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264B1 - 음식물 분쇄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분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264B1
KR101415264B1 KR1020120140525A KR20120140525A KR101415264B1 KR 101415264 B1 KR101415264 B1 KR 101415264B1 KR 1020120140525 A KR1020120140525 A KR 1020120140525A KR 20120140525 A KR20120140525 A KR 20120140525A KR 101415264 B1 KR101415264 B1 KR 10141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od
container
opening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703A (ko
Inventor
박철범
Original Assignee
(주)흥국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국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흥국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12014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264B1/ko
Priority to TW102102030A priority patent/TWI511694B/zh
Publication of KR2014007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분쇄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스스로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할 수 있고, 휴대하며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 분쇄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쇄 및 혼합시 용기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아 사용자의 위생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개구부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수밀환테와 외측수밀환테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커버가 결합시 상기 개구부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와 외측수밀환테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분쇄용기{food crush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 분쇄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스스로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할 수 있고, 휴대하며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 분쇄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Take-out) 음식문화는 간단하게 조리한 음식을 휴대가능하도록 포장하여 이동 중에도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포장음식문화를 일컫는다. 주로 패스트푸드, 주스, 커피, 아이스크림 등이 대표적이며, 최근 웰빙 문화의 영향으로 커피나 탄산 음료 대신 과일주스가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판매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과일주스는 우선 과일을 씻은 후 껍질을 벗겨 손질을 하고, 소비자가 주문하면 해당 과일을 작은 크기로 절단하여 물이나 우유, 시럽 등과 함께 믹서기 용기에 넣어 분쇄 및 혼합한 후 테이크 아웃 용기에 옮겨 담아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이때 사용되는 믹서기는 과일을 수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덮는 뚜껑과,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날과, 상기 분쇄날에 동력을 전달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믹서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한 후에는 반드시 음식물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용기 내부와 분쇄날은 물론, 분쇄날이 회전하는 축 사이사이를 청소하여야 한다.
만약 용기 내부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는 경우 부패하면서 세균이 번식하고, 해당 용기로 조리된 음식물을 먹는 소비자들은 식중독이나 세균성 질병 등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추후 분쇄 및 혼합되는 재료와 섞이면서 과일주스 본래의 맛과 향이 변질되게 된다.
그리고, 보통 대규모 프랜차이즈점이나 카페에서는 조리자가 판매 업무를 겸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바, 한정된 인원으로 믹서기의 위생상태를 세심하게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몇 대에 불과한 믹서기로 고객들이 주문한 음료를 연속적으로 조리해야 하므로 믹서기 용기를 사용 후 매번 청소할 만한 여유가 없어 근본적으로 위생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희박한 실정이다.
또한, 소비자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과일의 분쇄 및 혼합 정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믹서기를 조작하는 조리자의 선택으로 과일의 분쇄 및 혼합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으며, 주스의 재료가 되는 과일이 가공공장에서 최종 판매처로 이송되는 유통과정에서 훼손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비위생적인 재료로 주스를 만드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을 위생적이고 양질의 상태로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소비자 스스로 음식물의 분쇄 및 혼합 정도를 조절하여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물을 간편하게 휴대하며 섭취할 수 있는 분쇄날이 구비된 휴대용기가 필요하게 되었는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1904호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개구부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부;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외부 회전수단(믹서기 등)에 결합하여 상기 분쇄부를 통해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고, 휴대하며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분쇄부를 통해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가 결합된 용기를 거꾸로 세워 외부 회전수단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과일조각 등과 같은 음식물이 골고루 분쇄 및 혼합이 되나, 이때 상기 용기 내의 음식물 일부가 커버와 용기가 결합된 틈 사이로 빠져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쇄 및 혼합시 용기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아 사용자의 위생을 보장할 수 있는 음식물 분쇄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개구부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수밀환테와 외측수밀환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음식물이 유출되는 음용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구를 덮는 