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04442A2 - 비대칭 입자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칭 입자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04442A2
WO2017204442A2 PCT/KR2017/002592 KR2017002592W WO2017204442A2 WO 2017204442 A2 WO2017204442 A2 WO 2017204442A2 KR 2017002592 W KR2017002592 W KR 2017002592W WO 2017204442 A2 WO2017204442 A2 WO 201720444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particle
target material
polystyren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5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7204442A3 (ko
Inventor
이정훈
한상훈
김성구
베르마네하
이예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720444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4442A2/ko
Publication of WO201720444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444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01N33/54333Modification of conditions of immunological binding reaction, e.g. use of more than one type of particle, use of chemical agents to improve binding, choice of incubation time or application of magnetic field during binding re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01N33/545Synthetic resin

Definitions

  • FIG. 2 shows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collected particles into the size of particles and complexes.
  • the control group with BSA micro-polystyrene particles are hardly captured regardless of whether BSA is added, but when H1N1 nucleoprotein is added, The increase in the capture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can be seen that the micro-polystyrene particles-H1N1 nucleoprotein-nano magnetic particle complex, that is, the asymmetric complex was formed.
  • FIG. 6 show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circumference / area ratio used in the image processing c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가 상이한 입자의 비대칭 응집을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표적 물질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적 물질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결합 분자를 사용하면 입자 간의 비대칭 복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불특정 응집 효과를 배제하고, 높은 특이적 신호를 확보할 수 있어 각종 표적 물질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칭 입자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방법
본 발명은 크기가 상이한 입자의 비대칭 응집을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표적 물질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료 내 표적 물질을 검출하거나 분리하는 기술은 질병 진단, 식품 검사,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검출 방법에는 면역분석법이 있으며, 그 검출 원리 및 방법에 따라 방사면역분석법, 효소면역측정법, 형광항체법, 화학발광면역측정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금과 실리카 등 다양한 종류의 나노입자들을 항체나 효소 표면에 결합시켜 검출 감도를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다.
앱타머는 단일 사슬 DNA 또는 RNA 분자로서, 특정 화학 분자나 생물학적 분자에 높은 친화력과 선별력으로 결합하는 올리고머를 분리하여 수득한 것으로서 생체 분자 검출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앱타머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기반이므로, 단백질 기반의 항체에 비하여 여러 장점이 있다. 즉, 생체 외에서 수득할 수 있고, 독소를 비롯한 다양한 유기물과 무기물을 표적 물질로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표적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특정 앱타머가 확인되면 자동화된 올리고머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낮은 비용과 높은 일관성(batchconsistency)으로 재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앱타머의 구조는 열에 의한 변성-회복(denaturation-renaturation) 과정이 가역적이므로 항체와 비교하여 긴 시간 동안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생체 시료로부터 특정의 표적 물질을 검출 또는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실리카, 유리섬유, 음이온교환수지 또는 자성 입자(beads)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에서 자성 입자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표면에 표적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를 갖는 자성 입자를 시료 용액에 투입하여 표적 물질을 포획하고, 다시 자성 입자와 표적 물질을 분리함으로써 표적 물질을 분리 추출한다. 이렇게 자성 입자를 이용하여 표적 물질을 검출 또는 분리하는 방법(bead based separation)은 세포,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물질을 검출 또는 분리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자는 각각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분자가 연결된 것인 표적 물질 검출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키트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자는 각각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분자가 연결된 것인 표적 물질 검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키트는 표적 물질의 제1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분자가 연결된 제1 입자; 및 상기 표적 물질의 제2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분자가 연결된 제2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자 및 제2 입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금 입자, 은 입자, 실리카 입자 및 고분자 입자 등 입자의 재질에 상관없이 이용될 수 있으나, 폴리스티렌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입자의 재질이 동일한 것, 서로 상이한 것 모두 이용할 수 있으나, 두 입자 중 어느 하나는 자성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느 한 입자의 크기가 나노미터 규모인 경우 다른 입자는 그 이상의 나노미터, 또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입자의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규모인 