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53267A1 -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53267A1
WO2016153267A1 PCT/KR2016/002920 KR2016002920W WO2016153267A1 WO 2016153267 A1 WO2016153267 A1 WO 2016153267A1 KR 2016002920 W KR2016002920 W KR 2016002920W WO 2016153267 A1 WO2016153267 A1 WO 20161532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ed additive
molasses
spa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9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광원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씨드바이오
주식회사 기술과창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드바이오, 주식회사 기술과창조 filed Critical (주)씨드바이오
Publication of WO20161532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532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feed additive using a spawn comprising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and a feed additive produced by the method.
  • Antibiotic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growth of livestock, are used to promote livestock growth and to prevent and treat diarrhea and various diseases.However, when antibiotics are used frequently, pathogens can strengthen their resistance to antibiotics. Stronger resistance ha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superbacteria that can resist any strong antibiotics, which is why the world is imposing strong sanctions against the addition of some antibiotics to the feed.
  • Probiotics are live lactic acid bacteria that are fed to livestock to increase livestock productivity through increased resistance to harmful microorganisms, thereby boosting immunity by increasing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when fed to livestock.
  • beneficial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se probiotics have the effect of reducing odor, hydrogen sulfide (H 2 S) and ammonia (NH 3 ) generation can be expec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49903 is 30 to 70% by weight of the microorganisms or its culture solution through the culture step of separating and culturing each subtilis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20 to 40% by weight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10-30% by weight, and then manganese chloride (MnCl X ), citric acid (C 6 H 8 O 7 ) and potassium sorbate (C 6 H 7 O 2 K) 0.5 wt% manganese chloride, citric acid Feed additives are prepared by mixing together 0.2% by weight and 0.04% by weight potassium sorbate.
  • MnCl X manganese chloride
  • citric acid C 6 H 8 O 7
  • potassium sorbate C 6 H 7 O 2 K
  •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long because each microorganism is cultured differently in culture conditions considering the incubation time, incubation temperature, initial pH, carbon source effect, nitrogen source effect, and inorganic salts. exist.
  • the conventional feed additive manufactured by using microorganisms is a feed additive because the number of beneficial bacteria included in the feed additive is not sufficient, alth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long.
  • beneficial bacteria contained in the feed additives are killed before reaching the intestine of the ruminant.
  •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may cause additional problems due to the use of chemicals such as manganese chloride, citric acid and potassium sorb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eed additive.
  • a method of preparing a feed additive using a complex microbial seed includes Bacillus subtilis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a culture vessel using a culture medium formed by mixing lysine, propolis, molasses, and water into a culture vessel together with a spawn of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a lysine, propolis, molasses, and water mixed into a culture vessel.
  • Filtration to complete the feed additive by culturing the complex microbial seed added to the culturing step, measuring the pH value of the liquid material cultured in the culturing step, and filtering the liquid material whose pH value is measur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measuring step Steps.
  • the feeding step may be added to 0.7 ⁇ 0.9 parts by weight of the complex microorganism spawn,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 the culture step is water Complex microorganism spawn having 0.7 to 0.9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water by using a culture solution mixed with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per 100 parts by weight. Can be cultured.
  • the culturing step is performed by aeration while simultaneously stirring intermittently with 0.7 to 0.9 parts by weight of the complex microorganism spawn,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 Complex microbial spawn can be cultured.
  • the culturing step may perform the intermittent agitation and aeration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topping the agitation and aeration for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after the agitation and aeration for the first time.
  • the culturing step may be carried out the intermittent stirring and a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ulture solution in the range 35 ⁇ 45 °C.
  • the complex microorganism spawn is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leuconostoc , Lactobacillus brecon , Lactobacillus brevis , Streptococcus faecalis ) , Bacillus putrificus , Bacillus cereus , Pseudomonas fluorescens , and Aspergillus oryzae .
  • the filtration step may complete the feed additive by filtering the liquid material measured in the pH value range of 3 to 4.5 in the measuring step.
  • the liqui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eed additive may be discharged from the filter by filtering the liquid material whose pH value is measur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n at least one or more times using a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200 mesh. have.
  • Feed additive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feed additive using the complex microorganism.
  • Lysine, propolis, molasses and water are mixed using a defined culture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It is possible to prepare a feed additive with a large increase i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by culturing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 Complex microorganism having 0.7 to 0.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using a culture medium mixed with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Feed addit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a simple process consisting of a water purification step 10, the input step 20, the culture step 30, the measurement step 40, the filtration step 50 and the like.
  • any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eed additive does not require chemicals can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eed additive.
  •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eparing a feed addi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graph comparing the daily weight gain of the entire breeding period of Example 1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 1 with another example.
  • Figure 3 is a graph comparing the feed efficiency with other examples during the entire breeding period of Example 1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lantarum), Sakae using a culture medium containing lysine (Lysine), Propolis (Propolis), molasses (Molasses), and Water (Wat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additive prepared by culturing a spawn of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includ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filtering the cultured liquid material.
  •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0.7 to 0.9 parts by weight of complex microbial spawn,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Incubate by intermittent stirring and aeration while maintaining in the range of 35 ⁇ 45 °C.
  • Bacillus , lysine, and propolis combined with a number of microorganisms including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used in the manufacture of feed additives , Molasses, and the description of the nature and use of water will be described later.
  • Bacillus subtilis is called Bacillus subtilis, a type of aerobic bacterium that is non-toxic and forms spores.It is a representative bacterium belonging to the genus Bacillus,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nature such as soil, hay, and dust. Corresponds to Bacillus subtilis produces proteolytic enzymes, increases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and reduces odors and pests. In addition, it is excellent in feed efficiency and weight gain effect to enable healthy growth of livestock.
  • Lactobacillus plantarum is a salt-resistant lactic acid bacteria (bacteria that break down sugars such as glucose to produce lactic acid, lactic acid bacteria), and corresponds to the anaerobic anaerobic.
  • the Lactobacillus plantarum produces organic acids as a by-product and prevents bacterial enteritis, inhibits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in the body, or inhibits the growth of other bacteria from outside through harmful bacteria and foods in the intestine. By keeping clean and preventing diarrhea and constipation, it increases feed efficiency and digestibility. In addition, it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present in the livestock manure to remove odors.
  • Saccharomyces cerevisiae In MRS celebrity busy as Saccharomyces (Saccharomyces cerevisiae), most of the yeast used in brewing, as well as, baker's yeast or brewer's yeast as a representative yeast belonging to Ascomycetes (bacteria create an ascus spores to form the ascus by sexual reproduction in fungi) Is the latest of this species. Saccharomyces cerevisiae provides useful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amino acids, vitamins, minerals, and digestive enzymes, and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by enhancing the metabolism of the yeast itself. In addition, it promotes fermentation to promote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using microorganisms and enhance palatability. The aforementioned palatability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felt when the animal finds and consumes the food, and is expressed as a result of factors such as the appearance, taste, smell, tissue, and temperature of the feed.
