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232A1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232A1
WO2017039232A1 PCT/KR2016/009465 KR2016009465W WO2017039232A1 WO 2017039232 A1 WO2017039232 A1 WO 2017039232A1 KR 2016009465 W KR2016009465 W KR 2016009465W WO 2017039232 A1 WO2017039232 A1 WO 20170392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battery
separator
outer layer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4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창현
신이현
신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낙스
Priority to EP16842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43685A4/en
Priority to JP2018511060A priority patent/JP6723346B2/ja
Priority to CN201680050093.6A priority patent/CN107925123A/zh
Priority to US15/756,164 priority patent/US11056711B2/en
Publication of WO20170392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2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4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located inside the innermost case of the cells, e.g. mandrels, electrodes or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attery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 lithium primary battery has a high voltage and a high energy density 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aqueous battery, and thus has been widely applied in terms of size and weight.
  • Such lithium primary batteries are mainly used for the main power supply and backup power suppl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which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sing the electrode material excellent in reversibility.
  • Such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carbon materials a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 a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nd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shape, square shape, and pouch type.
  • the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generally composed of a multilayer film of a pouch exterior material and a metal foil layer and a synthetic resin layer covering the same.
  • the weight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that of a cylindrical or squar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a metal can.
  • the weight reduction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been developed toward the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uch case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covers the bottom surface by using the top surface of the pouch case, and seals the pouch bare cell ( It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pouch core pack by forming a bare cell and attaching an accessory such as a protective circuit module to the pouch bare cell.
  • the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When the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pplied to an entire product, it is embedded in a separate battery accommodating space, which not only restricts the shape and siz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but also restricts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self or the size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ability, to reduce the constraints of the storage space of the electronic product, not only to diversify the shape and siz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but also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self. It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miniaturizing a product.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easily manufacture a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above-described advantages.
  • th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layer, a negative electrode layer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and a separator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 the anode layer, the cathode layer, and the separator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inner through portions aligned, and an upper outer layer and a lower outer lay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is dispos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therein.
  • Opposite portions of the outer seal portion to which all are bonded may include an outer body having outer seal portions bonded to each other.
  • the upper outer cover layer and the lower outer cover layer are aligned with the inner penetrating part to form an opening from the upper outer cover layer to the lower outer cover layer, and the upper outer cover layer and the lower outer cover lay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 Opposite portions of may have an inner sealing portion bonded to each other.
  •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or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and an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 layer.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or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including conductive fiber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nonwoven fabric and an active material inserted into the current collector.
  • the outer sealing part and the inner sealing part of the upper outer layer and the lower outer layer may be bonded by thermal fusion.
  •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separator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s of the anode layer and the cathode layer.
  •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separator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battery through of the individual openings defining the inner through part.
  • the inner through part and the battery through part may have the same shape.
  • the inner penetrating part and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may have different shapes.
  •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ounted or stacked on a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at least one exampl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inserted into or protruded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of the battery to assemble the battery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which may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internal through par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uter body including an upper outer layer and a lower outer layer having an outer sealing part to which a part or all of its edges are adher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And forming a battery through portion aligned with the inner through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in the exterior body.
  • the forming of the battery through part may include forming an inner sealing part by aligning the inner through part and adhering opposite portions of the upper outer layer and the lower outer layer to each other.
  • an opening may be formed from the upper outer layer to the lower outer layer to form the battery through part.
  • the outer sealing portion and the inner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outer layer and the lower outer layer may be bonded by thermal fusion.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may be formed by using punching equipment in the inner sealing part.
  • the provid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forming an anode layer, a cathode layer facing the anode layer, and a separator. At least one internal through part may be formed in the anode layer, the cathode layer, and the separator.
  •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separator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openings of the anode layer and the cathode layer. In an embodiment,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separator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openings of the anode layer and the cathode layer.
  • the electrolyte may be injected into the exterior bod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lyte may be injected from an injection hol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exterior body. In one embodiment, the injection hole may be sealed after injecting the electrolyte into the exterior body.
  • an inner through part is formed in an electrode assembly of an anode layer, a cathode layer, and a separator, and an exterior body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rein forms a battery through part including the inner through part, thereby forming an upper case.
  • a battery or battery cell in which battery penetrations are formed from the layer to the lower face layer. Since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and disposed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e battery or the battery cell may be stacked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allevi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battery accommodation space. Not only can the shape and size of the battery be varied, but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miniaturized while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self.
  • the center portion of the battery is greatly inflated rather than the edge portion of the battery. A phenomenon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s swelled by the penetrating portion formed in the battery 1000 may be prevented. Therefore, stability of the battery 1000 may be improved.
  •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of the battery 1000 may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flow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terior body 200. 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flow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being damaged or contact with electrode plates of different polarities of the other electrode assemblies 100 to prevent internal short circui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having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 3A to 3C are enlarged views of electro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battery penetrating part is stacked on a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battery penetr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rone.
  • 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A to 7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terms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 / 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 / or par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part, region, layer or por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portion. Accordingly, the first member, part, region, layer or por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the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 the battery 100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00, an exterior body 20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rein, and an electrolyte 300.
  •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include an anode layer 110, a cathode layer 120 facing the anode layer 110, and a separator 130 disposed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have.
  •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formed by stacking or winding them up.
  •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include a single layer structure, or a bending laminated composite layer structure.
  • the exterior body 200 may include an upper exterior layer 210 and a lower exterior layer 220 facing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may be formed of an outer sealing part ES and an upper outer layer in which portions of edges (or outer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bonded to each other.
  • An inner sealing portion IS may be bonded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nd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stacked or rolled up and then rolled up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formed.
  • the anode layer 110,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separator 130 may have planar shap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respectively.
  • the anode layer 110,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separator 130 may be stacked in the third direction D3.
  •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may constitute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rd direction D3 has any value between 0 ° and 90 ° that is not perpendicular to the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such that these layers May be inclinedly stacked.
  • At least one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active material layer suitable for a corresponding polarity is coated on a planar current collector such as a metal foil.
  • at least one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may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forming a battery having flexibility.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 the anode laye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opening OP11.
  • the first opening OP11 may be formed in the anode layer 110.
  •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1 illustrates three different circular first openings OP11.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athode lay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opening OP12.
  • the second openings OP12 may be formed in the cathode layer 120.
  •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1 illustrates second circular openings OP12 of three different sizes.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parator 130 may include a porous material that is filled with the electrolyte 300 and that facilitates ion transfer.
  • the porous material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ster, polyacetal, polyamide, polycarbonate, polyimide, polyether ether keton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ene oxide, polyphenyl With rensulfide, any one or combination of polyethylene naphthale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oxide,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fluorid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their equivalents It may include.
  • the listed material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polyolefin series may also be used as the separator 130.
  • the separator 130 may be in the form of a fiber or membrane.
  • the fibrous separator includes a nonwoven fabric forming a porous web, and may be in the form of a spunbond or melt blown composed of long fibers.
  • the pore size and porosity of the separator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orosity may be 30% to 95%,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ores may range from 0.01 ⁇ m to 10 ⁇ m. If the pore size and porosity are smaller than 0.01 ⁇ m and approximately 30%, respectively, it may be difficult to impregnate sufficient electrolyte due to reduced movement of the liquid electrolyte precursor. If the pore size and porosity are greater than approximately 10 ⁇ m and 95%, it is difficult to maintain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are shorted internally.
  •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 the range of 1 ⁇ m to 100 ⁇ m,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 m to 50 ⁇ m. If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130 is less than 1 ⁇ m, it is difficult to maintain mechanical properties. If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130 is greater than 100 ⁇ m, the separator may act as a resistive layer to lower the output voltage and reduce the flexibility of the battery.
  • FIG. 1 illustrates a single separator 1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separators 13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two or more separato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shape and material.
  • the length of the separator 13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separator 130 is used to efficiently move ions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Insufficient role may caus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 the separat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hird openings OP13 formed in the separator 130.
  •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 FIG. 1 illustrates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ree different sizes.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ode layer 110,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separator 130 disposed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penings.
  • the openings may be aligned in one direction to form the inner through part TH1.
  • the inner through part TH1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 FIG. 1 illustrates an internal through part TH1 comprising three different sizes of circular first openings OP11, second openings OP12 and third openings OP13.
  •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ner through part TH may include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third openings of the separator 130.
  • OP13 may be formed by aligning in one direction.
  • the width (or size) of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 the separator 130 May be smaller than When the width of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the separator ( An internal short circuit may be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that face each other inside the third openings OP13 of 130. Therefore, the width of the third openings OP21 of the separator 13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or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Do.
  •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have positive lead tabs (not shown) and negative lead tabs (not shown), respectively, such as laser welding, ultrasonic welding, and resistance welding. It can be attached so that it can be energized by welding or a conductive adhesive.
  • the positive lead tab or the negative lead tab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wound.
  • the exterior body 200 may include an upper exterior layer 210 and a lower exterior layer 220 facing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may be formed of an outer sealing part ES and an upper outer lay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r an outer edge)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bonded to each other.
  • An inner sealing portion IS may be bonded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nd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laminated or wound up after being laminated.
