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72764A1 -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 Google Patents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72764A1
WO2016072764A1 PCT/KR2015/011843 KR2015011843W WO2016072764A1 WO 2016072764 A1 WO2016072764 A1 WO 2016072764A1 KR 2015011843 W KR2015011843 W KR 2015011843W WO 2016072764 A1 WO2016072764 A1 WO 20160727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te
lever
door
door lock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18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여주희
Original Assignee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60727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727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and-pull type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drive unit installed therein in a simple yet robust manner, greatly improving durability and reliability, and enabling a variety of designs to further improve the overall appearance and aesthetics. It relates to a push and pull type door lock that can be improved.
  • the door lock generally includes a latch assembly for accessing the latch bolt in and out of the door frame, a cover connected to the latch assembly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door, and coupled to the cover and connected to the latch assembly to rotate the latch bolt by rotating the door. It is comprised by the lever which moves in and out of a frame direction.
  • a push-and-pull type door lock comprising a driving unit to open a door outside a latch bolt hole to be opened;
  • the drive unit 115 is rotatable to the lever core 11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osing plate 113 is fixed to the both sides of the door while being coupled to the lever shaft and the inside of the latch shaft while maintaining the latch housing so as not to flow in the axial center direction.
  • Gear bracket 116 is coupled to; A driving bevel gear 120 fixed to an end of the lever co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ear bracket; A driving shaft 121 installed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shaft center of the lever shaft at an outer side of the gear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lever; The push and pull of the lev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bevel gear 122 that is fixed to the driving shaft to rotate the driving bevel gear 120 forward and reverse, while be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ush-and-pull typ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ush-and-pul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nown latch assembly 90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includes a lever shaft 903 penetrating through the latch housing 902 having the latch bolt 901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thus is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drive unit 20 is coupled to the gear bracket 201 fixed to the plate 10 and the lever bracket 903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known latch assembly 90 constituting the door lock.
  • Driven bevel gear 202 and the gear bracket 201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er hole 201c of the c), and have a return means 50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rotating at an angle at an inner end thereof.
  • the driven bevel by engaging the driven shaft 203 and the driven bevel gear 202 so as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center of the lever shaft 903 at one end of the driven shaft 203.
  • a driving bevel gear 204 is fixed to the driving shaft 203 to rotate the gear 202 forward and backward.
  • the well known latch assembly 90 is embedded in the door 80 and the latch bolt 901 protruding to the tip of the latch housing 902 is coupled to the latch bolt hole formed in the latch plate fixed to the door frame. It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door 80 to keep the 80 closed.
  • the plate 10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20 so that the lever shaft 903 fitted to the latch assembly 90 installed in the door 80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20 ) Is fixedly installed.
  • the lever 30 is fixed to the driving shaft 203 of the drive unit 20, the closing cover 4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0 to conceal the drive unit 20.
  • the driving bevel gear 204 is engaged with the driven bevel gear 20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shaft 903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atch assembly 90 by the driving bevel gear 204.
  • the driven bevel gear 202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of the lever shaft 903 to move the lever shaft 903, and the latch housing 902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shaft 903.
  • the latch bolt 901 received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housing 902 enters into the latch housing 902, thereby leaving the latch bolt hole of the latch plate so that the door 80 can be opened.
  • the return means 50 provided with a return spring 501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driven bevel gear 202 rotated at an angle by the lever 30.
  • the driven bevel gear 202 is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n bevel gear 202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bevel gear 204 as opposed to when the door 80 is opened.
  • the lever 30 fixed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0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operation of the return means 50 having the return spring 501 is a latch assembly constituting a general door lock. Operation 90 and the return means 50 are the same,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push-and-pull typ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drive unit 20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to rotate the lever shaft 903 through the driven bevel gear 202 by pushing or pulling the lever 30
  • the gear bracket 201 is attached to the plate 10 by being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iece 201b of the gear bracket 201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plate 10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80.
