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88636A1 -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88636A1
WO2017188636A1 PCT/KR2017/004057 KR2017004057W WO2017188636A1 WO 2017188636 A1 WO2017188636 A1 WO 2017188636A1 KR 2017004057 W KR2017004057 W KR 2017004057W WO 2017188636 A1 WO2017188636 A1 WO 20171886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attachment
stopper
coupl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0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탁양호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1886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886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work machine fo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work machine fo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provided to attach various types of work to the front or rear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 Utility vehicles are widely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distribution, construction, leisure, and agriculture.
  •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since it has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the rough road driving, it is mainly used as a transport means for carrying and carrying soil or crops or carrying tools necessary for various tasks at construction sites or agricultural sites.
  • the work attachment means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proposed by US 2014/0060953 is provided with two working cylinders (elevating and tilting cylinders), and the height of the working machine a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peration through the independent control of the two cylinder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means configured to perform the desired operation by varying the angle of the working machine to.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ttachment devic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work machine without the driver getting off the vehicle, and can separate the work machine from the vehicle even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when removing the work machine It is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ferr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 a device for connecting a work implement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of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 An attachment unit having a mount bar hav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 guide of the working machine and a tilting bar to which the tilt cylinder is connected;
  • a fixed unit coupled to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body frame
  • connection unit for refractively connecting the fixed unit and the attachment unit
  • a tilt cylinder installed between the tilting bar and the fixed unit to adjust the tilt of the attachment unit to the connection unit;
  • a lifting cylinder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fixed unit to adjust the lifting of the connec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 the attachment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side that is refractively connected and provides a work attachment device fo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a; a pair of left and right connection links to which the lower connection pipe of the work machine is fastened.
  •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tilt bracket to which one end of the tilt cylinder is hinged;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elevating bracket is hinged one end of the elevating cylinder.
  • attachment unit the attachment
  • attachment A pair of supports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hinged to a lower en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tilting bar which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 connection link may include a hook-shaped link body having a concave surface to which the lower connection pipe is bound;
  • the link so that the projection is protruded from the opening side main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link body to be inward into the main surface at a restraining position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and to be operated over a release position for releasing the restraining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link body and the stopp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moving the stopper to the restrained position.
  • a device for connecting a work implement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of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 An attachment unit having a mounting bar inserted into the lower guide of the working machine and a tilting bar to which the tilt cylinder is connected;
  • a fixed unit coupled to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body frame
  • connection unit for refractively connecting the fixed unit and the attachment unit
  • a tilt cylinder installed between the tilting bar and the fixed unit to adjust the tilt of the attachment unit to the connection unit;
  • a lifting cylinder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fixed unit to adjust the lifting of the connec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 a work device attachment device fo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connection links to which the upper connection pipe of the work machine is fastened.
  •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tilt bracket to which one end of the tilt cylinder is hinged;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elevating bracket is hinged one end of the elevating cylinder.
  • the attachment unit the mounting rod is coupled to the working rod to the rod-shaped shaft for refractively connecting the connection unit and the attachment unit;
  •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coupled to the annular shaft so as to face the mounting rod with the annular shaft therebetween;
  • a pair of vertical supports extending upwardly at right angles from the horizontal support ends;
  • the tilting ba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 connection link may include a hook-shaped link body having a concave surface to which the upper connection pipe is coupled;
  • the link so that the projection is protruded from the opening side main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link body to be inward into the main surface at a restraining position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and to be operated over a release position for releasing the restraining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link body and the stopper to provide elasticity for returning the stopper to the restrained position.
  • the attachment device fo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easily and quickly without a large for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fastening method.
  • the work machine attachment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only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attachment device without the driver getting off the vehicle.
  • FIG. 1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device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oupling device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coupling device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link applied to the attachment device of FIGS. 1 to 4;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ttaching a work machine to a work machin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machine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 unit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 the work machine attachment device 1 is largely composed of an attachment unit 10, a connection unit 14, and a fixing unit 16.
  • a work machine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unit 10, and the fixing unit 16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nd protrudes forward (or rearward) of the vehicle.
  • the connecting unit 14 is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unit 16 and the attachment unit 10 so that they can be refracted.
  • the attachment unit 10 has a mounting table 102 for attaching a work machine.
