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4332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4332A1
WO2017034332A1 PCT/KR2016/009413 KR2016009413W WO2017034332A1 WO 2017034332 A1 WO2017034332 A1 WO 2017034332A1 KR 2016009413 W KR2016009413 W KR 2016009413W WO 2017034332 A1 WO2017034332 A1 WO 20170343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knock
microphone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4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EP22172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75084A1/en
Priority to CN201911227884.3A priority patent/CN111219927B/zh
Priority to CN201680003541.7A priority patent/CN107110590B/zh
Priority to US15/310,043 priority patent/US10443925B2/en
Priority to EP16797709.9A priority patent/EP3168557B1/en
Priority to AU2016312798A priority patent/AU2016312798B2/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57702.0A priority patent/EP3686531B1/en
Publication of WO20170343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4332A1/ko
Priority to US16/448,448 priority patent/US10578352B2/en
Priority to AU2020200048A priority patent/AU2020200048B2/en
Priority to US16/740,898 priority patent/US10808991B2/en
Priority to AU2022201985A priority patent/AU202220198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32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that is variably transparent and has an interior view.
  •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freezing or refrigerating food or the like by discharging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 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for freezing food or beverages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 at low temperature.
  • the refrigerator has a top mount type in which the freezer is arranged at the top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side-by-side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It can be divided into (Side By Side Type).
  • a door is provided in each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accessed through the door.
  • a refrigerator that can access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hrough a single door.
  • Most of these refrigerators are small, and a freezer is generally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 top mount type refrigerators there is also provided a French type refrigerat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upper refrigerating chamber through left and right doors.
  •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fridge-type refrigerator can als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doors.
  • the dispenser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o provide purified water and ice
  • the display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oor to show and manage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manufactured to be opaque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door is also provided as one heat insulation wall defi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 the door may be referred to as a heat insulating wall provided to enable the user to open and close to acces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Therefore, the user is generally not able to determine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storage in the storage compartment until the door is opened.
  • Discomfort of the user is caused by the unique features of such a refrigerato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 a refrigerator of one type is provided so that only a part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opened. That is,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sub-doo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ub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main door.
  • the sub storage compartment may be a partial region of the main storage compartment and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storage compartment by a partition wall.
  • the sub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storage compartment.
  • Such a refrigerator may be referred to as a door in door (DID) refrigerator. Opening the sub door can reduce the exposure of cold air from the main compartment to the outside to save energy.
  • DID door in door
  • a user may access the main storage room by opening the main door. This is because, when the main door is rotated and opened, the sub storage compartment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sub door.
  • storage items such as beverages that are frequently used may be stored in the sub storage compartment to access the sub storage compartment by opening the sub door without opening the main door.
  • the home bar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home-bar door.
  • the home bar is a very small sub storage room. That is, a few drinks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home ba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door through the home bar door mounted at a portion of the main door.
  • the home bar is further extended from the home bar refrigerator as the DID refrigerator.
  • the same problem may occur as the volume of the sub storage compartment becomes larger and the number of storage items stored in the sub storage compartment increases. That is, it takes more than a certain time to find the storage to open and remove the sub-door or home bar door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increase energy consumption.
  •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
  •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is transparent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ithout opening the door.
  •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ee-through door through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That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see the storage compartment inside the door through the door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s selectively variable to the see-through door That is, although the storage compartment is not normally seen through the door, the user want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view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door.
  • a user input for changing to the see-through door is easy, and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does not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in particular the front appearance of the door by the configuration for the user input.
  • an expensive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is excluded to effectively detect a knock inpu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for a see-through variable.
  • the entire see-through area of the door may be set as a knock input area, and a microphone module may be mounted outside the see-through area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preventing the see-through area and the microphone module from overlapping each oth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very beautiful appearance.
  • a knock sensor module having a microphone module and a module microcomputer,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ffectively eliminate the noise by the signal line betwee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nd the knock sensor module. do.
  • an example of a correction sensor is provided with a human body sensor,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ffectively eliminate the problem caused when the knock sensor module recognizes the disturbance as a knock input.
  • a refrigerato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n opening formed therein; A panel assembly provided on the door and including a front panel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door; A knock sensor module including a microphone for detecting a knock input applied to the door as a sound wave; When a predetermined knock input is sens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the panel assembly and to view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
  •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knock sensor module.
  • the control unit is preferab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dule microcomputer. That is,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module micom to directly determine the normal knock input through the knock input sensed by the microphone. Therefore, the overload can be prevented by the controll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line or the signal line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module microcomputer can be reduced.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flowing into the connection line or the signal lin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the microphone may be provided as a microphone module including a microphone receiver for accommodating the microphone.
  • the knock sensor module includes a module micom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the module micom detects a knock input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determines that a predetermined knock input is applied, and transmits a determina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o.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microcomputer performs a predetermined knock input (a normal input of a user for operating a light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which directly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does not perform this determination.
  • a predetermined knock input a normal input of a user for operating a lighting device
  • the front panel is a pane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anel forming a see-through area.
  • the front panel may form an area to which the user applies a knock input.
  • the front panel may be referred to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knock vibr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microphone module. That is, the front panel may be referred to as a medium through which sound waves generated by knock vibration are transmitted. Therefore, the front panel is preferably formed to maintain the unity and continuity of the medium.
  •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holder for receiving the microphone module and being suppor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icrophone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 the holder is preferably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 the holder itself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refore, when the holder is compressively elastically deformed, a restoring force may always be generated in a direction to be elastically restored. Through this, the holder is able to push the microphone module in a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continuously.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 main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n opening formed therein; Auxiliary storage chamber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ain door;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auxiliary storage room; A sub-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main door or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storage compartment and to form an opening; A panel assembly provided on the subdoor, the panel assembly including a front panel positioned at a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A microphone module configured to detect a knock input applied to the subdoor as a sound wav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lighting device such that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nel assembly so that the auxiliary storage room can be seen through the opening of the subdoor from the outside of the subdoor when sensing a predetermined knock input. May be provided.
  • the light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illuminate the main storage room as well as the auxiliary storage room.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oor having a panel assembly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having an opening, the panel assembly having a front panel position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A knock sensor module including a microphone module for detecting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knock input applied to the door and a module microcomput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ound is a predetermined knock through the detected sound waves;
  •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dule micom, and receives a knock-on signal through the module micom, and the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so that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nel assembly to see the storage compartment from outside the door.
  • a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 the door may be a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storage compartment, and may be a sub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auxiliary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main door.
  • the sub door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main door. That is, the sub door and the main door may be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back and forth.
  • the sub door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door. That is, the sub door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main door.
  • the knock sensor module the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from which the noise has been removed, and the module microcomputer can determine whether it is a predetermined knock through th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 the knock sensor module includes a PCB on which the module microcomputer is mounted; And a signal line connecting the PCB to the controller.
  • the signal line has a length of less than about 10 cm. Therefore, the influence of noise caused by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s can be reduced through the signal line.
  • the knock sensor module preferably includes a noise sens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icrophone to detect external noise in order to prevent false detection by external noise or abnormal vibration.
  • the knock sensor module may include a subtractor for subtract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noise sensor from the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 to remove the effect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noise sensor.
  • the module microcomputer after receiv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noise sensor,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knock.
  •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in the microphone for detecting the knock input can be eliminated through the noise sensor. That is, the microphone may simultaneously detect a knock input and external noise or only external noise, and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noise may be eliminated through the noise sens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ecognition and malfunction caused by external noise.
  • the noise sensor may include a second microphone; And a second microphon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microphone and space the microphone from the front panel which is a medium through which vibration is transmitted.
  • the second microphone receiver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approach to the refrigerator.
  • the controller may prevent the lighting device from being operated in spite of the knock-on signal when the human body sensor does not detect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 the human body sensor does not detect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knock on signal is generated. That is, the above-described module micom may not generate a normal knock on signal.
  • the human body sensor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 PIR sensor, an IR sensor, and an image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amount of a human body movement.
  • the microphone module may be moun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t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opening.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oor having a panel assembly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having an opening, the panel assembly having a front panel position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A knock sensor module including a microphone configured to detect sound waves generated by knock vibration applied to the front panel; A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lighting apparatus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the panel assembly to see the storage compartment from outside the door when the knock vibration is determined to be a predetermined knock; And in order to prevent the misdetection of the knock sensor module due to external noise or external abnormal vibration,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orrection sens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icrophone.
  • the door may be a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storage compartment, and may be a sub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auxiliary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main door.
  • the sub door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main door. That is, the sub door and the main door may be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back and forth.
  • the sub door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door. That is, the sub door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main door.
  • the correction sensor may include a noise sensor having a second microphone provided to detect noise caused by external noise and to remove the noise.
  • the knock sensor module may include a module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knock is a predetermined knock through a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noise sensor.
  • the module micom may transmit a knock-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determined knock is performed.
  • the knock sensor module may include a subtractor for subtract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noise sensor from the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 to remove the effect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noise sensor.
  • the correction sensor may include a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approach to the refrigerato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ighting device not to operate even if it is determined as a predetermined knock when the human body sensor does not detect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That is, when there is no user's approach,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knock is caused by disturbance such as external noise.
  • the knock sensor module includes a module micom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knock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d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knock is a predetermined knock, the module micom transmits a knock-on signal to the controller. .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ighting device to operate when both the reception of the knock-on signal and the human body access signal are received by the human body sensor.
  • the module micom may perform both a human body determination through a human body sensor and a knock input determination through a microphone. Therefore, the module micom may generate a knock on signal when both the human body detection condition and the knock input condition are satisfi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knock on signal is received.
  • the microphone receiving portion of the elastic material for receiving the microphon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to form a sealed spa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front panel.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oor having a panel assembly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having an opening, the panel assembly having a front panel position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knock vibration applied to the front panel; When the knock vibration is determined to be a predetermined knock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so that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nel assembly to see the storage compartment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And in order to prevent the misdetection of the vibration sensor due to external noise or external abnormal vibration,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orrection sens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ibration sensor.
  • the vibration sensor may include any one of a microphone or an acceleration sensor.
  • the microphone may be provided to detect a sound wav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panel. Therefore, the sound wave may be referred to as a wave transmit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ront panel.
  •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provided to detect a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panel.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vibration of the front panel itself. Therefore,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for detecting a wave transmit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front panel.
  •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light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knock input is performed through both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correction sensor.
  • the vibration sensor can be determined as a normal knock input through the knock input itself. That is, it can be determined as a normal knock input only through the input sound wave or vibration.
  • the correction sensor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sound wave or vibr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not disturbance. That is, it may be a human body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 That is, when the normal knock input is determined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human body is sensed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that is, when two conditions are satisfied, it may be substantially determined as the normal knock input. Therefore, when both o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operate the lighting device.
  •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light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is normal knock input after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noise or the abnormal abnormal vibration is removed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correction sensor.
  •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correction sensor is preferably the same type of sensor.
  • the vibration sensor includes a microphone that uses substantially sound wave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ction sensor also includes a microphone.
  • the vibration sensor is an acceleration sensor, the correction sensor is preferably an acceleration sensor.
  • the influence of the sound waves or vibrations detected by the correction sensor may be subtracted from the sound waves or vibrations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 both will detect external noise.
  • the microphone of the vibration sensor may detect the normal knock input and the input due to external noise. At this time, by removing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noise detected by the noise sens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ormal knock input.
  •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two microphones are preferably different. That is, one is preferably mounted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normal knock input and the other is mounted to effectively recognize external noise. Therefore, the microphone as the vibration sensor may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and the microphone as the correction sensor may be provided no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 the mounting positions of both are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media on which the acceleration sensor is mounted are also different.
  • the acceleration sensor as the vibration sensor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 the acceleration sensor as the correction sensor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a medium different from the front panel.
  • the acceleration sensor as the correction sensor may be ab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cabinet, a cap decor or a hinge cover.
  • the acceleration sensor as the vibration sensor may be overlapped with the external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nock input.
  • only external vibration can be input to the acceleration sensor as the correction sensor. This is because the media on which the two acceleration sensors are mounted are different. Therefore, by remov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vib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etermine the normal knock input.
  • the correction sensor may b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ifferent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may be a sound wave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of the same type as the vibration sensor.
  • At least a part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is transpar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se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ithout opening the door.
  • a refrigerator having a see-through door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see the storage compartment inside the door through the door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to view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door if desired by the user.
  • a user's input for changing to a see-through door is simple, and a refrigerator that does not deteriorate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in particular the front exterior of the door, may be provided by a configuration for the user's input.
  • a refrigerator that can reduce the input error or recognition error or malfunction of the user's input for changing to the see-through door.
  • a refrigerator capable of increasing a recognition rate for properly recognizing a user's input may be provided.
  • a user can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ffectively detect knocking of a door even though the user knocks the door away from the position of detecting the door.
  • an expensive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may be excluded to effectively detect a knock inpu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 a refrigerator which normally operates as a door having a black panel, such as a TV or a computer monitor, and operates as a see-through door by activating lighting if desired by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for the see-through variable.
  • the entire see-through area of the door may be set as a knock input area, and a microphone module may be mounted outside the see-through area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preventing the see-through area and the microphone module from overlapping each other.
  • a refrigerator having a very beautiful appearance can be provided.
  • a knock sensor module having a microphone module and a module microcomputer,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ffectively eliminate the noise caused by the signal line betwee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nd the knock sensor module. Can be.
  • a refrigerator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misrecognition of external noise or external shock and vibration of the refrigerator itself as a knock input.
  • a correction sensor separately from the vibration sensor or the knock sensor module can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adverse effects of disturbance.
  • a correction sensor may be provided with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ffectively eliminate a problem caused when the knock sensor module recognizes a disturbance as a knock inpu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right door separated from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bdoor of FIG. 2.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right door separated from FIG. 5.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6.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bdoor of FIG. 6.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abrication of the front panel and the heat insulation panel in the subdoor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phone module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vibration sensor (microphone module) in the subdoor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vibration sensor (microphone module) in the subdoor of the second embodiment.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3.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3.
  • 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ap deco form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vibration sensor (microphone module) in the subdoor of the second embodiment.
  • FIG. 1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icrophone module mounted on the penetrating part illustrated in FIG. 15.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coupled to the cap deco shown in FIG. 15.
  • 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vibration sensor (microphone module) and an area where a user taps on a subdoor.
  • 19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of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a see-through door, and the sub door or home ba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ub storage compartment may be a see-through door.
  • a home bar door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ub door because it is a door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main door.
  • FIGS. 1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llustrated refrigerator is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and a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referred to as part of a storage compartment or a main storage compartment 11 provided in the cabinet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ype of refrigerator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oor rotatably mounted in a cabinet to open and close a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 the lef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0 and the righ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5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10 as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may alternatively be mounted with one door rotatable.
  • the lef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is an opaque door and a handle groove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 the righ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5 is selectively visible to view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through the righ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5. That is, the righ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5 may be formed as a see-through door.
  •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provid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may also include a left freezer compartment door 30 and a right freezer compartment door 40, which are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lower side of the cabinet 10.
  •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may be rotatably mounted in one door, or may be equipped with a drawer door mounted in a front-rear direction.
  • a handle groove 32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door 30, and a handle groove may also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door 40.
  • the see-through door may be formed as long as the door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regardless of opening or closing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regardless of opening or closing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 the righ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5 is a main door 100 and the main door 100 which are rotatably mounted by a main door hinge 110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subdoor 200 rotatably mounted by the subdoor hinge 130. That is, when the main door 100 and the sub door 200 are opened together, the refrigerating chamber may be accessed.
  • An opening may be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door 100, and a sub storage cha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door 100.
  • the sub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subdoor 200 is opened, the sub storage compartment may be acces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in door 100. That is, the sub storage compartment can be accessed by opening only the sub door 200 without opening the main door 100.
  • the sub storage chamber may be formed by mounting a plurality of baskets up and down. Specifically, a cover (not shown)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baskets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 cover may function a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ub storage chamber and the main storage chamber. Thus, the sub storage chamber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main storage chamber.
