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696B1 - 다중-조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조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696B1
KR102439696B1 KR1020167034053A KR20167034053A KR102439696B1 KR 102439696 B1 KR102439696 B1 KR 102439696B1 KR 1020167034053 A KR1020167034053 A KR 1020167034053A KR 20167034053 A KR20167034053 A KR 20167034053A KR 102439696 B1 KR102439696 B1 KR 10243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asting
support
deposi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344A (ko
Inventor
릴리-안느 페랭
발레리 드 라 포트리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17000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61K8/0237Strip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1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by casting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44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다중-색상, 다중-질감 및 다중-물질 화장품뿐만 아니라 지방, 특히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고온 주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유리하게는 금형을 불필요하게 하고 매우 독창적인 외관을 생성하는 것과 같은 복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의 창조를 허용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매우 불규칙적인 융기형 디자인을 가지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다중-조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MULTI-COMPOSITION COSMETIC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피부 또는 모발을 관리하고, 메이크업 또는 방향성을 위해 몸체의 일부에 적용하도록 의도된, 오일을 함유하는, 주위 온도에서 고체인 적어도 1종의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규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신규한 형태, 색조의 신규한 조합 그리고 질감와 물질의 신규한 조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또한 현재 기술로 제조하기가 불가능했던 도드라짐(relief)에서 매우 독창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용 조성물을 고온 주조(hot casting)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용융시켜 이를 유동화하고, 그 다음 유체 상태의 조성물을 시트, 스레드(thread) 또는 액적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매우 작은 크기의 연속적인 침착물로 표면에 주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지금까지 주조 화장품(cast cosmetic products)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로 했던 금형(mold)의 사용을 필요 없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가시적이거나 은폐된 표면 또는 몸체에 다중-조성 화장품, 즉, 다수의 상이한 고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화장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이들 제품의 표면에 아주 미세한 도드라짐을 창안할 수 있도록 한다.
지방 물질을 고 비율로 함유하는 고체 화장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형태를 부여하는 금형에서, 또는 디쉬(dish) 또는 포트(pot)에서 고온 주조로 제조된다.
따라서, 생성물을 배출하기 위해 평평한 표면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메이크업 제품(예를 들어, 블러셔, 파운데이션 또는 아이섀도우)은 뚜껑 및 용기를 가지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들 제품은 디쉬에 있는 관통 구멍을 통해 최상부 또는 최하부를 통해 디쉬에서 액화된 생성물을 고온 주조함으로써 수득된다. 후자는 차후에 케이스에 배치된다.
도드라짐 메이크업(relief makeup) 제품(예컨대, 스틱)은 성형으로 제조된 조성물을 이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그 다음 금형에서 주조하고, 냉각시키고, 탈형시킨다. 탈형된 제품을 차후에 추출 또는 이의 취급을 위해 회전식 메커니즘을 가지거나 갖지 않는 용기에 배치한다.
금형은 상기 제품의 손쉬운 탈형을 위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SEBS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수작업 금속 금형은 탈형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움직이는 몇 개의 부품으로 제조된다. 공업용 금속 금형은 탈형 중에 압축된 공기가 스틱을 배출시키도록 슬릿을 가지는 부품으로 제조된다. 이들 금속 금형은 탈형을 용이하게 하고 탈형된 제품의 표면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실리콘 오일의 벽 분무 등과 같은 표면 처리를 필요로 한다.
화장품을 그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그 다음 과도한 속성 경화를 방지하기 위해 40℃ 정도의 온도로 미리 예열할 수 있는 금형의 패턴 캐비티(pattern cavity)에 주입한다. 일단 충전되면, 금형을 냉장 테이블 또는 냉장 챔버(이의 온도는 -20℃ 내지 15℃임)와 접촉시켜 냉각시킨다.
따라서, 스틱의 성형 방법은 수많은 문제, 예컨대 고 정밀 금형의 고비용 설계 및 제조 문제, 탈형이 가능하도록 0℃ 미만의 온도를 달성해야 하는 문제, 금형에서 주조된 생성물에 대한 냉각 시간이 너무 길다는 문제, 각각의 사용 후 금형을 세정해야 하는 문제 및 새로운 제조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해 금형을 다시 가열해야 하는 문제점들을 가진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사용하는 데는 다른 문제들도 있는데, 예컨대 금속 금형의 빈번한 오버홀(overhaul) 또는 실리콘 금형의 규칙적 대체가 그것이며, 반복되는 기계적 충격 및 열적 충격 또는 실리콘 금형 물질에 화장용 조성물의 침투 때문에 이러한 오버홀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립스틱은 대안적인 형태의 도드라짐 및 색조를 나타내지만 이러한 도드라짐은 몇십 분의 1의 밀리미터에 한정되며 색조의 수는 거의 2 또는 3개를 초과하지 않는다. 색조의 효과가 제공된 바 있지만, 이는 항상 방사상 유형(이중 실린더의 코어-쉘 구조) 또는 선형 유형(수직 또는 수평 층)의 기하구조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무작위 색조의 패턴은 금형 내에서 유체 상태의 2개의 색조를 동시에 주조함으로써 이미 제공되어 졌다.
코어/쉘 스틱의 구조는 성형(molding)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어, 다중-색상 립스틱은 한 쌍의 금형, 즉, 원통형 금형의 중심에 배치된 코어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제1 색조의 제1 주조는, 냉각되고 고형화된 코어 금형의 캐비티(cavity) 파트에서 수행된다. 중앙 금형을 제거한 후, 코어를 제거한 후에 남겨진 캐비티를 제2 색조로 충전하여 다중-색상 립스틱을 얻는다.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분리형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반-원통형 캐비티를 생성하고, 그 다음 상이한 색조의 고형화 이후에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차후에 색조를 그 표면의 중간 정도의 가열에 의해 일체화시켜 조립해야 한다.
반-원통형 공동(제거가능한 평평한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2개의 파트를 포함함)을 가지는 제1 금형을 가지는 병렬 스틱의 구조를 제조한다. 제1 용융된 덩어리를 이러한 캐비티에 붓고 냉각하여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플레이트를 배출하고, 그 다음 거울상 배치되고 제1 조성물과 접촉한 제1 금형와 동일한 제2 금형으로 대체한다. 제2 용융된 덩어리를 상기 캐비티에 붓고 냉각시킨다. 탈형 후, 상기 2 개의 반-원통형 조성물을 방사상 평면을 따라 함께 연결한다.
평평한 표면으로부터 보이는 상이한 색조의 도드라짐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패턴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생성물은 2개의 겹쳐진 금형을 사용한 특허 FR 2 956 833에서 성형에 의해 제공된다. 오리피스로 관통된 단단하고 평평한 바닥이 있는 디쉬는 변형가능한 금형에 배치된다. 액체 형태의 메이크업 생성물은 디쉬의 오리피스를 통해 변형가능한 금형에 주입되어, 얻어진 탈형 생성물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자유 표면상에 1종 이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얻어진 도드라짐의 높이는 약 1 내지 2 mm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여러 색상의 여러 수평층으로 구성된 립스틱을 만들기 위해 몇 개의 주조를 금형에서 수행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층의 최소 두께가 일반적으로 수 밀리미터의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두꺼워야 하므로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상기 모든 공정은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두 번째 색조를 주조하기 전에 첫 번째 색조를 냉각하고 고형화하기 위해 기다려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금형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격된 여러 주조 단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기술의 모든 주조 다중-색조 제품에서, 생성물 층은 중력으로 인해 스틱의 수직축에 평행하거나 스틱의 수직축에 수직인 평평한 표면을 가져야 하는데, 이것이 다중-색조의 바람직한 생성물의 제공 가능성을 상당하게 제한한다.
마지막으로, 금형은 특히 불규칙한 형상을 생성하고자 할 때 제조 비용이 비싸며 빈번한 검사와 빈번한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
시판되는 립스틱의 대다수는 스틱 형태로 제공되거나 포트에서 주조된다. 이들 제품의 기하학적 구조는 대칭적이고 기초적이다. 립스틱은 외관, 질감, 색조 및 제형 특성이 다양하지만, 이들 특정의 특징들은 바로 하나의 동일한 제품에서도 일반적으로 조합되지 못한다.
따라서, 보다 쉽고, 더 빠르며, 제조 비용이 더 적게 드는 색조, 질감 또는 물질의 신규한 배열을 제공하는 다중-조성 화장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보다 불규칙하고 보다 미세한 도드라짐을 가지는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특히 메이크업 분야에서, 특히 높은 비율로, 오일을 함유하는 신규한 형태 및 신규 제시되는 고체 화장용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본 발명자들은 다중-색조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형태, 도드라짐 및 색조에 따라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다중-질감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동일한 단계에서 서로 다른 질감의 화장용 조성물을 주조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자들은 다중-물질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화장용 조성물과 비-화장용 열가소성 지지 물질을 동시에 주조하는 방법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모든 방법에서와 같이 금형 또는 용기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고체 조성물의 고온 주조를 위한 신규한 방법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이전에 생산된 적이 없었던 매우 미세한 패턴, 리본의 인터레이싱 및 색상의 음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이점을 나타낸다. 이는 상이한 색조의 복수의 형태 및 영역(domain)을 포함하는 표면 또는 몸체를 가지는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들 형태의 표면과 이들 영역은 반드시 평평하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을 용융시키는 단계, 이를 유체 상태에서 사전 규정된 패턴에 따라 지지체 상에 주조하여 복수의 연속적 또는 동시적인 침착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이들을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고체 화장품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의
본 발명의 의미에서, 용어 "화장용 조성물"은 25℃에서 고체를 형성하는 오일을 비롯한 여러 성분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화장용 조성물은 피부 또는 모발을 케어하거나 메이크업하거나 방향성을 위해 사람의 몸체 부위에 그대로 도포되도록 의도된다.