  • the mounting table 102 is formed with an upper insertion portion 103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side guide 22 (see FIG. 1) of the work machine having a lower opening.
  • the shape or size of the upper insertion part 103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upper guide 22,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or structure.
  • Supports 106L and 106R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ttachment table 102 of the attachment unit 10. Lower ends of each support 106L, 106R are hing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14 such that the attachment unit 10 is refrac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unit 14 about the hinge portion H by the hinge coupling. As a result, a tilt may be implement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work machine 2 up and down.
  • the tilting bar 104 is disposed horizont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attaching unit 10 between the supports 106L and 106R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table 102 on the hinge portion H.
  •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17 of the tilt cylinder 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hinged to one side, and thus the attachment unit 1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unit 14 around the hinge portion H when the tilt cylinder 17 is driven. ) Can be rotated.
  • the tilt cylinder 17 can be stretched and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flow interruption and flow direction change of the hydraulic oil by the hydraulic valve operated by the control lever operation. At this time, the fixed cylinder housing front end of the tilt cylinder 17 is hinged to the tilt bracket 160 on one side of the fixed unit 16, the opposite movable side piston rod front is hinged to the tilting bar 104 as described above. Connected.
  • the tilting bar 104 When the tilt cylinder 17 is stretched and driven by pressure oil, the tilting bar 104 is pull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xed unit 16 or pushed away from the fixed unit 16 by the piston rod.
  • the pair of supports 106L and 106R are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H to realize the tilt of the work machine 2.
  •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unit 14 opposite to the attachment unit 10 is hinged to the fixing unit 16. Therefore, the connecting unit 14 is rotated around the fixed unit 16 and the hinged portion, and the attaching unit 10 and the work machine 2 attached thereto are lifted up and down. That is, the work machine 2 may be lifted or lowered to the ground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unit 14 with respect to the fixing unit 16.
  • Lifting of the connecting unit 14 relative to the fixed unit 16 is implemented in the lifting cylinder 18.
  • the lifting cylinder 18 is telescop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hydraulic oil flow control and flow direction switching of the hydraulic valve through the control lever operation,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lifting bracket 162 on the side of the tilt bracket 160, and the other end thereof.
  • the hinge is connected to the bracket (not shown) of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unit (14).
  • connection unit 14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air of opposed arms 140L and 140R, and the fixing unit 16 may include a tilt bracket 160 and a lifting cylinder 17 to which the tilt cylinder 18 is connected. It is provided with a lifting bracket 162 is connected, it may include a towing coupler 164 provided for connection to the vehicle side at the bottom of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tilt bracket 160 and the lifting bracket 162.
  • Connection links 19L and 19R for connection with the work machine 2 ar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106 outside the hinge portion H to which the connection unit 14 and the attachment unit 10 are deflectably connected.
  • the connecting links 19L and 19R may be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a concave portion 192 partially opened for binding with the lower connecting pipes 24L and 24R of the work machine 2. Can be provided.
  • connection links 19L and 19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FIG.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link applied to the attachment device of FIGS. 1 to 4.
  • the link links 19L and 19R are hinged to the link body 190 so that the link body 190 having the concave portion 192 and the opening side main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92 can be protruded.
  • a stopper 194 coupl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lower connecting pipes 24L and 24R when the lower connecting pipes 24L and 24R are engag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s 24L and 24R contacts the concave surface 192. do.
  •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194 opposite to the concave portion 19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196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link body 190 so that the lower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lever 196.
  • the stopper 194 may be operated in a direction of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24L and 24R, and the elastic member 198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opper 194.
  • the link body 190 may have a hook shape, and the stopper 194 may have a protrusion 195a protruding from an opening side main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92 so that the lower connection pipes 24L and 24R may be formed. It can be hinged to the link body 190 to be operated in a restrained position to restrain the release and to move across the release position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lower connection pipes 24L and 24R.
  • An actuating lever 196 is hinged to a slot 195b opposite the protrusion 195a to expose the stopper 194 in a restrained position to a release posi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nk body 190.
  • the elastic member 198 is interposed between the link body 190 and the stopper 194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returning the stopper 194 to the restrained position.
  • the lower connection pipes 24L and 24R enter the direction into which the concave portion 192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attachment of the work machine 2, the protrusion 195a of the stopper 194 is pushed downward and the link is performed.