경우 다른 입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일 수 있으며, 입자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입자가 자성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결합 분자(binding molecules)"란 상기 입자의 표면에 화학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표적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상기 입자와 표적 물질의 특이적인 결합을 매개하는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분자는 표적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분자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결합 분자는 예를 들어, 효소, 항체, 리간드, 앱타머 또는 마이크로 RNA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분자는 항체 또는 앱타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분자와 입자를 연결시킬 때 입자의 크기에 따라 입자의 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경우 큰 입자와 비교하여 농도를 증가시켜 결합 분자와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특이적으로 결합(specifically binding)"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서, 항원 및 항체가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면역학적 반응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효소, 앱타머, 리간드 등의 분자가 표적에 높은 친화성과 특이성을 가지면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키트 및 표적 물질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한 입자를 정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 물질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생물학적 시료(biological sample)"란 표적 물질이 존재할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으로서, 예를 들어 혈액, 혈장, 혈청, 분비물 등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복합체(complex)"란 상기 입자에 연결된 결합 분자에 의해 하나의 표적 물질에 다수의 입자가 결합하여 형성된 이합체, 삼합체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크기의 2종의 입자에 존재하는 결합 분자가 각각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결합하면 비대칭의 이합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한 입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자 중 어느 하나가 자성 입자인 경우, 상기 선별 단계에서는 자기장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자기장을 가하면 자성 입자를 포함하는 비대칭의 이합체를 또한 포집할 수 있고, 상기 이합체를 정량하여 표적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 및 방법을 이용하면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물질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결합 분자를 사용하여 입자 간의 비대칭 복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불특정 응집 효과를 배제하고, 높은 특이적 신호를 확보할 수 있어 각종 표적 물질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H1N1 핵단백질을 첨가한 경우 포집된 입자들을 크기로 분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H1N1 핵단백질 첨가에 따른 자성 입자 및 폴리스티렌 입자 복합체의 포집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H1N1 핵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자성 입자 및 폴리스티렌 입자 복합체의 포집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트로포닌의 첨가 유무에 따라 포집된 입자들을 크기로 분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트로포닌의 농도에 따른 자성 입자 및 폴리스티렌 입자 복합체의 포집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에 이용한 원둘레/면적 비율의 계산 방법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7은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입자-H1N1 핵단백질-자성 입자 복합체와 폴리스티렌 단일 입자를 구분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H1N1 핵단백질 농도에 따른 폴리스티렌 입자-H1N1 핵단백질-자성 입자 복합체의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입자-페리틴-자성 입자 복합체와 폴리스티렌 단일 입자를 구분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페리틴 농도에 따른 폴리스티렌 입자-페리틴-자성 입자 복합체의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beads) 사이의 응집 확인
54 kDa 크기의 인플루엔자 A H1N1 핵단백질(Influenza A H1N1 nucleoprotein; 이하 H1N1 핵단백질로 표기함)과 상기 H1N1 핵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및 다중클론항체(polyclonal antibody)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대전, 대한민국)으로부터 제공받았다.
각각 2.8 ㎛, 4.3 ㎛ 크기의 카르복시산 폴리스티렌 입자(carboxylic acid polystyrene bead)는 Spherotech(미국)에서 구입하였고, 여기에 EDC-NHS{(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N-hydroxysuccinimide)}를 처리하여 입자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활성화시킨 각각의 입자와 H1N1 핵단백질 항체를 접촉시켜 항체와 입자의 공유결합을 유도하였으며, 크기가 다른 입자 사이에서 비대칭 응집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각각의 입자에 서로 다른 항체를 결합시켰다. 이후 상기 입자에 검출 항원인 H1N1 핵단백질을 첨가하여 응집을 유도하고, 용액 상에서 입자의 응집 정도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1은 검출 항원인 H1N1 핵단백질 첨가에 따른 입자들의 응집 정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일반적인 대칭 응집 현상과 다르게 비대칭 응집은 여러 가지 크기의 이합체 및 복합체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 및 나노 자성 입자의 응집 확인
500 ㎚ 크기의 나노 자성 입자(magnetic beads) 100 fM 및 2.8 ㎛ 크기의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polystyrene beads) 10 fM을 준비하여 EDC-NHS로 활성화시켰다. 이후 상기 활성화시킨 폴리스티렌 입자와 다중클론항체 또는 활성화시킨 자성 입자와 단일클론항체를 접촉시켜 입자와 항체 사이에 공유결합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입자-항체 복합체와 H1N1 핵단백질(100 fM, 1 pM 및 10 pM)을 접촉시켜 응집을 유도하고, 충분한 시간이 흐른 뒤에 용액의 외부에 자기장을 가한 채로 용액을 세척하여 자성 입자를 포집하였다.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H1N1 핵단백질-나노 자성 입자 복합체의 경우 자성에 의하여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된 입자들의 이미지를 광학현미경으로 캡쳐하여 이미지에서 보이는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를 조사하였다.