음용구덮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음용구덮개의 내측에는 상기 음용구 내에 끼워지는 음용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구리브에는 둘레를 따라 밀봉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분쇄부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날과,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일단에 상기 분쇄날이 결합되고 타단에 외부 회전수단이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분쇄날 축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분쇄날 축을 둘러싸는 실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수밀환테와 외측수밀환테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커버가 결합시 상기 개구부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와 외측수밀환테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음식물이 용기와 커버가 결합한 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외부 회전수단에 직접 분쇄 및 혼합을 하는데 있어 위생적으로 조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용구리브 둘레를 따라 밀봉막이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이 음용구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에 부착되며 분쇄날 축을 둘러싸는 실링부재로 인해 상기 분쇄날 축 부근에서의 음식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를 인용발명과 같이 거꾸로 세워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여도 용기와 커버가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커버상의 틈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이 사용자의 신체에 묻거나 믹서기와 같은 외부 회전수단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분쇄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분쇄용기가 외부 회전수단과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와 외부 회전수단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의 용기와 커버가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에 적용되는 음용구 및 음용구덮개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에 적용되는 음용구덮개가 음용구로부터 열고 닫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에 적용되는 음용구덮개가 고정되는 상태 및 실링부재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분쇄용기 내의 음식물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분쇄 및 혼합시 용기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아 사용자의 위생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개구부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수밀환테와 외측수밀환테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커버가 결합시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와 외측수밀환테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기본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0)와; 상기 개구부(110)와 결합되는 커버(200)와; 상기 커버(20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믹서기 등과 같은 외부 회전수단(400)에 의해 상기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0)는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110)를 통해 음식물을 수용하며, 수용되는 음식물은 상기 분쇄부(300)에 의해 분쇄 및 혼합되어 음료로 제공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과일 및 채소 등이다. 또한, 상기 음식물이 분쇄 및 혼합되는 과정은 물론 음식물의 양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면이 원형은 물론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110)는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200)와 나사결합이 되도록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소비자가 상기 용기(100)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감 있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0)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은 다수의 작은 돌기 또는 미끄럼방지 주름 등이 형성된 면으로 대치될 수 있으며, 용기의 측면이 삼각, 사각 또는 다각지게 구성되어 내부에 담긴 음식물이 분쇄, 혼합되는 과정에서 각진 측면에 내용물이 부딪치도록 형성되어 혼합과 분쇄가 더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개구부(110)와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개구부(110)와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200)의 내측면 또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200)의 형상은 원형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용기(1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분쇄부(300)는 상기 커버(20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믹서기 등과 같은 외부 회전수단(400)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게 된다. 상기 분쇄부(30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날(310)과, 상기 커버(200)를 관통하여 일단에 상기 분쇄날(310)이 결합되고 타단에 외부 회전수단(400)이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분쇄날 축(3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가 사용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패스트푸드점, 간이음식점, 테이크아웃점, 음료 판매점 등의 매장에서 소비자가 기호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 등의 주스를 주문하면, 해당 과일이나 채소 등을 상기 용기(100)에 수용하고 상기 커버(200)를 결합하여 상기 용기(100)를 폐쇄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그 후 소비자는 상기 커버(200)의 분쇄날 축(320)의 일단을 믹서기와 같은 외부 회전수단(400)에 장착하고 이를 작동시키면 상기 분쇄날(310)이 회전하며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된 과일이나 채소 등을 분쇄하게 된다. 이때 소비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춰 분쇄 및 혼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과일 및 채소 등으로 만들어지는 주스의 최초 납품업체가 메뉴별로 딸기, 자두, 복숭아 등을 깨끗히 씻은 후 상기 용기(100)에 담아놓고 정량이 들어갔는지 검수를 한 후 상기 커버(200)로 완전히 밀봉을 한 다음 냉장 운반하여 패스트푸드점, 간이음식점, 테이크아웃점, 음료 판매점 등의 매장에 납품하게 된다.
