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0391A1 -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0391A1
WO2016010391A1 PCT/KR2015/007426 KR2015007426W WO2016010391A1 WO 2016010391 A1 WO2016010391 A1 WO 2016010391A1 KR 2015007426 W KR2015007426 W KR 2015007426W WO 2016010391 A1 WO2016010391 A1 WO 20160103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fc tag
active rfid
rfid
reader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4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부성 리싸이클링
김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성 리싸이클링, 김지훈 filed Critical (주)부성 리싸이클링
Publication of WO20160103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03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30Non-electric hearing aids, e.g. ear trumpets, sound amplifiers or ear-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provide a more stable and simple way to the blind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braille blocks including linear blocks
  • the installation of such braille blocks will expand to more areas.
  • an RFID / NFC tag (TAG) containing road guidance information is mounted on the braille block, an RF reader is installed on a cane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RF reader is read by voice. Guid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024983 (2002.01.25.) Includes a braille block equipped with an RFID tag, a receiving device for reading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nd the reception. Guide means for generat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device.
  • each braille block has an RFID tag with a predetermined unique number recorded therein so as to know the direction of movement through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guide means has an RFID of each braille block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a map. It stores tag information and guides the visually impaired to the input path.
  •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398065 (2014.05.15.) Provides a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ore systematic and improved tag based on the prior art.
  • the RFID / NFC tag installed in the braille block is a passive type that is not powered, and can read the information of the RFID / NFC tag at the bottom of a cane carried by the visually impaired.
  • An RF reader is installed, and a handle, an output unit, and the like are installed as a power source in the handle part, as well as a battery.
  • the RF reader at the bottom of the cane can read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only when it is close to the RFID / NFC tag.
  • the RF reader at the bottom of the cane is separated from the RFID / NFC tag by more than 15 ⁇ 20cm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RFID / NFC tag from the RF reader. That is, since power is not provided to the RFID / NFC tag as shown in FIG. 1,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information in the RFID / NFC tag is extremely limited, and a reception distance that can be unilaterally possible in an RF reader powered by a battery is 15. Since it is limited to within 20 cm (d), it is difficult to receive information at a distance further than that.
  • the RFID / NFC tag had to be closely installed on the sidewalk, which required a lo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nd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get the information only when the cane gets close to the RFID / NFC tag to get the road information. There is a very small limit to the radiu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secure a wider possi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by installing an active RFID / NFC tag including a power source in the braille block.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ctive RFID / NFC tag.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adjus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between the active RFID / NFC tag and the RF reade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ane and reduce the purchase cost, and the visually impaired road using the active RFID / NFC tag to output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of the RFID / NFC tag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portable terminal and a near field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provide a guidance system.
  • the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the active RFID / NFC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idewalk for guidance of the visually impaired, has a storage space for inputting the guidance information for informing the direction, distance, unique name, 1 active RFID / NFC tag for transmitting the stored road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 an output device for receiving road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F reader and outputting the voice information.
  • the first power supply unit of the active RFID / NFC tag is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 the active RFID / NFC tag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RF reader; And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sensor.
  • the sensor of the active RFID / NFC tag senses a natural frequency, and the RF reader transmits the natural frequency.
  • the active RFID / NFC tag includes an output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road guide information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 a housing fixed to the sidewalk and configured to cover the active RFID / NFC tag and to replac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by opening and closing.
  • the output device is a mobile terminal which has downloaded an application to receive the road guide information of the active RFID / NFC tag and output the road guide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the wand is a path of the RFID / NFC tag in the RF reader When receiving the guide information, Bluetooth for wireless transmiss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embedded.
  • the use of the blind not only is it convenient, but the active RFID / NFC tag can be spaced apart on the sidewalk as much a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so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do not increase significantly.
  • the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the active RFID / NFC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power installed with the active RFID / NFC tag through the sensor and switc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replacing and charging the battery It has an effect.
  • the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the active RFID / NFC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between the active RFID / NFC tag and the RF read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by increasing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active RFID / NFC tag It can be effective.