  • Composite microbial inoculum of the present invention bean water, molasses, can be obtained from rice and the above-mentioned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in addition to Lactobacillus plan tareom (Lactobacillus plantarum), the MRS celebrity busy as Saccharomyces (Saccharomyces cerevisiae) Lactobacillus Bacillus casei.
  •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 Lactobacillus plan tareom Lactobacillus plantarum
  • Saccharomyces Saccharomyces cerevisiae
  • Lactobacillus leuconostoc Lactobacillus leuconostoc
  • Lactobacillus leuconostoc Lactobacillus brevis
  • Streptococcus faecalis Bacillus putricuscus Bacillus bacilli It contains various species such as Bacillus cereus, Pseudomonas fluorescens and Aspergillus oryzae .
  • the microbial strains are mixed at a ratio of 1 to 20% by weight, and the population of each microbial strain is known to be about 10 2 to 10 3 cfu / g.
  • the composite microbial spaw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7 to 0.9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if less than 0.7 parts by weight of the microorganisms necessary for cultivation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the growth of the microbial population through the culturing step does not occur effectively, the final feed additive
  • the number of beneficial bacteria can decrease, and if it exceeds 0.9 parts by weight, the percentage of microorganisms will be higher than the ratio of lysine, propolis, molasses and water used for the culture of microorganisms, making it difficult for microorganisms to proliferate through sufficient feeding.
  • the culture solution may be contaminated due to by-products.
  • Lysine is a basic amino acid that acts as a growth accelerator to promote growth and development, also called lysine.
  • lysine is used as a culture feed for complex microbial spawns such as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Saccharomyces cerevisiae, etc. Promotes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population.
  • Some of the remaining lysine, which is used as a culture feed for the complex microbial spawn remains in the feed additive and serves as a growth promoter for livestock.
  • Lysine is an amino acid that promot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ivestock. It is involved in growth hormones and promotes the growth of livestock. In addition to lysine to help microorganisms breed and promote livestock growth, lysine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nitrogen content of livestock wast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ammonia.
  • Lysi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0.1 ⁇ 0.3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is not supplied enough to the culture feed of the complex microbial spawn in the culturing step to reduce the growth efficiency of microorganisms, and also act as a growth promoter of livestock Difficulties may not produce feed additives by culturing to obt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ount of lysine exceeds 0.3 parts by weight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culture medium and lack of breeding space may be reduced the growth efficiency of the microorganisms
  • livestock that are overdose with lysine which acts as a growth promoter for livestock, may cause abnormal growth.
  • Propolis is made by mixing bees and enzymes with resin such as honeybees extracted from various plants for their survival and breeding. Many, minerals, vitamins, amino acids, fats, organic acids, flavonoids, etc.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metabolism, terpenes, etc. have an anticancer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culturing step to feed the composite microbial inoculum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 tareom (Lactobacillus plantarum), it helps to increase the yuikgyun populations, such as the MRS celebrity busy as Saccharomyces (Saccharomyces cerevisiae) Gives.
  • some of the propolis remains intact and fed to livestock to enhanc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immunity.
  • Propol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han 0.1 to 0.3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s not supplied enough to feed the complex microorganism spawn in the culturing step may reduce the growth efficiency of the microorganisms, and serves as a natural antibiotic
  • the feed additive may not be produced due to the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nough, and if the amount of propolis is 0.3 parts by weight or more, the growth and microbial growth efficiency of the microorganisms may be reduced due to the lack of culture and breeding space of the microorganisms. Excessive use of the remaining propolis, which is used to feed microorganisms,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fever, increased heart rate, and problems with livestock growth.
  • Molasses are blackish syrupy liquids that are extracted from sugars in the sugar making process from sugar cane, sugar beet, etc. through the process of powdering, refining, and crystallization, and contains 20 to 30% water.
  • the main ingredient is sugar.
  • Molasses are classified into sugar cane molasses, sugar beet molasses, corn molasses, citrus molasses, sorghum molasses, and wood molasses,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and about 5 to 10% is used for livestock feed.
  • Molasses is a substance having various nutrients, such as dietary fiber, folic acid, protein, vitamins, and potassium, and is used as a culture feed of the complex microbial spawn in the present invention.
  • Molasses is a liquid viscous substance with a viscosity of 500 Pa ⁇ s, which is higher than water at 1 mPa ⁇ S (20 ° C. standard).
  • molasses is separately dissolved at 40 ° C. and added to the culture vessel.
  • glucose and brown sugar, etc. can be used as a culture feed for complex microbial spawns in place of molasses, but cost-effectiveness was obtained by using molasses, which is relatively easy to obtain and has a low cost burden.
  • molass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han 4.5 parts by weight to 4.5 parts by weight to 4.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growth efficiency of the microorganisms may be lowered because the feed efficiency of the microorganism spawn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and the molasses is 6.5 If the weight part is exceeded, the growth efficiency of the microorganisms may be reduced due to the lack of culture and breeding space of the microorganisms, and if the molasses having high viscosity is used excessively, the viscosity of the cultured liquid material may be too high and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may be reduced. have.
  • all components except the complex microorganism spawn, lysine, propolis, and molasses are all composed of water, and water is used as a solvent for raw materials.
  • Water has a specific heat that is large enough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rmophilic animals, so it is not sensitiv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other conditions and does not cause chemical reactions with other substances.
  • 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mixing 0.7 to 0.9 parts by weight of complex microorganism spawn,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the mixing ratio of one component is an optimal condition for culturing the complex microbial spawn, and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method of preparing a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step 10, an input step 20, a culture step 30, a measurement step 40, and a filtration step 50. .
  • the purification step 10 purifies the tap water to remove by-products such as chlorine from the tap water.
  • tap water may be added to a heating vessel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ulture vessel, and purified by heating for 3 to 24 hours in a temperature range of 60 to 80 ° C.
  • Tap water includes mixed bacteria other than chlorine (Cl), fluorine (F), calcium (Ca), magnesium (Mg), iron (Fe), other by-products, and certain useful bacteria.
  • the purification step 10 purifies the tap water with water suitable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y removing such chlorine, various bacteria, and other by-products from the tap water.
  • lysine, propolis,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including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Molasses, and water are added to the culture vessel.
  •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including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Molasses, and water are added to the culture vessel.
  • 0.7 to 0.9 parts by weight of the complex microorganism spawn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a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 This dosing step 20 follows a series of processes as follows.
  • molasses dissolved at about 40 ° C. is added to the culture vessel, and then the complex microorganism spawn, lysine, and propolis are added to the culture vessel.
