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26212A1 -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 Google Patents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26212A1
WO2015126212A1 PCT/KR2015/001726 KR2015001726W WO2015126212A1 WO 2015126212 A1 WO2015126212 A1 WO 2015126212A1 KR 2015001726 W KR2015001726 W KR 2015001726W WO 2015126212 A1 WO2015126212 A1 WO 20151262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p
coffee
tag
inner cup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17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반채일
Original Assignee
반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채일 filed Critical 반채일
Publication of WO20151262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262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ffee cup used in a drip coffee vending machine, and in more detail,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stacked in an integrated state so as to secure a space as much as possible while safely drinking coffee in a drip manner.
  • the sludges that were dropped by the drip method were discarded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inner cup, so that the soiling around the trash can was minimized.
  • a drip coffee vend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ending machine or a main body) is a vending machine that dispenses coffee in a drip manner, and unlike a general coffee vending machine, a dispenser in which inner and outer cups are stacked inside the main body ( Dispenser is provided and combined with the inner cup on the outer cup brought down through each dispenser by the driving unit, and then the fresh coffee powder and water ground by the grinder are dropped onto the inner cup, and the coffee passed through the inner cup. The liquid is collected in the outer cup located at the botto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10-2013-0142232)
  • the upper part of the vending machine includes not only two or more dispensers contain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but also a grinder for grinding bulky beans, a case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inner cup. Space is very narrow,
  • the inner cup coupled to the upper part is thrown into the trash and the coffee contained in the outer cup is to be drinked.
  • the remaining coffee pow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udge) in my cup was thrown into the trash bin, and the sludge came out of the open my cup where the sludge came out of the surrounding, and the management of having to clean the trash bin frequently was followed.
  • the sludge of the inner cup is to be discarded in a sealed state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 the inner cup is placed inside the outer cup in which the resin film is formed for waterproofing, and then the resin film of the outer cup is melted with a jig containing a hot bar or hot wire after placing the inner cup made of filter paper.
  •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While stack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together in one dispenser and discharging them to secure the maximum internal space,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can be safely taken out so that the drip coffee can be produced.
  • the sludges located inside the inner cup are discarded in a sealed state to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 the resin film of the outer cup melts and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fused, and thus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fused.
  • the dispenser there is no need to provide separate inner cup dispensers and outer cup dispensers, respectively, to have the maximum internal space, thereby ensuring higher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fused together, a stable cup is discharged and the coffee can be manufactured and eaten in a safe drip manner. In particular, it minimizes the time for hot water to take place in the vending machine. It can be secured.
  •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handle-type tag of the inner cup protruding above the outer cup while discarding in the state sealed in the inside of the bean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ase of management while minimizing the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cup of a dri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inner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coffee cup laminated to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 chart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a and 5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jaw and the handle-type tag during fus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ffee cup of a drip coffee vending machine in which an inner cup and an outer cup are composed of a set,
  • the upper edge is rolled outward to form a locking jaw, and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has a resin film laminated or deposited inside the outer cup which is deposited or coated.
  • Figure 1 shows the appearance of a disposable coffee cup mounted to the dispenser of the dri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when the coffee cup of Figure 1 is separated into an inner cup and an outer cup 3 shows a plurality of disposable coffee cups stacked
  • FIG. 4 shows a disposable coffee cup of FIG. 3 being discharged through a dispens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ffee cup 1 mounted and used in the dispenser 10 of a drip vending machine, wherein the dispenser 10 has a central outlet 17 and a hook 11a.
  • a circular ring gear 12 is formed with a peak and valleys inward, and between the ring gear 12 and the hook 11a and the rotary shaft 13a and
  • a plurality of swing gears 13 having guide pieces 13b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disposable coffee cups in which the guide pieces 13b of the swing gear 13 are stacked inside the discharge port 17 (hereinafter, Rotate the coffee cups one by one and drop them down.
  • the guide piece 13b partially protrudes in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guide piece 13b form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one side is cut off, so that a plurality of swing gears 13 are normally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hole 17.
  • the swing gear 13 While supporting the locking jaw 22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outer cup, or holding the body 21 of the lower locking jaw 22, the swing gear 13 is connected to the ring gear 12 By rotating, the coffee cup 1 located inside the outlet 17 is rotated. At this time, the locking jaw 22 of the outer cup 20 is rota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wing gear 13 to exit the cutting groove 13c of the guide piece 13b and fall down, thereby separating the coffee cup 1 one by one. It will drop down.
  • the ring gear 1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ece that protrudes out of the base frame 11, and one side of the link 14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iece, so that when the ring gear 11 is rotated, the link ( 14) is moved and the eccentric body 15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ensing switch 16 and dropped, while dropping the disposable coffee cups one by one while controlling the ring gear to rotate inside the limited range.
  • the link ( 14) is moved and the eccentric body 15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ensing switch 16 and dropped, while dropping the disposable coffee cups one by one while controlling the ring gear to rotate inside the limited range.