  • Sieve 200 may be formed.
  • the outer body 200 since the outer body 200 is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swelling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increases,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resistant to deformation.
  • the upper sheath layer 21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opp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upper face layer 2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other metals, polymers, composite materials thereof, or laminated structures thereof.
  • the upper outer laye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fourth openings OP21 formed in the upper outer layer 210.
  •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1 illustrates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ree different sizes.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uter surface of the enclosure 200 may be formed of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 the exterior body 200 may be formed of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polymer, paper, or textile paper as a whole.
  • the lower sheath layer 22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opp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lower exterior layer 22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other metals or polymers.
  • the lower sheath layer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fifth openings OP22 formed in the lower sheath layer 220.
  •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face layer 220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1 illustrates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ree different sizes.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nclosure 200 may be formed of an inner core layer and an outer coating layer.
  • the inner core layer may be formed of a metal film to secure mechanical strength, moisture resistance, or barrier properties
  • the outer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to secure electrical insulation.
  • the exterior body 200 having at least one surface formed of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even when the electrode plat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xterior body 20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formed by the exterior body 200. An internal short circuit of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 the outer sealing portion ES is a portion that bonds a part of the edge (or the outer)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a part of the edge (or the outer)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exterior body 200 by the external sealing part ES.
  • the outer sealing portion ES may be formed by thermally fusion, ultrasonic fusion, or adhesion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each other.
  • the lower sheath layer 220 may face the upper sheath layer 210.
  • the inner sealing part IS is a portion that bond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 the inner sealing portion IS includes an inner through portion TH1 and forms a battery through portion TH2 penetrating from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can do.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2 illustrates two cell penetrations TH2.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ner through part TH1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and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have the same shape. In an embodiment, the shapes of the inner penetrating part TH1 and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have the first opening OP11 of the anode layer 110,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in one direction.
  • the inner through part TH1 aligned with each other,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may be aligned in one direction.
  • the surface on which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face or abut each other are adhered by the inner sealing part IS.
  • the inner penetrating part TH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sealed by the inner sealing part IS.
  • the widths of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sheathing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sheathing layer 220 of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adjusted. It may be less than the width.
  • the widths of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 exterior body 200 may not completely seal the electrode assembly 100, so that the electrolyte 300 may flow out from the internal sealing part IS, and when the electrolyte 300 flows out of the exterior body 200, the battery may leak.
  • the efficiency of 1000 can be very low.
  • the widths of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may be defined by the first openings OP11 and the seco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s OP12 and the third openings OP12.
  •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larger than the widths of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width of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formed from the fields OP22 may be small.
  • 3A to 3C are enlarged views of one electrod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110a includes a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and an active material 112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a liquid electrolyte or a gelled and solidified electrolyte 300 present therebetween is provided. .
  • the electrode 110a may be either an anode or a catho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de 110a may include a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metal fi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onductive network and a thermal conductive network.
  • the metal fiber-type current collector may form a conductive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metal fibers randomly arranged to be in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mechanically fastened to each other by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by bending or bending.
  • the conductive network may form a nonwoven structure.
  • the plurality of metal fibers may include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metals or metals of different lengths as necessary.
  •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opper, or an alloy thereof.
  • the metal fiber-typ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which is not oxidized at a high potential region.
  • the metal fiber-type current collector may be copper, stainless steel, nickel, or an alloy thereof, which is electrochemically inert at a low operating potential.
  • a plate-shaped metal foil may be further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metal fiber-type current collector.
  •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and the metal foil may be formed by thermal fusion, ultrasonic fusion, or adhesion with an adhesive.
  •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related to the case where both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include the structure of a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Only one of the metal fiber type current collector may have a structure.
  •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or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may be provided by impregnating the active material in the metal fibrous current collector or coating the active material on the metal fibers of the metal fibrous current collector.
  •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generally has a straight and bent shape.
  •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may have a curly shape or a spiral shape. Or may be shaped to have other regular and / or irregular shapes.
  •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aight line, bent form, or other regular and / or irregular shape forms a thermally conductive network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peculiar to metal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electrode 110a.
  • the heat conduction network is formed by bending or bending one or more metal fiber-like current collectors 111 to be tangled and contacted or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having a porosity therein and being mechanically robust, and because of its fibrous characteristics. flexible).
  • the active material 112 in the form of particles is bound within the heat conduction network provided by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and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is tightly bound to the heat conduction network.
  • the size and porosity of the pores in the conductive network to be forme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 the pore size and porosity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mixing weight ratio with the active material 112 in the entire electrode 110a of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 the gelled or solidified electrolyte 300 is strongly bound to the pores provided between the metal fiber current collector 111 and the active material 112, and is in contact with the entire interface of the active material 112 in the form of particles. . Accordingly, the electrolyte 300 may have improved wettability / contactability with respect to the active material 112, and thus,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lyte 300 and the active material 112 may be reduced and electrical conductivity may be improved.
  • a binder 114 may be further added to the electrode 110a so that the active material 112 in the form of particles is strongly bound to the heat conduction network.
  • the binder 114 may be, for example,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co-HFP),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acrylonitrile, poly 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styrenebutadiene rubber (SBR), polyimide, polyurethane polymer, polyester polymer, and ethylene propylene diene copolymer ( polymer material such as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a material having stability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bonding force in an electrochemical environment without being dissolved in the electrolyte 300.
  • a conductive material 115 may be further added to the electrode 110a to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conductive material 115 may be, for example, fine carbon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and ultra fine graphite particles, nano metal particle paste, or indium tin oxide (ITO) paste or carbon nano tube. It may also be a nanostructure ha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such as low resistance.
  • the metal fiber type current collector 111 having a fine size corresponding to the active material 112 may play the same role as that of the conductive material 115.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addition of 115).
  • porous ceramic particles may be further added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de 110a.
  • the porous ceramic particles may include, for example, porous silica.
  • the porous ceramic particles facilitate the impregnation of the electrolyte 300 into the electrode 110a.
  • the electrolyte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exterior body 200 of the electrode 1000.
  • the electrolyte 300 may be absorb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 electrolyte 300 may be a suitable aqueous electrolyte comprising salts such as potassium hydroxide (KOH), potassium bromide (KBr), potassium chloride (KCL), zinc chloride (ZnCl 2 ), and sulfuric acid (H 2 SO 4 ).
  • the battery 1000 may be completed by being absorbed by the anode layer 110, the cathode layer 120, and / or the separator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battery 1000 may be a non-aqueous electrolyte such as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or diethyl carbonate including a lithium salt such as LiClO 4 or LiPF 6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no.
  • a suitable cooling device or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stability and / or power supply characteristics during use of the battery 1000 may additionally be combin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battery penetr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on a circuit board.
  • an electrode 1000 may be dispos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 PCB printed circuit board
  •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s a printed wiring board which forms electrical wiring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on an insulating layer based on a circuit design, and is also called a PCB board,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printed wiring board.
  •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a FR4 substrate, a 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 (MCPCB), a substrate formed from a cast polymer resin cross linked using ultraviolet radiation, or the present technology. It can be defined as a circuit board selected from other circuit board configurations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a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by attaching a thin copper plate to a surface of an phenolic resin insulating layer or an epoxy resin insulating layer, and then etching the thin copper plate according to the circuit pattern to form a necessary circuit pattern. It is manufactured by a method for densely moun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resistors.
  • Printed circuit boards are classified into single-sided boards, double-sided boards, and multi-layered board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rcuit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The higher the number of layers, the better the mounting force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higher precision products.
  •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substrate and an electronic component (CD) formed on the substrate.
  • Electronic components may include components of a general printed circuit board such as at least one IC chip, a capacitor, and a resistor.
  •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nd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laminated or wound up after being laminated.
  • Sieve 200 may be formed.
  • the battery 1000 may include fourth openings OP21 and fifth openings OP22 form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xterior body 200.
  • the fourth openings OP21 and the fifth openings OP22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 FIG. 1 illustrates three different sized circular fourth openings OP21 and fifth openings OP22.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s listed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nic components C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include first openings OP11, second openings OP12, third openings OP13, and a fourth opening of the battery 1000.
  • the fields OP21 and the fifth openings OP22 may be inserted into or protrude from the battery 1000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formed by aligning in one direction.
  • the electronic components C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be assembled with the battery 1000. Space of a separate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not be required to accommodate the battery 1000.
  • the inner through part TH1 is form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anode layer, the cathode layer, and the separator, and is formed from an exterior 200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rein.
  •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including the penetrating portion TH1 a battery or a battery cell in which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penetrates from the upper outer layer to the lower outer layer may be provided.
  •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and disposed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so that the batteries may be stacked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allevi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battery accommodation space.
  • the shape and siz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diversified, and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miniaturized while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self.
  • the center portion of the battery is greatly inflated rather than the edge portion of the battery, and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battery is inflated by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formed in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may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flow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terior body 200. 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flowed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being damaged or to contact the electrode plates of different polarities of the other electrode assemblies 100 to prevent internal short circuits.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battery penet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on a drone.
