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737B1 - 음료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737B1
KR101477737B1 KR1020130028777A KR20130028777A KR101477737B1 KR 101477737 B1 KR101477737 B1 KR 101477737B1 KR 1020130028777 A KR1020130028777 A KR 1020130028777A KR 20130028777 A KR20130028777 A KR 20130028777A KR 101477737 B1 KR101477737 B1 KR 10147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crushing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209A (ko
Inventor
박철범
Original Assignee
(주)흥국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국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흥국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13002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7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일 등이 담긴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직접 음료를 제조한 후 음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에 액체원료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음료용기의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분쇄혼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음료용기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가 상기 분쇄혼합부에 의해 분쇄 및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제조기{Beverage preparing machines}
본 발명은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일 등이 담긴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직접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Take-out) 음식문화는 간단하게 조리한 음식을 휴대가능하도록 포장하여 이동 중에도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포장음식문화를 일컫는다. 주로 패스트푸드, 주스, 커피, 아이스크림 등이 대표적이며, 최근 웰빙 문화의 영향으로 커피나 탄산 음료 대신 과일주스가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판매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과일주스는 우선 과일을 씻은 후 껍질을 벗겨 손질을 하고, 소비자가 주문하면 해당 과일을 작은 크기로 절단하여 물이나 우유, 시럽 등과 함께 믹서기 용기에 넣어 분쇄 및 혼합한 후 테이크 아웃 용기에 옮겨 담아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이때 사용되는 믹서기는 과일을 수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덮는 뚜껑과,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날과, 상기 분쇄날에 동력을 전달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믹서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한 후에는 반드시 음식물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용기 내부와 분쇄날은 물론, 분쇄날이 회전하는 축 사이사이를 청소하여야 한다.
만약 용기 내부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는 경우 부패하면서 세균이 번식하고, 해당 용기로 조리된 음식물을 먹는 소비자들은 식중독이나 세균성 질병 등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추후 분쇄 및 혼합되는 재료와 섞이면서 과일주스 본래의 맛과 향이 변질되게 된다.
그리고, 보통 대규모 프랜차이즈점이나 카페에서는 조리자가 판매 업무를 겸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바, 한정된 인원으로 믹서기의 위생상태를 세심하게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몇 대에 불과한 믹서기로 고객들이 주문한 음료를 연속적으로 조리해야 하므로 믹서기 용기를 사용 후 매번 청소할 만한 여유가 없어 근본적으로 위생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희박한 실정이다.
또한, 소비자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과일의 분쇄 및 혼합 정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믹서기를 조작하는 조리자의 선택으로 과일의 분쇄 및 혼합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으며, 주스의 재료가 되는 과일이 가공공장에서 최종 판매처로 이송되는 유통과정에서 훼손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비위생적인 재료로 주스를 만드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을 위생적이고 양질의 상태로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소비자 스스로 음식물의 분쇄 및 혼합 정도를 조절하여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물을 간편하게 휴대하며 섭취할 수 있는 분쇄날이 구비된 휴대용기가 필요하게 되었는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1904호에서 제안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믹서기는 믹서기 자체에 분쇄날을 구비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이 분쇄날이 구비된 휴대용기와 결합하여 내부에 담겨있는 과일 등을 분쇄 및 혼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믹서기를 이용하여 과일주스를 제조시 분쇄 및 혼합 전에 물 등 액체원료를 과일이 담긴 용기에 첨가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정수기 등의 장치가 필요한바, 사용자가 과일주스 등을 제조함에 있어 개별 장치가 있는 곳을 옮겨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과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직접 음료를 손쉽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제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에 액체원료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음료용기의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분쇄혼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음료용기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가 상기 분쇄혼합부에 의해 분쇄 및 혼합되어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과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에 사용자가 직접 공급부를 통하여 물이나 우유, 시럽 등과 같은 액체원료를 공급하고, 액체원료가 공급된 상기 음료용기를 분쇄혼합부에 결합시켜 분쇄날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기호에 맞게 음료를 분쇄 및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공급부와 분쇄혼합부가 함께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과정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대규모 프랜차이즈점이나 카페와 같이 대량으로 음료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음료를 제조하게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매번 믹서기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운영자의 입장에서 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용자는 자신이 구입한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한 후 음용하므로 위생이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제조기에 사용되는 음료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제조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제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제조기에 적용되는 가압봉 및 