이렇게 과일이나 채소 등이 수용된 상태로 납품된 음식물 분쇄용기는 매장에서 메뉴별로 보관하고 있다가 소비자가 주문을 하면 그대로 전달을 하게 되며,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소비자가 직접 자신의 기호에 맞춰 분쇄 및 혼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예에서 외부 회전수단(400)에 상기 용기(100)를 똑바로 세운 상태로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과일이나 채소 등과 같은 음식물이 상기 용기(100) 바닥부에 위치하게 되는바, 상기 분쇄날(310)이 길게 형성되어야 하나 이는 소비자가 사용함에 있어 위험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분쇄날(310)의 길이가 상기 용기(100) 바닥부에 위치한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기에 적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음식물이 소비자가 원하는대로 분쇄 및 혼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를 거꾸로 세운 후 믹서기와 같은 외부 회전수단(40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은 상기 커버(200)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분쇄날(310)과 맞닿거나 인접하게 된다. 그 후 외부 회전수단(400)에 의해 상기 분쇄날(310)을 회전시키면 음식물이 골고루 분쇄 및 혼합되게 되며, 소비자가 원하는 기호에 따라 분쇄 및 혼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용기(100)를 거꾸로 세운 후 외부 회전수단(400)에 의한 음식물의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용기(100)와 커버(200)가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용기(100)와 커버(200)가 결합된 틈이나, 상기 분쇄날 축(320)과 커버(200)가 결합된 틈 사이 등으로 음식물의 일부가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가 형성되며,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와 커버(200)가 결합시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외측수밀환테(202)는 상기 커버(200)가 용기(100)와 나사결합을 함에 있어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으로부터 이격되어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수밀환테(201)는 외측수밀환테(202)보다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이격되는 정도는 상기 개구부(1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200)는 개구부(110)와 나사결합을 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는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삽입되어 억지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0)를 거꾸로 세운 후 외부 회전수단(400)에 의한 음식물의 분쇄 및 혼합시에도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은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삽입되어 밀폐가 견고히 이루어지는바, 상기 용기(100) 내의 음식물이 상기 용기(100)와 커버(200)가 결합된 틈 사이로 흘러나오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바 외부 회전수단(400)에 결합하여 분쇄 및 혼합을 한 후에도 외부 회전수단(400)에 음식물이 묻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외부 회전수단(400)과 결합시킨 후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커버(200)가 분리될 위험을 방지하고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내측면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111)에 걸리는 대응돌기(20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111)와 대응돌기(203)가 형성되는 또다른 이유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과일 및 채소 등으로 만들어지는 주스의 최초 납품업체가 메뉴별로 딸기, 자두, 복숭아 등을 깨끗히 씻은 후 상기 용기(100)에 담아놓고 정량이 들어갔는지 검수를 한 후 상기 커버(200)로 완전히 밀봉을 한 다음 냉장 운반하여 패스트푸드점, 간이음식점, 테이크아웃점, 음료 판매점 등의 매장에 납품하는 경우, 유통과정 중 상기 용기(1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할 수 있는 위생상태로 유통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돌기(111)와 대응돌기(20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모양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111)는 잠김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모양을 이루며, 상기 대응돌기(203)는 풀림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모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걸림돌기(111)와 대응돌기(203)가 서로 맞닿았을시 약간의 걸림이 발생하게 되나, 보다 강한 외력으로 상기 커버(200)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200)는 개구부(110)와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완전히 결합된 후 풀림방향으로 상기 커버(200)를 회전시키면 강한 걸림이 발생되는바, 상기 커버(200)를 개구부(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아주 강한 외력을 가하면서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밀폐력이 현저히 향상되는바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커버(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으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아 최상의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돌기(203)가 걸림돌기(111)에 완전히 걸려 상기 용기(100)가 밀폐되는 시점에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완전히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응돌기(203)와 걸림돌기(111)에 의해 상기 용기(100)와 커버(200)가 완전히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완전히 삽입되므로 상기 용기(100)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외부 회전수단(400)에 의해 분쇄 및 혼합을 하더라도 음식물이 상기 용기(100) 밖으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되는바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최초 납품업체가 대량으로 과일이나 채소 등이 담긴 상기 용기(100)를 매장에 납품하는 경우 납품 전 상기 용기(100) 내에 과일이나 채소 등이 정량으로 수용되어 있는지 검수를 하게 되는데, 상기 검수 전에는 상기 대응돌기(203)가 걸림돌기(111)에 걸리기 전 지점까지 상기 개구부(110)에 커버(200)가 나사결합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검수과정에서 정량으로 들어있지 않은 경우 이를 보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용기(100) 내에 과일이나 채소 등이 정량으로 수용되어 있다는 검수를 마친 후 납품업체측에서는 상기 대응돌기(203)가 걸림돌기(111)에 완전히 걸리도록 하여 상기 용기(100)를 밀폐시켜 매장으로 유통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검수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 상기 외측수밀환테(202)는 상기 대응돌기(203)가 걸림돌기(111)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진입되도록 상기 내측수밀환테(201)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수밀환테(202)가 내측수밀환테(201)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검수 전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외측수밀환테(202)와 맞닿거나,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삽입되는바 강한 밀폐력이 생기게 되어 검수시 부족분의 과일이나 채소 등을 상기 용기(100) 내에 손쉽게 담을 수 없게 된다.
