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211B1 - 드립백 - Google Patents

드립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211B1
KR101713211B1 KR1020110021208A KR20110021208A KR101713211B1 KR 101713211 B1 KR101713211 B1 KR 101713211B1 KR 1020110021208 A KR1020110021208 A KR 1020110021208A KR 20110021208 A KR20110021208 A KR 20110021208A KR 101713211 B1 KR101713211 B1 KR 10171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ir
folded
pieces
drip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135A (ko
Inventor
야스히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소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소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소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2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1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컵에 올려놓는 타입의 드립백을 제공한다.
드립백(1)의 한 쌍의 제 1 걸림편(25)은 그 상측의 측편부(19)와, 한 쌍의 연속부(22, 26)를 통하여 연속되어 있고, 한 쌍의 제 1 걸림편(25) 사이의 접힘부(17)가 필터(3)측으로 눌리면, 필터(3)의 개구가 크게 벌어지면서, 한 쌍의 걸림편(25)은 각각 일으켜 세워진다. 또한 한 쌍의 제 2 걸림편(27)도 각각 연동하여 일으켜 세워진다. 그리고, 제 1 걸림편(25)끼리 사이의 접힘부(17)는 안으로 접기 상태로 변한다. 안으로 접기 상태로 변한 후는, 손가락을 떼도 상기한 입체 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커피컵에 위로부터 그대로 올려놓을 수 있다.

Description

드립백{DRIP BAG}
본 발명은 레귤러 커피 등의 추출에 사용하는 드립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여과지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봉지 형상의 필터와, 이 필터를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사용 시에는 그 홀더를 커피컵의 개구 가장자리에 올려놓는 「사이드훅 타입」의 드립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커피 추출용의 드립백에서는, 필터는 반으로 접히고 히트실링 등의 수법으로 둘레 가장자리를 실링하여 편평한 직사각형 형상의 봉지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필터 속에 컵 한 잔 상당분의 커피 분말이 충전되어 있다. 홀더는 두꺼운 종이 등에 의해 형성되고, 중앙 부분은 필터의 일측변을 따르게 한 상태로 접혀져 있다. 접힘부의 양측은 대칭으로 되어 있고, 한 쌍의 측편부는 필터의 외면에 첩부되어 있고, 한 쌍의 걸림편은 한 쌍의 측편부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4-242847호 공보
그리고,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종래의 드립백은, 걸림편을 벌리고 컵의 개구가장자리에 의지하여 그것에 걸리도록 하여 걸어지게 하고 있었기 때문에, 걸기 어렵고, 게다가 컵의 개구 가장자리의 면적이 작으면 홀더의 한 쌍의 측편부끼리의 간격이 좁아져서 필터의 개구도 작아져 버린다.
또한 이 종류의 드립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 가루 등의 피추출물이 편평한 봉지 형상체의 필터에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용적률이 크다. 이 때문에, 개구 시 또는 그 후에 분리하는 부근을 기울이거나 하면, 필터로부터 커피 가루 등의 충전물이 흘러내리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개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걸림편이 충분히 일으켜 세워져서 필터의 개구 면적이 충분한 크기로 됨과 아울러,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립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드립백에 의하면, 컵의 개구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지 않고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걸기 어려움도 없을뿐더러, 사용하는 컵에 의해 필터의 개구가 작아지는 것과 같은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에 의한 필터 개구 조작(분리 조작) 시의 잡는 방식이 정상적이지 않아도 필터로부터의 충전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립백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내부에 피추출물이 충전된 봉지 형상의 필터와, 상기 필터의 측면에 고착된 홀더를 갖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필터의 일측변을 따라 접혀진 접힘부를 연결부로 하여 필터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편부와, 상기 한 쌍의 측편부에 각각 형성되고, 유지측이 되는 유지측편부와 상기 유지측편부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는 걸림편을 구비한 드립백으로서, 접힘부에 가까운 측의 한 쌍의 걸림편은 그 상측의 한 쌍의 유지측편부와, 상기 접힘부로부터 떨어진 한 쌍의 연속부를 통하여 각각 연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걸림편 사이의 접힘부는, 상기 필터측으로 눌리면, 밖으로 접기 상태에서 안으로 접기 상태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드립백에 있어서, 상측의 한 쌍의 유지측편부에는 연속부 부근으로부터 접힘부측으로 근접하도록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뻗는 八자 형상의 한 쌍의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드립백에 있어서, 접힘부에 가까운 측의 한 쌍의 걸림편의 연속부와 상기 접힘부의 사이의 상부 가장자리는 약간 경사져 있어, 상기 접힘부측을 향할수록 내려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드립백에 있어서, 상측의 한 쌍의 유지측편부는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서 필터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드립백에 있어서, 필터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물을 부을 때 하방에 위치하는 코너부와 대각선상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너부가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코너부를 끼우는 2변을 잡아 찢어서 개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이다.
