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8399A1 - 전고체 이온 전지 - Google Patents

전고체 이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8399A1
WO2016108399A1 PCT/KR2015/009983 KR2015009983W WO2016108399A1 WO 2016108399 A1 WO2016108399 A1 WO 2016108399A1 KR 2015009983 W KR2015009983 W KR 2015009983W WO 2016108399 A1 WO2016108399 A1 WO 20161083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lymer
solid
polymer coating
ion battery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9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기석
황인상
정연식
유정근
전재범
전기웅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5/540,35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63281B2/en
Publication of WO20161083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83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 the all-solid-state battery replaces the liquid electrolyte used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a solid and does not generate any ignition or explosion due to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e, thereby greatly improving safety.
  • Li-metal or Li-alloy may be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nergy density of the mass and volume of the batter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output characteristics.
  •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 a solid electrolyte in powder form,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powder form is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lid electrolyte,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and a coating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 an all-solid ion battery comprising a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which can transfer ions and electrons.
  •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layer may include PEO (poly ethyleneoxide).
  •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layer may include a polyethylene oxide (PEO) -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block copolymer.
  • PEO polyethylene oxide
  • 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block copolymer
  •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and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may be softer tha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solid electrolyte,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lid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t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 the all-solid-state ion batter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10 having a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storing lithium ions when discharged.
  • a negative electrode 20 hav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storing lithium ions when charging.
  • the anode 10 is an electrode that receives electrons from an external conductor in the discharge process and is reduced in cathode material.
  • the anode 10 collects and sends electrons to an external conductor, and may insert and desorb lithium ions. It may include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having a structure, a solid electrolyte 40 and carbon (60).
  • the current collector 31 may include aluminum.
  • the negative electrode 20 is an electrode that emits electrons to the conductive wire as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is oxidized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and the current collector 32 which collects and sends the electrons to the external wire like the positive electrode 10 and the insertion and desorption of lithium ions It may include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a solid electrolyte 40 and carbon 6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 the current collector 32 may include copper.
  • the solid electrolyte 40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included in the positive electrode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0 may include a powder or powder form. Furthermore, the solid electrolyte 40 may be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and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membrane 70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1. In additio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may be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80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1 and electrons 2.
  • the solid electrolyte 40 is a medium through which mass transfer (ion, 1) occurs so that the reduc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10 or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20 is chemically coordinated.
  • mass transfer ion, 1
  •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layer 70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lid electrolyte 40 may include, for example, polyethylene oxide (PEO), polyether, polysaccharide, poly (vinyl alcohol), and poly (vinyl pyrrolidone) having excellent ion conductivity. , Poly (p-phenylene), Poly (propylene oxide), Poly (styrene), Poly (methyl methacrylate), Polyphosphazene, Poly (acrylamide), Poly (acrylic acid) and the like.
  • PEO polyethylene oxide
  • polyether polysaccharide
  • poly (vinyl pyrrolidone) having excellent ion conductivity.
  • Poly (p-phenylene) Poly (propylene oxide), Poly (styrene), Poly (methyl methacrylate), Polyphosphazene, Poly (acrylamide), Poly (acrylic acid) and the like.
  •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80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may include an ion conductive polymer 80a having excellent ion conductivity and an electron conductive polymer 80b having excellent electron conductivity.
  • it may include a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block copolymer PEO (polyethylene oxide) -PEDOT (polyethylene oxide) -PEDOT excellent in ion conductivity and electron conductivity.
  •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coated with the PEO-PEDOT block copolymer may serve as a movement path of the ions 1 and the electrons 2.
  • a portion coated with PEO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may serve as a passage for transferring ions 1
  • a portion coated with PEDOT may serve as a passage for transferring electrons 2.
  • the ion conductive polymer 80a may include, for example, polyethylene oxide (PEO), polyether, polysaccharide, poly (vinyl alcohol), poly (vinyl pyrrolidone), poly (p-phenylene), or poly () having excellent ion conductivity.
  • PEO polyethylene oxide
  • polyether polysaccharide
  • poly (vinyl alcohol) poly (vinyl pyrrolidone)
  • poly (p-phenylene) poly () having excellent ion conductivity.