  • the battery 1000 may be installed in the drone DN.
  • the drone DN may collectively refer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 the drone (DN) may vary in size or shap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For example, drones can be used for military, rescue, or civilian purposes.
  • the drone D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rotary vanes and a rotor and a driving unit to rotate them, respectively.
  • the rotary vanes may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 the driving unit may be installed with at least one motor, camera or GPS antenna.
  • the drone DN may be controlled by the steering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drone DN may be operated by radio or automatic navigation.
  • the battery 1000 including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be installed in the drone DN.
  • the drone DN passing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of the battery 1000 may be inserted into or protrude from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Therefore, the drone DN may be assembled with the battery 1000 so that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one DN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in the drone DN.
  • the inner through part TH1 is form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anode layer, the cathode layer, and the separator, and is formed from an exterior 200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rein.
  •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including the penetrating portion TH1 a battery or a battery cell in which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penetrates from the upper outer layer to the lower outer layer may be provided.
  • th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drone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so that the battery can be mounted in the drone, thereby alleviating the need for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a separate power supply, the shape and siz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drone can be miniaturized.
  • 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lectrode assembly 100 is formed.
  • an anode layer 110 In order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 anode layer 110, a cathode layer 120, and a separator 130 disposed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are prepared.
  • the anode laye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opening OP11 formed in one region.
  • the first openings OP11 may be formed on the plate-shaped anode layer 110 using punching equipment.
  • the punching equipment P may include an end having a pin shape that may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anode layer 110. For example, an awl, an iron or a hollow pipe may be used as the punching equipment.
  • the cathode lay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cond openings OP12 formed in one region.
  • the second openings OP12 may be formed on the plate-shaped cathode layer 120 using punching equipment.
  • the punching equipment P may include an end having a pin shape that may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cathode layer 120.
  • an awl, an iron or a hollow pipe may be used as the punching equipment.
  • the separat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third opening OP13 formed in one region.
  • the third openings OP13 are formed on the plate-shaped separator 130 by using a punching device.
  • the punching equipment P may include an end having a pin shape that may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an awl, an iron or a hollow pipe may be used as the punching equipment.
  • the width of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It can be formed small.
  • the widths of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are greater than the widths of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Internal short circuits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may be made. Therefore, the width of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Do.
  • the separator 130 may be parallel to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 a porous separato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in addition to the separator 130.
  • the length of the separator 130 formed in one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formed in one direction.
  •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have positive lead tabs (not shown) and negative lead tabs (not shown), respectively, such as laser welding, ultrasonic welding, and resistance welding. It can be attached so that it can be energized by welding or a conductive adhesive.
  • the positive lead tab or the negative lead tab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wound.
  • the cathode layer 120, the separator 130, and the anode layer 110 may be stacked in order.
  • the cathode layer 120, the separator 130, and the anode layer 110 may b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stacked in order.
  • the first opening OP11 of the anode layer 110,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third openings OP3 of the separator 130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to form an internal through portion ( TH1) can be formed.
  • the inner through part TH1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The shapes listed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n exterior body 20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 an upper exterior layer 210 and a lower exterior layer 220 having a plate shape may be prepared.
  •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respectively, and edge region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attached.
  • the outer seal portion ES1 may be formed by sealing.
  • the outer sealing part ES1 may cover side surfaces of the anode layer 110,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separator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outer sealing part ES1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each other using press equipment.
  • the outer sealing part ES1 may be formed by thermally fusion, ultrasonic fusion, or adhesion of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each other.
  • the outer sealing part ES1 may be formed by partially bonding the surfaces of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inject the electrolyte 300 later.
  • an inner sealing part IS1 may be formed by adhering opposite portion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of the outer case 200 to each other.
  • the inner sealing portion IS1 may be a portion where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which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shown in FIG. 6G is formed are bonded. have.
  • the inner sealing part IS1 corresponds to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sheath layer 21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is to be formed and the region where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is to be formed.
  • Portions 220a of the lower sheath layer 220 may be formed by pressing each other using press equipment.
  • the inner sealing part IS1 may include a portion 210a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is to be formed and a lower out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is to be formed.
  • Portions 220a of 220 may be formed by thermal fusion, ultrasonic fusion, or adhesion with an adhesive.
  • the punching equipment P can be penetrated.
  • the travel direction of the punching equipment P penetrating from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face layer 210a to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face layer may be indicated by the arrow direction in FIG. 5F.
  • the punching equipment P is a portion of the lower sheath layer 22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sealing portion IS1 is formed from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sheath layer 21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sealing portion IS1 is formed. It may include a punching portion (C) that can penetrate to (220a).
  • the punching portion C of the punching equipment P may comprise an end having a pointed pin shape.
  • an awl, an iron or a hollow pipe may be used as the punching equipment.
  • the punching portion from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sheath layer 210 to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sheath layer 220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inner sealing portion IS1 formed from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C) can be penetrated.
  • At least one or more fourth openings OP21 penetrating the upper sheath layer 21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sealing part IS1 is formed using the punching equipment P and Fifth openings OP22 penetrating the at least one lower exterior layer 22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sealing part IS1 is formed may be formed.
  • the fourth openings OP21 and the fifth openings OP22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urth openings OP21 are formed from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sheathing layer
  • the fifth openings OP22 are formed from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sheathing layer to form the inner through part TH1.
  • the surface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surface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bonded to each other.
  • the widths of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sheathing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sheathing layer 220 of the inner through portion TH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adjusted. It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 the widths of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through part TH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exterior body 200 may not completely seal the electrode assembly 100, so that the electrolyte 300 may flow out from the inner sealing part IS1, and when the electrolyte 300 flows out of the exterior body 200, the battery ( 1000) efficiency can be very low. Therefore, the width of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may be smaller.
  • the punching equipment P is used to form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third opening of the separator 130.
  • At least on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penetrating the OP13,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lower exterior layer 220 may be formed. .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ncludes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and the exterior body.
  • the fourth openings OP21 and the fifth openings OP22 of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of 200 may be aligned in one direction.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 the shape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unching part C of the punching equipment P. FIG. The shapes listed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hapes of the inner through part TH1 and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may be the same.
  • the electrolyte 300 may be injected into the outer case 200 by increasing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200. ) Can be maximized.
  • the shapes of the inner penetrating part TH1 and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be different shapes.
  • the fourth openings OP21 of the upper sheathing layer 210 and the fifth of the lower sheathing layer 220 are greater than the widths of the third openings OP13 of the separator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width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formed from the openings OP22 may be small.
  • the electrolyte 300 may be injected into the exterior body 200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formed in the exterior body 200.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prevents the surface of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from being partially adhered to the electrolyte 300 when the outer sealing part ES1 of the outer body 200 is formed.
  • the injected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formed in advance.
  • the electrolyte 300 may be injected into the exterior body 200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formed in the exterior body 200.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prevents the surface of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from being partially adhered to the electrolyte 300 when the outer sealing part ES1 of the outer body 200 is formed.
  • the injected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formed in advance.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sealed to prevent the electrolyte 300 from leaking out.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sealed by a thermal welding method,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or a method using a separate adhesive.
  • an outer body 200 having an outer sealing part ES1 and an inner sealing part IS1 may be formed from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 the exterior body 200 may accommodate and cover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exterior body 200 may protect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from the outside.
  • the battery 1000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 exterior body 200 cover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may be formed.
  • the battery 1000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product may be inserted or protruded from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 the inner through part TH1 is form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anode layer, the cathode layer, and the separator, and is formed from an exterior 200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rein.
  • a battery or a battery cell in which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penetrating from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to the lower exterior layer 220 may be provided.
  • the battery Since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the battery may be stacked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allevi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battery accommodating space.
  •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miniaturized while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self.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n the battery 1000 may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flow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terior body 200. 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flow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being damaged or contact with electrode plates of different polarities of the other electrode assemblies 100 to prevent internal short circuits.
  • FIGS. 7A to 7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lectrode assembly 100 is formed.
  • an anode layer 110 In order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 anode layer 110, a cathode layer 120, and a separator 130 disposed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are prepared.
  • the anode laye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opening OP11 formed in one region.
  • the first openings OP11 may be formed on the plate-shaped anode layer 110 using punching equipment.
  • the punching equipment P may include an end having a pin shape that may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anode layer 110. For example, an awl, an iron or a hollow pipe may be used as the punching equipment.
  • the cathode lay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cond openings OP12 formed in one region.
  • the second openings OP12 may be formed on the plate-shaped cathode layer 120 using punching equipment.
  • the punching equipment P may include an end having a pin shape that may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cathode layer 120.
  • an awl, an iron or a hollow pipe may be used as the punching equipment.
  • the separato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 the separator 130 may have a plate shape.
  • the separator 130 may have at least one opening formed after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formed to form the first through part TH1 and the second through part TH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parator 130 may be parallel to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 a porous separato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in addition to the separator 130.
  • the length of the separator 130 formed in one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formed in one direction.
  • the separator 130 efficiently absorbs ions passing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Insufficient role to move to the surface may caus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have positive lead tabs (not shown) and negative lead tabs (not shown), respectively, such as laser welding, ultrasonic welding, and resistance welding. It can be attached so that it can be energized by welding or a conductive adhesive.