  • the weight of the cane is reduced and the purchase cost is reduced, and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of the RFID / NFC tag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 FIG.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 conventional passive RFID / NFC tag.
  •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ctive RFID / NFC t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active RFID / NFC t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an active RFID / NFC t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the active RFID / NFC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RFID / NFC tag 100 installed in the sidewalk 10, RF is installed in the cane 20, as shown in Figs.
  • the walkway 10 is a fac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includes not only a point block or a linear block but also a road or sidewalk on which the point or linear block is not installed.
  •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is installed on the sidewalk 10 for guiding a blind person, and has a storage space for inputting road guidance information for informing a direction, a distance, a unique name, and a first power supply unit.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tored road guidance information by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110. That is,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may transmit road guidance information stored therein by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to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as an embodiment. Such a battery or rechargeable battery may use a long service life in a low power state, and should be replaceable or recharged when the power supply is exhausted.
  •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is a method for reducing waste of power from the built-in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s another embodiment, so that power is connected only when information is required to be transmitted. That is,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switches a sensor 120 that senses the approach of the RF reader 200 and a switch 130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power supply 110 by the sensor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refore, the power source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is used only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rries the wand 20 in which the RF reader 200 is built, thereby increasing its service life.
  • the senor 120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a natural frequency is sensed by way of example. Accordingly, the RF reader 20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natural frequency.
  •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includes an output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road guide information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first power supply 110. That is,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has a farther transmission distance than the passive RFID / NFC tag by using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In this case, the output supplied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By adjusting, the distance at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can be transmitted is adjus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is installed on the sidewalk through such adjustment.
  • the housing 150 is configured as a means for securely fixed to the sidewalk in the state covering the active RFID / NFC tag, the housing 150 is the first power supply through opening and closing as shown in FIG. 110 is formed to replace.
  • the RFID / NFC tag having a storage space to enter information for informing the direction, distance, and unique name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pedestrian walkway of the blind as disclosed in the patent publication, while moving the RFID /
  • the information stor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of the RFID / NFC tag for a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NFC tag and an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receiving device and outputs the information by voice
  • the storage space of the RFID / NFC tag may include any first code indicating a first sector and a direction into which one coordinate information into which arbitrary X and Y coordinate values are input, and an arbitrary unique name and a predicate.
  • the receiving apparatus selects the set road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the coordinate value, recognizes the first code and the second code, converts it into a reserved sentence with a unique name, and transmits it to the output device.
  • the RF reader 200 is installed in the cane 20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carry the road gui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210. Receives, and transmits it to the output device (300).
  • the RF reader 200 includes a transmitter 220 for transmitting the natural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ensor of the active RFID / NFC tag that senses the natural frequency.
  • the transmitter 220 transmits a natural frequency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ource 210 separately from the RF reader 200.
  • the natural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20 must have a transmission distance of two to three times the reception distance that can be read by the RF reader 200 to send a signal to the sensor of the spaced-out active RFID / NFC tag 100. Safe delivery can be achieved smoothly.
  • the output device 300 receives the road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F reader 200 and outputs it as a voice.
  • the output device 300 is installed in the cane 20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Patent 1398065 described above.
  • a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selected road guide information into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verting the selected road guidance information into a sentence, and detected by a speaker for outputting data converted into the sentence as a voice and the active RFID / NFC tag.
  • Vibrators etc. which output signals, such as a danger and a warning, by vibration are included.
  • the output device 300 is an application to output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by receiving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of the active RFID / NFC tag as shown in Figure 6 to 8 It is a portable terminal called a smart phone that has been downloaded, and the cane 20 is for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receiving the directions information of the active RFID / NFC tag 100 from the RF reader 200 Bluetooth 230 is built in.
  • the portable terminal as the output device is typically equipped with a Bluetooth function can be interconnected.