  • the dispenser 1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coffee cup 1 that is dropped in particular contains the inner cup 30 in which the beans are contained and the remaining coffee liquid through the inner cup. It consists of an outer cup 20, the inner cup 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ispenser 10 in a fixed state inside the outer cup 20.
  • the outer cup 20 at this time forms a body 21 for accommodating the extracted coffee liquid and a locking jaw 22 protruding outward while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rolled outward, and the body 21 And the hanging jaw is the resin film 23 is coated or deposited or applied for waterproofing.
  • the resin film 23 is a thermoplastic film in which the resin film is melted and fused by a hot bar or a hot wire of a jig, and in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n antimicrobial film made of a multilayer together with the thermoplastic film.
  • the inner cup 30 is composed of a manure of the body 31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 resin film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up by a jig containing a hot bar or hot wire melts the outer cup 20 ) It is fixed to the inner receiving space.
  • the inner cup 30 has one or more handle-type tags 32 protruding out of the locking jaw of the outer cup on the upper rim,
  • Body 31 is inclined to cut the lower end of the manure that is cut symmetrically 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a rhombic shape around the center line, when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manure each inclined first bonding surface Together with (33), a second joining surface 34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more than the first joining surface.
  • the inner cup 30 overlaps a pair of manures that are correlated with the manure, or a pair of manures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nd then joins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May be formed.
  •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31 is bent along the folding line 35 to form a pair of pointed projections 36 pointed downwardly
  • the inner cup 30 is to be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outer cup 20.
  •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osable coffe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5a and 5b is shown to enlarge the appearance of the jaw and handle tag wh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fusion welded It is a cross section
  • the jig 40 is formed so that the cup-shaped fixing portion 41 protrudes above the mounting table of the flat plate, and the inlet groove 42 or the handle type in which the locking jaw of the outer cup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edge.
  • the protrusion 43 is formed so that the tag and the locking jaw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heating means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together with the heating wire 44 installed in the indentation groove or the protrusion are formed under the fixing part.
  • the mounting base 45 which contains is formed.
  • the body 31 of the inner cup surrounds the fixing part 41 while the handle-type tag 32 has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groove 42. Or it is located above the protrusion 43.
  • the handle tag 32 and the locking jaw 2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protrusion formed on the edge of the fixing part.
  • the inner cup 30 is fused to the inner cup 30 is the two or more handle-type tag 32 is fused to the locking jaw 22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is fixed in the outer cup in the open state, thereby
  • the outer and inner cups that are fused are to be stacked side by 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secure the maximum loading space while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can be mounted in an integrated state inside one dispenser, and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discharged in a fused state and manufactured in a safe drip method. You will be able to drink old coffee.
  • the jig 4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vering of the outer cup and a drive switch for heating the heating wire separately, but the protruding pin 46a moving upward and downward on the inlet groove is formed.
  • the micro switch 46 By forming the micro switch 46, the outer cup is covered on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projection pin 46a is pressed by the latching jaw when the locking jaw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so that the heating wire 44 may be heated. .
  • Figure 6 shows the appearance of a disposable coffee cup mounted to the dispenser of the dri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ner cup 50 has a circular bottom surface 52 at the bottom of the manure, which is formed symmetrically in a rhombic form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entered on the center line 51 and a handle type protruding outwardly about the center thereof.
  • the tag may be integrally laminated.
  • a folding line 55 long left and right.
  • the handle-type tag 53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the upper part of the manure is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to form a body 56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containing the ground powder and drip water.
  •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56 is bent along the fold line 55 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joining surface 54 is folded inwar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52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up 20. Will be put on.
  • the body 56 at this time is contained in the powder and water, but may be contained in the beverage powder, such as green tea powder to be separated from the water lowe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handle tag 53 of the inner cup is coated with a resin film 57, and when the inner cup is seated inside the outer cup, the handle tag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is formed by a hot bar or jig.
  • the inner cup has a center line 6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lozenge of a rhombic shape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maintaining a horizontal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ottom and one end of the manure are laminated to form a joining surface 62, thereby the handle of the manure tag
  • 64 is heat-sealed inside the outer cup, the upper part of the manure spreads from side to side to form a body 63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bean powder and drip water are contained.
  • the manure at this time is a filter paper, depending on the size may be a rhombus shape formed long left and right, but the upper and lower may be a slightly curved arc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 handle tag 64 at this time may be integrated with the bottom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the only handle tag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up alone without the bottom surface.
  • the inner cup is laminated with a plurality of outer cups in which the inner cup is fused in this way, when the outer cup is dropped by a dispenser,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fall into an integrated state, and thus the inner cup is fitted at the bottom of the neighboring outer cup.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only the outer cup is dropped in a separated state, and in particular,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may be prevented from spilling hot water sideways due to incomplete coupling so that coffee can be safely consumed.
  • the handle tag of the inner cup (50, 60), as shown in Figure 8 and 8a to form a coupling line (65,39) is c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heat-sealed after pouring down the coffee
  • the handle tag is detached from the outer cup, and then interlaced with the coupling line formed on the other handle tag on the coupling line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ag, and dirty by throwing the sludge 2 inside. You can also minimize the burden.