  • the simple yet very robust installation provides ease of production and assembly and ensures durability, and is compatible with the latch assembly 90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xisting door 80. The cost and time for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an be greatly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ush-and-pull type door lock, and enable a variety of designs to improve the overall appearance and aesthetics.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계적 조작에 의하여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를 제어하여 도어의 개방을 가능케 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기계적 작동을 위하여 누름 또는 당김 동작을 수행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가능케 하여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본 발명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의 설치 구조를 간소하면서도 견고하게 개선하여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가능케 하여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부 출입구 또는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에 형성하여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결합하는 도어가 도어프레임과 결합상태를 지속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도어록이다.
이러한 도어록은 일반적으로 도어프레임 방향으로 래치볼트를 출입시키는 래치어셈블리와, 상기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도어의 양면에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결합하고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래치볼트를 도어프레임 방향으로 출입시키는 레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레버타입의 도어록은, 이용자가 레버를 잡고 래치볼트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정, 역회전시켜 래치볼트가 래치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래치하우징을 출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가 도어프레임에 형성되는 볼트홈에 결합 및 이탈되어 도어가 개폐된다.
이러한 레버타입의 도어록은 이용자가 항상 손으로 레버를 잡고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손에 물건 등을 휴대하여 레버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상이나 장애와 같은 신체적 이상에 의하여 레버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지 못하여 출입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래치볼트를 출입시키는 레버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거나 당겨서(Push & Pull) 래치볼트를 출입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도어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 출원인 역시 푸시 앤 풀 타입의 도어록에 관하여 특허 출원하여 특허 제10-1404510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의 구성을 명세서와 청구범위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와 결합하여 레버의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하여 레버샤프트를 정, 역회전시켜 래치볼트를 래치하우징으로 진입시켜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래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을 벗어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5)는, 레버샤프트와 내측이 결합 되고 래치하우징을 유지하면서 도어 양면에 밀착 고정되는 마감플레이트(113)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112)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중심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결합 되는 기어브라켓(116)과;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의 끝단에 고정하는 구동베벨기어(120)와;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측부에서 레버샤프트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레버와 연결되는 원동축(121)과; 상기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정, 역회전하면서 구동베벨기어(120)와 맞물려 구동베벨기어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에 고정되는 원동베벨기어(122)를 포함하는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선행하여 특허 등록받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이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레버를 잡고 밀고 당기는 형태 또는 손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밀어서 잠김 상태의 도어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축의 회전력을 베벨기어의 조합을 가진 구동부를 이용하여 레버샤프트의 회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레버샤프트가 래치어셈블리의 레치볼트를 동작시켜 도어의 개폐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원동베벨기어, 구동베벨기어, 원동축, 기어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구동부는 도어의 표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기어브라켓을 마감플레이트 외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구동부의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레버를 밀고 당기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보편적인 사용 과정에서 레버를 밀고 당기는 힘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이 구동부의 기어브라켓에 반복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체결나사에 의해 마감플레이트의 외면에 고정된 기어브라켓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기어브라켓과 마감플레이트 간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도어록이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고, 내구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의 외표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하는 금속재로 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하는 기어브라켓(201)과,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중심공(201c)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복귀수단(50)을 구비한 종동베벨기어(202)와,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일측 단부에서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원동축(203)과,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맞물려 상기 원동축(2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203)에 고정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포함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과 결합하는 결합부(302)를 핸들형으로 된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여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상기 원동축(203)을 회전케 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가능케 하여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구동부의 설치가 간소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가 마감커버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레버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도어록의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핵심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레버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품의 다양성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 단면도.