  • the lower connection pipes 24L and 24R can be inserted up to a predetermined binding position (a position where a part of th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see FIG. 5 (b)).
  • the stopper 194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original position (the lower connection pipes 24L and 24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194. Restrained position), whereby the lower connection pipes 24L and 24R are in a state where they cannot be detached from the concave portion 192 arbitrarily.
  • the lower connecting pipes 24L and 24R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92 and the protrusion 195a of the stopper 194 is pushed downward so that the protrusion 195a is inserted into the link body 190.
  • the lower connecting pipes 24L and 24R can be smoothly inserted to a predetermined binding position.
  • the stopper 194 is returned by the elastic member 198. Blocking part of the opening of the surface portion 192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ing pipes 24L and 24R.
  • the work vehicle In attaching the work machine 2, the work vehicle is first moved to a place where the work object 2 to be attached is placed. Then, as shown in (a) of FIG. 6, a part of the upper mounting table 102 of the attachment unit 10 may be fitted to the upper guide 22 of the work machine 2 so that the tilt cylinder 17 and the lifting cylinder ( Tilt and elevate the attachment unit 10 through 18).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machine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7 has no configuration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positions of the mounting table 302 and the connection links 39L and 39R are changed. That is, the second embodiment is an example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guide 23 and the connection pipe 25 of the work machine 2 are changed up and dow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mounting table 302 and the connection link 39L are different. , 39R) is opposite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attachment unit 30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attachment unit 302 and the tilting bar 304 are configured. However, as compared to the tilting bar 304, the mounting table 302 is positioned relatively below, and the connecting link 39L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links 19L and 19R at both ends of the tilting bar 304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39R).
  • the mounting table 302 is coupled to the leading edge of the rod-shaped shaft 301 connecting the connecting unit 34 and the attachment unit 30 in a refractive manner to face the work machine (2).
  •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306L, 306R extends toward the fixing unit 16 at the trailing edge of the rod-shaped shaft 301 opposite to the mounting table 302, and is perpendicular to the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s 306L, 306R.
  •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307L and 307R extend upward and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s 307L and 307R so that the tilting bar 304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s 307L and 307R.
  • the movable end of the tilt cylinder 37 may be hinged to the bracket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edge of the tilting bar 304, and the connecting links 39L and 39R are bolted or welded to both ends of the tilting bar 304. It can be firmly attached by, for example.
  • the round bar shaft 301 is rotated by the force of the tilt cylinder 37 that pushes or pulls the tilting bar 304, and thus, the front end of the round bar shaft 301.
  • the tilting of the work machine 2 can be realized.
  •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rk machine 2 which is realiz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connecting unit 34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36 by the stretching drive of the lifting cylinder 38,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Duplicate explanations are omitted.
  • the attachment device fo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easily and quickly without a large for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fastening method.
  • the work machine attachment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only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attachment device without the driver getting off the vehicle.
  • attachment unit 14 connection unit
  • link body 192 concave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는, 작업기의 상부 가이드에 삽입되는 부착대와 틸트 실린더가 연결되는 틸팅바를 구비한 부착유닛과, 다목적 운반 차량 차체 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유닛, 고정유닛과 부착유닛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 연결유닛에 대한 부착유닛의 틸트 조절을 위해 상기 틸팅바와 고정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틸트 실린더, 고정유닛에 대한 연결유닛의 승강 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유닛과 고정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부착유닛과 연결유닛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기의 하부 연결 파이프가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본 발명은 다목적 운반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목적 운반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통, 건설, 레져, 농용 등 폭넓은 분야에서 다목적 운반차량 Utility vehicle, UTV)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다목적 운반차량은 험로주행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흙이나 작물을 싣고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요한 도구 등을 싣고 나르기 위한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이동과 운반에 국한되던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차량 전방에 다양한 양태의 작업기를 선택 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US 2014/0060953호의 미국공개특허에서와 같이 다양한 작업기 부착을 위해 차량 전단에 작업기 부착수단을 승강 가능하게 갖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US 2014/0060953호가 제안하고 있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작업기 