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52953A1 -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 Google Patents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52953A1
WO2016052953A1 PCT/KR2015/010210 KR2015010210W WO2016052953A1 WO 2016052953 A1 WO2016052953 A1 WO 2016052953A1 KR 2015010210 W KR2015010210 W KR 2015010210W WO 2016052953 A1 WO2016052953 A1 WO 20160529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h
formula
homopolymer
acrylate
acrylat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02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광승
이미린
박준욱
허은수
전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580051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715386B/zh
Priority to US15/508,809 priority patent/US10214598B2/en
Publication of WO20160529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529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19/0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at least one of the hydroxy groups esterified by a carboxylic acid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5/06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and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75/1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and saturated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03Monocarboxylic acids
    • C07C57/04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36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13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8/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18/04Vinyl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10Esters
    • C08F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efinitions

  •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copolymers and homopolymers comprising (meth) acrylate compounds, repeating units derived therefrom.
  • a polarizer is generally laminated with a protective film by using an adhesive on on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made of polyvinyl alcoh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VA') resin, which is usually dyed with dichroic dye or iodine for du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It has been used as a structure.
  • a aqueous adhesive consisting mainly of an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was used as the adhesive used to attach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 the water-based adhesive ha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and to overcome this, a method of using a non-aqueous adhesive has been proposed.
  • the non-aqueous adhesive may be divided into a heat curable adhesive and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 the transparent thin film layer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 an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can be used in common.
  • the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is a very useful material due to convenient workability and rapid curing in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process.
  • an acryl-type polymer or a methacryl-type polymer has been used conventionally as said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 the UV curable composi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at a fast curing speed, it cannot react for a sufficient time compared to thermosetting polymers and thermoplastic polymers due to this property, so that the molecular weight does not increase sufficiently, resulting in high elastic modulu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copolymers and homopolymers comprising (meth) acrylate compounds, and repeating units derived therefrom.
  • At least one of R1 and R2 is hydrogen, the other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L2 to L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 R1 and R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unsubstituted alkyl groupene having 1 to 10 carbon atoms, one of R1 and R2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n 1 or 2
  • a co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is provided.
  • a homo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provided.
  • the (meth) acrylate compo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advantage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s well as the storage modulus of the polymer obtained by UV curing.
  • the (meth) acrylat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and the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including the (meth) acrylate compound may be used to form an adhesive or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ing plate,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
  • FIG. 4 i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ment graph of Chemical Formula 7 of Comparative Example 4.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veloping a UV-curable polymer having a storage modulus of 3000 MPa or more, (meth) acrylate containing a compound containing an aziridine group in the molecule and acrylic acid, (meth) acrylic acid or hydroxy group (-OH) as a substituent
  • the (meth) acrylate compound of the novel structure prepared by reacting was developed, and it was found that a polymer resin having a high storage modulus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ould be prepared using the compound,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substituted means that a hydrogen atom bonded to a carbon atom of the compound is replaced with another substituent, and the position to be substituted is not limited to a position where the hydrogen atom is substituted, that is, a position where the substituent can be substituted, two or more substitutions If so, two or mor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or branched chain, carbon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30.
  • Specific examples include methyl, ethyl, propyl, n-propyl, isopropyl, butyl, n-butyl, isobutyl, tert-butyl, sec-butyl, 1-methyl-butyl, 1-ethyl-butyl, pentyl, n-pentyl , Isopentyl, neopentyl, tert-pentyl, hexyl, n-hexyl, 1-methylpentyl, 2-methylpentyl, 4-methyl-2-pentyl, 3,3-dimethylbutyl, 2-ethylbutyl, heptyl, n -Heptyl, 1-methylhexyl, cyclopentylmethyl, cyclohexylmethyl, octyl, n-o
  • the alkylene group refers to a divalent group having two bonding positions in the alkyl group.
  • the description of the aforementioned alkyl groups can be applied except that they are each divalent.
  • At least one of R1 and R2 is hydrogen, the remainder is a methyl group.
  • R1 and R2 are hydrogen.
  • R1 is hydrogen
  • R2 is a methyl group
  • R2 is hydrogen
  • R1 is a methyl group
  • L2 and L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a methyl group.
  • L2 and L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ethylene group; Or an ethylene group substituted with a methyl group.
