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357B1 -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357B1
KR102527357B1 KR1020160121739A KR20160121739A KR102527357B1 KR 102527357 B1 KR102527357 B1 KR 102527357B1 KR 1020160121739 A KR1020160121739 A KR 1020160121739A KR 20160121739 A KR20160121739 A KR 20160121739A KR 102527357 B1 KR102527357 B1 KR 10252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formulation
unit
dispensing devic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465A (ko
Inventor
박준수
구지영
장인지
서리
봉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357B1/ko
Priority to CN201780071919.1A priority patent/CN109982826B/zh
Priority to PCT/KR2017/010412 priority patent/WO2018056722A1/ko
Priority to US16/462,745 priority patent/US11172750B2/en
Publication of KR2018003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 및,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를 포함함으로써, 간편하고 편리하게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Hydrogel Discharg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에 관한 관심은 계속해서 증대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 많은 시간 및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확대 등으로, 여성들의 피부 미용 화장품, 피부관리 서비스, 피부 미용 기기에 대한 비용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남성들도 피부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재 마스크팩(mask pack) 시장 규모는 단일 소형가전 시장 규모와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했으며, 추후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코트라 산업트렌드 리포트(2015.09)에 따르면, 2015년 한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4천억원, 중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4.4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한편, 전문 피부 관리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시간, 위생 및 비용적인 부분에서 부담이 있어, 개인 피부 미용 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장품 산업은 성숙기에 접어든 반면에 개인이 집에서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미용기기 시장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서, 피부 타입(type) 및 컨디션에 따라 사용자 스스로 제조하는 DIY 전문 마스크 팩 제조 기기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또한, '맞춤형 화장품' 매장 내 판매 제도의 도입에 따라 고객 요구에 맞춰 다양한 원료, 색소, 성분, 향료 등을 혼합한 화장품을 매장 내 즉석으로 만들어 판매할 수 있는 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성분을 혼합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장 또는 집에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 및,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를 포함함으로써, 간편하고 편리하게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단계,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단계,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단계, 및,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에 최적화된 크기, 형태, 성분을 가지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성분을 혼합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매장 또는 집에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른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피부 미용 서비스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투입되는 캡슐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노즐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하이드로겔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팩 및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피부 미용 서비스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구비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a를 참조하면,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기타 동등한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 측정 기기(50)는 측정 전용 기기로 사용자의 얼굴 상태를 측정하여 수치화된 정보를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및/또는 소정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피부 측정 기기(50)로 사용자의 얼굴 피부 상태를 T존, 눈가, 팔자, 입가, U존 5가지 얼굴(10) 부위 별로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피부 측정 기기(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10)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 피부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10) 크기 및 형태, 센싱 항목별, 얼굴 부위별로 측정된 결과 데이터, 측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판별된 피부 상태 분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가정에서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이용하거나,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구비된 매장에서 피부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일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피부 측정 기기(50)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 후, 촬영으로 획득된 영상 데이터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및/또는 소정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이 피부 측정 기기(50)를 통해 얼굴(10)의 T존, 눈가, 팔자, 입가, U존 5부위를 순서대로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은 피부 측정 기기(50)를 T존(이마 1번), 눈가, 팔자, U존(왼쪽 1번), 입가(입술 아래 1번) 총 5부위, 총 5회 접촉하여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은 전용 카메라 또는 피부 측정 기기(50) 내 카메라를 통해 얼굴을 촬영하고, 비전 인식 기술에 기반하여 얼굴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는 스펙클(Speckle) 기술 기반 접촉식 피부 상태 측정 방법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비전 인식 기술 기반으로 3D 안면 윤곽을 측정할 수 있다.