"화장품"이라는 용어는 임의로 도포 수단과 조합되어 용기에 제공되는 적어도 1종의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판매용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다중-조성 화장품"은 구성 성분이 상이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고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모든 조성물은 제품 표면에서 다르게 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조성물은 제품의 몸체에 위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그것을 감추고 있는 제2 조성물의 투명도에 의해 그것을 인지할 수 있거나, 일단 이를 감추고 있는 제2 조성물이 몸체, 얼굴 또는 모발에 연속적으로 도포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그것을 발견할 수 있다.
용어 "다중-색조 제품"은 상이한 색조를 갖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또는 4개의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다중-질감 제품(multitexture product)"은 상이한 질감(textures)을 갖는, 즉 그것의 밀도 및 그것의 유동학적 특성에 따라 흡수되거나 도포될 때 상이한 느낌을 갖게 하는 적어도 2종의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중수 에멀젼, 겔 및 무수 제품의 질감의 예를 들 수 있다.
용어 "다중-물질 제품"은 하나 이상의 화장용 조성물 및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물질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비-화장용 열가소성 지지체 물질을 포함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고체"는 25℃ 및 대기압(1 기압 = 105 Pa)에서 0.5 N 초과, 바람직하게는 2 N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상기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직경 12.7 mm의 반구형 프로브가 제공된 질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용어 "고형화된"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고형화된, 즉 침착물의 중량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그것의 유동점보다 낮은 온도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스레드(thread)"는 예를 들어 그 평균 직경이 그 길이보다 훨씬 작은,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용적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직경은 길이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된 최대 치수로 정의된다. 스레드는 0.01 mm 내지 5 mm, 예를 들어 0.1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5 mm, 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2 m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스레드는 0.5 mm 정도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스레드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단면이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일 때, 스레드의 치수는 그것의 높이와 너비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너비는 위에 정의된 평균 직경에 해당한다.
용어 "액적(drop)"은 평균 직경이 0.01 내지 5 mm, 예를 들어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mm인 본질적으로 구형인 용적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시트"는 그 너비가 그 두께보다 훨씬 큰, 본질적으로 평행 육면체 용적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유동점"은 25℃에서 고체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액체 상태로 변하는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조성물의 유동점은 조성물의 50%가 액체인 융점 T50, 조성물의 80%가 액체인 융점 T80, 조성물의 90%가 액체인 융점 T90, 조성물의 적하점 또는 조성물의 졸-겔 전이 온도일 수 있다.
용어 "오일"은 15℃에서 액체인 지방성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의 용어 "왁스"는 25℃에서 고체이며, 30℃ 초과의 융점의 상태에서 가역적인 고체/액체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페이스트형 지방 화합물"은 25℃의 온도에서 액체 분획 및 고체 분획을 포함하는 비결정성 지방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부터 ~까지 범위"의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표현은 한계를 포함하는 반면, "~ 사이의"의 수치 범위를 표현하는 표현은 한계를 배제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의 제1 대상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 반구형 프로브가 제공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 및 30 내지 150℃의 유동점을 갖는 오일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주조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조성물을 그의 유동점보다 더 높은 유동화 온도로 가열하여 유동화시키는 단계,
b) 유동화된 조성물을 적어도 1종의 주조 노즐 내로 도입하는 단계;
c) 상기 노즐을 통해 유동화된 조성물을 상기 지지체 상에 주조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노즐을 - 공간의 세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고형화 후에 본질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함);
d) 주조를 중지시키는 단계;
e) 지지체에 대해 노즐을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이 공정에서, 상기 침착물은 유리하게는 액적 또는 스레드의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부가적으로 단계 f)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f)는 제1 조성물 또는 제2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침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단계 a) 내지 단계 e)의 반복 - 적어도 1회 - 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오일을 함유하며, 유동점이 30 내지 150℃이고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반구형 프로브가 제공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가진다.
단계 f)는 또 다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적어도 1종의 다른 침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단계 a) 내지 e)의 반복 - 적어도 1회 -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f)는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적어도 1종의 다른 침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단계 c) 내지 e)의 반복 - 적어도 1회 -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이 경우에 조성물의 유동화 단계 a) 또는 조성물의 주조 노즐 내로 도입하는 단계 b)를 반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개시하기 전에, 유동화 용기에서, 화장품 전체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조성물의 모든 침착물의 용적에 상응하는 유동화된 조성물의 용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단지 하나의 침착물에 상응하는 조성물의 양을 따라가면서 유동화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상은, 다음 단계의 순서를 포함하는,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반구형 프로브가 제공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갖는 오일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조성물을 주조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조성물을 그의 유동점보다 큰 유동화 온도로 가열하여 유동화시키는 단계,
b) 유동화된 조성물을 적어도 1종의 주조 노즐 내로 도입하는 단계,
c) 상기 노즐을 통해 유동화된 조성물을 상기 지지체 상에 주조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노즐을 - 공간의 세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여기서 상기 침착물은 고형화 후에 본질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함),
d) 주조를 중지시키는 단계,
e) 지지체에 대해 노즐을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지지체 상에 적어도 1종의 다른 침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반구형 프로브가 있는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가지는 오일을 함유하는 동일한 조성물 또는 다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계 a) 내지 단계 e)를 적어도 1회 반복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다음의 단계의 순서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를 위한 주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a)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반구형 프로브가 구비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갖는 오일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조성물을 그의 유동점보다 더 높은 유동화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유동화시키는 단계,
b) 유동화된 조성물을 주조 노즐 내로 도입하는 단계,
c1) 지지체 상에 침착하고, 25℃로 냉각시킨 후,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유동화된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을 형성하는 용적을 얻기 위해 상기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유동화된 조성물을 배출하여 주조하는 단계,
c2)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노즐을 - 공간의 세 방향들 중 적어도 하나로 -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주조를 중지시키는 단계, 그 다음 임의로
e)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지지체 상에 적어도 1종의 다른 침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 반구형 프로브가 있는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 평균 경도를 가지는 오일을 함유하는 동일한 조성물 또는 다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계 a) 내지 단계 e)를 적어도 1회 반복하는 단계.
일단 지지체 상에 침착된 조성물의 용적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고형화되는 침착물을 형성한다. 배출된 용적, 주조 유량, 주조 온도 및 지지체의 온도는 침착물이 본질적으로 용적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주조 후에 침착물에 기계적 또는 열적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는 경우, 배출된 용적의 형태가 고체 침착물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착물은 배출된 용적과는 다른 형태, 특히 열적 스트레스의 적용, 예를 들어 지지체를 25℃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침착물은 배출된 용적과는 다른 형태, 특히, 기계적 스트레스의 적용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침착물을 변형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 침착물의 고형화 전에 제1 침착물에 제2 침착물을 침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착물은 노즐의 출구에서 얻어진 용적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지지체는 냉각 동안 유동화된 조성물의 용적을 위한 용기로서 작용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고체 침착물은 주조 이후 가해지는 임의의 기계적 또는 열적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에서 노즐의 오리피스로부터 본질적으로 그 형태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배출된 용적의 형태는 특히 주조 후에 침착물에 기계적 또는 열적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는 경우의 고체 침착물의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침착물의 평균 직경은 노즐 오리피스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주조 온도는 노즐 출구와 지지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공간은 자동 온도 제어되는 챔버일 수 있다. 주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유동화 온도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보다 짧은 개발 시간 내에 신규한 화장품을 고안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2가지 상이한 조성물을 주조하는 2단계 사이에서 필요한 냉각 단계를 생략하기 위해, 주조 조성물 유량이 유리하게는 종래 기술의 열간 주조(hot casting) 공정보다 느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주조는 사실상 연속적인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단 주조 조성물이 지지체 상에 침착되면, 침착물은 지지체와 접촉하는 표면, 자유 표면(free surface) 및 임의로 이전에 주조된 침착물과 접촉하는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조 공정은 유리하게는 표면 중 하나가 비평면인 침착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침착물의 자유 표면은 비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가 중공 용적을 한정할 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침착물은 지지체로서의 금형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주조 공정과 달리 이러한 용적을 채우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조성물의 침착물은 일단 고형화되면, 5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 mm 내지 3 mm의 3차원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구별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침착물은 노즐의 출구에서 실린더(또는 스레드) 형태, 구형체(또는 액적) 형태 또는 시트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주조된 침착물의 길이는 그것이 스레드 모양일 때 1 mm의 평균 직경에 대해 1 cm보다 크고, 예를 들어 4 cm와 2 m 사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a)는 조성물을 그의 유동점보다 더 높은 유동화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조성물을 유동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계 a) 동안, 조성물은 25℃에서 고체인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열을 제공함으로써 유체로 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a) 이전의 단계에서, 오일을 비롯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성분을 고온 조건 하에서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을 수득하고 냉각시키고 임의로 단계 a)에서의 사용을 위해 보관한다.
