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88B1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88B1
KR880000388B1 KR1019830004999A KR830004999A KR880000388B1 KR 880000388 B1 KR880000388 B1 KR 880000388B1 KR 1019830004999 A KR1019830004999 A KR 1019830004999A KR 830004999 A KR830004999 A KR 830004999A KR 880000388 B1 KR880000388 B1 KR 88000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link mechanism
hook
planting
rice trans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907A (ko
Inventor
히로요시 후지끼
지로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구보다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앙기
제1도-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의 제1의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도는 전체측면도.
제2도는 검출 스윗치 배설부의 정면도.
제3도는 검출 스윗치 배설부의 측면도.
제4도는 모심는 장치 연결부의 사시도.
제5도는 모심는 장치 연결부의 일부절결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 단면의 화살표 방향 관찰도.
제7도는 계합부 개변된 태양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8도는 종래 연결부의 사시도.
제9도-제12도는 제2의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9도는 연결해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10도는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11도는 연결도 중의 작용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12도는 개변된 태양을 표시하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링크기구 6 : 모심는 장치
8 : 링크기구쪽 부재 9 : 후크
10 : 모심는 장치쪽 부재 13 : 계합부
14a, 14b : 연결축 17 : 록크기구
18a, 18b : 경사안내면 113 : 스프링
19a, 19b : 경사안내면
본 발명은 자동 주행차량에 구동승강자재하게 부착된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에 분리자재하며, 또한 승강자재하게 연결하는 모심는 장치와의 사이에 계합부와 록크기구를 설치한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이앙기는 노상운반할때 등을 위하여 자체폭보다 큰 옆쪽폭의 모심는 장치를 차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배려되며, 또한 모심는 장치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모심는 장치를 링크기구에 의하여 매달아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모심는 장치의 연결록크나 록크 해제가 편리하게 될 수 있도록 배려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이앙기에 있어서, 록크기구를 록크 조작함에 있어서의 링크기구쪽 부재와 모심는 장치쪽부재와의 위치 합치조작이 불필요하여서 연결록크가 편리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제8도의 구성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심는 장치의 매달아놓은 상태에 있어서, 링크기구쪽 부재와 모심는 장치쪽 부재가 연결 고정을 위한 위치 합치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즉 모심는 장치쪽의 제1부재(10a)에 대한 4개의 후크(9)를 링크기구쪽 부재(8)에 설치하고, 계합상태에 있어서는 이들 후크(9)와 링크기구쪽 부재(8)로서 전기한 제1부재(10a)를 협지하고, 또한 그 후크(9)를 모심는 장치쪽의 제2부재(10b)에 당접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1부재(10a)와 링크기구쪽 부재(8)를 록크고정구(35)에 의하여 연결 고정하기 위하여 위치합치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있어서는 모심는 장치를 매다는 데에 따라서 제1부재(10a)를 소정의 계합위치로 향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사안내면 (36)이 후크(9)로 갖추어져 있지만, 후크(9)와 제1부재(10a)의 옆방향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며 또한 정확하게 행하기 위한 조치는 강구되어 있지 아니하였었다.
즉 모든 후크(9)가 적합하게 계합하도록 차체를 정확하게 방향 조작시킬 필요에 있어서 연결하기 곤란한 결점이 있으며, 또 계합부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결점도 있었다.
한편, 모심는 장치의 좌우 경사동작에 대하여 모심는 장치를 중립쪽으로 복귀시키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이라든가, 모 재치대의 좌우왕복 이동에 수반하는 중량 바란스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이라고 하는 각종의 스프링이 로오링 장치를 사이에 두고 갖추어져 있었다. 따라서 주행기체에서 모심는 장치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스프링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수고가 더 걸리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한 모든문제를 해결하도록 록크 조작이 용이하며, 특히 링크기구와 모심는 장치와의 계합작업이 용이하게 된 구조 간단한 연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심는 장치의 자세유지용 스프링의 제거를 필요치 아니함에 의하여, 주행기체에 대한 모심는 장치의 연결 및 연결 해제의 수고가 덜들고 한층 용이 신속하게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의 특징은 계합부로서 링크기구쪽 부재와 모심는 장치쪽 부재와의 한 개의 후크를 설치하고, 이것을 다른 쪽에 계탈시킴과 동시에 링크기구쪽 부재와 전기한 모심는 장치쪽 부재가 용이하게 위치맞춤 상태로 되도록 경사안내면을 설치한 것이다.