  • molasses is introduced before complex microbial spawn, lysine, and propolis because molasses has a high viscosity, and therefore, homogeneity between materials due to the unique viscosity of molasses when added later than complex microbial spawn, lysine, and propolis. This is because mixing may be disturbed.
  • close the lid of the culture vessel after adding about 20% of water to the culture vessel until the space corresponding to about 85% of the culture vessel is filled.
  • the space corresponding to about 15% of the culture vessel should be left empty so that oxygen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lture mixture of lysine, propolis, molasses, and water.
  • water is added to the culture vessel in two portions as described above.
  • Bacillus subtilis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were introduced into the culture vessel using a culture solution containing lysine, propolis, molasses, and water.
  • a microorganism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including E. (Saccharomyces cerevisiae) is cultured.
  • microbial spawn is cultured mainly by feeding molasses.
  • Test Example 2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lysine, propolis, molasses is added togeth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molasses, the population of microorganisms is greatly increased. According to this example, only by culturing the complex microbial spawn as described above only for about 72 hours,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creased rapidly as shown in Test Example 1 to be described later.
  • the culturing step (30) while maintaining the culture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35 ⁇ 45 °C range 0.7 ⁇ 0.9 parts by weight of the microorganism spawn, 0.1 ⁇ 0.3 parts by weight, lysine 0.1 ⁇ 0.3 parts by weight and molasses 4.5 ⁇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6.5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microbial spawn is cultured by intermittently stirring and aeration.
  • Test Example 1 when culturing the complex microbial spawn in the component ratio as described above, the microbial population is exploded in a short time.
  • agitation and aeration should be performed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 the agitation of the culture solution may be performed by a tool for agitating the culture solution, and the aeration of the culture solution may be performed by an air pump or the like installed inside the culture vessel.
  • the agitation time of the culture solution is too long, the microorganisms cannot take sufficient rest and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s slow. If the agitation time of the culture solution is too short, the food is concentrated in the culture medium and the increase of the microbial population is slow. If the aeration time of the culture medium is too long, anaerobic microorganisms that do not require oxygen are killed and the increase of microbial population is slow. If the aeration time of the culture medium is too short, the aerobic microorganism that requires oxygen is killed and the increase of microbial population is slow.
  • the culturing step 30 in order to explode the microbial population for the same reason as described above, the culturing step is carried out a process of stopping agitation and aeration for about 4 hours after stirring and aeration for about 2 hours. By repeating, intermittent stirring and aeration are performed.
  • the reason for stopping the agitation and aeration is about twice as long as the agitation and aeration time is that the microorganism population must be explosive only if the microorganism has a longer time to rest after metabolism than the time the microorganism is fed. Because it increases.
  • the pH of the liquid material cultured in the culturing step 30 is measured using a pH meter.
  • the pH of the liquid material may be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the pH meter is immersed in the liquid material cultured in the culturing step 30, or a small amount of the liquid material cultured in the culturing step 30 may be collected and measured by a pH meter. If the pH measurement value is between 3 and 4.5, the cultured liquid material is filtered and used as a feed additive, and the cultured liquid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aroma and sour tas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 value of the liquid material cultured in the culture step 30 is not between 3 to 4.5, the cultured liquid material is disposed of.
  • the feed additive is completed by filtering the liquid substance whose pH value is measur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n the measurement step 40.
  • the predetermined range is preferably 3 to 4.5.
  • the filtration step 50 may filter the liquid material having a pH value of 3 to 4.5 measured in the measurement step 40 with a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200 mesh.
  • a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200 mesh may be manufactured by drilling a plurality of 200 mesh size holes in the bottom of a container made of acrylic material.
  • the liquid substance having a pH value of 3 to 4.5 includes Bacillus subtilis , Lactobacillus plantarum , Saccharomyces cerevisiae, In addition to lysine and propolis, it contains the leftover molasses and residual byproducts. Molasses in the liquid substance is easily rotting, so if a large amount of molasses is contained in the liquid substance, the liquid substance is deteriorated during the long-term storage of the liquid substance. Similarly, residual by-products in the liquid substance deteriorate the liquid substance during long term storage of the liquid substance.
  • molasses and residual by-products in the liquid substance should be removed because they deteriorate the feed additive.
  • the aforementioned complex microbial spawn, lysine and propolis have the property of passing through 200 mesh sized holes, while molasses and residual byproducts do not pass through 200 sized holes. Therefore, molasses and residual by-products in the liquid substance can be removed by filtering the liquid substance whose pH value is measured within 3 to 4.5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 the feed additiv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step 50 does not contain molasses and residual by-products, deterioration of the feed additive may be prevented, and thus the state of the feed additive may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For example, storage of feed additives for 6 months was not perishable, and the population of beneficial bacteria remained almost unchanged.
  • the filt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to more reliably remove components and by-products unnecessary for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liquid substance having a pH value of 3 to 4.5.
  • four filters having a pore size of 200 mesh can be prepared, and a liquid material whose pH value is measured within 3 to 4.5 can be passed through the four filters in turn. That is, the liquid material filtered by any one filter is passed to the next filter to be filtered.
  • the liquid material passed through the fourth filter is a feed additive and is placed on the market in a container.
  •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imple process consisting of a water purification step 10, a dosing step 20, a culture step 30, a measurement step 40, a filtration step 50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It can be produced only. In addition, since any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eed additive does not require chemicals can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eed additive.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feed additives can be divided into two. When it is added to the feed, it is possible to feed the livestock by spraying 0.5% of the feed amount on the feed.When it is used for drinking water, 0.5% of the negative amount is added to the negative container and shaken. Can be given to livestock.
  • feed additives as follows.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s given above will be followed. 1000 Kg of tap water was put into a heating vessel, and heated to 80 ° C. for 12 hours. Subsequently, while cooling the water slow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eached the 40 °C range 800Kg of water was added to the culture vessel. Subsequently, 50 Kg of molasses, 7.5 Kg of complex seedlings, 1.5 Kg of lysine, and 1.5 Kg of propolis were added to the culture vessel. Then, 200Kg of water remaining in the culture vessel was added.
  • stirring and aeration were performed for 2 hours on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vessel, and the process of stopping the stirring and aeration for 4 hours was repeated for a total of 72 hour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ulture solution was maintained at 40 ° C.
  • the liquid material having a pH value of 4 was filtered four times using a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200 mesh, and the liquid material passed through the fourth filter was placed in a storage container to complete preparation of the feed additive.
  • Example 1 For Example 1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conditions as follows to prepare a feed additiv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1000 Kg of tap water was put into a heating vessel, and heated to 80 ° C. for 12 hours. Subsequently, while cooling the water slow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eached the 40 °C range 800Kg of water was added to the culture vessel. Subsequently, 50Kg of molasses and 7.5Kg of complex seed were added to the culture vessel. Then, 200Kg of water remaining in the culture vessel was added.