  • propylene oxide Poly (styrene), Poly (methyl methacrylate), Polyphosphazene, Poly (acrylamide), Poly (acrylic acid) and the like.
  • the electron conductive polymer 80b may be, for example, polyacetylene (PA), poly (p-phenylene) (PPP), polyaniline (PANI), polythiophene (PTh), or poly (p-phenylene sulfide) (PPS).
  • PA polyacetylene
  • PPP poly (p-phenylene)
  • PANI polyaniline
  • PTh polythiophene
  • PPS poly (p-phenylene sulfide)
  • Polypyrrole PPy
  • poly (p-phenylene vinylene) PV
  • PMT poly (thienothiophene)
  • P3HT poly (3-hexylthiophene)
  • PFI polyfluorene
  • PCz poly (Carbazole)
  • PITN polyisothianaphthene
  • PQ polyquinoline
  • PTP poly (triphenylene)
  • PNap polynaphthalene
  • PTV poly (thienylene vinylene)
  • PAS polyacenes
  • PDTT poly (dithienothiophene)
  • 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 PFu polyfuran
  •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70 and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80 described above are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lid electrolyte 40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respectively, thereby the solid electrolyte 40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 Surface contact between the liver, ie, solid-solid, can be realiz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 the output of the all-solid-state ion battery can be increased, and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can be increased.
  •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70 and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80 may be softer tha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70 and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80 softer tha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absorb the volume change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thereby The output of a solid ion battery can be raised.
  • life characteristics of the all-solid-state ion battery can be increased.
  • a secondary battery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 not be charged,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it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dvanc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n operating voltage of 3.6 V,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nickel-cadmium batteries or nickel-hydrogen batteries, which are widely used as electronic equipment power sources, and is rapidly increasing in terms of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each prepared by coat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current collector.
  • the convention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as a risk of expanding and exploding the lithium ion battery by repeated charge and discharge reactions by using an electrolyte in a liquid or polymer form.
  • the all-solid-state ion battery which has no risk of explosion in terms of safety, replaces the liquid electrolyte used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a solid, and does not generate any ignition or explosion due to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e, thereby greatly improving safety.
  • Li-metal or Li-alloy may be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energy density with respect to the mass and volume of the battery may be improved. In addition, it can have a high output density.
  • FIG. 2 is an all-solid-state ion battery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solid electrolyte 40,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and carbon 60 that do not include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and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have.
  •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solid electrolyte 40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the point contact is made narrow in contact area. For this reas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ransfer of the ions 1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40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50 is not smooth.
  • the all-solid-state ion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that is,
  • solid-solid point contact can be realized by surface contact,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particles.
  • first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and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coating film absorb the volume change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at occurs du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all-solid-ion battery and increasing the lifesp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 및 출력특성이 향상된 전고체 이온 전지를 위하여, 파우더 형태의 고체 전해질, 파우더 형태의 전극활물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상기 전극활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과 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을 포함하는, 전고체 이온 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고체 이온 전지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고체 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차전지의 기술은 최근 현저한 발전을 통하여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나, 전지의 용량, 안전성, 출력, 대형화, 초소형화 등의 관점에서 현재 리튬이차전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전지들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재의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용량 측면에서 이론 용량이 매우 큰 금속-공기 전지 (metal-air battery), 안전성 측면에서 폭발 위험이 없는 전고체 전지 (all solid battery), 출력 측면에서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출력 특성이 우수한 슈퍼 캐퍼시터(supercapacitor), 대형화 측면에서는 NaS전지 혹은 RFB(redox flow battery), 초소형화 측면에서는 박막전지(thin film battery) 등이 학계 및 산업계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고체 전지는 기존에 리튬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액체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하며 전해액의 분해반응 등에 의한 발화, 폭발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음극 소재로 Li-metal 혹은 Li-alloy 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질량 및 부피에 대한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체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고체전해질의 이온전도성이 낮고, 액체 전해질을 사용할 때 보다 전극/전해질 계면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정성 및 출력특성이 향상된 전고체 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파우더 형태의 고체 전해질, 파우더 형태의 전극활물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상기 전극활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과 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을 포함하는, 전고체 이온 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전고체 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은 PEO(poly ethylene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고체 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은 PEO(polyethylene oxide)-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고체 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은, 상기 전극활물질 보다 소프트(soft)할 수 있다.