부착수단은, 2개의 작업기 작동 실린더(승강 및 틸트 실린더)를 구비하며, 2개 실린더의 독립적인 컨트롤을 통해 작업목적에 맞춰 작업기의 높이와 차량에 대한 작업기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목적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부착수단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물론 US 2014/0060953호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다목적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공지된 다른 형태의 작업기 부착수단 중에는 제설 또는 노면 청소를 위한 회전형 브러쉬(spin brush)나 잔디 깍는 장치(mower)와 같이 회전동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기 부착 시 당해 작업기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의 작업기 부착수단 대부분은, 부착수단의 부착대에 작업기를 살짝 걸친 상태에서 작업기의 승강 위치를 조정하여 작업기 측 브라켓의 핀홀과 작업기 부착수단의 핀홀을 서로 일치시킨 후 연결핀으로 연결하는 수동식 연결구조인 관계로, 작업기 착탈에 있어 상당한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작업기를 부착하거나 탈거할 때마다 복수의 연결핀을 일일이 조립하거나 분리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기 착탈 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 직접 수작업을 통해 작업기와 차량을 연결 또는 해체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기 교체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특히 운전자 혼자 교체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도 작업기 부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고, 작업기 탈거시에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작업기를 차량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바람직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다목적 운반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작업기 연결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작업기의 상부 가이드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가 형성된 부착대와 틸트 실린더가 연결되는 틸팅바를 구비한 부착유닛;
다목적 운반 차량 차체 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과 부착유닛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에 대한 부착유닛의 틸트 조절을 위해 상기 틸팅바와 고정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틸트 실린더;
상기 고정유닛에 대한 연결유닛의 승강 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유닛과 고정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부착유닛과 연결유닛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기의 하부 연결 파이프가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틸트 실린더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틸트 브라켓과; 상기 승강 실린더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승강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유닛은, 상기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닛의 일측 단부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힌지부 상부의 부착대 이면에 설치되는 상기 틸팅바;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가 결속되는 요면부가 형성된 훅(hook) 형상의 링크 바디; 돌기부가 상기 링크 바디의 요면부의 개구 측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의 이탈을 저지하는 구속 위치에서 상기 주면 안쪽으로 내입되어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걸쳐 작동되도록 상기 링크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스토퍼; 구속 위치에 있는 상기 스토퍼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의 돌기부 반대편 슬롯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링크 바디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링크 바디와 스토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토퍼를 구속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과제 해결을 위한 바람직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다목적 운반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작업기 연결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작업기의 하부 가이드에 삽입되는 부착대와 틸트 실린더가 연결되는 틸팅바를 구비한 부착유닛;
다목적 운반 차량 차체 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과 부착유닛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에 대한 부착유닛의 틸트 조절을 위해 상기 틸팅바와 고정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틸트 실린더;
상기 고정유닛에 대한 연결유닛의 승강 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유닛과 고정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틸팅바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기의 상부 연결 파이프가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틸트 실린더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틸트 브라켓과; 상기 승강 실린더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승강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유닛은, 상기 연결유닛과 부착유닛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환봉형 축에 상기 작업기를 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부착대와; 상기 환봉형 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부착대와 대향되도록 상기 환봉형 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 단부에서 직각으로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틸팅바;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상부 연결 파이프가 결속되는 요면부가 형성된 훅(hook) 형상의 링크 바디; 돌기부가 상기 링크 바디의 요면부의 개구 측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의 이탈을 저지하는 구속 위치에서 상기 주면 안쪽으로 내입되어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걸쳐 작동되도록 상기 링크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스토퍼; 구속 위치에 있는 상기 스토퍼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의 돌기부 반대편 슬롯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링크 바디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링크 바디와 스토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토퍼를 구속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에 의하면, 종래 수동 체결방식에 비해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고 빠른 작업기 착탈이 가능하다. 특히 작업기 부착 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도 부착장치의 승강 조작만으로 작업기 부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기 착탈에 있어 수반되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명확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 혼자서도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교체 시 요구되는 인력 소모 또한 크게 줄일 수 있어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결합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결합 평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작업기 부착장치에 적용된 연결링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에 작업기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1)는 크게, 부착유닛(10), 연결유닛(14), 고정유닛(16)으로 구성된다. 부착유닛(10)에 작업기가 부착되며, 고정유닛(16)은 다목적 운반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차량 전방(또는 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연결유닛(14)은 상기 고정유닛(16)과 부착유닛(10) 사이에서 이들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한다.