  • stirring and aeration were performed for 2 hours on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vessel, and the process of stopping the stirring and aeration for 4 hours was repeated for a total of 72 hour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ulture solution was maintained at 40 ° C.
  • the liquid material having a pH value of 4 was filtered four times using a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200 mesh, and the liquid material passed through the fourth filter was placed in a storage container to complete preparation of the feed additive.
  • Example 1 For Example 1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conditions as follows to prepare a feed additiv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1000 Kg of tap water was put into a heating vessel, and heated to 80 ° C. for 12 hours. Subsequently, while cooling the water slow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eached the 40 °C range 800Kg of water was added to the culture vessel. Subsequently, 50 Kg of molasses, 7.5 Kg of complex seedlings, 3.5 Kg of lysine, and 4 Kg of propolis were added to the culture vessel. Then, 200Kg of water remaining in the culture vessel was added.
  • stirring and aeration were performed for 2 hours on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vessel, and the process of stopping the stirring and aeration for 4 hours was repeated for a total of 72 hour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ulture solution was maintained at 40 ° C.
  • the liquid material having a pH value of 4 was filtered four times using a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200 mesh, and the liquid material passed through the fourth filter was placed in a storage container to complete preparation of the feed additive.
  • Table 1 The results of Table 1 disclosed below are the results of the test at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Chungcheongnam-do, Korea to confirm the superiority as a feed additive through a microbial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able 1 is a test report for the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microbial population of the feed additiv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ysine, propolis, and molasses were fed at the same time as the feed of the complex microbial spawn, the microbial spawn was cultured ,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At least 3.0 x 10 9 population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 Table 2 is a test report for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microbial population of the feed additive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 Comparative Example 1 As shown in the related art, molasses was used as a culture feed for microorganisms, and the microorganism spawn was cultured. Compared with Table 1 and Table 2, the population of microorganism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lysine, propolis, and molasses were added together. Therefore, when lysine, propolis, and molasses are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culture feed of the microorganism,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population of the microorganism.
  • Table 3 is a test report for the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microbial population of the feed additive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 the feed additive is prepared by mixing ratios of 0.7 to 0.9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e microorganism spawn, 0.1 to 0.3 parts by weight of lysine, 0.1 to 0.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and 4.5 to 6.5 parts by weight of molasse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pare a feed additive with a large increase i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 Figure 2 is a graph comparing the daily weight gain (Kg) appearing when feed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1, commercial probiotics and general feed to livestock, where the weight gain refers to an increase in weight over a period of time.
  • 2 is a feed additiv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microbial feed additives It can be seen that it is more effective in raising livestock weight than general feed and commercial probiotics.
  • Figure 3 is a graph comparing the feed efficiency (%) of the feed efficiency (%) of the above-mentioned Example 1 and commercial feed and commercial feed of the commercial feed, where the feed efficiency is the weight gain when a certain feed is given to the growing livestock And the ratio of feed intake.
  • the feed efficiency is the weight gain when a certain feed is given to the growing livestock And the ratio of feed inta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을 배양하고, 배양된 액상 물질의 pH 값이 소정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사료 첨가제를 완성한다.

Description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오염원 중 하나인 축산 폐기물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 가축의 분뇨와 축산폐수 배출시설을 청소한 물을 총칭하는 축산 폐수로 인해 지하수 오염과 악취때문에 축사 인근 주민들이 피해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가축 분뇨 중의 질소 및 인의 함량 감소와 함께 악취제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축의 생육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는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설사와 각종 질병들의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병원균이 항생제에 스스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기르게 되어 점점 내성이 강해져 어떠한 강력한 항생제에도 불구하고 이에 저항할 수 있는 슈퍼박테리아를 발생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일부 항생제 품목을 사료에 첨가하지 못하도록 강력한 제재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 필요하게 되었고 현재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은 미생물을 이용한 생균제이다. 생균제는 유해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 증진을 통해 가축의 생산성을 증진하기 위해 가축에게 급여되는 살아있는 젖산균으로 가축에게 급여시 장내의 유익균을 증가시켜 면역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이러한 생균제에 포함된 유익한 미생물들은 악취 감소, 황화수소(H2S) 및 암모니아(NH3) 발생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종래의 문제점들의 해결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9903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고초균, 젖산균 및 효모를 각각 분리하여 배양하는 배양 단계를 거쳐 배양된 미생물 또는 그의 배양액을 고초균 30~70 중량%, 젖산균 20~40 중량% 및 효모 10~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뒤, 염화망간(MnClX), 구연산(C6H8O7) 및 소르빈산칼륨(C6H7O2K)을 염화망간 0.5 중량%, 구연산 0.2 중량% 및 소르빈산칼륨 0.04 중량% 비율로 함께 혼합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고 있다. 이 종래기술은 각 미생물마다 배양시간, 배양온도, 초기 pH, 탄소원 영향, 질소원 영향, 무기염류의 영향을 고려한 배양조건에서 미생물들을 각각 다르게 배양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종래기술 등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사료 첨가제는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시간이 길어짐에도 불구하고 사료 첨가제에 포함된 유익균의 개체수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료 첨가제가 소와 같은 반추동물에 투여되면 반추동물의 장에 도달하기 전에 사료 첨가제에 포함된 유익균이 사멸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은 사료 첨가제의 제조 과정에서 염화망간, 구연산 및 소르빈산칼륨 등 화학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간단한 제조공정을 통해 유익균의 개체수를 단시간 내에 증가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과 함께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을 배양용기에 투입하는 투입 단계, 배양 용기에 투입된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배양용기에 투입된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는 배양 단계, 배양 단계에서 배양된 액상 물질의 pH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측정 단계에서 pH 값이 소정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사료 첨가제를 완성하는 여과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를 투입할 수 있고, 상기 배양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해 0.7~0.9 중량부를 갖는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양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를 간헐적으로 교반하면서 동시에 폭기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양 단계는 제 1 시간 동안 상기 교반과 폭기를 실시한 후에 상기 제 1 시간보다 더 긴 제 2 시간 동안 상기 교반과 폭기를 중단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간헐적인 교반과 폭기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배양 단계는 상기 배양액의 온도를 35~45℃ 범위 내에서 유지하면서 상기 간헐적인 교반과 폭기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미생물 종균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슨스(Pseudomonas fluorescens), 및 아스페길르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측정 단계에서 pH 값이 3 ~ 4.5의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사료 첨가제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측정 단계에서 pH 값이 소정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필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여과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로부터 사료 첨가제에 해당하는 액상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상기 복합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을 배양함으로써 미생물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다.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해 0.7~0.9 중량부를 갖는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함으로써 미생물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된 사료 첨가제를 단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따라 정수 단계(10), 투입 단계(20), 배양 단계(30), 측정 단계(40), 및 여과 단계(50) 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공정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 공정 중 어떠한 공정도 화학물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사료 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전체 사육기간 중 1일 증체량을 다른 예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전체 사육기간 중 사료효율을 다른 예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라이신(Lysine), 프로폴리스(Propolis), 당밀(Molasses), 및 물(Water)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을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을 배양하고, 배양된 액상 물질을 여과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 ~ 0.9 중량부, 라이신 0.1 ~ 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 ~ 0.3 중량부 ,및 당밀 4.5 ~ 6.5 중량부를 혼합하며, 배양 온도는 35 ~ 45℃ 범위로 유지하면서 간헐적인 교반과 폭기를 실시하여 배양한다.
