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048A -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 Google Patents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048A
KR20170095048A KR1020160016544A KR20160016544A KR20170095048A KR 20170095048 A KR20170095048 A KR 20170095048A KR 1020160016544 A KR1020160016544 A KR 1020160016544A KR 20160016544 A KR20160016544 A KR 20160016544A KR 20170095048 A KR20170095048 A KR 20170095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drum
juice
net
cle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086B1 (ko
Inventor
박정철
김동욱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0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 착즙된 펄프가 다시 착즙될 수 있도록,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와 망드럼(250)을 포함하는 스크류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주서기로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상기 제 2 스크류(220)는 상기 망드럼(250) 내에서 상호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A juicer having double-spaced screws}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맞물리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직형 원심분리식 주서기(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3504호, 이하, 주서기)는, 과일, 채소 등의 착즙대상물을 투입되어 절단, 이송, 분쇄, 압착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스크류는 드럼 내측에 구비되고, 메쉬망을 포함하여, 착즙대상물이 메쉬망과 드럼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착즙이 이루어지고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된다.
착즙물과 펄프는 드럼 하부에 별도로 모이며, 각각의 배출구를 통하여 분리되어 배출된다.
경우에 따라 스크류에 메쉬망이 구비되지 않고, 드럼과 스크류 사이에 별도의 망드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주서기를 사용하여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착즙대상물을 분리하여 그 주스만을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주서기의 착즙물 배출부 아래에 용기를 위치시키고 주서기를 작동시키면, 착즙대상물로부터 주스와 같은 착즙물이 용기에 구분되어 수용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주서기를 이용하여 착즙을 가장 많이 하는 착즙대상물은 과일이며, 과일을 착즙함으로써 주스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주서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주서기는 덮개(100), 스크류 조립체(200), 드럼(300), 본체(400)를 포함한다.
덮개(100)에는 주입구(13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주입구(130)를 통하여 덮개(10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착즙대상물을 드럼(300)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다. 덮개(100)의 하부 측면에는 드럼(300)과 연결을 위한 결착턱(120)이 구비된다.
스크류 조립체(200)는 본체(400)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등의 동력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드럼(300)과 함께 작용하여 착즙대상물을 착즙한다.
스크류 조립체(200) 내부에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회전축 상부(211)는 덮개(100) 하부의 회전축 고정홈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하측에는 각형축공이 위치하여 이는 본체(400)의 각형축(410)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스크류 조립체(200) 상부는 원뿔형이어서 드럼(300)의 상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주입구(130)로부터 착즙대상물이 주입되면 해당 공간에 투입된다.
스크류 조립체(200)에는 스크류 리브(212)가 위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 리브(212)가 해당 공간에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절단, 분쇄, 압착한다. 즉, 스크류 조립체(200) 및 스크류 리브(212)와, 드럼(300) 및 드럼의 리브(321) 상호 작용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이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어,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면을 따라 유동한다.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에는 메쉬망(270)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착즙물은 메쉬망(270)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측에서만 유동한다. 유동한 착즙물과 펄프는 모두 자중에 의하여 하방에서 드럼(300)에 모인다.
드럼(300) 역시 본체(400)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내부 공간에는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0) 내벽면의 리브와 스크류 조립체(200)의 상호 작용으로 착즙이 이루어진다.
드럼(300)의 내측 하부면에는, 안내턱(미도시)에 의하여 구분되는 방사상 외측의 제 1 가이드홈과 방사상 내측의 제 2 가이드홈이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스크류 조립체(200) 내측으로 유동한 착즙물은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고, 스크류 조립체(200) 외측으로 유동한 펄프는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한다.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는 펄프는 제 1 배출부(3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는 착즙물은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 1 배출부(340)에는 배출 저항 부재(342)가 구비될 수 있어서, 펄프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드럼(300)에서 연장된 배출 부재(341)의 외측에 배출 저항 부재(342)가 위치하며, 사용자는 가장 외측의 배출 조절부(343)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 저항 부재(342)를 회전시키고,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44)가 구비된다.