단계 a) 이전의 제1 단계에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으로 이루어진 기본물질(base)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안료, 진주 광택제 및 염료와 같은 착색 물질은 제외한다. 그 다음, 단계 a) 이전의 제2 단계에서 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착색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두 가지 대안 형태 중 하나로부터 생성된 유체 덩어리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온도,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유동점보다 높은 유동화 온도에서 혼합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교반되도록 유지된다.
조성물은 주조 노즐 내로 도입되기 전에, 예를 들어 스크류 압출기에서 혼합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 따르면, 유동화를 유발하기 위해 조성물을 유동화 온도로 되게 하는 가열 수단을 가지는 스크류 압출기 내로 고체 분말 형태로 조성물을 도입할 수 있다. 조성물의 유체 덩어리를 전달하는 압출기의 단부는 유리하게는 주조 노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다.
조성물은 - 주조 온도에서 - 그것의 점도가 지지체 상에 균일한 침착물의 형태로 유동하도록 하면서 형성된 침착물이 예상되는 결과물의 기능으로서 원하는 동력학에 따라 고형화되도록 유리하게는 조정되어질 것이다. 침착물이 후속 침착물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매우 빠르게 또는 반대로 서서히 고형화되기를 바랄 수 있다. 자유 표면의 고형화 속도는 주위 공기를 자동 온도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침착물의 자유 표면의 고형화는 유리하게는 주위 온도(25℃)에서 수초 내에 수행된다. 침착물은 수초 내에 고형화되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계 a) 내지 e)의 두 시리즈 사이에서 중지시킬 필요가 없다.
이하에 기술되는 화장용 조성물의 특성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대상에도 적용된다.
조성물의 유동점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5℃이다.
조성물 및 이것이 포함하는 오일을 구조화하는 데 사용된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조성물의 유동점을 그 덩어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액체 상태인 용융 온도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TX)는 조성물의 X%가 액체 상태에 있는 온도이고, X는 1 내지 100의 수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자 T50, T90 및 T9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온도 T50은 조성물의 50%가 액체 상태에 있는 온도이고, 온도 T90은 조성물의 90%가 액체 상태에 있는 온도이고, 온도 T95는 조성물의 95%가 액체 상태에 있는 온도이다. 이들 온도는 분당 5 또는 10℃의 온도 상승이 있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예컨대, 메틀러(Mettler)에서 DSC 30으로 판매되는 열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온도의 함수로서 용융시키기 위해 샘플에 의해 흡수된 에너지를 나타내는 곡선(열분석도(thermogram))은 면적을 한정한다. TX는 TX로서 곡선 아래의 면적 값이 곡선 아래의 총 면적의 X%와 같아지는 온도를 나타낸다.
조성물의 총 융합 엔탈피는 시차 주사 열량계, 예를 들어, 티에이 인스트루먼츠(TA Instruments)에 의해 MDSC 2920의 명칭으로 판매되는 열량계를 사용하여 분당 5 또는 10℃의 온도 상승으로 얻어진 열분석도의 곡선 아래 면적과 동일하다. J/g으로 표시되는 조성물의 융합 엔탈피는 조성물을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X℃에서 소비되는 융합 엔탈피는 고체 상태로부터 액체 분획 및 고체 분획으로 구성된 X℃에서 나타나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샘플이 흡수하는 에너지의 양이다.
X℃에서 측정된 조성물의 액체 분획은 조성물의 총 융합 엔탈피에 대한 X℃에서 소비된 융합 엔탈피의 비와 같다.
유동점을 조성물의 적하점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하점은 오리피스 직경 2.8 mm, 가열 속도 1.0℃ 또는 2.0℃/분, 예상된 적하점보다 20℃ 낮은 개시 온도 및 예상된 적하점보다 10 내지 15℃ 높은 말단 온도를 갖는 표준화된 컵을 갖는 장치로 측정할 수 있다. 액적은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측정 셀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액적이 수집 슬리브 내로 유동한 시점에서 온도를 기억한다.
이 장치는 메틀러(Mettler) FP83HT 측정 셀 또는 톨레도(Toledo) DP70 모델과 결합된 메틀러 써모시스템(Mettler Thermosystem) FP900 모델일 수 있다. 조성물을 컵에서 고온 주조한 다음, 냉각시키고 20℃의 챔버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한다.
예를 들어 문헌[Polymer Journal, 18 (5), 411-416 (1986)]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유동점을 조성물의 졸-겔 전이 온도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동점을 조성물의 연화점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방법에 따라 측정된 연화점은 55 내지 85℃일 수 있다.
링 앤드 볼(ring and ball) 방법에 의해 조성물의 연화점을 측정하기 위해, 규정된 치수의 황동 링을 용융된 조성물로 채우고 지지체 상에 놓는다. 강철 볼(직경 = 9.53mm, 무게 = 3.5g)은 링 중앙의 조성물에 있다. 충전된 링을 수반하는 지지체는 스캔하는데 바람직한 온도 범위에 따라 탈염수, 글리세롤 또는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비이커(적어도 내경이 85mm이고 높이가 120mm 이상)에 차후에 액침시킨다. 배쓰의 온도는 5℃씩 증가한다. 볼을 에워싸는 물질이 링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지지체의 하부 플레이트에 떨어지는 온도를 기록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50℃ 초과, 예를 들어 70 내지 85℃의 적하점을 갖는다. 조성물의 적하점은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55℃ 초과, 예를 들어 55 내지 60℃, 70 내지 80℃ 또는 75 내지 85℃일 수 있다.
조성물은 40 내지 70℃, 예를 들어 55 내지 60℃의 온도 T50을 가질 수 있다. 조성물은 70 내지 85℃, 더 구체적으로는 75 내지 80℃의 T90에 상응할 수 있다.
유동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유동점보다 1 내지 15℃, 예를 들어 5 내지 10℃ 더 높게 함으로써, 유동화된 조성물을 고도로 균질한 형태로 수득할 수 있는데, 특히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안료 또는 충전제와 같은 왁스 또는 분말 물질을 비교적 많은 양으로 함유한다.
유동화 온도에서 유동화된 조성물은 100 내지 4000 kPa, 예를 들어 500 내지 2500 kPa 범위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주조 노즐 내로 유리하게는 도입된다.
용기와 노즐을 연결하는 공급 수단의 임의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해, 조성물을 이러한 공급 수단에서 원하는 유동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재킷 열수 장치에 이들을 넣을 수 있다.
유동화된 조성물은 노즐 또는 다른 분배 부품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일단 냉각되면, 25℃에서 적절한 경도를 가지는 침착물을 형성한다. 주조 온도에서, 유동화된 조성물은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해 분산될 만큼 충분히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얇은 시트, 스레드 또는 액적을 침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조성물은 고형화될 때까지 침착물이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체 상의 침착시에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높은 점도 및/또는 냉각 속도를 나타낸다. 보다 뚜렷한 침착물을 생성하기 위해 점도가 낮은 조성물을 선택할 수 있고, 여기서 특히 시트의 두께, 스레드의 평균 직경 및 액적의 평균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특정 용도에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열의 높은 소멸 속도를 가지므로 조성물 침착물은 빠르게 고형화된다. 지지체의 온도를 변형하거나 자동 온도 제어되는 챔버에 지지체를 놓음으로써 이러한 방열(heat dissipation)을 조절할 수 있다.
단계 b)에서 노즐 내의 조성물의 주조 온도는 유동화 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수 있다. 이는 조성물의 유동점 이상으로 유지된다.
조성물 침착물의 표면의 고형화는 지지체와 그것을 둘러싼 대기가 25℃에 있을 때 수 초 내에 수행된다. 25℃ 미만의 온도, 예를 들어 10℃, 4℃ 또는 0℃와 같은 온도에서 자동 온도 제어되는 주조 챔버를 사용하여 침착물의 고형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
주조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110℃, 특히 40 내지 90℃이다.
주조 온도는 유동화 온도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유동화 온도가 조성물이 매우 균일하도록 충분하게 유체인 온도에서 조성물을 용융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주조 시에, 노즐을 통해 조성물을 통과시킨 후에 지지체 상에 형성된 침착물이 본질적으로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직접적으로 얻어지는 형태를 얻기 위해 보다 균일하게 하기 위해 조성물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침착물은 완전한 고형화 및 주위 온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냉각될 때까지 그것의 자체 중량 하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침착물은, 일단 지지체와 접촉하고, 완전 고형화되기 전에, 이후의 다른 침착물과 접촉하면, 변형될 수 있다.
주조 온도는 조성물의 냉각 속도의 함수로서 뿐만 아니라 노즐을 통한 균일한 유동에 적합하도록 유동화된 조성물의 점도의 함수로서도 조정되어질 것이다. 조성물 침착물은 바람직하게는 수 초 내지 수 분 사이의 기간에 완전히 고형화된다.
일 구현예에서, 주조 온도는 유동화 온도 이하이고 유동점에 상당히 가깝기 때문에, 형성된 침착물은 급속하게 냉각되어 급속히 고형화된다. 특히, 침착물은 고형화되기 전에 지지체 상으로 퍼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조 온도는 조성물의 유동점보다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더 높고 조성물의 유동화 온도보다 적어도 10℃ 정도 낮다.
