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2174A1 -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 Google Patents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2174A1
WO2018052174A1 PCT/KR2017/003979 KR2017003979W WO2018052174A1 WO 2018052174 A1 WO2018052174 A1 WO 2018052174A1 KR 2017003979 W KR2017003979 W KR 2017003979W WO 2018052174 A1 WO2018052174 A1 WO 20180521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euroform
tightening
fastening mean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9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양선
Original Assignee
이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선 filed Critical 이양선
Publication of WO20180521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21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폼의 시공시 서로 연접되는 네 곳의 모서리부분을 측면에서 조여서 유로폼을 일체화시키고 상부면을 가압하여 평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지지체(102)와; 상기 외부 지지체(102)의 내측부에 삽입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져서 유로폼의 모서리를 조여주고 풀어주는 내부 죔수단(104)과; 상기 내부 죔 수단(104)의 하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하부 지지체(106)와; 상기 외부 지지체(102)와, 내부 죔수단(104)과, 하부 지지체(106)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고, 상기 하부 지지체(106)를 상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부 죔수단(104)을 좌우로 벌려주고 조여주는 조임부재(10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본 발명은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폼의 시공시 서로 연접되는 네 곳의 모서리부분을 측면에서 조여서 유로폼을 일체화시키고 상부면을 가압하여 평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축조되는 건축물을 신속 정확하게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은 아파트, 호텔, 콘도미니엄, 오피스텔, 병원 등과 같이 층별 구조나 평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반복되도록 설계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을 신속하게 구축하는 거푸집 공법이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종래와 같은 철틀 패널의 거푸집(이하, '유로폼"이라 한다)을 시공할 경우에는 기능공의 숙련정도, 경제적 측면에서 확산되고 있으나 1200X600mm 규격의 25Kg이상의 거푸집은 작업 능률의 한계와 유로폼의 이음새 증가, 상방향으로 솟아 오르는 배부름으로 인한 면정리, 견출 비용의 증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유로폼을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될 뿐 아니라 거푸집을 수차례 사용하기 때문에 전용회수가 늘어날수록 콘크리트 표면 마감상태가 조악해지므로 별도의 면처리가 갈수록 중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유로폼은 시공시에 각각의 패널들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와 모서리 부위가 서로 연결되도록 밀착하여 시공되는바, 유로폼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의 어느 한 부분이 돌출되거나 비틀어져서 모서리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불규칙하게 시공됨으로써 작업이 어려웠고,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로폼의 시공시 서로 맞닿는 부위가 서로 밀리지 않고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잡아 줄 수 있는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로폼의 시공시 네 방향에서 서로 접촉되는 모서리의 안쪽 부위를 네 곳을 물어줌으로써 유로폼이 밀리지 않고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여줄 수 있는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로폼의 상면은 위에서 누름부가 눌러주면서 평면을 유지하고 모서리 부위는 유로폼들이 서로 밀착되어 일체화되도록 조여주도록 이루어진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지지체(102)와; 상기 외부 지지체(102)의 내측부에 삽입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져서 유로폼의 모서리를 조여주고 풀어주는 내부 죔수단(104)과; 상기 내부 죔 수단(104)의 하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하부 지지체(106)와; 상기 외부 지지체(102)와, 내부 죔수단(104)과, 하부 지지체(106)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고, 상기 하부 지지체(106)를 상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부 죔수단(104)을 좌우로 벌려주고 조여주는 조임부재(108)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죔수단(104)은, 결합구(20)를 상단부에 구비한 상부 지지체(18)와; 상기 상부 지지체(18)의 외주면에 각각 고정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조임레그(24)와; 상기 조임레그(24)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내측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연결 고정되는 다수 개의 링크(28)와; 상기 다수 개의 링크(28)와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체(10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지지체(106)는, 원통형상의 하부 몸체(32)와; 상기 하부 몸체(3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링크(28)가 외주면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슬릿(36)을 구비한 상부 몸체(34)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부재(108)는, 가압몸체(44)와; 상기 가압몸체(4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누름부(40)와; 상기 누름부(40)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어 나선 이동하는 고정구(4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지지체(102)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유로폼 모서리의 서로 밀착된 변부에 끼워져서 유로폼 모서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유로폼의 시공시 모서리 부위가 서로 맞닿으면서 밀리거나 솟아오르는 결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시공을 정확하게 신속하게 함으로써 유로폼의 공정을 단축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로폼의 시공시 작업성을 개선함으로써 건축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하여 비용을 우수하게 절감하고 유로폼의 시공 시간과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기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100)는, 외부 지지체(102), 내부 죔수단(104), 하부 지지체(106) 및 조임부재(108)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지지체(102)는 종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가 유로폼(300)의 모서리부 변부에 결합되어 유로폼과 유로폼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12)는 