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63528A1 -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63528A1
WO2015163528A1 PCT/KR2014/004984 KR2014004984W WO2015163528A1 WO 2015163528 A1 WO2015163528 A1 WO 2015163528A1 KR 2014004984 W KR2014004984 W KR 2014004984W WO 2015163528 A1 WO2015163528 A1 WO 20151635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gartan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9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윤배
주성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1480078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456526B/zh
Priority to US15/306,331 priority patent/US20170042795A1/en
Publication of WO20151635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63528A1/ko
Priority to US16/198,498 priority patent/US1084272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hite ros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function comprising the white ros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Skin is the body's foremost defensive organ that protects our body from external stimuli, and its aesthetic interest is increasing. Accordingly, researches on various functional cosmetics are active, and among them, various functional cosmetics for wrinkle relief and whitening functions are being released.
  • Intrinsic aging is an aging process that is naturally induced by deterioration of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a living body with age.
  • Extrinsic aging is an aging phenomenon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ultraviolet (UV), dry air,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tress. As skin aging progresses due to these factors, wrink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kin.
  • UV ultraviolet
  • dry air dry air
  • reactive oxygen species reactive oxygen species
  • white rose flower (white rose flower) is a genus belonging to the genus of rose, the antioxidation,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effects, etc., including the conventional white ros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but the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for this It has not been studied yet.
  • the present inventors while searching for a natural material as a new material for producing cosmetics having excellent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without any side effects on the living body, and experimented with the function of white rose extract, the ethanol extract of white ros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effectively inhibiting the in vitro activity of cinases, exhibiting a whitening effect, and effectively inhibiting collagen degrading enzyme activity to have an anti-wrinkle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hitening or skin wrinkles comprising white ros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white rose extract may be extracted from dried rose rose petals with ethanol, butanol or ethyl acetate.
  • the white rose extract may be to inhibit melanin production by inhibiting 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tyrosinase.
  • the white rose extract may be to improve the skin elasticity by inhibiting 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MMP-1.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r skin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3,5-di-o-methyl-gartanin (3,5-di-o-methyl-gartani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3,5-di-o-methyl-gartanin (3,5-di-o-methyl-gartanin) is white rose (white rose flower), Red Sandra (Red Sandra), Red Velvet, First Red, Nobless, Konffetti, My Heart, Grand Gala, Dolores, Lotte Rose ), Saphir, Mercedes, Gabriella, Frisco, Only Love, Coco, Escimo, Calibra, Mimirose ( Mimi Rose), Little Mable (Little Mable), Princess (Princess), Evelyn (Evelien) and Charming (Chaming) may be separated from one kind of ro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3,5-di-o-methyl-gartanin (3,5-di-o-methyl-gartanin) may be derived from the rose petal extract.
  • the 3,5-di-o-methyl-gartanin (3,5-di-o-methyl-gartanin) inhibits or inhibits the activity of tyrosinase to inhibit melanin production It may be.
  • the 3,5-di-o-methyl-gartanin (3,5-di-o-methyl-gartanin) improves skin elasticity by inhibiting 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MMP-1 It may be.
  • the composition is a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izing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essence, nutrition essence , Pack, soap, shampoo,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body cleanser, latex, lipstick, makeup base, foundation, press powder and loose powder have.
  • 3,5-di-o-methyl-gartanin derived from white rose petal extract or white rose pe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lanin production through a mechanism that inhibits tyrosinase activity It has a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and has the effect of promoting skin elasticity and improving wrinkles through a mechanism that inhibits the activity of MMP-1,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does not cause skin irritation It may be usefully used as a material of functional cosmetics for whitening and skin wrinkle improvement.
  • Figure 2 is the result of observing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n the extract of the rose rose petals with ethanol, butanol, ethyl acetate (black: 1 ⁇ g / mL, red: 3.2 ⁇ g / mL, green: 10 ⁇ g / mL, yellow) : 32 ⁇ g / mL, blue: 100 ⁇ g / mL).
  • Figure 3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n the extract of rose petals extracted with ethanol, butanol, ethyl acetate (black: 1 ⁇ g / mL, red: 3.2 ⁇ g / mL, green: 10 ⁇ g / mL, yellow: 32 ⁇ g / mL, blue: 100 ⁇ g / mL).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white rose petal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shows the results of performing metal ion catalyst oxidation inhibition experiments on the extracts of white rose petals extracted with ethanol, butanol, and fraction 2.
  • Figure 7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yrosinase activity by the treatment concentration for the extract extracted rosette petals of ethanol, butanol, fraction 2.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tudying a new cosmetic material that can prevent skin aging, improve wrinkles of the skin and enhance the skin lightening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se petal extract has this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hite rose petal extract extracted from the white rose peta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ors paid attention to the white rose extract while seeking to find a material that is stable from the natural substance and shows excellent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to the human body, and whether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has a whitening effect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It was confirmed through an experiment.
  • the white rose extract has been shown to improve skin elasticity by inhibiting 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MMP-1 (see FIG. 1).
  • melanin is a pigment present in the ski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the body from external stimuli such as ultraviolet rays.
  • it when it is over-produced and deposited, it can cause blemishes and freckles, which can cause skin appearance problems.
  • it can promote skin aging and cause skin cancer, so it can be used as a whitening product for substances that can suppress melanin overproduction. It is possible.
  • Pigmentation of the skin is caused by irritation such as ultraviolet rays or inflammation, and it is also known to be caused by factors such as genetic factors, hormones, foods, and chemicals.