스펙클(Speckle) 기술 기반 접촉식 피부 상태 측정 방법은, 레이저의 광 간섭 현상에 기인한 스펙클 패턴을 촬영해서 피부 표면 상태를 분석하는 기술로, 주름, 모공, 기미, 색조, 유분, 수분, 탄력 등 총 7가지 인자(factor) 측정이 가능하다. 스펙클(Speckle) 기술 기반 접촉식 피부 상태 측정 방법은, 탄력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피부 상태 측정 방법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피부 측정 기기(50)는 각 측정값 모두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및 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측정 기기(50)는 측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판별된 피부 상태 분류하여 솔루션(silution)과 맵핑(mapping)할 수 있다.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판별, 솔루션(silution)과 맵핑(mapping)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측정된 피부의 수분 부족이 심각하다고 판별되면, 솔루션(silution)으로 보습 성분이 강화된 재료를 수용하는 수분 캡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얼굴 크기 값이 나오면 각 부위를 균등하게 5분할 영역으로 지정하여 해당 영역과 솔루션을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T존의 수분 부족이 심각하다고 판별되면, T존에 대한 솔루션으로 수분 캡슐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측정 결과에 대한 솔루션을 '수분 캡슐 3개, 탄력 캡슐 1개, 주름 캡슐 1개를 투입하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시각/음성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매장에서는 상기 피부 측정 기기(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10)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사이즈 및 형태, 피부 타입 별 상태 진단 및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측정 기기(50)는 태블릿 PC(70) 등 소정 전자기기로 직접 피부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소정 서버에 업로드하여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피부 측정 기기(50)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소정 태블릿 PC(70) 등 소정 전자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매장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측정 결과와 자신에게 맞춤화된 솔루션에 대해 그 자리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고객은 개인 스마트폰으로 측정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피부 측정 기기(50)로 사용자의 얼굴(10) 주요 부위 피부 상태 측정하고, 과학적으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통하여 실시간 개인 맞춤형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는 다양한 성분의 재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캡슐(210)이 투입되고, 복수의 캡슐(210) 내의 재료들을 혼합하여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은 사용자의 피부 타입(type) 및/또는 그날 피부 상태에 따른 수분, 탄력(주름), 영양, 미백, 트러블 진정 등 맞춤형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 투입하여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얼굴 측정을 통해 3D 프린터로 피부 부위별 꼭 맞는 해답을 선사하는 프리미엄(premium) 미용(beauty) 기기일 수 있다.
3D 프린터는, 3차원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체적인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로, 크게 적층형과 절삭형으로 분류된다. 적층형은 소정 재료를 분사하여, 미세한 두께의 레이어(layer)를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이고, 절삭형은 소재를 깎아 내며 물품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절삭형은 재료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적층형이 더 많이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3D 프린팅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적층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피부 상태 정보를 입력받고, 하이드로겔을 소재로 이용하여 피부 상태 정보에 최적화된 마스크팩(11)을 제조하는 일종의 3D 프린터(Printer)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측정된 사용자 얼굴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부위별 맞춤 제형으로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측정 기기(50)가 T존, 눈가, 팔자, 입가, U존 다섯 부위의 피부 상태 정보를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로 전송하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부위별로 맞춤형으로 성분이 혼합, 제조된 마스크팩(11)을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성분의 하이드로겔 제형이 수용된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 투입하고,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은 각 캡슐에 수용된 성분 및 배합 농도를 조절하여 겔 타입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별 마스크팩 사이즈(size) 최적화, 얼굴 부위 및 성분 배합 농도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그날 피부 상태에 따른 수분, 주름개선, 영양, 트러블 진정 등 기능성 맞춤형 캡슐을 투입, 마스크팩을 제조함으로써, 그날의 피부 상태, 얼굴 부위별 최적 성분 배합된 겔 타입 마스크팩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특정 부위를 위한 추가 화장품 구매, 이용이 필요없는 올인원(all in one) 에스테틱(esthetic)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 및 각 부위의 상태에 맞는 성분으로 마스크팩(11)을 제조함으로써, 전문 피부 관리실을 이용한 것 이상으로, 