작업자가 육안을 통해서 상기 내부 죔수단(104)의 조임정도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외부 지지체(102)의 내측부에는 상기 내부 죔수단(104), 하부 지지체(106) 및 조임부재(108)가 모두 수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죔수단(104)은 상기 외부지지체(102)의 내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전후 좌우로 벌려지고 오므라들면서 유로폼(300)의 네 모서리 내측에 접촉하여 조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적어도 한면 또는 바람직하게는 좌우양측의 적어도 두면 이상을 접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체(106)는 내부 죔수단(10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조임부재(108)의 하단부에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조입부재(108)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 죔수단(104)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로 유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108)는 상하로 승강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지지체(102)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 죔수단(104)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 지지체(102)는 종형상, 원통형상, 컵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조임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108)의 중단부 즉, 외부 지지체(102)의 내측부에는 내부 죔수단(10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임부재(108)의 하단부에는 하부 지지체(106)가 유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내부 죔수단(104)은 상기 조임부재(108)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조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임부재(108)를 돌려서 하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내부 죔수단(104)이 안쪽으로 좁혀지면서 유로폼 모서리(300)를 조이게 되고, 상기 내부 죔수단(104)을 돌려서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유로폼 모서리(300)를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 죔수단(104)이 조여지는 경우, 상기 유로폼 모서리(300)의 안쪽에서 적어도 두면 이상이 접하도록 이루어져서 밀착 조임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내부 죔수단(104)과 하부 지지체(106)는 다수 개의 링크(28)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28)들과 연동하여 조여지고 벌어지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먼저, 외부 지지체(102)는 종형상으로 이루어진 누름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몸체(10)의 측면부에는 다수 개의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2)는 유로폼(300)의 상면에서 결합되어 상기 유로폼이 좌우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누름몸체(10)의 상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4)에는 결합구(20)가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외부 지지체(102)는 상기 조임부재(108)가 회전시 볼트가 회전하는 것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몸체(10)의 하단부 밑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밴드 타입의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유로폼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바닥면과 밀착되어 마찰력과 외측방향으로 작용하는 대항력을 발생시키고 증가시켜서 유로폼의 벌어짐을 막아주기 위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부 지지체(102)의 내측부에는 유로폼 모서리를 조여서 고정하기 위한 내부 죔수단(104)이 결합 설치되는바, 상기 내부 죔수단(104)은 원통형상의 상부 지지체(18), 다수 개의 조임레그(24), 하부 지지체(106) 및 다수 개의 링크(2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죔수단(104)의 상부 지지체(18)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지지체(18)의 중앙 상방향으로는 결합구(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2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에는 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2)에는 조임부재(108)가 체결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상부 지지체(18)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조임레그(24)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임레그(24)는 하방으로 연장되되, 원주방향으로 펼쳐지고 좁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레그(24)는 사각바 몸체로서 외측방향으로 완만한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조임팁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팁부(26)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로폼 모서리(300)의 내측 양면이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강하게 조여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유로폼 모서리(300)를 강하게 조여줄 수 있도록 원통형, 타원형, 사다리꼴, 톱니형 등 유로폼 모서리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양측면, 즉 적어도 두면 이상이 밀착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레그(24)의 중단부에는 다수 개의 조임레그(24)에 각각 대응하여 다수 개의 링크(2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28)들의 상단은 상기 조임레그(24)의 중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방향으로 연결되되 중심을 향해 모여져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임레그(24)와 링크(28)는 본 발명에서는 네 개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를 조여주고 풀어주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 개의 링크(28)들의 상단이 상기 조임레그(24)에 고정되어 있는바, 그 하단부는 상기 하부 지지체(10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28)의 하부 끝단에는 링크팁(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체(106)는 원통형상으로 하부몸체(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30)의 상부에는 상부몸체(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몸체(30)와 상부몸체(34)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2)에는 전술된 조임부재(108)가 결합된다. 상기 통공(32)은 조임부재(108)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조임부재(108)가 걸리거나 고정되지 않고 상하로 유동되도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몸체(34)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고정슬릿(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슬릿(36)에는 전술된 링크(28)의 링크팁(50)이 연결 고정된다.