본 발명의 드립백에 의하면, 컵의 개구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지 않고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드립백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필터 개구 조작(분리 조작)시의 잡는 방식이 정상적이지 않아도 필터로부터의 충전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백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홀더를 전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접힘부의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드립백의 상방 코너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리 후에 실링 부분을 벗기고 필터를 전부 개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뒤에 걸림편이 일으켜 세워진 상태의 드립백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의 A-A선에서의 개요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드립백을 커피컵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백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홀더를 전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접힘부의 주요부 확대도.
도 12는 도 9의 드립백으로부터 상방 코너부를 분리하고, 실링 부분을 벗겨서 필터를 전부 개구하고, 걸림편이 일으켜 세워진 상태의 드립백의 사시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백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드립백을 예시한다.
도 1은 드립백(1)을 그 일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드립백(1)은 여과지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봉지 형상의 필터(3)와, 이 필터(3)를 유지하면서 커피컵의 개구 가장자리에 올려놓고 걸어지게 하기 위한 홀더(5)를 가지고 있다. 부호 4는 홀더(5)가 필터(3)에 고착되는 부위를 나타낸다.
필터(3)는, 직사각형의 시트재가 반으로 접히고, 포개진 3변(상변, 좌변, 하변)의 둘레 가장자리가 히트실링 등의 수단으로 실링되어 있어, 직사각형 형상의 편평한 봉지 형상을 이루고 있다.
홀더(5)는 두꺼운 종이나 코트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필터(3)의 접힘변인 일측변(7)을 따라 접혀지고, 필터(3)의 양측면(외면)에 고착 부위(4)에서 고착되어 필터(3)와 일체화되어 있다.
홀더(5)에서, 필터(3)의 대각선 위의 코너부(도면 중 좌측 상방 코너부)(9)에 포개진 부분은 분리부(11)로서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취선(13)을 따라 그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홀더(5)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취선(15)이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부(17)와, 이 접힘부(17)를 연결부로 하여 필터(3)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편부(19A, 19B)를 가지고 있다. 접힘부(17)가 필터(3)의 일측변(7)을 따라 산 형상으로 접혀져 있다.
각 측편부(19)에 대하여 좌우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부호 A, B를 생략하여 설명하면, 각 측편부(19) 중, 절단선(21), 연속부(22), 절단선(24), 연속부(26), 및 절단선(31)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접힘부(17)에 가까운 측의 제 1 걸림편(25)으로 되어 있다. 절단선(21)과 절단선(21)은 접힘부(17)에서 연속되어 있고, 절단선(31)과 절단선(31)도 접힘부(17)에서 연속되어 있다. 절단선(31)부터 절단선(21)의 직선 형상 부분, 즉 제 1 걸림편(25)의 상부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부분에 걸쳐서는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지만, 절단선(31)은 약간 경사진 사선으로 되어 있어, 접힘부(17)에 근접할수록 내려가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걸림편(25)은 그 나머지 측편부(19)와 연속부(22, 26)에서만 연속하고 있다.
또한 제 1 걸림편(25A, B)은 접힘부(17)를 연결부로 하여 좌우로 날개 형상으로 뻗어나와 있다. 그리고, 그 좌우 양측의 하부의 커피컵(45)의 개구 가장자리에 닿는 부분은 걸림 오목부(20A, 20B)로 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편부(19A) 중, 절단선(21A)의 외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절단선(23A)과 홀더(5)의 하부 가장자리로 둘러싸인 부분이 접힘부(17)로부터 먼 쪽의 제 2 걸림편(27A)으로 되어 있다.
제 2 걸림편(27A, 27B)도, 접힘부(17)측을 연결부로 하여 좌우 양측에 날개 형상으로 뻗어나와 있는데, 제 1 걸림편(25A, 25B)을 넘어서 좌우 외방 및 하방으로 크게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그 좌우 양측의 하부의 커피컵(45)의 개구 가장자리에 닿는 부분은 걸림 오목부(28A, 28B)로 되어 있다.