제 2 배출부(360)는 드럼(300)에서 연장된 배출 부재(361)과 그 외측에 구비되는 덮개(3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구성이자, 드럼(3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400) 내측에는 모터 등의 동력 부재(미도시)가 실장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축부재(410)를 통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축부재(410) 주변에는 드럼(300)의 하부면에 삽입되어 드럼(3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돌기(440)가 위치한다.
본체(400)의 일측에는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드럼(300)의 외부 일측이 닿을 수 있는 드럼 지지체(430)가 위치하며, 고정시 드럼(300)은 드럼 지지체(430)의 드럼 지지면(432)에 닿게 된다. 드럼 지지 부재(431)로 고정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체(400)에는 작업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60)와 주서기 조작을 위한 조작부(470)가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종래의 주서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주입구(130)를 통해 과일, 채소 등의 착즙대상물을 투입하며, 전원을 인가시켜 주서기를 작동시키면 펄프와 착즙물로 구분되어 각각 제 1 배출부(340)와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별도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배출된 착즙물인 주스만을 음용하고 펄프는 버리게 된다.
그런데, 예를 들어 과일을 착즙하는 경우, 버리게 되는 펄프에 상당량의 과즙이 포함된 경우가 있다.
특히, 펄프가 육안으로 보이기에, 과즙이 포함된 펄프를 버리기 아까워하는 사용자는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배출된 펄프를 주입구(130)를 통하여 다시 주입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자, 착즙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속으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저속 회전에 의하여 배출되는 착즙물에 비교하여 식감이 좋지 못하고 높은 출력의 스크류 회전으로 인하여 영양소 파괴가 상당하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한국공개번호 10-2014-0033543호는, 이중 스크류를 갖는 착즙기를 개시한다. 여기에서는, 펄프가 배출되는 배출부 측에 스크류가 구비되는데, 도 1의 경우라면 제 1 배출부(340)에 별도의 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이다. 본 종래기술 역시 본체 스크류의 저속 회전은 유지하면서도 버려지는 펄프에서 1회 더 착즙하여 보다 많은 착즙물을 생성하기 위함이나, 작을 수 밖에 없는 배출부에 구비된 작은 스크류의 착즙 효율은 매우 낮으며, 해당 스크류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부재가 적절하게 위치할 수 없는 구조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종래기술이 구현이 어려움을 알 것이다.
본 종래기술 이외에도, 주서기에 있어서 이중 스크류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166555, 중국공개공보 CN 204734318U, 중국공개공보 CN 203106741U 등에서도 이중 스크류를 이용하는 주서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들에서는 이중 스크류가 맞물려서 회전하며 그 사이의 공간으로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것이기에, 실질적으로 펄프를 다시 착즙시키는 구조가 아니며 단지 스크류가 맞물리는 착즙력을 이용하는 것에 불과하다.
(특허문헌 1) KR 10-1013504 B1
(특허문헌 2) KR 10-2014-0033543 A
(특허문헌 3) KR 20-0166555
(특허문헌 4) CN 204734318U
(특허문헌 5) CN 203106741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버려지는 펄프에 과즙 등이 남지 않도록 추가 착즙이 가능한 주서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와 망드럼(250)을 포함하는 스크류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주서기로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상기 제 2 스크류(220)는 상기 망드럼(250) 내에서 상호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210)의 상부는 원뿔형이고, 상기 제 2 스크류(220)의 하부는 역원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210)의 상기 상부와 상기 망드럼(250) 사이에 주입 공간(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크류(210)의 상기 하부와 상기 망드럼(250) 사이에 이송 공간(2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공간(223)은 상기 주입 공간(213)보다 그 체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망드럼(250)은, 상기 제 1 스크류(210) 및 상기 제 2 스크류(220)의 외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5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 공간(213)으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은 상기 제 1 스크류(210)의 회전에 의하여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어 하강하고, 상기 분리된 펄프가 상기 이송 공간(223)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과,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은, 상기 메쉬망(257)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서기는, 상기 망드럼(25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가 안착되는 안착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500)의 최상부에는 스크류 안착부(510)가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는 상기 망드럼(250)이 결착되는 안내턱(515)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안내턱(515)을 기준으로 내측에 제 1 가이드홈(513)이 위치하고 외측에 제 2 가이드홈(514)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의 일측에는, 일단이 상기 제 2 가이드홈(514)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서기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제 2 배출부(518)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과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은, 상기 메쉬망(257)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514)을 통하여 