용기누름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제조기의 분쇄혼합부에 음료용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제조기에 적용되는 용기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제조기에 적용되는 용기고정구에 음료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직접 음료를 손쉽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에 액체원료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음료용기의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분쇄혼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음료용기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가 상기 분쇄혼합부에 의해 분쇄 및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과일이나 야채 등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음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바, 본 발명에는 분쇄날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대규모 프랜차이즈점이나 카페와 같이 대량으로 음료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매번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매장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운영상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 음료용기(10)는 사용자가 구입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쇄날은 상기 음료용기(10)의 내측 바닥부에 형성되어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에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분쇄 및 혼합이 이루어지고 덮개를 열어 음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분쇄날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음료를 음용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위생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10)에서 분쇄날은 덮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덮개를 분리하여 음용시 덮개와 함께 분리되거나,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 덮개에 형성된 음용구를 통해 음용시 사용자가 상기 분쇄날을 인식하기 어려우므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상기 분쇄날이 바닥부에 형성된 경우보다 위생상 좋다. 이하에서 상기 음료용기(10)는 분쇄날이 구비되되, 상기 분쇄날은 덮개의 안쪽에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예로 과일주스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음료용기(10)에는 물로 깨끗히 씻겨진 과일이 절단되어 수용됨이 바람직하며, 두 가지 이상의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재료로 혼합주스를 재조할 경우에는 한가지 이상의 재료가 상기 음료용기(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10)를 이용하여 주스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에 물, 우유, 시럽 등과 같은 액체원료나 재료를 건조시켜 분말화 시킨 쥬스분말을 더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체원료를 공급하는 공급부(100)가 포함되며, 상기 공급부(100)는 분말형태의 재료도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블로워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액체원료를 중심으로 설명을 한다.
더욱이, 상기 공급부(100)를 통해 내용물이 담긴 상기 음료용기(10)에 상기 액체원료가 수용되면, 이를 분쇄 및 혼합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상기 음료용기(10)에 구비된 분쇄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분쇄혼합부(200)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0)와, 분쇄혼합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료용기(10)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가 상기 분쇄혼합부(200)에 의해 분쇄 및 혼합되어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 우유, 시럽 등과 같은 액체원료나 쥬스 파우더나 분말형태의 쥬스 재료 등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00)와, 상기 내용물과 액체원료를 분쇄 및 혼합하기 위한 분쇄혼합부(200)가 함께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 별도의 정수기, 시럽용기 등이 필요하지 않아 매장의 운영비용을 낮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직접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직접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사용자나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공급부(100)와 분쇄혼합부(200)가 함께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급수와 분쇄 및 혼합을 한 곳에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 공급부(100)는 분쇄혼합부(200)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물, 우유, 시럽 등 액체원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음료용기(10)에 공급할 수도 있으나, 상기 액체원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 또는 분말형태의 재료를 수납하는 분말수납부가 포함될 수 있고, 다수개가 마련되어 여러가지 재료들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100)는 다수개의 노즐이 마련되고, 각 노즐들이 상기 다수개의 저수조 또는 분말수납부와 연결되어 음료의 종류와 구성별 공급량을 선택하여 쥬스를 만들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공급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원료가 배출되는 노즐과, 배출되는 액체원료를 상기 음료용기(10) 내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음료용기(10)를 올려놓는 안착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즐과 안착대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을 통하여 차가운 원료가 공급됨은 물론, 뜨거운 액체원료도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대는 놓여진 상기 음료용기(1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음료용기(10)의 측면을 둘러싸는 일정 높이의 돌기가 형성되어 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분쇄혼합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용기(10)상의 분쇄날을 회전시켜 상기 음료용기(10)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를 분쇄 및 혼합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음료용기(10)가 상기 분쇄혼합부(200)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전면이 개방된 안착공간(A)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안착공간(A)에 놓여진 음료용기(10)가 회전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공간(A)의 전면에는 상기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도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분쇄 및 혼합을 위해 상기 분쇄혼합부(200)의 작동시 상기 음료용기(10)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가 어느 정도 분쇄되고 혼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에는 인식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식센서의 일 예로는 자석센서나 포토센서가 있으며, 다수 개의 