또한, 침착물의 고형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지지체의 온도는 조성물의 주조 온도 이하이며; 예를 들어, 지지체의 온도는 20 내지 25℃ 정도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지지체와 침착물 사이 또는 침착물들 사이에 양호한 접착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체의 온도는 25℃ 내지 50℃일 수 있다.
주조 온도 및 대기압에서 조성물의 동적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0 mPa.s, 예를 들어 100 내지 500 mPa.s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주조 온도에서의 조성물의 동적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0 mPa.s, 예를 들어 100 내지 500 mPa.s, 또는 10 내지 15 mPa.s이다.
조성물의 점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점도 크기의 함수로서 상이한 축을 갖도록 장착된 메틀러(Mettler) RM 180 점도계(레오매트(Rheomat))로 측정될 수 있다. 점도가 180 mPa.s 내지 4020 mPa.s 인 경우, 기기는 스핀들(3)을 구비한다. 점도가 1 Pa.s 내지 24 Pa.s 인 경우, 기기는 스핀들(4)을 구비하고, 점도가 8 Pa.s에서 122 Pa.s 범위인 경우, 기기는 스핀들(5)을 갖는다. 점도는 기기에서 편향 단위(AU)로 읽는다. 그 다음, 해당 측정 값을 얻기 위해 측정 기기와 함께 제공된 테이블을 참조한다. 스핀들 회전 속도는 분당 200 회전이다. 이로부터, 스핀들이 회전 설정될 때, 적용되는 회전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이 경우, 분당 200 회전). 점도 값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은 점도가 변하지 않을 때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수행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점도 값은 조성물의 동적 점도 값으로서 선택되는 값이다.
노즐 직경, 노즐과 지지체 사이의 거리, 지지체의 이동 속도, 노즐의 이동 속도, 노즐의 출구에서의 유동화된 조성물 유량 및 노즐의 출구에서의 유동화된 조성물 온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5가지 인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최적화하려고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5가지 인자가 주어진 조성물에 대해 균일한 형태의 침착물, 침착물들 서로 간의 양호한 접착 및 주조 후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침착물의 중첩을 보장할 수 있게 함을 발견했다.
노즐은 유동화된 조성물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오리피스를 하부에 갖는다. 이 오리피스의 치수 중 하나는 0.01 내지 5 mm이다. 예를 들어, 0.05 내지 3 mm, 0.1 내지 1.5 mm 또는 0.3 내지 0.8 mm 범위이다.
오리피스는 어떤 형태라도 가질 수 있다. 그 형태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오리피스는 0.1 mm 내지 1 mm의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를 형성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노즐을 통한 조성물 스트림의 완전성을 유지하고 주조 동안 침착물의 신속한 냉각을 가능하게 하도록 지지체에 대한 노즐의 거리 및 노즐을 통한 조성물의 유량을 적합화시키는 방법을 알 것이다.
노즐과 지지체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으면, 침착물의 기하구조가 불균일하게 된다. 노즐과 지지체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면, 지지체 상에 침착되기 전에 노즐로부터 나오는 유동화된 조성물의 용적이 변형 및/또는 고형화될 위험이 있다.
노즐의 직경보다 작은 노즐과 지지체 사이의 거리를 선택함으로써, 노즐이 스크레이퍼(scraper)로서 작용하는 한, 동일한 노즐에 의해 상이한 두께를 갖는 조성물 침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어진 스크레이핑 높이에서 주조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침착물의 너비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침착물은 일반적으로 유동화된 조성물이 노즐 출구에서 갖는 형태를 유지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지지체와 접촉하고 완전 고형화 전에 이후 적용되는 다른 침착물과 접촉하게 되면, 특히 노즐과 지지체 사이의 거리가 노즐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 변형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침착물을 중첩시키는 것을 원하는 경우, 주조된 화장품의 응집을 보장하기 위해 그 접착을 제어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2개의 침전물 사이의 최적의 접착력은 본질적으로 점도 및/또는 주조 온도에서 조성물의 전술한 액체 분획의 백분율에 의존할 수 있다. 2개의 침착물 사이의 최적의 접착력은 또한 2개의 침착물 사이의 접촉 영역의 표면에 의존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은 노즐과 지지체 사이의 거리 및/또는 주조 온도의 함수로서 조절될 수 있다.
노즐과 지지체 사이의 상대적 변위 속도를 맞추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는, 이것이 너무 높으면 침착물이 연속적이지 않고/않거나 노즐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고, 이는 주조 제품에 결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조 동안 지지체에 대한 노즐의 상대적 변위 속도는 0 내지 300 mm/s, 예를 들어 100 내지 150 mm/s의 범위일 수 있다.
액적과 같은 매우 작은 용적의 침착물의 경우, 노즐은 노즐에 의한 액적의 배출 순간에 지지체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레드 형태의 침착물의 경우, 노즐의 변위 속도 및 주조 유량은 원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주조 온도에서 조성물의 점도의 함수로서 선택될 것이다.
주조의 유량 및 온도는 유리하게는 선택된 노즐 직경의 함수로서 적합하게 조절되어, 조성물의 주조 후에 매우 빠르게 고형화된다.
유동화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패턴에 따라 주조 노즐로부터 지지체 상의 제어된 유량으로 주조된다. 단계 a) 내지 단계 e)를 포함하는 주조 사이클의 반복에 의해 생성된 침착물은 고형화되고 유리하게는 서로 접착되어 본 발명의 생성물을 도드라지게(in relief) 형성하고/하거나 복수의 색조를 포함한다.
유량은 예를 들어 직경 0.1 내지 1 mm의 노즐에 대해 0.05 내지 2 mm3/s이다. 주조 유량은 0.1 내지 1 mm3/s일 수 있다.
유량은 제2 침착물이 제1 침착물과 접촉하여 주조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이 부분적으로 고형화되도록 제어된다.
유량은 또한 지지체에 대한 노즐의 상대적 변위 속도의 함수로서 조정될 수 있다.
주조 온도로도 알려진 노즐의 출구에서의 유동화된 조성물의 온도는 노즐 출구에서의 주조 동안 균일한 형태의 침착물을 얻기 위해 물질의 양호한 압출 및 충분히 높은 점도에 대해 비교적 낮은 점도를 얻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공정은 수 개의 노즐을 통한 여러 가지 침착물의 동시 주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 주조는 지지체의 상이한 좌표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되는 경우이다. 노즐은 서로 일체형이어서 평행한 궤적에 따라 이동하거나, 반대로, 각각 독립적인 궤적을 따르도록 각각 그들 자신의 변위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또한 조성물 침착물의 주조 및 열가소성 물질 침착물의 주조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열가소성 물질을 주조하는 단계 g)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화장용 조성물을 주조하는 단계 (c)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폴리아미드(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다른 노즐을 사용하면서 화장용 조성물과 동시에 주조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7 mm의 액적 형태의 침착물이 선택될 것이며, 특히 매우 미세한 음영을 생성할 수 있다.
지지체는 조성물이 침착되거나 침착물이 주조되는 표면을 유리하게는 한정한다. 표면은 그것의 곡률 반경이 낮다는 측면에서(20°미만) 본질적으로 평평하다. 이 표면은 조성물 침착물이 채워질 용적을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체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지지체와는 달리, 특히 스틱으로서의 립스틱의 제조 및 디쉬에서의 금형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지지체는 화장품 또는 비화장품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지지체의 온도는 주조 조성물 침착물의 냉각을 가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25℃ 이하, 예를 들어 10℃, 4℃ 또는 0℃일 수 있다. 반대 목적으로 25℃ 이상의 온도로 지지체를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화장품 성질을 가지며, 상기 주조된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지지체는 립스틱, 방향성 제품, 고체 파운데이션 또는 아이섀도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전에 성형 또는 프레싱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이다. 이 구현예에서, 지지체는 25℃에서 고체인 지방 상을 주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금형 내에서 주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이어서 형성된 부분을 탈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형성된 몇몇 화장품의 조립(assembling)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품은 무수 화장품 지지체와 무수 침착물, 무수 지지체와 유중수 에멀젼 침착물, 유중수 에멀젼 지지체와 무수 침착물 또는 유중수 에멀젼 지지체와 유중수 에멀젼 침착물의 조립을 포함할 수 있다.
비화장품 특성의 지지체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부품일 수 있다. 또한, 화장품용 포장재 역할을 하는 용기를 구성할 수 있다.
지지체는 단계 f)의 완료시에 수득된 화장품과 일체로 유지될 수 있거나, 반대로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는 화장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의도되거나 반대로 본 발명의 화장품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의도된다.
단계 f)는 여러 번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단계 a) 내지 단계 e)가 1 회 이상 반복되어 지지체 상에 여러 개의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침착물은 서로 접촉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지지체에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침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은 지지체의 평균 평면에 평행한 면에서 또는 지지체에 수직인 면에서 변위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노즐의 조성 및 직경은, 제2 침착물을 생성하기 전에 제1 침착물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고형화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도록 선택된다. 반대로, 제1 침착물은 제2 침착물이 주조되고 그 침착물과 접촉할 때 고형화되지 않아서 이들의 접착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조 공정과 관련하여 사용된 조성물은 25℃에서 고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함유한다.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은 조성물의 주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반구형 프로브가 구비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은 침착물, 특히 아주 얇은 두께를 나타내는 침착물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침착물이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과한 후에 변형되지 않고, 침착물이 고형화되기 전에 지지체 상에 주조되면서 가라앉지 않고, 침착물이 지지체 또는 사전에 생성된 침착물에 접착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유동성 및 충분히 높은 점도(consistency)를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방법 중 하나에 따라 측정된 조성물의 경도는 0.5 내지 80 N,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0 N,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5 N이다. 조성물의 경도는 예를 들어 18 내지 44 N, 또는 30 내지 40 N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조성물의 경도는 15 내지 25 N, 6 내지 17 N 또는 9 내지 15 N이다.