  • L2 and L3 is an ethylene group.
  • L2 is an ethylene group
  • L3 is an ethylene group substituted with a methyl group.
  • L3 is an ethylene group
  • L2 is an ethylene group substituted with a methyl group
  •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an aziridine compound; And (meth) acrylic acid or an acrylat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OH) as a substituent.
  •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a structure formed by a ring opening reaction between an aziridine compound and a (meth) acrylate including (meth) acrylic acid or a hydroxy group (-OH) as a substituent.
  • the amine group inside the compound serves to impr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modulus of the polymer obtained by ultraviolet curing, and the terminal acrylate group or (meth) acrylate group serves as a reactor by ultraviolet light.
  • the aziridine compound is a compound including at least one aziridine group, and the number and structure and number of substituents attached to the aziridine group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aziridine compound is represented by the formula Is displayed.
  • R3 to R11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L12 and L1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 n 1 or 2
  • two L12s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meth) acrylic acid means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acrylate.
  • the (meth) acrylate representing the hydroxy group (-OH) as a substitue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 R12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R13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hydroxy group (-OH); Or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hydroxy group (-OH).
  • the cycloalk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has 3 to 30 carbon atoms, specifically, cyclopropyl, cyclobutyl, cyclopentyl, 3-methylcyclopentyl, 2,3-dimethylcyclopentyl, cyclohexyl, 3-methylcyclohexyl, 4-methylcyclohexyl, 2,3-dimethylcyclohexyl, 3,4,5-trimethylcyclohexyl, 4-tert-butylcyclohexyl, cycloheptyl, cycloocty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1 or 1-2.
  • R1, R2, L2 to L4, m, and n are the same as in Chemical Formula 1.
  •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3 to 1-5.
  •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has a amine group (-NH-)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hain of the compound to form a hydrogen bond with the amine group (-NH-) formed on the chain of the other compound to form a polymer chain Because of the enhanced bind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modulus are increased.
  •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by a ring opening reaction between aziridine and (meth) acrylic acid, and the synthesis can be easily proceeded by the strong reactivity of aziridine.
  • the reaction may be preferably performed at about 30 ° C. to 80 ° C., and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compound may be easily synthesized without the occurrence of (meth) acrylic acid gelling.
  • the content ratio between the monomer containing the aziridine group and the (meth) acrylic acid monomer proceeds in an equivalent ratio of about 1: 1, or to further react the aziridine group by adding an equivalent of acrylic acid within 5% to proceed with the reaction.
  • desirable it is preferable that all the aziridine groups which exist in the terminal of the aziridine compound of a reactant react with (meth) acrylic acid in the (meth) acrylate compound of this specifica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aziridine group remains in the produced (meth) acrylate compou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decrease.
  • the molar ratio of the aziridi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or Formula 3 and the (meth) acrylate including (meth) acrylic acid or the hydroxy group (-OH) represented by Formula 4 as a substituent is 1: 1. It is preferable.
  • a 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is provided. That is, an aziridine compound; And a (meth) acrylate having a (meth) acrylic acid or a hydroxy group (-OH) as a substituent, the 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bove. to provide.
  • the polymer may be a copolymer by a copolymer between the (meth) acrylate compound and other monomer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polymer may be bonded to the polymer regardless of the type and number of repeating units.
  • the shape is not limited, that is, it may be in the form of a block copolymer in which the repeating units are repeated, or in the form of a random copolymer in which the repeating units are randomly repeated.
  • the polymer is preferably a homopolymer containing only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 (meth) acrylate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modulus. In the case of the homopolymer, since the density of the hydrogen bonds by the amine group is higher, the binding between the polymer chains can be strengthened, and thu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storage modulus are better.
  • the polymer used in the ultraviolet curing type tends to increase the storage modulus with more functional groups, but nevertheless, the storage modulus is difficult to exceed 3000MPa.
  • the polymer including the aziridine reactor could have a higher storage modulus than the UV cured product of the general structure.
  • UV curing does not occur when only the aziridine reactor is present, and even when an ultraviolet polymerization reactor such as an aziridine group and a (meth) acrylate group coexists in the polym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 to inhibit the properties of the polymer. there was.