부착유닛(10)은 작업기 부착을 위한 부착대(102)를 구비한다. 부착대(102)에는 하부가 개구된 작업기 측 상부 가이드(22, 도 1 참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 삽입부(103)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삽입부(103)의 형상이나 크기는 상기 상부 가이드(22)의 형상이나 구조에 맞춰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시된 형상이나 구조로 국한되지 않는다.
부착유닛(10)의 상기 부착대(102) 하부에는 지지대(106L, 106R)가 연결된다. 각 지지대(106L, 106R)의 하단은 상기 연결유닛(14)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에 의한 힌지부(H)를 중심으로 연결유닛(14)에 대해 부착유닛(10)이 굴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기(2)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하는 틸트(Tilt)가 구현될 수 있다.
힌지부(H) 상부의 부착대(102) 이면의 지지대(106L, 106R) 사이에는 틸팅바(104)가 부착유닛(10)의 폭 방향을 따라 가로로 배치되며, 이러한 틸팅바(104)의 일측에 후술하게 될 틸트 실린더(17)의 가동 측 피스톤 로드 선단이 힌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틸트 실린더(17) 구동 시 힌지부(H)를 중심으로 연결유닛(14)에 대해 상기 부착유닛(10)이 회동될 수 있다.
틸트 실린더(17)는 컨트롤 레버 조작으로 작동되는 유압밸브에 의한 압유의 흐름 단속 및 유동방향 전환에 따라 신축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틸트 실린더(17)의 고정 측 실린더 하우징 선단은 상기 고정유닛(16) 일측의 틸트 브라켓(160)에 힌지 연결되고, 반대편 가동 측 피스톤 로드 선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틸팅바(104)에 힌지 연결된다.
압유에 의해 틸트 실린더(17)가 신축 구동될 때 피스톤 로드에 의해 틸팅바(104)가 고정유닛(16)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고정유닛(16)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6L, 106R)가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작업기(2)의 틸트(Tilt)가 구현되는 것이다.
부착유닛(10) 반대편 연결유닛(14)의 타측 단부는 상기 고정유닛(16)과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유닛(16)과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14)이 회동되며, 반대편의 상기 부착유닛(10) 및 이에 부착된 작업기(2)가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즉 고정유닛(16)에 대한 연결유닛(14)의 회동으로 작업기(2)를 들어올리거나 지면에 내릴 수 있다.
고정유닛(16)에 대한 연결유닛(14)의 승강은 승강 실린더(18)에 구현된다. 승강 실린더(18)는 상기 컨트롤 레버 조작을 통한 유압밸브의 압유 흐름 단속 및 유동방향 전환에 따라 신축 구동되며, 일단은 상기 틸트 브라켓(160) 측부의 승강 브라켓(162)에 힌지 연결되며, 반대편 타단은 연결유닛(14) 상면부 중앙 일측의 브라켓(부호 생략)에 힌지 연결된다.
연결유닛(14)은 대향되는 한 쌍의 아암(140L, 140R)을 구비한 구성일 수 있으며, 고정유닛(16)은 틸트 실린더(18)가 연결되는 틸트 브라켓(160)과 승강 실린더(17)가 연결되는 승강 브라켓(162)을 구비하며, 틸트 브라켓(160)과 승강 브라켓(162)으로 구성된 구조물 하단에 차량 측과의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견인용 커플러(16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14)과 부착유닛(10)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힌지부(H) 외측의 지지대(106) 하단에는 상기 작업기(2)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19L, 19R)가 구비된다. 연결링크(19L, 19R)는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기(2)의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와 결착을 위해 일부 개구된 요면부(192)를 갖는 훅(hook)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링크(19L, 19R)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작업기 부착장치에 적용된 연결링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링크(19L, 19R)는 요면부(192)가 형성된 링크 바디(190), 상기 요면부(192)의 개구 측 주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바디(190)에 힌지(h) 결합되어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의 둘레면 일부가 상기 요면부(192)와 접하도록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결착된 때 이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194)를 포함한다.
요면부(192) 측 반대편 스토퍼(194) 타측에는 링크 바디(190) 상단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작동레버(196)의 일단이 연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작동레버(196)를 통해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스토퍼(194)를 조작할 수 있으며, 스토퍼(194) 일측에 탄성부재(198)가 연결된다.