  • the positive lead tab or the negative lead tab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wound.
  • the cathode layer 120, the separator 130, and the anode layer 11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 the cathode layer 120, the separator 130, and the anode layer 110 may b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stacked in order.
  • the separato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an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 an exterior body 20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 an upper exterior layer 210 and a lower exterior layer 220 having a plate shape may be prepared.
  •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respectively, and edge region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are attached.
  • the outer seal portion ES2 may be formed by sealing. At the edges of the upper sheath layer 210 and the lower sheath layer 220, a portion of the edge surfaces of the upper sheath layer 210 and the lower sheath layer 220 adhered to each other may be the outer sealing part ES2.
  • the outer sealing part ES2 may cover side surfaces of the anode layer 110,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separator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outer sealing part ES2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each other using press equipment.
  • the outer sealing part ES2 may be formed by thermally fusion, ultrasonic fusion, or adhesive bonding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each other.
  • the outer sealing part ES2 may be formed by partially bonding the surfaces of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to inject the electrolyte 300 later.
  • an inner sealing part IS2 may be formed by adhering opposite portion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of the outer case 200 to each other.
  • the inner sealing portion IS2 may be a portion where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outer layer 220 where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shown in FIG.
  • the inner sealing part IS2 corresponds to a portion 210a of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is to be formed and an area where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is to be formed.
  • the portion of the separator 130 and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exterior layer 22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s to be formed may be formed by pressing each other using a press equipment.
  • the inner sealing part IS2 includes a portion 210a of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s to be formed, and a separator 13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s to be formed.
  • the portion 220a and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exterior layer 22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is to be formed may be formed by thermal fusion, ultrasonic fusion, or adhesion with an adhesive.
  •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sheath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gions where the portion IS2 is formed may be penetrated by the punching equipment P.
  • the punching equipment P penetrating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outer layer, the portion of the separator 13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is to be formed, and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outer layer.
  • the traveling direction of may be indicated by the arrow direction in FIG. 7F.
  • the punching equipment P includes a portion 210a of the upper exterior layer 21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in which the inner sealing portion IS2 is formed, and a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separator 13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in which the inner sealing portion IS2 is formed. It may include a punching portion (C) that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portion (220a) of the lower sheath layer 22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sealing portion (IS2) is formed.
  • the punching portion C of the punching equipment P may comprise an end having a pointed pin shape. For example, an awl, an iron or a hollow pipe may be used as the punching equipment.
  • the punching portion C may be sequentially penetrated through the portion 220a of the 220.
  • the upper outer layer 210, the separator 13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ner sealing part IS2 is formed may be penetrated by the punching equipment P.
  •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including at least one internal through part TH1 may be formed.
  • the inner through part TH1 may b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anode layer 110, the cathode layer 120, and the separator 130 between the anode layer 110 and the cathode layer 120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ncludes the upper outer layer 210,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and the separator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in one direction.
  • the opening may be aligned to pass through.
  • the inner penetrating part TH1 and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n oval. However, these shapes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penetrating through the portion 210a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the separator 130, and the lower outer layer is formed to form the surface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 the surfaces of) may adhere to each other.
  • the shape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ncluding the inner penetrating part TH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unching part C of the punching equipment P.
  • FIG. The shapes listed are exemplary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idth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 the width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s OP11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cathode layer 120, the anode layer 110 may be formed. An internal short circuit of the cathode layer 120 may be made. Therefore, the width of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s OP11 of the positive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openings OP12 of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120.
  • the electrolyte 300 may be injected into the exterior body 200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formed in the exterior body 200.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prevents the surface of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from being partially adhered to the electrolyte 300 when the outer sealing part ES2 of the outer body 200 is formed.
  • the injected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formed in advance.
  • the electrolyte 300 may be injected into the exterior body 200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formed in the exterior body 200.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prevents the surface of the edges of the upper outer layer 21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from being partially adhered to the electrolyte 300 when the outer sealing part ES2 of the outer body 200 is formed.
  • the injected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formed in advance.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sealed to prevent the electrolyte 300 from leaking out.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EI may be sealed by a thermal welding method,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or a method using a separate adhesive.
  • an outer body 200 having an outer sealing part ES2 and an inner sealing part IS2 may be formed from the upper outer layer 210, the separator 130, and the lower outer layer 220.
  • the exterior body 200 may accommodate and cover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exterior body 200 may protect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from the outside.
  • the battery 1000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 exterior body 200 cover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e 300 may be formed.
  • the battery 1000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product may be inserted or protruded from the battery penetrating portion TH2.
  •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including the inner through part TH1 is formed, whereby the battery through part TH2 penetrating from the upper outer cover layer 210 to the lower outer cover layer 220 is formed.
  • the formed battery or battery cell may be provided. Since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through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the battery may be stacked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allevi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battery accommodating space. Not only can the shape and size be diversified,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miniaturized while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self.
  • the battery penetrating part TH2 in the battery 1000 may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flow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terior body 200. 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flow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being damaged or contact with electrode plates of different polarities of the other electrode assemblies 100 to prevent internal short circu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구조를 갖는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를 갖는 전지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대향하는 음극층 및 상기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의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층, 음극층 및 상기 분리막은 정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관통부들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내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된 외부 실링부를 갖는 상부 외장층 및 하부 외장층을 포함하는 외장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외장층과 상기 하부 외장층은 상기 내부 관통부에 정렬되어 상기 상부 외장층부터 상기 하부 외장층까지 개구를 형성하는 전지 관통부 및 상기 전지 관통부의 외주의 상기 상부 외장층 및 상기 하부 외장층의 대향 부분이 서로 접착된 내부 실링부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전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 산업은 최근 반도체 제조 기술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산업이 팽창하고, 환경 보존과 자원의 고갈로 인한 대체 에너지의 개발 요구에 따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전지로서, 리튬 일차 전지는, 종래의 수용액계 전지에 비해서 고전압이고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 측면에서 용이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일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주전원이나 백업용 전원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가역성이 우수한 전극 재료를 이용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 중 상기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는 파우치 외장재가 통상 금속 포일층과 이를 덮는 합성 수지층의 다층막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금속 캔을 사용하는 원통형 또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보다 전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리튬 이차 전지의 경량화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방향으로 발전하여 왔다.