  • a mounting protrusion 120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baskets may be provided at the rear inner side of the opening 115 of the main door 100.
  • the plurality of baskets may be mounted so that two to three pair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user can access the sub storage room 111 by opening the sub door 200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door 100 is closed.
  • the subdoor 200 is provided with a panel assembly 270 that is selectively transparent.
  • the panel assembly may be formed of a single panel,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plurality of panels as described below.
  • the panel assembly 270 may be selectively see-through,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e the space provided inside the door.
  • the main storage room can be viewed through the panel assembly 270.
  • the main door 100 may be a cabinet itself
  • the sub door 200 may b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ubdoor 20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40 having a groove shape on the left side of the panel assembly.
  • the handle 240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e the same length as the height of the panel.
  • the subdoor 200 may be a left subdoo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10.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handle 240 may be reversed.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bdoor 200 may be the same as the main door 100.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main door 100 and the sub door 200 may be provided to rotate based on the vertical rotation axis. However, the subdoor 200 may be provided to rotate based on a horizontal rotation axis like the home bar door.
  • a door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of the refrigerator, and a lighting device (see FIG. 12)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o brightly light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door is opened.
  • the lighting apparatus is changed to a see-through door by operating. That is, as the lighting device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room and / or the sub storage room operates, the door may be changed into a see-through door so that the inside of the door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 the inside of the door may not be seen, and the lighting device may be operated to view the inside of the door.
  • the panel assembly can function as a black panel when the lighting device is not operating.
  • the change of the see-through door is preferably performed by the user's input.
  • the sub-door 200 may be a main door itself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ub-door 200 may be provided to overlap the main door 100.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200 may be provided to overlap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100. 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sub-door 200 forms the front of the main door 100, thus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 the subdoor 200 includes a door frame 205 having an opening 211 form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thereof.
  • the door frame forms an edge portion or an edge portion of the subdoor 200. That is, the door frame forms upper, lowe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ubdoor 200.
  • the door frame 205 may include an outdoor 210 forming the front edge of the door and a door liner 280 forming the rear edge of the door by forming an opening in the inner center thereof. Opening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211 may be formed in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respectively.
  • the door frame 205 may include a cap deco 260 coupl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respectively. Through the outdoor 210, the door liner 280, and the cap deco 260, a door frame 205 having a front and back thickness and a space formed therein may be formed.
  • a foaming agent for thermal insulation is injected into a space surrounded by the outdoor 210, the door liner 280, and the cap deco 260.
  • the panel assembly 270 is further included in the door frame 205.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anel assembly 270 for selectively forming the see-through door is further included. As described later, the panel assembly 270 is preferably formed to give a heat insulation function.
  • the panel assembly 270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ub-door 200.
  • the door frame 205 is preferably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 the door frame 205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frame 230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211 of the door frame 205 may also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frame 230.
  • the door frame 205 may further include a door decor 220.
  • the door deco 220 may be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door frame 205 to substantially form the opening 211 of the door frame 205.
  • the sub-door 200 may include an upper hinge bracket 254 and a lower hinge bracket 256 for rotatable mounting as well as the panel assembly 270.
  • the subdoor 200 may include a handle 240 provided by a user to open and close the subdoor 200, and may include a gasket 290 for sealing.
  • the sub-door 2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250.
  • the door deco 220 is assembled to the outdoor 210, and then the handle 240 is assembled.
  • the handle supporter 24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andle 240 and the outdoor 210 or the door decor.
  • the handle supporter may be provid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handle 240 in the shape of a metal rod.
  • the door decor 220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door 210.
  • the handle 240 may be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outdoor 210 based on the drawing of FIG. 4.
  • the inner frame 230 is assemb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utdoor 210, and then the supporter 250 and the hinge brackets 254 and 256 are assembled.
  • the supporters 250 may be provided up and down, respectively, and the supporters 25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four upper, lower,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opening 211.
  • the supporters 25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four corners of the panel assembly 270 to protect the panel assembly. That is, the weight of the panel assembly is supported to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door frame 205.
  • hinge brackets 254 and 256 are coupled to the supporter 250. Therefore, the supporter 250 also perform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hinge portion.
  • the cap deco 26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door 210.
  • the deco 260 may be coupled to the outdoor 210 while being fit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door 210, respectively.
  • the panel assembly 270 may be coupled to the outdoor 210 at the rear of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door 210.
  • the door liner 28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door 210 through a screw.
  • Sub-door hinges 1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hinge bracket 254 and the lower hinge bracket 256, respectively.
  • the gasket 290 seals a gap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when the subdoor 200 is closed to the main door 100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 the panel assembly 270 may include a front panel 271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200.
  • the front panel 27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metal may be deposited on the rear surface.
  • the metal deposition layer may function to make the front panel 271 opaque in a state where light is not transmitted, and to make the front panel 271 transparent when light is transmitted.
  • the front panel 271 may have a color coating film or may be formed as a color panel itself. That is, in the minute light state, when opaque but relatively strong light is generated, it may be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 the lighting device is not operated behind the front panel 271, the front panel itself is opaque. On the contrary, if the lighting device is operated, it means that the see-through door is converted into a transparent panel. Thus, whe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room is dark, the interior of the storage room is not visible, and whe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room is bright, the interior of the storage room is viewed through the front panel 271.
  • the panel assembly 270 may include a heat insulation panel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71.
  • the insulation panel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insulation panels are provided.
  • a plurality of heat insulation panels 273 and 276 and a liver rod 272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271 and the heat insulation panel 273 may be provided.
  • the front panel 27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mounted in an opening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bdoor 200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200.
  • Insulating material is preferably fi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oor frame 205 of the sub-door from which the panel assembly 270 is excluded. Specifically,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that is, the space 285 formed at the edge of the sub-door, so that the gasket 290 and the panel assembly 270 are formed. The cold ai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in between.
  • the edge portion of the subdoor 200 may be insulated by the heat insulator, for example, polyurethane,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 door 200 may be insulated by the heat insulation panels 274 and 276. do.
  • the heat insulator for example, polyurethane
  •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 door 200 may be insulated by the heat insulation panels 274 and 276. do.
  • the outdoor material 210 and the doorliner 28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jection space 285 by assembling all of the sub-doors 200 and then foaming agent is injected and foamed.
  • FIG. 5 to 8 are views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igh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5 is rotatably mounted to the cabinet 10 and the main door 300 having an opening in the inner center thereof and the main door 300. It includes a sub-door 4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300 and rotatably mounted.
  •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are the same in siz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may overlap the main door when the subdoor is closed.
  • the subdoor 400 is formed smaller than the main door 300 an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10 of the main door when the subdoor 400 is closed.
  • the subdoor 200 is exposed to the front outside of the main door 100 in a state in which the subdoor 200 is closed by the main door 100.
  • the subdoor 200 is the main door ( It is inserted into the main door 100 in the closed state (100).
  • the former may be called an outside type subdoor, and the latter may be called an inside type subdoor.
  • the main door 300 may be a cabinet itself.
  • the subdoor 300 may be referred to a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11.
  • An opening 315 may be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door 300, and a sub storage chamber 311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door 300.
  • the sub storage compartment 311 When the subdoor 400 is opened, the sub storage compartment 311 may be accessed through the opening 315 of the main door 300. That is, the sub storage compartment 311 can be accessed by only opening the sub door 400 without opening the main door 300.
  • the sub storage chamber may be formed by mounting a plurality of baskets up and down. Specifically, a cover (not shown)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baskets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 cover may function a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ub storage chamber and the main storage chamber. Thus, the sub storage chamber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main storage chamber.
  • a mounting protrusion 320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baskets may be provided at the rear inner side of the opening 315 of the main door 300.
  • the plurality of baskets may be mounted so that two to three pair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user can access the sub storage compartment 311 by opening the sub door 400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door 300 is closed.
  •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main door 300 in a double manner.
  • an opening 310 for inserting the sub door 400 may be formed.
  • the opening 310 may be formed outside the opening 315.
  • the sub-door 400 is provided with a panel assembly 470 that is selectively transparent inside.
  • the panel assembly may be formed of a single panel,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plurality of panels as described below.
  • the panel assembly 470 may be selectively see-through, and the panel assembly 470 allows the user to see a space provided inside the door.
  • the sub storage chamber 311 can be seen through the panel assembly 470 provided in the opening 411 of the sub door 400 and the opening 315 formed in the main door 300.
  • the subdoor 400 is closed, the inside of the sub storage compartment 311 can be viewed, and it is easy to determine which storage is stored in which location. Thereafter, the subdoor 400 can be opened to easily remove the desired storage.
  • the subdoor 400 includes a door frame 405 having an opening 4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 the door frame 405 is coupled to the inner frame 410 and the inner frame 410 forming the edge of the sub-door 400 at the rear of the sub-door 400 to form a rear edge of the sub-door It may include a liner 480.
  • the inner frame 410 and the door liner 480 may not b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p deco,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even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ap deco.
  • supporters 450 may be coupled betwee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frame 410 and the door liner 480, respectively.
  • An upper hinge bracket 454 and a lower hinge bracket 456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ers 450, respectively.
  • Sub-door hinges may be coupled to the upper hinge bracket 454 and the lower hinge bracket 456, respectively.
  • the inner frame 410 and the door liner 48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ap deco, respectively, the upper hinge (not shown) and the lower hinge (not shown) directly mounted on the cap deco May be
  • the rear of the door liner 48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gasket 490 may be inserted.
  • the gasket 490 seals a gap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when the subdoor 400 is closed to the main door 300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 the panel assembly 470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bdoor 400, as shown in FIGS. 7 and 8. That is, the inner frame 410 may be combined with the inner frame 410 in front of the inner frame 410.
  • the panel assembly 47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anel assembly 27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ront panel 471 of the panel assembly 47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ner frame 410 of which the edge is not covered by the outdoor 210 and the opening is formed. Joined in a manner that is attached to the front.
  •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is formed by the outdoor 210 and the center portion by the front panel 271.
  • the front panel 471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plurality of insulating panels (473, 476).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so as to extend further to the outside even covering all the insulation panels.
  • the plurality of insulating panels 473 and 476 are inserted into an opening of the inner frame 410, that is,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411 of the subdoor, and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panel 476 is connected to the door liner. 480 may be supported.
  • the front panel 471 and the first insulation panel 473 may be inserted into the liver bar 472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o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 the handle 440 may be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inner frame 410 and the door liner 48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left side of the inner frame 410 is coupled to a pair of coupling ribs 442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side of the handle 440.
  • a pair of locking ribs 412 may be provided.
  • the pair of locking ribs 412 may protrude laterally from the left side of the inner frame 410 and may be bent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 the pair of coupling ribs 442 may protrude laterally from the right side of the handle 440 and may be formed to be bent backwards and forwards, respectively.
  • a predetermined space 480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subdoor 400 by combining the inner frame 410 and the door liner 480.
  • the predetermined space 48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cap deco to the inner frame 41 and the door liner 480. That is, the predetermined space 480 is formed in upper, lower,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the subdoor 400.
  •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referred to as a space fill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y foaming.
  • the heat insulation function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erform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subdoor 400, and the heat insula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panel assembly 470 on the center part of the sub door 400.
  • the front panel 471 of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sulation panel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frame 410.
  • the inner frame 4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deco.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frame may be formed by separate cap deco.
  • the handle 440 is coupled to the inner frame and then the cap deco may be coupled to the inner frame if necessary. Thereafter, the panel assembly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frame 410.
  • preliminary assembly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410 and the panel assembly through a transparent tape or a transparent adhesive. That is, a transparent tape or the lik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41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panel 471 (that is, the radially out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on panel).
  • the inner frame 410 and the door liner 480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inner frame 410. Subsequently, as the foaming agent is fi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485, the panel assembly may be tightly fixed to the door frame 405.
  •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anel assembly 27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front panel 271 has the same size as the heat insulation panels 273 and 276, and the panel assembly 47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the same.
  • the front panel 271 is preferably a heat-reinforced glass that is heated to about 600 ⁇ 700 °C to strengthen the strength.
  • the compressive stress depth at thermal strengthening is about 20% of the glass thickness.
  • a deposition treatment layer 2712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metal such as titanium or nickel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71. When the light is turned on in the storage chamber, the deposition process layer 2712 may be visible through the front panel 271, and when the light is turned off, the interior may not be visible.
  • the front panel 271 may be made of colored glass, or a color coating layer may be formed.
  • the front panel 271 is preferably provided as a see-through panel when the light is transmitted and a black panel when the light is not transmitted.
  • the front panel 271 is preferably provided as a see-through panel when the light is transmitted and a black panel when the light is not transmitted.
  •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and the second insulation panel 276 are preferably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that is chemically strengthened by immersing the glass in an electrolyte solution at or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the depth of compressive stress may be formed to about 2 to 3% of the glass thickness.
  • a low radiation coating layer 273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to reduce heat transfer into the storage chamber by radiation.
  • the glass on which the low radiation coating layer 2732 is formed is referred to as low-? Glass, and a low radiation coating layer is formed by depositing silver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glass by sputtering or the like.
  • a vacuum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and the second insulation panel 276. To this end, a hole 2735 for vacuum pumping is formed in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It is.
  • a stopper 2736 is fitted in the hole 2735, and the stopper 2736 is inserted to block the hole 2735 after the vacuum pumping operation.
  • a frit glass 275 is dispensed and arranged at an edge of the second insulation panel 276.
  • the frit glass 275 is a glass raw material including a glass powd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bout 400 ° C. to 500 ° C., a binder, and the like, and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two insulating panels 273 and 276.
  • the frit glass 275 is dispos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insulation panel 276, and then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is placed thereon and heated to melt and cool the frit glass 275. Insulation panels can be combined.
  • the plurality of spacers 274 are arranged before the first insulating panel 273 is arranged after the frit glass 275 is arranged.
  • the spacers 274 serve to prevent bend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ulation panel.
  • the spacer 27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glass, or plastic.
  • the spacer 27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is supported so a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and the second insulation panel 276 but hardly conducts heat transfer by conduction.
  •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and the second insulation panel 276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vacuum pumped through the holes 2735 to form a vacuum space therein.
  • the stopper 2736 is fitted into the hole 2735, and the frit glass 2739 may be further welded and covered thereon.
  • the stopper 2736 does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and the welded frit glass may be formed to protrude convexly from the surface.
  • the frit glass 2739 may have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rit glass 275 between two insulation panels.
  • a ganbong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 272 is disposed and the front panel 271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hereto.
  • the transparent rod 272, the first insulation panel 273, and the front panel 271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applying a transparent adhesive.
  • the panel assembly 27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as illustrated in FIG. 4, and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are mutually disposed. By combining the auxiliary door 200 can be completed.
  • the panel assembly 470 may be assembled by attaching the panel assembly 47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frame 410 with a transparent adhesive.
  • the first insulation panel 473 and the second insulation panel 476 are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inner frame 410, and the edge of the front panel 47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frame 410. Attached.
  • the heat insulation panel uses a plurality of glass panels, and formed a predetermined space for lower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plurality of glass materials.
  •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in a vacuum to effectively lower the heat transfer.
  • the manufacturing may not be easy and the design by the vacuum hole may not be beautiful.
  • a space filled with an inert gas such as argon may be formed rather than a vacuum space.
  • Inert gases have better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than normal air.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n inert gas is fill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heat insulation panel and between the heat insulation panel and the heat insulation panel to ensur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 the main door or subdoor of the refrigerator may be selectively switched to the see-through door. Specifically, when a user's specific input is applied, the main door or subdoor may be switched to the see-through door.
  • the switch to the see-through door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600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lighting device 600 inside the storage room When the lighting device 600 inside the storage room is operated, the interior of the dark storage room becomes bright. Therefore, the light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door to the outside,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seen. That is, the user's input may be an input for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600.
  • a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see-through door may vary.
  • the type of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input may also vary.
  •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knock sensor module 500 (see FIG. 10) for allowing a user to switch the see-through door to input a knock and detect the knock input as a sound wave may be provided.