3측편부(19A, 19B)에 있어서, 제 1 걸림편(25A, 25B), 제 2 걸림편(27A, 27B)을 제외2한 부분은 필터(3)에 고착되는 측의 유지측편부로 되어 있고, 이 중, 제 1 걸림편(25A, 25B)의 상측에 위치하고, 접힘부(17)를 걸치고 상부 가장자리가 필터(3)에 고착되어 있는 영역을 상부 고착 영역(29)으로 한다. 또한 제 1 걸림편(25A, 25B)의 하측에 위치하고, 접힘부(17)를 걸치고 하부 가장자리가 필터(3)에 고착되어 있는 영역을 하부 고착 영역(35)으로 한다.
상부 고착 영역(29)에는, 연속부(22) 부근으로부터 접힘부(17)측으로 근접하도록,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뻗는 八자 형상의 한 쌍의 절단선(33A, B)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선(33A, 33B)은 상부 가장자리까지는 관통해 있지 않아, 좌우의 상부 고착 영역(29)은 상부 가장자리측에서도 약간 연결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기초하여 필터(3)의 개구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립백(1)을 드립 커피가 적하하는 코너부(37)를 아래로 하여 쥔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코너부(37)의 대각선상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너부(9)를 분리부(11)와 함께 절취선(13)을 따라 분리한다.
분리한 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너부(9)를 사이에 끼는 2변의 실링 부분을 떼어 개구한다.
이상은 유저가 드립백(1)을 정상적으로 쥐고 개구한 경우이지만, 유저에 따라서는 분리부(11)의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개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백(1)은 커피 가루(47)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의 좌측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변(39)을 직립시킨 상태에서, 분리부(11)를 분리해도, 일변(39)의 하방 영역(39a)은 그 시점에서는 아직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되어 있고 또한 하방 영역(39a)의 높이는 충전물의 상단과 동등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커피 가루(47)가 흘러내리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4의 우측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변(43)을 직립시킨 상태에서, 분리부(11)를 분리해도, 일변(43)의 하방 영역(43a)은 그 시점에서는 아직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되어 있으므로, 커피 가루(47)가 흘러내리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 분리 후에 유저는 흘러내리기 쉬운 상태인 것을 인식하고,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정상적인 위치로 고쳐서 실링을 떼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필터(3)의 상변 또는 상변 및 이것에 인접하는 변의 일부에 걸치는 범위가 분리 동작과 동시에 전부 개구되므로, 유저의 잡는 방식에 따라서는 커피 가루(47)이 흘러나와, 테이블이나 실내를 더럽히는 원인도 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백(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의 잡는 방식의 좋고 나쁨에 관계없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주의를 하지 않고 필터(3)의 개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필터(3)의 개구 동작이 완료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립백(1)의 도 6에 있어서의 좌측 상단부를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상부 고착 영역(29)으로부터 제 1 걸림편(25A, 25B)에 걸쳐서 접힘부(17)을 눌러서 제 1 걸림편(25A, 25B)의 절단선(31A, 31B)을 필터(3)측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필터(3)의 개구가 벌어지면서, 제 1 걸림편(25A, 25B)은 각각 일으켜 세워진다. 또한 제 2 걸림편(27A, 27B)도 각각 연동하여 일으켜 세워진다. 필터(3)의 개구는 넓어져서 원추형의 용기 형상으로 된다.