  • the hand-held tag 53 after removing the hand-held tag is f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ok 53b of the hand-shaped tag that forms the fitting space 53a at the bottom ) So as to span the outer jaw 22 of the outer cup, it is possible to drink more concentrated coffee or easily discard the sludge.
  • the inner cup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nure center formed symmetrically formed in a rhombic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with one side of the manure It is possible to form a bonding surface in which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are lo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At this time, when the inner cup is bent along the folding line, the top of the manure can be left and right while forming a body 71 to form a space for temporarily receiving coffee powder and heated water therein.
  • the back surface of the handle tag 74 is coated with a resin film, protrudes over the inner cup,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is pressed by a hot bar or jig in close contact with the fusion.
  • a plurality of inner cups and outer cups can be stacked, and when falling through the dispenser 10, the inner cups and the outer cups fall into an integrate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situation that only the outer cups fall into the separated state by inserting the inner cups at the bottom.
  •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are inadequate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hot water is not spilled to the side so that the user can safely drink coffee.
  • the handle tag protruding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is pulled out and pulled, so that the sludges 2 plac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are placed in a sealed state as the joint line is corrugated.
  • the concentration of coffee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remaining sludge can be neatly discarded in a sealed state.
  • Figure 11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ner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ner cup 80 has a circular manure, the bottom of the manure to form a circular bottom surface, along the bottom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corrugation lines 81 to be bent and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cup is to be inside the outer cup, the manure is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and the wrinkle lin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corrugated body (82) may be formed.
  • the handle tag (83) at this time is coated with a resin film on the back, is bonded to protrude over the inner cup, when the inner cup is seated inside the outer cup, the handle tag 83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83) ) May be melted and fused by a resin film formed on the back surface by a hot bar or jig.
  • the handheld tag 83 may be formed alone, but a plurality of handheld tags are fused to the outer cup 20 to maintain an open stat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held tag 83 is left to right.
  • the coffee cup tag is removed from the outer cup after pouring the coffee, formed on the other handle tag on the coupling line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ag
  • the sludge 2 left inside the receiving space may be disposed in a wrapped state.
  • Figure 12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ner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ner cup 90 is a hard-coded paper is rolled to form a cylindrical body 91 is open top and bottom And, the upper edge of the body to form a plurality of hand-held tag 92 protruding out of the filtering jaw of the outer cup, the lower hole of the body 91 by joining the filter 93 made of the filter Make sure that it is seated inside the outer cup with the holes closed.
  • the inner cup 90 is a hard-coded paper is rolled to form a cylindrical body 91 is open top and bottom
  • the upper edge of the body to form a plurality of hand-held tag 92 protruding out of the filtering jaw of the outer cup
  • the lower hole of the body 91 by joining the filter 93 made of the filter Make sure that it is seated inside the outer cup with the holes closed.
  • the hard-coded body is a resin film formed in the outer cup 20 by a jig or hot bar or a hard cut film is melted in the body is laminated inside the dispenser in an integrated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was able to secure the maximum internal space while stack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fused to one dispenser, and also to drink coffee produced in a drip-type while being safely discharged, the fused inner cup After the separation, the sludges placed inside the inner cup were discarded in a sealed state,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커피 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단 테두리가 외측으로 말려져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고, 내측에는 수지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외컵 안쪽에. 몸체가 거름지로 이루어져 있는 내컵이 안착되어져, 핫바 혹은 열선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에 의해 상기 외컵과 내컵이 밀착되면서 외컵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이 녹아 상기 내컵이 벌어진 상태로 외컵 안쪽에 융착되어 있게 되면서 내컵과 외컵이 일체화된 상태로 디스펜서 안쪽에 적재되어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안전하게 드립식 방식으로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드립방식으로 내려지고 남은 슬러지(Sludge)들이 내컵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버려져 주변의 더럽혀짐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본 발명은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커피 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내컵과 외컵이 일체화된 상태로 적재되어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안전하게 드립식 방식으로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드립방식으로 내려지고 남은 슬러지(Sludge)들이 내컵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버려지게 되면서 쓰레기 통 주변의 더럽혀짐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이하, 자판기 또는 본체라고 함)는, 드립(Drip) 방식으로 커피를 내려주는 자동 판매기로, 일반 커피 자동판매기와는 달리 본체 안쪽에 내컵과 외컵을 적층 한 디스펜서(Dispenser)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구동부에 의해 각각의 디스펜서(Dispenser)를 통해 내려온 외컵 위에 내컵을 결합시켜 준 후, 그라인더로 갈려진 신선한 원두가루와 물을 내컵 위에 내려주게 되면, 내컵을 통과한 커피 액이 하부에 위치해 있는 외컵으로 모아지게 되는 것이다.(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13-0142232)