상기 조임부재(108)는 상기 결합구(20)와, 하부 지지체(106)를 통과해서 결합되고 상하로 나선 이동하도록 설치되는바, 볼트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가압몸체(44)와, 상기 가압몸체(44)의 하단부에 형성된 누름부(40)와, 상기 가압몸체(44)에 결합되는 고정구(4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42)는 상하 높이의 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두게가 얇은 박형의 원판으로서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몸체(44)가 상하로 이동하고, 하향이동함으로써 상기 누름부(40)가 유로폼 모서리(300)의 네 곳이 만나는 상부지점을 가압하여 평면상태가 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상부몸체(34)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고정슬릿(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슬릿(36)에는 상기 링크(28)의 고정팁부(50)가 끼워져서 연결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압몸체(44)의 하단부에는 누름부(40)가 형성되는바, 상기 누름부(40)는 밑면이 넓은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밑면이 유로폼 모서리의 상면과 접촉한다.
상기 가압몸체(44)의 하단부에는 고정턱(45)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턱(45)의 사이에는 전술한 하부 지지체(106)가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체(106)는 상기 고정턱(45)에 의하여 상부 고정턱과 하부 고정턱 사이를 이동한다.
상기 고정턱(45)의 하부에는 고정구(4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턱(45)은 유동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몸체(44)의 상단부에는 회전팁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팁부(46)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108)는 가늘고 긴 원통형상의 가압몸체(44)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몸체(4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압몸체(44)의 상단부에는 회전팁부(46)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회전팁부(4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압몸체(44)가 회전하면서 상방 및 하방으로 스크류 이동 즉, 나선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가압몸체(44)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구(20)의 나사부(22)에 체결되고, 상기 가압몸체(44)의 하단부는 고정구(42)의 내측에 형성된 통공부에 결합되어 진다.
이와 같이 조임부재(108)의 가압몸체(44)가 나사부(22)와 고정구(42)에 결합됨으로써 상하로 이동하면서 하부 지지체(106)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28)들이 위로 당겨지면서 조임레그(24)가 당겨지면서 조임조임팁부(26)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유로폼 모서리를 조여주고, 링크(28)들이 아래로 밀려나면서 조임레그(24)가 벌려지면서 조임팁부(26)가 풀어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회전팁부(46)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임부재(108)가 하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임부재(108)가 하향 이동하면서 조임레그(24)를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임레그(24)의 하단부에 형성된 조임팁부(26)가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로폼 모서리(300)의 좁은 네 모서리부를 측면에서 가압 밀착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외부 지지체(102)가 상기 유로폼 모서리(300)의 변부에 끼워져서 네 모서리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또한, 상기 링크(28)들은 상기 조임레그(2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호 연결 동작하여 조임부재(108)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하향으로 당겨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임레그(24)가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외부 지지체(102)는 볼트의 풀림이 있을 경우, 내부 죔수단(104)이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조임레그(24)와 조임팁부(26)가 외측방향으로 더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도로서, 모서리 클램프(100)를 유로폼 모서리(3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조임부재(108)를 회전시켜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조임부재(108)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하부 지지체(106)가 하향으로 유동하고 조임부재(108)의 누름부(40)가 상기 유로폼 모서리(300)의 상부면을 가압하며 상기 외부 지지체(102)는 상기 유로폼 모서리(300)의 밀착된 변부에 결합되어 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조임레그(24)가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로폼 모서리(300)의 네 모서리 양측면부를 밀착하면서 견고하게 조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로폼 모서리를 조여주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조임부재(108)를 회전시켜서 누름부(40)를 하향 이동하여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조임레그(24)를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모서리를 조여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상기 조임레그(24)와 조임부재(108)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조임부재(108)는 나사가 풀리더라도 상기 외부 지지체102)에 의해 더 벌어지지 않고 막혀져서 상기 유로폼 모서리를 계속적으로 가압 유지하면서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외부 지지체(102)와;
    상기 외부 지지체(102)의 내측부에 삽입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져서 유로폼의 모서리를 조여주고 풀어주는 내부 죔수단(104)과;
    상기 내부 죔 수단(104)의 하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하부 지지체(106)와;
