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385B1 -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 Google Patents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385B1
KR102032385B1 KR1020180017579A KR20180017579A KR102032385B1 KR 102032385 B1 KR102032385 B1 KR 102032385B1 KR 1020180017579 A KR1020180017579 A KR 1020180017579A KR 20180017579 A KR20180017579 A KR 20180017579A KR 102032385 B1 KR102032385 B1 KR 10203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shaft
pair
coupled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304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to KR102018001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3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6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self-propell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8Controlling power parameters of the driveline, e.g. determining the required power
    • B60Y2300/1886Controlling power supply to auxiliary devices
    • B60Y2300/1888Control of power take off [P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 작업기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엔진의 동력으로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은 차체와, 차체의 앞쪽과 뒤쪽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전축 및 후축과, 전축 및 후축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차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차체에 설치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차체에 설치되는 변속기와, 변속기의 출력을 전축 및 후축으로 각각 전달하는 한쌍의 주축과,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동력전달장치의 한쪽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력을 인출하는 동력인출장치와,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고 작업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연결대와, 한쪽 끝부분은 동력인출장치의 출력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차체의 뒤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동력인출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 작업기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엔진의 동력으로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과일이나 채소 등의 수확물, 퇴비나 비료, 농자재 등을 운반하기 위하여 농업용 운반차량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69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4914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27437호, 제10-0672743호 등에는 다양한 농업용 운반차량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최근에는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제초, 파쇄, 경운 등의 작업도 행할 수 있도록 부수적인 장비(작업기)를 농업용 운반차량에 부가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227호, 제10-2009-010326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12874호, 제10-1305016호, 제10-1241295호, 제10-053911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718호 등에는 운반차량의 엔진 출력 일부를 인출 또는 취출하여 부가된 장비(작업기)를 구동하는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농업용 운반차량의 경우에는 작업기의 탈착에 어려움이 많고, 엔진 출력 일부를 인출(취출)하는 구조도 복잡하게 이루어져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원을 작업기에 설치하지 않고도 여러 종류 작업기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엔진의 동력으로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연결대를 이용하여 작업기를 차체에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수시로 다양한 작업기를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왕복실린더를 작동시켜 작업기를 지면에서 들어올린 상태로 유지하거나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용이하게 변환하여 이동과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은 차체와, 상기 차체의 앞쪽과 뒤쪽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전축 및 후축과, 상기 전축 및 후축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차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의 출력을 상기 전축 및 후축으로 각각 전달하는 한쌍의 주축과,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변속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한쪽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력을 인출하는 동력인출장치와,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고 작업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로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킷, 기어열 등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작업기에 설치되는 동력입력부와 상기 차체에 설치된 동력인출축 사이에는 연결축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의 상기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의 양쪽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중간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한쪽 중간풀리는 변속기에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하고, 다른쪽 중간풀리는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되는 인출풀리와 벨트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작업연결대는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양쪽 끝단은 작업기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립축과, 상기 결합축과 조립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축은 상기 걸이부재에 형성되는 걸이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의 양쪽 끝부분에는 축구멍이 형성되는 마감편이 결합된다.
상기 작업연결대는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양단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작업기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 중간부를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체에는 왕복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연결대에는 상기 왕복실린더의 피스톤 끝단이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를 상기 결합축에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작업연결대는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양단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작업기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부재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고정부재의 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측면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체에는 왕복실린더를 한쌍으로 구성하여 설치하고, 각 왕복실린더의 피스톤 끝단을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 중간부분에 상기 측면보강부재의 끝부분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작업기의 상단 중앙부에는 보조조립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와 보조조립부재 사이에는 상부보강부재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의하면, 상기 동력인출장치를 통하여 엔진의 회전력 일부를 인출하여 동력인출축과 연결축을 통하여 작업기의 입력부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동력원을 작업기에 설치하지 않고도 작업기의 동력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의하면, 작업연결대를 이용하여 작업기를 차체에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수시로 다양한 작업기를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의하면, 왕복실린더를 작동시켜 작업기를 지면에서 들어올린 상태로 