  •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for detecting sound waves propagated by the medium.
  • the user's input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at the detected sound wave is a specific vibration pattern.
  • the knock sensor module 500 includes the microphone 510, it means that the knock sensor module 500 can separate the distance between the generation point of the knock input and the sensing point of the knock input as long as the medium is continuous. That is, considering the total area of the general refrigerator door, it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knock input generation point and the sensing point of the knock input can be maximized as long as the continuity of the medium is maintained i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n other words, the knock input generation point and the sensing point of the knock input may be determined as different positions. In particular, it means that the area to which the knock input is applied can be extended to the entire see-through area. This is because the entire see-through region can be formed in the same medium.
  • the knock input generation point may be a point at which the user applies an input for switching the see-through door
  • the knock input sensing point may be a point at which the microphone 510 senses such an input. Therefore, by applying the knock sensor module 500,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input points and input methods irrespective of the posture of the user and holding objects in both hands. That is, in general, the user inputs a knock input through a finger in a comfortable posture, but in some cases, a knock input may be applied through objects held in a hand. In addition, by allowing the knock input to be applied to the long vertical area,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pply the knock input irrespective of the user's key.
  • the user can apply an input to any position in front of the door.
  •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may be elastically possible at any position of the door.
  • an application of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vibration of the medium itself rather than sound waves may be considered. That is, by sensing the dynamic force such as acceleration,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due to the knock input applied to the front panel, the acceleration sensor may detect that a predetermined knock input is applied.
  • acceleration sensors can be classified into inertial and gyro silicon semiconductor acceleration sensors.
  • the front panel medium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the front panel medium is kept constant so that the knock input point and the knock input sensing point can be separated.
  • the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medium may be said to have a very large attenuation widt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knock input point and the knock input sensing point increases. Therefore, even if a knock input of the same intensity is generated, there is a concern that a sensing error may occur very m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point and the sensing point increases.
  • the refrigerator itself may vibrate, such as vibration caused by the refrigerant cycle driving. Vibration may occur in the refrigerator itself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 very loud noise from outside or a large object falling on the floor where the refrigerator is located. This external vibration, despite the separation between the vibration generating point and the sensing point and the heterogeneity of the medium, is likely to be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s a knock input. This is because such vibration can generate vibration of the entire refrigerator. This is because such vibration can vibrate the door, especially the entire front panel.
  • the sound waves transmitted through the medium instead of the vibration of the knock input through the medium itself or the knock input.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icrophone, not an acceleration sensor.
  • Sound waves are solid media whose front panel is different from air, but due to the nature of sound waves, they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over very long distances.
  • the dynamic force has a relatively large attenuation width as the sensing point moves away from the input point in the same medium.
  • the attenuation width of sound waves is very small. Therefor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it may be more effective to use a microphone that detects the knock input as sound waves.
  • the knock sensor module 500 can be said to sense the user's knock input by using the sound wave is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pane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mit that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This means that problems such as high cost, complexity, and durability degradation due to the touch panel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addition, it means that the entire front panel can be extended to the knock input area. This substantially means that additional devices for sensing knock input in the see-through area can be excluded. That is, since the microphone 510 may be located outside the see through area, the microphone 510 may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see through area.
  • the front panel is a medium through which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user's knock input are transmitt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applies a knock input to the front panel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and senses the sound wave transmitted by the front panel by the microphone.
  • the sound waves transmitted by the front panel are transferred to the microphone through a new medium, air. Therefore, it may be very important to shield the sound wave transmission space between the medium and the microphone from the outside. This is because, if such a shielding or closed space is not provided, external noise can be input into the microphone. 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close contact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front panel and its maintenance are very importan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such a microphone is also continuously receiving a force in the close direction. That is, the support member may als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user to apply a knock input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door which is switched to see-through and to sense the user's input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door which is not switched to the see-through.
  • the portion where the knock input is applied and the portion where the knock input is sensed preferably form a continuous medium through a single front panel. The change in medium is due to the large attenuation of sound waves. Therefore, the accuracy of sensing is very low.
  • an input applied to a medium different from the front panel can be determined to be a normal knock input.
  • the shock applied to the other part of the refrigerator may be vibration of the refrigerator itself.
  • the entire refrigerator may vibrate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vibration of the refrigerator caused by a refrigeration cycle drive or vibration caused by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efrigerator itself.
  • the vibration of the refrigerat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panel to affect the vibration sensor. That is, if a large vibration occurs despite the medium is different, there is a fear that the vibration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panel recognizes this as a normal knock input. In particular, such a malfunction situation may occur in the case of the aforementioned acceleration sensor.
  • the attenuation width of the sound waves transmitted along the heterogeneous media is relatively very large.
  •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impact applied to other parts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the cabinet of the refrigerator) rather than the front panel may be sufficiently attenuated while being transmitted through various media. Therefore, when the knock input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sound wave, malfunctions due to shock or vibration applied to portions other than the front panel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That is, when the microphone is used as compar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since the refrigerator is relatively insensitive to the vibration of the refrigerator, the recognition of the vibration of the refrigerator as a normal knock inpu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knock sensor module 500, a main controller 700, and a lighting device 600.
  •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ay be provided to detect a knock input input by a user on the front of the door, for example, the front panels 271 and 471 of the subdoors 200 and 400.
  • the main controller 700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600 to operate. Therefore, the see-through door switching is made as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becomes brighter.
  •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ay include a microphone 510 for detecting the knock input as a sound wav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microphone 510 for detecting the sound wave transmitted through the medium called the front panel.
  • the microphone 510 may detect sound waves caused by external noise as well as sound waves detected by the knock signal of the user.
  • the latter sound waves or vibrations can be called noi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ucturally prevent such noise from being input to the microphone 510. That is, it is necessary to prevent external noise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microphon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microphone.
  • the microphone 51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edium.
  • the front panel 271, 471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refore, a mounting member or a supporting member for closely contacting the microphone 510 is required.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main controller 700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general refrigerato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microcomputer. That is,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pressor or various fans to be driven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 the refrigerator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door switch 800. That is, it can be seen whethe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switch 800.
  • the door switch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switch is turned on to operate the lighting device 610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door switch is turned off to stop the lighting device 610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on state and the off state of the door switch may be reversed.
  •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oor switch 800 and the lighting device 610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controller 700.
  • the control unit 700 may grasp the closed and open state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switch 800, it may be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 610 through this.
  • control method of the door switch 800, the main controller 700 and the lighting device 600 can be presented from two viewpoints.
  • the main controller 700 may operate the lighting device 600, in particular the main lighting device 610, to switch the see-through door. That is, the see-through door switching is preferably on the premise that the main door is clo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main lighting device 610 to operate despite the on state (door closed state) of the door switch 800 by the determination of the normal knock signal. As long as the door is not opened, the operation of the main lighting device 610 may be controlled through a see-through door switching algorithm. For example, the brightness of the main lighting device may be controlled to become brighter. In addition, the main lighting device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operation after a certain time operation. In other words, it may be controlled to turn off the lighting device after a certain time.
  • the main main lighting device 610 may be switched to a general control algorithm. That is, the main lighting device 610 may be controlled to always operate when the main door is opened. Of course, if the open state is maintained for an excessively long time, an alarm may be generated and the main lighting device 61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ff.
  • the sub-illumination device 620 for brightening the inside of the sub storage room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lighting device 610 for brighten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 the sub-illumination apparatus 620 may include an LED module moun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penings 115 and 215 of the main door 100 to illuminate the sub storage compartment.
  • the LED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 vertical circuit board.
  • the LED module is mounted to th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main door 100 and the transparent cover to protect the inside and prevent moisture or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 the main controller 700 may operate the sub illumination device 620 to switch the sub door to the see-through door.
  • the sub-illumination device 620 is preferably controlled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user opens the subdoor, the sub illumination device 620 may be continuously operated when the sub door is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 the main control unit 700 detects the opening of the main door through the door switch during the see-through door switching of the sub-doo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ub-illuminator 620.
  • the main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whether a normal knock signal is input through a signal input through the knock sensor module 500. That is, the main controller 700 may directly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the knock signal or the noise. However, in this case, an overload problem of the main controller 700 may occur, and a noise effect due to the signal line itself increases further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bration sensor 500 and the main controller 700.
  • the microphone 51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front panels 271 and 471.
  • the main controller 700 is gene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rather than the door.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510 and the main control unit 700 is long, which means that the length of the signal line is longer. This means that the normal knock signal may be contaminated by noise through the signal line and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700.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the knock signal is inevitably lowered.
  • the main control unit 700 is basically received the signal of V unit basically.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determine the knock input in the main controller 700 due to the scale difference of the physical signal.
  • refrigerators are electronic devices that use high voltage / high current. Therefore, the electrical noise generation amount is relatively large. This means that the mV signal output by the microphone may be more vulnerable to electrical noise.
  • the microphone and the module microcomputer may be modularized to be referred to as knock sensor modules.
  • the knock sensor module may be referred to as an instruction number 500, and the knock sensor module may include a microphone 510 and a module microcomputer 540.
  • the microphone 510 is a sensor that senses a knock input
  •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determines that it is a normal knock input through signals detected by the microphone 510 to generate a knock on signal. It may be provided.
  • the module micom 540 may send a signal (knock on signal) that a normal knock on input is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700, otherwise it may not transmit a signal.
  • a signal of 0 v can be sent. The latter can be said to not send a signal.
  • the main controller 700 since the main controller 700 receives only the knock on signal input, the main controller 700 does not perform a separate determination on thi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noise caused by the signal line between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and the main controller 700. Similarly,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may receive a signal minimized through a modular microphone and determine whether to knock on. Therefore, the recognition rate can be secured accurately.
  •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ay include a filter 520.
  • the filter 520 may remove noise from a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510.
  • the filter 520 may be a DC noise filter.
  • the filtered signal is preferably amplified by the amplifier 530. Therefore, the knock sensor module 5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amplifier 530 that amplifies the filtered signal and transfers the filtered signal to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 the amplifier 530 may be an OP amplifier.
  •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ounts the filter 520, the amplifier 530, and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on one PCB 545, and the microphone 510 is connected to the PCB by a signal line 516. It is desirable to form an extension at 545. Therefore, the knock sensor module 500, especially the PCB 545 can be formed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main control unit 700. This means that the PCB 545 can be mounted at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microphone 510 is mounted.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signal line 516 between the microphone 510 and the PCB 545 may be relatively short. This means that nois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signal line 516.
  • the mounting structure or fixing structure of the microphone 51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microphone is preferably provided to the microphone module 510. That is, the microphone 511 for directly sensing the sound wave is preferably provided in a form accommodated in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Accordingly, the microphone 511 and the microphone receiver 512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a microphone 510 or may be referred to as a microphone module 510.
  • the microphone 5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thickness.
  • the microphone 511 is accommodated in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and movement of the microphone is limited by the shape of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That is, the microphone is preferably supported to be in the floating state in the microphone receiving portion 512.
  •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herefore, basically, the microphone 511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Openings 514 and 515 may be formed above and below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respectively,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may be circular.
  • One surface of the microphone 511 may be referred to as a sound wave receiver 511a that receives sound waves, and the sound wave receiver may be provided to face a specific opening.
  • 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ound wave receiver 511a is positioned toward the lower opening 514.
  • a signal line 516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icrophone 511, and the signal line 516 may be connected to the PCB 545 of the knock sensor module through the upper opening 515 as described above.
  •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opening 514 and the sound wave receiver 511a.
  • This predetermined space is preferably to be sealed.
  • the lower opening 51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 medium, for example, the front panels 271 and 471, so that the predetermined space 515 is sealed.
  • the predetermined space 517 may be a closed space that is also disconnected from the upper opening 515 due to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microphone 511 and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 the protrusion 513 is preferably formed around the lower opening 514. That is, even if a deviation of the pressing force is caused to occur in close contact with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512, the closed space may be effectively maintained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otrusion 513.
  • one side of the contact space is sealed by the medium. Sound waves transmitted through the medium may be received by the microphone 511 through air in the predetermined space.
  •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vibration sens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vibration sensor on the premise of the microphone module 510 illustrated in FIG.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signal line 516 is not shown.
  • the front panel 271 forms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or subdoor, and the edge portion may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formed by the door frame 205.
  • FIG. 1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microphone module 510 mounting structure in a subdoor.
  • the door liner 280 is omitted for convenience.
  •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preferably moun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271.
  •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panel 271 is covered by the door frame 205, in particular the outdoor 210.
  •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front panel 271, and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preferably moun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271.
  • the support member 550 for mounting the microphone module 51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271 is preferably provided.
  • the support member 5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front panel 271.
  • the support member 5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decor 220.
  • both the microphone module 510 and the support member 550 may be provided at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opening 211 for the see-through door. Therefore, the microphone module 510 and the support member 550 may not be visually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regardless of switching of the see-through door. In addition, visible exposure to a part of the see-through door is prevented, thereby enabling a beautiful door design.
  • the support member 550 preferably includes an elastic member 555.
  • the elastic member 555 is preferably provid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in close contac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ceive a force in a direction that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microphone module 510 itself.
  • the support member 55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551, a first extension 552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rotation shaft 551, and a second extension 554 extending to the other side.
  • the pivot shaft 551 may be mounted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decor 220.
  • a holder 553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extension part 552.
  • the holder 553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extension part 552.
  •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mounted on the holder 553.
  • the elastic member 555 may be mounted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part 554 and the door deco 220, and the elastic member applies an elastic force that pushes the second extension part 554 forward.
  • This elastic force is converted into an elastic force that pushe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52 to the rear like a seesaw, which is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271 through the holder 553. Is switched to. Therefore, a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icrophone module 51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271 through the elastic member 555.
  • the support member 550 will be mounted between the outdoor 210 and the door liner 280. . Thus, in either case it may be located radially outward at the opening of the door frame 205.
  • the elastic member 550 may be a spring, and a protrusion 556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555 may be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554.
  • the elastic member 555 may be mount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hat is compres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during assembly and pushes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54.
  •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271 continuously.
  •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effectively recognize that the user taps the front panel 271.
  • FIGS. 13 and 14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microphone module 5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preferably moun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mounted to the door frame so that the microphone module 5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e-through door.
  • the microphone modul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door shown in FIG. 6. That is, the front panel 471 may be applied when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front of the door.
  • the insulation panel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front panel may be applied to the doo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frame.
  • the door frame 405 may include an inner frame 410, the inner frame 4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p deco 460 or the cap deco 460 is the inner frame 410 It can be coupled to the top and bottom of each).
  • FIG. 13 and 14 illustrate that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mounted through a cap deco 460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 a through part 461 through which the microphone module 510 penetrates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cap deco 460.
  •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471 through the through part 461.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471.
  • the support member 560 is provided for close contact with the microphone module 510, and the cap deco 46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462 on which the support member 560 is seated.
  •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holder 561.
  • the support member preferably includes an elastic member 562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lder 561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ushing the holder 561.
  • the holder 561 may have a slit or a slot 561a through which the signal line 516 illustrated in FIG. 13 is drawn out. That is, the microphone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561, and a signal line 516 for transmitt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 module to the outside extends out of the holder 561 through the slit to the slot 561a. Can be.
  • the signal line 516 may be stably suppo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ts or the slots 561a.
  • the support member 560 may include a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563 accommodating the holder 561.
  • the elastic member 56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561 and the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563. Accordingly, the holder 561 can always receive the force pushing forward with respect to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563.
  • the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563 may be positioned to receive a force pushing forward continuously in the seating portion 462. That is, the support member 560 including the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563 may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462 to be mounted in a proper position and automatically receive a force pushing forward.
  • a cover 465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seating portion 462, and the cover may be a hinge cover 465 to cover the sub-door hinge 130 mounted on the cap deco 460. That is, as the hinge cover 465 is coupled to the cap deco 460, the support member may be automatically pushed forward.
  • the cover 465 may be coupled to the cap deco 460 by a hook structure 465, wherein the support member 560 is formed by a protrusion or rib 467 formed in the cover 465. Can be pushed forward and fixed.