상기 제 2 배출부(5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펄프는, 상기 제 1 가이드홈(513)을 통과하여 상기 이송 공간(223)을 통해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이송된 후 이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망드럼(250)의 상측 일부에 배출구(254)가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254)는 상기 제 2 스크류(220)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상기 제 2 스크류(220) 중 어느 하나는 동력부재에 의하여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동력부재에 연결된 한 쌍의 기어(533)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상기 제 2 스크류(220)는 각각 동력부재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서기는 상기 동력부재가 포함된 본체(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500)는 상기 본체(400)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500)는,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520)와, 그 하부에 위치하는 기어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와 상기 연결부(520) 상에는 각각 한 쌍의 관통공(511, 512)(521, 522)이 위치하며, 상기 기어부(530)에 상기 한 쌍의 기어(533)가 위치하며, 상기 기어(533)에서 돌출된 한 쌍의 각형축(531, 532)이 상기 관통공(511, 512)(521, 522)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400)의 동력부재는 축부재(41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기어(5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측에는 상기 축부재(410)가 삽입되는 축부재 삽입공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서기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를 둘러싸는 드럼(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400)의 상부면 일측에는 드럼 지지체(430)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400)의 상부면 양측과 상기 드럼 지지체(430)의 상부면 일측에는 드럼 고정 부재(431)가 위치하여, 상기 드럼(300)과 상기 본체(40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 고정 부재(431)의 해제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와 상기 드럼(300)이 상기 본체(40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맞물리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중 스크류에 의하여 1차 착즙된 펄프가 추가 착즙될 수 있어서, 착즙 효율이 매우 높다.
이를 통하여 버려지는 펄프를 최소화하여, 다른 일반적인 주서기보다 착즙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종래 기술과 달리, 동력부재의 위치가 자연스러워서 효율적 장비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구성 부품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바, 사용자가 세척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서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제 1 스크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제 2 스크류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망드럼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스크류 안착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주서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동일한 원리가 주서기 이외의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믹서기, 녹즙기 등에도 본 발명의 범위가 미칠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착즙대상물"은 주서기에 의하여 착즙되는 대상물이다. 예를 들어, 과일, 야채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나,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착즙"은 착즙대상물이 주서기 내에서 절단, 이송, 압착, 분쇄 등의 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착즙물"은 착즙대상물이 메쉬망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수준으로 착즙되어 배출되는 일종의 액체이고 "펄프"는 메쉬망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착즙되지 못하여 배출되는 일종의 고체를 의미한다. 물론, 액체와 고체로 완전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결과적으로 메쉬망을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착즙물과 펄프의 구분이 가능하다. 즉, 메쉬망을 구성하는 공극의 크기를 달리 함으로써 착즙물과 펄프의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다.
"펄프"는 찌꺼기일 수도 있으나, 또는 음용시 식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즙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를 착즙한 경우 오렌지주스가 착즙물이 되고 알갱이 등이 펄프가 될 수 있는데, 사용자에 따라 펄프(즉, 오렌지 알갱이 등)를 오렌지주스와 함께 음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펄프가 찌꺼기가 되어 별도로 배출되어 벼려질 수 있으나, 함께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펄프(즉, 오랜지 알갱이 등)가 착즙물과 함께 배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주서기의 설명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설명한다. 주서기는 덮개(100), 스크류 조립체(200), 드럼(300), 본체(400) 및 안착부(500)를 포함하는바, 각각을 설명한다.
1.1 덮개(100)
덮개(100)는 드럼(300)의 상부면 일측을 덮도록 고정되는 구성으로, 착즙대상물이 착즙되는 과정에서 착즙물 유출 및 비산 방지 및 사용자 보호를 위하여 드럼(300)의 내부 공간 및 여기에 구비된 스크류 조립체(2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덮개(100)는 사용자의 주서기 세척을 용이하게 하도록 드럼(3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덮개(100)에는 주입구(13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주입구(130)를 통하여 덮개(10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착즙대상물을 드럼(300)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다.