도 2는 포집된 입자들을 입자 및 복합체의 크기로 분류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BSA를 첨가한 대조군의 경우 BSA 첨가 여부에 관계 없이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가 거의 포획되지 않지만 H1N1 핵단백질을 첨가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의 포획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H1N1 핵단백질-나노 자성 입자 복합체, 즉 비대칭 복합체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H1N1 핵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비대칭 복합체의 비율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백질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포집된 비대칭 복합체의 비율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마이크로 자성 입자 및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의 응집 확인
2.8 ㎛ 크기의 마이크로 자성 입자 100 fM 및 4.3 ㎛ 크기의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 10 fM을 준비하여 EDC-NHS로 활성화시켰다. 이후 상기 활성화 시킨 각각의 입자와 인식 부위가 서로 상이한 트로포닌(troponin) 앱타머를 혼합하여 입자와 앱타머의 공유결합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앱타머-입자 복합체와 트로포닌(200 pM)을 접촉시켜 응집을 유도하고, 충분한 시간이 흐른 뒤에 용액의 외부에 자기장을 가한 채로 용액을 세척하여 자성 입자를 포집하였다.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트로포닌-마이크로 자성 입자 복합체의 경우 자성에 의하여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한 입자들의 이미지를 광학현미경으로 캡쳐하여 이미지에서 보이는 입자들을 확인하였다.
도 4는 검출 항원인 트로포닌의 첨가 유무에 따라 포집된 입자들을 분류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트로포닌을 첨가한 경우 비대칭 복합체의 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에서 X축의 1은 4.3 ㎛ 크기를 의미한다.
실시예 4: 트로포닌(troponin)을 이용한 비대칭 응집 확인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이용한 방법을 트로포닌을 이용하여 추가로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500 ㎚ 크기의 나노 자성 입자 1000 fM 및 4.3 ㎛ 크기의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 10 fM을 준비하여 EDC-NHS로 활성화시켰다. 이후 상기 활성화 시킨 각각의 입자와 인식 부위가 서로 상이한 트로포닌 앱타머를 혼합하여 입자와 앱타머의 공유결합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앱타머-입자 복합체와 트로포닌(10 pM 또는 200 pM)을 접촉시켜 응집을 유도하고, 충분한 시간이 흐른 뒤에 용액의 외부에 자기장을 가한 채로 용액을 세척하여 자성 입자를 포집하였다.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트로포닌-나노 자성 입자 복합체의 경우 자성에 의하여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한 입자들의 이미지를 광학현미경으로 캡쳐하여 이미지에서 보이는 마이크로 입자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도 5는 트로포닌의 농도에 따른 자성 입자 및 폴리스티렌 입자 복합체의 포집 비율을 보여주는 것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트로포닌을 첨가한 경우 남아있는 마이크로 폴리스티렌 입자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인플루엔자 A H1N1 핵단백질 농도에 따른 입자의 비대칭 응집 확인
2.8 ㎛ 크기의 카르복시산 폴리스티렌 입자(carboxylic acid polystyrene bead; 4.18x109/㎖)는 Spherotech에서 구입하였고, 1.05 ㎛ 크기의 카르복시산 자성 입자(carboxylic acid magnetic bead; 1.19x1010/㎖)는 Dynabead(미국)에서 구입하였다.
폴리스티렌 입자 0.5 ㎕(2.09x106개)를 취하여 0.05% 트윈(tween)을 포함하는 100 ㎕ DIW(deionized water)로 세척하고, 2,000 g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입자를 포집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였으며, 세척이 끝난 후 DIW를 1X PBS로 교체하였다. 자성 입자는 1.5 ㎕(1.79x107개)를 취하여 같은 방법으로 세척하였으며, 원심분리 대신 자석을 이용하여 2분 동안 자성 입자를 포집하였다. 입자를 세척한 후 0.05% 트윈을 포함하는 DIW를 1X PBS로 교체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입자에 EDC-NHS를 처리하여 활성화시키고, 폴리스티렌 입자와 다중클론항체 또는 자성 입자와 단일클론항체를 반응시켜 입자와 항체 사이에 공유결합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0.1%(w/v) BSA를 포함하는 1X PBS로 각각의 입자-항체 복합체를 3회 세척하고, 세척이 끝난 후 각각의 입자-항체 복합체의 부피를 320 ㎕로 조정하였다.
상기 입자-항체 복합체에서 각각 50 ㎕(폴리스티렌 입자:자성 입자 비율=1:8.5)를 취하여 서로 혼합하고, 여기에 희석한 H1N1 핵단백질 5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접촉시켰다. 사용한 H1N1 핵단백질의 농도는 0 g/㎖, 5.4 pg/㎖, 54 pg/㎖, 540 pg/㎖, 5.4 ng/㎖ 및 54 ng/㎖이다.