최적회된 성분이 빠르게 피부에 흡수되고, 더 뛰어한 효과를 느낄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포함하는 미용 시스템은, 개인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마스크팩 제조 과정을 단순히 하이드로겔 제어에 대한 산업(industrial) 공정이 아닌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사용자)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d와 도 2e를 참조하면, 매장에서는 마스크팩을 복수개 제조하여 케어(care) 패키지(package) 팩(3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클리(Weekly) 케어 패키지 팩(30)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패키지 팩 내 마스크팩들(31)을 사용하여 일주일 주기의 개인화 케어 후 다시 매장을 재방문하여 최신의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새로운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200),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310)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300),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400) 및, 상기 제형 분사부(400)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기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되어 마스크팩 형성을 위한 공간인 캐비티(cavity)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 영역(105)은 유리 등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1)는 상부의 불투명한 영역과 하부의 투명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상기 케이스(101)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형 고형화부(500)는, 상기 케이스(101)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전달부(300)와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일부는 상기 케이스(101)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케이스(101)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마스크팩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투명한 영역(105)은 그 자체가 개폐 가능한 도어로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이 도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투명한 영역(105)에 제조된 마스크팩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마스크팩의 원료가 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캡슐 안착부 또는 캡슐 투입/안착부 등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캡슐에는 다양한 성분의 마스크팩 제조 원료가 수용될 수 있고, 각 캡슐마다 다른 성분의 원료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슐 투입부(200)에는 캡슐이 투입되어 안착되는 복수의 투입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20)의 개수, 크기와 형상은 캡슐의 개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7개의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7회분 캡슐을 사용하는 경우에 7회분 캡슐의 높이 고려하여 캡슐을 수용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높이, 크기, 및 투입구(200)의 높이,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복수의 투입구(2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와 상기 복수의 투입구는 각각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5개의 캡슐을 투입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5개의 투입구(220)가 구비되고, 6개의 캡슐을 투입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6개의 투입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310)의 개수도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투입구(220)의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310)는 각각 상기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다른 투입구(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5개의 캡슐(210a, 210b, 210c, 210d, 210e)에 각각 대응하여 5개의 전용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에서는 유로(310)를 간략히 도시하였으나, 상기 유로(310)는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복수의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는 상당 부분 접촉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20), 유로(310)를 각 캡슐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것이 위생 및 관리 면에서 더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투입구(220)는 측면 투입 구조 등도 가능하지만 토출 용이성과 여액방지를 위해 상단 수직 투입 구조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높이, 크기 이외에, 마스크팩이 제조되는 캐비티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매장의 매대 또는 가정의 화장대에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설치되어 사용될 것을 고려하여, 매대 또는 화장대의 높이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매대 또는 화장대의 높이와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높이의 합이 국내 여성의 평균키보다 작게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높이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캡슐 투입 및 인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캡슐 투입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101)의 상판(102)도 개폐 가능하도록형성되거나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heating)하여 액상화하는 히팅부와 상기 액상화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에 수용된 제형이 액상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슐 투입부(200)의 히팅부는 하나 이상의 열선 타입 열원을 포함할 수 있고, 열선은 각 투입구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열선을 구동하여 투입된 복수의 캡슐 중 하나 이상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액상화할 수 있다.