상기 전고체 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1+x+yAlx(Ti,Ge)2-xSiyP3-yO12(0<x<1,0<y<3), xLi2S-(100-x)P2S5(65<x<85,mol%)계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 전해질, LixMP2X12 (x=9,10 또는 11, A=Ge,Si,Sn,Al,P, X=O,S 또는 Se), Li3.25Ge0.25P0.75S4, Li6PS5X (x=F,Cl,Br,I), Li7P3S11 Li3.25P0.95S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활물질은 Li1+xM1-x-yAlyO2 (0<x<1, M=Co,Ni,Mn,Fe), LiMPO4 (M=Co,Ni,Mn,Fe), Li4Ti5O12, Graphite 및 LixNa4-xM3(PO4)2(P2O7) (0<x<3, M=Co,Ni,Fe,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성 및 출력특성이 향상된 전고체 이온 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는, 고체 전해질, 전극활물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는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상기 전극활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는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는, 방전할 시 리튬 이온을 저장하는 양극재를 구비하는 양극(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할 시 리튬 이온을 저장하는 음극재를 구비하는 음극(20)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10)은 방전과정시 외부 도선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양극재가 환원되는 전극으로, 전자를 모아서 외부도선으로 보내주는 집전체(current collector)(31),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반응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극활물질(50), 고체 전해질(40) 및 탄소(6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전체(31)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극(20)은 방전과정시 음극재가 산화되면서 도선으로 전자를 방출하는 전극으로, 양극(10)과 같이 전자를 모아서 외부도선으로 보내주는 집전체(32),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반응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극활물질(50), 고체 전해질(40) 및 탄소(6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전체(32)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양극(10)과 음극(20)에 포함되는 고체 전해질(40) 및 전극활물질(50)은 분말 또는 파우더(powder)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고체 전해질(40)은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1)을 전달할 수 있는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활물질(50)은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1)과 전자(2)를 전달할 수 있는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8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40)은 양극(10)의 환원 또는 음극(20)의 산화반응이 화학적 조화를 이루도록 물질이동(이온, 1)이 일어나는 매개체로써, 예컨대, Li1+x+yAlx (Ti,Ge)2-xSiyP3-yO12(0<x<1,0<y<3), xLi2S-(100-x)P2S5(65<x<85,mol%)계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 전해질, Li3.25Ge0.25P0.75S4, Li3.25P0.95S4, LixMP2X12 (x=9,10 또는 11, A=Ge,Si,Sn,Al,P, X=O,S 또는 Se), Li7P3S11, Li6PS5X (x=F,Cl,Br,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40)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는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70)은, 예를 들어,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PEO(polyethylene oxide), Polyether, Polysacchari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pyrrolidone), Poly(p-phenylene), Poly(propylene oxid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phosphazene , Poly(acrylamide), Poly(acryl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활물질(50)은, 예컨대, Li1+xM1-x-yAlyO2 (0<x<1,M=Co,Ni,Mn,Fe), LiMPO4 (M=Co,Ni,Mn,Fe), Li4Ti5O12, Graphite, LixNa4-xM3(PO4)2(P2O7) (0<x<3,M=Co,Ni,Fe,M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활물질(50)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는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80)은,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이온전도성 고분자(80a) 및 전자전도도가 우수한 전자전도성 고분자(8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전도도 및 전자전도도가 우수한 PEO(poly ethylene oxide)-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O-PEDOT 블록 공중합체로 코팅된 전극활물질(50)은 이온(1) 및 전자(2)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전극활물질(50)의 PEO로 코팅된 부분은 이온(1)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PEDOT로 코팅된 부분은 전자(2)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온전도성 고분자(80a)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PEO(polyethylene oxide), Polyether, Polysacchari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pyrrolidone), Poly(p-phenylene), Poly(propylene oxid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phosphazene , Poly(acrylamide), Poly(acryl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전도성 고분자(80b)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PA(polyacetylene), PPP(poly(p-phenylene)), PANI(polyaniline), PTh(polythiophene), PPS(poly(p-phenylene