참고로 이때 자동 판매기의 상부에는, 내컵과 외컵을 수용하고 있는 둘 이상의 디스펜서뿐만 아니라, 부피가 큰 원두를 갈아주기 위한 그라인드(Grinder) 및 이를 보관하는 케이스와 물 탱크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의 공간은 매우 협소할 수밖에 없고,
특히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구동부가 각각 따로따로 내려온 외컵과 내컵을 결합시켜 줄때, 외컵과 내컵의 하강 속도나 방향이 약간씩 달라지면서 부정확하게 결합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하였고,
이때 도어를 열고 내컵과 외컵을 꺼내게 되면 상부에 위치해 있는 내컵이 흔들리면서 내컵 안쪽에 담겨져 있던 뜨거운 물이나 슬러지들이 사용자의 신체나 옷에 닿게 되면서 화상피해를 입거나 다치는 일들이 발생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사용자가 내컵과 외컵을 꺼낸 후, 내컵 안쪽에 적재되어 있던 물들이 걸러지게 되면,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내컵을 쓰레기통에 버리고 외컵 안쪽에 담겨져 있는 커피를 마시게 되는데,
이때 내컵에는 걸러지고 남은 커피가루(이하, 슬러지라고 함)들이 쓰레기통에 버려지면서 상기 슬러지들이 오픈되어 있는 내컵 밖으로 나와 주변을 더럽히면서 자주 쓰레기통을 청소하여 주어야만 하는 관리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내컵 디스펜서와 외컵 디스펜서를 따로따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디스펜서로 일체화된 상태의 외컵과 내컵을 함께 배출하여 최대한의 내적공간을 확보하면서,
안전하게 상기 내컵과 외컵을 꺼내어 드립식 방식으로 제조된 커피를 마실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내컵의 슬러지들을 봉지힌 상태로 버려 주변의 더럽혀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방수처리를 위해 수지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외컵 안쪽에 몸체가 거름지(Filter paper)로 이루어져 있는 내컵을 안치시킨 후 핫바 혹은 열선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로 외컵의 수지필름을 녹여 내컵이 오픈된 상태로 와외컵에 융착되어져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펜서에 내컵과 외컵을 같이 적층하고, 이를 배출하여 최대한의 내부공간을 확보하면서, 안전하게 상기 내컵과 외컵을 꺼내어 드립식 방식으로 제조된 커피를 마실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융착된 내컵을 분리한 후 내컵 안쪽에 위치해 있는 슬러지들을 봉지힌 상태로 버려 주변의 더럽혀짐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름지로 이루어진 내컵이 외컵 안쪽에서 열선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나 핫바에 의해 밀착되게 되면, 상기 외컵의 수지필름이 녹아 상기 내컵과 외컵이 융착되게 되고, 이렇게 융착된 내컵과 외컵을 하나의 디스펜서에 적층하여 주게 되면서 별도의 내컵 디스펜서와 외컵 디스펜서를 각각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최대한의 내부공간을 가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보다 더 높은 생산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내컵과 외컵이 하나로 융착되어 있게 되면서 안정적인 컵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안전하게 드립 방식으로 커피를 제조해 먹을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자판기 내에서 뜨거운물이 걸려지는 시간을 최소화하게 되게 되면서 보다 높은 생산성 및 회전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컵 위로 돌출되어 있는 내컵의 손잡이형 태그를 이용해 내측에 원두가루를 봉지한 상태로 버리면서 주변환경의 더럽혀짐을 최소화되게 되면서 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식 자동판매기의 커피 컵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1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컵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펜서에 적층되어 있는 커피컵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융착시 걸림턱과 손잡이형 태그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내컵과 외컵이 한 세트로 이루어진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 컵에 있어서,
상단 테두리가 외측으로 말려져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고, 내측 수용공간에는 수지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거나 혹은 증착 혹은 도포되어 있는 외컵 안쪽으로
몸체가 거름지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에는 걸림턱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가 형성되어 있는 내컵이 안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핫바 혹은 열선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에 의해 외컵의 수지필름을 녹여 내컵과 상기 외컵이 서로 융착된 상태로 상태로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디스펜서에 적층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일회용 커피 컵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식 자동판매기의 디스펜서에 장착되는 일회용 커피 컵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커피 컵이 내컵과 외컵으로 분리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다수개의 일회용 커피 컵이 적층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일회용 커피 컵이 디스펜서를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립식 자동 판매기의 디스펜서(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일회용 커피 컵(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10)는 중앙의 배출구(17)와 걸림테(11a)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 프레임(11) 안쪽에, 내측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링기어(12)를 장착하고, 상기 링기어(12)와 걸림테(11a) 사이에는 회전축(13a)과 가이드편(13b)이 형성되어 있는 스윙기어(13)를 다수 개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윙기어(13)의 가이드편(13b)이 배출구(17) 안쪽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개의 일회용 커피 컵(이하, 커피 컵이라고 함)을 하나 씩 돌려가면서 아래로 떨어뜨려 주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편(13b)은 배출구 안쪽으로 일부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가이드편(13b)은 일측이 절개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평상시 복수 개의 스윙기어(13)가 배출구(17) 안쪽에 위치해 있는 외컵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2)을 받쳐주고 있다가 혹은 걸림턱(22) 하부의 몸체(21)를 잡아주고 있다가, 상기 스윙기어(13)가 링기어(1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배출구(17) 안쪽에 위치해 있던 커피 컵(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외컵(20)의 걸림턱(22)은 스윙기어(13)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가이드편(13b)의 절개홈(13c) 밖으로 빠져나와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서, 커피 컵(1)을 하나씩 분리해서 아래로 떨어뜨려 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링기어(12)에는 베이스 프레임(11)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편에는 링크(14)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링기어(11)가 회전하게 되면 링크(14)가 움직이게 되고 더불어 상기 링크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편심체(15)는 감지 스위치(16)의 일측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제한된 범위 안쪽에서 링기어가 회전하도록 컨트롤하면서 일회용 커피컵을 하나씩 낙하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펜서(1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낙하되는 커피 컵(1)은 원두가루가 담겨지는 내컵(30)과 상기 내컵을 통과하고 남은 커피 액이 담겨지는 외컵(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컵(20) 안쪽에 내컵(30)이 고정된 상태로 디스펜서(10) 안쪽에 적층되어 있게 된다.