  • the use of the blind becomes more conven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 내장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길안내를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의 길안내를 위해 보도에 설치되고, 방향, 거리, 고유명칭을 알려주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입력하도록 저장공간을 가지며, 제1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저장된 길안내정보를 전송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는 지팡이에 설치되고, 제2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로부터 전송하는 길안내정보를 수신하는 RF 리더(Reader); 및 상기 RF 리더에서 수신한 길안내정보를 전송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보도 상의 능동형 RFID/NFC 태그와 지팡이의 RF 리더 사이에 길안내정보의 가능한 송수신거리를 더욱 넓게 확보하여 시각장애인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본 발명은 전원이 내장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길안내를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사회적 복지 기반으로서 보행로 상에는 길안내와 안전 보행을 위한 점자블록(선형블록을 포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점자블록의 설치는 더 많은 지역으로 점착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 점자블록에 길안내정보를 담은 RFID/NFC 태그(TAG)를 장착하고,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지팡이에 RF 리더(reader)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RF 리더에서 읽은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시스템의 일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024983호(2002.01.25.)에는 RFID 태그가 장착된 점자블록과 상기 RFID 태그의 정보를 읽기 위한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에서 읽은 정보를 기본으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안내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때, 상기 각 점자블록에는 소정의 고유번호가 기록된 RFID 태그가 배열되어 있어 상기 수신장치를 통해 이동방향을 알 수 있고, 상기 안내수단에는 지도와 같은 지리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각 점자블록의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입력된 경로로 시각장애인을 안내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98065호(2014.05.15.)에는 종래 기술을 기반으로 보다 체계화되고 개선된 태그의 정보 저장 방법과 이의 송수신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점자블록에 설치되는 RFID/NFC 태그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수동형(passive type)이고, 상기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는 지팡이 하단에 상기 RFID/NFC 태그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RF 리더가 설치되고 손잡이 부분에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비롯하여 사용을 위한 조작부 및 출력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에 의하면 상기 지팡이 하단의 RF 리더가 상기 RFID/NFC 태그에 근접해야만 길안내정보를 읽을 수 있어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상기 지팡이 하단의 RF 리더가 상기 RFID/NFC 태그로부터 15~20cm 이상 이격되면 상기 RF 리더로부터 RFID/NFC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NFC 태그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RFID/NFC 태그에서 정보의 송신 거리가 극히 제한되고,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RF 리더에서 일방적으로 가능한 수신거리가 15~20cm(d) 이내로 한정되기 때문에 그 이상 이격된 거리에서는 정보의 수신이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보도 위에 RFID/NFC 태그를 촘촘히 설치해야 했고, 이로 인해 많은 설치비와 유지비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를 RFID/NFC 태그에 가까이 근접시켜야만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길안내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반경이 매우 적은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지팡이에 RF 리더뿐만 아니라 배터리, 조작부 및 출력수단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지팡이의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지팡이가 무겁고 커지기 때문에 휴대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의 길안내 기술 중에는 지팡이의 하단이나 상부에 상기 RF 리더, 배터리, 조작부 및 출력수단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두꺼운 몸체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들이 지팡이의 구매와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점자블록에 전원을 포함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설치하여 지팡이와 가능한 송수신거리를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능동형 RFID/NFC 태그와 RF 리더 사이의 송수신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팡이의 무게를 줄이고 구입 비용을 줄이는 한편,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송수신을 통해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의 길안내를 위해 보도에 설치되고, 방향, 거리, 고유명칭을 알려주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입력하도록 저장공간을 가지며, 제1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저장된 길안내정보를 전송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는 지팡이에 설치되고, 제2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로부터 전송하는 길안내정보를 수신하는 RF 리더(Reader); 및 상기 RF 리더에서 수신한 길안내정보를 전송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제1 전원부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이다.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는 상기 RF 리더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전원부를 개폐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센서는 고유 주파수를 감지하고, 상기 RF 리더는 상기 고유 주파수를 송출한다.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는 제1 전원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길안내정보의 송신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커버하는 한편, 개폐를 통해 상기 제1 전원부를 교체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전송받아 시각장애인에게 길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로드한 휴대 단말기이고, 상기 지팡이는 상기 RF 리더에서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가 내장된다.
