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913B1 -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913B1
KR102160913B1 KR1020180157279A KR20180157279A KR102160913B1 KR 102160913 B1 KR102160913 B1 KR 102160913B1 KR 1020180157279 A KR1020180157279 A KR 1020180157279A KR 20180157279 A KR20180157279 A KR 20180157279A KR 102160913 B1 KR102160913 B1 KR 10216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ntioxidant
flower
chrysanthe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801A (ko
Inventor
김성예
Original Assignee
김성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예 filed Critical 김성예
Priority to KR102018015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9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복용 시에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OXIDATING, WHITENING AND IMPROVING WRINKLE COMPRISING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와 진피, 그리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각질층은 표피(epidermis)의 기저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의 분화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죽은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체를 외부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에서의 노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연구되고 있는데, 하나는 "내적 노화"로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피부의 구성 단위인 세포의 기능변화에 기인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적 노화"로서 외부 환경 즉 자외선, 공해,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피부의 세포는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인간의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끊임없이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지게 되면, 세포 구성 성분들 인지질, 단백질, 탄수화물과 DNA 산화적 손상 및 효소활성을 변화시켜 피부암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노화를 촉진시킨다.
아울러 외적 노화의 원인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서 UV에 지속적인 노출을 통해 피부암 등의 급성 및 만성적인 피부의 상해가 유발된다.
또한, 엘라스틴(elastin) 섬유는 콜라겐과 가교 결합을 형성하며 피부 탄력에 관여하고 있는 주름 생성에 중요한 피부 구성성분이다.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생성 요인 중의 하나로 밝혀지고 있다.
엘라스타아제는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 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 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국민의 경제적 수준이 향상되고 양보다는 질을 추구하는 소비형태의 변화에 따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물을 원료를 사용하고, 합성 소재의 사용은 최소화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피부노화, 항산화, 주름개선용 기능성 소재의 개발은 화학성분보다 천연물 소 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천연물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제품의 이미지는 소비자에게 매우 친환경적으로 각인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물 소재는 재배, 보관에 따라 성분 및 품질의 동질성 확보가 어렵고, 그 결과 유효성분의 함량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유효성분 또는 약리작용 성분이 불분명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물 소재 개발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천연물 또는 천연추출물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 중에 효과가 검정된 단일화합물을 동정하고, 그 유효성분의 효능을 검정함으로써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 문헌 1) KR 10-1310980 B1
본 발명의 목적은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복용 시에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꽃차 추출물은 건조한 장미, 건조한 국화, 건조한 메리골드, 건조한 백년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건조된 꽃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꽃차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및 백년초 꽃 추출물은 장미 열수 추출물, 국화 열수 추출물, 메리골드 열수 추출물 및 백년초 꽃 열수 추출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Rose) 추출물, 국화(Chrysanthemum) 추출물, 메리골드(Tagetes erecta) 추출물, 백년초(Opuntia humifusa)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미(Rosa spp.)는 쌍떡잎 식물군, 장미목, 장미과, 및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을 총칭하며, 야생종과 개량을 가한 원예종을 모두 포함한다. 장미는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며, 아름다운 꽃과 향기로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많이 재배되어 있다. 장미는, 그리스·로마시대에 서아시아에서 유럽지역의 야생종 과 이들의 자연교잡에 의한 변종이 재배되고 있었으며, 르네상스시대에 걸쳐 주로 유럽 남부에서 많이 재배되었 다. 현재는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및 아열대 등 넓은 지역에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관상, 원 예용으로서 장미 이외에 유럽에서는 예로부터 장미꽃잎을 홍차에 띄워 그 맛과 향을 즐기는 습관이 있다.
상기 국화(Chrysanthemum)는 국화과(family Asteraceae)에 속하는 크리산테뭄(Chrysanthemum) 종 으로서, 원산지는 아시아 및 북유럽이다. 이러한 국화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지역의 산간지에 널리 자생되며, 크 게 산국과 소국으로 대별되어 전통식품의 천연향 소재로 이용되어 왔고, 본초강목에서도 이러한 국화의 위장질 환, 두통 등에 대한 효능을 기재하고 있다. 국화의 종류의 예로는 크리산테뭄 아프로디테(Chrysanthemum aphrodite), 크리산테뭄 아크티쿰(Chrysanthemum arcticum), 크리산테뭄 아르지로필룸(Chrysanthemum argyrophyllum), 크리산테뭄 아리사넨세(Chrysanthemum arisanense), 크리산테뭄 보레알레(Chrysanthemum boreale), 크리산테뭄 코로나리움(Chrysanthemum coronarium), 크리산테뭄 크라숨(Chrysanthemum crassum), 크리산테뭄 글라브리우스쿨룸(Chrysanthemum glabriusculum), 크리산테뭄 하이파지룸(Chrysanthemum hypargyrum), 크리산테뭄 라반듈리폴리움(Chrysanthemum lavandulifolium), 크리산테뭄 모리폴리움 (Chrysanthemum morifolium), 크리산테뭄 모리(Chrysanthemum morii), 크리산테뭄 오키엔세(Chrysanthemum okiense), 크리산테뭄 오레아스트룸(Chrysanthemum oreastrum), 크리산테뭄 포텐틸로디스(Chrysanthemum potentilloides), 크리산테뭄 세게툼(Chrysanthemum segetum), 크리산테뭄 쉬오지쿠(Chrysanthemum shiwogiku), 크리산테뭄 시누아툼(Chrysanthemum sinuatum), 크리산테뭄 베스티툼(Chrysanthemum vestitum), 크리산테뭄 웨이리치(Chrysanthemum weyrichii), 크리산테뭄 자와드스키(Chrysanthemum zawadskii) 등이 있으 나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크리산테뭄 베스티툼(Chrysanthemum vestitum)일 수 있다.