참고로 이때의 외컵(20)은 추출된 커피 액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21)와, 상기 몸체의 상단이 외측으로 말려지면서 밖으로 돌출된 걸림턱(22)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몸체(21)와 걸림턱에는 방수처리를 위해 수지필름(23)이 코팅되어 있거나 증착 또는 도포되어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수지필름(23)은 핫바나 지그의 열선에 의해 수지필름이 녹아 융착되는 열가소성 필름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열가소성 필름과 함께 다층으로 이루어진 향균필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컵(30)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31)가 거름지로 이루어져 있고, 핫바 혹은 열선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에 의해 외컵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이 녹으면서 상기 외컵(20) 안쪽의 수용공간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컵(30)은 상부 테두리에 외컵의 걸림턱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형 태그(32)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31)는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대칭되게 재단되어 있는 거름지의 하단을 경사지게 절개하여, 상기 거름지의 좌우 측단이 라미네이트되었을 때 각각의 좌우 측면에는 경사진 제1접합면(33)과 함께 상기 제1접합면보다 더 안쪽으로 경사지게 접합되어 있는 제2접합면(3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내컵(30)은 실시 예에 따라 상관하협진 한 쌍의 거름지 또는 좌측과 우측에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거름지를 중첩시킨 다음 좌우측면 및 하단을 접합하여 내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컵(30)의 몸체(31)에는 좌측면과 우측면의 제1접합면(33)과 제2접합면(34) 사이를 가로지는 만곡된 접힘라인(35)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31)의 상단이 좌우로 벌어져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몸체(31)의 하부는 접힘라인(35)을 따라 굽혀지게 되면서 하방향으로 뾰족한 한쌍의 돌기부(36)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돌기부(36)가 제2접힘라인(37) 따라 접혀지게 되면서 내컵(30)이 외컵(20) 안쪽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컵의 제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내컵과 외컵을 융착하여 줄 때 걸림턱과 손잡이형 태그의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40)는 평판의 설치대 위로 컵형상의 고정부(4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테두리에는 외컵의 걸림턱이 내입되는 내입홈(42)이나 상기 손잡이형 태그와 걸림턱이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돌출살(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하부에는 내입홈 또는 돌출살에 설치되어지는 열선(44)과 함께 온도를 컨트롤하기 위한 가열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설치대(45)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내컵(30)의 상단을 벌려 상기 지그의 고정부(41)에 끼워주게 되면 내컵의 몸체(31)가 고정부(41)를 감싸면서 손잡이형 태그(32)는 내입홈(42) 상부 또는 돌출살(43)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컵(30) 위로 외컵(20)을 씌워주게 되면 외컵의 내표면과 내컵의 외표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외컵의 걸림턱(22)이 내입홈(42) 안쪽으로 들어 손잡이형 태그(32)를 가압한 상태로 밀착되어 있게 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고정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살에 의해 상기 손잡이형 태그(32)와 걸림턱(22)이 서로 밀착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내입홈(42) 안쪽 또는 돌출살(43)에 형성되어 있는 열선(44)이 동작하여 걸림턱(2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23)을 녹이게 되면, 내컵의 손잡이형 태그(32)가 외컵의 걸림턱(22)에 융착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외컵 안쪽에 융착되어 있는 내컵(30)은 둘 이상의 손잡이형 태그(32)가 걸림턱(22)에 융착되어 있게 되면서 상기 내컵의 상단이 벌어진 상태로 외컵 안쪽에 고정되어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융착되어 있는 외컵과 내컵을 일렬로 나란히 적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디스펜서 안쪽에 외컵과 내컵이 일체화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최대한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더불어 내컵과 외컵이 융착된 상태로 배출되면서 안전하게 드립식 방식으로 제조된 커피를 마실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지그(40)에는 외컵의 씌워짐을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수단과 열선을 히팅 시켜 주기위한 구동스위치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내입홈 위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돌출핀(46a)이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스위치(46)를 형성하여 외컵이 고정부 위에 씌워져 걸림턱이 상기 내입홈 안쪽으로 내입될 때 돌출핀(46a)이 걸림턱에 의해 눌려 지면서 열선(44)이 히팅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립식 자동판매기의 디스펜서에 장착되는 일회용 커피 컵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의 내컵(50)은 센터라인(51)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마름모꼴 형성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거름지 하단에 원형의 바닥면(52)과 이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가 일체로 라미네이트(Laminate)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름지의 좌우 양 측단에는 손잡이형 태그(53)를 중심으로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길게 라미네트되는 접합면(54)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51)과 손잡이형 태그(53) 사이에는 좌우로 길게 만곡된 접힘라인(55)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로 길게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53)를 벤딩하여 거름지의 상단은 좌우로 벌려주게 되면 안쪽에 원두가루와 드립된 물을 담는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56)를 형성하여 주게 되고,