유지하거나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용이하게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동과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적재함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적재함을 경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작업기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나타낸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낸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작업기를 연결하는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10)와, 한쌍의 주축(14)과, 한쌍의 전축(15) 및 후축(16)과, 복수의 바퀴(18)와, 적재함(20)과, 엔진(30)과, 변속기(40)와, 동력전달장치(50)와, 동력인출장치(60)와, 동력인출축(66)과, 작업연결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엔진(3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차체(10)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변속기(40)는 상기 차체(10)에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50)는 상기 엔진(30)의 구동력을 상기 변속기(40)로 전달하도록 상기 엔진(30)과 변속기(4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50)로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킷, 기어열 등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장치(50)는 상기 엔진(30)의 출력축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풀리(51)와, 상기 변속기(40)의 입력축에 연결 설치되는 종동풀리(58)와, 상기 구동풀리(51)와 종동풀리(58)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풀리(51)와 종동풀리(58)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상기 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중간축(53)을 설치하고, 상기 중간축(53)에 중간풀리(5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51)와 중간풀리(54) 사이를 벨트(52)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중간풀리(54)와 종동풀리(58) 사이를 다른 벨트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장치(5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엔진(30)으로부터 변속기(40)까지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간축(53)을 차체(10)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하고, 상기 중간풀리(54)를 중간축(53)의 양쪽에 배치하여 한쌍으로 설치하고, 한쪽 중간풀리(54)는 변속기(40)에 연결되는 종동풀리(58)와 벨트로 연결하고, 다른쪽 중간풀리(54)는 동력인출장치(60)에 연결되는 인출풀리(59)와 벨트(52)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상기 구동풀리(51)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의 일부는 변속기(40)로 전달되고, 나머지 일부는 동력인출장치(60)로 전달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전축(15) 및 후축(16)은 상기 차체(10)의 앞쪽과 뒤쪽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전축(15) 및 후축(16)은 상기 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축(15) 및 후축(16)의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바퀴(18)가 설치된다.
상기 전축(15) 및 후축(16)에는 좌우 양쪽 바퀴(18)에 회전차를 부여하기 위 한 차동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주축(14)은 상기 변속기(40)의 출력을 상기 전축(15) 및 후축(16)으로 각각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한쌍의 주축(14)은 다양한 공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설치되어 작동하도록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축(14)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변속기(40)의 출력쪽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기 주축(14)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전축(15) 또는 후축(16)의 차동장치에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적재함(20)은 상기 차체(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20)은 상기 차체(10)에 상하로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상하이동장치(22)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10)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20)은 상기 차체(10)에 덤프(dump) 작동이 가능하도록 유공압실린더(26)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차체(10)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력인출장치(60)는 상기 동력전달장치(50)의 한쪽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동력인출장치(60)는 상기 엔진(3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50)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의 일부를 인출(취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동력인출장치(60)의 출력쪽에는 상기 동력인출축(66)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인출장치(60)의 입력쪽을 상기 동력전달장치(50)의 인출풀리(59)의 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동력인출장치(60)는 베벨기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동력인출축(66)의 상기 동력인출장치(60)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차체(10)의 뒤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연결대(70)는 상기 차체(10)의 뒤쪽에 설치된다.
상기 작업연결대(7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기(1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업기(100)로는 제초기, 파쇄기, 경운기, 복토기, 로터베이터, 배토기 등이 사용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연결대(70)는 상기 차체(10)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72)과, 상기 결합축(7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작업기(100)쪽에 연결되는 조립축(74)과, 상기 결합축(72)과 조립축(7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 지지하는 고정부재(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부재(19)는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차체(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결합축(72)은 걸이부재(19)에 형성되는 걸이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72)의 양쪽 끝부분에는 마감편(73)이 결합된다.
상기 마감편(73)은 상기 결합축(72)의 양쪽 끝부분을 지지하는 걸이부재(19)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결합축(72)이 상기 걸이부재(19)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마감편(73)에는 상기 결합축(72)이 관통되는 축구멍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결합축(72)은 상기 차체(10)의 걸이부재(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고, 상기 작업연결대(70)가 상기 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10)에는 왕복실린더(80)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연결대(70)에는 상기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 끝단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작업연결대(70)에는 상기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 끝단이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82)가 상기 결합축(7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 끝단은 상기 피스톤결합부재(8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왕복실린더(80)가 왕복으로 작동함에 따라 상기 작업연결대(70)는 상기 결합축(7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기(100)에는 돌출되는 상태로 한쌍의 조립부재(11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립축(74)의 양쪽 끝단을 상기 한쌍의 조립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조립부재(110)는 상기 작업기(10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볼트, 힌지핀, 돌기와 홈 등의 결합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작업기(100)의 상단 중앙부에는 보조조립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10)와 보조조립부재(120) 사이에는 상부보강부재(78)를 설치한다.