  • the biosynthetic process of melanin is involved in skin melanocytes (melanocytes). That is, the biosynthesis of melanin occurs in the organelles of a special type of melanocytes called melanosomes.
  • the enzyme tyrosina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melanin in melanosomes. By the action of this enzyme, tyrosine is converted into dopa, which is a series of oxidations that produce dopaquinone and then to dopachrome, finally forming melanin, which is dark brown. do.
  • the protein genes involved in melanin pigmentation are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RP-2,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and the major regulators of these melanin-synthesized electron expression.
  •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 ERK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an activity of inhibiting melanin synthesis by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tyrosinase (see FIGS. 2 and 3).
  •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nhibits tyrosinase activity, it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pigmentation of the skin and whitening effect of the skin.
  • the present inventors experimentally demonstrated that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skin whiten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urther experimented with which component of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has a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skin whiten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skin wrinkle improvement using 3,5-di-o-methyl-gartanin as well as white rose pet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provided.
  • White ros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tained by extraction and separation from nature using extraction and separa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the extrac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acted from the white rose using a suitable solvent, For example, crude extracts of white rose, polar solvent soluble extract or non-polar solvent soluble extract are included. Preferably it may be an extract extracted from the petals of white rose.
  • an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nd water or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urified water methanol (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ether, benzene, chloroform (including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etc.)
  • chloroform including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etc.
  • Various solvents such as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hexane and cyclohexan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 ethanol alcohol
  • butanol or ethyl acetate can be used.
  • any one of hot water extraction method, cold leaching extraction method, reflux cooling extraction method, solvent extraction method, steam distilla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elution method and compression method can be used.
  • the desired extract may further be subjected to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it may be purified using conventional purification methods.
  • any known method may be used.
  • the white rose extrac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powder form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which are extracted by the hydrothermal extraction or solvent extraction.
  • the primary extract may be further purified using various chromatography such a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like. You can also get
  • the white rose extract is a concept including all the extracts, fractions and purified products obtained in each step of extraction, fractionation or purification, their dilutions, concentrates or dried products.
  • the dried white rose petals are pulverized and powdered, followed by extraction with ethanol or water to the powder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the water extract is further deposited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with butanol or ethyl acetate and frozen.
  • White rose petal extract may be obtained through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ried powder.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aforementioned white rose petal extract, but also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for example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ings, and carriers.
  •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ings, and carrier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white rose petal extract, a mixture of organic sunscreens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insofar as it does not impair the skin protection effect by reacting with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 Organic sunscreens include glyceryl pava, drometrizole trisiloxane, drometrizole, digaloyltrioleate, disodium phenyl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dimethylhexyl butamidotriazone, and dimethylaminohydroxy Benzoylhexylbenzoate, die-methoxycinnamate, a mixture of lowson and dihydroxyacetone, methylene bis-benzotriazolyltetramethylbutylphenol, 4-methylbenzylidene camphor, menthyl anthranilate, benzophenone- 3 (oxybenzone), benzophenone-4, benzophenone-8 (dioxyphenbenzone),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synoxate, ethyldihydroxypropylpava, Octocry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s- It may be formulated as 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spray,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 silicones bentonites
  • silicas talc or zinc oxide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s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and microcrystals ar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Solub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ray, additionally chloro 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ether.
  •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human skin by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rose petal extract or 3,5-di-o-methyl-gartanin (3,5-di-o-methyl-gartanin) as an active ingredient It can provide a makeup method characterized by having anti-aging, skin wrinkle improvement or skin whitening effect.
  • the cosme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ll cosmetic methods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ll the methods known in the art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belong to the makeup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duplicat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may vary depending on the skin condition or taste of the user.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ap,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or a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t may be wiped off, peeled off or washed with water after application to the skin.
  • the soap is liquid soap, powdered soap, solid soap and oil soap
  • the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cleansing towel and cleansing pack
  • the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cream , Cleansing lotion,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white rose peta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taken from Jincheon, Chungbuk, South Korea in May 2010 and completely dried under sunlight. Completely dried petals are ground and powdered using a rotor speed mill (Laval Lab Inc., Laval, Que), sterilized using a 70% ethanol spray, dried at 80 ° C and used before use. Store at 4 ° C.
  • the prepared dry rose petal powder was divided into two parts and extracted with ethanol or water.
  • First ethanol extract was deposited using 70% ethanol (10%) of the volume of the white rose petal powder and extracted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 the extracted suspension was filtered with Whatman filter paper (No. 1),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vacuum at 50 ° C. and then lyophilized to obtain an extract primarily.
  • Samples obtained with ethanol extract were sequentially fractionated through n-hexane, ethyl acetate (EA), chloroform, n-butanol (BuOH) and distilled water, and each fraction was dried using an evaporator and used in the experiment.
  • EA ethyl acetate
  • BuOH n-butanol
  • bovine tendon collagen 25 mg was dissolved in 0.05 M tris (hydroxymethyl) -methyl-2-aminoethane sulfonate (TES) buffer and allowed to stand at 37 ° C for 15 minutes. Then, after adding collagenase type-1 and concentration-specific test substances, the mixture was further reacted at 37 ° C. for 5 hours. 0.2 mL of the reaction solution was taken and added to 1 mL of A buffer [4% ninhydrin in Methyl Cellosolve (2-methoxyethanol) + 0.2 M sodium citrate with 0.71 mM stannous chloride]. After boiling for 20 minutes, n- propanol was added, and after standing for 15 minutes,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600 nm. The absorbance decrease by the concentration of white rose fraction by concentration was expressed as the inhibition rate when only the buffer containing no white rose fraction was added as a reference (100%).
