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50896A1 - 천장마감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 Google Patents

천장마감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50896A1
WO2017150896A1 PCT/KR2017/002218 KR2017002218W WO2017150896A1 WO 2017150896 A1 WO2017150896 A1 WO 2017150896A1 KR 2017002218 W KR2017002218 W KR 2017002218W WO 2017150896 A1 WO2017150896 A1 WO 20171508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eiling
coupled
connector
space
cei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2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CN201780013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699838A/zh
Publication of WO20171508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508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0Connections between 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산볼트와 행거 사이에 연결구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대의 외주면에 공간형성 프레임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편이 형성되어, 인접한 연결구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이 결합된다. 이로써, 천장 구조체의 내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과정이나,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작업공간을 간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마감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본 발명은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구조물에 앵커를 삽입하고, 전산볼트의 하단에 행거를 결합하여 캐링바를 구비하고, 엠바나 티바와 같은 마감지지레일을 결합하는 천장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와 행거 사이에 연결대와 그 외주면에 결속편이 형성된 연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결속편에 공간형성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장은 마감처리를 하지 않고 슬라브의 하부를 노출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각종 설비를 구비하기 위하여 덕트 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부를 마감패널을 이용하여 마감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 슬라브의 하부에 앵커와 같은 인서트 매립 구조물을 설치하며, 앵커에 전산볼트와 행거를 결합하고 캐링바를 구비하여, 상기 캐링바에 마감지지레일을 설치한다. 상기 마감지지레일은 엠바(M-bar)나 티바(T-bar) 등이 있으며, 그 하부에 마감패널을 결합하여 천장 구조체가 완성된다.
한편, 슬라브의 하부에는 각종 조명이나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전선이나 케이블, 배관이 구비되며, 이러한 전선, 케이블 및 배관은 상기 천장 구조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천장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을 확보한다.
따라서, 각종 조명이나 설비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천장 구조체의 내부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전선, 케이블 및 배관 등에 의하여 간섭을 받게 되어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조명이나 설비를 설치하고,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또한, 일반적인 천장 구조체는 전산볼트에 행거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나, 행거의 높낮이 조절이 일정한 폭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98567호(2006. 9. 19.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공개된 바 있으며, 절곡시킨 판상 띠 형태의 행거를 전산볼트에 연결하여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금속재 판상 띠를 절곡하여 제작된 행거를 고정하기 위해서 다수의 클램핑부, 볼트 및 너트 등이 수반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행거 자체가 만곡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4463호(2015. 11. 2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를 출원하여 시공과정에서 유연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행거를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기술적 과제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장 구조체의 내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과정이나,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작업공간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천장 구조체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천장 구조체의 높낮이 조절과 상태 파악이 용이하며, 부재 간의 결합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천장 구조체의 형상과 무관하게 유연하게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캐링바와 마감지지레일의 결합력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 구조물(S)에 삽입되는 앵커(10)에 전산볼트(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전산볼트(20)의 하단에 행거(30)가 결합되어 캐링바(40)를 구비하고, 상기 캐링바(40)에 마감지지레일(5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천장 구조체(CS)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20)와 행거(30) 사이에 연결구(60)가 결합되고, 인접한 연결구(60)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60)는 내주면에 나사산(61a)이 형성된 연결대(61)의 외주면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편(62)이 형성되어, 인접한 연결구(60)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61a-2)으로 분리되되, 상기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구(60)의 회전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30)의 상면부(31)에는 높이조절볼트(32)가 관통되어 상기 연결구(60)의 하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에는 결합상태를 확인하도록 개방공(6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61a-2)으로 분리되되, 상기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60)의 결속편(62)은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중공형 일측 단부에 삽입되도록 삽입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60)의 결속편(62)은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관통되도록 관통부(6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은 제1,2 프레임(71)(7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71)은 삽입 중공부(7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72)은 삽입 레일부(72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 레일부(72a)가 삽입 중공부(71a)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중공형 일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73)의 