 표로 정의한 것이다.
상기 공압 구분은 각각 공압 조절부가 동작하는 공압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2에서는 5단위의 공압 구분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7단위 11단위 등으로 공압을 구분하고 공압 조절부의 공압 모드를 제어함으로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22를 참조하면, 중력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압은 양압(또는 양(+)의 압)으로 정의하고, 중력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압을 음압(또는 음(-)의 압)으로 정의한다.
제1 모드는 중력 방향으로 제2 세기의 공압 세기를 가지는 양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세기의 공압 세기는 제형 최소 흐름성 제어 가능 세기로 정지 상태 또는 이에 가까운 상태의 제형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번 공압으로 작동한다는 것은 공압 조절부가 제N 모드로 동작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의 공압 세기를 가지는 양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세기의 공압 세기는 상기 제2 세기의 공압 세기 대비 50%의 세기로, 기본 양압 세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모드는 공압 조절부가 공압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제4 모드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의 공압 세기를 가지는 음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세기의 공압 세기는 제형 평균 흐름성 홀딩 가능 세기로 통상적인 평균 수준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제형을 홀딩시킬 수 있는 세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제5 모드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의 공압 세기를 가지는 음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세기의 공압 세기는 제형 최대 흐름성 홀딩 가능 세기로 상기 제1 단계의 음압보다 큰 세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형의 이동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어느 센서에서 제형이 감지되었느냐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토출 프로세스 중 어떠한 상태에서 제형이 감지되는지가 중요하다.
또한, 제형의 위치와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적절한 공압을 공급하여 유로 내 제형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출 프로세스와 제형 이동 알고리즘을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입력부(110)의 시작 버튼 조작에 따라 캡슐부 열선을 구동하여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 하부를 히팅(heating)할 수 있다(S2320).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캡슐의 안착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S2310)하여 캡슐 하부의 히팅을 시작할 수 있다(S2320).
캡슐 체결부(240)에 캡슐이 안착되면 캡슐 체결부(240)의 캡슐부 열선으로 캡슐 내부의 고형화된 제형을 액상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하부의 히팅에 따라 N초 후에 캡슐 내부의 하이드로겔 제형이 액상화된다.
제형이 충분히 액상화되면 캡슐 체결부(240)의 푸쉬(Push) 구조를 가지는 가압부(230)를 활용해 액상화된 제형을 캡슐에서 유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S2330).
하이드로겔 제형이 액상화되는 N초 후에, 캡슐 투입부(200)의 가압부(230)가 상기 복수의 캡슐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액상화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유로(310)로 이동시킬 수 있다(S2330).
한편, 상기 가압부(230)의 구동에 대응하여 유로 열선(320)이 동작하며, 액상화된 제형은 자유 낙하하여 유로(310) 내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2340),
제형 토출 순서에 따라 상기 유로(310)에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S2345). 제형 전달부(300)의 유로 센서(2010, 2020, 2030)가 유로(310) 내 제형 위치를 센싱하고, 공압 조절부가 공압을 이용하여, 흐름성을 조절하여 제형의 위치 및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S2345).
프로세서(150)는 제형 토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로에 공급되는 공압을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형 토출 순서에 해당하는 제형에 대응하는 유로에서의 공압 조절부의 모드와 제형 토출 순서에 해당하지 않는 제형에 대응하는 유로에서의 공압 조절부의 모드가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제형 이동 과정 중 제형의 위치, 상태에 기초하여 공압 조절부가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제형 토출 순서에 대응하는 유로에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의 공압을 공급할 수 있고, 제형 토출 순서에 대응하지 않는 유로에는 제형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향과 세기로 공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 유로의 하이드로겔 제형들은 노즐(410) 앞에서 토출을 위한 레디(ready)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S2350). 한편, 토출 순서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은 노즐(410) 앞에서 토출을 위한 레디(ready) 상태로 대기하고, 나머지 제형은 유로(310) 내 소정 위치에서 홀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캡슐로부터 이동한 제형 중 토출 순서에 해당하는 제형의 경우에는 해당 유로(310)를 히팅하여 하이드로겔 제형의 액상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을 노즐(4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캡슐로부터 이동한 제형 중 토출 순서에 해당하지 않는 제형의 경우에는 해당 유로(310)를 히팅하여 하이드로겔 제형의 액상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해당 유로(310) 내 소정 위치에서 하이드로겔 제형을 홀딩(holding)할 수 있다.
유로(310) 내로 이동한 액상 제형은 중고온의 유로 열선에 의해 액상화를 지속 유지할 수 있다.