센서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한 후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은 경우 경고메시지를 내보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쇄날은 회전되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분쇄혼합부(200)는 상기 음료용기(10)의 분쇄날을 회전시키게 되는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과 결합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20)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분쇄혼합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10)의 분쇄날과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음료용기(10)의 분쇄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에 형성되고, 상기 음료용기(10)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는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수용되어 있는바, 상기 분쇄날에 의해 제대로 분쇄 및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안착공간(A)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음료용기(10)는 거꾸로 뒤집어져 덮개에 형성된 상기 분쇄날이 상기 회전축(210)과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음료용기(10) 내의 내용물과 액체원료는 상기 분쇄날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분쇄날의 회전시 내용물과 액체원료는 골고루 분쇄 및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모터(220)는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안착공간(A)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220)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210)과 결합된 상기 분쇄날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음료용기(10)는 상기 분쇄날의 회전시 이탈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210)과 결합되어 있도록, 상기 음료용기(10) 덮개의 외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의 상기 안착공간(A) 바닥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분쇄날의 회전시 같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상기 분쇄날만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쇄혼합부(2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20)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결합된 상기 음료용기(10)의 일단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음료용기(10)를 고정하는 가압봉(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봉(230)은 긴 막대형상을 이루어질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압봉구동모터와 연결되며, 가압봉의 동작을 부분적으로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가압봉센서가 다수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10) 내의 내용물은 과일 등이므로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통과정이나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전까지 냉동/냉장 상태로 보관되므로, 음료용기(10)의 바닥에 가라앉아 고형화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분쇄 및 혼합을 위해 상기 음료용기(10)를 거꾸로 놓는 경우, 음료용기(10)의 바닥면에서 떨어지지 않아 내용물이 상기 분쇄날쪽으로 낙하되지 못해 분쇄가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료제조기에서는 상기 가압봉(10)이 분쇄 및 혼합을 위해 상기 음료용기(10)의 바닥을 가압하여 냉동/냉장 상태에서 음료용기(10)의 바닥에 고착된 내용물을 상기 분쇄날쪽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봉(10)은 상기 음료용기(10)의 형태변형과 파손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음료용기(10)의 외측 바닥면을 수차례에 걸쳐 다양한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낙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봉(230)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내용물과 상기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된 액체원료가 담긴 상기 음료용기(10)의 분쇄날을 상기 안착공간(A)에 형성된 상기 회전축(210)과 결합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분쇄혼합부(200)의 도어를 닫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봉(230)은 수직으로 내려오면서 측면에 수직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가압봉센서에 의해 상기 가압봉(230)의 이동상태와 이동거리에 따른 상기 음료용기(10)가 상기 안착공간(A) 내에 놓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압봉센서는 상기 가압봉(230)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하여 전압과 전류 및 토크상태를 체크하게 되며, 상기 가압봉(230)의 일단이 상기 음료용기(10)의 바닥면과 접하면서 더 이상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게 되면, 상기 가압봉센서는 상기 음료용기(10)가 놓여진 상태임을 감지하고, 이후부터는 상기 가압봉(230)을 제어하여 상기 음료용기(10)의 외측 바닥면을 수차례에 걸쳐 다양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용물을 상기 분쇄날쪽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만약 상기 음료용기(10)가 놓여져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가압봉(230)은 수직으로 계속 하강하면서 상기 음료용기(10)가 놓여진 위치 이상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가압봉센서가 상기 모터의 전압과 전류 및 토크를 함께 비교해가며 상기 가압봉(230)의 위치와 함께 파악하여 상기 음료용기(10)가 놓여져 있지 않았음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봉(230)은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모터(220)는 작동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10)가 놓여져 있지 않다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봉센서에 의해 상기 음료용기(10)가 놓여진 상태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220)는 상기 회전축(2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봉(230)은 내용물과 액체원료가 분쇄 및 혼합되는 동안 가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음료용기(10)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사용자가 분쇄 및 혼합을 종료하거나 설정되어 있던 분쇄 및 혼합시간이 종료하게 되면, 상기 가압봉(230)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음료용기(10)를 꺼내어 골고루 분쇄 및 혼합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봉(230)과 결합되는 용기누름구(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누름구(24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원통형을 전제로 설명한다.
상기 용기누름구(240)가 상기 가압봉(230)에 결합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쇄 및 혼합시 상기 가압봉(230)이 수직으로 내려와 상기 음료용기(10)의 외측 바닥면을 직접 가압하는 것과 달리, 상기 용기누름구(240)가 상기 음료용기(10)를 감싸면서 바닥과 접하면서 가압하여, 음료용기(10)를 보다 안전하게 커버하면서 가압하게 되고, 모터(220)가 작동하여 연결된 분쇄날이 회전할 때 음료용기(10)가 분리되거나, 내부의 수용된 동결되어 고형상태인 내용물이 음료용기(10)의 벽면을 타격하더라도 파손되거나 진동하지 않게 구성된다.