전기한 후크의 안내면은 모심는 장치쪽 부재 혹은 링크기구쪽 부재를 모심는 장치를 위로 매다는 것에 따라서, 전후 및 좌우로 상대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치맞춤과 연결이 끝나면, 모심는 장치쪽 부재 혹은 링크기구쪽 부재가 후크에 대하여 전후 접동 및 좌우 접동 할 수 없도록 하는 교합부도 설치되어 있다.
이 교합부는 모심는 장치쪽 부재와 링크기구쪽 부재가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록크기구 예컨대 연결측을 전기한 링크기구쪽 부재와 모심는 장치쪽 부재와의 한쪽에 설치하고, 다른 쪽에는 이축이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계탈하는 계지공을 설치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는 한 개의 후크를 개재하여 계합시켜진 모심는 장치쪽 부재와 링크기구쪽 부재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약간 위치가 미끄러져 있어도 모심는 장치를 위로 매다는데에 따라서, 모심는 장치쪽 부재와 링크기구쪽 부재와의 위치 관계는 경사안내면의 효과에 의하여 소정의 연결고정용 위치에 자동적으로 수정된다.
모심는 장치 중량 때문에 링크기구쪽 부재와 모심는 장치쪽 부재가 소정의 연결용 상태로부터 미끄러 움직이는 것은 교합부에 의하여 방지되어서 모심는 장치를 위로 상승시키는 것에 따라서 링크기구쪽 부재와 모심는 장치쪽 부재가 전기한 위치 맞춤상태로 됨에 따라서 연결측이 자동적으로 계합공에 감안한다.
또 가령 모심는 장치쪽 부재가 요동하여 연결측이 자동계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모심는 장치쪽 부재를 약간 동용시키는 것만으로도 연결축을 계합시킬 수가 있다.
이것도 경사 안내면의 효과이다.
이와 같이 연결작업을 능률좋게 실시할 수 있도륙 되며, 또한 후크를 한개로서 끝내게 할 수가 있어서 계합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었다. 전에 설명한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는, 모심는 장치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상기한 모심는 장치쪽 부재와 모심는 장치 본체부 와의 사이에서 장설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을 부착한채로서 링크기구와 모심는 장치를 연결 혹은 연결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모심는 장치쪽의 부착 브라켓과 식재용 밋숀 케이스에 걸쳐서 스프링을 장설하여도 좋고, 혹은 부착된 브라켓과 모의 재치대에 걸쳐서 스프링을 장설하여도 좋은 것이다.
연결해제할때에 모의 재치대를 좌우 중량 밸런스가 안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놓는 것에 의한여, 스프링의 부세력을 이용하여 부착 브라켓을 소정의 자세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스프링을 떼어내는 것이 불필요하게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할 때에 있어서 부착된 브라켓을 자동적으로 소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어서 브라켓 부착된 자세유지를 위한 보조직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주행기체에 대한 모심는 장치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적은 수고로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하는 이앙기에 있어서는 원동부(1), 예비용 모의 재치대(2), 운전좌석(3) 등을 보유한 자동 주행차량의 후부에 링크기구(4)가 유압 실린더(5)에 의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기구(4)에 모심는 장치(6)가 연결되어 자동 주행차량에 회전축(7)에 의하여 모심는 장치(6)가 구동된다. 이 이앙기는 8줄을 심는 것이 가능한 승용형 모심는 기계이다. 제2도 및 제3도의 표시와 같이 모의 재치대(23)의 8줄의 모 재치부의 각각 그 뒷쪽에 모의 잔존된 분량이 설정된 값 이하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스윗치(2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스윗치(24)……의 각각 그 한쪽의 전선(25)은 모재치대(23)의 보강용 프레임(26)에 접속하고 있다.