  • TES tris (hydroxymethyl) -methyl-2-aminoethane sulfonate
  • the ethanol fraction showed 41.7% inhibition of MMP-1 activity at 100 ⁇ g / mL, butanol fraction at 34.9% at 10 ⁇ g / mL, 47.7% at 32 ⁇ g / mL, and 100 ⁇ g / mL.
  • the mL showed 76.1% inhibition of MMP-1 activity.
  •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on MMP-1 activity: 35.0% at 3.2 ⁇ g / mL, 39.8% at 10 ⁇ g / mL, 59.0% at 32 ⁇ g / mL, and 83.1% at 100 ⁇ g / mL. Inhibition rate was shown.
  • the present inventors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ethanol extract, but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of white rose petals all inhibited the activity of MMP-1.
  • the ethanol extract, but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rose rose petals were It turned out that it shows the outstanding wrinkle improvement effect.
  • L-DOPA L-dihydroxyphenylalanine
  • the ethanol fraction had a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29.4% at 32 ⁇ g / mL, 52.9 at 100 ⁇ g / mL, butanol fraction at 38.1% at 32 ⁇ g / mL, and 60.4 at 100 ⁇ g / mL.
  • a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is shown.
  •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of tyrosinase, which was found to exhibit 44.3% at 32 ⁇ g / mL and 65.1% at 100 ⁇ g / mL.
  • B16 mouse melanoma cells were dispensed into 96-well plates at 1 x 10 4 cells / well (0.5 mL) and incubated for 24 hours.
  • the concentrations of white rose fraction and ⁇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 were added and cultured at 37 ° C for 3 days.
  • 0.15 mL of 1 M NaOH was added to the culture to lyse the cells, and boiled for 5 minutes to elute melanin.
  • 0.1 mL of the eluate was taken and measured for absorbance at 490 nm.
  • the standard test line was prepared with synthetic melanin to quantify the concentration, and the inhibition rate of the white rose fraction was presented based on the melanin production amount when the sample was not treated (100%).
  • the ethanol fraction showed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rate of 27.7% at 32 ⁇ g / mL, 39.9% at 100 ⁇ g / mL, butanol fraction 23.5% at 10 ⁇ g / mL, 32 ⁇ g / mL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was 35.5% at and 49.6% at 100 ⁇ g / mL.
  •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synthesis, with 30.2% at 10 ⁇ g / mL, 54.4% at 32 ⁇ g / mL, and 58.8% at 100 ⁇ g / mL.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ethanol extract, but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white rose petals all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ited melanin synthesi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ethanol extract, but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white rose petal showed excellent whiten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ors attempted to analyze specific components of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showing the wrinkle improvement and whitening effect as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inventors added 1 ml of methanol to 100 mg of butanol extract and centrifuged at 10000 rpm for 2 minutes to separate the supernatant (fraction 1, 75%, referred to as 'F1'), butanol in the precipitated pellet 1 ml was added to give fraction 2 (8%, referred to as 'F2') (see FIG. 4).
  • the F1 and F2 were analyzed using GC / MS (Agilent Technologies 5975C) equipped with a CTC CombiPAL autosampler system (Palo Alto, Calif., USA).
  • the column used for sample analysis was an HP-5 column (Agilent Technologies, 250 ⁇ m ⁇ 0.25 ⁇ m ⁇ 30 m) to analyze 10 ⁇ L of sample.
  • the injector temperature was 250 °C and the GC oven was measured at 280 °C at 3 °C / min after stopping 5 minutes at 50 °C. Data were collected after 4 minutes in consideration of solvent peaks and Wiley7N library data was used for component analysis.
  • the present inventors experimented with the MMP-1 inhibitory effect of 36 components analyzed in F1 and 14 components analyzed in F2 in order to identify which of the rose rose petal extracts in particular exhibits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s.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whether 3,5-di-o-methyl-gartanine exhibiting excellent MMP-1 inhibitory effect also exhibits a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synthase,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in Example 4 abov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s.
  • the present inventors described the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synthesis due to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3,5-di-o-methyl-gartanin (3,5-di-o-methyl-gartanin) described in Example 5. Observed through the experimental method.
  •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 the present inventors detected the reaction of DPPH solution, ethanol (EtOH) extract and each fraction in order to confirm DPPH re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of the white rose flower, an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after treatment with vitamin C (Vit.C) microplate- DPPH re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at 517 nm using an ELISA reader (SpectraMax plus 384, Molecular Devices, CA, USA).
  • DPPH re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was measured after treatment with white rose flower samples at concentrations of 1, 10, 25, and 50 ⁇ g / mL, respectively. 5).
  • Metal ion catalyst oxidative inhibition of white rose flower extracts and fractions by using metal ion catalyst reaction to check the effect of antioxidants that protect proteins or enzymes such as BSA (bovine serum albumin) from damage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 BSA bovine serum albumin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CuSO 4 was added at 1 mM and H 2 O 2 10 mM to use a metal ion catalyst reaction. After generating free radicals, BSA protein of extracts and fractions The protective effect was electrophoresed on SDS-polyacrylamide gel.
  • the present inventors reacted the white rose flower fraction with 10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5), L-tyrosine, mushroom-derived tyrosinase for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37 °C, and then OLYMPUS CKX 41 (Olympus, Tokyo , Japan) was used to determine 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ability through the intensity (intensity) after taking a pictur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has an effect of improving skin whitening and skin wrinkles, and among the white rose petal extract, especially 3,5-di-o-methyl-gartanine (3,5 -di-o-methyl-gartanin) showed an excellent effect on skin whitening and skin wrinkle improvement by the effect of inhibiting MMP-1 activity and tyrosinase activity. Therefor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white rose petal extract or 3,5-di-o-methyl-gartanin are the main components of functional cosmetics for skin whitening and skin wrinkle improvement. This will be useful.