  • a (meth) acrylate having the same equivalent of the aziridine group or a (meth) acrylat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OH) as a substituent is reacted.
  •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homopolymer expresses the sam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significantly improved. This is because the amine group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hain of the homopolymer forms hydrogen bonds with amine groups of other chains, thereby strengthening the binding of the chains.
  • the homo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0 ° C to 300 ° C. .
  • the temperature may be about 100 ° C. to 200 ° C., and more preferably 150 ° C. to 200 ° C.
  • a polymer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may be implemented.
  • the homo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ay have a storage modulus measured by a D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method at 25 ° C.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3000MPa to 30000MPa, preferably about 3000MPa to 10000MPa.
  • a polymer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may be implemented.
  • the gel fraction of the homo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85% to 100%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chemical resistance is excellent.
  • A is the mass of the mixture of polymerized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 B represents the dry mass of the insoluble fraction which was collected after immersing A in methyl ethyl ketone at room temperature for 72 hours.
  • A is a mixture of a repeating unit, an oligomer and a homopolymer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 B is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bove. The mass of homopolymer included.
  • Polymerization of the homopoly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gel fraction calculation of the general formula (1).
  • the IR spectrum of the homo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a repea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compound of the homopolymer
  • the IR spectrum of the (meth) acrylate compound means the IR spectrum of the (meth) acryl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a transparent film such as a release PET film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 to 20 ⁇ m, and then polymers were prepared by irradiating UV light of 200 mJ / cm 2 or more through a metal-halide UV lamp.
  • the synthesized homopolymer was confirmed polymerization through the gel fraction calculation and IR analysis of the general formula (1).
  • Igarcure 819 photoinitiator (Ciba Co., Ltd.) ) 3 parts by weight is uniformly mixed at 60 °C, and then cured with an energy of 1000 mJ / cm 2 through the D bulb curing machine of Fusion company between the release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is cut to 5.3mm wide, 50mm long was measured, and the storage modulu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ere measur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to -40 ° C to 160 ° C using DMA (TA).
  • the storage modulus results at 25 ° C. are shown in Table 1 below.
  • FIG. 4 i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ment graph of Chemical Formula 7 of Comparative Example 4.
  • the (meth) acrylate compoun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ing two (meth) acrylates has a glass transition than that of one or three (meth) acrylate groups.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is hig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본 출원은 2014년 9월 30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 10-2014-0132135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내구성 및 내수성을 위하여 통상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라 함)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적층한 구조로 사용되어 왔다. 이때,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주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수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필름 소재의 종류에 따라 수계 접착제는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비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때, 상기 비수계 접착제는 열 경화형 접착제 및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최근 박형 경량화를 위하여,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경화형 조성물을 도공하여, 투명 박막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박막층은 편광자 일면에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반대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 조성물 또는 투명 박막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경우 공통적으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편광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편리한 작업성 및 빠른 경화성으로 매우 유용한 소재이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고분자 또는 메타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빠른 경화 속도로 편리한 장점은 있지만,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열경화성 고분자 및 열가소성 고분자들에 비해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하지 못하므로,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충분히 올라가지 못하고 이로 인해 높은 탄성률 및 유리전이온도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비해 높은 저장탄성률 및 유리전이온도 구현이 가능한 고분자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한 화합물(단량체)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이고, 나머지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L1은 -N(H)C(=O)N(H)-; 또는 -N(H)C(=O)-L4-C(=O)N(H)-이고,
L2 내지 L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상기 L2 및 L3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렌기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m 및 n은 각각 1 또는 2이며,
상기 m 및 n이 각각 2 인 경우, 2개의 괄호내의 구조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자외선 경화로 얻을 수 있는 고분자의 저장탄성률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온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편광판의 접착제 또는 보호막 형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다.