1.2 드럼(300)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드럼(300)을 먼저 설명한다.
드럼(300)의 상부에는 덮개(100)가 결착되고, 하측에는 본체(400)가 연결된다.
드럼(300)은 그 내측에 스크류 조립체(200)와 안착부(500)가 위치하고, 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 있다.
드럼(300)의 상부에는 덮개 연결구(310)와 제 1 배출부 연결구(349)가 위치한다.
덮개 연결구(310)는 덮개(100)가 결착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구성이며, 그 내측에는 스크류 조립체(200)의 망드럼(250)의 주입구(253)가 내삽된다. 이를 통하여, 덮개(100)의 주입구(130)를 통하여 주입된 착즙대상물은 덮개 연결구(310) 및 주입구(253)를 통하여 망드럼(250) 내측으로 유입된다.
제 1 배출부 연결구(349)는 상측에 제 1 배출부(340)가 결착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구성이며, 그 내측에는 스크류 조립체(200)의 망드럼(250)의 배출구(254)가 내삽된다. 이를 통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2회 착즙된 펄프가, 배출구(254), 제 1 배출부 연결구(349) 및 제 1 배출부(3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1.3 스크류 조립체(200)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200)는,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와, 망드럼(250)을 포함한다.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는 망드럼(250) 내에서 상호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착즙대상물은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에서 2회 착즙된다.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는, 후술하는 본체(400)에 포함된 동력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구체적으로,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 중 어느 하나는 동력부재의 축부재(410)에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받고, 다른 하나는 축부재(410)에 연결된 기어(533)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받는다. 도면에서는 제 1 스크류(210)가 축부재(410)에 직접 연결되도록 도시되는데, 제 2 스크류(210)가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동력부재가 구비되고, 각각에서 축부재가 돌출되어, 기어 없이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에 개별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스크류(21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스크류(210)는 망드럼(250) 내측에 위치하되, 착즙대상물이 주입되는 덮개 연결구(310) 측에 위치한다.
제 1 스크류(210)의 상부는 원뿔형이고 하부는 원통형이다. 이에 따라, 제 1 스크류(210)의 원뿔형 상부와 망드럼(250) 사이에 주입 공간(213)이 형성된다. 주입 공간(213)은 덮개 연결구(310)를 통과한 착즙대상물이 1차적으로 주입되는 공간이다.
제 1 스크류(210)의 외면에는 스크류 리브(212)가 형성된다. 스크류 리브(212)는 망드럼(250)의 내벽면과의 상호 작용으로 착즙대상물을 절단, 분쇄, 압착하여 착즙한다.
제 1 스크류(210)의 상부에는 회전축 상부(211)가 위치한다. 회전축 상부(211)는 망드럼(250)의 상부면의 고정부(251)에 삽입되어, 제 1 스크류(21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이를 정위치시킨다.
제 1 스크류(210)의 하부에는 각형축공(미도시)이 위치한다. 각형축공에는 후술하는 기어부(530)의 각형축(531)이 삽입되어, 제 1 스크류(2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스크류(22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스크류(220) 역시 망드럼(250) 내측에 위치하되, 제 1 배출부(340) 측에 위치한다.
제 2 스크류(220)는 제 1 스크류(210)와 반대로 상부가 원통형이고 하부가 역원뿔형이다. 이에 따라, 제 2 스크류(220)의 역원뿔형 하부와 상기 망드럼(250) 사이에 이송 공간(223)이 형성된다. 이송 공간(223)은 제 1 스크류(210)에서 착즙되어 분리된 펄프가 제 2 스크류(220)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공간이다. 따라서, 주입 공간(213)의 체적은 비교적 크기가 큰 착즙대상물을 수용할 정도로 커야 하지만, 이송 공간(223)의 체적은 어느 정도 절단, 분쇄, 압착된 펄프만 수용하면 족하며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그 체적이 크지 않아도 되는바, 주입 공간(213)의 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스크류(220)의 외면에도 스크류 리브(222)가 형성된다. 스크류 리브(222)는 망드럼(250)의 내벽면과의 상호 작용으로 1차 착즙된 펄프를 다시 절단, 분쇄, 압착하여 착즙한다.