또한, 내측수밀환테(201)는 외측수밀환테(202)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검수 전 상기 커버(200)가 개구부(110)와 나사결합시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 내측은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접하게 된다. 이는 상기 개구부(110)에 커버(200)가 끼워지는 지점을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소비자가 상기 커버(200)를 용기(100)로부터 분리시켜 음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대응돌기(203)가 걸림돌기(111)에 걸려있는 경우 상기 커버(200)를 분리시킴에 있어 강한 외력이 필요하므로, 음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에는 음식물이 유출되는 음용구(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용구(210)를 덮는 음용구덮개(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용구덮개(220)의 내측에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시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음용구(210) 내에 끼워지는 음용구리브(2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음식물의 분쇄 및 혼합시 상기 용기(100)를 거꾸로 세우므로 상기 음용구(210)를 통해 음식물의 일부가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음용구리브(221)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막(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봉막(222)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음용구(210) 내에 음용구리브(221)가 끼워진 경우 발생되는 틈 사이를 견고하게 막게 된다.
또한, 과일이나 채소 등의 주스를 판매하는 매장에서 소비자가 주문한 해당 과일이나 채소 등이 담긴 음식물 분쇄용기를 받았을 때 상기 용기(100)를 그 전에 다른 소비자가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위생적인 상품을 제공하고자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막(222)이 음용구덮개(220)를 처음 개방하기 전까지 상기 음용구(210) 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음용구(210) 내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밀봉막(222)은 상기 음용구덮개(220)를 처음 개방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구(210)로부터 절취되어 상기 음용구리브(221)에만 부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주문한 상품을 받은 후 상기 밀봉막(222)이 절취되는 저항감을 느낌으로써 상기 용기(100)의 사용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시 상기 분쇄날 축(320)은 외부 회전수단(400)과 결합되고, 상기 커버(200)는 믹서기와 같은 외부 회전수단(400)과 맞닿게 되는데, 분쇄 및 혼합을 위해 외부 회전수단(400)의 회전시 상기 용기(10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일측에는 외부 회전수단(400)에 고정되는 고정돌기(20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회전수단(400)에는 상기 고정돌기(204)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204)의 높이는 상기 음용구덮개(22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부 회전수단(400)에 고정시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 회전수단(400)에는 상기 음용구덮개(220)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204)는 외부 회전수단(400)과 결합시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상기 음용구(210)로부터 이탈된 상기 음용구덮개(2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음용구덮개(220)는 커버(200)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음용구덮개(220)는 음용구(210)로부터 이탈된 후 회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204)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2개의 고정돌기(204)가 상기 커버(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구덮개(220)의 일측에는 끼움돌기(2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223)는 상기 음용구덮개(220)가 회동하여 상기 음용구(210)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고정돌기(20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음용하고자 상기 음용구덮개(220)를 개방한 후 상기 고정돌기(204) 사이에 끼움으로써 음용시 상기 음용구덮개(220)로 인한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음용구덮개(22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 내에 수용되는 과일이나 채소 등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납품업체나 매장에서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되게 되는바,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된 과일이나 채소 등은 상기 용기(100) 내부 바닥면에 붙게 되어 분쇄 및 혼합을 위해 상기 용기(100)를 거꾸로 세울 시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은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되, 외부에서 가압시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의 가압은 소비자가 손으로 외력을 가할 수도 있고, 외부 회전수단(400)을 통해 가압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 예로 소비자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고자 외부 회전수단(400)에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를 고정한 후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을 가압함으로써 바닥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을 상기 