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열선 타입의 히팅부로 약 60도로 캡슐 하부를 히팅하여 제형을 액상화한 후 캡슐을 가압하여 제형을 외부로 푸쉬(push)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캡슐이 정확히 안착 되었는지 감지하여 그 여부를 출력부(17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는 투입된 캡슐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형 전달부(300)는, 상기 복수의 유로(310)를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와 상기 복수의 유로(310) 내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형 전달부(300)의 히팅부는 하나 이상의 열선(320) 타입 열원을 포함할 수 있고, 열선(320)은 각 유로(310a, 310b, 310c, 310d, 310e)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형 전달부(300)는 열선(320)을 구동하여, 유로(310) 내 온도를 약 60도 내지 66도로 유지하여 액상화된 제형의 점성 및 액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형 전달부(300)의 공압 조절부는 유로(310)의 공압을 조절하고, 필요시 유로(310)를 고압 펌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압 조절부는 펌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부의 펌핑을 통하여 유로(310) 내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노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노즐(410)은, 상기 복수의 유로(3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입구 및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작 속도 향상 및 위생을 목적으로, 기기(100) 내 투입구(220) 및 노즐(410)은 독립하여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410)은, 별도의 독립적인 복수개의 노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구 및 분사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노즐(410)을 이동시키는 암(4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암(420)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유로(310)를 통과하여 이동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외부로 분사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형 분사부(400)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3D 프린팅(printing)하는 디스펜싱(dispensing) 방식 3D 토출기일 수 있다.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은 고형화된 재료를 분사 직전 액상화하여 적층식으로 물품을 제작하는 방식으로서 제형 분사부(400)는 하이드로겔을 분사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은 암(420)이 움직이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마스크팩 제조 과정을 느낄 수 있도록 가시화 확보가 유용하며 속도가 빠른 FDM 델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Delta-Bot 암(420)은 분사 전 스탠바이(Standby) 상태에서는 Z축으로 하강하고, 제조 상태(Working)에는 X, Y축으로 운전하면서, 노즐(4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형 분사부(400)는 가시화가 뛰어난 FDM 델타방식을 우선하며, 마스크팩 제작 시 Delta-Bot 암(420)의 운전에 따라 노즐(410)이 하강하여 제형 고형화부(500)의 토출판(510) 표면에 하이드로겔을 디스펜싱한다. 또한, 하이드로겔의 디스펜싱 완료 후에는 Delta-Bot 암(420)의 운전에 따라 노즐(410)이 다시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heating)하는 히팅부(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노즐(410)의 온도를 60도 내지 75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토출판(510) 표면 중 제형이 토출될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노즐(400)을 복수의 영역들 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해당 영역에 필요한 성분의 재료들을 토출하고, 다음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성분의 재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캡슐 내 성분을 조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형 분사부(400)는, 복수의 캡슐 중 어느 하나의 캡슐 내 재료를 일정양 토출한 후에, 다른 성분을 수용하고 있는 다음 캡슐의 재료를 일정양 토출할 수 있다.
제형 고형화부(500)는, 상기 제형 분사부(400)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적층되는 토출판(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전면 하단부, 즉 제형 고형화부(500)는 마스크팩 박리가 용이하도록 개폐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토출, 적층되어 마스크팩이 만들어지는 토출판(510)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형 고형화부(500)는, 상기 제형 분사부(400)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하는 히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형 흐름성이 높지 않고, 상온에서 하이드로겔 고형화(Gelation) 가능할 경우에는 하단 제형 고형화부(500) 내 히팅 또는 냉각 소자를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변온성이 높고, 품질 변동성도 높다는 문제가 있다.