제 2 스크류(220)의 상부에도 회전축 상부(221)가 위치한다. 회전축 상부(221)는 망드럼(250)의 상부면의 고정부(252)에 삽입되어, 제 2 스크류(2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이를 정위치시킨다.
제 2 스크류(220)의 하부에도 각형축공(미도시)이 위치한다. 각형축공에는 후술하는 기어부(530)의 각형축(532)이 삽입되어, 제 2 스크류(22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망드럼(250)을 설명한다.
망드럼(250)은,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의 외측에 위치하여, 이들을 둘러싼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망드럼(250)의 내벽면이 제 1 스크류(210), 제 2 스크류(220) 및 각각의 스크류 리브(212, 222)와 상호 작용하여 착즙대상물 또는 펄프를 절단, 분쇄, 압착하여 착즙한다.
상호 맞물리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를 모두 수용하면서도,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와 망드럼(250) 사이의 간격이 좁아야 하므로, 망드럼(250)의 형상은 2개의 원통이 합쳐진 "8자" 형태를 띄게 된다.
망드럼(250)의 상부면는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의 회전축 상부(211, 212)를 수용하는 고정부(251, 252)가 위치한다.
망드럼(250)의 제 1 스크류(210) 측 상부에는 주입구(253)가 돌출되어 위치한다. 주입구(253)는 드럼(300)의 덮개 연결구(310)에 밀봉되게 내삽된다.
망드럼(250)의 제 2 스크류(220) 측 상부에는 배출구(254)가 돌출되어 위치한다. 배출구(254)는 드럼(300)의 제 1 배출부 연결구(349)에 밀봉되게 내삽된다.
망드럼(250)은 하우징(255)과 그 측면에 메쉬망(257)을 포함한다. 메쉬망(257)은 착즙대상물이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은 통과시키고 펄프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즉, 메쉬망(257)에 의하여 착즙물과 펄프가 분리된다.
망드럼(250)의 하부면에는 결착턱(258)이 위치한다. 결착턱(258)은 스크류 안착부(510)에 형성된 안내턱(515)에 결합된다. 안내턱(515)과 결합된 결착턱(258)에 의하여 메쉬망(257) 밖으로 유동한 착즙물과 메쉬망(257) 밖으로 유동하지 못한 펄프는 다시 섞이지 않는다.
도 4를 함께 참고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작동 원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주입 공간(213)으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은 제 1 스크류(210)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스크류(210)의 망드럼(250)의 상호 작용으로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고, 이들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다. 이 때에 대부분의 착즙물은 메쉬망(257)을 통과하여 망드럼(250)의 외면을 따라 하강하고, 펄프는 메쉬망(257)을 통과하지 못하여 망드럼(250)의 내면을 따라 하강한다.
망드럼(250)의 내면을 따라 하강한 펄프는 후술하는 스크류 안착부(510)의 제 1 가이드홈(513)을 통과하여 제 2 스크류(220)의 이송 공간(223)으로 유입되며, 이 때에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된다.
제 1 스크류(210)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 2 스크류에 의하여, 펄프는 상승하면서 제 2 스크류(220)와 망드럼(250)의 상호 작용으로 2차 착즙되어 착즙물이 더 분리된다. 분리된 착즙물은 다시 메쉬망(257)을 통과하여 망드럼(250)의 외면을 따라 하강하고, 펄프는 여전히 메쉬망(257)을 통과하지 못하여 망드럼(250)의 내면을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배출구(254)에 이르게 된다.