절단선(33A, 33B)이 사선으로 되어 있고, 게다가 상부 고착 영역(29)은 상부 가장자리에서만 고착되어 있으므로, 제 1 걸림편(25)의 접힘부(17) 부근을 필터(3)측으로 밀어넣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걸림편(25A)과 제 1 걸림편(25B) 사이의 접힘부(17)는 미미하지만 안으로 접기 상태로 변한다. 안으로 접기 상태로 변한 후는, 오른손의 손가락을 떼어도 상기한 입체 상태는 유지된다. 특히, 제 1 걸림편(25A, 25B)의 상측에서는, 절단선(33A, 33B)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은 그 좌우 양쪽 외측 부분의 면과 절단선(33A, 33B)에 의해 거의 분리되어 있으므로, 거의 평면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입체상태는 유지된다. 이 입체상태로 한 후에, 상부 고착 영역(29)을 쥐고, 한 쌍의 제 1 걸림편(25A, 25B)과 한 쌍의 제 2 걸림편(27A, 27B)을 커피컵(45)의 개구 가장자리 위에 놓는다. 이것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드립백(1)을 커피컵(45)에 그대로 위에서 놓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상 표시되지 않지만, 커피컵(45)의 도면 중 인쪽에도 한 쌍의 제 2 걸림편(27A, 27B)이 놓여 있어, 4점 지지에 의해 드립백(1)은 안정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걸림편(25A, 25B), 제 2 걸림편(27A, 27B) 모두, 그 하단이 커피컵(45)의 개구 가장자리 위에 놓여 있을 뿐이므로, 다른 개구 가장자리가 작은 커피컵에서도, 드립백(1)의 입체 형상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제 1 걸림편(25A, 25B), 제 2 걸림편(27A, 27B)은 모두 커피컵(45)의 수평한 개구 가장자리 위에 수직하게 서 있으므로, 얇은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충분한 필터(3)의 지지 강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백(101)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이 드립백(101)도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백(1)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드립백(101)의 홀더(105)는 홀더(5)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필터(3)의 접힘변인 일측변(7)을 따라 접히고, 필터(3)의 양측면(외면)에 고착 부위(104)에서 고착되어 필터(3)와 일체화되어 있다.
홀더(105)는 홀더(5)와 전체 형상이 닮아 있고, 홀더(5)의 분리부(11)와 절취선(13)에 대응하여 각각 분리부(111)와 절취선(1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홀더(105)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5)의 절취선(15)과 접힘부(17)에 대응하여 각각 절취선(115)과 접힘부(11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접힘부(117)를 연결부로 하여 필터(3)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편부(119A, 119B)를 가지고 있다. 이 한 쌍의 측편부(119A, 119B)는 홀더(5)의 한 쌍의 측편부(19A, 19B)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측편부(119A) 중, 절단선(121A), 연속부(122A), 절단선(124A), 연속부(126A), 및 절단선(131A)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접힘부(117)에 가까운 측의 제 1 걸림편(125A)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 걸림편(125A)은, 홀더(5)의 제 1 걸림편(25A)에 대략 대응하고 있는데, 제 1 걸림편(25A)에서는 절단선(21A)과 절단선(24A)이 연속부(22A)를 사이에 끼고 일직선 형상을 이루고, 절단선(31A)이 절단선(24A)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제 1 걸림편(125A)에서는 절단선(124A)과 절단선(131A)이 연속부(126A)를 사이에 끼고 일직선 형상을 이루고, 절단선(124A)이 절단선(121A)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점에서 상이하지만, 제 1 걸림편(25A)과 동일하게, 절단선(131A)이 약간 경사진 사선으로 되어, 접힘부(117)에 근접할수록 내려가고 있는 점은 공통된다. 절단선(124A)과 절단선(131A)이 일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제 1 걸림편(125A, 125B)은 보다 밀어넣기 쉽게 되어 있다.
이 제 1 걸림편(125A)에도 걸림 오목부(1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5)의 제 2 걸림편(27A)에 대응하여, 절단선(123A)과 외측 가장자리로 획정되어 제 2 걸림편(127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걸림편(127A)에도 걸림 오목부(128A)가 형성되어 있다.