연결몸체(73a)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레일(73b)이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몸체(73a)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레일(73c)이 삽입되어 복수의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나란하게 배치되는 인접한 공간형성 프레임(7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프레임(80)이 결합되되, 상기 보조 프레임(80)의 양 단부에는 걸림편(83)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링바(40)의 하부에 한 쌍의 걸림턱(51)이 형성된 마감지지레일(50)이 고정클립(45)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고정클립(45)은 캐링바(40)의 상단에 거치되는 거치부(45a)를 중심으로 점대칭되도록 네개의 걸림후크(45b)가 형성되어, 각각의 걸림후크(45b)가 상기 마감지지레일(50)의 걸림턱(51)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60)는 내주면에 나사산(61a)이 형성된 연결대(61)에 탄성마찰부(63)가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마찰부(63)는 탄성편(63a)의 일측이 연결대(61)에 고정되고, 타측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 구조물(S)에 삽입되는 앵커(10)에 전산볼트(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전산볼트(20)의 하단에 행거(30)가 결합되어 캐링바(40)를 구비하고, 상기 캐링바(40)에 마감지지레일(5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천장 구조체(CS)에 있어서, 상기 행거(30)는 외주면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편(33)이 형성되어, 인접한 결속편(33)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의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는 연결구에 연결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외주면에 결속편이 형성되되, 상기 결속편에 공간형성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천장 구조체의 내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과정이나,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작업공간을 간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천장 구조체에 상기 연결구를 구비하고 공간형성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별도의 천장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에는 결합상태를 확인하도록 개방공이 형성되어 천장 구조체의 높낮이 조절과 상태 파악이 용이하다.
나아가, 상기 개방공을 중심으로 상부 나사산과 하부 나사산이 분리되되,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부재간의 결합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공간형성 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천장 구조체의 형상과 무관하게 유연하게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공간형성 프레임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대의 내주면 또는 외부에는 탄성마찰부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부재를 가압하여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클립이 캐링바의 상단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중심으로 점대칭되도록 네개의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캐빙바와 마감지지레일의 결합력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행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행거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형성 프레임이 적용된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형성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형성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프레임이 구비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찰부를 구비한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것으로, 슬라브와 같은 천장 구조물에 앵커가 삽입되며, 상기 앵커에 전산볼트와 행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행거에 캐링바를 구비한 후 마감지지레일을 결합하며, 상기 마감지지레일에 마감패널을 결합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 구조체는 마감패널이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지만,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이나 각종 조명이나 설비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천장 구조체의 내부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 작업을 하여야 했다.
따라서, 천장 구조체의 내부에 구비된 전선, 케이블 및 배관이 작업자와 간섭되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구조물(S)에 삽입되는 앵커(10)에 전산볼트(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전산볼트(20)의 하단에 행거(30)가 결합되어 캐링바(40)를 구비하고, 상기 캐링바(40)에 마감지지레일(50)이 결합되어 천장 구조체(CS)를 형성하되, 상기 전산볼트(20)와 행거(30) 사이에 연결구(6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구(60)는 내주면에 나사산(61a)이 형성된 연결대(61)의 외주면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편(62)이 형성되어, 인접한 연결구(60)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후술할 행거(30)의 높이조절볼트(32)가 높이조절되도록 나사산(61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61a)에 전산볼트(20)의 하부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속편(62)은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기능을 수행하며, 일 실시예로 상기 결속편(62) 또는 공간형성 프레임(70)은 둘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어느 하나의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은 행거(30)의 상부에 연속적인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상부에 패널(일점 쇄선 표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천장 구조체(CS)는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상부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조명이나 설비의 전선, 케이블 및 배관이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써, 작업자의 작업공간과 전선, 케이블 및 배관이 구비되는 하부공간이 분리되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증진될 수 있으며, 천장 구조체의 내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과정이나,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작업공간을 간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구조체(C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30)의 상면부(31)에는 높이조절볼트(32)가 관통되어 상기 연결구(60)의 하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에는 결합상태를 확인하도록 개방공(6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거(30)는 찬넬형,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앵글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면부(31)를 형성하여, 높이조절볼트(32)가 관통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볼트(32)와 연결구(60)의 연결대(61)에 형성된 나사산(61a)이 상호 나사결합됨으로써 그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시공효율이 증진된다.