    상기 외부 지지체(102)와, 내부 죔수단(104)과, 하부 지지체(106)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고, 상기 하부 지지체(106)를 상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부 죔수단(104)을 좌우로 벌려주고 조여주는 조임부재(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죔수단(104)은,
    결합구(20)를 상단부에 구비한 상부 지지체(18)와;
    상기 상부 지지체(18)의 외주면에 각각 고정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조임레그(24)와;
    상기 조임레그(24)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내측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연결 고정되는 다수 개의 링크(28)와;
    상기 다수 개의 링크(28)와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체(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체(106)는,
    원통형상의 하부 몸체(32)와;
    상기 하부 몸체(3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링크(28)가 외주면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슬릿(36)을 구비한 상부 몸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08)는,
    가압몸체(44)와;
    상기 가압몸체(4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누름부(40)와;
    상기 누름부(40)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어 나선 이동하는 고정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체(102)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유로폼 모서리의 서로 밀착된 변부에 끼워져서 유로폼 모서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PCT/KR2017/003979 2016-09-13 2017-04-12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WO20180521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06A KR101758642B1 (ko) 2016-09-13 2016-09-13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KR10-2016-0117906 2016-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2174A1 true WO2018052174A1 (ko) 2018-03-22

Family

ID=5941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979 WO2018052174A1 (ko) 2016-09-13 2017-04-12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8642B1 (ko)
WO (1) WO2018052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31A1 (ko) * 2018-10-12 2020-04-16 안혜림 패널폼 고정 장치
KR102186590B1 (ko) * 2019-10-11 2020-12-03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WO2021246663A1 (ko) * 2020-06-03 2021-12-09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426A (ja) * 1992-09-08 1994-03-29 Shinichi Nogami 側端型枠の支保具
KR100680761B1 (ko) * 2006-01-24 2007-02-08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유로폼 지지용 턴버클
KR20080101977A (ko) * 2007-05-17 2008-11-24 (주)삼아테크 거푸집 체결장치
KR100943424B1 (ko) * 2009-11-27 2010-02-19 주식회사종합기술건축사사무소도원 앵커를 이용한 모서리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KR100950258B1 (ko) * 2010-01-11 2010-03-31 금강종합감리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426A (ja) * 1992-09-08 1994-03-29 Shinichi Nogami 側端型枠の支保具
KR100680761B1 (ko) * 2006-01-24 2007-02-08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유로폼 지지용 턴버클
KR20080101977A (ko) * 2007-05-17 2008-11-24 (주)삼아테크 거푸집 체결장치
KR100943424B1 (ko) * 2009-11-27 2010-02-19 주식회사종합기술건축사사무소도원 앵커를 이용한 모서리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KR100950258B1 (ko) * 2010-01-11 2010-03-31 금강종합감리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642B1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2174A1 (ko)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WO2012060593A2 (ko) 철근 커플러
WO2011030973A1 (ko) 철근 커플러
WO2019199091A1 (ko) 시공성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천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WO2016108517A1 (ko)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WO2020004888A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WO2023287134A1 (ko) 일체형 논-슬립 와셔
WO2020231003A1 (ko)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WO2017034354A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WO2016204558A1 (ko) 벽체 시공장치
WO2018038298A1 (ko)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WO2017086650A1 (ko)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WO2019221439A1 (ko) 관 연결 조립체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WO2017150896A1 (ko) 천장마감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WO2014069848A1 (ko) 링 고정 타입 철근 커플러
WO2019004493A1 (ko)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JP7325746B2 (ja) 配管固定具用支持材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WO2015053487A1 (ko)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WO2021246663A1 (ko) 유로폼 고정 장치
WO2019216507A1 (ko) 자립형 pc 기둥 접합부
WO2020050644A1 (ko) 프로파일 연결장치
JPH0473373A (ja) 足場用パイプ支柱の固定方法
KR100886209B1 (ko) 확장형 발코니용 안전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10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10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