즉, 이 보강용 프레임(26), 가이드 레일(27), 부재(28), 기체(6a) 및 링크기구(4)를 개제하여 이들 스윗치는 접지되어 있다.
보강용 프레임(26)과 전기한 가이드 레일(27)을 언제나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연결하고 있는 부재(28)는 모재치대가 가이드 레일(27)위에서 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전기한 스윗치(24)……의 각각 그것의 다른 쪽의 전선(29)은 모 재치대 보강용 프레임(30)에 접속하고 있다.
모 재치대(23)가 좌우 작동하여도 전기한 보건용 프레임(30)에 언제나 접촉하도록 모재치대 지주(31)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접속구(32)이다.
즉 전선(33), 접속구(32) 등을 개재하여 전기한 각 스윗치(24)는 자동 주행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경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모의 나머지 분량이 설정된 값 이하인 것을 최소한 한개의 스윗치(24)가 검출하면 경보장치(34)가 자동적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8줄의 모 재치부의 최소한 한개의 모가 전기한 설정된 값으로 감소되면 모를 보급하도록 경보가 나도록 하고 있다. 모심는 장치(6)의 연결구조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한다. 링크기구(4)쪽의 부재, 즉 유리단쪽 부재(8)에 한개의 위로 향한 후크(9)를 부착함과 아울러, 이 후크(9)에 계합이탈시기는 모심는 장치쪽의 부재, 즉 연결판(10)을 모심는 장치(6)의 자동 주행차량에 대한 로올링을 가능하게하는 좌우 한쌍의 요동링크(11a)(11b)를 개재하여 모심는 장치 기체(6a)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링크(9)를 연결판(10)의 절결(12)부분에 삽입한 상태로 하여 링크기구(4)를 상승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그 기구를 모심는 장치(6)에 계합시켜서 링크기구(4)의 하강 조작에 의하여 기구(4)에서 장치(6)을 이탈하도록한 계합부(1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연결판에 요동링크(11a)(11b)를 부착하고 있는 연결축(14a)(14b)의 앞쪽끝은, 전기한 유리된 끝쪽부재(8)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계탈 시켜지도록 연결판(10)에서 돌출하고 있다. 연결축(14a)(14b)이 유리단쪽 부재(8)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15a)(15b)는, 연결축(14a)(14b)의 절결에 계입시킨 작용상태와 절결에서 이탈시킨 해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유리단쪽 부재(8)에 추지 연결되어 있다.
작용상태에 있어서는 연결판(10)을 유리단쪽 부재(8)에 조여 부치도록 부세하고, 또한 이탈방지구(15a)(15b)의 요동에 따라서 부세방향이 변화되어서 해제상태를 나타나게하는 스프링(16a) 또는(16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연결축 등을 작용상태와 해제상태로 각각 별도로 보전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링크기구쪽의 유리단쪽 부재(8)와 모심는 장치쪽의 연결판(1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해제 조작자재한 록크기구(17)를 구성하고 있다.
즉 모심는 장치(6)를, 노상운반할때 등에 있어서의 해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자재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모심는 장치(6)의 연결 및 분리할 때에 있어서 모심는 장치(6)를 계합부(13)를 개재하여 링크기구(4)에 의하여 상승지지시키면서 록크기구(17)를 록크 혹은 해제조작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4도 내지 제6도의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또 다른 중요한 구성은, 모심는 장치(6)의 위로 상승하는 것에 따라서 유리단쪽 부재(8)와 연결판(10)이 소정의 연결 고정용의 위치관계로 되도록 연결판(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경사안내면(18a)(18b) 및, 연결판(1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경사안내면(19a)(19b)을 연결판(10) 또는 후크(9)에 설치한 점이다.