30분 후 광학 현미경 및 자체 개발한 MATLAB(matrix laboratory) 기반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를 이용하여 입자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MATLAB 기반 이미징 프로세싱 코드는 입자의 원둘레(perimeter)/면적(area) 비율(P/A 비율)을 이용한 것으로, 입자 이미지에서 폴리스티렌 입자 크기 이상의 입자를 선택하여 각 입자의 P/A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P/A 비율이 평균보다 약 10% 이상 높은 입자는 비대칭 복합체로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방법은 단일 입자(반지름=r)의 경우 입자 이미지에서 원둘레:면적의 비율이 2/r가 되지만 비대칭 복합체(반지름=R*)의 경우 완전한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원둘레:면적의 비율이 2/R*보다 큰 것을 응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각각 3.0 및 1.0 ㎛ 크기의 입자를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입자의 응집 이후 원둘레:면적 비율이 1.265배 이상 증가하는 경우 비대칭 복합체로 인식하는 조건을 지정하여 비대칭 복합체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비대칭 복합체의 경우 응집된 입자의 수에 따라 크기가 증가하므로 원둘레:면적의 비율을 적절히 지정하면 95% 이상의 정확도로 비대칭 복합체를 선별해 낼 수 있으며, 입자의 응집 비율도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에 이용한 원둘레/면적 비율의 계산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광학 현미경으로 캡쳐한 입자 이미지 사진 및 상기 이미지 사진을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파란원은 폴리스티렌 입자를 표시한 것이며, 노란원은 폴리스티렌 입자-자성 입자의 비대칭 복합체를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H1N1 핵단백질 농도에 따른 폴리스티렌 입자-H1N1 핵단백질-자성 입자 복합체의 비율을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H1N1 핵단백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스티렌 입자-H1N1 핵단백질-자성 입자 복합체의 수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프에 표시된 에러 바(error bar)는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의미한다.
실시예 6: 페리틴(ferritin)의 농도에 따른 입자의 비대칭 응집 확인
450 kDa 크기의 인간 페리틴 단백질 및 바이오티닐화된 페리틴 항체(bitotinylated anti-ferritin polyclonal antibody, 1 ㎎/㎖, IgG 항체)는 Abcam(영국)에서 구입하였고, 2.1 ㎛ 크기의 스트렙타아비딘 폴리스티렌 입자(streptavidin polystyrene bead; 9.92x108/㎖)와 1.05 ㎛ 크기의 스트렙타아비딘 자성 입자(streptavidin magnetic bead; 5.29x109/㎖)는 Spherotech에서 구입하였다.
폴리스티렌 입자 4 ㎕(3.97x106개)를 취하여 0.05% 트윈을 포함하는 100 ㎕ DIW로 세척하고, 2,000 g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입자를 포집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였으며, 세척이 끝난 후 DIW를 1X PBS로 교체하였다. 자성 입자는 6 ㎕(3.17x107개)를 취하여 같은 방법으로 세척하였으며, 원심분리 대신 자석을 이용하여 2분 동안 자성 입자를 포집하였다. 입자를 세척한 후 페리틴 항체 3 ㎕를 각각 폴리스티렌 입자 또는 자성 입자와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30분 후 각각의 입자-페리틴 항체 복합체를 0.1%(w/v) BSA를 포함하는 1X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이 끝난 후 각각의 입자-페리틴 항체 복합체의 부피를 320 ㎕로 조정하였다.
상기 입자-페리틴 항체 복합체에서 각각 50 ㎕(폴리스티렌 입자:자성 입자 비율=1:7.98)를 취하여 서로 혼합하고, 여기에 희석한 페리틴 단백질 5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사용한 페리틴 단백질의 농도는 0 g/㎖, 5.4 pg/㎖, 54 pg/㎖, 540 pg/㎖, 5.4 ng/㎖ 및 54 ng/㎖이다. 30분 후 광학 현미경 및 MATLAB 기반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를 이용하여 입자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9는 광학 현미경으로 캡쳐한 입자 이미지 사진 및 상기 이미지 사진을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파란원은 폴리스티렌 입자를 표시한 것이며, 노란원은 폴리스티렌 입자-자성 입자의 비대칭 복합체를 표시한 것이다.