만약 토출 순서일 경우, 공압 조절부를 통해 노즐(410)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공압 조절부를 유로(310) 내 적당한 위치에서 액상 상태로 홀딩(Holding)될 수 있다.
공압을 이용한 유로 내 제형 이동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노즐(410)은 상기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판(510)으로 토출하고, 토출판(510)에 적층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여 마스크팩을 완성할 수 있.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토출판(510) 표면 중 제형이 토출될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노즐(400)을 복수의 영역들 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해당 영역에 필요한 성분의 재료들을 토출하고, 다음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성분의 재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캡슐 내 성분을 조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복수의 캡슐 중 어느 하나의 캡슐 내 재료를 일정양 토출한 후에, 다른 성분을 수용하고 있는 다음 캡슐의 재료를 일정양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3을 참조하면, 복수의 하이드로겔 제형 중 토출 순서에 부합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판별하여(S2360), 노즐 열선 및/또는 공압 조절부의 구동에 따라 토출 순서에 대응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판(510)으로 토출할 수 있다(S2370).
토출 순서의 제형은 노즐(410)에 가깝게 이동하여 고온 노즐 열선에 의해 제형 흐름성이 높아져 토출판(510) 위로 토출될 수 있다(S2370).
해당 제형의 토출이 완료되면(S2380), 다음 순서의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S2390).
한편, 계면 이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된 제형들은 토출판 열선에 의해 제형 흐름성 유지되어 냉각 전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 내 제형 이동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50)는, 피부 측정 장치(50)로부터 수신하는 피부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피부 상태 측정 솔루션 결과와 부위 토출 순서에 기초하여 캡슐 제형의 토출 순서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존, 눈가, 팔자, 입가, U존 1~5번 부위 중 1번 부위의 피부 상태 측정 기반 솔루션 결과가 A~E번 솔루션 캡슐 중 해당 솔루션이 A번 솔루션 캡슐이고, 2번 부위의 피부 상태 측정 기반 솔루션 결과가 A~E번 솔루션 캡슐 중 해당 솔루션이 B번 솔루션 캡슐이고, 1~5번 부위 중에서 1번 부위 제형 토출이 가장 먼저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프로세서(150)는 A번 솔루션 캡슐이 투입된 캡슐 투입구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솔루션 A번 제형이 1번 부위에 가장 먼저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A번, B번 등 제형이 토출 순서일 경우, 양(+) 공압을 이용해 토출판(510)으로 토출시키고, 제형이 토출 순서가 아닐 경우, 음(-) 공압을 이용해 토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2020) 번들(2020a, 2020b)의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5단위 공압 세기를 활용하여 토출 순서/비순서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캡슐 투입부(200)에 포함되는 푸쉬(Push) 구조 및 자유낙하에 의해 캡슐 내 제형이 유로(310)로 밀려 들어와 공압 프로세스 작동 레디(Ready)되면, 크게 다음과 같은 세가지 기본 케이스(case)가 존재할 수 있다.
케이스 1: 제형 점성이 매우 높아 제2 센서(2020)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즉, 제1 센서(2010)만 제형을 감지하고, 제2 센서(2020)는 제형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케이스 2: 보통 정도 점성의 제형이 제2 센서(2020) 근처에서 지속 홀딩되는 경우, 즉, 제2 센서(2020)에서는 제형 감지 유지(keep holding), 제3 센서(2030)는 제형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케이스 3: 점성 낮은(흐름성 높은) 제형이 제2 센서(2020)를 지나 빠르게 제3 센서(2030)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도 24는 상기 케이스 2, 케이스 3에 해당하는 경우 제형 이동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으로, 해당 제형이 토출 순서에 해당하지 않거나, 해당 제형이 레디(ready) 상태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캡슐 투입부(200)에 포함되는 푸쉬(Push) 구조 및 자유낙하에 의해 캡슐 내 제형이 유로(310)로 이동하면, 제1 센서(2010)에서 제형 감지 후 제2 센서(2020)에서 제형이 감지된다(S2410).
이 경우에, 보통 정도 점성의 제형이 제2 센서(2020) 근처에서 지속 홀딩되어 제2 센서(2020)에서는 제형 감지가 유지되고, 제3 센서(2030)는 제형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케이스 2)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2에서 제2 센서(2020)에서 제형 홀딩이 감지, 유지되는 경우(S2420), 공압 조절부는 제3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S2421). 상기 제3 모드는 공압을 공급하지 않는 모드이다.