링크 바디(190)는 훅(hook) 형상일 수 있으며, 스토퍼(194)는 일단의 돌기부(195a)가 상기 요면부(192)의 개구 측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의 이탈을 저지하는 구속 위치에서 주면 안쪽으로 내입되어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걸쳐 작동되도록 상기 링크 바디(19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작동레버(196)는 구속 위치에 있는 상기 스토퍼(194)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195a) 반대편의 슬롯(195b)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링크 바디(190)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탄성부재(198)는 링크 바디(190)와 스토퍼(194) 사이에 스토퍼(194)를 구속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개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기(2) 부착과 함께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요면부(19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진입하면, 스토퍼(194)의 돌기부(195a)가 아래로 밀리면서 링크 바디(190) 안쪽으로 내입됨으로써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는 정해진 결속위치(둘레면 일부가 요면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그리고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완전히 삽입되고 난 뒤 스토퍼(194)는 상기 탄성부재(194)가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의 이탈을 저지하는 구속 위치)로 리턴되며, 이에 따라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는 요면부(19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즉 작업기(2) 부착 시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요면부(192)에 삽입되면서 스토퍼(194)의 돌기부(195a)를 아래로 밀면 돌기부(195a)가 링크 바디(190) 안쪽으로 내입됨으로써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는 정해진 결속위치까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며,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스토퍼(194)가 탄성부재(198)에 의해 리턴되어 요면부(192)의 개구 일부를 막게 됨으로써 연결 파이프(24L, 24R)의 이탈이 저지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에 작업기를 부착시키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작업기(2) 부착에 있어서는 먼저, 부착대상 작업기(2)가 놓인 장소로 작업 차량을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도 6의 (a)와 같이 부착유닛(10)의 상부 부착대(102)의 일부가 상기 작업기(2)의 상부 가이드(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틸트 실린더(17) 및 승강 실린더(18)를 통해 부착유닛(10)을 틸트 및 승강 조작한다.
다음, 승강 실린더(18)를 통해 부착유닛(10)을 상승 이동시켜 작업기(2)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면, (b)와 같이 좌우 연결링크(19L, 19R)에 작업기(2)의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아래로 밀려났던 스토퍼(194)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를 구속하게 됨으로써 간단하게 작업기(2) 부착이 완료된다.
반대로, 부착장치(1)로부터 작업기(2)를 탈거함에 있어서는, 작동레버(196)의 손잡이를 살짝 위쪽으로 들어올린 다음 도 5의 (b)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를 구속하고 있던 돌기부(195a)가 링크 바디(190) 측에 내입되는 해제 위치로 전환되며 이 상태에서 부착유닛(10)의 틸트 및 승강 조작을 통해 작업기(2)를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의 제2 실시 예는, 부착대(302)와 연결링크(39L, 39R)의 위치가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구성상 차이가 없다. 즉 제2 실시 예는 앞선 제1 실시 예와 비교해 작업기(2)의 가이드(23)와 연결 파이프(25) 상하 위치가 바뀐 경우 이에 적용 가능한 실시 예로서, 부착대(302)와 연결링크(39L, 39R)의 위치가 제1 실시 예와는 반대이다.
제1 실시 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착유닛(30)이 부착대(302)와 틸팅바(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틸팅바(304)에 비해 부착대(302)가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위쪽에 설치된 틸팅바(304)의 양단에 전술한 연결링크(19L, 19R)와 구성이 동일한 연결링크(39L, 39R)를 구비하고 있음에 차이가 있다.
물론, 부착유닛(30)의 세부 구성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대(302)는 연결유닛(34)과 부착유닛(30)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환봉형 축(301)의 전연부에 상기 작업기(2)를 향하도록 결합된다.
부착대(302)와 대향되는 상기 환봉형 축(301)의 후연부에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306L, 306R)가 고정유닛(16) 측으로 연장되며, 수평 지지대(306L, 306R)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한 쌍의 수직 지지대(307L, 307R)가 상향 연장되고 수직 지지대(307L, 307R)의 상단을 연결하는 구조로 상기 틸팅바(304)가 수직 지지대(307L, 307R) 상단에 설치된다.