통상적으로, 상기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파우치 외장재의 하면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후, 파우치 외장재의 상면을 이용하여 상기 하면을 덮은 후, 밀봉하여 파우치 베어 셀(bare cell)을 형성하고, 상기 파우치 베어 셀에 보호 회로 모듈과 같은 부속품을 부착하여 파우치 코어 팩(core pack)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는 전제 제품에 적용시 별도의 배터리 수용 공간에 내장되어, 리튬 이차 전지의 형상과 크기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 자체의 용량을 제약하거나, 이차 전지의 크기 때문에, 상기 전자 제품을 소형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정성이 향상되고, 전자 제품의 수용 공간의 제약을 완화하여, 리튬 이차 전지의 형상과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 자체의 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전자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이점을 갖는 이차 전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대향하는 음극층 및 상기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의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층, 음극층 및 상기 분리막은 정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관통부들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부 외장층 및 하부 외장층을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된 외부 실링부의 대향 부분이 서로 접착된 외부 실링부를 갖는 외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외장층과 상기 하부 외장층은 상기 내부 관통부에 정렬되어 상기 상부 외장층부터 상기 하부 외장층까지 개구를 형성하는 전지 관통부 및 상기 전지 관통부의 외주의 상기 상부 외장층 및 상기 하부 외장층의 대향 부분이 서로 접착된 내부 실링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양극층 또는 음극층 중 적어도 하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층 상에 코팅된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양극층 또는 음극층 중 적어도 하나는 부직포 구조로 서로 연결된 전도성 섬유들을 포함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내에 삽입된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외장층과 상기 하부 외장층의 외부 실링부 및 내부 실링부는 열 융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양극층 및 상기 음극층의 개구들의 폭 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전지 관통부의 개구의 폭 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관통부와 상기 전지 관통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관통부와 상기 전지 관통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상에 실장 되거나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상기 전지의 상기 전지 관통부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전지 관통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전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의 제조 방법은, 내부 관통부들을 갖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 수용하도록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된 외부 실링부를 갖는 상부 외장층 및 하부 외장층을 포함하는 외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기 내부 관통부와 정렬되어 상기 외장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전지 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지 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관통부와 정렬되고 상기 상부 외장층 및 상기 하부 외장층의 대향 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내부 실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외장층부터 상기 하부 외장층까지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 관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외장층과 상기 하부 외장층의 상기 외부 실링부 및 상기 내부 실링부는 열 융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지 관통부는 상기 내부 실링부에 펀칭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대향하는 음극층 및 분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양극층, 상기 음극층 및 상기 분리막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내부 관통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양극층 및 상기 음극층의 개구들의 폭 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양극층 및 상기 음극층의 개구들의 폭 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상기 외장체 내에 전해질을 주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해질은 상기 외장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주입구로부터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외장체 내에 주입한 이후, 상기 주입구를 실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층, 음극층, 및 분리막의 전극 조립체에 내부 관통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체가 상기 내부 관통부를 포함하는 전지 관통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외장층부터 하부 외장층까지 전지 관통부가 형성된 전지 또는 전지 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지 관통부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 내에 실장된 전자 부품이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지 또는 상기 전지 셀이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층되어 실장 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지 수용 공간의 필요를 완화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의 형상과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 자체의 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전자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내압이 증가하는 경우, 전지의 테두리 부분보다는 중앙 부분이 크게 부풀어오르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전지(1000) 내에 형성된 관통부에 의해 중앙 부분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1000)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지(1000)의 전지 관통부는 전극 조립체(100)가 외장체(20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0)가 유동하여 전극 조립체(100)가 손상되거나 다른 전극 조립체(100)의 다른 극성의 전극 판끼리 접촉하여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구조를 갖는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라인을 따라 절취된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전극의 확대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 관통부를 갖는 이차 전지가 회로 기판에 적층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 관통부를 갖는 이차 전지가 드론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한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라인을 따라 절취된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전지(1000)는 전극 조립체(100), 내부에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외장체(200) 및 전해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층(110), 양극층(110)에 대향하는 음극층(120) 및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들을 적층 하거나 적층 후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 조립체(100)는 단일층 구조, 또는 굽힘 적층된 복합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와 전해질(300)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 외장층(210) 및 상부 외장층(210)과 대향하는 하부 외장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은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또는 외곽)의 일부가 서로 접착된 외부 실링부(ES) 및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내주가 접착된 내부 실링부(I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 사이에 전극 조립체(100)를 배치하고,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을 적층 하거나 적층 후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양극층(110), 음극층(120), 분리막(130)은 각각 제 1 방향(D1) 및 제 2 방향(D2) 방향으로 확장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분리막(130)은 제 3 방향(D3)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방향은 직교 좌표계를 구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3 방향(D3)은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0° 내지 90° 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짐으로써, 이들 층들은 경사 적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양극층(110) 및 음극층(120)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포일과 같은 면상 집전체 상에 해당 극성에 적합한 활물질 층이 코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양극층(110) 및 음극층(120) 중 적어도 하나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전지를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양극층(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개구들(OP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OP11)는 양극층(1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크기가 다른 원형의 제 1 개구들(OP11)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층(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들(OP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구들(OP12)은 음극층(1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크기가 다른 원형의 제 2 개구들(OP12)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막(130)은 전해질(300)이 채워지고 이온 전달이 용이한 다공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공성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로,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등가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열거된 재료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분리막(130)으로서 폴리올레핀 계열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30)은 섬유 또는 막(membrane)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섬유 형태의 분리막은 다공성 웹(web)을 형성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장섬유로 구성된 스폰본드(Spunbond) 또는 멜트 블로운(Melt blown) 형태일 수 있다. 분리막(130)의 기공 크기와 기공률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상기 기공률은 30 % 내지 95 %일 수 있으며, 기공의 평균 직경은 0.01 ㎛ 내지 10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기공 크기와 기공도가 각각 0.01 ㎛ 및 대략 30 %보다 작을 경우 액상 전해액 전구체의 이동 저하로 충분한 전해질 함침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기공 크기와 기공도가 대략 10 ㎛ 및 95 %보다 클 경우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이 내부 단락될 가능성이 높을 수있다.
분리막(130)의 두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1 ㎛ 내지 100 ㎛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50 ㎛ 범위 내이다. 분리막(130)의 두께가 1 ㎛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1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항 층으로 작용하여 출력 전압을 강하시키고, 전지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단일한 분리막(130)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막(130)은 2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2 개 이상의 분리막들은 그 형상 및 재료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된 분리막(130)의 길이는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된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분리막(130)의 길이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분리막(130)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사이에 이온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여,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분리막(130)은 분리막(130)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개구들(OP13)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크기가 다른 원형의 제 3 개구들(OP13)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들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내부 관통부(TH1)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관통부(TH1)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크기가 다른 원형의 제 1 개구들(OP11), 제 2 개구들(OP12) 및 제 3 개구들(OP13)을 포함하는 내부 관통부(TH1)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관통부(TH)는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 및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을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폭(또는 크기)은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과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폭이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및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 보다 클 경우,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내부에 서로 대향하는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일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내부 단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21)의 폭은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또는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에는 각각 양극 리드 탭(미도시) 및 음극 리드 탭(미도시)이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리드 탭 또는 상기 음극 리드 탭은 전극 조립체(100)가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극 조립체(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와 전해질(300)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 외장층(210) 및 상부 외장층(210)과 대향하는 하부 외장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은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적어도 가장자리 일부(또는 외곽)가 서로 접착된 외부 실링부(ES) 및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내주가 접착된 내부 실링부(I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 사이에 전극 조립체(100)를 배치하고,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을 적층 하거나 적층 후 권취하여 외장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장체(200)는 이차 전지 내부의 내압 증가 시 전극 조립체(100)가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변형에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외장층(210)은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외장층(210)은 다른 금속, 폴리머, 이들의 복합 재료,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와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은 상부 외장층(210)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4 개구들(OP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크기가 다른 원형의 제 4 개구들(OP21)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장체(200)의 적어도 외측 표면이 전기적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체(200)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폴리머, 종이 또는 직물지와 같은 전기적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외장층(220)은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외장층(220)은 다른 금속이나 폴리머와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과 유사하게, 하부 외장층(220)은 하부 외장층(220)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5 개구들(OP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크기가 다른 원형의 제 5 개구들(OP22)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장체(200)는 내부 코어층과 외부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코어층은 기계적 강도, 내습성 또는 배리어성(barrier properties)을 확보하기 위한 금속막으로 형성되고, 외부 코팅층은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기적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이 전기적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외장체(200)에 의하면, 전극 조립체(100)의 전극 판들과 외장체(200)가 접촉하더라도, 외장체(200)에 의한 전극 조립체(100)의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외부 실링부(ES)는 상부 외장층(210)의 가장자리(또는 외곽)의 일부와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또는 외곽)의 일부를 접착하는 부분이다. 외부 실링부(ES)에 의해 외장체(200) 내에 전극 조립체(100)와 전해질(300)이 수용될 수 있다. 외부 실링부(ES)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을 서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외장층(220)은 상부 외장층(210)과 대향할 수 있다.