사료 첨가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을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의 성질과 용도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고초균(호기성균의 일종으로 독성이 없으며 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이라고 불리며, 바실루스속에 속하는 대표적인 세균종의 일종으로 토양, 건초, 먼지 등 자연계에서 널리 분포하며 호기성 미생물에 해당된다. 이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생산하며 장내 유익균을 증가 시키고, 악취와 해충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료 효율 및 증체 효과에 탁월하여 가축의 건강한 생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은 내염성 젖산균(글루코오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 유산균)으로써, 통성혐기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은 부산물로 유기산을 생성하며 세균성 장염을 예방하고, 체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장 내의 해로운 균과 식품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들어온 다른 세균들의 증식을 억제하여 장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설사와 변비를 예방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사료 효율 및 소화율을 증대 시킨다. 또한, 가축의 분뇨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발생을 억제하여 악취를 제거한다.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는 자낭균류(균류 중에서 유성생식에 의해서 자낭을 형성하여 자낭포자를 만드는 균)에 속하는 대표적인 효모로써, 빵효모나 맥주효모를 비롯하여 양조에 사용하는 효모의 대부분은 이 종의 근연이라고 할 수 있다.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는 아미노산, 비타민, 광물질, 및 소화효소 등과 같은 유용한 생리 활성물질을 공급하며 효모 자체의 대사활동을 증진시켜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발효를 촉진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고 기호성을 증진시킨다. 전술한 기호성은 동물이 사료를 찾고 섭취하는데 느낄 수 있는 특성으로 사료의 외형, 맛, 냄새, 조직,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한 결과로 나타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복합 미생물 종균은 콩물, 당밀, 쌀 등으로부터 채취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이외에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슨스(Pseudomonas fluorescens), 아스페길르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등과 같은 다양한 종균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 미생물 종균에는 일반적으로 각 미생물 균주가 1 ~ 2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져 있으며 각 미생물 균주의 개체수는 약 102 ~ 103 cfu/g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복합 미생물 종균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 0.7 ~ 0.9 중량부로, 0.7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배양에 필요한 미생물들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배양 단계를 통한 미생물 개체수의 증식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되어 최종 사료 첨가제의 유익균의 수가 줄어 들 수 있으며, 0.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생물의 비율이 미생물들의 배양 먹이로 사용되는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의 비율보다 높아지게 되어 미생물들이 충분한 먹이활동을 통한 증식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복합 미생물 종균에 포함된 배지가 과량 혼합됨에 따라 부산물에 따른 배양액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
라이신(Lysine)은 염기성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성장과 발육을 촉진하는 성장촉진제 역할을 하며 리신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에서 라이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등 과 같은 복합 미생물 종균의 배양 먹이로 이용되어 복합 미생물 종균의 성장을 촉진하여 유익균 개체수 증가에 도움을 준다. 복합 미생물 종균의 배양 먹이로 사용되고 남은 일부 라이신은 그대로 사료 첨가제에 남아 가축의 성장 촉진제 역할을 한다. 라이신은 가축의 성장과 발육을 촉진해 주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성장 호르몬에 관여하여 가축의 성장을 촉진한다. 또한, 라이신은 미생물들의 번식을 돕고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는 일 이외에도 가축 배설물의 질소 함유량을 줄여 암모니아 등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라이신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 0.1 ~ 0.3 중량부로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배양 단계에서 복합 미생물 종균의 배양 먹이로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미생물들의 증식 효율이 떨어지고, 가축의 성장 촉진제 역할에도 어려움이 있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배양에 의한 사료 첨가제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라이신의 양이 0.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배양액 내의 미생물들의 서식 및 번식 공간이 부족하여 미생물들의 증식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가축의 성장 촉진제 역할을 하는 라이신을 과량 섭취한 가축의 경우 비 이상적인 성장을 야기 할 수도 있다.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써 프로폴리스의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이 가장 많고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테르펜류 등은 항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양 단계에서 복합 미생물 종균의 먹이로 사용되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등의 유익균 개체수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프로폴리스의 일부는 그대로 남아서 가축에게 급여되어 항염, 항산화, 및 면역력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0.1 ~ 0.3 중량부로 0.1 미만일 경우 배양 단계에서 복합 미생물 종균의 먹이로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미생물들의 증식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천연 항생제로의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배양에 의한 사료 첨가제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프로폴리스의 양이 0.3 중량부 이상일 경우 배양액 내의 미생물의 서식 및 번식 공간이 부족하여 미생물들의 증식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미생물의 먹이로 사용되고 남은 프로폴리스가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과도한 항생제 성분 추가에 따른 발열, 심박수 증가 등의 부작용 및 가축 성장에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당밀(Molasses)은 사탕수수나 사탕무 등에서 분밀·정제·결정화 등의 공정을 거쳐 설탕을 제조하는 제당과정에서 설탕을 뽑아내고 남는 검은 빛을 띠는 시럽상의 액체로, 20 ~ 30%의 수분을 포함하며 주성분은 당분이다. 당밀은 원료에 따라 사탕수수 당밀, 사탕무 당밀, 옥수수 당밀, 감귤 당밀, 수수 당밀, 및 목재 당밀 등으로 구분하며 가축 사료에 약 5 ~ 10%를 사용한다. 당밀은 식이섬유, 엽산, 단백질, 비타민, 및 칼륨 등 다양한 영양성분을 가지는 물질로 본 발명에서는 복합 미생물 종균의 배양 먹이로 사용된다.