배출구(254)에 이른 펄프는 제 1 배출부 연결구(349) 및 제 1 배출부(3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망드럼(250)의 외면을 따라 하강한 착즙물들, 다시 말하여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과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은, 메쉬망(257)을 통과하고, 후술하는 스크류 안착부(510)의 제 2 가이드홈(514)을 통하여 제 2 배출부(5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1.4 본체(400)
본체(400)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미도시)가 실장되고, 동력부재(미도시)에 연결된 축부재(41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안착부(500)를 통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에 동력을 제공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동력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하나의 축부재(410)가 돌출되고, 이에 연결된 한 쌍의 기어(533)에 의하여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 모두에 동력을 제공하였으나, 두 개의 동력부재가 마련되어 각각의 스크류에 별도로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축부재(410)에 인접하여 고정 돌기(440)가 위치한다. 고정 돌기(440)는 안착부(500)의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안착부(500)를 견고히 고정한다.
본체(400)의 상부면 일측에는 드럼 지지체(430)가 위치하여, 드럼(300)의 측면이 이에 닿음으로써 드럼(300)을 견고히 지지한다.
본체(400)의 상부면 양측과 드럼 지지체(430)의 상부면 일측에는 드럼 고정 부재(431)가 위치한다. 드럼 고정 부재(431)는 드럼(300)과 본체(400)를 고정시키며, 사용자가 이를 해제하는 경우, 드럼(300)과 이에 포함된 스크류 조립체(200) 및 안착부(500)가 본체(400)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사용자의 세척이 편리하다.
1.5 안착부(500)
망드럼(250) 하측에 안착부(500)가 위치한다.
안착부(500)는, 상측에서부터 차례로 스크류 안착부(510), 연결부(520) 및 기어부(530)를 포함한다.
기어부(530)는 안착부(500)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며, 한 쌍의 기어(533)가 구비된다.
한 쌍의 기어(533)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는 축부재(410)가 삽입되는 축부재 삽입공(미도시)이 구비되어, 동력부재(미도시)에 연결된 축부재(4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한 쌍의 기어(533)의 각각의 상측에는 각형축(531, 532)이 위치하며, 각형축(531, 532)은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의 하측의 각형축공(미도시)에 각각 삽입된다.
연결부(520)는 기어부(530)의 상측에 위치한다. 연결부(520)에는 한 쌍의 각형축(531, 532)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관통공(521, 522)이 위치한다.
스크류 안착부(510)는 연결부(520)의 상측에 위치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안착부(510)에도 한 쌍의 각형축(531, 5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관통공(511, 512)이 위치한다. 즉, 한 쌍의 기어(533)의 각형축(531, 532)은 관통공(511, 512)(521, 522)을 각각 관통하여 제 1 스크류(210) 및 제 2 스크류(220) 하측의 각형축공(미도시)에 삽입된다.
스크류 안착부(510)의 상부면은 안내턱(515)이 돌출되어 위치하며, 안내턱(515)을 기준으로 내측에 제 1 가이드홈(513)이 위치하고 외측에 제 2 가이드홈(514)이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턱(515)에는 망드럼(250)의 결착턱(258)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메쉬망(257)을 통과하여 망드럼(250)의 외벽면을 따라 하강한 착즙물은 외측의 제 2 가이드홈(514)을 따라 유동하고, 메쉬망(257)을 통과하지 못하여 망드럼(250)의 내벽면을 따라 하강한 펄프는 내측의 제 1 가이드홈(513)을 따라 유동한다.
스크류 안착부(510)의 일측에는 주서기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제 2 배출부(518)가 위치한다. 즉, 제 2 배출부(518)는, 일단이 제 2 가이드홈(514)과 연결되고 타단이 주서기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2 배출부(518)는 제 2 가이드홈(514)과 연결되어 있기에, 제 2 가이드홈(514)을 따라 유동한 착즙물, 다시 말하면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과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이 모두 제 2 가이드홈(514)을 통과한 후 제 2 배출부(5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2. 주서기의 작동 방법의 설명
사용자는 주입구(130)를 통하여 착즙대상물을 주서기에 투입시킨 후, 또는 이와 동시에 주서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주서기를 작동시킨다.
이 경우, 착즙대상물은, 그 자중에 의하여, 주입구(130), 덮개 연결구(310) 및 주입구(25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망드럼(250) 내측의 제 1 스크류(210) 쪽의 주입 공간(213)에 투입된다.
제 1 스크류(210)가 회전하면서,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착즙대상물이, 절단, 분쇄, 압착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고, 분리된 착즙물과 펄프는 하강한다.