모심는 장치(6)를 위로 상승시킬 때에 가령 절결(12)에 삽입한 후크(9)와 연결판(10)이 소정의 위치 맞춤 상태로 되어 있지 아니하여도, 모심는 장치(6)의 위로 상승함에 따라서 링크기구쪽 부재, 즉 유리단쪽 부재(8)와 모심는 장치쪽 부재, 즉 연결판(1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위치 맞춤상태, 즉 록크기구(17)를 작용상태로 하였을 때에 되어야 할 위치맞춤 상태로 후크(9)와 연결판(10)이 될 수 있는 한 자동수정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기한 연결판(10)에 전기한 절결(12)의 위쪽끝에 설치한 요입부(20)과 후크(9)의 밑바닥부에 설치한 요입부(21)에 의하여, 연결판(10)의 후크(9)에 대한 전후 접동, 좌우 접동 및 좌우 요동을 억제하도로 후크(9)와 연결판(10)이 전기한 위치맞춤상태로서 고합하는 고합부(22)를 구성하고 있다.
즉 연결판(10)쪽의 요입부(20) 내벽과 후크(9)의 옆쪽면과의 당접에 의하여 연결판(10)의 좌우 접동 및 좌우 요동이 억제되며, 그리고 후크(9)쪽의 요입부(21) 내벽과 연결판(10)의 전후 방향면과의 당접에 의하여 연결판(10)의 전후접동이 억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렇게함으로써 모심는 장치(6)를 위로 상승시키는 것만으로서, 연결축(14a) 및 (14b)가 앞쪽끝부재(8)계합하는 위치 맞춤 상태로 되는 것과 아울러 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전기한 계합부(13)를 구성함에 있어, 제7도에 표시와 같이 후크)9)를 모심는 장치(6)쪽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전기한 록크기구(17)를 구성함에 있어, 전기한 연결축(14a) 및 (14b)의 연결판(10)으로부터의 돌출부에 상당하는 축을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고, 또 이축을 링크기구쪽에 설치하여도 좋고 이것들을 록크축(14a)(14b)이라고 총칭한다.
전기한 교합부(22)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한 실시예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10)의 좌우 요동까지도 억제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록크축 삽통이 극히 용이하게 행하여져서 편리할 것이나, 연결판(10)의 좌우 접동 및 전후접동만을 억제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제9도 내지 제1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계합부, 고합부, 록크 등에 관하여서는 제1도 내지 제7도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설명의 편의상 약간 변경하여 도면 표시하고 있다.
톱, 링크(104)와 한쌍의 로와링크(105)(105)로부터 이루어진 링크기구(4)를 구동하여 상하 요동자재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그 링크기구(4)에 로올링장치(107)를 개재하여 기체전후 방향 축심둘레에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경사 동작 자재하게 8줄로 심는 모심는 장치(6)를 부착하여서 승용형 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로올링 장치(107)에 있어서는, 전기한 링크기구(4)에 착탈 자재하게 부착하는 모심는 장치쪽의 부재에 부착된 브라켓(10)과 모심는 장치(6)의 식재용 밋숀 케이스(110)를 거꾸로된 八자 모양으로 배치한 한쌍의 요동링크(11a)(11b)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다. 