빠른 제조를 위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제형 고형화부(500)에 냉각 소자를 배치하여 제형을 급속 냉각 및 경화시키는 것은 선토출 제형과 후토출 제형 사이에 이형(떨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형 고형화부(500)는, 히팅 소자를 이용하여 50도 ~ 100도 내 설정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소정 시간 제형 액상 물성 유지하고, 이를 통해 계면 이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히팅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는 냉각 소자를 켰을 때보다 열을 빼앗기는 속도가 느리므로, 기 고형화된 윤곽 제형에 대해 열 전이(heat transfer)가 가능하여 접합면을 녹이고 계면 이형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침투하여 들어갔을 때 흐름성이 유지되어 빈 공간을 파고 들어가므로, 계면 사이 빈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형 고형화부(500)는 히팅 소자와 냉각 소자를 구비하여 히팅과 냉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60)는 상술한 피부 측정 기기(50) 또는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16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및/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다른 전자기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피부 측정 장치(50),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주변에, 상기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50)는 상기 감지된 전자기기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다른 전자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마스크팩 제조 과정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등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 중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 이동시킬 하이드로겔 제형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50)는, 원료로 투입되는 다양한 제형 성분 중 마스크팩 1회의 제조에 사용할 성분의 종류 및 그 배합 농도를 설정하고, 설정에 따라 마스크팩이 제조되도록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의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 중 상기 제형 전달부(300)로 이동시킬 하이드로겔 제형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60)로부터 입력되는 피부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그래픽 이미지에 기초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도록,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등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는 열선 타입 등의 열원을 포함하는 히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관리를 위해 캡슐 투입부(200), 제형 전달부(300), 제형 분사부(400), 제형 고형화부(500) 중 적어도 일부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각 유닛에 포함되는 히팅부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입력부(110), 메모리(140), 출력부(170), 전원 공급부(1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하며, 이를 위해, 조작 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버튼에 의한, 전원 온/오프 신호, 시작 버튼에 의한 시작 신호, 일시 중지 버튼에 의한 일시 중지 신호 등을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오픈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통신부(1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상기 캡슐 투입부(200)에 투입해야 하는 캡슐 정보, 상기 캡슐 투입부(200)에 투입된 캡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미지 및/또는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유닛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투입되는 캡슐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 상이한 성분의 하이드로겔 제형이 복수의 캡슐(capsule)에 수용되어 투입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카트리지(cartridge)에 수용되어 투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70회분, 28회분 등의 대용량 카트리지(810), 70회분, 28회분 등의 성분별 대용량 카트리지(8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 카트리지(810, 820)는 물리적 교체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맞춤 케어 경험에 부정적이고, 카트리지 간 교체 시기가 상이하거나 카트리지 보관 및 위생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7회분의 위클리(Weekly) 카트리지(83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1회분 캡슐(840) 또는 7회분의 위클리(Weekly) 캡슐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 성분 가시성이 높고 사용자에게 전문 맞춤 케어 경험 제공에 유리하다.
한편, 매장 또는 가정에서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모두 고려하면 위클리(Weekly) 카트리지/캡슐 타입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클리(Weekly) 카트리지/캡슐 타입은, 캡슐 투입 경험(직접 제조 경험), 맞춤 케어 경험 등 감성 품질 강조, 만든 순간부터 유효기간 시작되므로 위생성 강조에 유리하다. 또한, 1부위 2성분 커스터마이즈(customize) 적용. 피부 재생 주기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캡슐 카테고리는 5개 또는 6개를 기본으로 하여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형 성분은 한국 기준 수분, 탄력, 영양, 미백, 트러블 진정 등 5가지를 기본으로 할 수 있고, 5개의 캡슐 카테고리가 존재하며 선호에 따라 5개 카테고리 내에서 확장 가능하다.
7회분 용 캡슐(Weekly Capsule) 성분 구성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구성 : 약 74g
- 정제수 56g
- 카라기난 파우더 7g
- 글리세린 2.1g
- 피부미용 기능물질 9.1g
카라기난 파우더는 물에 용해가능한 겔화 고분자의 일 예로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함량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원하는 점도를 얻지 못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너무 고점도가 되거나, 물에 다 녹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글리세린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피부에 밀착되고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물질 중 하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마다 한 성분에 대응할 수 있고, 그 성분은 다양하게 조합 가능하다. 또한, 조합 성분별로 색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캡슐', '카트리지'와 같은 하이드로겔 수용 부재의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피부 상태 측정 후, 매장의 직원은 측정 결과에 맞는 1회분 또는 7회분 캡슐 5개 또는 6개를 고객에게 확인시키며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에 투입할 수 있다.
고객 피부 상태 및 선호에 따라 다양한 캡슐 라인업 중 선택 가능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총 5개 또는 6개의 캡슐을 투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함으로써, 제조 피드백이 강화될 수 있다.