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80)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계적 조작에 의하여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를 제어하여 도어(80)의 개방을 가능케 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기계적 작동을 위하여 누름 또는 당김 동작을 수행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는, 래치볼트(901)를 선단에 가지는 래치하우징(902)을 관통하는 레버샤프트(903)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미 공개되어 주지된 기술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기 위하여 금속재로 형성하고,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가 설치되는 도어(80)의 외표면에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하되, 중앙에는 통공(101)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101) 양측에는 한 쌍의 결합장공(103)을 수직으로 나란히 형성하고, 플레이트(10)를 도어(80)에 고정하는 나사가 투입되는 설치공(102)을 상기 통공(101) 주변에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하는 기어브라켓(201)과,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중심공(201c)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복귀수단(50)을 구비한 종동베벨기어(202)와,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일측 단부에서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원동축(203)과,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맞물려 상기 원동축(2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203)에 고정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0)의 기어브라켓(201)은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편(201a) 양측에 한 쌍의 지지편(201b)을 고정편(201a)과 직각이 되도록 일측으로 나란히 형성하여 평면에서 볼 때, 개략 "ㄷ"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편(201a)은 상기 플레이트(10)의 내면에 밀착하고, 기어브라켓(201) 양측의 지지편(201b)은 상기 플레이트(10)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장공(103)을 각각 관통하여 플레이트(1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편(201a) 중앙의 중심공(201c)에는 기어치가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종동베벨기어(202)를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의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종동베벨기어(20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1)과, 상기 복귀스프링(501)을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제한판(502)으로 구성되는 복귀수단(50)을 설치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편(201b) 간에는 원동축(203)을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원동축(203)에는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치합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고정 설치하여 원동축(203)의 회전력을 원동베벨기어(204)를 통해 종동베벨기어(202)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20) 종동베벨기어(202)와 원동베벨기어(204)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헬리컬기어 등과 같이 동력의 전달 방향을 90°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므로 베벨기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원동베벨기어(204)는 실질적으로 도어(80)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회전 각도가 종동베벨기어(202)는 약 80 내지 100°정도이고, 원동베벨기어(204)가 약 35 내지 55°정도이므로 실제 동력이 전달되는 부위에만 기어치를 형성한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30)는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과 결합하는 결합부(302)를 핸들형으로 된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302)의 하부에서 체결볼트를 투입하여 결합부(302)와 원동축(203)을 한꺼번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손잡이(301)의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레버(30)는 원동축(203)을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부(20)의 원동베벨기어(204)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맞물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하우징(902)에 대하여 노출된 래치볼트(901)를 래치하우징(902)의 내부로 진입시켜 도어(8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커버(40)는 상기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기 위하여 전면에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는 하우징부(4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401) 중앙에는 상기 구동부(20)와 결합하는 레버(30)의 결합부(302)가 투입되는 레버결합공(401a)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10)를 감싸면서 도어의 외표면에 플레이트(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플레이트(10)와 함께 도어(80)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와 마감커버(40)를 도어(80)에 동시에 고정 설치하는 나사의 머리 부분이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마감커버(40)에는 나사의 머리 부분이 내측으로 투입되는 설치공(402)을 형성하며, 마감커버(40)의 소재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형성하되, 미감 향상을 위하여 외표면에 도장층이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지된 래치어셈블리(90)는 도어(80)에 매립 설치되어 래치하우징(902)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래치볼트(901)가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래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에 결합하여 도어(8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8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도어(80)의 양면에는 상기 도어(80)에 상기 매립 설치된 래치어셈블리(90)에 끼워진 레버샤프트(903)가 구동부(20)에 결합하도록 상기 구동부(20)가 결합된 플레이트(1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에는 레버(3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면에는 마감커버(4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8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 이용자는 손이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레버(30)를 당기거나 밀어주면 레버(30)에 의해 원동축(203)이 회전함으로써 그 회전력이 상기 래치어셈블리(90)의 래치볼트(901)를 가동시켜 래치볼트(901)가 래치볼트홀을 벗어나게 함으로써 도어(8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레버(30)를 밀거나(Push) 당기면(Pull), 레버(30)의 결합부(302)와 고정 결합된 구동부(20)의 원동축(203)이 원동축(203)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동축(203)에 고정 설치된 원동베벨기어(204)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원동베벨기어(204)는 상기 래치어셈블리(90)에 일단부가 결합된 레버샤프트(903)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종동베벨기어(202)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원동베벨기어(204)에 의해 종동베벨기어(202)는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샤프트(903)를 움직이게 되고, 상기 레버샤프트(903)의 움직임에 의하여 래치하우징(902)에 수용되어 래치하우징(902)의 선단으로 노출된 래치볼트(901)가 래치하우징(902) 내부로 진입하게 되므로 래치플레이트의 래치볼트홀을 벗어나게 되어 도어(80)의 개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한편, 레버(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레버(30)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한 종동베벨기어(202)의 내측 단부에 설치된 복귀스프링(501)을 구비한 복귀수단(50)에 