이때, 상기 연결대(61)에는 높이조절볼트(32)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공(61b)이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산볼트(20)와의 결합상태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개방공(61a)을 중심으로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61a-2)으로 분리되되, 상기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61a-2)이 형성된 위치에 각각 개방공(61b)이 형성되어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장 구조체(CS)의 시공과정에서 높낮이 조절은 연결구(60)와 행거(30) 또는 전산볼트(20)의 나사결합 정도로 조절되는 것이나, 행거(30)와 연결구(60)의 나사결합을 바탕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개방공(61a)을 중심으로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을 분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행거(30)와 연결구(60)를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전산볼트(20)와 연결구(60)가 풀리거나 해체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61a-2)으로 분리되되, 상기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대(61)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이 회전에 따른 이동방향이 다르도록 형성되면, 연결구(60)만을 회전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기술적 이점이 있다.
또한, 후술할 연결대(61)의 탄성마찰부(63)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체결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을 방지하면서도 연결대의 체결이나 분리시에는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60)의 결속편(62)은 다양한 형상과 방식으로 공간형성 프레임(70)을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편(62)은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중공형 일측 단부에 삽입되도록 삽입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편(62)이 중공부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공간형성 프레임(70)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60)는 연결대(61)를 중심으로 다양한 각도와 개수로 결속편(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천정 구조체(CS)에 형성하고자 하는 작업공간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결속편(62)이 형성된 연결구(60)를 구비함으로써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연결구조를 유연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60)의 결속편(62)은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관통되도록 관통부(62b)가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공간형성 프레임(70)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결속편(62)의 삽입부(62a)와 공간형성 프레임(70)이 끼움 결합되는 방식 외에 길이가 긴 공간형성 프레임(70)이 단순히 결속편(62)을 관통하도록 관통부(62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속편(62)을 구비하되, 어느 하나는 삽입부(62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관통부(62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60)는 내주면에 나사산(61a)이 형성된 연결대(61)에 탄성마찰부(63)가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마찰부(63)는 연결대(61)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마찰부(63)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61)의 내주면에 탄성편(63a)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체결시에는 나사 결합의 외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변형되고, 체결이 완료되면 탄성편(63a)이 내측으로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체결된 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편(63a)은 연결대(6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곡률을 형성하거나, 플랫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63a)의 양측을 고정하되, 상기 탄성편(63a)을 절곡하여 돌출부(63b)가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61)에 형성된 탄성마찰부(63)는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전산볼트(20)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행거(30)의 높이조절볼트(32)를 가압함으로써, 진동이나 기타 자중에 의하여 부재가 회전되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대(61)의 내주면에 분리 형성된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은 단순히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제1,2 프레임(71)(7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71)은 삽입 중공부(7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72)은 삽입 레일부(72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 레일부(72a)가 삽입 중공부(71a)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공간형성 프레임(70)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천장 구조체의 형상과 특성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간형성 프레임(70)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제1 프레임(71)은 삽입 중공부(71a)의 상부면에 복수의 간격 조절공(71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72)은 삽입 레일부(72a)의 단부 상부면에 고정공(72b)가 형성되며, 고정수단(P)이 상기 간격 조절공(71b) 중 어느 하나와 고정공(72b)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P)은 핀, 볼트, 피봇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을 길게 형성할 경우, 하나의 프레임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공간형성 프레임(70)이 연결 프레임(73)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중공형 일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73)의 연결몸체(73a)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레일(73b)이 삽입될 수 있고, 타측 단부는 연결몸체(73a)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레일(73c)이 삽입되어 복수의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인접한 공간형성 프레임(7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프레임(8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프레임(80)은 제1,2 몸체(81)(8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81)는 삽입 중공부(8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82)는 삽입 레일부(82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 레일부(82a)가 삽입 중공부(81a)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인접한 