내부 실링부(IS)는 상부 외장층(210)의 내주와 하부 외장층(220)의 내주를 접착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실링부(IS)는 내부 관통부(TH1)를 포함하고, 상부 외장층(210)의 내주부터 하부 외장층(220)의 내주까지 관통하는 전지 관통부(TH2)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2는 2 개의 전지 관통부(TH2)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지 관통부(TH2)의 내부 관통부(TH1)와 전지 관통부(TH2)의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지 관통부(TH2)의 내부 관통부(TH1)와 전지 관통부(TH2)의 형상이 서로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전지 관통부(TH2)는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 및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을 일 방향으로 정렬한 내부 관통부(TH1)와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 및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을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과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이 서로 대향하거나 맞닿는 표면은 내부 실링부(IS)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실링부(IS)에 의해 전극 조립체(100)의 내부 관통부(TH1)가 실링(sealing)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과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의 폭은 전극 조립체(100)의 내부 관통부(TH1)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 및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의 폭이 전극 조립체(100)의 내부 관통부(TH1)의 폭 보다 클 경우,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를 완전히 밀봉(sealing)하지 못하여 내부 실링부(IS)에서 전해질(300)이 유출될 수 있고, 전해질(300)이 외장체(200) 밖으로 유출되면 전지(1000)의 효율이 매우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 및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의 폭은 전극 조립체(100)의 제 1 개구들(OP11), 제 2 개구들(OP12) 및 제 3 개구들(OP1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100)의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폭 보다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과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로부터 형성된 전지 관통부(TH2)의 폭은 작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 전극의 확대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극(110a)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와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액체 전해질 또는 겔화 및 고체화된 전해질(300)이 제공된다. 전극(110a)은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110a)은 복수의 금속 섬유들이 서로 접촉되어 도전성 네트워크와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는, 복수의 금속 섬유들이 랜덤 배열되어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휘어지거나 꺾여 서로 엉킴으로써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되고, 기공(porosity)을 갖는 하나의 도전성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는 부직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금속 섬유들은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 또는 길이가 다른 금속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는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니켈, 티타늄, 구리 또는 이의 합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층(110)의 경우, 금속 섬유형 집전체는 높은 전위 영역에서 산화되지 않는 알루미늄 또는 이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음극층(120)의 경우, 금속 섬유형 집전체는 낮은 작동 전위에서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인 구리, 스테인레스강,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의 일 면에 판상 금속 포일(미도시)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와 금속 포일은 서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는,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이 모두 금속 섬유형 집전체의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중 어느 하나만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금속 섬유형 집전체 내에 활물질을 함침하거나 금속 섬유형 집전체의 금속 섬유들 상에 활물질을 코팅하여 양극층(110) 또는 음극층(120) 이 제공될 수 있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선과 구부러진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는 곱슬 모양 또는 나선 모양과 같은 다른 규칙적 및/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전술한 직선, 구부러진 형태, 또는 다른 규칙적 및/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는 전극(110a) 내에서, 서로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금속 특유의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열 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열 전도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가 휘어지거나 꺾여 서로 엉키고 접촉 또는 결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기공(porosity)을 가지면서도 기계적으로 견고하며, 섬유적 특성 때문에 가요성(flexible)을 가질 수 있다.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에 의해 제공되는 열 전도 네트워크 내에 속박되며, 활물질(112)이 상기 열 전도 네트워크에 강하게 속박되도록,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를 형성하는 도전성 네트워크 내의 기공의 크기 및 기공률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공의 크기 및 기공률의 조절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의 전체 전극(110a) 내에서 활물질(112)과의 혼합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겔화 또는 고체화된 전해질(300)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및 활물질(112) 사이에 제공되는 기공에 강하게 속박되며, 또한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의 계면 전체에 걸쳐 접촉된 형태를 한다. 따라서, 전해질(300)은 활물질(112)에 대한 젖음성/접촉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전해질(300)과 활물질(112) 사이의 접촉 저항이 감소되고 전기 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10a)에는 열 전도 네트워크에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이 강하게 속박되도록 결착재(binder)(114)가 더 첨가될 수 있다. 결착재(114)는, 예를 들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우레탄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와 같은 폴리머계 재료일 수 있다. 이들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해질(300)에 용해되지 않으면서 전기화학적 환경하에서 소정의 결합력을 가지면서 안정성을 갖는 재료면 가능하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10a)에는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도록 도전재(115)가 더 첨가될 수 있다. 도전재(115)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및 초미세 그라파이트 입자와 같은 파인 카본(fine carbon), 나노 금속 입자 페이스트, 또는 ITO(indium tin oxide) 페이스트 또는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비표면적이 크고 저항이 낮은 나노 구조체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110a)에서는, 활물질(112)에 상응하는 미세 크기를 갖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가 도전재(115)의 역할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전재(115)의 첨가에 따른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전극(110a) 내에 다공성 세라믹 입자들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예를 들면, 다공성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전극(110a) 내로 전해질(300)이 함침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전해질(300)은 전극(1000)의 외장체(2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전해질(300)은 전극 조립체(100) 내에 흡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해질(300)은 수산화칼륨(KOH), 브롬화칼륨(KBr), 염화칼륨(KCL), 염화아연(ZnCl2) 및 황산(H2SO4)과 같은 염을 포함하는 적합한 수계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또는 분리막(130)에 흡습되어, 전지(1000)가 완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지(1000)는 LiClO4 또는 LiPF6와 같은 리튬염을 포함하는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또는 디에틸카보네이트와 같은 비수계 전해액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지(1000) 사용 중의 안정성 및/또는 전력 공급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냉각 장치 또는 전지 운영 시스템(battery managing system)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관통부를 갖는 이차 전지가 회로 기판에 적층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1000)은 인쇄회로기판(PCB)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전자부품 상호 간의 전기배선을, 회로설계에 기초하여 절연층 위에 형성하는 프린트 배선판으로서, PCB 기판, 프린트 회로판 또는 인쇄배선기판(Printed Wiring Board)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CB)은 FR4 기판, MCPCB(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 자외선 방사선을 이용하여 교차 결합된(cross linked) 캐스트 폴리머 수지(cast polymer resin)로부터 형성된 기판, 혹은 본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회로 기판 구성으로부터 선택되는 회로 기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은 페놀수지 절연층 또는 에폭시 수지 절연층 등의 표면에, 구리 박판을 부착시킨 후, 회로패턴에 따라 구리 박판을 에칭하여 필요한 회로패턴을 구성하고, 그 위에 IC칩, 커패시터, 저항과 같은 여러 가지 전자부품을 조밀하게 탑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회로층 및 절연층의 갯수에 따라 단면기판, 양면기판, 다층기판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층수가 많을수록 전자 부품의 실장력이 우수하고 고 정밀 제품에 사용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전자부품(CD)을 포함한다. 전자부품(CD)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칩, 커패시터, 저항과 같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의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 사이에 전극 조립체(100)를 배치하고,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을 적층 하거나 적층 후 권취하여 외장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1000)는 전극 조립체(100)와 외장체(200) 내에 형성된 제 4 개구들(OP21) 및 제 5 개구들(OP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개구들(OP21) 및 제 5 개구들(OP22)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크기가 다른 원형의 제 4 개구들(OP21) 및 제 5 개구들(OP22)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거된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쇄회로기판(PCB)의 전자부품(CD)들은 전지(1000)의 제 1 개구들(OP11), 제 2 개구들(OP12), 제 3 개구들(OP13) 및 제 4 개구들(OP21) 및 제 5 개구들(OP22)을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된 전지 관통부(TH2)를 통과하여 전지(1000)로부터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의 전자부품(CD)들은 전지(1000)와 조립될 수 있다. 전지(100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인쇄회로기판(PCB)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층, 음극층, 및 분리막의 전극 조립체(100)에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외장체(200)로부터 내부 관통부(TH1)를 포함하는 전지 관통부(TH2)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외장층부터 하부 외장층까지 관통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된 전지 또는 전지 셀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지 관통부(TH2)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 내에 실장된 전자 부품이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지가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층되어 실장 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지 수용 공간의 필요를 완화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의 형상과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 자체의 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전자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내압이 증가하는 경우, 전지의 테두리 부분보다는 중앙 부분이 크게 부풀어오르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전지 내에 형성된 전지 관통부에 의해 전지의 중앙 부분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지 관통부는 전극 조립체(100)가 외장체(20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0)가 유동 되어 전극 조립체(100)가 손상되거나 다른 전극 조립체(100)의 다른 극성의 전극 판끼리 접촉하여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관통부를 갖는 이차 전지가 드론에 적층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지(1000)는 드론(DN)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론(DN)은 무인 항공기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드론(DN)은 사용 목적에 따라 크기 또는 형태가 다양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DN)은 군사용, 구조용 또는 민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론(DN)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날개와 이들을 각각 회전 구동하는 로터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날개들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 카메라 또는 GPS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드론(DN)은 조종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론(DN)은 무선조정 또는 자동항법으로 운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론(DN)에 전지 관통부(TH2)를 포함하는 전지(10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지(1000)의 전지 관통부(TH2)를 통과한 드론(DN)은 전지 관통부(TH2)로부터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DN)은 전지(1000)와 조립될 수 있어 드론(DN)에 전원을 제공하는 별도의 전원 장치가 드론(DN)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층, 음극층, 및 분리막의 전극 조립체(100)에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외장체(200)로부터 내부 관통부(TH1)를 포함하는 전지 관통부(TH2)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외장층부터 하부 외장층까지 관통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된 전지 또는 전지 셀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지 관통부(TH2)를 통하여 드론에 전지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지가 드론 내에 실장 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장치의 필요를 완화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의 형상과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 자체의 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드론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한다.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하기 위해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130)을 준비한다. 양극층(110)은 일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개구들(OP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개구들(OP11)은 판 형상의 양극층(110) 위에 펀칭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펀칭 장비(P)는 상기 양극층(110)의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핀 형상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칭 장비로서 송곳, 인두 또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음극층(120)은 일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들(OP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개구들(OP12)은 판 형상의 음극층(120) 위에 펀칭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펀칭 장비(P)는 음극층(120)의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핀 형상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칭 장비로서 송곳, 인두 또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분리막(130)은 일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개구들(OP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3 개구들(OP13)은 판 형상의 분리막(130) 위에 펀칭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펀칭 장비(P)는 분리막(130)의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핀 형상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칭 장비로서 송곳, 인두 또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폭은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과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폭이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및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내부 단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폭은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및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30)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에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에는 분리막(130) 이외에 다공성 분리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 방향으로 형성된 분리막(130)의 길이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분리막(130)의 길이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 분리막(130)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사이에 이온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여,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에는 각각 양극 리드 탭(미도시) 및 음극 리드 탭(미도시)이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리드 탭 또는 상기 음극 리드 탭은 전극 조립체(100)가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극 조립체(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음극층(120), 분리막(130) 및 양극층(110)은 순서대로 적층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극층(120), 분리막(130) 및 양극층(110)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 및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3)을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내부 관통부(TH1)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관통부(TH1)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거된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0)와 전해질(300)을 수용하기 위해 외장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외장체(200)를 형성하기 위해 판 형상을 갖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이 준비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을 각각 전극 조립체(100)의 일 면에 부착하고, 상부 외장층(210) 및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 영역을 실링 하여 외부 실링부(ES1)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 표면이 서로 접착된 부분이 외부 실링부(ES1)일 수 있다. 외부 실링부(ES1)는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분리막(13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실링부(ES1)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서로 압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실링부(ES1)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를 서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6d를 함께 참조하면, 외부 실링부(ES1)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의 표면이 일부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추후 전해질(300)이 주입될 수 있는 전해질 주입구(EI)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외장체(200)의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대향 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내부 실링부(IS1)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실링부(IS1)는 도 6g에 도시된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될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과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이 접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실링부(IS1)는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과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을 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서로 압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실링부(IS1)는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과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을 서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f를 참조하면,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의 부분(210a)으로부터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영역들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의 부분(220a)으로 펀칭 장비(P)가 관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의 부분(210a)으로부터 하부 외장층의 부분(220a)을 관통하는 펀칭 장비(P)의 진행 방향은 도 5f 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다.