캡슐들은 별도의 투입 순서 없이 안착구조 모양에 맞게 투입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적/물리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캡슐 투입구에 캡슐을 투입하면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출력부(170)는 캡슐의 안착 여부 상태를 시각적/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투입 캡슐 인지하여 진단 결과와 실 투입 캡슐 불일치 시 음성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9와 같이 출력부(170)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91)에 캡슐 안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유로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직원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입력부(110)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캡슐 내 각 성분 제형이 히팅 및 푸쉬 구조에 의해 액상화되어 유로(310)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버튼을 누르면, 캡슐 투입부(200)의 캡슐 투입 안착 구조 하부에 열선 방식 히터를 구동하여 20초 이내 70℃ ~ 75℃로 캡슐 하부를 히팅할 수 있고, 캡슐 내 제형 성분을 액상화하여 레디(Ready)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각 제형은 유로 조절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되어 레디(Ready)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70)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91)에는 남은 시간, 현재 진행 상태(제조부위) 등 제조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캡슐 내 제형 액상화 후, 푸쉬(push) 구조 또는 피스톤 활용해 고압 가압하여 각 유로(310)로 제형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유로(310)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고, 각 유로(310)를 따라 제형이 유로(300) 내 공압 제어에 의해 노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액상 제형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각 유로(310)에는 접촉형 열선(320) 방식 히팅부를 적용하여 68℃ 근처를 유지함으로써 제형 액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로(310) 내 이동 알고리즘에 따라 공압 제어하여 제형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히팅 온도 및 펌프 압력을 동적 제어하여 각 성분을 레디(ready)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토출 순서에 따라 토출 제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제형에 대해 유로(310) 내 레디(Ready)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노즐(410)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도 11a는 노즐(410)의 전면도(Front view), 도 11b는 노즐(410)의 상면도(Top view), 도 11c는 노즐(410)의 저면도(Bottom view)를 예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다노즐 구조 활용하여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노즐(410)은, 복수의 유로(3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입구(411) 및 분사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순서에 따라 유로 알고리즘으로 동적 제어하여 노즐(410)을 통해 해당 부위 제형을 토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T존(1201) → 눈가(1202) → 팔자(1203) → 입가(1204) → U존(1205) 순서로 제형이 토출될 수 있다. 즉, 부위별 제형 토출은 상하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피부 상태 측정에 따른 우선 1순위 솔루션에 대응하는 1부위 1성분 토출 방식 또는,피부 상태 측정에 따른 우선 1,2순위 솔루션에 대응하는 1부위 2성분 토출 방식 또는,피부 상태 측정에 따른 부위별 완전 맞춤화를 위해 1부위 다 제형 토출 방식에 따라 제형을 토출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T존(1201), 눈가(1202), 팔자(1203), 입가(1204), U존(1205) 각 부위 토출 전 윤곽선 토출이 있을 경우, 윤곽선 형성 후 부위 내부 영역을 토출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토출판(510)의 열선 히팅 소자를 통해 기 토출된 제형의 액상을 유지함으로써, 선/후 토출 제형 간 계면 이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2와 같이 T존(1201), 눈가(1202), 팔자(1203), 입가(1204), U존(1205)의 토출이 완료되면 상단 좌우로 손잡이 모양을 추가로 프린팅하여 박리 용이성을 확보하고, 손이 마스크팩이 5부위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하이드로겔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하이드로겔 중 카라기난(Carrageenan)과 같은 검(Gum) 류는 도 13과 같이 Helix formation을 이루면서 고형화(Gelation) 되는데, 하이드로겔 고형화(Gelation) 조건은 1) 높은 하이드로겔 농도, 2) 낮은 온도, 3) K+ 등의 높은 Cation 농도 3가지 조건이다.