의해 종동베벨기어(202)가 원래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그 종동베벨기어(202)의 회전력은 도어(80)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원동베벨기어(204)로 전달되어 원동축(203)을 회전시킴으로써 원동축(203)과 고정 결합된 레버(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상기 복귀스프링(501)을 구비한 복귀수단(50)의 동작은 일반적인 도어록을 구성하는 래치어셈블리(90)와 복귀수단(50)의 동작 동일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레버(3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종동베벨기어(202)를 통해 레버샤프트(903)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20)의 경우에 도어(8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기어브라켓(201)의 지지편(201b)이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기어브라켓(201)이 플레이트(10)에 간소하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설치됨으로써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고,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래치어셈블리(90)와 호환되므로 기존의 도어(80)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설치비용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레버(30)의 경우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는 결합부(302)가 마감커버(4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손잡이(301) 부분은 다양한 디자인 가변성을 가질 수 있어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도어록을 제공할 수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면서 이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가능케 하여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의 외표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하는 금속재로 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하는 기어브라켓(201)과,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중심공(201c)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복귀수단(50)을 구비한 종동베벨기어(202)와,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일측 단부에서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원동축(203)과,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맞물려 상기 원동축(2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203)에 고정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포함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과 결합하는 결합부(302)를 핸들형으로 된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여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상기 원동축(203)을 회전케 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로 구성하여 상기 레버(30)의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는 통공(101) 양측에 한 쌍의 결합장공(103)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20)의 기어브라켓(201)의 고정편(201a)이 플레이트(10)의 내면에 밀착하고, 기어브라켓(201) 양측의 지지편(201b)이 상기 결합장공(103)을 통해 플레이트(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40)는 전면에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는 하우징부(4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401) 중앙에는 상기 구동부(20)와 결합하는 레버(30)의 결합부(302)가 투입되는 레버결합공(401a)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10)를 감싸면서 도어의 외표면에 플레이트(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플레이트(10)와 함께 도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CT/KR2015/011843 2014-11-06 2015-11-05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WO201607276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77A KR101610932B1 (ko) 2014-11-06 2014-11-06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2014-0153777 2014-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764A1 true WO2016072764A1 (ko) 2016-05-12

Family

ID=5590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1843 WO2016072764A1 (ko) 2014-11-06 2015-11-05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0932B1 (ko)
WO (1) WO2016072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76B1 (ko) * 2017-05-02 2018-08-07 오성곤 방범 프레임용 록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548B1 (ko) * 2019-06-18 2020-08-06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551A (ja) * 2006-12-13 2008-06-26 Hokuden Kogyo Kk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JP2011089342A (ja) * 2009-10-23 2011-05-06 Hokuden Kogyo Kk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機構
KR101271518B1 (ko) * 2012-07-20 2013-06-05 (주)대양디앤티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375776B1 (ko) * 2013-09-05 2014-03-18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551A (ja) * 2006-12-13 2008-06-26 Hokuden Kogyo Kk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JP2011089342A (ja) * 2009-10-23 2011-05-06 Hokuden Kogyo Kk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機構
KR101271518B1 (ko) * 2012-07-20 2013-06-05 (주)대양디앤티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375776B1 (ko) * 2013-09-05 2014-03-18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76B1 (ko) * 2017-05-02 2018-08-07 오성곤 방범 프레임용 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932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8225A (zh) 插锁
WO2016072764A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20170027987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404510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JP2010084501A (ja) 引戸用錠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JP2007016550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JP6113765B2 (ja) 打掛錠
KR101998840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737035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2584586B1 (ko) 차량용 키 장치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1296443B1 (ko) 도어 조립체
KR101876832B1 (ko) 이중창용 도어핸들
JP2008208589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KR20047305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KR102282595B1 (ko) 언록킹 구조를 갖는 프로젝트 창문 손잡이
CN216409468U (zh) 门体及冰箱
CN214886172U (zh) 一种拨扭式单执手锁
CN219754287U (zh) 门窗侧装传动锁及具有其的门窗
KR100628562B1 (ko) 와이어동력을 이용한 출입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KR200370396Y1 (ko) 이중 밴드동력관계를 갖는 유리문용 잠금장치
CN210316906U (zh) 推拉式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571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571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