상기 메리골드(Tagetes erecta)는 만수국의 우리말로 '성모마리아의 황금빛 꽃'이라는 성스러운 이름의 꽃이다. 노랑, 주황색 등 찬란 한 꽃색으로 인해 홍황초(紅黃草)라는 이름도 있다. 본래 멕시코 원산으로 아프리카를 거쳐 유럽에 퍼졌는데, 우리나라에 서도 많이 재배되는 꽃이다. 잔물결 같은 꽃잎모양이나 화려한 색상이 보기가 좋고, 초여름부터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긴 기간동안 꽃이 핀다. 만수국의 꽃에는 향기가 있어 방향제로 사용한다. 항균, 진정, 진경제로 이용되며, 같은 속식물인 T. minuta에는 휘발성 오일(volatile oils)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 혈압강하, 기관지확장, 진경소염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꽃의 주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flavonoid glycoside)인 타게티인(tagetiin), 남색 형광물질인 알파-터티닐(α-terthienyl), 터펜 (terpene)류 색소인 헬레니엔(helenien), 베타-카로틴(β-carotene), 플라보산틴(flavoxanthin) 등이 있으며, 잎에는 소염 작용이 있는 카엠퍼리틴(kaempferitrin)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백년초(opuntia ficus indica)는 미국과 멕시코를 비롯하여, 한국 제주도에서 경작되는 선인장의 일종으 로서, 백년초의 열매는 민간에서 종기, 화상, 부종, 기관지 천식, 가래, 백일해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변비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백년초의 건조분말은 당뇨병 치료효과 또는 숙취효과를 갖는다는 보고가 있다.
피부 노화의 원인이 활성 산소종에 기인된 것이라는 학설이 인정됨에 따라 활성 산소종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활성 산소종을 조절할 수 있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퍼옥시다제 (peroxidase), 카탈라제 (catalase), 글루타치온 (glutathione), 퍼옥시다제 (peroxidase) 등의 항산화 효소와 토코페롤 (tocopherol), 아스코르브산 (ascorbate),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등의 천연물 유래의 저분자 항산화 물질에 대해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BHT, BHA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도 많이 개발되어 의약품과 식품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Chang 등, 1977; Hammerschmidt 와 Pratt, 1977; Kitahara 등, 1992; Hatano 등, 1995; Masaki 등, 1995).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는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소비자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합성 항산화제의 사용은 점점 제한되고 있다(Branen, 1975). 이로 인하여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여러 물질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들 천연 항산화제는 효력 및 생산 비용 면 등에 서 합성 항산화제를 능가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장미(Rose) 추출물, 국화(Chrysanthemum) 추출물, 메리골드(Tagetes erecta) 추출물, 백년초(Opuntia humifusa)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는 장미(Rose) 추출물, 국화(Chrysanthemum) 추출물, 메리골드(Tagetes erecta) 추출물 및 백년초(Opuntia humifusa) 꽃 추출물을 혼합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꽃차 추출물은 건조한 장미, 건조한 국화, 건조한 메리골드, 건조한 백년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건조된 꽃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한 장미 꽃, 건조한 국화 꽃, 건조한 메리골드 꽃 및 건조한 백년초 꽃으로부터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C₁ 내지 C5의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이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및 백년초 꽃 추출물은 장미 열수 추출물, 국화 열수 추출물, 메리골드 열수 추출물 및 백년초 꽃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 가락지나물(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ott) 추출물,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추출물,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Wall.)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꽃차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가락지나물(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ott) 추출물,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추출물,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Wall.)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복합 추출물로 이용에 따라, 각 구성 성분의 복합 작용에 의해 효과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Rose) 추출물, 국화(Chrysanthemum) 추출물, 메리골드(Tagetes erecta) 추출물 및 백년초(Opuntia humifusa)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가락지나물(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ott) 추출물 및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Wall.) 추출물을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합 추출물로 구성하게 되는 경우,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및 백년초 꽃 추출물을 주된 꽃차 추출물로 포함하여, 꽃차의 향으로 인해 기호성을 높임과 동시에, 가락지나물 추출물 및 참빗살나무 추출물을 소량 포함시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가락지나물 추출물 및 참빗살나무 추출물은 소량 포함되어, 꽃차 추출물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꽃차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과 혼합 작용으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가락지나물 추출물 및 참빗살나무 추출물은 소량 포함에 의해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공할 때, 천연 추출물 고유의 맛이 느껴질 수 있어, 꽃차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호성을 낮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은 발효 가락지나물(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ott) 추출물, 발효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추출물, 발효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Wall.)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효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효 가락지나물 추출물 및 발효 참빗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가락지나물 추출물 및 발효 참빗살나무 추출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가락지나물 추출물 및 참빗살나무 추출물의 고유의 맛을 제거하여, 기호도를 낮추는 문제는 방지함과 동시에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는 더욱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발효 가락지나물 추출물 및 발효 참빗살 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가락지나물 및 참비살나무를 건조시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이후, 혼합물로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로 제조한다. 이후 미생물을 접종시켜 발효시켜 제조한다.