즉, 상기 제1 센서(2010)와 상기 제2 센서(2020)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고, 상기 제3 센서(2030)에서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센서(202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홀딩(holding)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310)에 공압을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점성 낮은(흐름성 높은) 제형이 제2 센서(2020)를 지나 빠르게 제3 센서(2030)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케이스 3)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3에서 제2 센서(2020)에서 제형 하강이 감지되는 경우(S2430), 토출 순서가 되지 않은 제형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압 조절부는 제4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S2431). 상기 제4 모드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기본 음압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즉, 상기 제1 센서(2010), 상기 제2 센서(2020), 상기 제3 센서(2030)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고, 상기 제2 센서(2020)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하강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310)에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공압 조절부는 제2 센서(2020)에서 감지되는 제형의 이동 여부 및 방향에 기초하여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센서(2020)에 제형의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에(S2441), 공압 조절부는 제2 모드와 제4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S2451).
즉,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S2431) 후에, 상기 제2 센서(2020)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310)에 상기 제1 세기의 공압을 중력 방향과 중력 반대 방향으로 반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형의 상승을 멈추고 그 자리에서 제형을 홀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센서(2020)에 제형 홀딩이 감지되는 경우에(S2442), 공압 조절부는 제4 모드를 작동, 상기 제4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2452).
즉,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S2431) 후에, 상기 제2 센서(202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홀딩(holding)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자리에서 제형을 홀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센서(2020)에 제형의 하강이 감지되는 경우에(S2443), 공압 조절부는 제5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S2453).
즉,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S2431) 후에, 상기 제2 센서(2020)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하강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세기보다 더 강한 제2 세기의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소한 제형의 하강을 멈추거나 제형을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센서(2020)에 제형의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에(S2461), 공압 조절부는 제2 모드와 제5 모드를 반복하여 작동할 수 있다(S2471).
즉,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S2453) 후에, 상기 제2 센서(2020)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과 상기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을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형의 상승을 멈추고, 그 위치에 제형을 홀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2020)에 제형 홀딩이 감지되는 경우에(S2462), 공압 조절부는 제5 모드로 작동, 유지할 수 있다(S2472).
즉,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S2453) 후에, 상기 제2 센서(202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홀딩(holding)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5는 상기 케이스 1에 해당하는 경우 제형 이동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으로, 해당 제형이 토출 순서에 해당하지 않거나, 해당 제형이 레디(ready) 상태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캡슐 투입부(200)에 포함되는 푸쉬(Push) 구조 및 자유낙하에 의해 캡슐 내 제형이 유로(310)로 이동하면, 제1 센서(2010)에서 제형 감지 후 제2 센서(2020)에서 제형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S2510).
이 경우에, 공압 조절부는 제2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S2520).
즉, 상기 제1 센서(2010)에서만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고, 상기 제2 센서(2020)와 상기 제3 센서(2030)에서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310)에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S2520).
이에 따라, 제형 점성이 매우 높아 제2 센서(2020)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제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형이 이동하여 제2 센서(2020)에서 감지되는 경우(S2531),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홀딩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S2541)
만약, 상기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S2520)에도 불구하고, 제2 센서(2020)에서 제형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S2532), 공압 조절부는 공압을 더 높혀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2542).
즉, 상기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S2520) 후에도 상기 제2 센서(2020)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310)에 중력 방향으로 상기 제1 세기보다 더 강한 제2 세기의 공압을 공급함으로써, 제형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6은 도 24와 도 25에 표시한 A 내지 G 상태의 흐름성 및 필요 공압을 예시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성분 차이 및 기타 통제 불가한 요소에 의해 같은 성분일지라도 제형 흐름성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그에 대응하는 공압 세기를 설정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다.
도 27은 토출 순서에 해당하는 제형의 이동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술한 홀딩 알고리즘에 따라 제형은 제2 센서(2020) 근처에서 홀딩, 대기할 수 있다(S2710).
이후, 토출 순서가 되면 제1 모드로 공압 조절부가 동작하여 토출 프로세스를 토출 종료 시퀀스(sequence)까지 차례대로 진행할 수 있다(S2720).
제1 내지 제3 센서(2010, 2020, 2030)에서 모도 제형이 감지되지 않아 제형이 유로(310)에서 모두 토출되었음을 확인하면(S2730), 공압 조절부는 공압 공급을 멈출 수 있다(S2740).