부착된 브라켓(10)에 돌설한 한쌍의 아압(109)(109)의 각각 그것과 모의 재치대(23)에 걸쳐서 한쌍의 스프링(113)(113)을 펼쳐서 설치하고, 이것에 의하여 모 재치대(23)의 기체 좌우방향에서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는 중량 균형의 변동을 흡수함과 아울러, 모심는 장치(6)를 기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는 자세로 복원시키기 위한 부세력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기체의 주행지반의 경사에 수반하는 좌우 경사동작에 불구하고, 모심는 장치(6)를 수평 혹은 대략 수평자세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모심는 장치쪽 부재, 즉 부착한 브라켓(10)의 윗쪽끝에 제9도에 표시한 것 같이 톱링크(104)의 뒷쪽끝을 집어넣는 절결부(114a)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절결부(114a)의 양쪽에 각각 아래로 향하여 개구한 계합요부(114)를 설치하고 있으며, 링크 기구(4)의 뒷끝으로서 톱링크(104) 및 로오크 링크(105)(105)를 연결하는 유리단쪽부재(8), 즉 링크기구쪽 부재의 전기한 계합요부(114)(114)에 감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록크 기구(17)로서는 전기한 부착된 브라켓(10)의 아래쪽에 각각 앞쪽끝에 테이퍼부를 갖추게한 한쌍의 위치결정용 핀(116)(116)을 돌설하고, 다른 한편 링크 기구쪽의 유리단쪽부재(8)에 전기한 위치결정 핀(116)(116)을 감탈하기 위한 계지공(117)(117)을 제11도와 같이 천설하고, 그 핀(116)(116)의 감압상태로서 이탈 방지구(15a)(15b)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유리단쪽부재(8)와 부착된 브라켓(10)을 연결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계지공(117)(117)도 각각 유리단쪽부재(8)를 요부(114)(114)에 계지시킨 상태로서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기한 위치 결정핀(116)(116)을 감입해탈하기 용이하도록 테이퍼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연결해제작업에 있어서는, 모심는 장치(6)의 좌우양쪽끝에 각각 운반 및 지지용의 전륜(轉輪)(도면 표시생략)을 착탈자재하게 부착함과 아울러, 모 재치대(23)를 좌우 중량 균형이 안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로서 모심는장치(6)를 하강시켜서 전륜을 접지시키고, 그후에 이탈방지구(15a)(15b)를 해제하고 그렇게 한후에 링크기구(4)를 하강시키고, 부착된 브라켓(10)에서 유리단쪽 부재(8)를 이탈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작업에 있어서는 모심는 장치쪽 부재, 즉 부착된 브라켓(10)에 링크기구쪽의 유리단쪽 부재(8)를 대응위치시키도록 기체를 운전하고, 그렇게한 후에 링크기구(4)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부재(8)를 부착 브라켓(10)의 하부에 위치 시키도록 하고, 또한 그후에 링크기구(4)를 구동상승 시키는 것에 의하여 요부(114)(114)에 계합시키고, 또다시 상승시키는 것에 의하여 위치 결정핀(116)(116)을 계지공(117)(117)에 감입시키고, 최종적으로 이탈 방지구(15a)(15b)를 위치결정핀(116)(116)에 부착하고 연결고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제12도는 제9도 내지 제11도의 실시예를 개변한 것을 표시한다. 유리단쪽부재(8)에 좌우쪽판(8a)(8b)을 연설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부착된 브라켓(10)에 전기한 좌우쪽판(8a)(8b)의 각각 그 옆쪽 바깥편에 위치시키도록 좌우쪽판(10a)(10b)를 연설하고, 또한 옆쪽판(8a)(10a)에 각각 핀구멍(117)을 형성하고, 그핀구멍(117)(117)에서 록크핀(116)의 부착에 의하여 양부재(10)(8)을 연결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으로서는 전기한 스프링(113)을 부착된 브라켓(10)과 식재용 밋손 케이스(110)에 걸쳐서 설치하는 것등, 요컨대 모심는 장치(6)의 좌우경사 동작에 대하여 모심는 장치(6)를 주행기체와 평행 혹은 대략 평행인 특정자재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13)을 설치하는 형의 것이라면 모두에 적용할수 있다.