  • the protrusions or ribs 467 may push the entire support member 560 forward and maintain this state.
  • the elastic member 562 continuously pushes the holder 561 forward.
  •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alway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471.
  • the fraud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471 through the through portion 461.
  • the shape of the through part 461 is preferably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holder 561. Therefore, the holder 561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through part 461, and as a result, the adhesion of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effectively maintained.
  • a PCB of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465. That is, a space for mounting the subdoor hinge and mounting the PCB may be formed in the cap deco 460.
  • the signal line of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700 by extending into the cabinet 10 or the main door through the through part 131 of the sub-door hinge 130.
  •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knock sensor module 500 may be located at any part of the edge of the door or the sub-door, it may be preferable to mount the knock sensor module 500 at the upper cap deco portion for processing the signal line.
  • FIGS. 15 to 16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microphone module 5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6.
  • This embodiment also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mounted using the door frame, in particular, the cap deco 460, 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 through portion 461 may be formed in the cap deco 460.
  •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471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part 461.
  •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continuously accommodated to the front panel by allowing the holder 561 to continuously push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ame or similar holder 561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do.
  • the holder 561 may also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us, the holder 561 may be elastically restor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panel in a compressed state.
  • a holder mounting part 463 may be formed behind the through part 461.
  • the holder 561 may be mounted by pushing the holder 561 while the microphone module 510 is accommodated therein.
  • the through part 461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holder 561 in the holder mounting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16, when the holder 561 is mounted by pushing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the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through parts 461 are preferably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holder 561.
  •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penetrating portion 461 may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holder 561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enetrating portion 461.
  • the holder mounting part 463 forms a predetermined space 464 between the through part 461, and the holder 561 may be fitted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More specifically,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predetermined spaces become narrower as the holder 561 is further inserted.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holder 561 is inserted into the maximum, the front and rear of the holder 561 is in a compressed state. Thus, the holder 561 tends to be elastically restored, which generates a force that causes the holder 561 to always push the microphone module 510 forward.
  • the maximum holder 561 can be fixed in position by the cover 465.
  • the cover 465 may be a cover that covers the top deco 460 and may be a hinge cover that covers the subdoor hinge 130.
  • the cover 465 may likewise be coupled to the cap deco 460 via a hook 466.
  • a protrusion or rib 467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465.
  • the protrusion or rib 467 pushes one side of the holder 561 when the cover 465 is coupled with the cap deco 460. That is, one side of the holder 561 pushes the protrusion or the rib 467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56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461.
  • the holder 561 may always remain compressed in the holder mounting part 463 and may be firmly fixed regardless of vibration or door movement. Through this, the microphone module 510 may be firmly adhered to the front panel 471 and such a close state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 the holder 561 is compressed back and forth as the holder 56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461 in the correct position.
  • the rib 467 is provided to fix the holder 561 in position. Accordingly, unless the rib 467 is removed, the holder 561 may be fixed in the compressed state by the front panel, the rib 467, and the holder mounting part 463, and may be maintained in this state.
  • 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position of a microphone module and a region in which a user applies a knock input in the see-through door.
  • the door has openings 211 and 411 for the see-through door. That is, the inner storage compartment or the sub storage compartmen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adially inner region of the opening.
  • An inner region of the open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door may be referred to as an area defined by the front panel as described above.
  • an inner region of the opening and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door are defined by the front panel, and the edge portion of the door is defined by the door frame.
  •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door may be defined by the front panel.
  • the area to which the user applies the knock input may be all of the areas defined by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Ideally, however, the user may apply a knock input through a portion that is variable to the see-through door.
  • the portion that is substantially variable to the see-through door may be referred to as the radially inner portion of the openings 211 and 411. Therefore, the entire inner area of the quadrangle defined by the openings 211 and 411 may be defined as an area to which the user applies a knock input.
  • the microphone module is mounted outside this area.
  • the microphone module mounting region may be a position in which the front panel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icrophone module is preferably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openings 211 and 411, and as shown in FIG. 18, the microphone module is in a region hatched by a predetermined region S surrounding the opening. It is preferred to be equipped.
  • the predetermined area S is not the see-through area, the user cannot easily see the microphone module from the front of the door even though the front panel and the microphone modul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microphone modul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e-through area.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widen the area where the knock input can be applied, while forming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knock input area and the microphone module mounting area. And, through the see-through area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clear and beautiful design.
  • a prin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area S.
  • a pri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egion S.
  • this printing layer may be omitted because the predetermined area S is covered by the door frame or the out door.
  • the user's input for switching to the see-through door may be a knock input, and may be detected by the microphone.
  • the front of the door may vibrate due to the impact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strong noise from the outside, and the like may be judged as a knock signal.
  • the microphone may allow the user to determine that the knocking on the front of the door a plurality of times is a normal knock input. More specifically, tapping a plurality of tim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may be determined as a normal knock input.
  • the user taps the front of the door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can be determined as a normal knock input.
  • Analyzing the knock pattern of a typical user shows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knock and the second knock is less than about 600 ms. That is, considering that 1 second (s) is 1000 m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first knock and the second knock is generated as a normal knock input with an interval of less than 1 second.
  • the strength of the knock may vary for each user.
  • the variation in the intensity may be large because the media are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variation in the vibration pattern is very small. Therefore, the knock variation can be canceled through the algorithm, and the normal knock input can be effectively recognized us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knock input pattern and the knock as a factor. On the contrary, it means that the recognition of abnormal input as a knock inpu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the control unit 7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knock input,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lighting device 600.
  •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o turn off the lighting device 600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may control to turn off the lighting device even when the user inputs the knock again.
  • the knock input may be the same as the knock on input, and may be recognized as a knock off input through one knock input as a knock off input so a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knock on input.
  •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door can be formed as the knock-on input region. That is, a wide area may be formed as the knock on input area without forming a separate sensor such as a touch sensor or an electrostatic sensor in the knock on input area. On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touch sensor or the electrostatic sensor or a separate panel including the same may be achieved, and at the same time, the durability improvement effect may be obtained.
  • the door structure can be formed very simply.
  • the knock-on input can be easily applied through a wide area regardless of the posture of the user or the freedom of both hand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ature of separately providing a knock sensor module including the knock sensor module without the knock-on input through a microphone or a microphone module and a control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f the main controller and minimize noise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signal line between the main controller and the knock sensor module. In other words, this paper presents a feature that can minimize noise through modularization.
  • the microphone modu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edium to which the knock input is applied,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 the refrigerator may generally be located in the kitchen, and thus external noise generated at regular intervals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an external noise with a ringing of more than 90 db may be generated, and if the external noise rings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mistaken as a knock on input. That is, even when the user does not apply the knock input, an input similar to the knock input may be applied to the front panel by external noise. In this case, since the refrigerator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ee-through door, the user may be mistaken that the refrigerator is broke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ay to further reduce this possibility.
  • 19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to which a correction sensor is applied to remove the influence on external noise.
  •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or microphone module for listening to external noise. That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e microphone or microphone module as a correction sensor for removing the influence on the external noise.
  • Such a microphone or microphone module may be identical or similar in structure or function to the microphone or microphone modu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this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n embodiment for removing noise caused by external noise by adding additional hardware.
  • the microphone 510a or the microphone module as the correction sensor may be provided to listen to external noise.
  • the microphone 510a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microphone.
  • the second microphone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second microphone module including the same or similar second microphone receiver as in the microphone 510 described above.
  • the microphone 510a as the correction sensor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to listen to external noise. That is, it is sufficient if any part of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the microphone 510a as the correction sensor.
  • the microphone 510a as such a correction sensor can be referred to as a second microphone.
  • the sound wave is detected by the microphone 510 for detecting the knock on input and the microphone 510a for detecting the external noise.
  • Each detected sound wave is subtracted through the subtractor 570. That is,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cond microphone 510a may be subtracted from the signal detected by the microphone 510.
  • two microphones can be used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 external noise may be generated that is very similar to the knock on input.
  • it may be mistaken as a knock on input.
  • two microphones 510 and 510a are applied, the same or very similar external noise can be recognized in both.
  • the effect of external noise can be substantially eliminated.
  • the signal passed through the subtractor 570 is input to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via the amplifier 530. Therefore,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determines whether it is a knock-on input only through the input signal.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signal received by each microphone may be provided to the subtractor 570 through the respective filters 520 and 520a.
  • knock-on recognition is more accurate by remov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 the second microphone 510a for detecting external noise may not be limited in its position. However, it is highly desirable to manufacture and install one module together with the microphone 510 for sensing the knock input. Therefore, the second microphone 510a is preferably provided near the microphone 51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microphone 510 and the second microphone 510a are connected to two PCBs through one signal line. Of course, the second microphon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microphone 510a may be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cap deco 460 and the cover 465.
  • this embodiment eliminates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signal through additional hardware called a subtractor.
  • additional hardware called a subtractor.
  • 20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for remov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 this embodiment is very similar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 the effect of external noise is eliminated through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That is,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receives both an external noise signal and a knock on signal, and removes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through an algorithm.
  •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two microphones and implements an algorithm for removing a noise source to find a knock on input.
  • the module micom 540 may implement an algorithm similar to a subtractor function.
  • a separate microphone or a microphone module that directly listens to external noise is add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 the human body sensor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user approaches the refrigerator.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sensor is irrelevant to sound waves.
  • the knock on input is applied by the user.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knock on input, the user needs to access the refrigerator. Therefore, the premise of a normal knock on input may be an access to a refrigerator of a user. With this in mind, even if an input similar to the knock on input is generated by external noise, it can be ignored.
  • the human body sensor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 PIR sensor, an IR sensor, and an image sensor. That is, any sensor that can sense a user's motion is sufficient.
  • the human body detecting sensor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amount of movement of the human body. Since these sensors themselve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normal knock on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both the human body detection condition throug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nd the knock input condition through the knock sensor module are satisfied.
  • a normal knock on signal it may be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 to operate in the main controller.
  • the human body detecting sensor 510b as the correction sensor may form one module with the knock sensor module 500.
  • the human body sensor 510b may provide a signal to the module micom 540 about the amount of change in movement of the human body to determine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refrigerator in the module micom 540.
  • the module microcomputer 540 determines that both the human body sensing condition and the knock input condition are satisfied to generate a knock on signal. In this case, since the human body sensor is also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controller 700, an effect of preventing overload of the main controller 700 can be expected.
  • the human body sensor 510a may b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knock sensor module 500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the human body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one knock sensor module 500 including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ereby enabling easy installation and cost reduction.
  • the human body sensor 510b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That is, the main controller 700 may receive a knock on signal from the knock sensor module 500 and receive a user access signal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510b.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may control the lighting device 600 to be turned on when both conditions are satisfied.
  • the main controller may receive the knock on signal even by external noise.
  • the main control unit does not receive a user access signal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 the main controller ignores the knock on signal and restricts the lighting device from being turned on.
  • the human body sensor is configured by the knock sensor module or separate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 the removal of the influence by the external noise may mea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knock-on input is abnormally determined by the external noise.
  • the abnormal knock on input may mean that the lighting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turned 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내부가 보이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 어셈블리를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감지된 음파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는 노크센서모듈; 그리고 상기 모듈 마이컴과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모듈 마이컴을 통해 노크 온(knock-on)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내부가 보이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구분되는 냉장고 외에 하나의 도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부분 소형이며, 냉장실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 냉동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중에서도 상부의 냉장실을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하는 형태의 프렌지 타입(French Type) 냉장고도 제공되고 있다. 프렌지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도 마찬가지로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본래의 기능에서 냉장고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즉,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정수와 얼음을 제공하기도 하고, 도어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보여주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제작되어 본체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즉, 도어 또한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정의하는 하나의 단열벽으로서 구비된다. 다만, 도어는 사용자가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접근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열벽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전에는 저장실 내부에 있는 저장물의 종류와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에서는 도어를 개폐할 때 냉기 손실이 가장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에너지 손실은 더욱 증가한다.
냉장실이나 냉동실에는 다양한 형태의 저장물이 저장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저장물을 찾아서 꺼내는 데에는 일정 시간 이상이 소요됨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저장실 내부를 이리저리 살펴보면서 원하는 저장물을 찾는데 일정 시간 소요한다.
이러한 냉장고의 고유한 특징에 의해서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되며 아울러 에너지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저장실의 일부만 개방되도록 한 형태의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즉, 메인 도어에 제공되는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서브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서브 저장실은 메인 저장실의 일부 영역으로 메인 저장실과는 적어도 일부분 구획벽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저장실은 상기 메인 저장실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를 DID(door in door) 냉장고라 할 수 있다. 서브 도어를 개방하면 메인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DID 냉장고에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메인 저장실로 접근할 수 있다. 왜냐하면, 메인 도어가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서브 도어와 함께 서브 저장실도 회전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주 이용하는 음료수와 같은 저장물은 서브 저장실에 저장하여 메인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서브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홈 바(home-bar) 도어가 제공되는 홈 바 냉장고도 있다. 홈 바는 매우 작은 형태의 서브 저장실이라 할 수 있다. 즉, 메인 도어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홈 바 도어를 통해 메인 도어 후방에 구비되는 홈 바에 소수의 음료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바 냉장고에서 홈 바를 더욱 확장한 것이 상기 DID 냉장고라 할 수 있다.
그러나, DID 냉장고뿐만 아니라 홈 바 냉장고에서도 이러한 서브 저장실의 체적이 커지고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이 많아질수록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나 홈 바 도어를 열고 꺼내려고 하는 저장물을 찾는데 일정 시간 이상이 소요되어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되고 에너지 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도어를 열지 않고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시스루(see-through)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도어 외부에서 도어를 통해 도어 내부의 저장실을 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평상시에는 도어를 통해 저장실을 볼 수 없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도어를 통해 저장실을 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시스루 도어로 가변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구성에 의해서 냉장고 외관 특히 도어의 전면 외관이 훼손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시스루 도어로 가변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입력 오류 또는 인식 오류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입력을 제대로 인식하는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어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위치와 이를 감지하는 위치를 이격시킴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도어를 두드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위치를 실질적으로 도어 전면 전체로 확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터치 패널과 같은 고가의 장치를 배제하여 효과적으로 노크 입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조가 단순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단열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정성 및 제조가 용이한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평상시에는 TV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이 블랙 패널을 갖는 도어로서 작동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조명을 작동시켜 시스루 도어로 작동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시스루 가변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시스루 영역 전체를 노크 입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고, 시스루 영역 외측에 마이크 모듈을 장착하여 시스루 영역과 마이크 모듈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미려한 외관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마이크 모듈과 모듈 마이컴을 갖는 노크센서모듈을 제공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노크센서모듈 사이의 신호선에 의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외부 소음이나 외부 충격 그리고 냉장고 자체 진동을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진동센서나 노크센서모듈과는 개별적으로 보정센서를 구비하여 외란에 의한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정센서의 일례로 별도의 마이크 모듈을 구비하여, 외란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정센서의 일례로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노크센서모듈에서 외란을 노크 입력으로 인식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도어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음파로 감지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노크센서모듈; 그리고 소정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센서모듈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 마이컴과 별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이크에서 감지한 노크 입력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정상적인 노크 입력임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모듈 마이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마이크와 모듈 마이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선 또는 신호선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연결선 또는 신호선으로 유입되는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를 포함하여 마이크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노크 입력이 가해짐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즉, 소정의 노크 입력(조명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 여부를 별도의 마이컴에서 수행하고, 조명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제어부는 이러한 판단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면패널은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로 시스루 영역을 이루는 패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은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은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 진동이 상기 마이크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매질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패널은 노크 진동으로 발생되는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은 매질의 단일성 및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홀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홀더 자체를 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가 압축 탄성 변형되면 항상 탄성 복원하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홀더가 상기 마이크 모듈을 지속적으로 전면패널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밀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배면에 마련된 보조저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을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메인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서브도어; 상기 서브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도어의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어셈블리; 상기 서브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음파로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 그리고 소정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서브도어 외부에서 상기 서브도어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보조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보조저장실뿐만 아니라 메인저장실을 함께 비추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 어셈블리를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감지된 음파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는 노크센서모듈; 상기 모듈 마이컴과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모듈 마이컴을 통해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일 수 있으며,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보조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와 메인 도어는 전후로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삽입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은, 마이크; 그리고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고 진동이 전달되는 매질인 상기 전면패널에 상기 마이크를 밀착시키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수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 그리고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모듈 마이컴이 실장되는 PCB; 그리고 상기 PCB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선의 길이는 대략 10Cm 미만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신호선을 통해서 외부 전자기장에 의한 노이즈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외부 소음이나 비정상적인 진동에 의한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센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감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정의 노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에서 외부 소음에 의한 영향은 상기 소음센서를 통해서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에서는 노크 입력과 외부 소음을 동시에 감지하거나 외부 소음만 감지할 수 있는데, 상기 외부 소음에 의한 영향을 상기 소음센서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소음에 의한 오인식 및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음센서는, 제2마이크; 그리고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고 진동이 전달되는 매질인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상기 마이크를 이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마이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마이크 수용부는 전면패널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없다.