상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국화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메리골드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백년초 꽃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가락지나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참빗살나무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기호도가 높고, 우수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국화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메리골드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백년초 꽃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가락지나물 및 참빗살나무 혼합 발효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주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꽃차 추출물의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기호성을 높이고,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약용으로 재배하는 다년초로 높이가 1m에 달하며 능선이 있고 선점이 산생한다. 잎은 호생하고 홀수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 내지 17개씩이고 난형으로 원두 원저이며 양면에 흰털과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은 담자색으로 7 내지 8월에 잎겨드랑이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협과로 선형이며 종자는 6 내지 8개씩 들어있다.
상기 결명자(Senna tora (L.) Roxb.)는 재배하는 일년초로 높이가 2m에 달한다. 잎은 짝수1회우상복엽으로 2 내지 4쌍의 소엽이 달리고 소엽은 도란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해지고 예저 또는 원저이다. 꽃은 황색으로 꽃자루가 있으며 6 내지 8월에 잎겨드랑이에 1 내지 2개 달린다. 열매는 협과로 활처럼 구부러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국화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메리골드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백년초 꽃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가락지나물 및 참빗살나무 혼합 발효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감초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결명자 추출물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초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시킴에 따라,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공 시, 맛에 대한 평가를 높여 기호도가 우수한 제품으로의 제공이 가능하며, 여기에 더해, 복합 추출물로 사용에 따른 성분 간의 혼합 작용으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이 화장효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용도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의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인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복용 시에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1. 장미 추출물의 제조
장미 꽃을 건조하여 건조된 장미 꽃을 제조하였다. 건조된 장미 꽃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한 장미에 20배 부피비의 물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100℃에서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하여 장미 열수 추출물(RE)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추출물의 제조
국화, 메리골드, 백년초 꽃, 가락지나물, 참빗살나무, 감초 및 결명자를 상기 장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국화 열수 추출물(CE), 메리골드 열수 추출물(TE), 백년초 꽃 열수 추출물(OE), 가락지나물 열수 추출물(PE), 참빗살나무 열수 추출물(EE), 감초 열수 추출물(GE) 및 결명자 열수 추출물(SE)을 제조하였다.
3. 발효 추출물(FE)의 제조
건조한 가락지나물 및 참빗살 나무를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한 이후, 상기 가락지나물 분말 및 참빗살나무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장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 후 25℃에 3일간 발효시킨 뒤 95℃에 1시간 동안 멸균 후 여과지(Qualitive Filter Papers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 상태로 수득하였다.
