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019A - 마스크팩 제조기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019A
KR20140107019A KR1020130021485A KR20130021485A KR20140107019A KR 20140107019 A KR20140107019 A KR 20140107019A KR 1020130021485 A KR1020130021485 A KR 1020130021485A KR 20130021485 A KR20130021485 A KR 20130021485A KR 20140107019 A KR20140107019 A KR 2014010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crushing
additive
sheet
impregna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유신
김현태
박영웅
이성현
김효주
유윤혁
전승엽
최대길
한승민
딩지엔지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019A/ko
Publication of KR2014010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회전하면서 첨가물을 분쇄하는 분쇄커터(1) 및 분쇄커터(1)를 회전시키는 모터(3)를 포함하는 분쇄부(10), 내부에 분쇄커터(1)가 위치되고 첨가물이 수용되어 분쇄되며 분쇄된 첨가물이 하향으로 유출되도록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 분쇄용기(20), 시트지(5)의 상향에 배치되어 분쇄된 첨가물을 거르는 거름망(30), 상단부(41)에 오목하게 함몰된 삽입홈(43)이 형성되어 분쇄용기(20)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분쇄용기(20)로부터 유출된 첨가물이 통과되도록 삽입홈(43)의 바닥면에 관통홀(49)이 형성되며 내부에 거름망(30)과 시트지(5)를 수용하는 함침용기(40), 시트지(5)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장기(50), 및 모터(3) 및 냉온장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3) 및 냉온장기(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제조기{MANUFACTURING DEVICE OF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얼굴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 피부미용과 관련된 제품이 상당히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녹차, 숯 등 피부에 유익한 첨가물을 함유한 마스크팩은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피부미용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피부가 거칠어졌거나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또는 피부가 피로해졌을 때 등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일주일에 1~2회 정도 사용되는 제품이다. 근래에 마스크팩은 특수한 첨가물을 함유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성이 강조되고 있다. 다만, 종래 마스크팩은 하기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계화된 공장에서 일률적으로 첨가물이 시트지에 함침되어 제조되므로, 사용자가 사용 목적에 따라 자신의 피부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기가 어렵다. 또한, 화학제품의 첨가물이 아닌 친환경 첨가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도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오이, 당근 등을 갈아서 팩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팩을 직접 얼굴에 바르거나, 첨가물이 함유되지 않은 시트지를 얼굴에 올리고 그 위에 붓으로 펴 발랐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오이, 당근 등과 같은 재료들을 따로 갈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얼굴 표면에 골고루 재료들을 바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온찜질을 함께 하기 위해서는 시트지를 따뜻하게 하여야 하지만 재료의 온도로 인해 금방 차가워지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 등에 맞게 직접 마스크팩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KR 10-2006-0115115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천연재료의 분쇄부 및 냉온장기를 일체로 채용함으로써, 마스크팩에 함유되는 천연재료를 직접 분쇄하여 용이하게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는 마스크팩 제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회전하면서 첨가물을 분쇄하는 분쇄커터 및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분쇄부, 내부에 상기 분쇄커터가 위치되고, 상기 첨가물이 수용되어 분쇄되며, 분쇄된 상기 첨가물이 하향으로 유출되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분쇄용기, 시트지의 상향에 배치되어 분쇄된 상기 첨가물을 거르는 거름망, 상단부에 오목하게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용기의 상기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분쇄용기로부터 유출된 상기 첨가물이 통과되도록 상기 삽입홉의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거름망과 상기 시트지를 수용하는 함침용기, 상기 시트지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장기,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냉온장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 및 상기 냉온장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함침용기로 유동되는 분쇄된 상기 첨가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의 상단부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수동 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는 서랍식 저장공간으로서, 서랍을 개폐할 수 있는 서랍식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거름망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가 좌우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거름망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재료의 