도 1은 합성예 1을 통하여 제조된 화학식 1-4의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실험예 1의 화학식 1-4의 유리전이온도 측정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3의 AOPI의 유리전이온도 측정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4의 화학식 7의 유리전이온도 측정그래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저장탄성률이 3000MPa 이상인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를 개발하던 중 분자 내 아지리딘(aziridine)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또는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신규한 구조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개발하였으며, 이 화합물을 이용하여 높은 저장탄성율 및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이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다른 치환기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치환되는 위치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는 위치 즉, 치환기가 치환 가능한 위치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2 이상 치환되는 경우, 2 이상의 치환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1-메틸-부틸, 1-에틸-부틸, 펜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헥실,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헵틸, n-헵틸, 1-메틸헥실,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헥실메틸, 옥틸, n-옥틸, tert-옥틸, 1-메틸헵틸, 2-에틸헥실, 2-프로필펜틸, n-노닐, 2,2-디메틸헵틸, 1-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이소헥실, 2-메틸펜틸, 4-메틸헥실, 5-메틸헥실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렌기는 알킬기에 결합 위치가 두 개 있는 것 즉 2가기를 의미한다. 이들은 각각 2가기인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알킬기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이고, 나머지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수소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수소이고, R2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2는 수소이고, R1은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1은 -N(H)C(=O)N(H)-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2 및 L3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2 및 L3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에틸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2 및 L3는 에틸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2는 에틸렌기이고, L3는 메틸기로 치환된 에틸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3는 에틸렌기이고, L2는 메틸기로 치환된 에틸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2 및 L3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렌기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2 및 L3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에틸렌기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아지리딘 화합물; 및 (메트)아크릴산 또는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아지리딘 화합물과 (메트)아크릴산 또는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간의 고리열림 반응에 의해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화합물 내부의 아민 그룹은 자외선 경화로 얻게되는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및 저장탄성률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말단의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는 자외선에 의한 반응기 역할을 한다.
상기 아지리딘 화합물이란 적어도 하나의 아지리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아지리딘기의 수 또는 아지리딘기에 부착된 치환기의 구조 및 수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아지리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3
상기 화학식 2 및 3에 있어서,
R3 내지 R11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L12 및 L1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m1은 1 또는 2이고,
상기 m1이 2인 경우, 2개의 L1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표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된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4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R1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R13은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시기(-OH)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시기(-OH)로 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클로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3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3-메틸시클로펜틸, 2,3-디메틸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3-메틸시클로헥실, 4-메틸시클로헥실, 2,3-디메틸시클로헥실, 3,4,5-트리메틸시클로헥실, 4-tert-부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또는 1-2로 표시된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5
[화학식 1-2]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6
상기 화학식 1-1 및 1-2에 있어서,
R1, R2, L2 내지 L4, m 및 n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3 내지 1-5로 표시된다.
[화학식 1-3]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7
[화학식 1-4]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8