공간형성 프레임(7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프레임(80)을 결합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80)의 양 단부에는 걸림편(8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83)의 하부에는 걸림홈(83a)이 형성되어,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상부에 상기 걸림홈(83a)이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조 프레임(8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일측 걸림편(83)의 걸림홈(83a)이 공간형성 프레임(70)에 걸리도록 하고, 길이조절을 한 상태에서 타측 걸림편(83)도 공간형성 프레임(7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마감지지레일과 캐링바를 상호 결합하는 고정클립은 일측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 타측 사선방향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으며, 변형에 의하여 사후적으로 구조적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링바(40)의 하부에 한 쌍의 걸림턱(51)이 형성된 마감지지레일(50)이 고정클립(45)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고정클립(45)은 캐링바(40)의 상단에 거치되는 거치부(45a)를 중심으로 점대칭되도록 네개의 걸림후크(45b)가 형성되어, 각각의 걸림후크(45b)가 상기 마감지지레일(50)의 걸림턱(51)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45)은 철사와 같이 소성을 지니는 금속재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박판형 금속체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마감지지레일은 사용 태양에 따라 엠바나 티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양 단부에 걸림턱(51)이 형성되는바, 상기 걸림턱(51)에 걸림후크(45b)가 걸림결합되며, 전개된 고정클립(45)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시공과정에서 거치부(45a)와 걸림후크(45b)가 절곡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엠바나 티바의 걸림턱(51)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걸림후크(45b)의 방향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구조물(S)에 삽입되는 앵커(10)에 전산볼트(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전산볼트(20)의 하단에 행거(30)가 결합되어 캐링바(40)를 구비하고, 상기 캐링바(40)에 마감지지레일(5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천장 구조체(CS)에 있어서, 상기 행거(30)는 외주면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편(33)이 형성되어, 인접한 결속편(33)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행거(30)의 결속편(33)은 연결구(60)와 마찬가지로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중공형 일측 단부에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거나,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관통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행거(30)의 결속펴(33)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캐링바(40)의 하부에 한 쌍의 걸림턱(51)이 형성된 마감지지레일(50)이 고정클립(45)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고정클립(45)은 캐링바(40)의 상단에 거치되는 거치부(45a)를 중심으로 점대칭되도록 네개의 걸림후크(45b)가 형성되어, 각각의 걸림후크(45b)가 상기 마감지지레일(50)의 걸림턱(51)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CS)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4)

  1. 천장 구조물(S)에 삽입되는 앵커(10)에 전산볼트(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전산볼트(20)의 하단에 행거(30)가 결합되어 캐링바(40)를 구비하고, 상기 캐링바(40)에 마감지지레일(5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천장 구조체(CS)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20)와 행거(30) 사이에 연결구(60)가 결합되고, 인접한 연결구(60)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는 내주면에 나사산(61a)이 형성된 연결대(61)의 외주면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편(62)이 형성되어, 인접한 연결구(60)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61a-2)으로 분리되되, 상기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구(60)의 회전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30)의 상면부(31)에는 높이조절볼트(32)가 관통되어 상기 연결구(60)의 하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에는 결합상태를 확인하도록 개방공(6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의 연결대(61)는 상부 나사산(61a-1)과 하부 나사산(61a-2)으로 분리되되, 상기 상,하부 나사산(61a-1,61a-2)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의 결속편(62)은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중공형 일측 단부에 삽입되도록 삽입부(6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의 결속편(62)은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관통되도록 관통부(6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은 제1,2 프레임(71)(7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71)은 삽입 중공부(7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72)은 삽입 레일부(72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 레일부(72a)가 삽입 중공부(71a)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의 중공형 일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73)의 연결몸체(73a)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레일(73b)이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몸체(73a)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레일(73c)이 삽입되어 복수의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인접한 공간형성 프레임(7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프레임(80)이 결합되되, 상기 보조 프레임(80)의 양 단부에는 걸림편(83)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 프레임(7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링바(40)의 하부에 한 쌍의 걸림턱(51)이 형성된 마감지지레일(50)이 고정클립(45)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고정클립(45)은 캐링바(40)의 상단에 거치되는 거치부(45a)를 중심으로 점대칭되도록 네개의 걸림후크(45b)가 형성되어, 각각의 걸림후크(45b)가 상기 마감지지레일(50)의 걸림턱(51)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는 내주면에 나사산(61a)이 형성된 연결대(61)에 탄성마찰부(63)가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마찰부(63)는 탄성편(63a)의 일측이 연결대(61)에 고정되고, 타측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14. 천장 구조물(S)에 삽입되는 앵커(10)에 전산볼트(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전산볼트(20)의 하단에 행거(30)가 결합되어 캐링바(40)를 구비하고, 상기 캐링바(40)에 마감지지레일(5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천장 구조체(CS)에 있어서,