상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노크온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모듈 마이컴에서 정상적인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인체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량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PIR 센서, IR 센서 그리고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 어셈블리를 갖는 도어; 상기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노크센서모듈; 상기 노크 진동이 소정의 노크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외부 소음이나 외부 비정상적인 진동에 의한 상기 노크센서모듈의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보정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일 수 있으며,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보조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와 메인 도어는 전후로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삽입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정센서는, 외부 소음에 의한 노이즈를 감지하여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마이크를 갖는 소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경우, 노크온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감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센서는, 상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소정의 노크로 판단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접근이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노크가 외부 소음과 같은 외란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듈 마이컴은 노크온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 마이컴에서 노크온 신호의 수신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 접근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마이컴에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인체 판단 그리고 마이크를 통한 노크 입력 판단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마이컴에서는 인체 감지 조건과 노크 입력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노크 온 신호가 수신되면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어, 상기 마이크와 상기 전면패널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마이크 수용부를 포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 어셈블리를 갖는 도어; 상기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진동센서를 통하여 노크 진동이 소정의 노크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외부 소음이나 외부 비정상적인 진동에 의한 상기 진동센서의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센서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보정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마이크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전면패널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파는 상기 전면패널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파동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전면패널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 자체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전면패널의 표면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을 감지하는 센서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와 보정센서를 통해 모두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센서는 자체적으로 입력되는 노크를 통해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음파나 진동만을 통해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정센서는 외란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파나 진동인지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일 수 있다. 즉, 진동센서를 통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판단하고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즉 두 가지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는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와 보정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 소음이나 외부 비정상적인 진동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센서와 보정센서는 동종의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진동센서가 실질적으로 음파를 사용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경우 보정센서도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센서가 가속도 센서인 경우 상기 보정센서도 가속도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진동센서에서 감지된 음파나 진동에서 보정센서에서 감지된 음파나 진동의 영향을 감산할 수 있다.
먼저, 둘 다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양자 모두 외부 소음을 감지하게 된다. 외부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이 가해지면, 진동센서의 마이크에서는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외부 소음으로 인한 입력이 중첩되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소음센서에서 감지된 외부 소음의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마이크의 장착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느 하나는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진동센서로서의 마이크는 전면패널에 밀착하도록 구비되고, 보정센서로서의 마이크는 전면패널에 밀착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둘 다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양자의 장착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가 장착되는 매질도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센서로서의 가속도 센서는 전면패널에 밀착시키고 보정센서로서의 가속도 센서는 전면패널과는 다른 매질에 밀착시킴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정센서로서의 가속도 센서는 캐비닛, 캡 데코나 힌지 커버 등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외부의 큰 진동에 의해 냉장고 전체가 진동할 때, 양자에는 유사한 진동이 감지된다. 따라서, 감지된 진동을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이러한 입력은 노크 입력이 아님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진동이 발생되는 상태에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진동센서로서의 가속도 센서에는 외부 진동과 함께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이 중첩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보정센서로서의 가속도 센서에는 외부 진동만 입력될 수 있다. 왜냐하면 두 개의 가속도 센서가 장착되는 매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 진동에 의한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정센서는, 상기 진동센서와는 이종의 인체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센서와는 동종의 음파센서 또는 가속도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도어를 열지 않고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시스루(see-through)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에서 도어를 통해 도어 내부의 저장실을 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도어를 통해 저장실을 볼 수 없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도어를 통해 저장실을 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시스루 도어로 가변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구성에 의해서 냉장고 외관 특히 도어의 전면 외관이 훼손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시스루 도어로 가변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입력 오류 또는 인식 오류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입력을 제대로 인식하는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어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위치와 이를 감지하는 위치를 이격시킴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도어를 두드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위치를 실질적으로 도어 전면 전체로 확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터치 패널과 같은 고가의 장치를 배제하여 효과적으로 노크 입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조가 단순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단열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정성 및 제조가 용이한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평상시에는 TV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이 블랙 패널을 갖는 도어로서 작동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조명을 작동시켜 시스루 도어로 작동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루 가변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시스루 영역 전체를 노크 입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고, 시스루 영역 외측에 마이크 모듈을 장착하여 시스루 영역과 마이크 모듈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미려한 외관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마이크 모듈과 모듈 마이컴을 갖는 노크센서모듈을 제공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노크센서모듈 사이의 신호선에 의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외부 소음이나 외부 충격 그리고 냉장고 자체 진동을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진동센서나 노크센서모듈과는 개별적으로 보정센서를 구비하여 외란에 의한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정센서의 일례로 별도의 마이크 모듈을 구비하여, 외란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정센서의 일례로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노크센서모듈에서 외란을 노크 입력으로 인식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냉장실 우측 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서 Ⅳ-Ⅳ 선에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서브도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냉장실 우측 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VIII-VIII 선에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6의 서브도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실시예의 서브도어에서 전면패널과 단열패널을 조립하여 제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성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마이크 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실시예의 서브도어에서 진동센서(마이크 모듈)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실시예의 서브도어에서 진동센서(마이크 모듈)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의 서브도어에서 진동센서(마이크 모듈)의 장착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부가 형성된 캡데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관통부에 마이크 모듈이 장착된 모습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5에 도시된 캡데코에 결합되는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서브도어에서 진동센서(마이크 모듈)의 설치 위치와 사용자가 두드리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성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성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성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전술한 냉장고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가 시스루 도어일 수 있으며,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나 홈 바 도어가 시스루 도어일 수 있다. 이러한 홈 바 도어도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이므로 서브 도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냉장고는 캐비닛(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캐비닛(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이와 달리 냉장실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는 불투명한 도어로서 그 하단부에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선택적으로 투시가능하게 되어 우측 냉장실도어(25)를 통해 냉장실 내부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를 시스루 도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부 도어를 시스루 도어로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실이나 냉동실 개폐와는 무관하게 그리고 메인 저장실이나 서브 저장실 개폐와는 무관하게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라면 이러한 시스루 도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메인도어힌지(1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 또는 캐비닛(10)에 서브도어힌지(1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복수의 바스켓이 상하로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미도시)을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서브저장실과 메인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저장실은 상기 메인저장실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115) 후방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12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2~3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200)을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브저장실(111)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와 관계 그리고 메인저장실과 서브저장실의 관계는 DID 냉장고에서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그 내측에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보이는 패널어셈블리(270)가 마련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단일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패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선택적으로 시스루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를 통해서 사용자는 도어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도어인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를 통해 메인저장실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도어(100)는 캐비닛 자체일 수 있으며, 상기 서브도어(200)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상기 패널어셈블리의 좌측에 홈 형태의 핸들(2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24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브도어(200)는 캐비닛(10)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 서브도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핸들(240)의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도어(200)의 회전 방향은 상기 메인도어(10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는 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브도어(200)는 홈 바 도어처럼 수평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캐비닛 전면에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도 12 참조)가 마련되고, 저장실 내부에는 도어가 열렸을 때 저장실 내부를 환하게 비추는 조명장치(도 12 참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시스루 도어로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저장실 및/또는 서브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조명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어 외부에서 도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조명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 내부를 볼 수 없고, 조명장치가 작동됨으로써 도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조명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블랙 패널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루 도어의 가변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시스루 도어의 가변과 관련된 제어방법 및 제어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서브도어(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200)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자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도어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에 서브도어(200)가 겹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브도어(200)의 전면이 메인도어(100) 전면과 겹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도어(200)의 전면은 메인도어(100)의 전면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냉장고의 전면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211)가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205)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서브도어(200)의 테두리부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서브도어(200)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도어의 전면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아웃도어(210)와, 마찬가지로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후면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도어라이너(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라이너(280)에도 상기 개구부(211)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상기 아웃도어(210) 및 도어라이너(28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캡데코(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도어(210), 도어라이너(280) 그리고 캡데코(260)를 통해서 전후 두께를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205)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상기 아웃도어(210), 도어라이너(280) 및 캡데코(26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단열을 위한 발포제가 주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프레임(205)에 패널어셈블리(27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즉,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어셈블리(27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단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상기 서브도어(200)의 중앙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상기 아웃도어(210)와 도어라이너(280)의 사이 구비되는 내측 프레임(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230)의 중앙부에도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211)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도어데코(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데코(220)는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211)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뿐만 아니라 회전 가능한 장착을 위한 상부힌지브라켓(254)와 하부힌지브라켓(25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200)는 사용자가 잡고 상기 서브도어(200)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핸들(240)을 포함할 수 있고, 밀폐를 위한 가스켓(29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도어(200)는 서포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서브도어(200)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아웃도어(210)에 도어데코(220)를 조립한 후 핸들(240)을 조립한다. 상기 핸들(240)과 아웃도어(210) 또는 도어데코 사이에는 핸들 서포터(245)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서포터는 금속 재질의 봉 형상으로 핸들(24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데코(220)는 상기 아웃도어(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240)은 도 4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아웃도어(210)의 좌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아웃도어(210)의 후면에 상기 내측 프레임(230)이 조립된후, 상기 서포터(250)와 힌지브라켓(254, 256)이 조립된다.
상기 서포터(250)는 상하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서포터(250)들은 상기 개구부(211)의 상하좌우 4개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50)들은 패널어셈블리(270)의 4개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보호하게 된다. 즉, 패널어셈블리의 무게가 도어 프레임(205)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지지하게된다.
아울러, 상기 서포터(250)에는 힌지브라켓(254, 256)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250)는 힌지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 또한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아웃도어(210)의 후방에서 캡데코(260)가 결합된다. 상기 켑데코(260)는 상기 아웃도어(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아웃도어(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패널어셈블리(270)가 아웃도어(210) 후방에서 상기 아웃도어(210)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280)가 상기 아웃도어(210) 후방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80)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아웃도어(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어라이너(280)의 후면에 가스켓(290)이 장착됨으로써 사기 서브도어(2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브라켓(254) 및 하부 힌지브라켓(256)에는 각각 서브도어힌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90)은 상기 서브도어(200)가 상기 메인도어(100)에 닫혔을 때 그 접촉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도어(200)의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패널(2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71)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면에 금속이 증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증착층은 빛이 투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패널(271)을 불투명하게 하며, 반대로 빛이 투과될 대는 전면패널(271)을 투명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패널(271)은 컬러 코팅막을 갖거나 자체가 컬러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미세한 빛 상태에서는 불투명하지만 상대적으로 강한 빛이 발생되면 투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전면패널(271) 후방에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전면패널 자체는 불투명함을 의미하고, 반대로 조명장치가 작동되면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어 투명한 패널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그래서, 저장실 내부가 어두울 때에는 저장실 내부가 보이지 않고, 저장실 내부가 밝을 때에는 상기 전면패널(271)을 통해 저장실 내부가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상기 전면패널(271)의 후방에 구비되는 단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는 두 개의 단열패널이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단열패널(273, 276) 및 상기 전면패널(271)과 단열패널(273) 사이에 배치되는 간봉(27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71)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도어(20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도어(200)의 전면을 구성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가 제외된 서브도어의 도어 프레임(205)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라이너(280)의 사이의 공간, 즉 서브도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공간(285)에는 단열재가 주입되어 상기 가스켓(290)과 상기 패널어셈블리(270)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00)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단열재,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에 의해 단열이 수행되고, 서브도어(200)의 중앙 부분은 상기 단열패널(274, 276)에 의해서 단열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 단열재 주입 공간(285)에는 상기 서브도어(200)를 모두 조립한 후에 발포제가 주입되어 발포됨으로써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라이너(28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냉장고에서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300)와 상기 메인도어(300)의 개구부 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40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의 냉장고의 경우,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정면에서 볼 때 그 크기가 서로 동일하고, 서브도어가 닫힐 때 메인도어에 겹쳐질 수 있다.
반면에, 제2실시예의 냉장고에서는 서브도어(400)가 메인도어(300)보다 작게 형성되고 서브도어(400)가 닫힐 때 메인도어의 개구부(31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에 닫힌 상태에서 메인도어(100)의 전방 외측에 노출되는 형태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에 닫힌 상태에서 메인도어(100)에 삽입된 형태이다. 전자를 아웃사이드 타입 서브도어라 할 수 있고 후자를 인사이드 타입 서브도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메인도어(300)는 캐비닛 자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도어(300)는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도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도어(3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315)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3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4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300)의 개구부(315)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3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4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복수의 바스켓이 상하로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미도시)을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서브저장실과 메인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저장실은 상기 메인저장실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300)의 개구부(315) 후방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32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2~3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400)을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브저장실(311)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도어(300)에는 이중으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저장실(311)로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315)와 아울러 상기 서브도어(400)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10)는 상기 개구부(31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와 관계 그리고 메인저장실과 서브저장실의 관계는 DID 냉장고에서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브도어(400)는 그 내측에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보이는 패널어셈블리(470)가 마련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단일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패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470)는 선택적으로 시스루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어셈블리(470)를 통해서 사용자는 도어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서브도어(400)의 개구부(411)에 구비되는 패널어셈블리(470)와 상기 메인도어(300)에 형성되는 개구부(315)를 통해서 서브저장실(311)을 볼 수 있게 된다. 서브도어(4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브저장실(311) 내부를 볼 수 있으며, 어떠한 저장물이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서브도어(400)를 열어 원하는 저장물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서브도어(4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도어(400)는 중앙부에 개구부(411)가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405)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405)은 서브도어(400)의 후방에서 상기 서브도어(40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410)과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결합하여 서브 도어의 후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도어라이너(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달리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캡데코가 더 결합되지 않고, 각각 캡데코에 해당하는 부분까지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의 사이에는 그 상부 및 하부에 서포터(45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서포터(450)의 일측에는 각각 상부 힌지브라켓(454)과 하부 힌지브라켓(456)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힌지브라켓(454) 및 하부 힌지브라켓(456)에는 각각 서브도어힌지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 상하부에 각각 캡데코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캡데코에 상부 힌지(미도시)와 하부 힌지(미도시)가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480)의 후면에는 가스켓(49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90)은 상기 서브도어(400)가 상기 메인도어(300)에 닫혔을 때 그 접촉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의 서브도어(400)에서 패널어셈블리(47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400)의 전면측에서 결합된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47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패널어셈블리(27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470)의 전면패널(471)은 제1실시예와 달리 그 가장자리가 상기 아웃도어(210)에 의해 덮이지 않고,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전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서브도어의 전면 중 테두리 부분은 아웃도어(210) 그리고 중앙 부분은 전면 패널(271)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도어의 전면은 모두 상기 전면 패널(471)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도어(400)의 전면 테두리 부분과 중앙 부분은 상기 전면 패널(271)에 의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면패널(471)은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473, 476)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단열패널을 모두 덮고도 외곽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473, 476)은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개구부, 즉 서브도어의 개구부(411)의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단열패널(476)의 배면은 상기 도어라이너(48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471)과 상기 제1단열패널(473) 사이에는 그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진 간봉(472)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서로 결합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의 좌측에는 핸들(4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핸들(4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좌측면에는 상기 핸들(440)의 좌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결합리브(442)와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리브(4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리브(412)는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좌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었다가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442)는 상기 핸들(440)의 우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었다가 각각 후방 및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서브도어(400)의 테두리 부분에는 소정 공간(480)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정 공간(480)은 캡데코가 상기 내측 프레임(41)과 도어라이너(480)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서브도어(400) 상하좌우 테두리 부분에는 이러한 소정 공간(480)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 공간에는 발포에 의해 단열재가 충진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도어(400)의 테두리 부분에는 단열재에 의한 단열 기능이 수행되며, 서브도어(400)의 중앙 부분에는 패널어셈블리(470)에 의해 단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의 반경 방향 외측의 전면패널(471)은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밀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측 프레임(410)뿐만 아니라 캡데코와도 밀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내측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는 별도의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먼저, 내측 프레임에 핸들(440)이 결합된 후 필요한 경우 캡데코가 내측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내측 프레임(410) 전방으로부터 상기 패널어셈블리가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패널어셈블리 사이에는 투명 테이프나 투명 접착제 등을 통해서 가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내측 프레임(410)과 전면 패널(471)의 테두리 부분(즉, 단열패널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 후면에 투명 테이프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에 패널어셈블리가 가조립된 후, 내측 프레임(410)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상기 도어라이너(48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소정 공간(485)에 발포제를 충진함에 따라,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도어 프레임(405)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패널어셈블리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제1실시예의 패널어셈블리(270)를 도시한 개념도인데, 상기 전면패널(271)의 크기가 단열패널(273, 276)과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2실시예의 패널어셈블리(47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71)은 약 600~700℃로 가열하여 강도를 강화한 열 강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강화시에는 유리전이온도(Tg) 이상까지 가열하였다가 급격히 냉각함으로써 유리 내부와 외부의 수축량 차이에 의해 압축 응력이 형성될 수 있다.