분쇄부 및 냉온장기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천연재료를 분쇄하여 자신에게 맞는 마스크팩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부, 밸브 및 냉온장기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시트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분쇄커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함침용기 상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침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침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침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시트지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팩은 시트지(5)에 녹차, 숯 등 피부에 유익한 첨가물을 함침시켜 사용한다. 여기서 마스크팩은 사람의 얼굴 안면부에 밀착시켜 사용되므로, 시트지(5)는 얼굴 안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시트지(5)는 포장을 용이하게 하거나 얼굴 안면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여러 개의 조각으로 절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사용되는 시트지(5)는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시트지(5)로서, 얼굴 안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뿐 아니라 여러 개의 조각으로 절단된 것도 포함된다. 따라서, 이하, 시트지(5)는 얼굴 안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그 부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분쇄커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회전하면서 첨가물을 분쇄하는 분쇄커터(1) 및 분쇄커터(1)를 회전시키는 모터(3)를 포함하는 분쇄부(10), 내부에 분쇄커터(1)가 위치되고 첨가물이 수용되어 분쇄되며 분쇄된 첨가물이 하향으로 유출되도록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 분쇄용기(20), 시트지(5)의 상향에 배치되어 분쇄된 첨가물을 거르는 거름망(30), 상단부(41)에 오목하게 함몰된 삽입홈(43)이 형성되어 분쇄용기(20)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분쇄용기(20)로부터 유출된 첨가물이 통과되도록 삽입홈(43)의 바닥면에 관통홀(49)이 형성되며 내부에 거름망(30)과 시트지(5)를 수용하는 함침용기(40), 시트지(5)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장기(50), 및 모터(3) 및 냉온장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3) 및 냉온장기(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 사용되는 첨가물은 녹차 잎, 숯, 오이, 당근, 콜라겐 가루 등과 같이 분쇄되어 사용되는 재료들 이외에 이러한 재료들과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는 액상의 올리브유, 꿀 등과 같은 재료들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첨가물이 분쇄되어 시트지(5)에 함침되도록, 분쇄부(10), 분쇄용기(20), 거름망(30), 함침용기(40), 냉온장기(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분쇄부(10)는 시트지(5)에 함침시킬 첨가물을 분쇄하는 것으로서, 분쇄커터(1) 및 모터(3)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쇄커터(1)는 회전하면서 첨가물을 분쇄하도록, 모터(3)의 샤프트(7)에 장착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커터(1)는 샤프트(7)의 일단에 장착될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샤프트(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분쇄커터(1)는 분쇄용기(20) 내부에 배치되어 첨가물을 분쇄한다. 이때, 분쇄용기(20)의 내벽에 첨가물이 흡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분쇄커터(1)는 회전하면서 분쇄용기(20)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충분할 길이를 가져야 한다.
한편, 모터(3)는 샤프트(7)를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7)에 장착된 분쇄커터(1)를 회전시킨다. 이때, 모터(3)는 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된다.
한편, 분쇄용기(20)는 첨가물이 수용되어 분쇄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따라서, 분쇄용기 내부에 분쇄커터(1)가 배치된다. 또한, 분쇄된 첨가물이 함침용기(40)로 유출되도록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부(21)는 분쇄된 첨가물이 함침용기(40)로 유출되는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분쇄용기(20)에 첨가물을 주입하는 주입구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다만, 분쇄용기(20)의 주입구는 분쇄용기(20)의 상부와 하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부와 하부를 분리하여 첨가물을 주입하고, 상부와 하부를 결합하여 첨가물을 분쇄할 수도 있다. 또는, 분쇄용기(20)에 별도로 주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분쇄용기 내에 수용된 첨가물을 개량하기 위해서, 분쇄용기는 투명부재로 형성되고 외측에 정량을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함침용기(40)는 분쇄된 첨가물을 시트지(5)에 함침시키는 곳으로서, 내부에 거름망(30)과 시트지(5)를 수용한다. 여기서 함침용기(40)는 분쇄용기(20)의 개구부(21)가 형성된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함침용기(40)가 분쇄용기(20)에 결합되도록, 상단부(41)에 오목하게 함몰된 삽입홈(43)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쇄용기(20)의 일측이 삽입홈(43)에 삽입됨으로써, 함침용기(40)는 분쇄용기(20)에 결합된다. 또한, 분쇄용기(20)에서 분쇄된 첨가물이 함침용기(40)를 통과하여 함침용기(40)의 내부에 있는 시트지(5)에 함침되도록, 삽입홈(43)의 바닥면에는 관통홀(49)이 형성된다. 즉, 분쇄용기(20)에서 분쇄된 첨가물은 삽입홈(43)의 관통홀(49)을 통과하여 함침용기(40)의 내부로 유출된다.