  • the cosmetic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tion, essence, body cleanser and the like containing white rose extract (or 3,5-di-o-methyl-gartanin) which is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rmulation.
  • the skin lo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by adding the following ingredients and contents.
  • White rose extract (or 3,5-di-o-methyl-gartanine)-2.0 wt%, 1,3-butylene glycol-5.2 wt%, oleyl alcohol-1.5 wt%, ethanol-3.2 wt%, polysol Bate 20-3.2 wt%, Benzophenone 9-2.0 wt%, Carboxylvinyl polymer-1.0 wt%, Glycerin-3.5 wt%, Fragrance-Trace amount, Preservative-Trace amount, Purified water-Balance%
  • the essenc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usual method by adding the following ingredients and contents.
  • White rose extract (or 3,5-di-o-methyl-gartanine)-2.0 wt%, cetostearyl alcohol-1.0 wt%, glyceryl monostearate-0.8 wt%, sorbitan monostearate-0.3 wt% , Porofilparaben-0.1 wt%, polysorbate 60-1.0 wt%, mineral oil-5.0 wt%, cyclomethicone-3.0 wt%, dimethicone-0.5 wt%, allantoin-0.1 wt%, glycerin-5.0 wt% %, Alcohol-2 weight%, propylene glycol-3.0 weight%, fragrance-trace amount, preservative-trace amount, purified water-balance%
  • a body cleanser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by adding the following ingredients and contents.
  • White rose extract (or 3,5-di-o-methyl-gartanine)-2.0 wt%, alkyl ether saccharide (30%)-30.0 wt%, alkyl ether sulfosuccinate (30%)-20.0 wt%, Alkylamidobetaine (30%)-5.0 wt%, Propylene glycol-5.0 wt%, Betaine-5.0 wt%, Lauramiddie-4.0 wt%, Cellulose gum-0.05 wt%, Hydrolyzed protein-0.1 wt% %, Citric acid-trace, NaCl-trace, fragrance-trace, preservative-trace, purified water-bal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백장미 꽃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장미 추출물 및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은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안정한 특징이 있고,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기작을 통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가지며, MMP-1의 활성을 저해하는 기작을 통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백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자극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인체 최전방의 방어 장기이며, 미적인 관점에서도 그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그 중에서도 주름완화 및 미백기능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 노화는 그 원인에 따라 크게 내적 노화와 외적 노화의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내적 노화(intrinsic aging)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유발되는 노화 현상(aging process)이고, 외적 노화 (extrinsic aging)는 자외선(UV), 건조한 공기 (dry air),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이다. 이런 요인들에 의해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 피부 표면에 주름이 생성된다.
주름의 생성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고 있는데, 우선 피부가 과다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 분해가 촉진되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가 과도한 온도변화 및 습도저하나 바람 등에 의해 지나치게 건조해지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기능이 저하되어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그리고, 피부가 활성 산소종이나 자유 라디칼에 노출되면 산화 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그로 인해 콜라겐 등의 피부 구성 단백질이 변형되어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피부 노화가 일어나면 피부의 각질화가 일어나고, 표피세포의 융합속도가 점차 느려지며, 표피세포층은 얇게 되고, 각질층은 두껍게 되며, 진피층과의 경계선은 직선으로 된다. 진피에서는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가 노화됨으로써 섬유질과 기질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세포내 과산화물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며,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등에 영향을 받게 되어 세포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게 되고 세포의 대사활성이 저하되며, 그 결과 기능적, 구조적 손상으로 주름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노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에 의한 피부노화나 주름 발생을 억제하고자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피부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피부 중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되어 효소 티로시나제 및 TRP1, TRP2의 작용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촉진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중에 침착되어 "검버섯", "주근깨"로 발전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함유된 미백 화장품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외선은 피지, 세포막 등의 산화를 촉진하여 각종 피부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최근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의 증가로 보다 효과적인 피부 산화 방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 알려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태반 추출물, 코지산, 엘라그산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을 배합한 화장품 조성물이 일반적이다. 특히 근래에는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이 각광받고 있으나, 이런 태반 추출물은 그 공급량이 한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와 결합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신규하고 효과적인 미백 성분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등에 높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플라바논류, 하이드록시플라본류의 미백 효과에 대해서도 이미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미백 성분은 그 효과가 다소 미비하고 보존시 문제점이 있으며, 미백 효과 이외에 주름 방지 효과 및 노화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화학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하여 민감성 피부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바, 피부에 자극이 적고 친환경적인 천연 식물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백장미(white rose flower)는 장미속에 속하는 종으로 종래 백장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소염, 항알러지 등의 효능에 대해서는 이미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제조를 위한 새로운 소재로 천연물질을 모색하던 중, 백장미 추출물에 주목하여 그 기능을 실험해 본 결과, 백장미의 에탄올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의 시험관내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주름 개선 기능이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장미 추출물은 건조된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장미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장미 추출물은 MMP-1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백장미(white rose flower), 레드산드라(Red Sandra), 레드벨벳(Red Velvet), 퍼스트 레드(First Red), 노블레스(Nobless), 콘페티(Konffetti), 마이하트(My Heart), 그랜드 가라(Grand Gala), 도로레스(Dolores), 롯데로즈(Rote Rose), 사피아(Saphir), 메르세데스(Mercedes), 가브리엘라(Gabriella), 프리스코(Frisco), 온리러브(Only Love), 코코(Coco), 에스키모(Escimo), 칼리브라(Calibra), 미미로즈(Mimi Rose), 리틀마블(Little Mable), 프린세스(Princess), 에블린(Evelien) 및 챠밍(Cham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장미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백장미 꽃잎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MMP-1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장미 꽃잎 추출물 또는 백장미 꽃잎 유래의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기작을 통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가지며, MMP-1의 활성을 저해하는 기작을 통하여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MMP-1 억제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검정: 1 μg/mL, 빨강: 3.2 μg/mL, 녹색: 10 μg/mL, 노랑: 32 μg/mL, 파랑: 100 μg/mL).