열강화시 압축응력의 깊이는 유리 두께의 약 20% 정도이다.
상기 전면패널(271)의 배면에는 티타늄 또는 니켈 등의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처리층(27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착처리층(2712)은 저장실 내부에 조명이 켜지면 상기 전면패널(271)을 통해 빛이 통과하여 보이게 되고, 조명이 꺼지면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면패널(271)을 컬러 유리로 제작하거나, 컬러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271)은 빛이 투과되면 시스루 패널이 되고 빛이 투과되지 않으면 블랙 패널이 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빛이 투과되더라도 일반 유리창과는 달리 은은하게 빛이 투과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냉장고가 위치되는 실내 인터리어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단열패널(273)과 상기 제2단열패널(276)은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유리를 전해질 용액에 담가서 화학적으로 강화시킨 화학강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강화시에는 KNO3 등의 용융염이 들어있는 전해질에서 유리전이온도 이하로 가열하면 유리 표면의 나트륨 이온 일부가 칼륨 이온으로 대체되면서 이온 반경 차이에 따라 압축 응력이 형성된다.
화학강화시 압축응력의 깊이는 유리 두께의 2~3%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패널(273)의 후면에는 복사에 의한 저장실 내로의 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저방사코팅층(273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방사코팅층(2732)이 형성된 유리를 로이 유리(Low-ε Glass)라고 하는데, 유리의 표면에 보통 은 등을 스퍼터링(Sputtering) 등으로 증착함으로써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단열패널(273)과 상기 제2단열패널(276)의 사이에는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단열패널(273)에는 진공 펌핑을 위한 홀(27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2735)에는 마개(2736)가 끼워져 있는데, 상기 마개(2736)는 진공 펌핑 작업 후에 상기 홀(2735)을 막기 위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1단열패널(273)과 상기 제2단열패널(276)을 결합하고 그 사이에 진공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2단열패널(276)의 가장자리에 프릿 글래스(Frit Glass, 275)를 디스펜싱(dispensing)하여 배열한다. 상기 프릿 글래스(275)는 약 400~500℃의 녹는점을 가진 유리 분말과 바인더(binder) 등을 포함하는 유리 원료로서, 2개의 단열패널(273, 276)보다 낮은 녹는점을 갖고 있다.
상기 프릿 글래스(275)를 상기 제2단열패널(276)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한 다음, 상기 제1단열패널(273)을 그 위에 놓고 가열하여 상기 프릿 글래스(275)를 녹였다가 식힘으로써 두 단열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릿 글래스(275)를 배열한 다음에 상기 제1단열패널(273)을 배치하기 전에 상기한 복수의 스페이서(274)를 배열한다.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274)는 유리로 된 단열패널의 두께와 강도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특히 단열패널의 중앙부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274)는 스테인레스 스틸, 유리,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74)는 상기 제1단열패널(273)과 상기 제2단열패널(27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면서도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열패널(273)과 상기 제2단열패널(276)을 결합한 다음 상기 홀(2735)을 통해 진공 펌핑을 하여 내부에 진공 공간을 형성한다.
진공 펌핑 후에 상기 홀(2735)에는 상기한 마개(2736)를 끼우는데, 그 위에 프릿 글래스(2737)를 더 용접하여 덮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개(2736)는 상기 제1단열패널(273)의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고, 용접된 프릿 글래스가 표면에서 조금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릿 글래스(2737)는 두 단열패널 사이의 프릿 글래스(275)보다 더 낮은 녹는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단열패널(273)과 상기 제2단열패널(276)의 결합 및 진공 펌핑 및 밀봉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1단열패널(273)의 전면에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를 가진 간봉(272)을 배치하고 그 위에 상기한 전면패널(271)을 부착한다.
상기 간봉(272)과 상기 제1단열패널(273) 및 상기 전면패널(271) 사이에는 투명한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되어 제작된 패널어셈블리(27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도어(210)와 도어라이너(280)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아웃도어(210)와 도어라이너(280)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조도어(200)가 완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470)를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전면에 투명한 접착제로 부착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열패널(473)과 상기 제2단열패널(476)은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패널(471)의 가장자리가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전면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단열패널은 복수 개의 유리재질의 패널을 사용하고 아울러 복수 개의 유리재질 사이에 열전달을 낮추기 위한 소정 공간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저방사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패널어셈블리(470)를 통해 열전달이 수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공간은 진공으로 형성되어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진공 홀에 의한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공간이 아닌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비활성 기체는 일반 공기에 비해 단열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이러한 이유로, 전면패널과 단열패널 사이 그리고 단열패널과 단열패널 사이에 비활성 기체가 충진되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의 메인도어 또는 서브도어는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특정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메인도어 또는 서브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루 도어로의 전환은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600)가 작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저장실 내부의 조명장치(600)가 작동되면 어둡던 저장실 내부가 밝아진다. 따라서, 저장실 내부의 빛이 도어를 관통하여 외부로 투과되며, 이를 통해 외부에서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입력은 조명장치(6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시스루 도어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종류도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루 도어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하도록 하고, 상기 노크 입력을 음파로 감지하도록 하는 노크센서모듈(500, 도 10 참조)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노크센서모듈(500)은 매질에 의해 전파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라 할 수 있다. 감지되는 음파가 특정 진동 패턴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노크센서모듈(500)은 마이크(510)를 포함하기 때문에 매질이 연속되는 한 노크 입력의 발생 지점과 노크 입력의 센싱 지점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의 전체 면적을 고려하면, 냉장고의 도어에서 매질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한 노크 입력 발생 지점과 노크 입력의 센싱 지점의 거리를 최대로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노크 입력 발생 지점과 노크 입력의 센싱 지점을 서로 다른 위치로 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영역을 시스루 영역 전체로 확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시스루 영역 전체를 동일 매질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노크 입력 발생 지점은 사용자가 시스루 도어의 전환을 위한 입력을 가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으며, 노크 입력 센싱 지점은 마이크(510)가 이러한 입력을 감지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노크센서모듈(500)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어떠한 자세인지 여부 그리고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입력 지점과 입력 방법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는 편한 자세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해서 노크 입력을 가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손에 들고 있는 물건들을 통해서도 노크 입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로 긴 영역에 노크 입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노크 입력을 편리하게 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노크센서모듈(500)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 전면 어느 위치에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이크의 위치는 도어의 어느 위치든 탄력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진동의 특성한 입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센싱이 이루어지는 지점 사이는 연속되는 동일 매질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센싱하기 위하여 음파가 아닌 매질의 진동 자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의 적용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 등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소정의 노크 입력이 가해짐을 가속도 센서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를 검출 방식으로는 관성식, 자이로식 실리콘반도체식 가속도 센서로 분류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전면패널이라는 매질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노크 입력 지점과 노크 입력 센싱 지점을 이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진동 특성상, 매질은 통해 전달되는 진동은 노크 입력 지점과 노크 입력 센싱 지점 사이가 멀어질수록 감쇄폭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세기의 노크 입력이 발생되도라도 입력 지점과 센싱 지점의 거리가 커질수록 센싱 오차가 매우 크게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편, 냉장고는 냉매 사이클 구동에 의한 진동 등과 같이 냉장고 자체가 진동할 수 있다. 외부의 매우 큰 소음이나 냉장고가 위치되는 바닥면에 큰 물건이 떨어지는 경우 등 다양하게 냉장고 자체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진동은 진동 발생 지점과 센싱 지점의 이격 그리고 매질의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가속도 센서에서 이를 노크 입력으로 감지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진동은 냉장고 전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진동은 도어 특히 전면 패널 전체를 진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노크 입력을 매질 자체의 진동이나 매질 표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아닌 매질을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가속도 센서가 아닌 마이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음파는 전면패널이라는 매질이 공기와는 다른 고체의 매질이지만 음파의 특성상 매우 먼 거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차 선로에 귀를 기울이면 아주 먼 위치에서 기차가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차 선로라는 매질을 통해 음파가 매우 멀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전술한 가속도 센서의 경우 동적인 힘은 동일 매질에서 입력 지점으로부터 센싱 지점이 멀어질수록 감쇄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에 반해서, 음파의 감쇄폭은 매우 작다. 따라서, 냉장고의 사이즈를 고려하면, 노크 입력을 음파로 감지하는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크센서모듈(500)은 전면패널을 통해 음파가 전달되는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치 패널과 같은 부가적인 장치가 전면패널에 장착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이는 터치 패널 등으로 인한 고비용, 복잡성,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실질적으로 전면패널 전체를 노크 입력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시스루 영역에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부가 장치가 배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마이크(510)는 상기 시스루 영역 외부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가 상기 시스루 영역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이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임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패널에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전달되는 음파를 마이크에서 감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전면패널에 의해 전달되는 음파는 새로운 매질인 공기를 통해 마이크로 전달된다. 따라서, 매질과 마이크 사이의 음파 전달 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차폐 또는 밀폐 공간이 마련되지 않으면, 외부 소음이 마이크로 입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와 전면패널의 밀착 및 이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마이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또한 지속적으로 밀착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기 지지부재 또한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시스루로 전환되는 도어의 중앙부분을 통해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도록 하고, 시스루로 전환되지 않는 도어의 테두리 부분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부분과 노크 입력이 감지되는 부분은 단일 전면패널을 통해 연속되는 매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매질이 변한다는 것은 음파의 감쇄폭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센싱의 정확도가 매우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반대로, 전면패널과는 다른 매질에 가해지는 입력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되는 것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즉, 전면패널이 아닌 냉장고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는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캐비닛은 일반적으로 상기 전면패널과 동일 매질이 아니기 때문이다.
상기 냉장고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은 냉장고 자체의 진동일 수 있다. 냉동 사이클 구동에 의한 냉장고의 진동이나 냉장고 자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냉장고 전체가 진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의 진동이 전면패널을 통해 전달되어 진동센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매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큰 진동이 발생되면, 전면패널에 구비되는 진동센서에서 이를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다. 특히, 전술한 가속도 센서의 경우에 이러한 오작동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매질의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이종 매질들을 따라 전달되는 음파의 감쇄폭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널이 아닌 냉장고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냉장고의 캐비닛)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는, 여러 매질을 통해 전달되면서 충분히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음파를 감지하여 노크 입력을 인식하는 경우, 전면패널이 아닌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가속도 센서에 비해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냉장고의 자체 진동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기 때문에, 냉장고의 자체 진동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노크센서모듈(500)과 메인제어부(700) 그리고 조명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크센서모듈(500)은 도어의 전면, 예를 들어 서브도어(200, 400)의 전면패널(271, 471)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자가 시스루 도어 전환을 위한 노크 신호를 입력한 경우, 메인제어부(700)는 조명장치(6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실 내부가 밝아짐에 따라 시스루 도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크센서모듈(500)은 노크 입력을 음파로 감지하는 마이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면패널이라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51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510)는 사용자의 노크 신호에 의한 음파 감지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에 의한 음파를 감지할 수도 있다. 후자의 음파나 진동은 노이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이러한 노이즈가 마이크(510)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즉, 전면패널과 마이크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부 노이즈가 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마이크(510)는 매질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면패널(271, 471)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마이크(510)를 밀착시키기 위한 장착부재 내지는 지지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후술한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이며 메인마이컴이라 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나 각종 팬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라 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에는 도어스위치(800)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즉, 도어스위치(800)를 통해 냉장고의 도어가 열렸는지 닫혀있는지 알 수 있다. 도어가 열리면 도어스위치는 온 상태가 되어 저장실 내부의 조명장치(610)가 작동되며, 도어가 닫히면 도어스위치는 오프 상태가 되어 저장실 내부의 조명장치(610)가 작동을 멈추게 된다. 물론, 도어스위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는 반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도어스위치(800)와 조명장치(610)의 작동 관계는 제어부(700)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700)에서 도어스위치(800)를 통해 도어의 닫힘과 열림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조명장치(61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도어스위치(800), 메인제어부(700) 그리고 조명장치(600)의 제어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메인도어 자체가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는 예를 설명한다.
메인제어부(700)에서 시스루 도어 전환을 위해 조명장치(600) 특히 메인조명장치(6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시스루 도어 전환은 메인도어가 닫혀있음을 전제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노크 신호의 판단에 의해 메인제어부(700)는 도어스위치(800)의 온 상태(도어 닫힘 상태)에도 불구하고 메인조명장치(610)를 작동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가 열리지 않는 한, 시스루 도어 전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장치(6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조명장치의 밝기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조명장치가 일정시간 작동 후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정시간 후 조명장치가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루 도어의 전환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 일반적인 메인조명장치(610) 제어 알고리즘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메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메인조명장치(610)가 항상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열린 상태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알람이 발생될 수 있고 메인조명장치(610)가 꺼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도어가 아닌 서브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는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저장실 내부를 밝게 하는 메인조명장치(610)와는 별도로 서브저장실을 내부를 밝게 하는 서브조명장치(6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조명장치(6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서브저장실을 조명하기 위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115, 215)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장착되는 LED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모듈은 상하로 긴 회로기판에 복수의 LED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LED모듈은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 양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장착되고 투명한 커버를 씌워서 내부를 보호하고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적인 노크 신호의 판단에 의해 메인제어부(700)는 서브조명장치(620)를 작동시켜 서브도어를 시스루 도어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조명장치(6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서브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인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서브조명장치(620)가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인 경우, 사용자가 서브도어가 아닌 메인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서브도어의 시스루 도어 전환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메인제어부(700)는 서브도어의 시스루 도어 전환 도중 도어스위치를 통해 메인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서브조명장치(620)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부(700), 조명장치(600) 그리고 도어스위치(800) 사이의 제어 관계를 통하여 불필요한 조명장치(600)의 작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노크센서모듈(500)을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정상적인 노크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노크 신호인지 아니면 노이즈인지를 메인제어부(700)에서 직접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메인제어부(700)의 과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진동센서(500)와 메인제어부(700) 사이의 거리로 인해 신호선 자체로 인한 노이즈 영향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510)는 전면패널(271, 47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많은 경우, 메인제어부(700)는 도어가 아닌 캐비닛(10)의 일측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마이크(510)와 메인제어부(70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며 이는 신호선의 길이가 길어짐을 의미하게 된다. 이는 정상적인 노크 신호가 신호선을 통해 노이즈로 인해 오염되어 메인제어부(700)로 입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노크 신호의 인식률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마이크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mV 단위임에 비해 메인제어부(700)는 기본적으로 V 단위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인 신호의 스케일 차이로 인해 메인제어부(700)에서 노크 입력을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냉장고는 대전압/대전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이다. 따라서, 전기적인 노이즈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는 마이크에 의해 출력되는 mV 단위의 신호가 전기적인 노이즈에 더욱 취약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와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여 모듈화하여 이를 노크센서모듈이라 할 수 있다.