상기 용기누름구(240)는 상기 음료용기(10)와 맞닿는 부분에 보호패드(2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료용기(10)의 일단을 감싸는 고정돌기(242)가 포함된다. 상기 보호패드(241)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음료용기(10)의 가압시 무리한 힘에 의해 상기 음료용기(10)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가압봉(230)이 작동을 마치고 상승하는 과정에서 음료용기(10)가 딸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42)는 가압시 상기 음료용기(10)의 일단, 즉 상기 음료용기(10)의 하부 외측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분쇄 및 혼합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용기(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공간(A)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회전축(2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링형의 고정턱(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250)은 상기 음료용기(10)의 덮개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쇄날의 회전시 상기 음료용기(1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공간(A)에 놓여진 음료용기(10)의 상부는 상기 가압봉(230) 또는 용기누름구(240)에 형성된 고정돌기(24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음료용기(10)의 하부는 상기 안착공간(A)에 형성된 홈과 상기 음료용기(10)의 덮개 외측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고정됨은 물론, 상기 고정턱(25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바, 안전하게 분쇄 및 혼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음료용기(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턱(250)의 외측과 결합되며, 일정 높이로 측면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용기고정구(2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기고정구(270)에는 상기 음료용기(10)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되며, 상기 용기고정구(270)의 내측은 상기 음료용기(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10)는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음료용기(1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고정구(270)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은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소정의 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단면이 원형인 경우보다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단면이 원형인 경우보다 상기 용기고정구(270)에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10)에서 상기 용기고정구(270)와 결합되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등, 상기 음료용기(10)가 각진 형태를 이루더라도 상기 용기고정구(270)에 사용자가 손쉽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 고정구(270)의 내측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용기고정구(270)에 음료용기(10)를 삽입하여 고정시 상기 음료용기(10)를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손쉽게 끼워지게 됨은 물론, 상기 음료용기(10)의 형상이 원통형이나, 각진 형태를 이루더라도 상기 음료용기(1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혼합부(20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고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받이구(2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이구(260)는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음료용기(10)로부터 음료의 일부가 새어나올 경우를 대비하여, 새어나온 음료를 수집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링형의 상기 고정턱(2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료용기(10)로부터 음료의 일부가 새어나오는 경우 새어나온 음료는 상기 고정턱(250) 내에 모이게 되어 상기 음료용기(10)의 위생을 좋지 못하게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턱(250)은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받이구(260)까지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음료용기(10)로부터 새어나온 음료가 상기 고정턱(250) 내에 모이지 않으며, 상기 고정턱(10)의 개구된 지점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음료는 경사를 따라 흘러내려 상기 받이구(260)로 모이게 되는바, 상기 음료용기(10)로부터 음료의 일부가 새어나오더라도 상기 안착공간(10)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음료용기(10)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향후 새어나온 음료의 처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턱(250)에 용기고정구(27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턱(250)의 일측이 개구된 것과 마찬가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고정구(270)의 하부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음료용기(10)로부터 새어나온 음료의 일부가 상기 받이구(260)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300)는 상기 공급부(100)에서 분말재료의 경우는 투입되는 양을, 액체원료의 경우는 급수되는 양과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분쇄혼합부(200)에서 분쇄 및 혼합되는 시간 및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300)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음료용기(10) 내의 내용물과 분말 또는 액체원료의 종류에 따라 미리 셋팅된 값에 의해 상기 공급부(100)와 분쇄혼합부(200)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과일주스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 첨가되는 물 또는 시럽의 양, 그리고 분쇄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어 사용자가 이를 고려하여 조작하지 않아도 최상의 맛을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느낄 수 있는 음료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는 내부에 과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10)에 사용자가 직접 공급부(100)를 통하여 물이나 우유, 시럽 등과 같은 액체원료를 공급하고, 액체원료가 공급된 상기 음료용기(10)를 분쇄혼합부(200)에 결합시켜 분쇄날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기호에 맞게 음료를 분쇄 및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공급부(100)와 분쇄혼합부(200)가 함께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과정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대규모 프랜차이즈점이나 카페와 같이 대량으로 음료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본 발명인 음료제조기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음료를 제조하게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매번 믹서기 등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운영자의 입장에서 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용자는 자신이 구입한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므로 위생이 보장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A : 안착공간 10 : 음료용기