도 2는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검정: 1 μg/mL, 빨강: 3.2 μg/mL, 녹색: 10 μg/mL, 노랑: 32 μg/mL, 파랑: 100 μg/mL).
도 3은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검정: 1 μg/mL, 빨강: 3.2 μg/mL, 녹색: 10 μg/mL, 노랑: 32 μg/mL, 파랑: 100 μg/mL).
도 4는 본 발명의 백장미 꽃잎 분획물 제조과정을 도식화한 결과이다.
도 5는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분획 2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처리농도별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분획 2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처리농도별로 금속이온촉매 산화억제 실험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7은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분획 2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처리농도별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며 피부 미백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연구하던 중, 백장미 꽃잎 추출물이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백장미 꽃잎에서 추출한 백장미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되어 인체에 안정하면서도, 탁월한 미백효과와 항노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재를 찾고자 모색하던 중, 백장미 추출물에 주목하였으며 백장미 꽃잎 추출물이 미백 효과와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장미 추출물은 MMP-1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참조).
한편,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는 색소로 자외선 등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것이 과잉 생성되어 침착되면 기미나 주근깨 등을 형성시켜 피부 외관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고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멜라닌 과잉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경우 미백제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피부의 색소침착은 자외선이나 염증 등의 자극에 의해 야기되며 또 유전적 요인이나 호르몬, 식품 등과 화학물질 등의 인자에 의해서도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생합성 과정은 피부 멜라닌세포 (melanocyte)가 관여한다. 즉, 멜라닌의 생합성은 멜라노솜 (melanosome) 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형태의 멜라닌세포 내 소 기관에서 일어나는데 이 멜라노솜 내에서 멜라닌의 생성에서는 티로시나제 (tyrosinase)라는 효소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효소의 작용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은 도파(dopa)로 전환되며 이것이 일련의 산화과정을 통해 도파퀴논(dopaquinone)이 생성되고 다시 도파크롬(dopachrome)으로 변환됨으로서 최종적으로 흑갈색인 멜라닌을 형성하게 된다. 이 멜라닌 색소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유전자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와 이러한 멜라닌 합성 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주요 전사인자인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이 중요한 멜라닌 합성과정으로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장미 꽃잎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도 3 참조).
따라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본 발명의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경우 피부의 색소 침착을 예방하고 피부의 미백 효과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백장미 꽃잎 추출물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백장미 꽃잎 추출물 중 특히 어떠한 성분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추가적으로 실험해 보았다.
그 결과, 백장미 꽃잎을 부탄올로 추출한 분획물의 14번째 피크에 해당하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가 가장 좋은 MMP-1 활성 저해능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장미 꽃잎 추출물 뿐만 아니라,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장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백장미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백장미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백장미의 꽃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백장미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주정),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백장미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백장미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백장미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장미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백장미 꽃잎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상기 분말에 에탄올 또는 물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물 추출물은 다시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침적하여 동결건조시킨 분말로 제조하는 과정을 거쳐 백장미 꽃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탄올 추출물을 100mg에 1ml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10000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펠렛에 부탄올 1ml를 첨가하여 분획한 F2를 GC/MS (Agilent Technologies 5975C)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4번째 용매 피크를 통해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장미 꽃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화합물은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백장미 꽃잎 추출물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백장미 꽃잎 추출물 이외에, 백장미 꽃잎 추출물과 반응하여 피부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및 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장미 꽃잎 추출물 또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노화방지, 피부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백장미 꽃잎 준비
본 발명에 사용한 백장미 꽃잎은 2010년 5월 대한민국 충북 진천에서 채취하여 햇빛 아래서 완전히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완전히 건조된 꽃잎을 로터 스피드 밀(rotor speed mill, Laval Lab Inc., Laval, Que)을 이용하여 분쇄하고 분말화 한 후, 70% 에탄올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멸균하고, 80℃에서 건조시킨 후 사용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백장미 꽃잎 추출물 제조
상기 준비된 건조 백장미 꽃잎 분말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에탄올 또는 물로 추출하였다.