본 발명의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보도 상의 능동형 RFID/NFC 태그와 지팡이의 RF 리더 사이에 길안내정보의 가능한 송수신거리를 더욱 넓게 확보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넓어진 송수신거리만큼 보도 상에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격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 비용이 크게 상승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센서와 스위치를 통해 능동형 RFID/NFC 태그와 함께 설치되는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건전지의 교체와 충전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능동형 RFID/NFC 태그와 RF 리더 사이의 송수신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설치 간격을 넓혀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지팡이의 무게를 줄이고 구입 비용을 줄이는 한편,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송수신을 통해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실시간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능동형 RFID/NFC 태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10)에 설치되는 능동형 RFID/NFC 태그(100), 지팡이(20)에 설치되는 RF 리더(200) 및 RF 리더에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도(10)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설물로서 점형 블록, 또는 선형 블록뿐만 아니라, 상기 점형 또는 선형 블록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나 인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100)는 시각장애인의 길안내를 위해 보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방향, 거리, 고유명칭을 알려주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입력하도록 저장공간을 가지며, 제1 전원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저장된 길안내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100)는 상기 제1 전원부(110)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길안내정보를 일정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전원부(110)는 실시 예로서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건전지 또는 충전지는 저전력 상태로 사용 수명이 긴 것을 사용하고, 전원의 소진시 교체 또는 충전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100)는 다른 실시 예로서 내장된 제1 전원부(110)로부터 전력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만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100)는 상기 RF 리더(200)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120)와 상기 센서(120)에 의해 상기 제1 전원부(110)를 개폐하는 스위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상기 RF 리더(200)가 내장된 지팡이(20)를 들고 지나가는 경우에만 제1 전원부(110)의 전원이 사용되므로 그만큼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120)는 실시 예로서 고유 주파수를 감지하면 작동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RF 리더(200)에서는 상기 고유 주파수를 송출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100)는 제1 전원부(110)의 출력을 조절하여 길안내정보의 송신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100)는 제1 전원부(110)의 전원을 이용하여 수동형 RFID/NFC 태그보다 먼 송신 거리를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전원부(110)에서 공급되는 출력을 조절함에 따라 능동형 RFID/NFC 태그(100)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절을 통해 보도 상에 설치되는 능동형 RFID/NFC 태그(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커버하는 상태로 보도에 안전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50)이 구성되는데, 상기 하우징(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를 통해 상기 제1 전원부(110)를 교체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저장공간에는 앞서 설명된 본 출원인의 발명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98065호(2014.05.15.)에 개재된 바와 같이 예약어를 이용하여 작은 저장공간에 보다 많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특허공보에 개재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의 보행로 상에 설치되면서 방향, 거리, 고유명칭을 알려주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저장공간을 갖는 RFID/NFC 태그와 상기 시각장애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RFID/NFC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의 길안내시스템을 위한 RFID/NFC 태그의 정보 저장 및 이의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NFC 태그의 저장공간은 임의의 X,Y 좌표값이 입력되는 하나의 좌표정보가 입력되는 제1 섹터 및 방향을 표시하는 임의의 제1 코드와 임의의 고유명칭과 서술어를 표시하는 임의의 제2 코드로 조합되는 적어도 2 방향 이상의 길안내정보가 입력되는 2 이상의 제2 섹터로 구분하되, 상기 좌표정보에는 분기점 또는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RFID/NFC 태그와 직선경로 상에 설치되는 RFID/NFC 태그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값과 상기 분기점 또는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RFID/NFC 태그임을 알리는 알람값과 지역 또는 건물의 상하 층을 구분하기 위한 구역값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좌표값의 가감에 따라 설정된 길안내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인식하여 고유명칭과 함께 예약된 문장으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식별값을 인식하여 선택된 식별값을 가지는 RFID/NFC 태그임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알람값을 인식하여 선택된 알람값을 가지는 RFID/NFC 태그임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구역값을 인식하여 상기 좌표정보에 따른 길안내정보를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식별값 또는 알람값의 신호를 받아 신호음 또는 진동으로 표출하게 된다.