Helix-Helix intra-aggregation이 기 진행된 제형과 새로 토출되는 제형 사이에는 계면 이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본 발명은 제형 고형화부(500)의 히팅부를 통하여, 토출면에 중고온의 온도를 유지하고, 제형 액상화를 지속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토출 제형의 고형화를 방지하고 선토출 제형과 후토출 제형 사이의 inter-aggreagtion을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4는 온도와 이수 현상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 15는 온도에 따른 제형 물성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도 14는 하이드로겔 제형의 온도 4도(1410), 25도(1420), 35도(1430), 50도(1440) 별로 시간 경과에 따른 무게감소율을 분율로 하여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통적으로 약 50도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이수현상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온 기준, 2~3분 이상은 경과되어야 이수현상 가시화가 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4도 이하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겔 성분이 성분, 보습제 워터를 머금고 있어 이수 현상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또한,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겔 자체가 얼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4도 내지 3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현재 업체 제조공정에서 고형화시키는 온도이다. 냉각 챔버 온도를 -3도 내지 0도로 설정하면 내부에서 약 0도 내지 3도 온도 대에서 급속 고형화(Gelation)가 진행될 수 있다.
5도 내지 15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2 내지 3분 방치 시 이수현상 가시화가 가능하다.
상온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으로, 이수현상이 있는데, 이는 별도 에센스 분사 없이 하이드로겔 팩을 사용할 때 촉촉하게 젖어있는 이유이다.
55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고형~액상 상태로, 55도 이상 온도에서 고형 겔(gel)이 액상 겔(gel)이 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액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55도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유닛에 히팅부를 구비하여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한다.
한편, 70도 내지 75도는, 현재 업체 제조공정에서 액상화시키는 온도로, 70도 기준 겔 점성은 5000~7000 CPs이다.
80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액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성은 낮아져 흐름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흐름성이 과다하면 냉각 제어가 어려울 수 있고, 겔 내 수분증발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14와 도 15에서 예시된 수치는 제형의 종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예시된 온도 수치 등도 제형의 종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기기, 예를 들어, 상술한 피부 측정 장치(50)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610).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로 투입될 수 있다(S1620).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또는 매장의 직원이 적절한 맞춤형 성분의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로 투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투입된 다수의 캡슐 중에서 적절한 맞춤형 성분의 캡슐을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가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 내의 열원이 구동되면서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게 된다(S1630).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히팅(heating)하여 액상화하여 유로(310)로 이동되고, 상기 유로(310)를 히팅하여 액상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을 상기 유로(3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즐(410)로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은 소정 순서에 따라 토출될 수 있다(S1640).
실시 예에 따라서는,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하이드로겔 제형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여 마스크팩을 완성할 수 있다(S1650).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팩 및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마스크팩(1910)에는 부착형 미세전류 패드로 구현되는 안티에이징 키트(1720) 등이 추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흡수 촉진 및 콜라겐 재생 효과를 가지는 안티에이징 키트(1720)의 추가 부착으로 피부 속까지 집중 관리하고 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온도 감응형 제형을 이용하여, 피부 접촉 시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팩, pH 감응형 제형을 이용하여, 피부 접촉 시 두께가 변하는 마스크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케이스 일부에는, 제조된 마스크팩(1800)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토출판(510) 자체를 개구부(515)를 통하여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마스크팩(1800)의 박리 및 부착 용이성 증대시킬 수 있고, 청소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100)의 케이스 일부에는, 제조된 마스크팩(1800)을 꺼내기 위한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제조 완료 후 입력부(110)의 오픈 버튼을 누르면, 개폐구조가 열리고 앞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토출판(510) 자체가 분리되어 마스크팩(1800)의 박리 및 부착 용이성 증대시킬 수 있고, 청소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이드로겔을 토출하여 마스크팩(mask pack)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성분을 혼합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매장 또는 집에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른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00
캡슐 투입부: 200
제형 전달부: 300
제형 분사부: 400
제형 고형화부: 500
피부 측정 장치: 50

Claims (20)

  1.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부;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제형 전달부;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제형 분사부; 및,
    상기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제형 고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형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유로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형 고형화부는,
    상기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투입부는,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가열하여 액상화하는 히팅부와