우선 에탄올 추출물은 상기 백장미 꽃잎 분말 부피의 10배 분량의 70% 에탄올(ethanol)을 이용하여 침적하고 실 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하여 나온 현탁액은 와트만 여과지(No.1)로 걸러내고, 이 여과액을 50℃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1차로 수득하였다. 에탄올 추출물로 얻은 시료는 n-hexane, ethyl acetate (EA), chloroform, n-butanol (BuOH), 증류수를 통해 연속적으로 분획하였으며, 각각의 분획물을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 matrix metalloproteinase-1) 억제 효능 분석
상기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일환으로 상기 추출물들의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활성 억제 효과를 한국 보정공정서연구회(2004)의 "미용관련 기능성 시험(pp.821-858)"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25 mg의 소 힘줄 유래 콜라겐(bovine tendon collagen)을 0.05 M tris(hydroxymethyl)-methyl-2-aminoethane sulfonate (TES) buffer에 녹인 후 37℃에서 15분간 정치시켰다. 이어 collagenase type-1과 농도별 시험물질을 첨가한 뒤 5시간 동안 37℃에서 추가로 반응시켰다. 반응액 중 0.2 mL를 취하여 1 mL의 A buffer [4% ninhydrin in Methyl Cellosolve (2-methoxyethanol) + 0.2 M sodium citrate with 0.71 mM stannous chloride]에 첨가하였다. 20분간 끓인 뒤 n-propanol을 첨가하고, 15분간 정치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백장미 분획이 함유되지 않은 buffer 만을 넣었을 때의 흡광도 변화를 기준(100%)로 하여 농도별 백장미 분획에 의한 흡광도 감소를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에탄올 분획은 100 μg/mL에서 41.7%의 MMP-1 활성 억제율을, 부탄올 분획은 10 μg/mL에서 34.9%, 32 μg/mL에서 47.7%, 그리고 100 μg/mL에서는 76.1%의 MMP-1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가장 강력한 MMP-1 활성 억제효능을 나타내었는데, 3.2 μg/mL에서 35.0%, 10 μg/mL에서 39.8%, 32 μg/mL에서 59.0%, 그리고 100 μg/mL에서는 83.1%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상기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백장미 꽃잎의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모두 MMP-1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상기 백장미 꽃잎의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뛰어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효소(tyrosinase) 억제 효능 분석
한편,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 억제 효과를 한국보건공정서연구회(2004)의 "미용관련 기능성 시험(pp. 821-858)"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 상에서 PBS(pH 6.8)에 녹인 백장미 분획 시료 70 μL (최종농도 1, 3.2, 10, 32, 100 μg/mL)에 mushroom tyrosinase (2,000 unit/mg) 20 μL와 10 mM L-dihydroxyphenylalanine (L-DOPA) 10 μL를 첨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 Tecan Group Ltd., Switzerland)를 이용해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백장미 분획이 함유되지 않은 buffer 만을 넣었을 때의 흡광도 변화를 기준(100%)로 하여 농도별 백장미 분획에 의한 흡광도 감소를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에탄올 분획은 32 μg/mL에서 29.4%, 100 μg/mL에서 52.9의 티로시나아제 억제율을, 부탄올 분획은 32 μg/mL에서 38.1%, 100 μg/mL에서는 60.4%의 티로시나아제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가장 강력한 티로시나아제 억제율을 나타내었는데, 32 μg/mL에서 44.3%, 100 μg/mL에서는 65.1%의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분석
본 발명자들은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피부미백 효능을 좀 더 명확히 하고자 세포 수준에서 상기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멜라닌 색소 합성 억제효과를 한국보건공정서연구회(2004)의 "미용관련 기능성시험 (pp. 821-858)"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B16 mouse melanoma cells을 96-well plate에 1 x 104 cells/well (0.5 mL)로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농도별 백장미 분획과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로 처리하고 37℃에서 3일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0.15 mL의 1 M NaOH를 가하여 세포를 용해하고, 5분 동안 끓여 melanin을 용출하였다. 용출액 0.1 mL를 취하여 490 nm에서 흡광도 측정였다. 합성 melanin으로 표준검정선을 작성하여 농도를 정량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melanin 생성량을 기준(100%)으로 하여 백장미 분획의 농도별 억제율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에탄올 분획은 32 μg/mL에서 27.7%, 100 μg/mL에서 39.9%의 멜라닌 합성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부탄올 분획은 10 μg/mL에서 23.5%, 32 μg/mL에서 35.5%, 그리고 100 μg/mL에서는 49.6%의 멜라닌 합성 억제율을 나타냈다. 한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가장 강력한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는데, 10 μg/mL에서 30.2%, 32 μg/mL에서 54.4%, 그리고 100 μg/mL에서는 58.8%의 멜라닌 합성 억제율을 나타냈다.
상기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백장미 꽃잎의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모두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백장미 꽃잎의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뛰어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성분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특정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부탄올 추출물 100mg에 1ml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10000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분획 1, 75%, 하기 'F1'이라 한다.)을 분리하였고, 침전된 펠렛에 부탄올 1ml를 첨가하여 분획 2(8%, 하기 'F2'라 한다.)를 수득하였다(도 4 참조).
상기 F1 및 F2를 CTC CombiPAL autosampler system (Palo Alto, CA, USA)이 장착되어있는 GC/MS (Agilent Technologies 5975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HP-5 column (Agilent Technologies, 250 μm×0.25 μm×30 m)으로 10 μL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injector temperature는 250℃이며 GC oven은 50℃ 에서 5분 정지 후 분당 3℃ 간격으로 280℃까지 측정하였다. 용매 피크를 고려하여 4분후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성분분석을 위해 Wiley7N library dat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구성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KR2014004984-appb-I000001
Figure PCTKR2014004984-appb-I000002
<실시예 7>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성분별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 matrix metalloproteinase-1) 억제 효능 분석
본 발명자들은 백장미 꽃잎 추출물 중 특히 어떤 성분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F1에서 분석된 36개의 구성성분 및 F2에서 분석된 14개의 구성성분의 MMP-1 억제 효능을 실험해 보았다.