도 10은 페리틴 농도에 따른 폴리스티렌 입자-페리틴-자성 입자 복합체의 비율을 이미지 프로세싱 코드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페리틴 농도에 비례하여 폴리스티렌 입자-페리틴-자성 입자 복합체, 즉 비대칭 복합체의 비율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프에 표시된 에러 바는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2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자는 각각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분자가 연결된 것인 표적 물질 검출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 중 어느 하나는 자성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분자는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표적 물질 검출 키트와 표적 물질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한 입자를 정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 물질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표적 물질의 서로 다른 인식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한 입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17/002592 2016-05-26 2017-03-09 비대칭 입자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방법 WO201720444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5067 2016-05-26
KR10-2016-0065067 201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42A2 true WO2017204442A2 (ko) 2017-11-30
WO2017204442A3 WO2017204442A3 (ko) 2018-08-02

Family

ID=6041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592 WO2017204442A2 (ko) 2016-05-26 2017-03-09 비대칭 입자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6521B1 (ko)
WO (1) WO20172044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4724A (zh) * 2019-12-22 2020-04-21 上海复星长征医学科学有限公司 一种胸苷激酶1磁微粒化学发光测定试剂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8895A1 (en) * 2004-01-30 2006-04-27 Wanders Bart J Systems, methods and reagents for the detection of biological and chemical agents using dynamic surface generation and imaging
JP2007003412A (ja) * 2005-06-24 2007-01-11 Sekisui Chem Co Ltd 生物学的測定方法
RU2010118611A (ru) * 2007-10-09 2011-11-20 Юниверсити Оф Нотр Дам Дю Лак (Us) Микрофлюидные платформы для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множественных мишеней
US20120288852A1 (en) * 2010-01-15 2012-11-15 Richard Willson Force Mediated Assays
CN103025859A (zh) 2010-05-25 2013-04-03 阿尔利克斯公司 用于检测生物学和化学分析中的颗粒的位置自由度的方法和装置以及在免疫诊断学中的应用
KR101277696B1 (ko) * 2011-05-06 2013-06-24 한국식품연구원 타겟팅-금 자성 나노입자―기반된 미생물의 원-스텝 분리, 농축 및 검출 방법
KR101338136B1 (ko) * 2012-05-03 2013-1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신호 증폭도가 향상된, 표적 물질의 다중화 처리 분석법과 그 시스템
US9797817B2 (en) * 2012-05-03 2017-10-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ulti-mode separation for target detection
US9964539B2 (en) 2012-07-06 2018-05-08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WO2014134280A1 (en) * 2013-02-28 2014-09-04 The Terasaki Family Foundation Methods, compositions and kits to recycle internally dyed part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4724A (zh) * 2019-12-22 2020-04-21 上海复星长征医学科学有限公司 一种胸苷激酶1磁微粒化学发光测定试剂盒及其制备方法
CN111044724B (zh) * 2019-12-22 2023-11-10 复星诊断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胸苷激酶1磁微粒化学发光测定试剂盒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42A3 (ko) 2018-08-02
KR102026521B1 (ko) 2019-09-30
KR20170134188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075B2 (en) Diagnostic assay using particle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0386364B2 (en) Magnetic bead aggregation assay system
KR20050044559A (ko) 자성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한 분석물의 검출 방법
US20160123969A1 (en) Methods, materials, and kits for covalently associating molecular species with a surface of an object
US20190085385A1 (en) Method and kit for target molecule detection
US20210405033A1 (en) Analyte detection and methods therefor
CN104066497A (zh) 具有亲水性涂层的多孔膜及其制备和使用方法
WO2015119386A1 (ko) 효소 모방 무기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감도 측면유동 면역 발색칩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CA260211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blood groups in blood samples
US20220205992A1 (en) Materials and kits relating to association of reporter species and targeting entities with beads
JP2008522170A (ja) 粒子に基づく結合アッセイ法
CN111830251A (zh) 一种生物样品检测方法及检测试剂盒
CN112505322A (zh) 阿尔茨海默病标志物p-Tau217检测试剂盒及其制造方法
WO2017204442A2 (ko) 비대칭 입자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키트 및 방법
KR102066268B1 (ko) 이미지 센서 및 자성체를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키트
CN108531592A (zh) 一种dna编码技术与纳米孔技术联用的癌症标志物检测方法
CA2908613A1 (en) Molecular nets on solid phases
CN113176404A (zh) 一种全血样本多指标联检的试剂盒及其使用方法
TWI472369B (zh) 分析套組及分析方法
CN116819058A (zh) 一种分析流体样本细胞外囊泡聚糖的方法及其装置和应用
WO2023282862A1 (en) A test method for diagnosis of covid-19 disease
CN118033119A (zh) 一种用于在现场进行多重检测的免洗涤生物传感方法
WO2024102837A1 (en) Methods for detecting target compounds and uses thereof
JP2007170839A (ja) 標識付き試薬およびこれを用いた分析装置と分析方法
KR20180027280A (ko) 이미지 센서 및 자성체를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029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029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