한편, 거름망(30)은 분쇄된 첨가물의 찌꺼기 등을 걸러내는 것으로서, 함침용기(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지(5)의 상향에 위치한다. 분쇄된 첨가물에 찌꺼기와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첨가물이 시트지(5)에 함침될 수 없고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거름망(30)이 첨가물의 찌거기와 불순물을 걸러냄으로써, 첨가물이 시트지(5)에 효율적으로 함침되고, 찌거기 등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거름망(30)이 함침용기(40)에 고정되도록, 함침용기(4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이 함침용기(4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거름망(30)이 반드시 함침용기(40)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시트지(5) 위에 포개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를 이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기 위해서, 첫째,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에 맞는 첨가물을 선택한다. 이때, 다양한 첨가물을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첨가물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둘째, 분쇄용기(20) 내부에 분쇄커터(1)를 배치시키고, 선택된 첨가물을 분쇄용기(20) 내부에 주입한다. 이때, 별도의 주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구부(21)를 통해 첨가물을 삽입한다. 셋째, 함침용기(40)에 시트지(5)를 배치하고, 시트지(5)의 상향에 거름망(30)을 배치시킨 후 모터(3)를 구동하여 분쇄커터(1)를 회전시킨다. 이때, 분쇄커터(1)가 회전하면서 분쇄용기(20)에 수용된 첨가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첨가물은 분쇄용기(20)의 개구부(21)를 거치고 함침용기(40)의 관통홀(49)을 통과하여 함침용기(40)의 내부로 유동한다. 이후, 분쇄된 첨가물은 거름망(30)에 의해 걸러지면서 시트지(5)에 함침된다.
종래 마스크팩은 기계화된 공장에서 일률적으로 첨가물을 함침시켜 제조하므로, 사용자가 사용 목적에 따라 자신의 피부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기 어렵고, 첨가물의 성분을 결정할 수 없어서 화학제품 첨가물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첨가물을 믹서기 등에 갈아서 팩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팩을 직접 얼굴에 바르거나 얼굴에 시트지(5)를 올리고 그 위에 붓으로 펴 발랐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첨가물을 분쇄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직접 팩을 발라야 하므로 혼자서 팩을 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천연 첨가물을 선택하여 분쇄하고, 시트지(5)에 천연 첨가물을 함침시켜 자신의 피부에 맞는 마스크팩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접 팩을 얼굴에 바르지 않고 첨가물이 함침된 마스크팩을 얼굴에 밀착시킴으로써, 혼자서도 쉽게 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에는 시트지(5)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온장기(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냉온장기(50)는 팩을 하면서 온찜질 또는 냉찜질을 할 수 있도록 시트지(5)를 데우거나 차게하는 것이다. 이때, 냉온장기(50)는 일반적으로 장거리 여행이나 캠핑시에 사용되는 휴대용 냉온장고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서, 냉온장기(50)에는 열전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는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하여 전류가 흐를 때 두 금속의 접합부에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열전현상, 즉 펠티에(Peltier) 효과를 응용한 것이다. 한편, 냉온장기(50)는 제어부(60)에 의해서 제어된다.