그 나머지 측편부(119A)에도, 홀더(5)의 측편부(19A)에 대응하여, 상부 고착 영역(129)과 하부 고착 영역(135)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 고착 영역(129)에는, 연속부(122) 부근에서 접힘부(117)측에 근접하도록,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는 八자 형상의 한 쌍의 절단선(133A, 1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선(133)은 홀더(5)의 한 쌍의 절단선(33A, 33B)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12에 기초하여 드립백(10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립백(101)의 필터(3)를, 드립백(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구시킨 후, 도 12에 있어서의 좌측 상단부를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상부 고착 영역(129)으로부터 제 1 걸림편(125A, 125B)에 걸쳐서 접힘부(117)를 눌러서 제 1 걸림편(125A, 125B)을 필터(3)측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제 1 걸림편(125A)과 제 1 걸림편(125B)의 접힘부(117)는 미미하지만, 안으로 접기 상태로 변하고, 안으로 접기 상태로 변한 후는, 오른손의 손가락을 떼어도 상기한 입체 상태는 절단선(133A, 133B)과 어울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제 1 걸림편(125A, 125B)과 한 쌍의 제 2 걸림편(127A, 127B)을 커피컵(45)의 개구 가장자리 위에 놓는다. 이것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제 1 걸림편(125A, 125B), 제 2 걸림편(127A, 127B) 모두 커피컵(45)의 수평한 개구 가장자리 위에 수직하게 서 있으므로, 얇은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충분한 필터(3)의 지지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드립 커피용의 드립백을 예시했지만, 홍차나 허브티 등의 드립백으로 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1, 101 드립백
3 필터
5, 105 홀더
9 코너부
17, 117 접힘부
19A, 19B, 119A, 119B 한 쌍의 측편부
21A, 21B, 121A, 121B 절단선
22A, 22B, 122A, 122B 연속부
24A, 24B, 124A, 124B 절단선
25A, 25B, 125A, 125B 제 1 걸림편
26A, 26B, 126A, 126B 연속부
27A, 27B, 127A, 127B 제 2 걸림편
29, 129 상부 고착 영역
31A, 31B, 131A, 131B 절단선
33A, 33B, 133A, 133B 절단선
45 커피컵
47 피추출물로서의 커피 가루

Claims (5)

  1. 내부에 피추출물이 충전된 봉지 형상의 필터와, 상기 필터의 측면에 고착된 홀더를 갖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필터의 일측변을 따라 접혀진 접힘부를 연결부로 하여 필터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편부와, 상기 한 쌍의 측편부에 각각 설치되고, 유지측이 되는 유지측편부와 상기 유지측편부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는 걸림편을 구비한 드립백으로서,
    접힘부에 가까운 측의 한 쌍의 걸림편은 그 상측의 한 쌍의 유지측편부와, 상기 접힘부로부터 떨어진 한 쌍의 연속부를 통하여 각각 연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걸림편 사이의 접힘부는, 상기 필터측으로 눌리면, 밖으로 접기 상태로부터 안으로 접기 상태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의 한 쌍의 유지측편부에는 연속부 부근으로부터 접힘부측에 근접하도록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뻗는 八자 형상의 한 쌍의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접힘부에 가까운 측의 한 쌍의 걸림편의 연속부와 상기 접힘부 사이의 상부 가장자리는 약간 경사져 있어, 상기 접힘부측을 향할수록 내려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의 한 쌍의 유지측편부는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서 필터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물을 부을 때에 하방에 위치하는 코너부와 대각선상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너부가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코너부를 사이에 끼는 2변을 잡아 찢어서 개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백.
KR1020110021208A 2011-03-10 2011-03-10 드립백 KR101713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08A KR101713211B1 (ko) 2011-03-10 2011-03-10 드립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08A KR101713211B1 (ko) 2011-03-10 2011-03-10 드립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35A KR20120103135A (ko) 2012-09-19
KR101713211B1 true KR101713211B1 (ko) 2017-03-07

Family

ID=4711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208A KR101713211B1 (ko) 2011-03-10 2011-03-10 드립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012B1 (ko) * 2014-12-19 2016-06-23 씨케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개봉기능을 갖는 커피 추출용 백
JP7450120B2 (ja) * 2021-02-25 2024-03-14 陳名揚 コーヒーフィルター掛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628B2 (ja) 2003-02-13 2008-04-02 不双産業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KR100793852B1 (ko) *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35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9933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ならびにカプセル
KR101196633B1 (ko) 우려낸 음료를 담는 음료 용기용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닛
AU2014234493B2 (en)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CN102123922B (zh) 特别是用于一次性杯子的盖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US9169060B2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KR101713211B1 (ko) 드립백
WO2013162438A1 (en) Lid for a cup
CN102670075B (zh) 滴滤袋
US20130220142A1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JP5351698B2 (ja) ドリップバッグ
US20160367064A1 (en) Reusable filter cartridge for multiple brewer types
GB2554533B (en) A teapot
TWI511696B (zh) Drip bag
KR101043783B1 (ko)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JP3152879U (ja) 飲用溶液抽出器
JP3200732U (ja) ドリップパック
US20140134311A1 (en) Teabag Holder and Method
CN212591509U (zh) 茶盘组结构
KR10182615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JP4043908B2 (ja) ドリップバッグ
RU218200U1 (ru) Кольцевая часть с четырьмя прокалывателями для съемного гнезда четырех съемных капсул
RU219097U1 (ru) Кольцевая часть с тремя прокалывателями для съемного гнезда трех съемных капсул
CN209595386U (zh) 一种易泡茶具套组
CN202981626U (zh) 兼具壶盖固定功能的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