실험방법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는데, 실험 결과, F2의 14번째 분획물인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에서 특히 우수한 MMP-1의 억제 효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3,5-디-오-메틸-가르타닌의 멜라닌 합성효소(tyrosinase) 억제 효능 분석
본 발명자들은 뛰어난 MMP-1 억제 효능을 발휘하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이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능도 발휘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상기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9>
3,5-디-오-메틸-가르타닌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분석
마지막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에 기인한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을 실시예 5에 기재된 실험방법을 통해 관찰해 보았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이 예상한 바와 같이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 처리에 의해 B16 mouse melanoma cells의 멜라닌 합성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처리 농도별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DPPH 활성산소 소거능 분석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로서 517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진한 보라색 화합물이지만 라디칼(radical) 소거활성이 있는 항산화제에 의해 정량적으로 탈색된다. 또한, 라디칼에 의한 소거활성은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비롯한 항산화 활성과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항산화제 탐색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험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백장미 꽃이 가지는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해 DPPH 솔루션과 에탄올(EtOH) 추출물 및 각 분획물의 반응을 검출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비타민 C(Vit.C)를 처리 후 microplate-ELISA reader (SpectraMax plus 384,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백장미 꽃 샘플을 각각 1, 10, 25, 50 μg/mL의 농도로 처리 후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샘플에서 10 μg/mL의 농도부터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도 5 참조).
<실시예 11>
처리 농도별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금속이온촉매 산화억제 분석
ROS(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BSA(bovine serum albumin)과 같은 단백질이나 효소를 보호하는 항산화 물질의 효과를 금속이온촉매반응을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백장미 꽃 추출물과 분획물의 금속이온촉매 산화억제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 CuSO4 을 1 mM, H2O2 10 mM로 첨가하여 금속이온촉매반응을 이용하였으며, 자유 라디칼을 생성 후 추출물 및 분획물이 가지는 BSA 단백질의 보호효과를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polyacrylamide gel)에 전기 영동하였다.
백장미 꽃 샘플을 각각 1, 10, 25, 50 μg/mL의 농도로 처리 후 금속이온촉매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평가한 결과 에탄올(EtOH)추출물에서는 10 μg/mL의 농도부터 금속이온촉매 자유라디칼에 의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보인 반면, 부탄올(BuOH), F2 분획물에서는 1 μg/mL의 농도부터 보호효과가 관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도 6 참조).
<실시예 12>
처리 농도별 백장미 꽃잎 추출물의 인비트로(in vitro)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분석
본 발명자들은 백장미 꽃 분획물을 100 mM 인산나트륨 버퍼(pH 6.5), L-티로신, 버섯유래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를 혼합하여 37 ℃의 온도에서 30분간 반응하였으며, 이 후 OLYMPUS CKX 41 (Olympus,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 후 강도(intensity)를 통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백장미 꽃 샘플을 각각 10, 25 μg/mL의 농도로 처리 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능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샘플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특히 부탄올(BuOH), F2 분획물에서는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비슷한 수준으로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7 참조).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백장미 꽃잎 추출물이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고, 백장미 꽃잎 추출물 중에서도 특히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이 MMP-1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능에 의해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백장미 꽃잎 추출물 또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성분으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품 제형예로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백장미 추출물(또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을 함유하는 화장수, 에센스, 바디 클린저 등을 예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반드시 상기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스킨로션
하기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을 첨가하여 스킨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백장미 추출물(또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 2.0 중량 %, 1,3-부틸렌글리콜 - 5.2 중량 %, 올레일알코올 - 1.5 중량 %, 에탄올 - 3.2 중량 %, 폴리솔베이트 20 - 3.2 중량 %, 벤조페논9 - 2.0 중량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중량 %, 글리세린 - 3.5 중량 %, 향 - 미량, 방부제 - 미량,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2] 에센스
하기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을 첨가하여 에센스를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백장미 추출물(또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 - 2.0 중량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1.0 중량 %,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 0.8 중량 %,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 0.3 중량 %, 포로필파라벤 - 0.1 중량 %, 폴리솔베이트 60 - 1.0 중량 %, 미네랄오일 - 5.0 중량 %, 사이크로메치콘 - 3.0 중량 %, 디메치콘 - 0.5 중량 %, 알란토인 - 0.1 중량 %, 글리세린 - 5.0 중량 %, 알코올 - 2 중량 %, 프로필렌글리콜 - 3.0 중량 %, 향 - 미량, 방부제 - 미량,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3] 바디 클린저
하기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을 첨가하여 바디 클린저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백장미 추출물(또는 3,5-디-오-메틸-가르타닌) - 2.0 중량%, 알킬에텔당산염 (30%) - 30.0 중량%, 알킬에텔설포석신산염 (30%) - 20.0 중량%, 알킬아미도베타인 (30%) -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 5.0 중량%, 베타인 - 5.0 중량%, 라우라미드디이에이 - 4.0 중량%, 셀룰로스검 - 0.05 중량%, 가수분해단백질 - 0.1 중량%, 구연산 - 미량, NaCl - 미량, 향 - 미량, 방부제 - 미량, 정제수 - 잔량%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백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장미 추출물은 건조된 백장미 꽃잎을 에탄올,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장미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장미 추출물은 MMP-1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백장미(white rose flower), 레드산드라(Red Sandra), 레드벨벳(Red Velvet), 퍼스트 레드(First Red), 노블레스(Nobless), 콘페티(Konffetti), 마이하트(My Heart), 그랜드 가라(Grand Gala), 도로레스(Dolores), 롯데로즈(Rote Rose), 사피아(Saphir), 메르세데스(Mercedes), 가브리엘라(Gabriella), 프리스코(Frisco), 온리러브(Only Love), 코코(Coco), 에스키모(Escimo), 칼리브라(Calibra), 미미로즈(Mimi Rose), 리틀마블(Little Mable), 프린세스(Princess), 에블린(Evelien) 및 챠밍(Cham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장미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백장미 꽃잎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5-디-오-메틸-가르타닌(3,5-di-o-methyl-gartanin)은 MMP-1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4/004984 2013-06-07 2014-06-05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635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78245.4A CN106456526B (zh) 2013-06-07 2014-06-05 皮肤美白或皮肤皱纹改善用化妆品组合物