노크센서모듈을 지시번호 500이라 할 수 있으며, 노크센서모듈은 마이크(510)와 모듈마이컴(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모듈마이컴(540)은 상기 마이크(510)에서 감지된 신호들을 통해 정상적인 노크 입력임을 판단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마이컴(540)에서 노크 온 신호임을 판단하면 상기 메인제어부(700)로 정상적인 노크 온 입력이 가해졌다는 신호(노크 온 신호)를 보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마이컴(540)에서 노크 온 신호임을 판단하면 메인제어부(700)로 5 V의 노크 온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에는 0 v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후자는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제어부(700)는 노크 온 신호 입력 여부만 수신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판단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모듈 마이컴(540)과 메인 제어부(700) 사이의 신호선에 의한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듈 마이컴(540)은 모듈화된 마이크를 통해 노이즈가 최소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노크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률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노크센서모듈(500)은 필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51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520)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520)는 DC 노이즈 필터일 수 있다. 필터링된 신호는 증폭기(530)를 통해서 증폭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크센서모듈(500)은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시켜 모듈마이컴(540)으로 전달하는 증폭기(53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기(530)는 OP 엠프일 수 있다.
이러한 노크센서모듈(500)은 하나의 PCB(545)에 상기 필터(520), 증폭기(530) 그리고 모듈마이컴(540)을 실장하고, 상기 마이크(510)는 신호선(516)에 의해 상기 PCB(545)에서 연장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노크센서모듈(500) 특히 PCB(545)는 상기 메인 제어부(7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마이크(510)가 장착되는 위치와 매우 가까운 위치에 상기 PCB(545)를 장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510)와 PCB(545) 사이의 신호선(516)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신호선(516)을 통해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510)의 장착 구조 내지는 고정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마이크 또는 마이크 모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는 마이크 모듈(510)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음파를 직접 센싱하는 마이크(511)는 마이크 수용부(512)에 수용된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마이크(511)와 마이크 수용부(512)를 포함하여 마이크(510)라고 단순히 부르거나 마이크 모듈(510)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511)는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511)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내부의 형상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내에 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는 고무 재질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마이크(511)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의 상하에는 각각 개구부(514, 5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511)의 일면은 음파를 수용하는 음파 수신부(511a)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음파 수신부는 어느 특정 개구부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도 13에는 하부 개구부(514)를 향하여 음파 수신부(511a)가 위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511)의 타측에는 신호선(51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선(516)은 상부 개구부(515)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노크센서모듈의 PCB(54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부(514)와 상기 음파 수신부(511a)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정 공간은 밀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개구부(514)가 매질, 예를 들어 전면 패널(271, 471)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소정 공간(515)가 밀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공간(517)은 상기 마이크(511)와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사이의 밀착으로 인해 상기 상부 개구부(515)와도 단절된 밀폐 공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밀착 공간이 편심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개구부(514) 둘레를 따라 돌기(5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마이크 수용부(512)가 밀착되도록 누르는 힘의 편차가 사후적으로 발생되더라도 상기 돌기(513)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상기 밀폐 공간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 공간의 일측은 매질에 의해 밀폐된다.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는 상기 소정 공간 내의 공기를 통해 상기 마이크(511)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로 인해 외부 소음이나 진동이 상기 소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외부 노이즈로 인해 노크 온 판단 오류,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노크 온 인식률을 매우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노크 온 입력이 가해졌을 때 이를 노크 온으로 판단하는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진동센서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마이크 모듈(510)을 전제로 하여 진동센서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편의상 신호선(516)은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도 12를 통해 마이크 모듈(510)의 장착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271)이 도어 또는 서브도어의 중앙부분을 형성하고,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205)에 의해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는 서브도어에서 마이크 모듈(510)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확대도에서는 편의상 상기 도어라이너(280)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271)의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205) 특히 아웃도어(210)에 의해 덮히게 된다.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전면패널(271)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상기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상기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지지부재(5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550)는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전면패널(27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50)는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데코(2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이나 지지부재(550)는 모두 시스루 도어를 위한 개구부(2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루 도어의 전환과 무관하게 상기 마이크 모듈(510)과 지지부재(550)는 도어 전면에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시스루 도어의 일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미려한 도어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550)는 탄성부재(55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55)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 자체에 항상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550)는 회동축(551)과 상기 회동축(55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552)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551)은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데코(22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52)에는 홀더(5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553)는 상기 제1연장부(552)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553)에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55)는 상기 제2연장부(554)와 상기 도어데코(220) 사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연장부(554)를 전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은 마치 시소와 같이 제1연장부(552)를 후방으로 미는 탄성력으로 전환하게 되며, 이는 상기 홀더(553)를 통해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면패널(271)에 밀착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탄성부재(555)를 통해,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면패널(271)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만약, 상기 서브도어(200)가 상기 도어데코(220)와 내측 프레임(230)이 없는 구조라면, 상기 지지부재(550)는 상기 아웃도어(210)와 도어라이너(280) 사이에 장착될 것이다. 따라서, 어느 경우나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550)는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제2연장부(554)의 후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55)를 지지하는 돌기(556)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555)는 조립시에 소정 길이 압축되어 상기 제2연장부(554)를 미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50)가 상기 제2연장부(554)를 밀어주기 때문에 상기 회동축(551)의 반대 방향에 있는 제1연장부(552)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상기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밀어주게 된다. 즉, 마이크 모듈(510)이 전면패널(271)의 전면에서 밀착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는 사용자가 상기 전면패널(271)을 두드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마이크 모듈(510)의 장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이크 모듈(510)은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어 프레임에 마이크 모듈(510)이 장착되어 마이크 모듈(510)이 시스루 도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모듈 장착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471)이 도어 전면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에 단열패널이 삽입되고 전면패널의 후방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에 밀착되는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405)은 내측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프레임(410)은 캡데코(4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캡데코(460)가 내측 프레임(4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서는 도어의 상부에 위치되는 캡데코(460)를 통해서 마이크 모듈(510)이 장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캡데코(460)의 전방에는 마이크 모듈(510)이 관통되는 관통부(4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상기 관통부(461)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패널(471)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471)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 모듈(510)의 밀착을 위해 지지부재(560)가 구비되며, 상기 캡데코(460)에는 상기 지지부재(560)가 안착되는 안착부(46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홀더(561)에 적어도 일부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561)를 전면패널(471)을 향해 밀어냄으로써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면패널에 밀착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홀더(561)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홀더(561)를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561)에는 도 13에 도시된 신호선(516)이 인출되기 위한 슬릿 내지는 슬롯(56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이크 모듈이 상기 홀더(561)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에서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516)이 상기 슬릿 내지 슬롯(561a)을 통해서 상기 홀더(56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더(561) 자체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신호선(516)이 상기 슬릿 내지 슬롯(561a)에 삽입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60)는 상기 홀더(561)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62)는 상기 홀더(561)와 홀더 수용부(56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 수용부(563)에 대해서 상기 홀더(561)는 전방으로 미는 힘을 항상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 수용부(563)는 상기 안착부(462) 내에서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미는 힘을 받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수용부(563)를 포함하는 지지부재(560)가 상기 안착부(462)에 안착되어 정위치에 장착되며 자동적으로 전방으로 미는 힘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안착부(462)를 덮는 커버(4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는 캡데코(460)에 장착되는 서브도어힌지(130)를 덮는 힌지 커버(465)일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커버(465)가 상기 캡데코(460)에 결합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전방으로 밀려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465)는 후크 구조(465)에 의해 캡데코(46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커버(465)에 형성되는 돌기 또는 리브(467)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560)가 전방으로 밀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 또는 리브(467)은 지지부재(560) 전체를 전방으로 밀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62)는 상기 홀더(561)를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이 항상 전면패널(471)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사기 마이크 모듈(510)은 관통부(461)를 관통하여 전면패널(471)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461)의 형상은 상기 홀더(561)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461) 내에서 홀더(56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마이크 모듈(510)의 밀착력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465)의 저면에는 노크센서모듈(500)의 PCB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캡데코(460)에 서브도어힌지의 장착 및 PCB 장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노크센서모듈(500)의 신호선은 서브도어힌지(130)의 관통부(131)를 통해 캐비닛(10) 내부 또는 메인도어 내부로 연장되어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노크센서모듈(500)의 장착위치는 도어 또는 서브 도어의 테두리 어느 부분에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신호선의 처리를 위해서는 상부 캡데코 부분에 노크센서모듈(500)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마이크 모듈(510)의 장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 특히 캡데코(460)를 이용하여 마이크 모듈(510)을 장착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상기 캡데코(460)에는 관통부(4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461)를 관통하여 마이크 모듈(510)이 전면패널(471)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홀더(561)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561)가 전면패널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마이크 모듈(510)이 지속적으로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홀더(561) 또한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더(561)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전면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부(461) 후방에는 홀더 장착부(46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561)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수용한 채 상기 홀더 장착부(463)에 밀어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461)는 상기 홀더 장착되는 방향으로 홀더(56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61)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서 장착되는 경우, 상기 관통부(461)의 좌우 폭은 상기 홀더(561)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관통부(461)의 상하 폭은 상기 홀더(561)의 상하 폭과 대응되도록 하여, 홀더의 상하 부분이 상기 관통부(461)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 장착부(463)는 상기 관통부(461)과의 사이에 소정 공간(464)을 형성하는데, 상기 소정 공간에 상기 홀더(561)가 끼워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 공간의 전후 폭은 홀더(561)가 더욱 삽입될수록 좁아진다. 즉, 상기 홀더(561)가 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561)의 전후는 압축상태가 된다. 따라서, 홀더(561)는 탄성 복원되는 경향을 갖고 이는 홀더(561)가 항상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방으로 밀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한편, 최대로 끼워진 홀더(561)는 커버(465)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46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켑데코(460)를 덮는 커버이며 서브도어힌지(130)을 덮는 힌지 커버일 수도 있다. 상기 커버(465)는 마찬가지로 후크(466)를 통해 캡데코(46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65)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또는 리브(4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또는 리브(467)는 상기 커버(465)가 캡데코(460)와 결합될 때 상기 홀더(561)의 일측을 밀게 된다. 즉, 홀더(561)가 상기 관통부(46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561)의 일측을 상기 돌기 또는 리브(467)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561)는 상기 홀더 장착부(463) 내부에서 항상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진동이나 도어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마이크 모듈(510)이 전면패널(471)에 견고히 밀착되고 이러한 밀착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홀더(561)가 상기 관통부(461) 내에서 정위치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홀더(561)는 전후로 압축된다. 그리고 정위치에서 상기 홀더(561)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리브(467)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467)가 제거되지 않는 한 상기 홀더(561)는 전면패널, 리브(467), 홀더 장착부(463)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러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8은 시스루 도어에서 마이크 모듈의 장착 위치와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메인 도어 또는 서브 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도록 형성될 때, 시스루 도어를 위하여 도어는 개구부(211, 411)를 갖는다. 즉, 개구부의 반경 방향 내측 영역을 통해서 내부의 저장실 또는 서브저장실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개구부 내측 영역 및 외측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타입 도어에서는 도어의 전면 중 개구부 내측 영역과 외측 일부 영역이 전면패널에 의해 정의되며, 도어의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에 의해서 정의된다. 그리고, 인사이드 타입 도어에서는 도어의 전면 전체가 전면패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은 전면패널의 전면이 정의하는 영역 모두일 수 있다. 그러나, 관념적으로 사용자는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부분을 통해 노크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부분은 개구부(211, 411)의 반경 방향 내측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구부(211, 411)로 정의되는 사각형의 내부 면적 전체가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노크 입력 영역은 시스루 영역이므로, 이 영역을 벗어나서 마이크 모듈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마이크 모듈 장착 영역은 상기 전면패널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의 장착위치는 상기 개구부(211, 411)의 반경 방향 외측임이 바람직하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일정 영역(S)으로 해칭된 영역에 상기 마이크 모듈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 영역(S)는 시스루 영역이 아니므로 전면패널과 마이크 모듈이 밀착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쉽게 도어 전면에서 마이크 모듈을 볼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마이크 모듈이 상기 시스루 영역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서, 노크 입력을 가할 수 있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으며, 반면에 노크 입력 영역과 마이크 모듈 장착 영역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스루 영역을 통해 보다 선명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 모듈이 도어 전면에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정 영역(S)의 배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정 영역(S)에 해당하는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아웃사이더 타입의 도어는 상기 일정 영역(S)이 도어 프레임이나 아웃 도어에 의해 덮히기 때문에 이러한 인쇄층은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루 도어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노크 입력일 수 있으며, 마이크에서 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전면에 진동을 가하는 환경 요소는 매우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도어의 열고 닫음에 따른 충격, 외부의 강한 소음 등에 의해 도어 전면이 진동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입력을 노크 신호로 판단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는 사용자가 도어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도어 전면을 2 회 두드리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면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 사이의 간격은 약 600 ms 미만임을 알 수 있다. 즉, 1 초(s)가 1000 ms 임을 감안하며, 1초 미만의 간격을 두고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가 발생됨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신호로 오인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크의 강도는 사용자마다 편차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매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강도의 편차는 클 수 있으나, 진동 패턴의 편차는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크의 강도 편차는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쇄시킬 수 있으며, 노크 입력의 패턴과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인자로 하여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반대로,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크 입력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0)는 조명장치(6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소정 시간이 경과 후 조명장치(600)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전이라도 사용자가 재차 노크 입력을 하는 경우 조명장치를 끄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의 노크 입력은 노크 온 입력과 동일할 수 있으며, 노크 온 입력과 차별화되도록 노크 오프 입력으로서 한 번의 노크 입력을 통해 노크 오프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한 번의 노크 입력은 노크 온 판단 후 소정 시간 내의 입력에 한하여 인식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를 이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어 전면 전체를 노크 온 입력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터치 센서나 정전 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를 노크 온 입력 영역에 형성하지 않고도 넓은 영역을 노크 온 입력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이러한 터치 센서나 정전 센서나 이를 포함하는 별도의 패널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아울러, 도어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자세나 양손의 자유도와 무관하게 넓은 영역을 통해 쉽게 노크 온 입력을 가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아울러, 노크 온 입력 영역을 시스루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스루 영역에 빛의 투과를 방해하는 요소, 예를 들어 터치 패널과 같은 구성 요소를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선명한 시스루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마이크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 온 입력을 인식하여 시스루 도어로 가변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면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노크 온 입력을 노크센서모듈을 통해 인식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순히 마이크나 마이크 모듈을 통해 노크 온 입력을 인식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노크센서모듈을 제어부와 별도로 구비하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의 부하를 줄이고 메인 제어부와 노크센서모듈 사이의 신호선에서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모듈화를 통해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마이크 모듈을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매질에 밀착시키도록 하여, 외부 소음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주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정 주기를 갖고 발생되는 외부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90db 이상의 울림을 가진 외부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소음이 일정 주기를 갖고 울리는 경우 노크 온 입력으로 오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즉,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 소음에 의해 노크 입력과 유사한 입력이 전면패널에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가 저절로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냉장고가 고장이 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본적인 실시예들과 복합적으로 구현되어 이러한 외부 소음에 의한 오인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외부 소음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보정센서가 적용된 일실시예에 대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소음 청취용 마이크 또는 마이크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외부 소음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보정센서로 별도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마이크 또는 마이크 모듈은 구조나 작용은 도 10 및 도 11을 통해 설명된 마이크 또는 마이크 모듈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여 외부 소음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센서로서의 마이크(510a) 또는 마이크 모듈은 외부 소음을 청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510a)를 제2마이크라할 수 있다. 상기 제2마이크 또한 전술한 마이크(510)에서와 같이 동일 또는 유사한 제2마이크 수용부를 포함하여 제2마이크모듈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정센서로서의 마이크(510a)는 외부 소음을 청취하기 위해서 전면패널과 밀착되어 구비될 필요가 없다. 즉, 냉장고의 어느 부분에 상기 보정센서로서의 마이크(510a)가 구비되면 족하다. 이러한 보정센서로서의 마이크(510a)를 제2마이크라 할 수 있다.