동시에 상기 몸체(56) 하부는 접힘라인(55)을 따라 굽혀지게 되면서 상기 접합면(54)의 하부는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고 바닥면(52)과 밀착된 상태로 외컵(20)의 수용공간 안쪽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몸체(56)에는 원두가루와 물이 담겨 지지만, 실시 예에 따라 내려진 물과 분리되어야만 하는 녹차 가루와 같은 음료 분말이 담겨 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컵의 손잡이형 태그(53)에는, 수지필름(57)이 코팅되어 있고, 외컵 안쪽에 내컵이 안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외컵과 내컵 사이에 위치해 있는 손잡이형 태그가 핫바나 지그에 의해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이 외컵의 내면에 코팅되어 있는 수지필름과 함께 녹아 융착되는 접합부(58)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컵은 실시 예에 따라 상단과 하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마름모꼴 형상의 거름지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센터라인(61)을 형성하고, 상기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수지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가 형성되어 있는 거름지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맞닿아 있을 때 하단과 일측단을 라미네이트하여 접합면(6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름지의 손잡이형 태그(64)가 외컵 안쪽에 열융착되었을 때 거름지의 상단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안쪽에 원두가루와 드립된 물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63)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거름지는 여과지로,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좌우로 길게 형성된 마름모꼴 형상일 수도 있지만, 상단과 하단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약간 만곡된 호를 그리고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손잡이형 태그(64)는, 바닥면과 일체화된 것일 수도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바닥면이 없이 단독으로 손잡이형 태그만이 내컵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렇게 내컵이 융착되어 있는 외컵을 다수개 적층하게 되면, 상기 외컵이 디스펜서(Dispenser)에 의해 떨어질 때, 내컵과 외컵이 일체화된 상태로 떨어지게 됨으로, 이웃한 외컵의 하단에 내컵이 끼워져 분리된 상태로 외컵만 떨어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외컵과 내컵이 불완전한 결합에 의해 뜨거운 물이 옆으로 쏟아질 염려가 없어져 버려 안전하게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컵(50, 60)의 손잡이형 태그는, 도 8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절개되어 있는 결합라인(65,39)을 형성하여, 커피를 내려주고 난 후 열융착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를 외컵으로부터 떼어낸 후, 일측 손잡이형 태그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라인에 타측 손잡이형 태그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라인으로 엇갈려 끼워 내측에 슬러지(2)를 봉지한 상태로 버림으로써 더럽혀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형 태그(53)는 실시 예에 따라 융착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를 분리한 후, 하단에 끼움공간(53a)을 형성하고 있는 손잡이형 태그의 후크(53b)를 외컵의 걸림턱(22)에 걸쳐져 있게 함으로써, 좀더 진한 농도의 커피를 마시거나 용이하게 슬러지를 버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컵(70)은,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마름모꼴 형성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거름지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거름지의 일측과 타측을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있는 좌우 양측단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길게 라미네트한 접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컵가 접힘라인을 따라 벤딩되게 되면, 상기 거름지의 상단은 좌우 벌어지면서 안쪽에 커피가루와 히팅된 물을 일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71)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컵(70)의 상단 일부가 외/내측으로 말려지면서 접합된 봉제라인 혹은 접합라인(72)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라인(72) 안쪽에 봉제끈(73)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봉제끈의 타측에는 손잡이형 태그(74)가 내컵(70)에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형 태그(74)의 이면에는 수지필름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내컵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내컵과 외컵이 밀착된 상태로 핫바나 지그에 의해 눌려져 융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내컵과 외컵을 적층할 수 있고, 상기 디스펜서(10)를 통해 떨어질 때 내컵과 외컵이 일체화된 상태로 떨어지게 됨으로, 하단에 내컵이 끼워져 분리된 상태로 외컵만 떨어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외컵과 내컵이 불완전한 결합에 의해 뜨거운 물이 옆으로 쏟아질 염려가 없어져 버려 안전하게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커피를 내려주고 난 후에는, 내컵과 외컵 사이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를 떼어내서 당겨주게 되면, 접합라인이 주름지면서 수용공간 안쪽에 놓여 있는 슬러지(2)들이 봉지된 상태에 놓여 있게 됨으로, 용이하게 커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겨진 슬러지들을 봉지한 상태로 깔끔하게 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컵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내컵(80)은 원형의 거름지를 구비한 상태에서, 거름지의 하단에 원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을 따라 굽혀지는 접힘라인과, 상하 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주름라인(81)을 형성하여, 내컵이 외컵 안쪽에 내입되게 되면, 상기 거름지는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힘라인과 주름라인을 따라 접혀지면서 주름진 몸체(82)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손잡이형 태그(83)는 이면에는 수지필름이 코팅되어 있고, 내컵 위로 돌출되게 접합되어 있어, 외컵 안쪽에 내컵이 안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외컵과 내컵 사이에 위치해 있는 손잡이형 태그(83)가 핫바나 지그에 의해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이 녹아 융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손잡이형 태그(83)는 하나만 단독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손잡이형 태그가 외컵(20)에 융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형 태그(83)의 상부를 좌우로 길게 절개한 결합라인(84)을 형성하여, 커피를 내려주고 난 후에는 열융착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를 외컵으로부터 떼어내게 되면, 