조성물의 경도는 스테이블 마이크로 시스템스(Stable Micro Systems), 모델 TA.XT.Plus의 질감 분석기로 직경 12.7 mm의 반구형 프로브를 관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은 100 mL의 조성물로 채워진 클레오파트라 포트(Cleopatra pot)에서 수행된다. 세 가지 다른 샘플에 대해 수행된 세 가지 측정치의 평균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음과 같은 측정 인자가 선택된다: 2 mm/s로 접근, 2 mm/s에서 측정, 2 mm/s에서 배출, 13 mm에서 관통, 25초 이완 시간, 및 0.02 N의 촉발력(triggering force).
조성물의 경도는 또한 높이 25 mm 및 직경 8 mm의 에보나이트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는 레오(Rheo)의 TA-XT2i 질감 분석기로 측정할 수 있다. 경도 측정은 5개의 조성물 샘플의 중앙에서 수행할 수 있다. 실린더는 2 mm/s의 사전 속도로, 그 다음 0.5 mm/s의 속도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2 mm/s의 배출 속도로 각각의 조성물 샘플 내로 도입된다. 총 변위는 1 mm이다.
조성물은 하기 인자에 해당할 수 있다:
- 15 내지 25 N의 경도 및 70 내지 80℃의 적하점, 또는
- 6 내지 17 N의 경도 및 75 내지 85℃의 적하점, 또는
- 9 내지 15 N의 경도 및 55 내지 60℃의 적하점, 또는
- 18 내지 44 N의 경도, 40 내지 70℃의 적하점, 70 내지 85℃의 온도 T50, 및 74 내지 81℃의 온도 T90, 또는
- 30 내지 40 N의 경도, 55 내지 60℃의 적하점, 75 내지 80℃의 온도 T50, 및 75 내지 80℃의 온도 T90, 또는
- 40 내지 45 N의 경도 및 75 내지 80℃의 적하점.
본 발명의 방법은 제품의 미적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계 a) 내지 f) 중 하나 동안 또는 별도의 단계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치, 겹침 또는 중첩에 의해 생성된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생성된 침착물의 적외선 화염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다른 표면 처리, 예컨대 레이저에 의한 패턴 생성, 진주 광택제의 분무 또는 진주 광택제의 전착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을 25℃에서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그리고 유체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침착물에 의해 수득된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침착물은 시트, 스레드 또는 액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여러 형태의 여러 가지 침착물을 포함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대상은 다중-색조, 다중-질감 또는 다중-물질 화장품, 특히 메이크업 제품, 케어 제품, 햇빛 차단 제품 또는 방향성 제품이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유동점이 30 내지 150℃이고,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반구형 프로브가 구비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화장용 조성물의 지지체 상에 적어도 1종의 침착물을 포함하고, 상기 침착물은 5m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액적 및/또는 스레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화장용 조성물의 적어도 2종의 침착물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여러 가지 화장용 조성물의 수 개의 침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대상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함유하는 25℃에서 고체인 상이한 화장용 조성물로 구성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색조, 다중-질감 또는 다중-물질 화장품, 특히 메이크업 제품, 케어 제품, 햇빛 차단 제품 또는 방향성 제품으로서,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 반구형 프로브가 제공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 를 가지고, 상기 제품은 서로 평행한 한 무더기(stack)의 평면 층도 아니고 일련의 동축 원통형 층도 아니며 평평한 화장 표면도 포함하지 않는다. "평평한 화장 표면(flat cosmetic surface)"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품의 화장용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자유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하의 제품에 대한 설명은, 적절한 경우, 본 발명의 제2 대상과 제3 대상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이한 적하점 및 경도를 갖는 서로 접촉하는 조성물의 복수의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영역은 기하학적 패턴 또는 비-기하학적 패턴을 설명할 수 있다. 이들의 색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스틱, 반구 또는 구형과 같이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의 표면 또는 몸체는, 예를 들어, 비-기하학적 다색 구조화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구조화된 형태"라는 용어는 무작위한 형태가 아닌 2 차원의 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제품은 내비치는(openwork) 형태, 리본의 인터레이싱(interlacings) 예를 들어 브레이드(braid), 다공성 표면 또는 색상의 음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이크업 제품, 케어 제품, 햇빛 차단 제품 또는 방향성 제품일 수 있다. 메이크업 제품 중에는, 입술, 눈, 뺨, 눈썹, 얼굴 및 몸을 화장하는 제품(예를 들어, 립스틱, 블러셔 또는 아이섀도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은 아이섀도우, 블러셔, 립 글로스, 립밤, 립스틱 또는 파운데이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이러한 기능들 중 몇 가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이고, 이의 도드라짐은 1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1 mm 미만의 높이를 가지거나 또는 그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표면은 매우 높은 곡률 영역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드라짐 패턴은 종래의 주조 공정에 의해 금형에서 미리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기재된 여러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품은 i) 립스틱의 스틱 및 ii) 립스틱의 스틱과 동일한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침착물의 조립을 포함하고, 단, 이것이 함유하는 진주 광택제 및 안료는 제외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의 지지체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단계들 중 하나에서 제조된 압축 분말일 수 있다: i) 분말 케이크를 형성하기 위해 주된 비율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패턴 캐비티를 사용하여 압축하는 단계, ii) 주된 비율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압축하고, 원하는 형태에 따라 레이저 컷팅하거나, 또는 iii) 용매에 분말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얻은 후, 이를 압출하고, 원하는 형태에 따라 중공 펀치로 페이스트를 절단하고,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화장품은 병 또는 케이스와 같은 패키징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 상에 연결될 수 있고 거울을 포함할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미세 브러시를 포함하는 브러시 형태의 도포기 또는 막대에 고정된 포말 팁을 포함하는 오목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기는 케이스에 수납되어 들어갈 수 있다.
패키징은 1종 이상의 구획 또는 오목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들 구획 중 하나는 벽에 의해 구별할 필요 없이 서로 접촉하는 상이한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그에 반해서, 종래 기술에서, 각각의 구획은 주조 공정의 제조상의 제약의 관점상 단지 하나의 조성물을 동시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화장용 조성물의 특성은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대상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무수물이거나 수성 상 및 지방 상 모두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주위 온도에서 고체인 유중수 에멀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오일, 왁스 및 페이스트형 지방 화합물과 같은 지방 물질을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 또는 본 발명의 생성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조성물은 휘발성이거나 비휘발성인 오일을 함유한다.
휘발성 오일은 이소도데칸, 이소데칸, 이소헥사데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또는 펜타사이클로메티콘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휘발성 탄화수소 오일로서는 특히 밀 배아, 해바라기, 포도씨, 참께, 옥수수, 살구, 캐스터, 시아, 아보카도, 올리브, 대두, 감편도, 팜, 평지씨, 목화씨, 헤이즐넛, 마카다미아, 요요바, 알팔파, 양귀비, 호박씨, 구어드, 까막까치밥나무, 달?Ю牽?, 기장, 보리, 퀴노아, 호밀, 잇꽃, 쿠쿠이, 소우꽃 또는 사향 오일 장미; 시어버터 나무; 또는 또한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합성 에테르; 바셀린, 폴리데센,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폴리부틸렌,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틸렌, 수소화된 폴리데센, 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 예컨대 PVP/헥사데센 코폴리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펠라르고네이트, 폴리글리세롤-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아라키딜e 시트레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노나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2-데실테트라데카노에이트), 스쿠알란, 합성 에스테르, 예컨대,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C12 내지 C15 알킬 벤조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옥타노에이트, 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의 데카노에이트 또는 라이시놀레이트,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하이드록실화된 에스테르, 예컨대 이소스테아릴 락테이트 또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에이트; 폴리올 에스테르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주위 온도에서 액체이고 및 12 내지 2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된 탄소-기반 사슬을 포함하는 지방 알코올, 예컨대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2-헥실데칸올, 2-부틸옥탄올 및 2-운데실펜타데칸올; 고급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페닐트리메티콘 또는 비휘발성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60%,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25℃에서 고체 밀도를 함유하는 오일을 제공하는 구조화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화 화합물은 왁스, 페이스트형 지방 물질, 오일-겔화 중합체 및 오일-겔화 무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일(들), 왁스(들), 페이스트형 지방 물질(들), 안료(들) 및 충전제(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은 조성물의 55 내지 65 중량%를 차지하는 반면, 왁스는 조성물의 2 내지 20 중량%를 차지하고, 페이스트형 지방 물질은 조성물의 10 내지 30 중량%를 차지한다. 다른 조성물은 오일이 조성물의 55 내지 65 중량%를 차지하고, 왁스가 조성물의 5 내지 11 중량%를 차지하고, 페이스트형 지방 물질이 조성물의 20 내지 30 중량%를 차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의 용어 "왁스"는 가역적 고체/액체 상태 변화 및 30℃ 초과, 바람직하게는 45℃ 초과의 융점을 나타내는 25℃에서의 고체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의 예로는 미정질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오조케라이트, 카르나우바 왁스, 밀랍, 20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및 알코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생성물, 실리콘 왁스, 특히 알킬디메티콘, C20-C40 알킬 스테아레이트, 선형 또는 분 지형 C8-C32 사슬을 갖는 식물성 오일의 촉매적 수소화에 의해 얻어진 왁스, 예컨대 수소화된 요요바 오일, 지방 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된 피마자유의 수소화에 의해 얻어진 왁스, 칸델릴라 왁스, 말레산 무수물 및 α-올레핀 코폴리머,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수득된 왁스 및 라놀린 왁스를 들 수 있다.