펀칭 장비(P)는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으로부터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으로 관통할 수 있는 펀칭부(C)를 포함할 수 있다. 펀칭 장비(P)의 펀칭부(C)는 뾰족한 핀 형상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칭 장비로서 송곳, 인두 또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관통부(TH1)로부터 형성된 내부 실링부(IS1)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으로부터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으로 펀칭부(C)를 관통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6g를 함께 참조하면, 펀칭 장비(P)를 이용하여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4 개구들(OP21) 및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외장층(220)을 관통하는 제 5 개구들(OP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4 개구들(OP21) 및 제 5 개구들(OP22)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의 부분(210a)으로부터 제 4 개구들(OP21)이 형성되고, 하부 외장층의 부분(220a)으로부터 제 5 개구들(OP22)이 형성되어 내부 관통부(TH1)와 인접한 상부 외장층(210)의 표면과 하부 외장층(220)의 표면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과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의 폭은 전극 조립체(100)의 내부 관통부(TH1)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 및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의 폭이 전극 조립체(100)의 내부 관통부(TH1)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를 완전히 밀봉하지 못하여 내부 실링부(IS1)로부터 전해질(300)이 유출될 수 있고, 전해질(300)이 외장체(200) 밖으로 유출되면 전지(1000)의 효율이 매우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 및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펀칭 장비(P)를 이용하여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 및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는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 및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과 외장체(200)의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 및 제 5 개구들(OP22)을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의 형상은 펀칭 장비(P)의 펀칭부(C)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열거된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관통부(TH1)와 전지 관통부(TH2)의 형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관통부(TH1)와 전지 관통부(TH2) 형상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외장체(200)의 내부 공간을 넓힐 수 있어 외장체(20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는 전해질(300)의 양이 최대로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관통부(TH1)와 전지 관통부(TH2)의 형상이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 조립체(100)의 분리막(130)의 제 3 개구들(OP13)의 폭 보다 상부 외장층(210)의 제 4 개구들(OP21)과 하부 외장층(220)의 제 5 개구들(OP22)로부터 형성된 전지 관통부(TH2)의 폭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된 이후에, 외장체(200)에 형성된 전해질 주입구(EI)를 통하여 외장체(200)의 내부에 전해질(300)이 주입될 수 있다. 전해질 주입구(EI)는 외장체(200)의 외부 실링부(ES1)가 형성될 때,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의 표면을 일부 접착되지 않게 하여 전해질(300)이 주입되는 전해질 주입구(EI)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이후에, 외장체(200)에 형성된 전해질 주입구(EI)를 통하여 외장체(200)의 내부에 전해질(300)이 주입될 수 있다. 전해질 주입구(EI)는 외장체(200)의 외부 실링부(ES1)가 형성될 때,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의 표면을 일부 접착되지 않게 하여 전해질(300)이 주입되는 전해질 주입구(EI)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전해질(300)이 주입된 이후, 전해질(300)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질 주입구(EI)가 실링 될 수 있다. 전해질 주입구(EI)는 열 융착하는 방법, 초음파 융착하는 방법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실링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으로부터 외부 실링부(ES1) 및 내부 실링부(IS1)가 형성된 외장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고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 및 전해질(3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부터 전극 조립체(100), 전극 조립체(100)를 커버하는 외장체(200) 및 전해질(300)을 포함하는 전지(10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품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전지(1000)가 전지 관통부(TH2)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제품의 부품들이 전지 관통부(TH2)로부터 삽입 또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층, 음극층, 및 분리막의 전극 조립체(100)에 내부 관통부(TH1)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외장체(200)로부터 내부 관통부(TH1)를 포함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됨으로써, 상부 외장층(210)부터 하부 외장층(220)까지 관통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된 전지 또는 전지 셀이 제공될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 내에 실장된 전자 부품이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지가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층되어 실장 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지 수용 공간의 필요를 완화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의 형상과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 자체의 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전자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내압이 증가하는 경우, 전지의 테두리 부분보다는 중앙 부분이 크게 부풀어오르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전지(1000) 내에 형성된 전지 관통부(TH2)에 의해 전지의 중앙 부분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지(1000) 내의 전지 관통부(TH2)는 전극 조립체(100)가 외장체(20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0)가 유동하여 전극 조립체(100)가 손상되거나 다른 전극 조립체(100)의 다른 극성의 전극 판끼리 접촉하여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한다.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하기 위해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130)을 준비한다. 양극층(110)은 일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개구들(OP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개구들(OP11)은 판 형상의 양극층(110) 위에 펀칭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펀칭 장비(P)는 상기 양극층(110)의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핀 형상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칭 장비로서 송곳, 인두 또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음극층(120)은 일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들(OP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개구들(OP12)은 판 형상의 음극층(120) 위에 펀칭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펀칭 장비(P)는 음극층(120)의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핀 형상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칭 장비로서 송곳, 인두 또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분리막(130)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막(130)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30)은 후술 될 제 1 관통부(TH1) 및 제 2 관통부(TH2)가 형성되기 위하여 전극 조립체(100)가 형성된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30)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에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에는 분리막(130) 이외에 다공성 분리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 방향으로 형성된 분리막(130)의 길이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분리막(130)의 길이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 분리막(130)은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사이에 통과하는 이온들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여,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에는 각각 양극 리드 탭(미도시) 및 음극 리드 탭(미도시)이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리드 탭 또는 상기 음극 리드 탭은 전극 조립체(100)가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극 조립체(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음극층(120), 분리막(130) 및 양극층(110)은 순서대로 적층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극층(120), 분리막(130) 및 양극층(110)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및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사이에 분리막(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0)와 전해질(300)을 수용하기 위해 외장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외장체(200)를 형성하기 위해 판 형상을 갖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이 준비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을 각각 전극 조립체(100)의 일 면에 부착하고, 상부 외장층(210) 및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 영역을 실링 하여 외부 실링부(ES2)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 표면이 서로 접착된 부분이 외부 실링부(ES2)일 수 있다. 외부 실링부(ES2)는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분리막(13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실링부(ES2)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서로 압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실링부(ES2)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를 서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7d를 함께 참조하면, 외부 실링부(ES2)는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의 표면이 일부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추후 전해질(300)이 주입될 수 있는 전해질 주입구(EI)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외장체(200)의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대향 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내부 실링부(IS2)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실링부(IS2)는 도 7g에 도시된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과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이 접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실링부(IS2)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분리막(130)의 부분 및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을 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서로 압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실링부(IS2)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분리막(130)의 부분 및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을 서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의 부분(210a),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분리막(130)의 부분 및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영역들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의 부분(220a)이 펀칭 장비(P)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의 부분(210a),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는 분리막(130)의 부분 및 하부 외장층의 부분(220a)을 관통하는 펀칭 장비(P)의 진행 방향은 도 7f 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다. 펀칭 장비(P)는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분리막(130)의 부분 및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을 차례대로 관통할 수 있는 펀칭부(C)를 포함할 수 있다. 펀칭 장비(P)의 펀칭부(C)는 뾰족한 핀 형상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칭 장비로서 송곳, 인두 또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실링부(IS2)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의 부분(210a),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분리막(130)의 부분 및 하부 외장층(220)의 부분(220a)에 펀칭부(C)를 순서대로 관통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7g를 함께 참조하면,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외장층(210), 분리막(130) 및 하부 외장층(220)이 펀칭 장비(P)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관통부(TH1)를 포함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관통부(TH1)는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의 분리막(130)을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관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는 상부 외장층(210), 양극층(110), 음극층(120) 및 양극층(110)과 음극층(120) 사이의 분리막 및 하부 외장층(220)을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관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관통부(TH1) 및 전지 관통부(TH2)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외장층의 부분(210a), 분리막(130) 및 하부 외장층을 관통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되어 상부 외장층(210)의 표면, 분리막(130)의 표면 및 하부 외장층(220)의 표면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관통부(TH1)를 포함하는 전지 관통부(TH2)의 형상은 펀칭 장비(P)의 펀칭부(C)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열거된 형상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지 관통부(TH2)의 폭은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과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의 폭이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및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양극층(110)과 음극층(120)의 내부 단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지 관통부(TH2)의 폭은 양극층(110)의 제 1 개구들(OP11) 및 음극층(120)의 제 2 개구들(OP12)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이후에, 외장체(200)에 형성된 전해질 주입구(EI)를 통하여 외장체(200)의 내부에 전해질(300)이 주입될 수 있다. 