상기 상부보강부재(78)의 양쪽 끝부분은 각각 상기 차체(10)와 보조조립부재(120)에 힌지핀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상부보강부재(78)의 끝부분을 상기 보조조립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핀이 삽입되는 상기 보조조립부재(120)에 형성되는 핀구멍을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조립부재(120)에 형성되는 핀구멍을 장공과 상기 작업기(100)에는 돌출되는 상태로 한쌍의 조립부재(11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립축(74)의 양쪽 끝단을 상기 한쌍의 조립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은 바퀴(18)보다 낮은 지면의 작업시 작업기(100)가 운반차량의 바퀴(18)보다 낮게 내려가거나 운반차량의 진행방향 혹은 진행방향과 수직인 좌우 수평방향의 지면 기울림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축(74)을 조립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보강부재(78)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왕복실린더(80)가 왕복으로 작동하면 상기 작업연결대(70)가 결합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업기(100)는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와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기(100)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작업연결대(70)는 결합축(7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업기(100)는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이 수행되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에는상기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이 후진하게 되면, 상기 작업연결대(70)는 결합축(7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업기(100)는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에서 상부보강부재(78)는 작업기(100)가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도 11 참조)에서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상태(도 12 참조)로 전환될 때에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한쌍의 조립부재(110)를 상기 작업기(10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상부보강부재(78)를 상기 작업기(100)의 보조조립부재(120)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기(100)를 작업연결대(7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조립부재(110)를 상기 작업기(100)로부터 분리하는 대신에, 상기 조립축(74)을 상기 조립부재(110)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작업기(100)를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를 행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기(100)의 동력입력부(130)와 상기 차체(10)에 설치된 동력인출축(66) 사이에는 연결축(9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축(90)은 유니버셜조인트 축으로 구성하는 것이 작업기(100)의 위치변화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인출축(66)의 끝단, 상기 작업기(100)의 동력입력부(130), 상기 연결축(90)의 양쪽 끝단 등의 연결부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회전력의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스플라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축(90)과 상기 작업기(100)의 동력입력부(130)의 결합을 스플라인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작업기(100)를 작업연결대(70)에 결합 및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체(10)에 설치된 엔진(30)의 회전력의 일부를 동력인출장치(60)를 통하여 인출하여 동력인출축(66)과 연결축(90)을 통하여 상기 작업기(100)의 동력입력부(130)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작업기(100)에 별도의 동력원을 설치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작업기(100)의 동력을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연결대(70)는 상기 차체(10)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1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72)과, 상기 결합축(72)의 양단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부재(86)와,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86)를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8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축(72)은 걸이부재(19)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84)는 상기 고정부재(86)의 중간부분에 배치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10)에 설치되는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 끝단이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82)가 상기 결합축(7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피스톤(81) 끝단이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82)에는 원호형상의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왕복실린더(80)가 왕복으로 작동함에 따라 상기 작업연결대(70)는 상기 결합축(7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할 때에 유연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결합부재(82)의 끝단부를 상기 간격유지부재(84)에 힌지핀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86)의 결합축(72)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작업기(100)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업기(100)의 상단 중앙부에는 보조조립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10)와 보조조립부재(120) 사이에는 상부보강부재(78)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86)의 끝부분을 상기 작업기(100)의 조립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보강부재(78)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왕복실린더(80)가 왕복으로 작동하면 상기 작업연결대(70)가 결합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업기(100)는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와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86)를 상기 작업기(100)의 조립부재(11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상부보강부재(78)를 상기 작업기(100)의 보조조립부재(120)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기(100)를 작업연결대(7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작업기(100)를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를 행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연결대(70)는 상기 차체(10)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19)에 고정 설치된 결합축(72)과, 상기 결합축(72)의 양단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부재(86)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고정부재(86)의 중간부분에 연결되는 한쌍의 측면보강부재(88)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차체(10)에 설치되는 왕복실린더(80)는 한쌍으로 구성하고, 각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 끝단을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86) 중간부분에 상기 측면보강부재(88)의 끝부분과 함께 힌지핀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왕복실린더(80)의 피스톤(81) 끝단을 고정부재(86)에 결합 설치하는 경우에는 피스톤결합부재(82)를 상기 결합축(72)에 고정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86)의 결합축(72)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작업기(100)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업기(100)의 상단 중앙부에는 보조조립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10)와 보조조립부재(120) 사이에는 상부보강부재(78)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86)의 끝부분을 상기 작업기(100)의 조립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보강부재(78)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왕복실린더(80)가 왕복으로 작동하면 상기 작업연결대(70)가 결합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업기(100)는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와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86)를 상기 작업기(100)의 조립부재(11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상부보강부재(78)를 상기 작업기(100)의 보조조립부재(120)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기(100)를 작업연결대(7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작업기(100)를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를 행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차체, 14 - 주축, 15 - 전축