상기 RF 리더(200)는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는 지팡이(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 전원부(2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100)로부터 전송하는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출력장치(300)로 전송한다.
상기 RF 리더(200)는 실시 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유 주파수를 감지하는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센서에 대응하여 상기 고유 주파수를 송출하는 송신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220)는 RF 리더(200)와는 별도로 상기 제2 전원부(2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고유 주파수를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송신부(220)에서 송신하는 고유 주파수는 상기 RF 리더(200)가 읽을 수 있는 수신거리보다 2~3 배의 송신거리를 가져야만 상기 이격된 능동형 RFID/NFC 태그(100)의 센서로 신호를 안전하게 송출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300)는 상기 RF 리더(200)에서 수신한 길안내정보를 전송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특허 제1398065호에 기재된 구성으로서 상기 지팡이(20)에 설치되면서 길안내정보를 선택하여 인식하는 연산부; 다수개의 예약어에 따른 각 코드와 대응하는 각 문장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선택된 길안내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와 대입하여 문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장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를 통해 감지되는 위험이나 경고 등의 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바이브레이터 등이 포함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출력장치(3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전송받아 시각장애인에게 길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로드한 소위 스마트폰이라 칭하는 휴대 단말기이고, 상기 지팡이(20)는 상기 RF 리더(200)에서 능동형 RFID/NFC 태그(100)의 길안내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230)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출력장치로서 휴대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상호 연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보도의 능동형 RFID/NFC 태그와 지팡이의 RF 리더 사이에 길안내정보의 가능한 송수신거리를 더욱 넓게 확보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또한, 센서와 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능동형 RFID/NFC 태그와 함께 설치되는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건전지의 교체와 충전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능동형 RFID/NFC 태그와 RF 리더 사이의 송수신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동형 RFID/NFC 태그를 사용할 때 설치 간격이 20cm(d) 이하로 제한되었던 것을 30cm(D) 이상으로 벌려서 설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정보의 부재 구간이나 혼선 구간 없이 정확하고 안전한 길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장치로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지팡이의 무게를 줄이고 구입 비용을 줄이는 한편,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능동형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부호의 설명:
10: 보도
20: 지팡이
100: 능동형 RFID/NFC 태그
200: RF 리더
300: 출력장치

Claims (7)

  1. 시각장애인의 길안내를 위해 보도에 설치되고, 방향, 거리, 고유명칭을 알려주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입력하도록 저장공간을 가지며, 제1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저장된 길안내정보를 전송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는 지팡이에 설치되고, 제2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로부터 전송하는 길안내정보를 수신하는 RF 리더(Reader); 및
    상기 RF 리더에서 수신한 길안내정보를 전송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제1 전원부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는 상기 RF 리더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전원부를 개폐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센서는 고유 주파수를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를 개폐하고,
    상기 RF 리더는 상기 고유 주파수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는 제1 전원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길안내정보의 송신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커버하는 한편, 개폐를 통해 상기 제1 전원부를 교체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능동형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전송받아 시각장애인에게 길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로드한 통상의 휴대 단말기이고,
    상기 지팡이는 상기 RF 리더에서 RFID/NFC 태그의 길안내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PCT/KR2015/007426 2014-07-17 2015-07-17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WO20160103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302A KR101501062B1 (ko) 2014-07-17 2014-07-17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KR10-2014-0090302 2014-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0391A1 true WO2016010391A1 (ko) 2016-01-21

Family

ID=5302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426 WO2016010391A1 (ko) 2014-07-17 2015-07-17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1062B1 (ko)
WO (1) WO20160103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1694A (zh) * 2017-01-18 2017-06-13 西南大学 一种基于智能手机的移动导盲系统