sulfide)), PPy(polypyrrole), PPV(poly(p-phenylene vinylene)), PMT(poly(3-methylthiophene)), PTT(poly(thienothiophene)), P3HT(poly(3-hexylthiophene)), PFI(polyfluorene), PCz(poly(Carbazole)), PITN(polyisothianaphthene), PQ(polyquinoline), PTP(poly(triphenylene)), PNap(polynaphthalene), PTV(poly(thienylene vinylene)), PAS(polyacenes), PDTT(poly(dithienothiophene)),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Fu(polyfur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70) 및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80)은 각각 고체 전해질(40) 및 전극활물질(50)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됨으로써, 고체 전해질(40)과 전극활물질(50)간의, 즉, 고체-고체 간의 면접촉을 구현하여,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전고체 이온 전지의 출력을 높일 수 있고, 수명특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70) 및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80)은, 전극활물질(50) 보다 소프트(soft) 할 수 있다. 전극활물질(50) 보다 소프트한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70) 및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80)은, 전고체 이온 전지의 충·방전 시 발생하는 상기 전극활물질의 부피변화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전고체 이온 전지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고체 이온 전지의 수명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 V로서, 전자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고, 전극조립체는 양극판, 음극판,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양극판과 음극판은 각각 집전체에 전극 활물질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액체 또는 폴리머 형태의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반복되는 충·방전 반응에 의해 리튬 이온 전지가 팽창을 하고, 폭발할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이에 안전성 측면에서 폭발 위험이 없는 전고체 이온 전지는 기존에 리튬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액체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하며 전해액의 분해반응 등에 의한 발화, 폭발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음극 소재로 Li-metal 혹은 Li-alloy 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질량 및 부피에 대한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출력밀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고체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고체전해질의 이온전도성이 낮고, 액체 전해질을 이용할 때 보다 전극/전해질 계면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의 상기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이 형성된 고체 전해질 및 상기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이 형성된 전극활물질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로,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을 포함하지 않는 고체 전해질(40) 및 전극활물질(50), 탄소(6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체 전해질(40) 및 전극활물질(50)이 서로 떨어져 있거나, 접촉 면적이 좁은 점접촉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체 전해질(40) 및 전극활물질(50) 간의 이온(1)의 전달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고체 이온 전지는, 상기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이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된 상기 고체 전해질 및 상기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이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된 상기 전극활물질간의, 즉, 고체-고체간의 점접촉을 면접촉으로 구현하여 입자간 접촉 면적을 넓혀줄 수 있다.
또한, 충·방전 과정 중 일어나는 전극활물질의 부피변화를 상기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상기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이 흡수함으로써, 전고체 이온 전지의 출력을 높이고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파우더 형태의 고체 전해질;
    파우더 형태의 전극활물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상기 전극활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며, 이온과 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을 포함하는, 전고체 이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은 PEO(polyethylene oxide)를 포함하는, 전고체 이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은 PEO(poly ethyleneoxide)-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전고체 이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 및 제 2 전도성 고분자 코팅막은, 상기 전극활물질 보다 소프트(soft)한, 전고체 이온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1 +x+ yAlx(Ti,Ge)2 - xSiyP3 - yO12(0<x<1,0<y<3), xLi2S-(100-x)P2S5(65<x<85,mol%)계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 전해질, LixMP2X12 (x=9,10 또는 11, A=Ge,Si,Sn,Al,P, X=O,S 또는 Se), Li3.25Ge0.25P0.75S4, Li6PS5X (x=F,Cl,Br,I), Li7P3S11 Li3.25P0.95S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활물질은 Li1+xM1-x-yAlyO2 (0<x<1, M=Co,Ni,Mn,Fe), LiMPO4 (M=Co,Ni,Mn,Fe), Li4Ti5O12, Graphite 및 LixNa4-xM3(PO4)2(P2O7) (0<x<3, M=Co,Ni,Fe,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고체 이온 전지.