분쇄날(310)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쇄부(300)는 분쇄날(310)과, 분쇄날 축(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분쇄날 축(320)은 상기 커버(200)를 관통하여 일단에 분쇄날(310)이 결합되고, 타단에 외부 회전수단(400)이 결합되는바, 상기 분쇄날(310) 축 부근으로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일부가 유출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도 4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 축(320)을 둘러싸며 상기 커버(200)에 부착되거나 실링부재(3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30)는 상기 커버(200)에 부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200)와 맞닿아 끼워지는 경우를 포함하나, 상기 분쇄날 축(320)의 회전시 상기 실링부재(330)가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20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는 커버(20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0)와 커버(200)가 결합시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음식물이 용기(100)와 커버(200)가 결합한 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외부 회전수단(400)에 직접 분쇄 및 혼합을 하는데 있어 위생적으로 조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용구리브(221) 둘레를 따라 밀봉막(222)이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이 음용구(21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200)에 부착되며 분쇄날 축(320)을 둘러싸는 실링부재(330)로 인해 상기 분쇄날 축(320) 부근에서의 음식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인 음식물 분쇄용기를 거꾸로 세워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여도 용기(100)와 커버(200)가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200)상의 틈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이 사용자의 신체에 묻거나 믹서기와 같은 외부 회전수단(40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용기 110 : 개구부
111 : 걸림돌기 200 : 커버
201 : 내측수밀환테 202 : 외측수밀환테
203 : 대응돌기 204 : 고정돌기
210 : 음용구 220 : 음용구덮개
221 : 음용구리브 222 : 밀봉막
223 : 끼움돌기 300 : 분쇄부
310 : 분쇄날 320 : 분쇄날 축
330 : 실링부재 400 : 외부 회전수단

Claims (8)

  1. 상단에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0)와; 상기 개구부(110)와 결합되는 커버(200)와; 상기 커버(20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회전수단(400)에 의해 상기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부(300);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내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0)와 커버(200)가 결합시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0)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내측면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111)에 걸리는 대응돌기(203)가 형성되어,
    상기 대응돌기(203)가 걸림돌기(111)에 완전히 걸려 상기 용기(100)가 밀폐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는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수밀환테(202)는 상기 대응돌기(203)가 걸림돌기(111)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내측수밀환테(201)와 외측수밀환테(202) 사이에 진입되도록 상기 내측수밀환테(201)보다 낮게 형성되어, 검수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에는 음식물이 유출되는 음용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구(210)를 덮는 음용구덮개(22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음용구덮개(220)의 내측에는 상기 음용구(210) 내에 끼워지는 음용구리브(221)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구리브(221)에는 둘레를 따라 밀봉막(222)이 형성되어 상기 음용구(210)를 통한 음식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222)은 상기 음용구(210) 내에 부착되되, 상기 음용구덮개(220)를 음용구(210)로부터 처음 개방시 절취되어 상기 용기(100)의 사용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에는 외부 회전수단(400)과 결합가능한 다수의 고정돌기(204)와 음식물이 유출되는 음용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구(210)를 덮으며 힌지결합된 음용구덮개(22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음용구덮개(220)의 일측에는 끼움돌기(22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음용구덮개(220)가 회동하여 상기 음용구(210)가 개방된 경우 상기 끼움돌기(223)가 고정돌기(20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은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되,
    외부에서 가압시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되어 상기 용기(100) 내의 바닥면에 붙어있던 음식물이 용이하게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300)는 음식물을 분쇄 및 혼합하는 분쇄날(310)과, 상기 커버(200)를 관통하여 일단에 상기 분쇄날(310)이 결합되고 타단에 외부 회전수단(400)이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분쇄날 축(320)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200)에 부착되며 상기 분쇄날 축(320)을 둘러싸는 실링부재(330)가 더 포함되어 상기 분쇄날 축(320) 부근에서의 음식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용기.