노크 온 입력이나 외부 소음이 발생되면, 노크 온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510)와 외부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510a)에서 음파를 감지한다. 각각 감지된 음파들은 감산기(570)를 통해 감산된다. 즉, 마이크(510)에서 감지된 신호에서 제2마이크(510a)에서 감지된 신호를 빼줄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외부 소음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크 온 입력과 매우 유사한 외부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마이크(510)만 구비되는 경우 이를 노크 온 입력으로 오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마이크(510, 510a)를 적용하는 경우 양자에서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외부 소음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신호를 감산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외부 소음에 의한 영향은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산기(570)을 거친 신호는 증폭기(530)를 거쳐 모듈 마이컴(540)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모듈 마이컴(540)의 입장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통해서만 노크 온 입력인지 판단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모듈 마이컴(54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필터(520, 520a)를 거쳐 감산기(57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소음의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한 노크 온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제2마이크(510a)는 그 위치에 제약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510)와 함께 하나의 모듈을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마이크(510a)는 상기 마이크(510) 인근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PCB에 두 개의 신호선을 통해 상기 마이크(510)와 제2마이크(510a)가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2마이크는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데코(460)와 커버(465)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2마이크(510a)가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감산기라는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통하여 외부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마이크(510a)와 감산기(570)을 추가하여 하나의 모듈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20는 외부 소음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 19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 마이컴(540)를 통해서 외부 소음의 영향을 제거하게 된다. 즉, 모듈 마이컴(540)에서는 외부 소음 신호와 노크 온 신호를 모두 수신하게 되고, 알고리즘을 통해서 외부 소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모듈 마이컴(540)은 두 개의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받아 노크 온 입력을 찾기 위해 소음원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 마이컴(540)에서 감산기 기능과 유사한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외부 소음 영향 제거가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산기와 같은 하드웨어에서 보다는 매우 다양한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소음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 노크 온 기능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모듈 마이컴(54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외부 소음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노크 온 기능을 아예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외부 소음을 직접 청취하는 별도의 마이크나 마이크 모듈을 부가하여 외부 소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외부 소음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보정센서의 일례로 인체감지센서를 부가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체감지센서는 냉장고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라 할 수 있다. 즉, 음파와는 무관한 센서라 할 수 있다.
먼저, 노크 온 입력은 사용자가 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크 온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노크 온 입력의 전제는 사용자의 냉장고에 대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외부 소음에 의해 노크 온 입력과 유사한 입력을 발생되더라도 이를 무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체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 PIR 센서, IR 센서 그리고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센서라도 족하다. 구체적으로, 인체감지센서는 인체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 자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인체 감지 조건 그리고 노크센서모듈을 통한 노크 입력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상적인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메인 제어부에서 조명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노크 온 신호와 인체 감지 신호가 모두 발생된 경우에야 메인 제어부에서 조명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센서로서 인체감지센서(510b)는 노크센서모듈(500)과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510b)는 모듈 마이컴(540)으로 인체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량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모듈 마이컴(540)에서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마이컴(540)에서 인체감지조건과 노크입력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인체감지센서도 메인 제어부(700)와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메인 제어부(70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510a)는 도 1에 도시된 노크센서모듈(500)의 인근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인체감지센서를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하나의 노크센서모듈(5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설치 용이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인체감지센서(510b)는 메인제어부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메인 제어부(700)에서는 노크센서모듈(500)로부터 노크 온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인체감지센서(510b)를 통해서 사용자 접근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는 양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 조명장치(600)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소음에 의해서도 메인제어부에서 노크 온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를 통해서는 사용자 접근 신호를 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노크 온 신호를 무시하고 조명장치가 켜지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즉, 인체감지센서가 노크센서모듈을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메인제어부와 연결되거나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통해서 외부 소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소음에 의한 영향의 제거는 외부 소음에 의하여 비정상적으로 노크 온 입력으로 판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비정상적으로 노크 온 입력으로 판단되더라도 이에 의해서 조명장치가 켜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각각의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과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음.

Claims (20)

  1.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 어셈블리를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감지된 음파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는 노크센서모듈;
    상기 모듈 마이컴과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모듈 마이컴을 통해 노크 온(knock-on)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모듈은,
    마이크; 그리고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고 상기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인 상기 전면패널에 상기 마이크를 밀착시키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수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 그리고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모듈 마이컴이 실장되는 PCB; 그리고
    상기 PCB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신호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외부 소음이나 비정상적인 진동에 의한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감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정의 노크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센서는,
    제2마이크; 그리고
    상기 제2마이크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상기 제2마이크를 이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마이크 수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노크온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인체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량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PIR 센서, IR 센서 그리고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 어셈블리를 갖는 도어;
    상기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노크센서모듈;
    상기 노크 진동이 소정의 노크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외부 소음이나 외부 비정상적인 진동에 의한 상기 노크센서모듈의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보정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센서는, 외부 소음에 의한 노이즈를 감지하여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마이크를 갖는 소음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경우, 노크온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소음센서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감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센서는,
    상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소정의 노크로 판단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센서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노크인지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듈 마이컴은 노크온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 마이컴에서 노크온 신호의 수신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 접근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어, 상기 마이크와 상기 전면패널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마이크 수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CT/KR2016/009413 2015-08-25 2016-08-25 냉장고 WO20170343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27884.3A CN111219927B (zh) 2015-08-25 2016-08-25 冰箱
CN201680003541.7A CN107110590B (zh) 2015-08-25 2016-08-25 冰箱
US15/310,043 US10443925B2 (en) 2015-08-25 2016-08-25 Refrigerator
EP16797709.9A EP3168557B1 (en) 2015-08-25 2016-08-25 Refrigerator
AU2016312798A AU2016312798B2 (en) 2015-08-25 2016-08-25 Refrigerator
EP22172299.4A EP4075084A1 (en) 2015-08-25 2016-08-25 Refrigerator
EP20157702.0A EP3686531B1 (en) 2015-08-25 2016-08-25 Refrigerator
US16/448,448 US10578352B2 (en) 2015-08-25 2019-06-21 Refrigerator
AU2020200048A AU2020200048B2 (en) 2015-08-25 2020-01-03 Refrigerator
US16/740,898 US10808991B2 (en) 2015-08-25 2020-01-13 Refrigerator
AU2022201985A AU2022201985B2 (en) 2015-08-25 2022-03-2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26 2015-08-25
KR1020150119526A KR101892794B1 (ko) 2015-08-25 2015-08-25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310,043 A-371-Of-International US10443925B2 (en) 2015-08-25 2016-08-25 Refrigerator
US16/448,448 Continuation US10578352B2 (en) 2015-08-25 2019-06-21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4332A1 true WO2017034332A1 (ko) 2017-03-02

Family

ID=5810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413 WO2017034332A1 (ko) 2015-08-25 2016-08-25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443925B2 (ko)
EP (3) EP4075084A1 (ko)
KR (1) KR101892794B1 (ko)
CN (2) CN111219927B (ko)
AU (3) AU2016312798B2 (ko)
WO (1) WO20170343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99367A1 (en) * 2018-11-08 2021-07-01 Lg Electronics Inc. Panel assembly,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US20210321183A1 (en) * 2019-01-31 2021-10-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apable of sound input
US11713919B2 (en) * 2018-08-30 2023-08-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3593B1 (ko) * 2016-03-15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EP3441705B1 (en) * 2016-04-04 2022-03-3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KR102359721B1 (ko) * 2017-06-28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크 온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598224B1 (ko) * 2018-01-0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KR102095452B1 (ko) * 2018-06-01 202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50075B1 (ko) * 2018-06-01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CN209122007U (zh) * 2018-07-24 2019-07-19 科勒(中国)投资有限公司 柜门
AU2019334734B2 (en) * 2018-09-06 2022-08-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54593B1 (ko) * 2018-12-03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CN109737661A (zh) * 2018-12-12 2019-05-10 武汉职业技术学院 一种冰箱
WO2020227955A1 (zh) * 2019-05-15 2020-11-1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声音识别方法、交互方法、声音识别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可移动平台
EP4080120A4 (en) * 2019-12-19 2024-01-31 Lg Electronics Inc HOUSEHOLD APPLIANC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US20230015953A1 (en) * 2019-12-19 2023-01-1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viewing window
KR20210106270A (ko) * 2020-02-20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3494799A (zh) * 2020-04-02 2021-10-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透明屏的显示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1092378B1 (en) * 2020-04-29 2021-08-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dual sensor control with adaptive algorithm
WO2021261748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EP3936799A1 (en) * 2020-07-06 2022-01-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421460B2 (en) * 2020-07-31 2022-08-23 Kason Industries, Inc. Pivot hinge bracket assembly
CN114183978A (zh) * 2020-09-15 2022-03-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2503818B (zh) * 2020-11-18 2023-10-1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冰箱及其开门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20220101524A (ko) * 2021-01-11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325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홈바 문의 투명성 제어 장치
KR20110090739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면 음향 신호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바이스
KR20130027101A (ko) * 2011-09-07 2013-03-15 김동우 투과도 가변창을 구비한 냉장고
KR20130072562A (ko) * 2011-12-22 201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40128098A (ko) * 2013-04-26 201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549A (ja) * 1982-07-28 1984-02-03 Sanyo Electric Co Ltd 複層透明板の製造方法
JPH0739905B2 (ja) * 1987-12-26 1995-05-01 ブルース・ヘンリー・ランバート 冷蔵庫
CN2226260Y (zh) * 1995-03-27 1996-05-01 张明儒 致冷电器绝热箱体
KR19990015883U (ko) 1997-10-21 1999-05-15 전주범 쇼케이스의 도어구조
JP2000088443A (ja) * 1998-09-17 2000-03-31 Hoshizaki Electric Co Ltd 貯蔵庫の断熱扉
US6059420A (en) * 1999-02-17 2000-05-09 Rogers; Thomas See through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JP3061805U (ja) * 1999-03-02 1999-09-24 ホン チン−シェン ノイズ測定装置
JP3061805B2 (ja) * 2000-02-01 2000-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画像記録装置
JP2004225968A (ja) * 2003-01-21 2004-08-12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冷蔵庫
DE202005000923U1 (de) 2004-11-29 2006-04-06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RU2395853C2 (ru) * 2006-04-12 2010-07-27 Электролюкс Хоум Продактс Корпорейшн Н.В.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CN101929591B (zh) * 2009-06-23 2012-06-13 东元奈米应材股份有限公司 具有内置式吸气剂的真空面板结构及其制造方法
US8567976B2 (en) * 2009-12-08 2013-10-29 Magna International Inc. Appliance doors having integrated lighting and controls
CN102116402A (zh) * 2011-01-04 2011-07-06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真空隔热组件及其制造方法和制冷设备
CN102519204B (zh) 2011-12-08 2014-08-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吧台门及具有其的冰箱
DE102012100490A1 (de) * 2012-01-23 2013-07-25 Götz von Waldeyer-Hartz Thermowand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20140111333A1 (en) * 2012-01-24 2014-04-24 Alfred M. Haas dB
CN202734419U (zh) 2012-04-28 2013-02-13 青岛海尔集团 冰箱
US9851636B2 (en) 2012-07-05 2017-12-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ed photoresist performance
CN102878764A (zh) * 2012-10-26 2013-01-16 吴德滨 真空薄壁冰箱、冰柜
CN203095854U (zh) * 2013-01-25 2013-07-31 李梦琪 保温彩晶玻璃及冰柜
US8960934B2 (en) * 2013-04-08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02619B2 (en) * 2013-07-31 2017-07-1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ed, dynamic lighting of interior of appliance
KR20150016683A (ko) * 2013-08-05 2015-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3471313A (zh) * 2013-09-25 2013-12-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204063761U (zh) * 2014-07-18 2014-12-31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冰箱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204535247U (zh) * 2015-01-05 2015-08-0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门体及具有该门体的冷藏冷冻装置
EP4083549A1 (en) * 2015-04-27 2022-1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WO2017010849A1 (ko) * 2015-07-15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 가전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9352B1 (ko) * 2016-01-05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54874B1 (ko) * 2016-01-05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33905B1 (ko) * 2019-01-31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리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325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홈바 문의 투명성 제어 장치
KR20110090739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면 음향 신호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바이스
KR20130027101A (ko) * 2011-09-07 2013-03-15 김동우 투과도 가변창을 구비한 냉장고
KR20130072562A (ko) * 2011-12-22 201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40128098A (ko) * 2013-04-26 201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168557A4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3919B2 (en) * 2018-08-30 2023-08-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230332831A1 (en) * 2018-08-30 2023-10-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210199367A1 (en) * 2018-11-08 2021-07-01 Lg Electronics Inc. Panel assembly,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US11609038B2 (en) * 2018-11-08 2023-03-21 Lg Electronics Inc. Panel assembly,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US20230144762A1 (en) * 2018-11-08 2023-05-11 Lg Electronics Inc. Panel assembly,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US11971206B2 (en) 2018-11-08 2024-04-30 Lg Electronics Inc. Panel assembly,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US20210321183A1 (en) * 2019-01-31 2021-10-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apable of sound input
US11832041B2 (en) * 2019-01-31 2023-11-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apable of sound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794B1 (ko) 2018-08-28
EP3686531B1 (en) 2022-10-19
CN107110590B (zh) 2019-12-31
CN107110590A (zh) 2017-08-29
EP3168557A1 (en) 2017-05-17
US10443925B2 (en) 2019-10-15
EP4075084A1 (en) 2022-10-19
US20180156535A1 (en) 2018-06-07
AU2020200048A1 (en) 2020-01-30
US10578352B2 (en) 2020-03-03
AU2022201985A1 (en) 2022-04-14
US11300350B2 (en) 2022-04-12
EP3168557B1 (en) 2020-04-01
CN111219927A (zh) 2020-06-02
EP3686531A1 (en) 2020-07-29
CN111219927B (zh) 2022-04-19
KR20170024363A (ko) 2017-03-07
US10808991B2 (en) 2020-10-20
US20200149802A1 (en) 2020-05-14
AU2022201985B2 (en) 2024-03-21
AU2016312798A1 (en) 2017-08-17
EP3168557A4 (en) 2018-02-28
AU2020200048B2 (en) 2021-12-23
AU2016312798B2 (en) 2019-10-03
US20200173715A1 (en) 2020-06-04
US20190323765A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4332A1 (ko) 냉장고
WO2017175960A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WO2017119614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01750A1 (ko) 냉장고
WO2018174576A1 (ko) 냉장고
WO2016200050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WO2011081279A1 (en)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WO2021125430A1 (ko)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WO2015137725A1 (en) Refrigerator
WO2015037963A1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EP3155323A1 (en) Oven
WO2010123175A1 (en) Refrigerator
WO2020096258A1 (ko) 패널 어셈블리, 냉장고 및 가전제품
WO2021125428A1 (ko) 가전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6060530A1 (ko) 냉장고
WO2022225377A1 (ko) 냉장고
WO2018199600A1 (ko) 냉장고
EP3105519A1 (en) Refrigerator
WO2021112409A1 (ko) 냉장고
WO2019177413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008405A1 (en) Refrigerator
WO2021125429A1 (ko) 가전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1172947A1 (ko) 냉장고
WO2017039194A1 (ko) 냉장고
WO2023033566A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10043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977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977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977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312798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60825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