PCT/KR2015/009983 2014-12-29 2015-09-23 전고체 이온 전지 WO201610839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40,351 US10263281B2 (en) 2014-12-29 2015-09-23 All-solid ion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288 2014-12-29
KR1020140192288A KR101668367B1 (ko) 2014-12-29 2014-12-29 전고체 이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8399A1 true WO2016108399A1 (ko) 2016-07-07

Family

ID=5628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9983 WO2016108399A1 (ko) 2014-12-29 2015-09-23 전고체 이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63281B2 (ko)
KR (1) KR101668367B1 (ko)
WO (1) WO2016108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6223B2 (en) 2019-05-09 2024-02-27 Global Graphene Group, Inc. Alkali metal-sulfur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conducting polymer network-protected cathode material particulates
US20200365902A1 (en) * 2019-05-14 2020-11-19 Nanotek Instruments, Inc. Conducting polymer network-based cathode-protecting layer for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CN110429269B (zh) * 2019-09-04 2022-03-15 中南大学 一种共混聚合物包覆的高镍三元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451658A (zh) * 2021-07-08 2021-09-28 林健峯 一种三维电极结构的全固态锂离子电池及其制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42A (ja) * 1997-06-19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固体リチウム電池
JP2004158286A (ja) * 2002-11-06 2004-06-03 Nichirin Co Ltd ポリ(3,4−エチレンジオキシチオフェン)を含有する正極材料複合体および該複合体からなる正極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50043674A (ko) * 2003-11-05 2005-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가 독립적인 상으로 코팅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 화학 소자
WO2012157119A1 (ja) * 2011-05-19 2012-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固体電池
KR20130000227A (ko) * 2011-06-22 2013-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140119250A (ko) * 2013-03-27 2014-10-10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양극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42A (ja) * 1997-06-19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固体リチウム電池
JP2004158286A (ja) * 2002-11-06 2004-06-03 Nichirin Co Ltd ポリ(3,4−エチレンジオキシチオフェン)を含有する正極材料複合体および該複合体からなる正極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50043674A (ko) * 2003-11-05 2005-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가 독립적인 상으로 코팅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 화학 소자
WO2012157119A1 (ja) * 2011-05-19 2012-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固体電池
KR20130000227A (ko) * 2011-06-22 2013-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140119250A (ko) * 2013-03-27 2014-10-10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양극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65877A1 (en) 2017-12-21
US10263281B2 (en) 2019-04-16
KR101668367B1 (ko) 2016-10-31
KR20160080455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1710B2 (en) All-soli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82683B1 (ko)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KR100941300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8512896B2 (en)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with surfactant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KR100289537B1 (ko) 리튬 이차전지
KR20150078432A (ko) 표면 처리된 양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20080058197A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6108399A1 (ko) 전고체 이온 전지
US10608257B2 (en)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KR20190032390A (ko) 축전 디바이스용 양극 및 축전 디바이스
CN112397765A (zh) 具有含电子导电聚合物的电极的固态电池
KR20200102613A (ko)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2093B1 (ko) 리튬-황 전지의 양극 활물질용 그라핀-황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7989109B2 (en)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EP3675266B1 (en) Battery cell in which gelled electrolyte component is included in pore of separator configuring electrode assembly
KR20110100301A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및 그 충전 방법
JP4880535B2 (ja) 電気化学的グラフティングモノマーを含む有機電解液、及びそ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KR20200036639A (ko)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KR101846727B1 (ko) 전극집전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WO2011016342A1 (ja) 固体電解質および固体電解質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CN102723458A (zh) 锂离子电池及其阴极极片
Goyal et al. Conductive polymer‐based coating layer on copper current collector for enhanced performance of Li‐ion battery
KR102540503B1 (ko) 전고체 전지용 바인더 용액
KR20190064000A (ko)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용 음극,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 및 상기 공중합체의 중합방법
KR20190013424A (ko)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5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4035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5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