또한, 필요시 다음 순서의 타 제형을 상기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토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압 조절부는 제형 토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로에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제형 토출 순서에 대응하는 유로에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의 공압을 공급함으로써, 빠른 제형 토출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공압에 일정 성분량 토출이 보장되는 안정성을 갖춘 조건에선, 유로에 배치되는 센서 2개를 이용해 시작점과 끝점만을 확인하거나 센서 1개로 제형의 유무만 판단하여도 제형 이동 조절은 가능하다.
그러나 제형 이동 조절 품질 향상 측면 및 에러(ex) 막힘 등)에 대한 감지 민감도 측면에서는 3개 이상의 센서를 갖추어 유로를 모두 커버(cover)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시작점, 끝점, 작용여부 판단에 대응하여 3개의 센서를 배치하여 효율적으로 제형의 이동을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캡슐에 수용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은, 그 성분 차이)에 의한 겔 제형 점성 차이, 토출 목적(ex) 윤곽선용, 소정 부위용)별 겔 제형 점성 차이 등에 따라 제형별 실제 흐름성이 다를 가능성이 존재하고, 겔 제형 상온 보관 온도 변화, 캡슐 불량에 따른 온도 전달 장애 등 다양한 이유에서 같은 제형(성분)일지라도 흐름성 일부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캡슐 투입구(200)의 푸쉬(Push) 구조에 의한 힘과 자유낙하에 의해 부여된 흐름성에 따라 제형 이동의 자유도가 높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형 흐름성 조절 측면에서 공기압을 활용한 양/음압의 방향성과 압력 세기 변화를 이용하여 제형 이동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캡슐 내 각 제형이 대응하는 각 유로로 이동될 경우, 토출 순서가 아닌 제형이 반드시 존재하고 이를 적절한 위치에서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형을 제형을 유로(310) 내 소정 위치, 예를 들어, 2번 센서(2020) 근처에 레디(ready)시킬 수 있다. 상기 2번 센서(2020)가 배치되는 영역은 제형 흐름성과 공압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제형 점성(흐름성)을 지속 확인하여, 토출 순서에 맞게 제형 토출을 제어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흘러내림 등의 에러 없이 총 제조시간 최소화를 가능케 하며, 제조 시 용량에 맞게 제형을 섞어 토출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성분을 혼합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매장 또는 집에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른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기기 내 열 및 제형 상태, 제형 이동을 관리할 수 있고, 더욱 빠른 속도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1.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 및,
    상기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투입부는,
    상기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된 복수의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 체결부, 상기 복수의 캡슐 하부를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 중 상기 제형 전달부로 이동시킬 하이드로겔 제형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고형화부는,
    상기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적층되는 토출판과
    상기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투입부에 투입해야 하는 캡슐 정보, 상기 캡슐 투입부에 투입된 캡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의 불투명한 영역과 하부의 투명한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캡슐 투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형 고형화부는, 상기 케이스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형 전달부와 상기 제형 분사부는,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를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 상기 복수의 유로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로 센서와 상기 복수의 유로 내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센서는, 상기 유로 내부 중 상기 캡슐 투입부 측 입구에 배치되는 제1 센서, 상기 유로 내부 중 상기 제형 분사부 측 출구에 배치되는 제3 센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3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센서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에서만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고, 상기 제2 센서와 상기 제3 센서에서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에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 후에도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에 중력 방향으로 상기 제1 세기보다 더 강한 제2 세기의 공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고, 상기 제3 센서에서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센서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홀딩(holding)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에 공압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상기 제3 센서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감지되고,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하강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에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 후에,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유로에 상기 제1 세기의 공압을 중력 방향과 중력 반대 방향으로 반복하여 공급하고,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 후에, 상기 제2 센서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홀딩(holding)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 공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 후에,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하강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세기보다 더 강한 제2 세기의 공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 후에,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과 상기 중력 방향으로 제1 세기를 가지는 공압을 반복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 후에, 상기 제2 센서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홀딩(holding)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조절부는 상기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제2 세기를 가지는 공압의 공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PCT/KR2017/010412 2016-09-22 2017-09-21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WO20180567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62,745 US11172750B2 (en) 2016-09-22 2017-09-21 Hydrogel discharge device
CN201780071919.1A CN109982826B (zh) 2016-09-22 2017-09-21 水凝胶吐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40A KR102478282B1 (ko) 2016-09-22 2016-09-22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60121739A KR102527357B1 (ko) 2016-09-22 2016-09-22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6-0121739 2016-09-22
KR10-2016-0121740 2016-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722A1 true WO2018056722A1 (ko) 2018-03-29

Family

ID=6168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412 WO2018056722A1 (ko) 2016-09-22 2017-09-21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72750B2 (ko)