일측 손잡이형 태그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라인에 타측 손잡이형 태그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라인(84)으로 엇갈려 끼워줌으로써, 수용공간 안쪽에 남겨진 슬러지(2)들을 감싼 상태로 버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컵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의 내컵(90)은 하드코딩된 용지가 말려져 상단과 하단이 오픈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9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는 외컵의 걸름턱 밖으로 돌출되어지는 복수개의 손잡이형 태그(92)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91)의 하단 구멍에는 거름지로 이루어진 필터(93)를 접합하여 오픈된 하단 구멍을 막은 상태로 외컵 안쪽에 안착되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드 코딩된 몸체는 지그나 핫바에 의해 외컵(2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 혹은 몸체에 하드커팅된 필름이 녹아 일체화된 상태로 디스펜서 안쪽에 적층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디스펜서에 융착되어 있는 내컵과 외컵을 적층하면서 최대한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더불어 안전하게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드립식 방식으로 제조된 커피를 마실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융착된 내컵을 분리한 후 내컵 안쪽에 위치해 있는 슬러지들을 봉지힌 상태로 버리면서 주변의 더럽혀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4)

  1. 내컵과 외컵이 한 세트로 이루어져 있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에 있어서,
    상단 테두리가 외측으로 말려져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고, 내측에는 수지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외컵 안쪽에.
    몸체가 거름지로 이루어져 있는 내컵이 안착되어져,
    핫바 혹은 열선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에 의해 상기 외컵과 내컵이 밀착되면서 외컵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이 녹아 상기 내컵이 벌어진 상태로 외컵 안쪽에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상부 테두리에 외컵의 걸림턱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손잡이형 태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이 컵형상의 지그의 고정부에 씌워져 손잡이형 태그가 고정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내입홈 또는 돌출살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컵이 상기 내컵 위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외컵의 내면과 내컵의 외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걸림턱은 손잡이형 태그와 함께 내입홈 안쪽으로 내입되어지거나 혹은 돌출살에 위에 밀착되어지고,
    상기 손잡이형 태그와 걸림턱이 밀착되었을 때 내입홈 또는 돌출살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열선이 걸림턱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필름을 녹여 상기 손잡이형 태그가 걸림턱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융착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외컵 장착시 내입홈 안쪽으로 걸림턱이 내입되어질 때, 상기 걸림턱에 의해 내입홈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핀이 눌려지면서 히팅되어지도록 지시하는 마이크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대칭되게 재단되어 있는 거름지의 하단을 경사지게 절개하여, 상기 거름지의 좌우 측단이 라미네이트되었을 때 좌우 측면에는 경사진 제1접합면과 상기 제1접합면보다 더 안쪽으로 경사지게 접합되어 있는 제2접합면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는 좌측과 우측의 제1접합면과 제2접합면 사이를 가로지는 만곡된 접힘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상단이 좌우로 벌어져 내측에 수용공간을 확보하게 되면, 상기 몸체의 하부는 접힘라인을 따라 굽혀지게 되면서 하방향으로 뾰족한 한쌍의 돌기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돌기부가 제2접힘라인 따라 접혀지면서 외컵 내측에 상기 내컵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상부 테두리에 열 가소성의 수지필름이 증착/코팅되어 있는 복수개의 손잡이형 태그가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중앙의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대칭되게 재단되어 있는 거름지 하단에 부착되는 원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지면서 그 상단이 거름지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가 라미네이트되어 있고,
    상기 거름지의 좌우 측단을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길게 라미네이트한 접합면과, 상기 바닥면과 손잡이형 태그의 사이를 가로질어 좌우로 길게 만곡된 접힘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형 태그가 접힘라인을 따라 벤딩되면서 상기 접합면의 하부는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바닥면과 밀착되어진 상태로 외컵(20)의 안쪽에 놓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원형의 거름지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거름지의 하단에는 원형의 바닥면과 이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를 라미네이트하고, 상기 바닥면을 따라 굽혀지는 접힘라인과, 상하로 길게 형성된 주름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내컵이 외컵 안쪽에 내입되게 되면, 거름지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힘라인과 주름라인을 따라 접혀지는 주름진 몸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마름모꼴 형성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거름지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거름지의 일측과 타측을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있는 좌우 양측단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길게 라미네트한 접합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름지의 상단이 벌어질 경우 안쪽에 갈려진 원두가루와 히팅된 물을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상단과 하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마름모꼴 형상의 거름지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센터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손잡이형 태그가 형성되어 있는 거름지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맞닿아 있을 때 하단과 일측단을 라미네이트하여 접합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손잡이형 태그가 외컵 안쪽에 열융착되었을 때 거름지의 상단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안쪽으로 원두가루와 드립된 물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11.