    상기 액상화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상기 제형 전달부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투입부는 복수의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와 상기 복수의 투입구는 각각 일대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유로 내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복수의 유로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입구 및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3D 프린팅(prin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분사부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형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 중 상기 제형 전달부로 이동시킬 하이드로겔 제형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투입부에 투입해야 하는 캡슐 정보, 상기 캡슐 투입부에 투입된 캡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캡슐은 각각 상이한 성분의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고형화부는,
    상기 제형 분사부로부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적층되는 토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의 불투명한 영역과 하부의 투명한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투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형 고형화부는, 상기 케이스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형 전달부와 상기 제형 분사부는,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불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17.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이드로겔 제형을 수용하는 복수의 캡슐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복수의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복수의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유로를 가열하여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이 액상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유로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고형화하는 단계는,
    상기 토출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이 복수의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캡슐에 수용된 하이드로겔 제형을 가열하여 액상화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단계는,
    토출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드로겔 제형의 성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한 하이드로겔 제형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60121739A 2016-09-22 2016-09-22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39A KR102527357B1 (ko) 2016-09-22 2016-09-22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201780071919.1A CN109982826B (zh) 2016-09-22 2017-09-21 水凝胶吐出设备
PCT/KR2017/010412 WO2018056722A1 (ko) 2016-09-22 2017-09-21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US16/462,745 US11172750B2 (en) 2016-09-22 2017-09-21 Hydrogel dischar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39A KR102527357B1 (ko) 2016-09-22 2016-09-22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65A KR20180032465A (ko) 2018-03-30
KR102527357B1 true KR102527357B1 (ko) 2023-04-27

Family

ID=6190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739A KR102527357B1 (ko) 2016-09-22 2016-09-22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458A (ko) * 2022-08-26 2024-03-05 주식회사 피부다움 개인 맞춤형 마스크팩 제조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4633A (ja) * 2004-12-01 2006-06-15 Shiseido Co Ltd 肌形状模型製造方法、肌形状模型および原型
KR101524441B1 (ko) * 2013-12-16 2015-06-09 박용호 다수의 원료공급부가 형성된 3d 프린터의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5885A (ja) * 2013-05-24 2016-09-01 ナチュラル マシー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atural Machines, Inc. 3dプリント技術を用いた食品製造装置
KR20160096829A (ko) * 2015-02-06 2016-08-17 한국기계연구원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3차원 하이드로겔 스캐폴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4633A (ja) * 2004-12-01 2006-06-15 Shiseido Co Ltd 肌形状模型製造方法、肌形状模型および原型
KR101524441B1 (ko) * 2013-12-16 2015-06-09 박용호 다수의 원료공급부가 형성된 3d 프린터의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65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2826B (zh) 水凝胶吐出设备
KR102384034B1 (ko) 뷰티 펜슬 및 이를 포함하는 뷰티 시스템
CN106998885B (zh) 用于分配化妆产品的系统
KR101838950B1 (ko) 개인용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CA2988947C (en) Automated delivery system of a cosmetic sample
KR102439696B1 (ko) 다중-조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0063B1 (ko) 3d 인쇄 기술을 이용한 식품 성형방법
EP4279171A2 (fr)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cosmetique
JP6821565B2 (ja) 分配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分配システムの使用を学習するための方法
CN105873469A (zh) 包含浇注产品的化妆品组件
KR102527357B1 (ko)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6998875A (zh) 包括喷枪的组件
CA3073828A1 (en) A truffle configured cosmetic article
KR102500519B1 (ko)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478282B1 (ko)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4968237A (zh) 施用器
KR102366404B1 (ko) 하이드로겔 토출 기기
FR3029088A1 (fr) Systeme de distribution comportant au moins une cartouche
FR3029102B1 (fr) Procede de maquillage
FR3029083A1 (fr) Systeme de distribution permettant de delivrer un melange de couleur variable
FR3029087A1 (fr)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de maquillage
FR3029085A1 (fr) Systeme de distribution comportant une coupe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