당밀은 액상의 점성물질로 점도가 500Pa·s 로 물 1mPa·S(20℃기준) 비해 점도가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당밀을 40℃에서 별도로 녹여 배양 용기에 투입한다. 또한, 당밀을 대체하여 복합 미생물 종균의 배양 먹이로 포도당과 흑설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비교적 구하기 용이하고 원가부담이 적은 당밀을 사용하여 비용절감 효과를 얻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밀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 4.5~6.5 중량부로 4.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배양 단계에서 복합 미생물 종균의 배양 먹이로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미생물들의 증식 효율이 떨어 질 수 있으며, 당밀이 6.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배양액 내의 미생물의 서식 및 번식 공간이 부족하여 미생물들의 증식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점도가 높은 당밀을 과도하게 사용 할 경우 배양된 액상물질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품의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합 미생물 종균, 라이신, 프로폴리스, 및 당밀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모두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은 원재료들의 용매로 사용되고 있다. 물은 항온동물의 체온 조절에 관여할 만큼 큰 비열을 지니고 있어 온도 등의 상태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다른 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용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를 혼합하며 제조되며 전술한 성분들의 혼합 비율은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는 최적의 조건으로써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은 정수 단계(10), 투입 단계(20), 배양 단계(30), 측정 단계(40), 및 여과 단계(50)로 구성된다.
정수 단계(10)에서는 수돗물로부터 염소 등과 같은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돗물을 정화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정수 단계(10)에서는 수돗물을 배양 용기와는 별도로 마련된 가열 용기 내에 투입하여, 60 ~ 80℃의 온도 범위에서 3 ~ 2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정화할 수 있다. 수돗물에는 염소(Cl), 불소(F),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기타 부산물, 및 특정 유용균 이외의 혼입된 잡균이 포함되어 있다. 정수 단계(10)에서는 수돗물로부터 이러한 염소, 잡균, 및 기타 부산물을 제거함으로써 수돗물을 미생물들의 증식에 적합한 물로 정화한다.
투입 단계(20)에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을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과 함께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을 배양용기에 투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 단계(20)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를 투입한다. 이러한 투입 단계(20)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따른다. 먼저, 정수 단계(10)에서 정화된 물을 식혀서 물의 온도가 미생물의 최적 배양온도인 약 40℃ 부근에 도달하면 배양용기에 투입될 물의 총량의 약 80%에 해당하는 물을 배양 용기에 투입한다.
이어서, 약 40℃로 녹인 당밀을 배양 용기에 투입한 후에 복합 미생물 종균, 라이신, 및 프로폴리스를 배양 용기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복합 미생물 종균, 라이신, 및 프로폴리스보다 당밀을 먼저 투입하는 이유는 당밀은 점도가 높아 복합 미생물 종균, 라이신, 및 프로폴리스보다 늦게 투입될 경우에 당밀 특유의 점성으로 인해 투입 물질간의 균질 혼합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배양 용기의 약 85%에 해당하는 공간이 찰 때까지 배양용기에 투입될 물의 총량의 약 20%에 해당하는 물을 배양 용기에 투입한 후에 배양 용기의 뚜껑을 닫는다.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이 혼합된 배양액에 원활하게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양 용기의 약 15%에 해당하는 공간은 비워두어야 한다. 배양 용기의 약 15%에 해당하는 공간을 정확하게 비우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두 번에 나누어서 배양 용기에 투입된다.
배양 단계(30)에서는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이 포함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배양용기에 투입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을 배양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주로 당밀을 먹이로 하여 미생물 종균을 배양한다. 후술될 시험예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밀만을 투입하는 경우에 비해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을 함께 투입하는 경우에 미생물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72 시간 동안만 전술된 바와 같은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는 것만으로 후술될 시험예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생물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배양 단계(30)에서는 배양 온도를 35~45℃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를 간헐적으로 교반하면서 동시에 폭기를 실시함으로써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한다. 후술될 시험예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술된 바와 같은 성분비로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할 경우에 단시간 내에 미생물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된다. 특히, 이러한 미생물 개체수의 폭발적 증가를 위해서는 교반과 폭기가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배양액의 교반은 배양액을 휘젖는 도구 등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배양액의 폭기는 배양 용기 내부에 설치된 에어 펌프 등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배양액의 교반 시간이 지나치게 길면 미생물이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어 미생물 개체수의 증가가 더디며 배양액의 교반 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배양액 내에 먹이가 편중되어 위치하여 미생물 개체수의 증가가 더디게 된다. 배양액의 폭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면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혐기성 미생물이 사멸되어 미생물 개체수의 증가가 더디며 배양액의 폭기 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미생물이 사멸되어 미생물 개체수의 증가가 더디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 단계(3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서 미생물 개체수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배양 단계는 약 2 시간 동안 교반과 폭기를 실시한 후에 약 4 시간 동안 교반과 폭기를 중단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간헐적인 교반과 폭기를 실시한다. 교반과 폭기를 중단하는 시간이 교반과 폭기를 실시하는 시간보다 2배 정도 더 긴 이유는 미생물이 먹이를 먹는 시간보다 미생물이 대사 활동 후에 충분한 휴식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이 더 길어야 미생물의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측정 단계(40)에서는 pH 측정기를 이용하여 배양 단계(30)에서 배양된 액상 물질의 pH를 측정한다. 배양 단계(30)에서 배양된 액상 물질에 pH 측정기를 담근 상태로 액상 물질의 pH를 측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배양 단계(30)에서 배양된 액상 물질을 소량 채취하여 pH 측정기로 측정할 수도 있다. pH 측정값이 3 ~ 4.5 사이인 경우 배양된 액상 물질을 여과하여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며, 배양된 액상 물질은 향초 향과 시큼한 맛을 내는 특징이 있다. 반면, 배양 단계(30)에서 배양된 액상 물질의 pH 측정값이 3 ~ 4.5 사이가 아닌 경우 배양된 액상 물질은 폐기 처리된다.
여과 단계(50)에서는 측정 단계(40)에서 pH 값이 소정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사료 첨가제를 완성한다. 여기에서, 소정 범위는 3 ~ 4.5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여과 단계(50)는 측정 단계(40)에서 pH 값이 3 ~ 4.5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필터로 여과할 수 있다.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필터는 아크릴 소재로 제작된 용기의 바닥에 200 메시 크기의 구멍을 여러 개를 뚫어서 제작될 수 있다. pH 값이 3 ~ 4.5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이 이러한 용기 형태의 필터에 투입되면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액상물질이 사료 첨가제가 된다.
측정 단계(40)에서는 pH 값이 3 ~ 4.5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에는 가축에게 유익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라이신, 프로폴리스 외에 종균이 먹고 남은 당밀과 잔여 부산물이 포함되어 있다. 액상 물질 내의 당밀은 쉽게 썩는 성질을 갖고 있어 액상 물질 내에 많은 양의 당밀이 포함되어 있으면 액상 물질을 장기간 보관하는 과정에서 액상 물질이 변질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액상 물질 내의 잔여 부산물도 액상 물질을 장기간 보관하는 과정에서 액상 물질을 변질시킨다.