틸팅바(304)의 일측 외연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브라켓에 틸트 실린더(37)의 가동 측 선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틸팅바(304)의 양단에 상기 연결링크(39L, 39R)가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8과 같이 틸팅바(304)를 밀거나 당기는 상기 틸트 실린더(37)의 힘에 의해 환봉형 축(301)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환봉형 축(301) 전연부에 부착된 부착대(302)의 각도가 변위됨으로써 작업기(2)의 틸팅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승강 실린더(38)의 신축 구동으로 고정유닛(36)에 대해 연결유닛(34)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구현되는 작업기(2)의 승강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에 의하면, 종래 수동 체결방식에 비해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고 빠른 작업기 착탈이 가능하다. 특히 작업기 부착 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도 부착장치의 승강 조작만으로 작업기 부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기 착탈에 있어 수반되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명확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 혼자서도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교체 시 요구되는 인력 소모 또한 크게 줄일 수 있어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 작업기 부착장치 2: 작업기
10, 30: 부착유닛 14: 연결유닛
16: 고정유닛 17: 틸트 실린더
18: 승강 실린더 19L, 19R, 39L, 39R: 연결링크
22: 상부 가이드 24L, 24R: 하부 연결 파이프
102, 302: 부착대 104, 304: 틸팅바
106: 지지대 160: 틸트 브라켓
162: 승강 브라켓 164: 커플러
190: 링크 바디 192: 요면부
194: 스토퍼 195a: 돌기부
196: 작동레버 198: 손잡이
306a: 수평 지지대 306b: 수직 지지대

Claims (8)

  1. 다목적 운반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작업기(2) 연결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작업기(2)의 상부 가이드(22)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103)가 형성된 부착대(102)와 틸트 실린더(17)가 연결되는 틸팅바(104)가 구비된 부착유닛(10);
    다목적 운반 차량 차체 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유닛(16);
    상기 고정유닛(16)과 부착유닛(10)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14);
    상기 연결유닛(14)에 대한 부착유닛(10)의 틸트 조절을 위해 상기 틸팅바(104)와 고정유닛(16) 사이에 설치되는 틸트 실린더(17);
    상기 고정유닛(16)에 대한 연결유닛(14)의 승강 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유닛(14)과 고정유닛(16)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18); 및
    상기 부착유닛(10)과 연결유닛(14)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기(2)의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결속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링크(19L, 19R);
    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16)은,
    상기 틸트 실린더(17) 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틸트 브라켓(160)과;
    상기 승강 실린더(18)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승강 브라켓(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유닛(10)은,
    상기 부착대(102)와;
    상기 부착대(102)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닛(14)의 일측 단부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106L, 106R);
    상기 힌지부 상부의 부착대(102) 이면에 설치되는 상기 틸팅바(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19L, 19R)는,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가 결속되는 요면부(192)가 구비된 훅(hook) 형상의 링크 바디(190);
    돌기부(195a)가 상기 링크 바디(190)의 요면부(192)의 개구 측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의 이탈을 저지하는 구속 위치에서 상기 주면 안쪽으로 내입되어 상기 하부 연결 파이프(24L, 24R)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걸쳐 작동되도록 상기 링크 바디(190)에 힌지 결합되는 스토퍼(194);
    구속 위치에 있는 상기 스토퍼(194)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94)의 돌기부(195a) 반대편 슬롯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링크 바디(190)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198)를 구비하는 작동레버(196); 및
    상기 링크 바디(190)와 스토퍼(19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토퍼(194)를 구속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98);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5. 다목적 운반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작업기(2) 연결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작업기(2)의 하부 가이드(23)에 삽입되는 부착대(302)와 틸트 실린더(37)가 연결되는 틸팅바(304)를 구비한 부착유닛(30);
    다목적 운반 차량 차체 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유닛(36);
    상기 고정유닛(36)과 부착유닛(10)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34);
    상기 연결유닛(14)에 대한 부착유닛(10)의 틸트 조절을 위해 상기 틸팅바(104)와 고정유닛(36) 사이에 설치되는 틸트 실린더(17);
    상기 고정유닛(36)에 대한 연결유닛(14)의 승강 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유닛(14)과 고정유닛(36)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38); 및
    상기 틸팅바(104)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기(2)의 상부 연결 파이프(25)에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링크(39L, 39R);
    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36)은,
    상기 틸트 실린더(37)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틸트 브라켓(360)과;
    상기 승강 실린더(38)의 일측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승강 브라켓(3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유닛(30)은,
    상기 연결유닛(34)과 부착유닛(30)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환봉형 축(301)에 상기 작업기(2)를 향하여 결합되는 상기 부착대(302)와;