전해질 주입구(EI)는 외장체(200)의 외부 실링부(ES2)가 형성될 때,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의 표면을 일부 접착되지 않게 하여 전해질(300)이 주입되는 전해질 주입구(EI)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된 이후에, 외장체(200)에 형성된 전해질 주입구(EI)를 통하여 외장체(200)의 내부에 전해질(300)이 주입될 수 있다. 전해질 주입구(EI)는 외장체(200)의 외부 실링부(ES2)가 형성될 때, 상부 외장층(210)과 하부 외장층(220)의 가장자리의 표면을 일부 접착되지 않게 하여 전해질(300)이 주입되는 전해질 주입구(EI)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전해질(300)이 주입된 이후, 전해질(300)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질 주입구(EI)가 실링 될 수 있다. 전해질 주입구(EI)는 열 융착하는 방법, 초음파 융착하는 방법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외장층(210), 분리막(130) 및 하부 외장층(220)으로부터 외부 실링부(ES2) 및 내부 실링부(IS2)가 형성된 외장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고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외장체(200)는 전극 조립체(100) 및 전해질(3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부터 전극 조립체(100), 전극 조립체(100)를 커버하는 외장체(200) 및 전해질(300)을 포함하는 전지(10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품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전지(1000)가 전지 관통부(TH2)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제품의 부품들이 전지 관통부(TH2)로부터 삽입 또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관통부(TH1)를 포함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됨으로써, 상부 외장층(210)부터 하부 외장층(220)까지 관통하는 전지 관통부(TH2)가 형성된 전지 또는 전지 셀이 제공될 수 있다. 전지 관통부(TH2)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 내에 실장된 전자 부품이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지가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층되어 실장 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지 수용 공간의 필요를 완화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의 형상과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 자체의 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전자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내압이 증가하는 경우, 전지의 테두리 부분보다는 중앙 부분이 크게 부풀어오르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전지(1000) 내에 형성된 전지 관통부(TH2)에 의해 전지의 중앙 부분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지(1000) 내의 전지 관통부(TH2)는 전극 조립체(100)가 외장체(20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0)가 유동하여 전극 조립체(100)가 손상되거나 다른 전극 조립체(100)의 다른 극성의 전극 판끼리 접촉하여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9)

  1.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대향하는 음극층; 및 상기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의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층, 음극층 및 상기 분리막은 정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관통부들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부 외장층 및 하부 외장층을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된 외부 실링부의 대향 부분이 서로 접착된 외부 실링부를 갖는 외장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외장층과 상기 하부 외장층은 상기 내부 관통부에 정렬되어 상기 상부 외장층부터 상기 하부 외장층까지 개구를 형성하는 전지 관통부; 및 상기 전지 관통부의 외주의 상기 상부 외장층 및 상기 하부 외장층의 대향 부분이 서로 접착된 내부 실링부를 갖는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층 또는 음극층 중 적어도 하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코팅된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층 또는 음극층 중 적어도 하나는 부직포 구조로 서로 연결된 전도성 섬유들을 포함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내에 삽입된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장층과 상기 하부 외장층의 외부 실링부 및 내부 실링부는 열 융착에 의해 접착된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양극층 및 상기 음극층의 개구들의 폭 보다 같거나 작은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전지 관통부의 개구의 폭 보다 같거나 큰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통부와 상기 전지 관통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통부와 상기 전지 관통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표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실장 표면 상에 적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상기 전지의 상기 전지 관통부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전지 관통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전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되는 전지.
  10. 내부 관통부들을 갖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극 조립체 수용하도록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된 외부 실링부를 갖는 상부 외장층 및 하부 외장층을 포함하는 외장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기 내부 관통부와 정렬되어 상기 외장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전지 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관통부와 정렬되고 상기 상부 외장층 및 상기 하부 외장층의 대향 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내부 실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외장층부터 상기 하부 외장층까지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 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장층과 상기 하부 외장층의 상기 외부 실링부 및 상기 내부 실링부는 열 융착에 의해 접착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관통부는 상기 내부 실링부에 펀칭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대향하는 음극층 및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층, 상기 음극층 및 상기 분리막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내부 관통부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양극층 및 상기 음극층의 개구들의 폭 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통부를 정의하는 개별 개구들 중 상기 분리막의 개구의 폭은 상기 양극층 및 상기 음극층의 개구들의 폭 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상기 외장체 내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상기 외장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주입구로부터 주입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외장체 내에 주입한 이후, 상기 주입구를 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PCT/KR2016/009465 2015-08-28 2016-08-25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392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42198.0A EP3343685A4 (en) 2015-08-28 2016-08-25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8511060A JP6723346B2 (ja) 2015-08-28 2016-08-25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680050093.6A CN107925123A (zh) 2015-08-28 2016-08-25 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US15/756,164 US11056711B2 (en) 2015-08-28 2016-08-25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154 2015-08-28
KR1020150122154A KR101749409B1 (ko) 2015-08-28 2015-08-28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232A1 true WO2017039232A1 (ko) 2017-03-09

Family

ID=5818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465 WO2017039232A1 (ko) 2015-08-28 2016-08-25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6711B2 (ko)
EP (1) EP3343685A4 (ko)
JP (1) JP6723346B2 (ko)
KR (1) KR101749409B1 (ko)
CN (1) CN107925123A (ko)
WO (1) WO2017039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554B1 (ko) * 2016-08-17 2019-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침상 도체로 인한 단락을 방지하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451686B1 (ko) 2017-06-20 2022-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14597486A (zh) * 2020-12-07 2022-06-0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具有均匀分布的电解质的固态电池组及与之相关的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619A (ko) * 2007-10-12 2009-04-16 킴스테크날리지 주식회사 쿼지바이폴라 구조를 갖는 전기화학셀
KR20090090035A (ko) * 2008-02-20 2009-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 전지
KR20100113996A (ko) * 2010-09-08 2010-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열 안정성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KR20150000202A (ko) * 2013-06-24 2015-01-02 주식회사 제낙스 이차 전지용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
KR20150034600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162U (ko) * 1989-12-01 1991-08-12
JPH03130147U (ko) * 1990-04-12 1991-12-26
US6632538B1 (en) * 1998-02-05 2003-10-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Sheet for cell and cell device
JP2000090979A (ja) * 1998-09-16 2000-03-31 Toshiba Corp 密閉型電池
JP2000285881A (ja) * 1999-03-30 2000-10-13 Kyocera Corp 薄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66445B (en) * 2004-05-19 2006-11-11 Antig Tech Co Ltd Battery with embedded electronic circuit
US20060267546A1 (en) * 2005-05-26 2006-11-30 Ko-Chen Sh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atrix and multi-lamination secondary battery matrix having the same
JP2007018917A (ja) * 2005-07-08 2007-01-25 Nissan Motor Co Ltd 積層型電池および組電池
KR100925857B1 (ko) * 2006-03-14 2009-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KR101001320B1 (ko) * 2007-11-09 2010-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열 안정성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전지모듈
KR101088073B1 (ko) * 2010-10-16 2011-12-01 주식회사 샤인 금속 장섬유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를 갖는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L2747184T3 (pl) * 2011-09-20 2020-07-27 Lg Chem, Ltd. Moduł baterii akumulatorowej
KR101486623B1 (ko) * 2011-09-20 2015-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323536A1 (en) * 2012-05-31 2013-12-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US9882189B2 (en) * 2012-07-30 2018-01-30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101516225B1 (ko) * 2013-05-03 2015-05-04 주식회사 제낙스 부직포 집전체, 이를 이용한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시스템
JP6378868B2 (ja) * 2013-09-27 2018-08-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88931B1 (ko) * 2013-10-01 2016-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619A (ko) * 2007-10-12 2009-04-16 킴스테크날리지 주식회사 쿼지바이폴라 구조를 갖는 전기화학셀
KR20090090035A (ko) * 2008-02-20 2009-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 전지
KR20100113996A (ko) * 2010-09-08 2010-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열 안정성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KR20150000202A (ko) * 2013-06-24 2015-01-02 주식회사 제낙스 이차 전지용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
KR20150034600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43685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9193A (ja) 2018-10-04
KR101749409B1 (ko) 2017-06-21
JP6723346B2 (ja) 2020-07-15
US11056711B2 (en) 2021-07-06
EP3343685A4 (en) 2019-05-08
KR20170025566A (ko) 2017-03-08
US20180254508A1 (en) 2018-09-06
EP3343685A1 (en) 2018-07-04
CN107925123A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381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5065127A1 (ko)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WO2014007527A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5033B1 (ko) 나노다공성 세퍼레이터 상의 애노드 직접 코팅을 이용한 배터리
WO201504703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70017131A (ko) 플렉시블 전지
US20170005318A1 (en) Laminated-typ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05876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12886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40357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가스 배출부 제조 방법
WO2014077635A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7039398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1303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WO2017039232A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074773A1 (ko) 이차전지
WO2014077633A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21040380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제조 방법
US20230246308A1 (en) Electrochem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17069586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200214A1 (ko) 내진동 특성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 및 전지 모듈
WO2016137142A1 (ko)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WO2017135790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JP6861127B2 (ja) 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8030835A1 (ko) 이차 전지
WO2021101026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421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1106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616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4219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