CN106949890A (zh) * 2017-02-23 2017-07-14 北京联合大学 一种盲人室内无线导航系统
CN110012432A (zh) * 2019-04-02 2019-07-12 浙江宝业建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定位方法、系统、服务器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11B1 (ko) 2015-04-20 2017-01-16 (주)뉴웰파워 음성기반 길 안내 시스템
KR101683160B1 (ko) * 2015-08-21 2016-12-06 주식회사 피씨티 시각장애인용 사물 인지 시스템
KR101996925B1 (ko) 2019-01-03 2019-07-05 (주) 성조산업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인식시스템
KR102178152B1 (ko) * 2019-03-18 2020-11-12 (주)블루모바일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2259251B1 (ko) * 2019-03-18 2021-06-01 (주)블루모바일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CN110186455A (zh) * 2019-04-24 2019-08-30 北京联合大学 一种盲人跨室内外步行导航系统及方法
KR102355856B1 (ko) * 2020-11-23 2022-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부정승차자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2387587B1 (ko) * 2021-09-23 2022-04-19 (주)삼진콘크리트 맹인 인도 겸용 태양광 칼라 라인 블록 및 맹인 인도 겸용 태양광 칼라 라인 블록 기반의 맹인 인도 시스템
CN116392369B (zh) * 2023-06-08 2023-09-08 中国电建集团昆明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盲道的识别感应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8603A (ja) * 2002-08-19 2004-03-11 Takuji Miyawaki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KR20050043836A (ko) * 2005-04-14 2005-05-11 이광복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위치 정보제공 시스템
KR20090080288A (ko) * 2008-01-21 2009-07-24 (주)모이텍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방법
JP2009222388A (ja) * 2008-03-13 2009-10-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案内システム、携帯型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3162816U (ja) * 2010-07-07 2010-09-16 義人 藤田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8603A (ja) * 2002-08-19 2004-03-11 Takuji Miyawaki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KR20050043836A (ko) * 2005-04-14 2005-05-11 이광복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위치 정보제공 시스템
KR20090080288A (ko) * 2008-01-21 2009-07-24 (주)모이텍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방법
JP2009222388A (ja) * 2008-03-13 2009-10-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案内システム、携帯型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3162816U (ja) * 2010-07-07 2010-09-16 義人 藤田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1694A (zh) * 2017-01-18 2017-06-13 西南大学 一种基于智能手机的移动导盲系统
CN106949890A (zh) * 2017-02-23 2017-07-14 北京联合大学 一种盲人室内无线导航系统
CN110012432A (zh) * 2019-04-02 2019-07-12 浙江宝业建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定位方法、系统、服务器及介质
CN110012432B (zh) * 2019-04-02 2022-01-04 浙江宝业建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定位方法、系统、服务器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062B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0391A1 (ko)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KR101130735B1 (ko)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US9072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blocks
WO2018139735A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정보처리장치
KR100977091B1 (ko) 시각장애인의 도로 안내 장치
WO2015084066A1 (ko) 시각장애인용 길안내시스템을 위한 rfid 태그의 정보 저장 및 이의 송수신 방법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MY122034A (en) Identification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WO2014137016A1 (ko) Rfid/nfc태그에 고유번호 및 문자를 부여한 알고리즘 점자블록 시각장애인 안내유도시스템 및 안내방법
KR101996925B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인식시스템
KR20140007664A (ko) 위치 안내 보도블록
WO2018008882A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거치장치
WO2009001991A1 (en)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KR20190114928A (ko)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KR100846299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2411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WO2013172516A1 (ko) Gps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 시스템
KR100647069B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20110062844A (ko) 시각장애인용 건물 내 안내 지팡이
WO2017034273A1 (ko) 시각장애인용 사물 인지 시스템
KR20110003100A (ko) 진동으로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장치
KR100907954B1 (ko) 시각장애인 안내장치
KR20180107454A (ko)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20140104122A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KR2013011504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219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219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