[화학식 1-5]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09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화합물의 사슬 중간에 위치하는 아민기(-NH-)가 다른 화합물의 사슬에 형성된 아민기(-NH-)와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고분자 사슬끼리의 결속을 강화시키므로 유리전이 온도 및 저장탄성률이 상승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아지리딘과 (메트)아크릴산 간의 고리열림반응에 의해 진행되며, 아지리딘의 강한 반응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합성이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정도에서 반응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메트)아크릴산 겔링의 발생 없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아지리딘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 단량체 간의 함량비는 1:1 정도의 당량비로 진행하거나, 아지리딘기를 모두 반응시키기 위해 아크릴산의 당량을 5% 이내로 더 추가하여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명세서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반응물의 아지리딘 화합물의 말단에 존재하는 아지리딘기가 모두 (메트)아크릴산과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생성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아지리딘기가 남아있는 경우, 유리전이온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지리딘 화합물과 (메트)아크릴산 또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몰비는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제공한다. 즉, 아지리딘 화합물; 및 (메트)아크릴산 또는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표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기타 다른 단량체간의 공중합체에 의한 코폴리머(copolymer)일 수 있으며, 상기 코폴리머는 반복단위의 종류 및 숫자에 상관없이 고분자의 결합 형태에 제한이 없으며, 즉, 반복단위들이 반복되는 블럭 코폴리머(block copolymer) 형태일 수도 있고, 반복단위가 랜덤하게 반복되는 랜덤 코폴리머(random copolymer)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는 유리전이온도 및 저장탄성율이 상승하는 관점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만을 포함하는 호모폴리머(homopolymer)가 바람직하다. 호모폴리머일 경우, 아민 그룹에 의한 수소 결합의 밀도가 더 높아, 고분자 사슬끼리의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유리전이온도 및 저장탄성율이 더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경화형으로 사용되는 고분자는 관능기가 많을수록 저장탄성률이 함께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장탄성률은 3000MPa를 넘어서기 어려웠다. 그러나 아지리딘 반응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경우, 일반적인 구조의 자외선 경화물 보다 높은 수준의 저장탄성률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지리딘 반응기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외선 경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고분자 내에, 아지리딘기와 (메트)아크릴레이트기와 같은 자외선 중합 반응기가 공존하는 경우에도, 유리전이온도가 낮아 고분자의 물성을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지리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아지리딘기과 동일한 당량의 (메트)아크릴산 또는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표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을 반응시켜 새로운 구조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하여 이를 이용하여 호모폴리머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호모폴리머의 저장탄성률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물성을 발현함과 동시에 유리전이 온도는 현격하게 향상된다. 상기 호모폴리머의 체인 중간에 위치하는 아민기가 다른 사슬의 아민기와 수소 결합을 형성하여 사슬끼리의 결속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는 유리전이온도가 10℃0 내지 300℃인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정도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일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내열성 및 치수 안전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는 25℃에서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방법으로 측정된 저장탄성율이 3000MPa 내지 30000M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3000MPa 내지 10000MPa 정도이다. 저장탄성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내열성 및 치수 안전성 등 기계적 물성이 매우 우수한 고분자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의 겔분율은 하기 일반식 1로 계산될 수 있으며, 85 % 내지 100 %이며,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일반식 1]
겔 분율(%) = B/A × 100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A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중합한 혼합물의 질량이며,
B는 상기 A를 상온에서 메틸에틸케톤에 72시간 침적시킨 후에 채취한 불용해분의 건조 질량을 나타낸다.
상기 A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올리고머 및 호모폴리머 등의 혼합물이며, B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의 질량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호모폴리머의 중합은 상기 일반식 1의 겔분율 계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의 IR 스펙트럼은 상기 호모폴리머의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크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메트)아크릴레이트의 C=C 밴드인 1408cm-1 영역 대의 피크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IR 스펙트럼에 비하여 감소된다. 상기 1408 cm- 1영역 대의 피크가 감소될 수록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말단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의 C=C결합과 다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말단에 있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C=C결합이 반응하여 중합되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 및 막강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호모폴리머의 IR 스펙트럼은 상기 호모폴리머의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의 C=C밴드인 1408cm-1 영역 대의 피크 면적의 적분값이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IR 스펙트럼의 피크 면적의 적분값 100%에 대하여 80% 이상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감소한다. 이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말단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의 C=C결합과 다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말단에 있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C=C결합이 반응하여 중합되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 및 막강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IR 스펙트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IR 스펙트럼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이로써 본 명세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2-(2-메틸아지리딘-1-카르복사미도)에틸아크릴레이트(에이케이켐텍社, AOPI, 순도 95%이상) 19.8g을 약 60℃에서 교반 승온한 후, 아크릴산(Aldrich사, 아크릴산 7.5g을 주사기(syringe)를 통해 10분에 거쳐 천천히 첨가하여, 약 60℃에서 6시간 정도 반응시켰다. 이후, 컬럼 정화(column purification) 방법을 통하여 순도를 높이는 과정을 거쳐,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하기 도 1은 상기 합성예 1을 통하여 제조된 화학식 1-4의 1H NMR 스펙트럼이다.