100 : 공급부 200 : 분쇄혼합부
210 : 회전축 220 : 모터
230 : 가압봉 240 : 용기누름구
241 : 보호패드 242 : 고정돌기
250 : 고정턱 260 : 받이구
270 : 용기고정구 300 : 컨트롤부

Claims (7)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분쇄날이 구비된 음료용기(10)에 액체원료를 공급하는 공급부(100)와;
    상기 음료용기(10)에 구비된 분쇄날에 결합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20)로 이루어지는 분쇄혼합부(200)와;
    상기 모터(220)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1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봉(230)과 상기 가압봉(230)에 결합되는 용기누름구(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누름구(240)는 상기 음료용기(10)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보호패드(241)와, 상기 음료용기(10)의 일단을 감싸는 고정돌기(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혼합부(200)에는 전면이 개방된 안착공간(A)이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0)가 상기 안착공간(A)의 내부에 놓여지되,
    상기 안착공간(A)의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축(21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링형의 고정턱(250)이 포함되어, 상기 고정턱(250)에 의해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음료용기(1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혼합부(200)에는 내부가 비고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받이구(26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50)의 일측은 개구되되,
    상기 개구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받이구(260)까지 하향경사져 있어, 분쇄 및 혼합과정에서 상기 음료용기(10)로부터 유출된 음료가 상기 받이구(260)로 용이하게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250)의 외측과 결합되며, 일정 높이로 측면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상기 음료용기(10)가 삽입되는 용기고정구(27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용기고정구(270)의 내측은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0)의 형상에 상관없이 상기 음료용기(1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28777A 2013-03-18 2013-03-18 음료제조기 KR10147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77A KR101477737B1 (ko) 2013-03-18 2013-03-18 음료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77A KR101477737B1 (ko) 2013-03-18 2013-03-18 음료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209A KR20140114209A (ko) 2014-09-26
KR101477737B1 true KR101477737B1 (ko) 2014-12-31

Family

ID=5175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777A KR101477737B1 (ko) 2013-03-18 2013-03-18 음료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3793A (zh) * 2015-12-22 2016-03-30 河南省屹鹰科技有限公司 一种无渣有网豆浆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3825B (zh) * 2015-12-22 2018-04-13 何淑琼 一种具有研磨功能的豆浆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777A (ko) * 1999-01-12 2001-10-26 -- 자기 구동장치를 장착한 식품 가공 장치
KR100399422B1 (ko) * 2001-02-27 2003-10-08 김순문 믹서기
KR200349283Y1 (ko) * 2004-02-11 2004-05-04 주식회사 아로나전자 믹서기의 저장용기 유동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777A (ko) * 1999-01-12 2001-10-26 -- 자기 구동장치를 장착한 식품 가공 장치
KR100399422B1 (ko) * 2001-02-27 2003-10-08 김순문 믹서기
KR200349283Y1 (ko) * 2004-02-11 2004-05-04 주식회사 아로나전자 믹서기의 저장용기 유동 방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3793A (zh) * 2015-12-22 2016-03-30 河南省屹鹰科技有限公司 一种无渣有网豆浆机
CN105433793B (zh) * 2015-12-22 2018-06-29 黄皇文 一种无渣有网豆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209A (ko)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30B1 (ko) 냉동 식품에 기초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어셈블리
US20220167777A1 (en) Capsule-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CA2600066C (en) Beverage cartridge and system
US7231142B1 (en) Hot and cold beverage maker
US20150079240A1 (en)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KR101391972B1 (ko) 다용도 믹서기
AU2019202868A1 (en)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CA2858015A1 (en) Automated hot beverage brewing machine
KR101477737B1 (ko) 음료제조기
WO2005013781A1 (ja) コーヒー抽出用の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415264B1 (ko) 음식물 분쇄용기
KR20140109287A (ko)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KR101260959B1 (ko) 분쇄날을 구비한 휴대용기
KR200485984Y1 (ko) 조절이 용이한 더치 커피 메이커
KR101049060B1 (ko) 일회용 음료용기
KR20130142232A (ko)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KR20100123197A (ko) 액상우유사용이 가능한 자동스팀살균 원두커피판매기
JP3205304U (ja) 飲食品作成装置
AU2013200579B2 (en) Essence Extractor
JP2005334357A (ja) コーヒー抽出用の飲料ディスペンサ
CA2805969A1 (en) Essenc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