CN (1) CN109982826B (ko)
WO (1) WO20180567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4339A1 (en) * 2018-10-19 2021-11-18 Amorepacific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kin care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514B1 (ko) * 2017-09-25 2018-09-28 (주)아모레퍼시픽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 미용 팩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L3897817T3 (pl) 2018-12-20 2024-03-11 I-Lumen Scientific, Inc. System do stymulacyjnej terapii mikroprądowej
WO2020242274A1 (en) * 2019-05-31 2020-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kin-car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3160616A1 (en) * 2022-02-25 2023-08-31 Basf Se A hydrogel composition for preparing customized mask pack
FR3141352A1 (fr) * 2022-10-26 2024-05-03 L'oreal Dispositif de régulation de température pour des formules de produit décolorant et de couleur capillai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115Y1 (ko) * 2006-11-27 2009-01-1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고점도 제형의 멀티 충진장치
KR101342925B1 (ko) * 2013-03-13 2013-12-18 (주)에이엘미디어 미용 팩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7019A (ko) * 2013-02-27 2014-09-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 제조기
KR101556078B1 (ko) * 2015-03-17 2015-09-25 이지숙 피부상태 확인을 위한 휴대용단말기가 구비된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561476B1 (ko) * 2015-06-25 2015-10-20 이영도 마스크팩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960A (en) * 1997-03-19 1998-07-28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dermatological foundation products
EP1297409B1 (en) * 2000-03-31 2008-05-14 Cosmetic Technologies LLC Custom cosmetic dispensing system
US8597667B2 (en) * 2008-05-09 2013-12-03 Elc Management Llc Targeted and individualized cosmetic delivery
US8372130B2 (en) * 2009-01-23 2013-02-12 Forever Young International, Inc. Temperature controlled facial mask with area-specific treatments
US9884318B2 (en) * 2012-02-10 2018-02-06 Adam Perry Tow Multi-axis, multi-purpose robotics automation and quality adaptive additive manufacturing
JP2018505707A (ja) * 2014-12-10 2018-03-01 アモライフサイエ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美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940113A (zh) 2015-07-16 2015-09-30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3d打印面膜及其制备工艺
CN104997645B (zh) * 2015-09-01 2017-12-12 河北润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制作化妆面膜的方法
JP6655789B2 (ja) * 2016-03-08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1928401B1 (ko) * 2017-09-25 2018-12-12 (주)아모레퍼시픽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 미용 팩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96461B2 (en) * 2019-04-07 2022-07-26 Light tree Mask maker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115Y1 (ko) * 2006-11-27 2009-01-1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고점도 제형의 멀티 충진장치
KR20140107019A (ko) * 2013-02-27 2014-09-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 제조기
KR101342925B1 (ko) * 2013-03-13 2013-12-18 (주)에이엘미디어 미용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6078B1 (ko) * 2015-03-17 2015-09-25 이지숙 피부상태 확인을 위한 휴대용단말기가 구비된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561476B1 (ko) * 2015-06-25 2015-10-20 이영도 마스크팩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4339A1 (en) * 2018-10-19 2021-11-18 Amorepacific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kin care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82826B (zh) 2021-11-09
US11172750B2 (en) 2021-11-16
CN109982826A (zh) 2019-07-05
US20190350344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6722A1 (ko)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WO2018216860A1 (en) Cosmetic dispens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20231216A1 (ko) 얼굴 미용기기 및 이에 이용되는 마스크 시트
WO2012134117A2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기화 부재, 흡입 장치용 외피,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속눈썹 고데 유닛 및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휴대 전화 연결 유닛
WO2016024730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122643A1 (ko) 화장품 용기
WO2021125551A2 (ko)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WO2022050677A1 (en) Aerosol deliver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0105876A1 (en) Hair dye dispenser and system comprising thereof
WO2021020863A1 (ko) 피부 미백 마스크, 피부 미백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피부 미백 방법
WO2022139297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1182747A1 (ko) 디스펜서
WO2021225268A1 (ko) 스마트 매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EP4262460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1125570A1 (ko) 화장품 제조 장치, 방법 및 시스템
WO2022245159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3003344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WO202410181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eroso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10179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eroso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10181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eroso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10179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eroso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10181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eroso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270851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18190601A1 (ko) 흡연 부재 클리닝 디바이스 및 흡연 부재 시스템
WO202410180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eroso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4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34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