또 로올링장치(107)로서는 부착된 브라켓(10)에서 뒷쪽으로 한개의 지지축을 돌설하고, 그 지지축 둘레에서 회동자재하게 모심는 장치(6)를 추지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Claims (2)

  1. 자동주행차량에 구동승강 자재하게 취부된 링크기구(4)와, 이 링크 기구(4)에 분리자재하게 연결하는 모심는장치(6)와의 사이에, 전기한 모심는장치(6)를 전기한 링크기구(4)에 의하여 상승시키는 계합부(13)를 전기한 링크 기구(4)의 승강에 따라서 계합 이탈하는 상태로 설치함과 아울러, 전기한 링크 기구쪽 부재(8)와 전기한 모심는 장치쪽 부재(10)를 연결고정하는 해제자재한 록크기구(17)를 설치한 이앙기에 있어서, 전기한 계합부는 전기한 링크기구쪽부재(8)와 모심는 장치쪽 부재(10)와의 한쪽에 다른쪽으로 계합, 이탈하는 한개의 후크(9)를 설치하고, 전기한 링크 기구쪽 부재(8)와 전기한 모심는 장치쪽 부재(10)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위치 맞춤상태로 되도록 전기한 후크(9)와, 전기한 모심는 장치쪽부재(10) 혹은 전기한 링크기구쪽 부재(8)를 모심는 장치(6)의 위쪽으로 상승시킴에 따라서 전후 및 좌우로 상대이동 시키는 경사안내면(18a)(18b)(19a)(19b)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전기한 교합부(22)는 모심는쪽 장치부재(10) 혹은 전기한 링크기구쪽 부재88)의 후크(9)에 대한 전후접동 및 좌우접동을 억제하도록 전기한 후크(9)와 전기한 모심는 장치쪽 부재(10) 혹은 전기한 링크기구쪽 부재(8)가 전기한 위치 맞춤상태로서 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1항에 있어서의 전기한 록크기구(17)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축(14a)(14b)을 전기한 링크 기구쪽부재(8)와 모심는 장치쪽부재(10)와의 한편에, 다른쪽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계합 이탈하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19830004999A 1983-05-20 1983-10-21 이앙기 KR880000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89556 1983-05-20
JP???58-89556 1983-05-20
JP58089556A JPS59213314A (ja) 1983-05-20 1983-05-20 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907A KR840008907A (ko) 1984-12-20
KR880000388B1 true KR880000388B1 (ko) 1988-03-21

Family

ID=1397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999A KR880000388B1 (ko) 1983-05-20 1983-10-21 이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213314A (ko)
KR (1) KR880000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1327A (ja) * 1984-10-12 1986-05-09 Nippon Steel Corp 高温用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JPH0522202U (ja) * 1991-09-05 1993-03-23 有限会社マツクス モービルオフイ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655A (en) * 1974-07-24 1976-02-05 Howa Machinery Ltd Tairotsudono migineji hidarinejihanbetsuhohooyobisochi
JPS54153117A (en) * 1978-05-22 1979-12-03 Iseki Agricult Mach Stand of plantinggwork machine in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JPS5534728U (ko) * 1978-08-29 1980-03-06
JPS6310321Y2 (ko) * 1981-05-20 1988-03-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907A (ko) 1984-12-20
JPH025364B2 (ko) 1990-02-01
JPS59213314A (ja) 198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5617A (en) Implement suspension mechanism
US3805980A (en) Device for attaching a front loader to a tractor
KR880000388B1 (ko) 이앙기
JPH0810246Y2 (ja) 作業機連結構造における操作機構
JPH0746088Y2 (ja) 作業機連結構造における操作部材規制構造
JP2846648B2 (ja) 農作業機における連結機構
JP2005295847A (ja) 苗植付装置用のスタンド
JPH0739368Y2 (ja) トラクタと作業装置の連結装置
JP2732284B2 (ja) 移動農機における作業機連結構造
JP3455533B2 (ja) 田植機の予備苗収容装置
JPH0746089Y2 (ja) 作業機着脱構造における連動索セット構造
JP2662662B2 (ja) 作業機連結装置
JPS642572Y2 (ko)
JP2003153621A (ja) 田植機の予備苗収容装置
JPS6317284Y2 (ko)
JP3569713B2 (ja) 農業用作業車
JP2572365B2 (ja) 乗用移動農機の作業機連結装置
JPH07102017B2 (ja) 農作業機における作業機連結部構造
JPH025363B2 (ko)
JPS6340524Y2 (ko)
JP2003180111A (ja) 田植機の予備苗収容装置
JPH08256543A (ja)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JPH0244651Y2 (ko)
JPH02249405A (ja) トラクタとキャリアの連結装置
JPS62337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