이 때에, 착즙물은 메쉬망(257)을 통과하여 망드럼(250)의 외벽면을 따라 하강하고, 펄프는 메쉬망(257)을 통과하지 못하여 망드럼(250) 내측에서 내벽면을 따라 하강한다.
망드럼(250) 외벽면을 따라 하강한 착즙물은 제 2 가이드홈(514)에 이르고, 이를 통과하여 제 2 배출부(5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망드럼(250) 내벽면을 따라 하강한 펄프는 제 1 가이드홈(513)에 이른다. 안내턱(515)과 결착턱(258)이 결합되어 있는바, 펄프가 제 2 가이드홈(514)으로 진입하지 못한다.
펄프는 제 1 가이드홈(513)을 따라 유동하여 제 2 스크류(220)의 이송 공간(223)에 이른다.
제 2 스크류(220)는 제 1 스크류(2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펄프는 제 2 스크류(220) 및 그 스크류 리브(222)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된다.
제 2 스크류(220)가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송되는 펄프가 제 2 스크류(220) 및 망드럼(250)의 상호 작용으로 추가로 착즙되고, 이 때에 착즙물이 분리된다. 분리된 착즙물은 망드럼(250)의 메쉬망(257)을 다시 통과하여 망드럼(250)의 외벽면을 따라 하강하고, 이는 다시 제 2 가이드홈(514)에 이르게 되며 제 2 배출부(5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분리된 착즙물과 함께 배출된다.
여전히 분리되지 못한 펄프는 망드럼(250)의 내벽면을 따라 제 2 스크류(220)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며, 결국 배출구(254), 제 1 배출부 연결구(349) 및 제 1 배출부(3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덮개
120: 결착턱
130: 주입구
200: 스크류 조립체
210: 제 1 스크류
211, 221: 회전축 상부
212, 212: 스크류 리브
213: 주입 공간
220: 제 2 스크류
223: 이송 공간
250: 망드럼
251. 252: 고정부
253: 주입구
254: 배출구
255: 망드럼 하우징
257, 270: 메쉬망
258: 결착턱
300: 드럼
310: 덮개 연결구
321: 리브
340: 제 1 배출부
341: 배출 부재
342: 배출 저항 부재
343: 배출 조절부
344: 배출 연결부
349: 제 1 배출부 연결구
360: 제 2 배출부
361: 배출 부재
400: 본체
410: 축부재
430: 드럼 지지체
431: 드럼 고정 부재
432: 드럼 지지면
440: 고정 돌기
460: 디스플레이부
470: 조작부
500: 안착부
510: 스크류 안착부
511, 512, 521, 522, 531, 532: 관통공
513: 제 1 가이드홈
514: 제 2 가이드홈
515: 안내턱
518: 제 2 배출부
520: 연결부
530: 기어부
531, 532: 각형축
533: 기어

Claims (19)

  1.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와 망드럼(250)을 포함하는 스크류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주서기로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상기 제 2 스크류(220)는 상기 망드럼(250) 내에서 상호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의 상부는 원뿔형이고, 상기 제 2 스크류(220)의 하부는 역원뿔형인,
    주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의 상기 상부와 상기 망드럼(250) 사이에 주입 공간(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크류(210)의 상기 하부와 상기 망드럼(250) 사이에 이송 공간(223)이 형성되는,
    주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공간(223)은 상기 주입 공간(213)보다 그 체적이 작은,
    주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망드럼(250)은, 상기 제 1 스크류(210) 및 상기 제 2 스크류(220)의 외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57)을 포함하는,
    주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공간(213)으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은 상기 제 1 스크류(210)의 회전에 의하여 착즙되어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어 하강하고, 여기서 상기 분리된 펄프가 상기 이송 공간(223)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는,
    주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과,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은, 상기 메쉬망(257)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주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상기 망드럼(25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가 안착되는 안착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500)의 최상부에는 스크류 안착부(510)가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는 상기 망드럼(250)이 결착되는 안내턱(515)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안내턱(515)을 기준으로 내측에 제 1 가이드홈(513)이 위치하고 외측에 제 2 가이드홈(514)이 위치하는,
    주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의 일측에는, 일단이 상기 제 2 가이드홈(514)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서기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제 2 배출부(518)가 위치하는,
    주서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과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의하여 다시 착즙되어 분리된 착즙물은, 상기 메쉬망(257)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514)을 통하여 상기 제 2 배출부(5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 1 스크류(210)에 의하여 착즙되어 분리된 펄프는, 상기 제 1 가이드홈(513)을 통과하여 상기 이송 공간(223)을 통해 상기 제 2 스크류(220)에 이송된 후 이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송되는,
    주서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망드럼(250)의 상측 일부에 배출구(254)가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254)는 상기 제 2 스크류(220)의 상방에 위치하는,