용어 "페이스트형 지방 화합물"은 25℃의 온도에서 액체 분획 및 고체 분획을 포함하는 결정성 지방 화합물을 나타낸다. 상기 페이스트형 화합물은, 예를 들어, 라놀린 및 이의 유도체, 폴리머성 실리콘 화합물, C8-C30 알킬 그룹을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C8-C30 알킬 그룹을 갖는 비닐 에스테르의 호모- 및 코폴리머성 올리고머, C8-C30 알킬 그룹을 갖는 비닐 에테르의 호모- 및 코폴리머성 올리고머, 1종 이상의 C2-C50 디올 간의 폴리에테르화로 얻어진 리포가용성 폴리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장쇄 C6-C30 알킬렌 옥사이드의 코폴리머, 디글리세롤 에스테르, 아라키딜 프로피오네이트,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선형 또는 분지형 C4-C50 디카복실산 또는 폴리카복실산과 디올 또는 폴리올 간의 중축합으로 얻어진 비가교결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소화된 피마자유와 이소스테아르 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 예컨대 수소화된 피마자유의 모노-, 디- 또는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소야 스테롤과 옥시에틸렌화된(5 OE)/옥시프로필렌화된(5 OP)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오일-겔화제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예컨대 에스테르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코폴리머(유니클리어(Uniclear®,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 또는 기타 실리콘 폴리아미드, 또는 기타 L-글루아미드 유도체, 예컨대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아지노모토(Ajinomoto)에서 판매), 또는 이들 혼합물 중 하나, 발연 실리카, 점토,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및)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이량체 디리놀레산/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예컨대 할리말레이트 PAM® 코큐 알코올 코규(Kokyu Alcohol Kogyo)에서 판매), 또는 적어도 1종의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기타 수소화된 또는 비수소화된 코폴리머, 예컨대, 예를 들어, 수소화된 스티렌/메틸스티렌/인덴 코폴리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또는 스티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디블록, 트리블록, 별-분지형)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10 내지 15중량%의 왁스, 0 내지 10중량%의 페이스트형 지방 물질 및 60 내지 70중량%의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FR 2 958 159 또는 FR 2 975 58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오일을 함유하는 무수 겔 및 이러한 오일을 겔화시키는 제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겔화제는 아미드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유형의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3 차 아미드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유형의 폴리머(ATPA)를 포함한다.
겔화제가 ATPA인 경우, 비휘발성 수소화된 폴리알킬렌 오일, 특히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및 적어도 1종의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을 포함하는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을 오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고체 에멀젼 유형의 질감은 바람직하게는 에멀젼이고, 이의 수성 상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1,3- 부틸 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C3-C4 케톤 및 C2-C4 알데히드와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상(물 및 임의로 수혼화성 유기 용매)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95 중량%, 특히 3 중량% 내지 80 중량%, 특히 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성 상은, 적절한 경우,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수성 겔화제를 추가로 혼입함으로써 농축, 겔화 또는 구조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무기, 유기 또는 진주광택 안료 및 임의로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무기 안료 중에는, 예를 들면, 임의로 표면 처리된 이산화 티타늄; 흑색, 황색, 적색 및 갈색 산화철; 바이올렛 망간; 울트라마린 블루, 크로뮴 옥사이드; 크로뮴 옥사이드 수화물 및 페릭 블루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안료 중에는, 예를 들면, 안료 D & C 레드 No. 19; D & C 레드 No. 9; D & C 레드 No. 21; D & C 오렌지 No. 4; D & C 오렌지 No. 5; D & C 레드 No. 27; D & C 레드 No. 13; D & C 레드 No. 7; D & C 레드 No. 6; D & C 옐로우 No. 5; D & C 레드 No. 36; D & C 오렌지 No. 10; D & C 옐로우 No. 6; D & C 레드 No. 30; D & C 레드 No. 3; 카본블랙 및 코치닐 카마인계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진주광택 안료는 특히 백색 진주광택 안료, 예컨대 산화티타늄 또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로 코팅된 마이카, 및 착색된 진주광택 안료, 예컨대 산화철을 가지는 산화티타늄-코팅된 마이카, 페릭 블루 또는 크로뮴 옥사이드를 가지는 산화티타늄-코팅된 마이카, 또는 상기 언급된 유형의 유기 안료를 가지는 산화티타늄-코팅된 마이카, 및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계 안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충전제는 탈크,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수화물; 2 내지 200 ㎛의 치수를 가지는 마이카; 카올린,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수화물; 아연 및 산화티타늄; 칼슘 카보네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실리카; 아연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리튬 스테아레이트, 아연 라우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합성 폴리머,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예를 들어 나일론)로 형성된 분말; 구형 실리카; 구형 이산화티타늄; 유리 및 세라믹 비드;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을 수 있는 천연 기원의 유기 물질, 예컨대 옥수수, 밀 또는 쌀 전분으로 형성된 분말;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구형화된 합성 폴리머로 형성된 분말, 예컨대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분말, 예컨대 폴리-β-알라닌 분말 및 나일론 분말,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으로 형성된 분말, 디비닐벤젠에 의해 가교결합된 폴리스티렌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또는 테플론 분말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A, E, C 및 B3, 프로비타민, 예컨대 D- 판테놀, 토코페롤 포스페이트, 진정 작용 성분, 예컨대 α-바이사볼롤, 알로에 베라 또는 알란토인, 재조직화 제제(restructuring agents), 멘톨, 꿀, 연화제, 보습제, 주름 개선 활성 성분, 주름살 및 강화 활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료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항산화제, 방향제, 에센셜 오일, 보존제, 화장료 활성 성분, 보습제, 선 스크린, 계면활성제, 유화제, 분산제, 소포제, 중화제, 안정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수득된 화장품, 특히 피부 메이크업용 화장품을 다룬다.
조성물 침착물 또는 조성물 침착물의 순서는 유리하게는 수치 제어 수단에 의해 생성된다. 이 경우, 주조 노즐 또는 노즐들이 연결되고 침착물의 공간적 및 시간적 좌표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된다.
지지체 상의 조성물의 주조는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존재하는 기존의 모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2 차원 또는 3 차원 도면은 조성물의 주조 이전에 제작된다. 이러한 도면은 유리하게는 연속된 침착물을 위한 좌표로 변환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의 형태를 취한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object)은 디지털 파일 형태의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파일은 메쉬를 나타내며 .STL 또는 .OBJ 형식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형식에는 대상, 예컨대 색상과 구성하고 있는 재료에 대한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파일은 디지털 가상 대상을 나타내는 다각형 쉘(또는 메쉬)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파일은 이후 G-코드 편집기에서 열 수 있다. G-코드는 장치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재생될 모델을 나타내는 디지털 파일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G-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G-코드에는 지지체와 주조 노즐의 좌표 및 이동 순서와 관련된 모든 정보가 들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방법은 전동 지지체, 전동 주조 노즐, 유동화된 화장용 조성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 스테퍼 모터, 제어 보드, 디지털 대상을 G-코드로 변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제어 보드에 G 코드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모델에 따라 2 차원 또는 3 차원으로 이루어진 동일한 형태를 재현 가능하게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조 노즐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수단은 전동 피스톤, 스크류 또는 차압력(pressure differential)으로 제공된 주사기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급 수단은 또한 조성물의 주조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선택된 공급 수단은 주사기이고; 주사기의 피스톤은 스테퍼 모터에 의해 공급되는 스크류-너트-기어 시스템에 결합된다. 모터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스톤이 물질을 주사기의 끝 부분으로 밀어내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주조가 중지될 때 피스톤이 다시 올라와서 중력 하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물질을 유지한다.
장치 또는 노즐은 유리하게는 노즐로부터 나오는 유동화된 조성물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공간의 3개 방향 중 2개 이상의 방향으로 노즐 및/또는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장치는 개구부 또는 오리피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조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공간의 3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수단 및 모터에 연결된다.
상기 기계적 수단은, 주조 단계 c) 동안 또는 단계 d)에서 주조를 중지한 후, 유리하게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노즐 및 지지체를 변위시키도록 유도하여, 노즐을 지지체의 다른 지점으로 옮기거나, 새로운 침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또 다른 노즐을 사용하여 또 다른 조성물을 동일한 지점에서 주조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노즐은 수직 이동(Z 축)으로 구동되고 지지체는 수평 경로(Y 축 및 X 축)를 따라 궤도 상에서 변위된다.