따라서, pH 값이 3 ~ 4.5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 내의 당밀과 잔여 부산물은 사료 첨가제를 변질시키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 전술된 복합 미생물 종균, 라이신, 프로폴리스는 200 메시 크기의 구멍을 통과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반면, 당밀과 잔여 부산물은 200 메시 크기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pH 값이 3 ~ 4.5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액상 물질 내의 당밀과 잔여 부산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 단계(50)를 거친 사료 첨가제에는 당밀과 잔여 부산물이 포함되어 있기 않기 때문에 사료 첨가제의 변질이 방지되어 사료 첨가제의 상태가 오랜 기간동안 보존될 수 있다. 일례로, 사료 첨가제를 6 개월 동안 보관하여도 썩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유익균의 개체수도 거의 변동이 없었다.
한편, pH 값이 3 ~ 4.5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로부터 본 발명에 불필요한 성분과 부산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여과 과정이 여러 차례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4 개의 필터를 준비하고, pH 값이 3 ~ 4.5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4 개의 필터에 차례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필터에 의해 여과된 액상물질은 다음 필터에 넘어가서 여과되게 된다. 4 번째 필터를 통과한 액상물질은 사료 첨가제에 해당하며 보관용기에 담겨져 시장에 출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따라 정수 단계(10), 투입 단계(20), 배양 단계(30), 측정 단계(40), 및 여과 단계(50) 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공정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 공정 중 어떠한 공정도 화학물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사료 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료 첨가제의 사용법은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사료에 첨가할 시에는 사료양의 0.5%에 해당하는 양을 사료 위에 뿌려줌으로써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으며, 음수에 사용할 시에는 음수양의 0.5%에 해당하는 양을 음수 용기에 투입한 뒤흔들어 혼합하여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 있더라도 전술된 실시예의 내용을 따른다. 수돗물 1000Kg을 가열 용기에 넣고, 80℃로 가열하여 12시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물을 천천히 식히면서 물의 온도가 40℃ 범위에 도달하면 배양용기에 물 800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에 당밀 50Kg, 복합 종균 7.5Kg, 라이신 1.5Kg, 및 프로폴리스 1.5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에 남은 물 200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 내의 배양액에 대해 교반 및 폭기를 2시간 동안 실시한 후에 교반 및 폭기를 4시간 동안 중지시키는 과정을 총 72시간 동안 반복하였으며, 배양액의 온도는 40℃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pH 값이 4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필터를 이용하여 총 4회 여과하였고, 4번째 필터를 거친 액상 물질을 보관 용기에 담아 사료 첨가제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예 1>
전술된 실시예 1에 대해 다음과 같이 조건을 변경하여 비교예 1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수돗물 1000Kg을 가열 용기에 넣고, 80℃로 가열하여 12시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물을 천천히 식히면서 물의 온도가 40℃ 범위에 도달하면 배양용기에 물 800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에 당밀 50Kg과 복합 종균 7.5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에 남은 물 200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 내의 배양액에 대해 교반 및 폭기를 2시간 동안 실시한 후에 교반 및 폭기를 4시간 동안 중지시키는 과정을 총 72시간 동안 반복하였으며, 배양액의 온도는 40℃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pH 값이 4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필터를 이용하여 총 4회 여과하였고, 4번째 필터를 거친 액상 물질을 보관 용기에 담아 사료 첨가제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예 2>
전술된 실시예 1에 대해 다음과 같이 조건을 변경하여 비교예 1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수돗물 1000Kg을 가열 용기에 넣고, 80℃로 가열하여 12시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물을 천천히 식히면서 물의 온도가 40℃ 범위에 도달하면 배양용기에 물 800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에 당밀 50Kg, 복합 종균 7.5Kg, 라이신 3.5Kg, 및 프로폴리스 4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에 남은 물 200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배양용기 내의 배양액에 대해 교반 및 폭기를 2시간 동안 실시한 후에 교반 및 폭기를 4시간 동안 중지시키는 과정을 총 72시간 동안 반복하였으며, 배양액의 온도는 40℃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pH 값이 4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필터를 이용하여 총 4회 여과하였고, 4번째 필터를 거친 액상 물질을 보관 용기에 담아 사료 첨가제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시험예 1>
아래 개시한 표 1의 결과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대전광역시에 위치한충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센터에서 시험한 결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사를 통해 사료첨가제로써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검사항목 단위 검사결과
Bacillus subtilis cfu/g 3.0 × 109
Lactobacillus plantarum cfu/g 2.0 × 1010
Saccharomyces cerevisiae cfu/g 7.0 × 109
표 1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사료 첨가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미생물 개체수에 대한 검사 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서 복합 미생물 종균의 먹이로 라이신, 프로폴리스, 및 당밀을 동시에 투입하여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한 경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미생물의 개체수가 최소 3.0 ×109개 이상 검출되었다.
<시험예 2>
검사항목 단위 검사결과
Bacillus subtilis cfu/g 5.0 × 106
Lactobacillus plantarum cfu/g 4.0 × 106
Saccharomyces cerevisiae cfu/g 1.5 × 107
표 2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사료 첨가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미생물 개체수에 대한 검사 성적서이다.
비교예 1은 종래기술과 같이 당밀을 미생물의 배양 먹이로 하여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였다. 표 1과 표 2의 비교를 통해 당밀만을 투입하는 경우에 비해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을 함께 투입하는 경우에 미생물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미생물의 배양 먹이로 라이신, 프로폴리스, 및 당밀을 동시에 투입할 경우에 미생물의 개체수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검사항목 단위 검사결과
Bacillus subtilis cfu/g 4.0 × 107
Lactobacillus plantarum cfu/g 6.0 × 108
Saccharomyces cerevisiae cfu/g 4.0 × 108
표 3은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사료 첨가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미생물 개체수에 대한 검사 성적서이다.
비교예 2의 경우, 복합 미생물 종균의 먹이로 라이신, 프로폴리스, 및 당밀을 동시에 투입하여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혼합비율과는 다르게 라이신과 프로폴리스의 양을 과량 투입하여 배양하였다. 그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미생물의 개체수가 표 1가 비교하여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의 혼합 비율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경우 같은 시간 내에 미생물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다.