4.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장미 추출물, 국화 추출물, 메리골드 추출물, 백년초 꽃 추출물, 가락지나물 추출물, 참빗살나무 추출물, 감초 추출물, 결명자 추출물 및 가락지나물 및 참빗살나무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RE 100 - -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E - 100 - - 30 40 60 80 100 60 60 60 60
TE - - 100 - 30 40 60 80 100 60 60 60 60
OE - - - 100 30 40 60 80 100 60 60 60 60
PE - - - - 5 10 20 30 40 - - - -
EE - - - - 5 10 20 30 40 - - - -
GE - - - - 20 30 40 50 60 40 40 40 40
SE - - - - 20 30 40 50 60 40 40 40 40
FE - - - - - - - - - 5 10 30 5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실험]
1.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X1 내지 X4의 추출물을 수소전자공여능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를 메탄올(또는 DMSO) 용매로 용해하여, 900μL의 DPPH 용액(100μM)과 각 시료 100μL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이 혼합 시료를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소전자공여능은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An=(A0-A)/A0*100
An: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A0: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PPH 용액의 흡광도
A: 반응 용액 중의 DPPH와 시료가 반응한 흡광도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of control
Concentration(mg/mL)
1 2.5 5 10
X1 7.02±0.38 9.42±0.81 11.22±0.22 13.12±0.21
X2 6.02±0.91 8.52±0.38 10.12±0.16 12.12±0.28
X3 7.14±0.22 10.12±0.24 12.01±0.21 14.01±0.21
X4 6.92±0.21 9.12±0.22 11.01±0.21 13.02±0.22
*Data represent the mean values±SD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의존적으로 소거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다른 조성물에 대해 소거능을 확인하이 위하여 동일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X1을 지수 5로 놓고 상대적인 평가를 통해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X1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 4 6 7 6 5 4 8 8 5
X5 내지 X13에서도 농도의존적으로 소거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X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X6 내지 X8 및 X11 및 X12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세포내 melanin 생성 저해 실험
B16F10 세포계를 이용하여 세포 내 melanin 생성량을 정상군과 비교하여 저해율을 구하였다. 35mm dish에 1X105 세포를 1 내지 3일 배양하였다. melanin 생성을 유발하기 위해 배지에 α-MSH 또는 3-isobutyl-1-methylanthine (IBMX)를 처리하여 melanin 생성 과정을 촉진시켰다.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침전된 세포에 1N 수산화나트륨 용액 150 μl를 넣고 80 ℃ 항온조에서 용해하고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회수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합성 멜라닌을 이용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멜라닌의 양을 계산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BO-B)/BO]*100
BO: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Concentration (mg/ml) (-)α-MSH (ug/ml) (+)α-MSH (ug/ml) 멜라닌
생성율(%)
멜라닌 생성 저해율(%)
Control 0 268.1 637.6 100 0
Arbutin 0.1 370.4 58.1 41.9
X1 0.1 500.1 59.2 40.8
X2 1.0 399.2 60.6 39.4
X3 1.0 249.4 55.2 44.8
X4 1.0 240.6 56.5 43.5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X1 및 X4의 경우, 종래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는 알부틴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른 조성물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알부틴의 미백 효과를 지수 5로 놓고 상대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Arbutin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멜라닌 생성 저해 5 3 5 6 5 5 4 7 8 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부틴과 비교하여 다른 조성물에서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X11 및 X12에서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관능성 실험]
X1 내지 X13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위해, 조성물을 차로 제조하여 성인남녀 20명에게 맛, 향 및 종합 기호도 평가를 요청하였다.
상기 관능성 실험은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3 3 2 3 3 4 5 4 5 4 8 9 5
8 8 8 7 6 7 6 4 4 5 8 8 5
기호도 4 3 3 3 4 5 6 4 4 4 8 9 5
상기 X1 내지 X13에 대한 관능 실험 결과, X1 내지 X4의 경우 향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내었으나, 맛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꽃을 이용하여 차로 제조함에 따라 향에서는 우수한 평가를 받을 수 있으나, 맛에서 기호도 높은 맛을 제공하지 못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X5 내지 X9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에 따라서도, 대체적으로 향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내었으나, 맛에서 우수한 평가가 나오지 않아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천연 추출물 자체의 고유 맛이 기호도가 높은 맛으로 제공되지 못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반면, X11 및 X12의 경우에는 발효 추출물을 이용함에 따라, 맛에 있어 섭취자의 높은 평가를 받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장미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국화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메리골드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백년초 꽃 추출물 40 내지 80 중량부;
    가락지나물 및 참빗살나무 혼합 발효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감초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결명자 추출물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차 추출물은 건조한 장미, 건조한 국화, 건조한 메리골드, 건조한 백년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건조된 꽃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인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차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인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57279A 2018-12-07 2018-12-07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6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79A KR102160913B1 (ko) 2018-12-07 2018-12-07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79A KR102160913B1 (ko) 2018-12-07 2018-12-07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01A KR20200069801A (ko) 2020-06-17
KR102160913B1 true KR102160913B1 (ko) 2020-09-29

Family

ID=7140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279A KR102160913B1 (ko) 2018-12-07 2018-12-07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073B1 (ko) * 2008-01-14 2009-11-1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980B1 (ko) 2013-02-18 2013-09-25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구기자 나무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651325B1 (ko) * 2013-06-07 2016-08-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073B1 (ko) * 2008-01-14 2009-11-1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01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745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9124862A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76620A (ko)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6972A (ko)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0961B1 (ko) 갈대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60913B1 (ko) 꽃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63895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초석잠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57126A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86994B1 (ko) 한국의 야생초 추출물을 발효한 항염활성, 피부개선에 유용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24556B1 (ko)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1596B1 (ko) 알로에, 레몬 및 청귤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78096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