    주서기.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상기 제 2 스크류(220) 중 어느 하나는 동력부재에 의하여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동력부재에 연결된 한 쌍의 기어(533)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서기.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상기 제 2 스크류(220)는 각각 동력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서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상기 동력부재가 포함된 본체(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500)는 상기 본체(400)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 사이에 위치하는,
    주서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500)는,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520)와, 그 하부에 위치하는 기어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510)와 상기 연결부(520) 상에는 각각 한 쌍의 관통공(511, 512)(521, 522)이 위치하며,
    상기 기어부(530)에 상기 한 쌍의 기어(533)가 위치하며, 상기 기어(533)에서 돌출된 한 쌍의 각형축(531, 532)이 상기 관통공(511, 512)(521, 522)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스크류(210)와 제 2 스크류(220)에 각각 연결되는,
    주서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00)의 동력부재는 축부재(41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기어(5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측에는 상기 축부재(410)가 삽입되는 축부재 삽입공이 위치하는,
    주서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를 둘러싸는 드럼(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400)의 상부면 일측에는 드럼 지지체(430)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400)의 상부면 양측과 상기 드럼 지지체(430)의 상부면 일측에는 드럼 고정 부재(431)가 위치하여, 상기 드럼(300)과 상기 본체(400)를 고정시키는,
    주서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고정 부재(431)의 해제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와 상기 드럼(300)이 상기 본체(4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주서기.
  19.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서기에 포함되는,
    스크류 조립체.
KR1020160016544A 2016-02-12 2016-02-12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KR102491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44A KR102491086B1 (ko) 2016-02-12 2016-02-12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44A KR102491086B1 (ko) 2016-02-12 2016-02-12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048A true KR20170095048A (ko) 2017-08-22
KR102491086B1 KR102491086B1 (ko) 2023-01-20

Family

ID=5975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544A KR102491086B1 (ko) 2016-02-12 2016-02-12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0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06741U (zh) * 2013-03-20 2013-08-07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一种双螺杆榨汁机
KR20150028033A (ko) * 2013-09-05 2015-03-13 코웨이 주식회사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06741U (zh) * 2013-03-20 2013-08-07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一种双螺杆榨汁机
KR20150028033A (ko) * 2013-09-05 2015-03-13 코웨이 주식회사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086B1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6010B2 (ja) ジューサー用搾汁モジュール
EP1510161B1 (en) Individualized blender
US20180221836A1 (en) Beverage Bottle
US5690021A (en) Strainer insert for blender
WO2019153713A1 (zh) 食物处理机
US9795240B2 (en)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KR101336733B1 (ko) 탈수겸용 믹서기
JP2016522728A (ja) 搾り滓開閉機構が備えられたジューサー
KR20140116049A (ko)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80118573A (ko) 착즙기
JP6568858B2 (ja) 着脱可能な搾汁スクリュー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ジューサー
JP2017524500A (ja) ソリッド網を含む搾汁装置及びそれを含むジューサー
KR20180057480A (ko)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75273Y1 (ko) 착즙기
KR20170095048A (ko)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CN209074298U (zh) 搅拌座组件、搅拌杯组件及料理机
CN203914638U (zh) 多边形搅拌机
KR20170013022A (ko) 이중 메쉬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101171A (ko) 상향식 착즙 구조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CN211066109U (zh) 多功能榨汁机
KR20150102414A (ko)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KR102478994B1 (ko) 당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