합성예 2
아지리딘 화합물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MENADIONA社, CL-422)대신에 2-(2-메틸아지리딘-1-카르복사미도)에틸아크릴레이트(에이케이켐텍社, AOPI, 순도 95%이상) 19.8g과 메타크릴산 9.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상기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예 3. 호모폴리머의 제조
상기 합성예 1 및 2에서 합성된 화학식 1-4 및 1-5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이르가큐어 819(ciba사)와 같은 라디칼 광개시제를 전체 배합 100 중량부 중 0.5 내지 5 중량부로 균일하게 녹여 혼합한 후 이형 PET 필름과 같은 투명 필름에 1 내지 20 ㎛ 두께로 형성한 후 메탈-할라이드 형의 UV 램프를 통하여 200mJ/cm2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상기 합성된 호모폴리머는 상기 일반식 1의 겔분율 계산 및 IR 분석을 통하여 중합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합성예와 대조군으로, 종래 사용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Biphenol A type epoxy acrylate, Cytec社 EB600, 하기 화학식 5)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0
비교예 2
상기 합성예와 대조군으로, 종래 사용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2-(methacryloyloxy)ethyl dihydrogen phosphate (Cytec社 HS-100, 하기 화학식 6)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6]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1
비교예 3
상기 합성예와 대조군으로 순수 아지리딘 화합물인 2-(2-메틸아지리딘-1-카르복사미도)에틸아크릴레이트(에이케이켐텍社, AOPI, 순도 95%이상)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상기 합성예와 대조군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하기 화학식 7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7]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2
실험예
상기 합성예 1을 통해 제조된 화학식 1-4의 화합물과 비교예 1 내지 4에 개시된 화합물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경화 후 저장탄성율 및 유리전이온도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화학식 1-4 (실시예 1) 및 대조군 화합물(비교예 1 내지 4)의 경화 후 저장탄성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해당 샘플 100중량부에 대하여 Igarcure819 광개시제(Ciba사)를 3 중량부를 60℃에서 균일하게 섞은 후, 이형필름 사이에서 Fusion사의 D bulb 경화기를 통해 1000 mJ/cm2의 에너지로 경화시킨 후 상기 경화물을 폭 5.3mm, 길이 50mm 크기로 제단하여 두께를 실측하고, DMA(TA 社)를 이용하여, -40℃ ~ 160℃로 승온시켜 저장탄성률 및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중 25℃에서의 저장탄성률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험예 1의 화학식 1-4의 유리전이온도 측정 그래프이고,
도 3은 비교예 3의 AOPI의 유리전이온도 측정그래프이며,
도 4는 비교예 4의 화학식 7의 유리전이온도 측정그래프이다.
하기 표 1 및 도 2 내지 4의 그래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가 2개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기가 1개 또는 3개인 화합물보다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아지리딘 화합물 생성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저장탄성율(MPa) 유리전이온도(℃)
실험예 1 AOPI 아크릴산 화학식 1-4 4700~4900 210
비교예 1 Biphenol A type epoxy acrylate, 1400~1600 87
비교예 2 2-(methacryloyloxy)ethyl dihydrogen phosphate 700~900 15
비교예 3 AOPI 1700~1900 52
비교예 4 화학식 7 4100~4300 117
이상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Modulus
101: Tan Delta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이고, 나머지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L1은 -N(H)C(=O)N(H)-; 또는 -N(H)C(=O)-L4-C(=O)N(H)-이고,
    L2 내지 L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상기 L2 및 L3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렌기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m 및 n은 각각 1 또는 2이며,
    상기 m 및 n이 각각 2 인 경우, 2개의 괄호내의 구조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아지리딘 화합물; 및 (메트)아크릴산 또는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지리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것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4
    [화학식 3]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5
    상기 화학식 2 및 3에 있어서,
    R3 내지 R11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L12 및 L1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m1은 1 또는 2이고,
    상기 m1이 2인 경우, 2개의 L1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OH)를 치환기로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6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R1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R13은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시기(-OH)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시기(-OH)로 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이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1-1 또는 1-2로 표시되는 것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화학식 1-1]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7
    [화학식 1-2]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8
    상기 화학식 1-1 및 1-2에 있어서,
    R1, R2, L2 내지 L4, m 및 n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과 동일하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화학식 1-3]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19
    [화학식 1-4]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20
    [화학식 1-5]
    Figure PCTKR2015010210-appb-I000021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8.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0℃ 내지 300℃인 호모폴리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머는 25℃에서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방법으로 측정된 저장탄성율이 3000 내지 30000MPa인 호모폴리머.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머의 겔분율은 85 % 내지 100 %인 것인 호모폴리머.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머의 IR 스펙트럼은 상기 호모폴리머의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의 C=C밴드인 1408cm-1 영역 대의 피크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IR 스펙트럼에 비하여 감소되는 것인 호모폴리머.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머의 IR 스펙트럼은 상기 호모폴리머의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의 C=C밴드인 1408cm-1 영역 대의 피크 면적의 적분값이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IR 스펙트럼의 피크 면적의 적분값 100%에 대하여 80% 이상 감소되는 것인 호모폴리머.