원하는 물질 및/또는 색조의 형태 또는 공간적 배열을 얻기 위해, 상기 이동은 주조시에 또는 일단 유동이 철회되어지면 공간의 세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CAD/CAM(컴퓨터/제어기)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화장품은 컴퓨터상에서 설계되고, 그 다음 소프트웨어는 3차원 형태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컴퓨터-보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신호의 형태로 구동 모터로 전송된다.
전술한 조성물을 유체 상태, 유동화 온도 및 주조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열 수단을 사용한다.
상기 장치는 임의로, 조성물 침착물의 고형화 속도를 조절하도록, 지지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 조성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 및/또는 대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의 조절은 가속 또는 감속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침착물이 완전히 고형화되기 전에 후속적으로 생성될 제2 침착물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a) 동안, 조성물은 유동점 이상의 유동화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유동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조성물을 액화시키기 위해 주조 노즐의 상류에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 수단은 유리하게는 유동화된 조성물을 일정한 온도에서 교반하는 용기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b) 동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동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주조 노즐에 위치한 가열 및 온도-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화장품의 제조 현장뿐만 아니라 판매점 또는 뷰티 살롱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공공 장소에서 수행될 때, 소비자는 그가 원하는 화장품의 기능성, 형태 및/또는 색조를 선택하기 위해 단계 a) 전에 상담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연속적인 침착물을 생성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로 변환되기 전에 컴퓨터에서 재생될 사진 또는 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다중-색조 화장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다중-질감 화장품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문맥에서 도시된 값은 25℃ 및 1 기압(105 Pa)에서 수행된 측정값에 의한다.
실시예 1: 다중-색조 립스틱
조성물의 제조
적색, 자주색, 핑크색의 상이한 색조의 3가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3가지 조성물은 안료와 진주 광택제의 성질과 상대적 비율이 다르다. 이들의 구성 성분들과 중량 백분율로 표시되는 비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폴리에틸렌, 밀랍 및 오조케라이트의 혼합물 12.7
벤톤 및 C10-C30 에스테르의 혼합물 3.4
폴리이소부텐, 에스테르, 폴리데센 및 옥틸도데칸올의 혼합물 64.5
안료 및 진주광택 제제의 혼합물 (1) 또는
안료 및 진주광택 제제의 혼합물 (2) 또는
안료 및 진주광택 제제의 혼합물 (3) 15.9
보존제, 활성제 또는 방향제 100이 되도록 하는 충분량
상기 조성물은 95℃와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수득된다. 상기 조성물을 25℃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조성물의 경도 및 적하점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경도는 스테이블 마이크로 시스템스(Stable Micro Systems), TA.XT.Plus 모델의 질감 분석기로 12.7 mm 직경의 반구형 프로브(델린 핑거(Delrin finger)로 공지됨)의 관통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은 100 mL 클레오파트라(Cleopatra) 포트에서 수행되었고, 3 회 반복되었다.
측정 인자는 다음과 같다:
- 접근 2 mm/s
- 시험 2 mm/s
- 배출 2 mm/s
- 관통 13 mm
- 이완 25초
- 촉발력 2 g.
적하점은, 2.0℃/분의 가열 속도, 40℃의 개시 온도 및 95℃의 최종 온도를 채택함으로써, 오리피스 직경이 2.8 mm인 표준화된 컵이 제공된 메틀러 톨레도(Mettler Toledo) DP70 장치로 측정하였다. 액적은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검출하였다.
제1 조성물은 43.3 N의 경도 및 78.2℃의 적하점을 갖는다. 제2 조성물은 40.2N의 경도 및 79.4℃의 적하점을 갖는다. 제3 조성물은 40.7N의 경도 및 77.5℃의 적하점을 갖는다.
주조 장치(casting device)
주조 장치는 편평한 비화장품 지지체, 3개의 노즐 및 각각의 노즐에 대한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각각의 노즐은 직경 0.5 mm의 원형 오리피스를 나타낸다. 노즐은 수직 궤적을 따라 변위되도록 하는 기계적 수단에 연결된다. 지지체에는 한정된 평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기계적 수단이 제공된다.
주조 장치는 25℃에서 온도 조절되는 챔버에 놓는다; 이는 사전 규정된 기하학적 패턴을 나타내는 3개의 색조를 포함하는 립스틱을 제조하기 위해, 노즐을 공급하는 수단, 노즐의 변위 및 지지체의 변위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연결된다.
주조 공정(casting process)
이 공정에서는, 조성물을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소정의 순서에 따라 연속적인 침착물에 의해 주조한다.
제1 조성물은 90 내지 95℃ 정도의 유동화 온도에서 유동화되고, 제1 공급 수단에 의해 제1 노즐 내로 도입된 다음, 대기압에서 지지체 상에 제1 조성물을 주조하여 제1 조성물의 제1 스레드를 형성한다. 침착된 스레드의 형태는 주조 중에 선형 또는 곡선 궤적을 따르는 지지체의 움직임에 의해 정해진다. 제1 침착물 또는 제1 조성물의 주조는 제1 노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의 컴퓨터 제어에 의해 중단된다.
제2 노즐 및 지지체는 차후에 제1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기재된 조건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2 조성물의 제1 스레드를 생성하도록 배치될 것이다. 이어서, 제2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의 주조를 중단시킨다.
3개의 노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3개의 조성물의 주조의 순서 및 지속 시간을 얻고자 하는 제품의 패턴 및 형태의 함수로서 규정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i): 제1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을 주조하고, 이어서 지지체와 노즐 사이의 일정한 거리에서 지지체 상에 제2 조성물의 제1 침착물을 주조하는 단계, 이어서
단계 ii): 제1 침착물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만큼 지지체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선행 단계에서 생성된 침착물 위에, 제3 조성물의 제1 침착물 및 제1 조성물의 제2 침착물을 주조하는 단계, 이어서
단계 iii): 단계 ii)에서 생성된 침착물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만큼 지지체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단계 ii)에서 생성된 침착물 위에, 제2 조성물의 제2 침착물 및 제3 조성물의 제2 침착물을 주조하는 단계,
단계 iv): 각 단계 내의 지지체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단계 i) 내지 iii)을 반복하여, 노즐과 침착물이 생성되어야만 하는 표면 사이의 갭을, 한 단계와 다른 단계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
일단 일련의 단계가 종료되면, 연속적인 침착물로 구성된 제품은 장치의 지지체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순서를 따르면, 수득된 제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틱 형태의 립스틱일 수 있다. 이러한 립스틱은 12 면체 형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색조는 그 조합이 조화롭고 매력적인 전체를 재현하도록 선택된다.
실시예 2: 다중-질감 립밤 (lip balm)
조성물의 제조
투명한 조성물(1)은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구성 성분 및 중량비로 표시되는 이들의 함량은 이하에 기재된다.
상 A(Phase A)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이량체 디리놀레산/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21
에틸헥실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56
상 B(Phase B)
수소화된 스티렌/메틸 스티렌/인덴 코폴리머 10
세틸 알코올 3.2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0.4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미드 0.4
착색 조성물(2)은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구성 성분 및 중량비로 표시되는 이들의 함량은 이하에 기재된다.
폴리에틸렌, 밀랍 및 오조케라이트 왁스 10.2
벤톤, C10-C30 에스테르 25.5
폴리이소부텐, 에스테르,
폴리데센 및 옥틸도데칸올 60.3
안료 및 진주광택 제제 0.7
보존제, 활성제 또는 방향제 100이 되도록 하는 충분량
두 조성물의 경도 및 적하점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조성물(1)은 6.4 N의 경도 및 82.8℃의 적하점을 갖는다. 조성물(2)은 18.3 N의 경도 및 75.4℃의 유동점을 갖는다.
주조 공정
제1 단계에서, 투명한 조성물의 원통형 형태의 적어도 1종의 침착물을 지지체 상에 생성한다.
제2 단계에서, 원통형 부분(section)이 연속적으로 주조되며, 이 부분은 중첩되고 각각은 투명한 조성물(1) 및 착색 조성물(2)의 침착물을 포함한다.
제3 단계에서, 투명한 조성물의 적어도 1종의 침착물이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실린더에 연속해서 원하는 높이의 실린더가 형성될 때까지 제조된다.
수득된 생성물은 스틱 형태의 립밤이다(도 2). 제1 투명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뫼비우스 띠를 형성하는 제2 착색 조성물을 희미하게 보이게 한다. 제품의 사용은 조성물(1)에 의해 광택을 내면서 동시에 조성물(2)에 의한 보습을 주는 막을, 입술 상에, 침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실시예 3: 다중-물질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제조
조성물은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구성 성분 및 중량비로 표시되는 이들의 함량은 이하에 기재된다.
폴리에틸렌 왁스 3
밀랍 3
수소화된 글리세라이드 3.7
헥토라이트 0.8
에스테르 5.45
오일 9.7
액체 선스크린 7.5
안료 19
물 100이 되도록 하는 충분량
완화제 및 보존제 5.6
비닐 디메티콘/메티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셀룰로오스 검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4.6
고체 선스크린 1.5
두 조성물의 경도 및 적하점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조성물은 12.8N의 경도 및 58.4℃의 적하점을 갖는다.
주조 공정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몇 가지 연속적인 침착물을, 지지체로서 3 차원 물체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성한다. 침착물이 지지체의 표면 전체를 일정한 두께로 덮어서 지지체가 코팅되고 보이지 않도록 생성한다.