US15/306,331 US20170042795A1 (en) 2013-06-07 2014-06-05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rose flower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skin wrinkle
US16/198,498 US10842727B2 (en) 2013-06-07 2018-11-21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rose flower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skin wrin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333 2013-06-07
KR1020140049406A KR101651325B1 (ko) 2013-06-07 2014-04-24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49406 2014-04-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306,331 A-371-Of-International US20170042795A1 (en) 2013-06-07 2014-06-05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rose flower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skin wrinkle
US16/198,498 Division US10842727B2 (en) 2013-06-07 2018-11-21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rose flower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skin wrink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3528A1 true WO2015163528A1 (ko) 2015-10-29

Family

ID=5267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984 WO2015163528A1 (ko) 2013-06-07 2014-06-05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70042795A1 (ko)
KR (1) KR101651325B1 (ko)
CN (1) CN106456526B (ko)
WO (1) WO2015163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5293B2 (ja) * 2018-09-14 2022-11-04 フェイスラボ株式会社 美容組成物
JP7169501B2 (ja) * 2018-09-14 2022-11-11 フェイスラボ株式会社 細胞内酸化ストレス抑制剤及びその用途
KR102160913B1 (ko) * 2018-12-07 2020-09-29 김성예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09674674A (zh) * 2019-02-20 2019-04-26 广州娇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三肽-1活性物的修护乳液面膜液及制备方法
CN110585053B (zh) * 2019-10-16 2022-04-29 张传旋 用于祛斑、除细纹、黑眼圈和眼袋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20544B1 (ko) * 2019-11-01 2022-07-13 한국식품연구원 장미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CN111067821A (zh) * 2019-12-25 2020-04-28 皖南医学院 一种含多糖保湿剂的保湿口红及其制备方法
JP2021134160A (ja) * 2020-02-26 2021-09-13 八幡物産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美白剤、美白用皮膚外用剤、ヒドロキシメチルフルフラールの製造方法、ヒドロキシルフルフラール製造装置
CN111467447B (zh) * 2020-04-18 2022-05-17 北温草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皮肤过敏抑制的中草药组合物
CN112545963A (zh) * 2020-12-30 2021-03-26 上海澄穆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效果的组合物、美白复合制剂及美白复合制剂的制备方法
WO2023114279A1 (en) * 2021-12-17 2023-06-22 Isp Investments Llc Bioactive serum fractions from fresh rose flow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s
CN114224801A (zh) * 2021-12-31 2022-03-25 银谷芳香科技有限公司 一种大马士革玫瑰枝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组合物及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513A (ko) * 2001-01-22 2002-07-26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피부미백기능을 가지는 장미꽃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피부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060101100A (ko) * 2005-03-19 2006-09-22 정세영 피부 미백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KR20080072122A (ko) * 2007-02-01 2008-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72153A (ko) * 2009-12-22 2011-06-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장미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8467A1 (en) * 2001-12-27 2003-07-24 Avon Products, Inc. Methods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skin
KR100637342B1 (ko) * 2003-10-30 2006-10-23 윤성용 천연 화장품 개발을 위한 캘러스의 용도
US20060110415A1 (en) 2004-11-22 2006-05-25 Bioderm Research Topical Delivery System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Agents
KR20090080153A (ko) * 2008-01-21 2009-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513A (ko) * 2001-01-22 2002-07-26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피부미백기능을 가지는 장미꽃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피부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060101100A (ko) * 2005-03-19 2006-09-22 정세영 피부 미백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KR20080072122A (ko) * 2007-02-01 2008-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72153A (ko) * 2009-12-22 2011-06-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장미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EUN - HWA: "A Study of Whitening Cosmetic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vol. 4, no. 2, 2006, pages 195 - 2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2795A1 (en) 2017-02-16
US20190105258A1 (en) 2019-04-11
CN106456526B (zh) 2019-12-13
CN106456526A (zh) 2017-02-22
KR101651325B1 (ko) 2016-08-25
KR20140143688A (ko) 2014-12-17
US10842727B2 (en)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3528A1 (ko)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2968B1 (ko) 마트린 또는 옥시마트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KR101920617B1 (ko) 마돈나 백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08077B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66413A1 (ko) 발효된 쌀 부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48800B1 (ko) 브라질리안 페퍼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WO2014119826A1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3618B1 (ko) 프로토카테큐익 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2414390B1 (ko)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921251B1 (ko) 프로토카테큐익 산을 포함하는 탈모억제제
KR100863614B1 (ko) 시로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개선용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17281B1 (ko) 사랑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제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7080B1 (ko)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2769B1 (ko) 이소람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제
KR100862967B1 (ko) 마트린 또는 옥시마트린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17242B1 (ko) 섬오갈피 근피 성분인 아칸토산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0919897B1 (ko) 이소멘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0823537B1 (ko)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30077872A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86606B1 (ko) 테트란드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00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06331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00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