KR1020120140525A 2012-12-05 2012-12-05 음식물 분쇄용기 KR10141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25A KR101415264B1 (ko) 2012-12-05 2012-12-05 음식물 분쇄용기
TW102102030A TWI511694B (zh) 2012-12-05 2013-01-18 食物粉碎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25A KR101415264B1 (ko) 2012-12-05 2012-12-05 음식물 분쇄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703A KR20140072703A (ko) 2014-06-13
KR101415264B1 true KR101415264B1 (ko) 2014-07-04

Family

ID=5112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525A KR101415264B1 (ko) 2012-12-05 2012-12-05 음식물 분쇄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5264B1 (ko)
TW (1) TWI5116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264B1 (ko) * 2016-02-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믹서기
DK180133B1 (en) * 2018-11-07 2020-06-09 Atline Aps Device for automated and contamination-free sampling and analysi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75Y1 (ko) * 2004-02-26 2004-05-20 김종열 믹서기용 용기
KR200360217Y1 (ko) * 2004-05-12 2004-08-27 형성훈 정제분쇄기의 흡진장치
KR20110011287A (ko) * 2009-07-28 2011-02-08 (주)흥국에프엔비 일회용 음료용기
KR20120091904A (ko) * 2011-02-10 2012-08-20 (주)흥국에프엔비 분쇄날을 구비한 휴대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56139U (en) * 2004-04-21 2005-02-01 Ming-Sung Chen Beverage stirrer
TWM259562U (en) * 2004-08-02 2005-03-21 Eucore Entpr Co Ltd Juicer with safety starting device
KR200465636Y1 (ko) * 2010-08-31 2013-03-04 (주)흥국에프엔비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KR101256285B1 (ko) * 2011-02-10 2013-04-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토크 센싱 및 감속 기능 구비 캠 기반 통합 안전 관절 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75Y1 (ko) * 2004-02-26 2004-05-20 김종열 믹서기용 용기
KR200360217Y1 (ko) * 2004-05-12 2004-08-27 형성훈 정제분쇄기의 흡진장치
KR20110011287A (ko) * 2009-07-28 2011-02-08 (주)흥국에프엔비 일회용 음료용기
KR20120091904A (ko) * 2011-02-10 2012-08-20 (주)흥국에프엔비 분쇄날을 구비한 휴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1694B (zh) 2015-12-11
TW201422184A (zh) 2014-06-16
KR20140072703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30B1 (ko) 냉동 식품에 기초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어셈블리
JP2008545467A (ja) 混合用組立体
WO2012034246A1 (es) Maquina licuadora compacta para jugos de frutas
US20130140314A1 (en) Introduced in a sealed recipient to accommodate food products with one or more compartments
KR101415264B1 (ko) 음식물 분쇄용기
US20050105387A1 (en) Drink bottle with integrated mixing blades
KR200452983Y1 (ko) 일회용 분쇄기
WO2018134573A1 (en) Blending apparatus
KR101628633B1 (ko) 얼음분쇄겸용 음식물 믹서기
KR101477737B1 (ko) 음료제조기
KR101260959B1 (ko) 분쇄날을 구비한 휴대용기
US20160353787A1 (en) Method of Making Smoothies and Prepackaged Frozen Smoothie Products
KR101049060B1 (ko) 일회용 음료용기
US20240158140A1 (en) Reusable storage container
WO2015003101A2 (en) Container lid co 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2002002890A (ja) 食品製造装置
JP2002078454A (ja) 食品製造方法
KR101391969B1 (ko) 분말 혼입형 뚜껑
CN208217495U (zh) 一种设置有托盘式桶盖的侧向出水饮料桶
JP2002000468A (ja) 食品製造装置
JP2002000469A (ja) 食品製造装置
AU2013200579B2 (en) Essence Extractor
JP2002000470A (ja) 食品製造装置及び食品製造方法
CN113993396A (zh) 用于输送新鲜水果和/或蔬菜加工产品的装置
KR20170095048A (ko)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