수득된 제품은 새로운 수성 효과를 갖는 파운데이션이다. 화장용 조성물은 지지체 뒤에 있으면서(backed) 동일한 형태를 나타낸다. 화장용 조성물은 브러시로 배출할 수 있다. 지지체는 조성물이 배출되면서 사용자에게 나타난다. 지지체는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속적인 침착물에 의하거나 또는 성형에 의한 주조 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9)

  1. 다음 순서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를 위한 주조 방법:
    a)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 반구형 프로브가 구비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가지는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을, 그의 유동점보다 더 높은 유동화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유동화된 조성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유동화된 조성물을, 하나의 치수가 0.01 내지 5mm인 오리피스를 갖는 주조 노즐 내로 도입하는 단계,
    c1) 배출된 용적을 얻기 위해, 상기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유동화된 조성물을 배출함으로써 0.05 내지 2 mm3/s 의 주조 유속으로 주조하는 단계로, 상기 배출된 용적은 상기 오리피스에서 배출된 용적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지체 상에 침착되고, 25℃로 냉각된 후,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조성물의 제1 고체 침착물을 형성하고,
    c2)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노즐을 - 공간의 세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유동화된 조성물의 주조를 중지시키는 단계, 그 다음
    e)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지지체 상에 적어도 1종의 제2 침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30 내지 150℃의 유동점 및 0.5 내지 80 N의 평균 경도(반구형 프로브가 구비된 질감 분석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됨)를 가지는 오일을 함유하는 동일한 조성물 또는 다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계 a) 내지 단계 e)를 적어도 1회 반복하는 단계로,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유동화된 조성물의 용적에 대해 용기로서 작용하지 않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조 온도가 상기 유동화 온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c1)에서의 유동화된 조성물의 주조 단계 및 단계 c2)에서의 상기 노즐의 이동 단계가 병용되어, 원통형의 침착물을 형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된 용적의 형태는, 주조 후에 상기 침착물에 기계적 또는 열적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아 상기 고체 침착물의 형태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착물의 평균 직경은 상기 노즐의 오리피스의 직경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조 온도 및 대기압에서의 상기 조성물의 동적 점도는 1 내지 10,000 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 온도가 상기 조성물의 유동점보다 1 내지 15℃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 초과의 적하점(dropping point)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화장품 또는 비-화장품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c)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수행되는 열가소성 물질을 주조하는 단계 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7034053A 2014-05-23 2015-05-22 다중-조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9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4677A FR3021212B1 (fr) 2014-05-23 2014-05-23 Produits cosmetiques mutli-compositions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FR1454677 2014-05-23
PCT/FR2015/051368 WO2015177484A1 (fr) 2014-05-23 2015-05-22 Produits cosmétiques multi-compositions et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344A KR20170007344A (ko) 2017-01-18
KR102439696B1 true KR102439696B1 (ko) 2022-09-02

Family

ID=5151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053A KR102439696B1 (ko) 2014-05-23 2015-05-22 다중-조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12718B2 (ko)
EP (1) EP3145588B1 (ko)
JP (1) JP6705603B2 (ko)
KR (1) KR102439696B1 (ko)
CN (1) CN106572946B (ko)
ES (1) ES2863563T3 (ko)
FR (1) FR3021212B1 (ko)
WO (1) WO2015177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4658B1 (fr) 2014-08-05 2016-09-02 Oreal Procede de fabrication additive d'un objet tridimensionnel comprenant ou constituant une composition cosmetique par projection directe, et appareil associe
EP3275337B1 (de) * 2016-07-29 2020-02-19 Weckerl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lden einer egalisierten oberfläche von pastösen massen
FR3069776B1 (fr) * 2017-08-03 2020-11-13 Fareva S A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es soins de la peau
KR102429839B1 (ko) * 2017-09-29 2022-08-05 (주)아모레퍼시픽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182198A1 (ko) * 2018-03-19 2019-09-26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CN108578256B (zh) * 2018-05-17 2020-08-21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防晒隔离棒及其制备方法
EP3685699A1 (en) * 2019-01-23 2020-07-29 Unilever PLC Packaged deodorant stick product
CN113631061A (zh) * 2019-03-29 2021-11-09 株式会社资生堂 送出容器
IT202000024883A1 (it) * 2020-10-21 2022-04-21 Rc Stampi Di Roberto Campanini Sistema di realizzazione per stampi per prodotti cosmetici colati, metodo e stampo
FR3131241A1 (fr) 2021-12-27 2023-06-30 Kao Corporation Procédé de production de produit de soins personnels
JP7361189B2 (ja) * 2021-12-27 2023-10-13 花王株式会社 パーソナルケア製品の製造方法
CN115088931A (zh) * 2022-06-20 2022-09-23 丽鑫生技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多色渐变的多功能结合粉盘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1788A1 (en) * 2000-05-31 2002-04-11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269470A1 (en) * 2006-04-14 2007-11-22 Kokyu Alcohol Kogyo Co., Ltd. Oil base and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same
US20130341833A1 (en) * 2009-12-07 2013-12-26 The Kind Group Llc Lip balm with spherical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22205C (ko) * 1963-05-17
JPS54113445A (en) * 1978-02-23 1979-09-05 Kanebo Ltd Lipstick having sheath-core structure
US4602886A (en) * 1983-12-28 1986-07-29 Smit Adrianus J Multi-color marking implement
US4743443A (en) 1987-05-04 1988-05-10 Cavalla, Inc. Tri-color lipstick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796276B1 (fr) * 1999-07-15 2003-05-16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solide comprenant une huile et un compose gelifiant particulier,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et utilisation dudit compose
JP4412835B2 (ja) * 2000-09-19 2010-02-1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多色固形化粧料
FR2822065A1 (fr) * 2001-03-13 2002-09-20 Oreal Composition solide contenant des particules solides dont au moins une partie de fibres
US6936242B2 (en) * 2002-11-15 2005-08-30 The Gillette Company Multi-portion antiperspirant composition
JP4824344B2 (ja) * 2005-05-31 2011-11-30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グラデーション模様を有する多色固形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29154A2 (en) * 2005-09-09 2007-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lid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multiple layers
JP4926516B2 (ja) * 2006-03-27 2012-05-09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多色固形化粧料
WO2009037730A1 (ja) * 2007-09-20 2009-03-26 Nippon Shikizai, Inc. 多色固形化粧料、その製造方法、多色化粧品及びその製造方法
FR2956833B1 (fr) 2010-02-26 2014-06-13 Citus Labo Equipement Coulage a chaud d'un produit de maquillage plat
FR2958159B1 (fr) 2010-03-31 2014-06-13 Lvmh Rech Compos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JP5562816B2 (ja) * 2010-11-29 2014-07-30 紀伊産業株式会社 スティック状乳化組成物
FR2975589B1 (fr) 2011-05-26 2016-08-26 Lvmh Rech Composition de maquillage produisant un changement de couleur a l'application
FR2985422B1 (fr) * 2012-01-10 2014-08-0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lide a effets magnetiqu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1788A1 (en) * 2000-05-31 2002-04-11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269470A1 (en) * 2006-04-14 2007-11-22 Kokyu Alcohol Kogyo Co., Ltd. Oil base and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same
US20130341833A1 (en) * 2009-12-07 2013-12-26 The Kind Group Llc Lip balm with spherical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2946A (zh) 2017-04-19
CN106572946B (zh) 2020-12-11
JP2017518983A (ja) 2017-07-13
FR3021212A1 (fr) 2015-11-27
KR20170007344A (ko) 2017-01-18
US10912718B2 (en) 2021-02-09
WO2015177484A1 (fr) 2015-11-26
EP3145588A1 (fr) 2017-03-29
US20170135912A1 (en) 2017-05-18
FR3021212B1 (fr) 2017-09-15
EP3145588B1 (fr) 2021-03-10
JP6705603B2 (ja) 2020-06-03
ES2863563T3 (es) 202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696B1 (ko) 다중-조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6620948B2 (ja) 注入製品を含む化粧料アセンブリ
US10413758B2 (en) Method for the additive manufactur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comprising or forming a cosmetic composition by application of a photoactivatable material onto a powder, and associated apparatus
EP3177452B1 (en) Method for the additive manufactur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comprising or forming a cosmetic composition by application of a powder binding activator, associated object
EP2090188A1 (en)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177450B1 (en) Method for the additive manufactur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comprising or forming a cosmetic composition by direct projection using a photoactivatable material.
AU2001265270A1 (en)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HU215653B (hu) Bőr kikészítésére alkalmas kozmetikai készítmény,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valamint a készítményből nyert make-up termék
JP6859078B2 (ja) スティック状油性固形化粧料
EP3177449B1 (en) Method for the additive manufactur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comprising or forming a cosmetic composition by direct projection, and associated apparatus
CA3123508A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egetable butters
CN106413468B (zh) 角蛋白纤维的美容处理
US20170231356A1 (en) Cosmetic treatment of keratin fibres
JP6643864B2 (ja) 多色油性固形組成物
JP7495233B2 (ja) 固形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方法
JP7495234B2 (ja) 模様付固形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653560A (zh) 棒状化妆料
JP2973132B2 (ja) 固形状化粧料の製造方法
JP2021109852A (ja) 模様付固形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09850A (ja) 粒状固形化粧料の製造方法
WO2021090754A1 (ja) 多相油性固形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