    상기 환봉형 축(30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부착대(302)와 대향되도록 상기 환봉형 축(301)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306L, 306R)와;
    상기 수평 지지대(306L, 306R) 단부에서 직각으로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수직 지지대(306L, 306R);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306L, 306R)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틸팅바(30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39L, 39R)는,
    상기 상부 연결 파이프(25)가 결속되는 요면부(392)가 형성된 훅(hook) 형상의 링크 바디(390);
    돌기부(395a)가 상기 링크 바디(390)의 요면부(392)의 개구 측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 연결 파이프(25)의 이탈을 저지하는 구속 위치에서 상기 주면 안쪽으로 내입되어 상기 상부 연결 파이프(25)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걸쳐 작동되도록 상기 링크 바디(390)에 힌지 결합되는 스토퍼(394);
    구속 위치에 있는 상기 스토퍼(394)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394)의 돌기부(395a) 반대편 슬롯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링크 바디(390)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398)를 구비하는 작동레버(396); 및
    상기 링크 바디(390)와 스토퍼(39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토퍼(394)를 구속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98);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PCT/KR2017/004057 2016-04-28 2017-04-14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WO201718863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422A KR102496021B1 (ko) 2016-04-28 2016-04-28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KR10-2016-0052422 2016-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636A1 true WO2017188636A1 (ko) 2017-11-02

Family

ID=6016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057 WO2017188636A1 (ko) 2016-04-28 2017-04-14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6021B1 (ko)
WO (1) WO2017188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385B1 (ko) * 2018-02-13 2019-11-11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15A (ja) * 2004-07-30 2006-02-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両における作業機連結装置
KR200413755Y1 (ko) * 2006-01-10 2006-04-13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0849176B1 (ko) * 2008-03-21 2008-07-30 조원일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KR20150122818A (ko) * 2014-04-23 2015-11-03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JP2016049101A (ja) * 2014-08-29 2016-04-11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5699B2 (en) * 2012-09-04 2015-07-07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diesel utility vehicle
KR20140060953A (ko) 2012-11-13 2014-05-21 중소기업은행 원격 접속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넷 뱅킹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15A (ja) * 2004-07-30 2006-02-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両における作業機連結装置
KR200413755Y1 (ko) * 2006-01-10 2006-04-13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0849176B1 (ko) * 2008-03-21 2008-07-30 조원일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KR20150122818A (ko) * 2014-04-23 2015-11-03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JP2016049101A (ja) * 2014-08-29 2016-04-11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48A (ko) 2017-11-07
KR102496021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1212A1 (ko) 붐 스윙형 굴삭기의 유압 배관 고정장치
US7669898B2 (en) Apparatus for detaching and attaching counterweight
WO2012050286A1 (ko) 트랙터의 운전캡
EP0468771A1 (en) A construction machine accessory coupling mechanism
WO2014137031A1 (ko)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WO2013191308A1 (ko)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US9945093B1 (en) Excavator, excavator boom, stick object coupler receiver for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0508692B1 (en) Accessory detachable mechanism of construction machine
WO2017188636A1 (ko)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WO2012074209A2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WO2018139747A1 (ko) 차량 잭업 장치
WO2014092367A1 (ko)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WO2014193002A1 (ko) 건설기계용 배관고정장치
CN109986327B (zh) 一种拆夹爪及采用该拆夹爪的拆夹机
WO2019117431A1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WO2015064826A1 (ko) 베일집게
WO2015030282A1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US20020102154A1 (en) Mechanical linkage quick attachment system
KR19990002218U (ko) 트랙터 작업기 순간 착탈장치
WO2021066230A1 (ko) 소형 다용도 건설 장비
WO2009116757A2 (ko) 트랙터용 트레일러
KR880000388B1 (ko) 이앙기
KR890001855Y1 (ko) 트랙터용 퀵 카플러(Quick Coupler)
JPH0480434A (ja) ローダ車輌の油圧継手装置
KR0140799Y1 (ko) 탈.장착이 용이한 중장비의 작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9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89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