16 - 후축, 18 - 바퀴, 19 - 걸이부재
20 - 적재함, 22 - 상하이동장치, 26 - 유공압실린더,
30 - 엔진, 40 - 변속기, 50 - 동력전달장치
51 - 구동풀리, 52 - 벨트, 53 - 중간축
54 - 중간풀리, 58 - 종동풀리, 59 - 인출풀리
60 - 동력인출장치, 66 - 동력인출축, 70 - 작업연결대
72 - 결합축, 73 - 마감편, 74 - 조립축
76 - 고정부재, 78 - 상부보강부재, 80 - 왕복실린더
81 - 피스톤, 82 - 피스톤결합부재, 84 - 간격유지부재
86 - 고정부재, 88 - 측면보강부재, 90 - 연결축
100 - 작업기, 110 - 조립부재, 120 - 보조조립부재
130 - 동력입력부

Claims (10)

  1. 차체와,
    상기 차체의 앞쪽과 뒤쪽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전축 및 후축과,
    상기 전축 및 후축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차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의 출력을 상기 전·후축 또는 후축으로 전달하는 주축과,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변속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한쪽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력을 인출하는 동력인출장치와,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고 작업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연결대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출력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차체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동력인출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의 상기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의 양쪽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중간풀리를 더 포함하고,
    한쪽 중간풀리는 변속기에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하고,
    다른쪽 중간풀리는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되는 인출풀리와 벨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연결대는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양쪽 끝단은 작업기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립축과, 상기 결합축과 조립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은 상기 걸이부재에 형성되는 걸이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의 양쪽 끝부분에는 축구멍이 형성되는 마감편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연결대는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에 고정 설치된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양단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작업기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 중간부를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왕복실린더의 피스톤 끝단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왕복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연결대에는 상기 왕복실린더의 피스톤 끝단이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축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연결대는 상기 차체의 뒤쪽에 설치되는 걸이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양단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작업기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쌍의 조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부재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고정부재의 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측면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왕복실린더를 한쌍으로 구성하여 설치하고, 각 왕복실린더의 피스톤 끝단을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 중간부분에 상기 측면보강부재의 끝부분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10.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의 상단 중앙부에는 보조조립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와 보조조립부재 사이에는 상부보강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KR1020180017579A 2018-02-13 2018-02-13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KR10203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579A KR102032385B1 (ko) 2018-02-13 2018-02-13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579A KR102032385B1 (ko) 2018-02-13 2018-02-13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304A KR20190098304A (ko) 2019-08-22
KR102032385B1 true KR102032385B1 (ko) 2019-11-11

Family

ID=6776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579A KR102032385B1 (ko) 2018-02-13 2018-02-13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3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206B1 (ko) * 2011-02-17 2012-10-29 대호 (주) 트랙터
KR101521462B1 (ko) * 2013-09-06 2015-05-20 주식회사 대진정공 트랙터용 배토장치
KR20170001980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알지테크놀로지 주행과 작업을 겸하는 차량
KR102496021B1 (ko) * 2016-04-28 2023-02-06 주식회사 대동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304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29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гусеничного полотна и лес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US20170369097A1 (en) Work vehicle axle device
CN205059078U (zh) 作业车
CN201254100Y (zh) 四轮驱动多功能农用机械
US11938812B2 (en) Tandem wheel assembly and tandem wheel kit
KR102032385B1 (ko) 농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JP3526113B2 (ja) モアトラクタ
KR101029371B1 (ko) 트랙터
CN103931284A (zh) 一种履带自走式双起垄机
JP6204754B2 (ja) 農作業機
JP4940897B2 (ja) 乗用芝刈機
CN210234672U (zh) 外置式全差速四驱装置
CN216134805U (zh) 一种自行式耙田机
KR101195206B1 (ko) 트랙터
KR20220040326A (ko) 승용관리기의 조향장치
RU2499379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е тягово-транспортное и энерг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JPH0555086B2 (ko)
JPH10211U (ja) 動力作業車
JPH0727230Y2 (ja) 駆動型作業機を装着可能な移動車輌
JP2010058705A (ja) 乗用型移動農機
JPH0137365Y2 (ko)
JP4458508B2 (ja) 農作業機
JPH0135609Y2 (ko)
JP2584759Y2 (ja) 動力作業車
JP4483171B2 (ja) 農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