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형 태그는 외컵의 걸림턱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형 태그에는 좌우로 길게 절개된 결합라인을 형성하고 있어, 커피를 내려주고 난 후에는 열융착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를 외컵으로부터 떼어내게 되면, 일측 손잡이형 태그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라인에 타측 손잡이형 태그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라인으로 끼워주게 되면, 수용공간 안쪽에 남은 슬러지들을 감싼 상태로 버릴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상단 일부가 외측 혹은 내측으로 말려진 상태로 접합된 접합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라인 안쪽에는 일측이 손잡이형 태그에 고정되어 있는 봉제끈을 설치하여,
    내컵과 외컵 사이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형 태그를 떼어내서 당겨주게 되면, 접합라인이 주름지면서 봉제끈이 접합라인 밖으로 노출되고, 내측에 위치한 슬러지들를 봉지한 상태로 버릴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형 태그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은 하드코딩된 용지가 말려져 상단과 하단이 오픈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9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는 외컵의 걸름턱 밖으로 돌출되어지는 복수개의 손잡이형 태그(9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91)의 하단 구멍에는 거름지로 이루어진 필터(93)가 접합되어 오픈된 하단 구멍을 막은 상태로 외컵 안쪽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PCT/KR2015/001726 2014-02-21 2015-02-23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WO20151262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109 2014-02-21
KR10-2014-0020109 2014-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6212A1 true WO2015126212A1 (ko) 2015-08-27

Family

ID=5387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1726 WO2015126212A1 (ko) 2014-02-21 2015-02-23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8132B1 (ko)
WO (1) WO2015126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72B1 (ko) * 2017-10-24 2020-09-01 주식회사 로브 필터용 운반 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070A (ja) * 1993-03-25 1994-10-04 Shibata Hario Glass Kk ガラス製二重壁容器の接着方法
KR20110019577A (ko) *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옥봉화학 이중 용기와 그 제조방법
KR20130009514A (ko) * 2011-07-15 2013-01-23 노환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200467038Y1 (ko) * 2010-06-25 2013-05-27 옥영민 일회용 차 추출 컵
KR20130142232A (ko) * 2012-06-15 2013-12-30 반채현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2276B2 (ja) * 2000-07-26 2005-11-30 株式会社旭紙工 ドリップパック
KR100908848B1 (ko) * 2007-07-03 2009-07-21 이항석 절첩식 컵
KR20090115349A (ko) * 2008-05-02 2009-11-05 성재훈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KR101139895B1 (ko) * 2010-02-12 2012-04-27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종이용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070A (ja) * 1993-03-25 1994-10-04 Shibata Hario Glass Kk ガラス製二重壁容器の接着方法
KR20110019577A (ko) *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옥봉화학 이중 용기와 그 제조방법
KR200467038Y1 (ko) * 2010-06-25 2013-05-27 옥영민 일회용 차 추출 컵
KR20130009514A (ko) * 2011-07-15 2013-01-23 노환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20130142232A (ko) * 2012-06-15 2013-12-30 반채현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132B1 (ko) 2017-03-21
KR20150099472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6508B1 (en) Water dispenser with disposable flavor insert
US5620724A (en) Drink container with holder for used concentrate packet
US4867993A (en) Disposable beverage brewing chamber
KR101423440B1 (ko) 음료용 추출 필터
WO2017111240A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CN203468827U (zh) 具有可闭合开孔的造口术用袋设备
US20150251846A1 (en) Disposable brewing device and use of a disposable brewing device
WO2015126212A1 (ko)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US9060643B2 (en) Extraction device for immersion beverage primary liquid
EP0804893A1 (en) Brew system for beverage packets: single or linked together
JP4989040B2 (ja) ドリップバッグの製造装置
JP7117085B2 (ja) 電気掃除装置
EP0609367B1 (en) Filter element
KR102097318B1 (ko)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20130001043A (ko) 컵 수거 장치
CN110719745B (zh) 电动吸尘装置
KR101713211B1 (ko) 드립백
JP2013048897A (ja) 簡易型濾過器
JPH08182613A (ja) コーヒー濾過用の濾過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濾過装置、ならびに当該濾過容器の使用方法
KR101678548B1 (ko) 드립식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음료컵
WO2020209630A1 (ko)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JPH04102415A (ja) 天板付き簡易ドリップとその製法
IT201900012396A1 (it) Contenitore, sistema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fluidi
JP2001120436A (ja) 紅茶液抽出装置用紅茶葉カートリッジ
WO2021091051A1 (ko) 티백 겸용 음료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515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28/10/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15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