PCT/KR2015/010210 2014-09-30 2015-09-25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WO20160529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51467.1A CN106715386B (zh) 2014-09-30 2015-09-25 (甲基)丙烯酸酯化合物以及包含衍生自其的重复单元的共聚物和均聚物
US15/508,809 US10214598B2 (en) 2014-09-30 2015-09-25 (Meth)acrylate compound, and copolymer and homopolymer comprising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135 2014-09-30
KR20140132135 2014-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953A1 true WO2016052953A1 (ko) 2016-04-07

Family

ID=5563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0210 WO2016052953A1 (ko) 2014-09-30 2015-09-25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14598B2 (ko)
KR (1) KR101749414B1 (ko)
CN (1) CN106715386B (ko)
WO (1) WO2016052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0392A1 (en) 2014-02-10 2015-08-13 Patara Pharma, LLC Mast cell stabilizers for lung disease treatment
US9962363B2 (en) 2014-02-10 2018-05-08 Patara Pharma, LLC Mast cell stabilizers treatment for systemic disorders
EP3331522A1 (en) 2015-08-07 2018-06-13 Patara Pharma LLC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ast cell related disorders with mast cell stabilizers
WO2017027402A1 (en) 2015-08-07 2017-02-16 Patara Pharma, LLC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ystemic disorders treatable with mast cell stabilizers, including mast cell related disorders
CN110139646A (zh) 2016-08-31 2019-08-16 瑞思皮万特科学有限责任公司 用于治疗由特发性肺纤维化引起的慢性咳嗽的色甘酸组合物
JP2019531308A (ja) 2016-10-07 2019-10-31 レシュピファント サイエンシ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Respivant Sciences Gmbh 肺線維症の治療のためのクロモリン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2103B2 (en) * 2008-02-14 2010-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US7714076B2 (en) * 2008-03-27 2010-05-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KR20100080146A (ko) * 2008-12-31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감광성 폴리머 및 레지스트 조성물
US7838110B2 (en) * 2008-12-02 201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ziridine-functional photoactive crosslinking compounds
WO2013131818A1 (de) * 2012-03-05 2013-09-12 Evonik Röhm Gmbh Stabilisierte (meth)acrylmonome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434A (ko) 1972-04-18 1974-01-10
CA2363048A1 (en) * 1999-02-23 2000-08-31 Phairson Medical, Inc. Treatment of trauma
US8678478B2 (en) * 2008-12-15 2014-03-25 Caterpillar Inc. Machine configurations employing passive and controllable cab mounts
JP5962546B2 (ja) * 2013-03-06 2016-08-03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硬化膜、その形成方法、及び表示素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2103B2 (en) * 2008-02-14 2010-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US7714076B2 (en) * 2008-03-27 2010-05-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US7838110B2 (en) * 2008-12-02 201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ziridine-functional photoactive crosslinking compounds
KR20100080146A (ko) * 2008-12-31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감광성 폴리머 및 레지스트 조성물
WO2013131818A1 (de) * 2012-03-05 2013-09-12 Evonik Röhm Gmbh Stabilisierte (meth)acrylmonom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414B1 (ko) 2017-06-21
CN106715386A (zh) 2017-05-24
US20170275397A1 (en) 2017-09-28
KR20160038816A (ko) 2016-04-07
CN106715386B (zh) 2018-09-25
US10214598B2 (en)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52953A1 (ko)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WO2013095064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09131321A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WO201602189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7116103A1 (ko) 폴리이미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모듈
WO2012081761A1 (ko)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12091283A2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7047889A1 (ko) 광학 접착제용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2111964A2 (ko)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003057A1 (ko) 광학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269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을 이용한 광학부재
WO2015141979A1 (ko)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WO2018155989A1 (ko)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 필름
WO2017052279A1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WO2013094801A1 (ko) 열가소성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WO2015142009A1 (ko) 점착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WO2017018672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190679A1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WO2018124826A1 (ko) 로우 컬 구현이 가능한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
JPH04117474A (ja) 嫌気性接着剤
WO2013147443A1 (ko)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WO2017099465A1 (ko) 점착제 조성물
JP6451500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膜
WO2012091458A2 (ko) 알릴카보네이트 화합물의 신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 조성물
KR20220001276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그 경화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이를 구비한 광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79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0880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479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