<시험예 4>
도 2는 전술된 실시예 1, 시판되는 생균제 및 일반사료 각각을 가축에게 급여했을 시에 나타나는 1일 증체량(Kg)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여기에서 증체량은 일정기간 동안 증가한 체중을 말한다. 도 2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미생물의 개체수가 많은 사료 첨가제가 일반 사료 및 시중 생균제보다 가축의 증체량을 높이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도 3은 전술된 실시예 1의 사료효율(Feed Efficiency)(%)과 시판되는 생균제와 일반사료의 사료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여기에서 사료효율은 성장 중인 가축에 어떤 사료를 주었을 경우의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의 비율을 말한다. 도 3을 통해 같은 양의 사료를 섭취 한 경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유익균의 개체수가 많은 사료 첨가제가 시중 생균제와 일반사료와 비교하여 우수한 사료효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라이신, 프로폴리스, 및 당밀을 동시에 복합 미생물 종균의 배양 먹이로 사용할 경우 복합 미생물 종균의 개체수 증진에 효과적이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혼합 비율을 따를 경우 개체수 증진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을 예증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포함하는 다수의 미생물이 복합된 종균과 함께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을 배양용기에 투입하는 투입 단계;
    상기 배양 용기에 투입된 라이신, 프로폴리스, 당밀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배양용기에 투입된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는 배양 단계;
    상기 배양 단계에서 배양된 액상 물질의 pH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상기 측정 단계에서 pH 값이 소정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사료 첨가제를 완성하는 여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를 투입하고,
    상기 배양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해 0.7~0.9 중량부를 갖는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복합 미생물 종균 0.7~0.9 중량부, 라이신 0.1~0.3 중량부, 프로폴리스 0.1~0.3 중량부 및 당밀 4.5~6.5 중량부를 간헐적으로 교반하면서 동시에 폭기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복합 미생물 종균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 단계는 제 1 시간 동안 상기 교반과 폭기를 실시한 후에 상기 제 1 시간보다 더 긴 제 2 시간 동안 상기 교반과 폭기를 중단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간헐적인 교반과 폭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 단계는 상기 배양액의 온도를 35~45℃ 범위 내에서 유지하면서 상기 간헐적인 교반과 폭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미생물 종균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슨스(Pseudomonas fluorescens), 및 아스페길르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측정 단계에서 pH 값이 3 ~ 4.5 의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사료 첨가제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측정 단계에서 pH 값이 소정 범위 내로 측정된 액상 물질을 200 메시 크기의 다공을 갖는 필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여과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로부터 사료 첨가제에 해당하는 액상 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
PCT/KR2016/002920 2015-03-24 2016-03-23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5326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07A KR101907194B1 (ko) 2015-03-24 2015-03-24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5-0040907 2015-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3267A1 true WO2016153267A1 (ko) 2016-09-29

Family

ID=5697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920 WO2016153267A1 (ko) 2015-03-24 2016-03-23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7194B1 (ko)
WO (1) WO20161532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5979A1 (de) 2019-12-13 2021-06-17 Viessmann Werke Gmbh & Co. Kg Batterie mit temperaturmesseinrichtung
CN113881600A (zh) * 2021-10-29 2022-01-04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两种不同杆菌同时进行培养的液体培养基及其培养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41B1 (ko) * 2018-01-29 2019-04-22 서명수 내열성이 우수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0145B1 (ko) * 2019-01-31 2021-02-01 주식회사 슈퍼바이오 칼슘 강화된 내열성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2168721B1 (ko) * 2019-09-26 2020-10-22 아이코튼 주식회사 친환경 발효 원료를 이용한 미생물 혼합 배양 방법
KR102575766B1 (ko) * 2020-10-20 2023-09-08 대한민국 락토코커스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악취 저감용 사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038A (ja) * 1997-12-30 2002-01-08 エルベ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微生物、それを得るための方法、及び飼料添加剤
KR20070074702A (ko) * 2006-01-10 2007-07-18 씨제이 주식회사 과립화에 의한 라이신 발효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동물 사료보충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23837A (ko) * 2007-09-03 2009-03-06 한용옥 양식어(養殖魚)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2291A (ko) * 2010-09-01 2012-03-12 한국과학기술원 흑운모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생육촉진용 가축사료 첨가제
KR101165686B1 (ko) * 2011-12-09 2012-07-1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친환경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전복 박리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6558A1 (en) * 2008-01-31 2009-09-10 C & R Biotek, Llc Organic/natural poultry feed additive
AU2009333848B2 (en) * 2008-12-16 2016-02-18 Biomerieux, Inc. Method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on solid or semi-solid medi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038A (ja) * 1997-12-30 2002-01-08 エルベ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微生物、それを得るための方法、及び飼料添加剤
KR20070074702A (ko) * 2006-01-10 2007-07-18 씨제이 주식회사 과립화에 의한 라이신 발효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동물 사료보충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23837A (ko) * 2007-09-03 2009-03-06 한용옥 양식어(養殖魚)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2291A (ko) * 2010-09-01 2012-03-12 한국과학기술원 흑운모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생육촉진용 가축사료 첨가제
KR101165686B1 (ko) * 2011-12-09 2012-07-1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친환경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전복 박리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5979A1 (de) 2019-12-13 2021-06-17 Viessmann Werke Gmbh & Co. Kg Batterie mit temperaturmesseinrichtung
CN113881600A (zh) * 2021-10-29 2022-01-04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两种不同杆菌同时进行培养的液体培养基及其培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19A (ko) 2016-10-05
KR101907194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3267A1 (ko)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 방법
CN100494093C (zh) 水产养殖营养调水剂
CN107176691A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缓释型微生物水质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9306329B (zh) 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WO2016182364A1 (ko) 복합 미생물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토양 개량제 및 그 제조 방법
CN103005159A (zh) 一种银杏叶生物饲料添加剂的制备方法
CN103184174B (zh) 培养基中含腐植酸钠饲料用枯草芽孢杆菌生物制剂的生产
CN109321505A (zh) 一种调节水产动物肠道的复合微生物制剂
CN110257292A (zh) 一种水产养殖用的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
CN109574254A (zh) 一种益生菌降解污水颜色的方法
CN106106352A (zh) 一种无抗生素皮特兰猪养殖方法
CN102907585B (zh) 一种中猪用益生素维生素预混料及配合料
CN108991229A (zh) 一种复合微生物营养酶素
KR100541379B1 (ko) 사료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124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334602B (zh) 畜禽使用的生物活性复合高效饲料营养液制备方法
JP2005245299A (ja) 新規な乳酸菌
CN112741210A (zh) 提高动物机体免疫功能的生物制剂及制备方法
TW201630530A (zh) 智慧水族魚缸
CN1197842A (zh) 有益微生物菌群微生物制剂
CN113678962B (zh) 一种水产养殖用微生态饲料添加剂及其使用方法
KR101252134B1 (ko) 소의 성장촉진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축우 사료의 제조방법
CN102726634A (zh) 一种海参用微生态饲料及其制备方法
CN110157648B (zh) 一种利用养猪行业废弃物资源的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CN101411319B (zh) 一种低排放生态养猪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69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EPC DATED 26.01.2018 (EPO FORM 1205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69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