    상기 행거(30)는 외주면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편(33)이 형성되어, 인접한 결속편(33) 간에 공간형성 프레임(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PCT/KR2017/002218 2016-03-03 2017-02-28 천장마감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WO20171508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13814.0A CN108699838A (zh) 2016-03-03 2017-02-28 用于形成天花板施工的作业空间的天花板结构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30 2016-03-03
KR1020160025430A KR101862652B1 (ko) 2016-03-03 2016-03-03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0896A1 true WO2017150896A1 (ko) 2017-09-08

Family

ID=5974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218 WO2017150896A1 (ko) 2016-03-03 2017-02-28 천장마감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62652B1 (ko)
CN (1) CN108699838A (ko)
WO (1) WO20171508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1378A (zh) * 2022-06-16 2022-09-02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快速施工吊顶转换层结构及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293B1 (ko) * 2018-04-04 2019-07-23 최연서 조립식 프레임 구조물
CN110241967A (zh) * 2019-04-29 2019-09-17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装配式吊顶及安装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38Y2 (ja) * 1988-04-07 1994-03-09 中央リビング販売株式会社 軽量鉄骨天井下地の構造
JP2007270571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足場構造
JP2007297857A (ja) * 2006-05-01 2007-11-15 Yashio Kenzai Kogyo Kk クリップ補強部材、及び係合部材セット
KR200448263Y1 (ko) * 2009-08-12 2010-03-30 황상국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KR101068902B1 (ko) * 2010-11-23 2011-09-30 이병환 절첩식 천막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565198B1 (ko) * 2008-02-20 2015-11-02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양나사체 및 암나사체
KR101574463B1 (ko) * 2015-01-31 2015-12-03 정민시 천장용 캐링찬넬 고정행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715Y1 (ko) * 2001-01-31 2001-07-19 박완진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KR101018883B1 (ko) * 2010-11-26 2011-03-0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베스트 공동주택 천정 앵커 결속대
CN103485468B (zh) * 2013-09-23 2016-01-13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式反支撑吊杆
CN204738434U (zh) * 2015-05-21 2015-11-04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双层天花龙骨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38Y2 (ja) * 1988-04-07 1994-03-09 中央リビング販売株式会社 軽量鉄骨天井下地の構造
JP2007270571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足場構造
JP2007297857A (ja) * 2006-05-01 2007-11-15 Yashio Kenzai Kogyo Kk クリップ補強部材、及び係合部材セット
KR101565198B1 (ko) * 2008-02-20 2015-11-02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양나사체 및 암나사체
KR200448263Y1 (ko) * 2009-08-12 2010-03-30 황상국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KR101068902B1 (ko) * 2010-11-23 2011-09-30 이병환 절첩식 천막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574463B1 (ko) * 2015-01-31 2015-12-03 정민시 천장용 캐링찬넬 고정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1378A (zh) * 2022-06-16 2022-09-02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快速施工吊顶转换层结构及安装方法
CN114991378B (zh) * 2022-06-16 2024-01-30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快速施工吊顶转换层结构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652B1 (ko) 2018-05-31
KR20170103107A (ko) 2017-09-13
CN108699838A (zh)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99091A1 (ko) 시공성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천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WO2020213967A1 (ko) 마루높이조절이 자유로운 내진보강장치를 구비한 이중마루
WO2017150896A1 (ko) 천장마감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WO2015002459A1 (ko) 난연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연결장치
WO2009125941A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및 설치 방법
WO2015016426A1 (ko) 벽체 마감장치
WO2015012661A1 (ko) 발판 고정장치
WO2019151590A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WO2020004888A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WO2021242031A1 (ko) 원터치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WO2014021498A1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11136487A2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WO2013058528A1 (ko) 전선 연결장치
WO2021025354A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WO2023158025A1 (en) Part unit and structure for assembling vehicle body
WO2014030891A1 (ko) 콘크리트도상의 궤광 설치용 레일지지대
WO2019212242A1 (ko) 계량된 수평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
WO2020071606A1 (ko) 토보드시스템
WO2016129800A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WO2016204558A1 (ko) 벽체 시공장치
WO2019182285A1 (ko) 원터치 다보 및 원터치 다보 세트
WO2017188508A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WO2015069059A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20190002130A (ko) 시스템 동바리
WO2019235677A1 (ko) 건축용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603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603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