종래에는 마스크팩을 따뜻하게 하거나 차게 하기 위해서, 마스크팩 자체를 별도로 데우거나 냉장보관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동시에 냉온장기(50)를 이용하여 마스크팩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온장기(50)는 함침용기(40)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지만, 냉온장기(50)의 본체가 함침용기(40)의 하단부(47)를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냉온장기(50)의 본체와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가 결합되어 하나의 밀폐된 용기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거름망(30)과 시트지(5)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60)는 모터(3) 및 냉온장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3) 및 냉온장기(50)를 일체로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한 번의 조작으로 첨가물의 분쇄 및 마스크팩의 온도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함침용기 상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는 분쇄용기(20)에서 분쇄되어 함침용기(40)로 유동되는 첨가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밸브(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70)는 함침용기(40)의 관통홀(49)에 배치되어 관통홀(49)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분쇄용기(20)에서 분쇄되는 첨가물이 함침용기(4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시트지(5)에 사용하기 위해 많은 양의 첨가물을 분쇄한 경우, 밸브(70)는 시트지(5)를 교체하는 동안 관통홀(40)을 폐쇄하여 첨가물이 함침용기(40)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밸브(70)는 관통홀(49)을 폐쇄함으로써, 유동성이 큰 첨가물이 분쇄되지 않고 관통홀(49)을 통해 함침용기(40)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70)는 전자코일의 전자력을 사용해 자동적으로 관통홀(49)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70)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밸브(70)가 닫힌다. 이때, 슬레노이드 밸브는 제어부(60)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는, 밸브(70)는 수동 밸브일 수도 있다. 즉, 전자제어장치나 기계제어장치에 의해서 관통홀(49)을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손이나 도구로 관통홀(49)을 개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관통홀(49)이 삽입홈(43) 바닥면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되고, 삽입홈(43)의 바닥면에 원호형상의 판이 삽입홈(43) 바닥면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원호형상의 판을 수동으로 작동하여 회전시키면 관통홀(49)이 개폐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가 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분쇄된 첨가물이 돔 형상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므로, 시트지(5)의 가장자리까지 첨가물이 효과적으로 함침될 수 있다.
한편, 함침용기(40) 내에 배치되는 시트지(5)와 거름망(30)이 용이하게 출납되도록,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는 시트지(5)와 거름망(30)이 함침용기(40)에 배치되거나 함침용기(40)에서 제거될 때에는 분리되고, 첨가물이 분쇄되는 동안에는 결합된다. 다만, 시트지(5)나 거름망(30)을 좀 더 용이하게 배치하고 제거하기 위해서, 함침용기(40)를 서랍식 저장공간으로 형성하거나,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를 힌지 결합하여 힌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침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기의 함침용기(40)는 서랍식 저장공간으로서, 서랍을 개폐할 수 있는 서랍식 도어(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트지(5)와 거름망(30)은 서랍 내에 배치되어 함침용기(40)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서랍은 서랍식 도어(45)를 당기거나 밀어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침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가 힌지 결합될 때, 힌지축(48)이 함침용기(40) 내부에 배치되는 거름망(30)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는 힌지축(48)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한다. 따라서,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를 좌우로 회동시켜, 시트지(5)나 거름망(30)을 용이하게 함침용기(40) 내부에 배치하고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침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가 힌지 결합되는 경우, 힌지축(48)이 함침용기(40) 내부에 배치되는 거름망(3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가 힌지축(48)을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므로, 함침용기(40)의 상단부(41)와 하단부(47)를 펼쳐서 시트지(5)나 거름망(30)을 용이하게 배치하고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분쇄커터 3: 모터
7: 샤프트 10: 분쇄부
21: 개구부 20: 분쇄용기
5: 시트지 30: 거름망
41: 함침용기의 상단부 43: 삽입홈
49: 관통홀 40: 함침용기
47: 함침용기의 하단부 48: 힌지축
50: 냉온장기 60: 제어부
70: 밸브 45: 서랍식 도어

Claims (9)

  1. 회전하면서 첨가물을 분쇄하는 분쇄커터 및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분쇄부;
    내부에 상기 분쇄커터가 위치되고, 상기 첨가물이 수용되어 분쇄되며, 분쇄된 상기 첨가물이 하향으로 유출되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분쇄용기;
    시트지의 상향에 배치되어 분쇄된 상기 첨가물을 거르는 거름망;
    상단부에 오목하게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용기의 상기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분쇄용기로부터 유출된 상기 첨가물이 통과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거름망과 상기 시트지를 수용하는 함침용기;
    상기 시트지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장기;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냉온장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 및 상기 냉온장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함침용기로 유동되는 분쇄된 상기 첨가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 제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의 상단부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 마스크팩 제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마스크팩 제조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수동 밸브인 마스크팩 제조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는 서랍식 저장공간으로서, 서랍을 개폐할 수 있는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제조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기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마스크팩 제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거름망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가 좌우로 회전하는 마스크팩 제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거름망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마스크팩 제조기.

KR1020130021485A 2013-02-27 2013-02-27 마스크팩 제조기 KR20140107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85A KR20140107019A (ko) 2013-02-27 2013-02-27 마스크팩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85A KR20140107019A (ko) 2013-02-27 2013-02-27 마스크팩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19A true KR20140107019A (ko) 2014-09-04

Family

ID=5175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485A KR20140107019A (ko) 2013-02-27 2013-02-27 마스크팩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0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715A (zh) * 2016-04-29 2016-06-29 广州拓登健康科技有限责任公司 制膜机
WO2018056722A1 (ko) * 2016-09-22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CN111450002A (zh) * 2020-04-16 2020-07-28 辽宁泓新科技成果转化服务有限公司 一种碱蓬植物体膜共享平台及其制作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715A (zh) * 2016-04-29 2016-06-29 广州拓登健康科技有限责任公司 制膜机
WO2018056722A1 (ko) * 2016-09-22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US11172750B2 (en) 2016-09-22 2021-11-16 Lg Electronics Inc. Hydrogel discharge device
CN111450002A (zh) * 2020-04-16 2020-07-28 辽宁泓新科技成果转化服务有限公司 一种碱蓬植物体膜共享平台及其制作方法
CN111450002B (zh) * 2020-04-16 2024-02-27 山东龙昌动物保健品股份有限公司 一种碱蓬植物体膜共享平台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9262C (en) Portable electric and hand operated herb grinder
US20070137495A1 (en) Coffee maker with grinder
US20180213838A1 (en) Compact system for preparing personal smokable products
KR101561476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
JP2016064145A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9513430A (ja) 焙煎粉砕システム
KR20140107019A (ko) 마스크팩 제조기
WO2012120363A2 (en) Portable coffee mill-doser for moka coffee makers or coffee machines or similar
KR20100090659A (ko)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US20130091802A1 (en) Coffee filter pouch maker
KR20100026476A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KR20170050978A (ko) 커피분말 조절구를 구비한 휴대용 커피 빈 그라인더
KR200480118Y1 (ko) 휴대용 음료 추출 용기
CN203914638U (zh) 多边形搅拌机
KR200473090Y1 (ko) 커피 원두 분쇄기용 덮개
KR102143137B1 (ko) 휴대용 커피 추출기
KR101692236B1 (ko) 핸드 블렌더
KR20140101171A (ko) 상향식 착즙 구조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477737B1 (ko) 음료제조기
KR200428112Y1 (ko) 가정용 화장품 제조기
KR200397272Y1 (ko) 핸드 쥬서기
CN110461174B (zh) 用于制备个人的可抽吸制品的紧凑型系统
CN206026141U (zh) 一种新型破壁机
CN209694905U (zh) 一种便携式咖啡机
TWM547354U (zh) 具雙層粉槽之磨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