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349A -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349A
KR20090115349A KR1020080041163A KR20080041163A KR20090115349A KR 20090115349 A KR20090115349 A KR 20090115349A KR 1020080041163 A KR1020080041163 A KR 1020080041163A KR 20080041163 A KR20080041163 A KR 20080041163A KR 20090115349 A KR20090115349 A KR 20090115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ocker
outer cup
opening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훈
윤기호
Original Assignee
성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훈 filed Critical 성재훈
Priority to KR102008004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349A/ko
Publication of KR2009011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3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provided with liquid material between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provided with liquid material between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내용물이 내장된 외컵의 내주면에 내컵을 설치하여 제2 내장물을 내장시키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내컵의 제2 내장물의 온도를 낮추어 보냉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여름철 바닷가, 유원지와 같은 야외에서 시원한 음료와 냉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컵의 제1 록커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내컵을 삽입시켜 록킹돌기에 의해 암수의 형태인 제1 록커와 제2 록커의 록킹돌기를 결합시킨체 제2 록커에 제2 내용물을 넣어 휴대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보냉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내용물이 소모되면 록킹돌기를 해제하여 제1 록커의 제1 내용물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Cool drink vessel for take out}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내용물이 내장된 외컵의 내주면에 내컵을 설치하여 제2 내장물을 내장시키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내컵의 제2 내장물의 온도를 낮추어 보냉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여름철 바닷가, 유원지와 같은 야외에서 시원한 음료와 냉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운 여름철에는 모든 사람들이 많은 땀의 배출로 인한 수분 부족으로 갈증을 느낌에 따라 시원한 음료수 등을 많이 찾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야외에서 활동 중 갈증해소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음료수를 찾아 멀리 떨어져 있는 매점과 같은 일정한 장소에서 시원한 음료수로 갈증해소를 시키거나 보냉이 유지되지 않는 미지근한 음료수를 준비하여 활동 중에 갈증해소를 시켜야 하는 애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름철 갈증해소를 위해 고안된 기술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5-0010172호(1995.11.29)에는 케이스의 수납부 내벽으로 다수의 구획공간이 형성되도록 돌환부를 형성하고, 바닥부에는 냉매실을 구성하고, 냉매실의 바닥 중앙을 돌출시켜 지지봉을 형성하며, 지지봉과 냉매실 상판간을 받침봉으로 지지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용 냉각음료 용기는 내용물을 급냉시켜 야외 활동시 시원하게 음용할 수는 있지만 사전에 내용물을 용기에 담고 밀봉시켜 급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있으며 그리고 금속제로 구성됨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251호(2003.02.06)에는 비닐재질의 튜브형 컵 내부에 공기 또는 물을 넣고 주입구를 설치하는 본체와 본체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띠와 저면부에 걸림턱을 형성시켜 컵의 처짐을 방지하는 "튜브 컵"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튜브 컵은 본체의 원형 유지를 위해 지지띠와 저면부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여름철에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689호(2006.01.11)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외컵부와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음료용기를 수납하는 내컵부를 나선 결합한 2중 구조로 형성된 "음료 용기용 냉각컵"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료 용기용 냉각컵은 음료 용기를 내컵부에 수납시켜 보냉을 유지하므로 한정된 주거지에서 사용은 용이할 수 있지만 야외에서 사용시간에 비해 부피가 큰 냉각컵을 계속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각음료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장시간 보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야외에서 활동 중에 휴대하면서 갈증해소를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사용한 냉각컵은 사용 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반해 야외에서 활동 중에 매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휴대의 번거로움이 없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외컵에 제1 록커를 형성하고 내컵에 제2 록커를 형성하여 외컵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내컵을 삽입시켜 록킹돌기에 의해 제1 록커와 제2 록커를 고정시킨체 냉동고에서 얼린 상태에서 사용시 제2 록커에 제2 내용물을 넣으므로 야외 활동시 보냉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하고, 제2 내용물을 마신 후에는 록킹돌기를 해제하여 제1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외컵(20) 및 상기 외컵(20)에 삽입되는 내컵(40)을 포함하되;
상기 외컵(20)은 상면에 오프닝(24)이 형성되고, 상기 오프닝(24)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26)을 갖는 외컵 몸체(22) 및;
상기 오프닝(24)의 하측에서 상기 외컵 몸체(22)의 내주면(26) 둘레로 설치되는 제1 록커(30)를 구비하고,
상기 내컵(40)은 상면에 오프닝(44)이 형성되고, 상기 오프닝(44)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외커 몸체(22)의 내주면(26) 내로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외주면(46)을 갖는 내컵 몸체(42) 및;
상기 내컵 몸체(42)의 외주면(46) 둘레로 설치되어 상기 제1 록커(30)와 고정되되,상기 제1 록커(30)와 고정되었을 때 상기 내컵(40)의 하측에 상기 외컵(20)의 내부공간이 남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록커(50)를 구비하여;
상기 외컵(20)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상기 내컵(40)을 삽입시키고, 상기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외컵(20) 내에 수용된 제1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서 상기 외컵(20)과 내컵(40)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E) 수지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서 상기 내컵(40)은 상기 오프닝(44)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46)을 끈(70)으로 결합시켜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서 상기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 각각은 상기 외컵 몸체(22)와 내컵 몸체(42)에 부착되는 접착부(32, 52)와, 상기 접착부(32, 52)로부터 돌출되어 암수의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록킹돌기(34, 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무더운 여름철 바닷가, 유원지와 같은 야외 활동시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갈증이 있을시 시원한 음료수와 냉수를 마실 수 있어 효과적으로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특히, 외컵의 제1 록커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내컵을 삽입시켜 록킹돌기에 의해 암수의 형태인 제1 록커와 제2 록커의 록킹돌기를 결합시킨체 제2 록커에 제2 내용물을 넣어 휴대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보냉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내용물이 소모되면 록킹돌기를 해제하여 제1 록커의 제1 내용물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록커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20 : 외컵
22 : 외커 몸체 24, 44 : 오프닝
26 : 내주면 30 : 제1 록커
32, 52 : 접착부 34, 54 : 록킹돌기
40 : 내컵 42 : 내컵 몸체
46 : 외주면 48 : 홀
50 : 제2 록커 60 : 끈
70 : 구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도시한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외컵(20)과 내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컵(20)은 상면에 형성되는 오프닝(24)과 내주면(26)을 갖는 외컵 몸체(22)와 제1 록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컵(40)은 상면에 형성되는 오프닝(44)과 외주면(46)을 갖는 내컵 몸체(42)와 이 내컵 몸체(42)의 외주면(46) 둘레로 설치되어 외컵(20)의 제1 록커(30)와 결합되는 제2 록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외컵(20) 몸체(22)는 상면에 오프닝(24)이 형성되고, 이 오프닝(24)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26)을 갖는다. 제1 록커(30)는 외컵 몸체(22)의 내주면(26) 둘레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내컵 몸체(42)는 상면에 오프닝(44)이 형성되고, 이 오프닝(44)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외컵 몸체(22)의 내주면(26) 내로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2 록커(50)는 내컵 몸체(42)의 외주면(46) 둘레에 외컵(20)의 제1 록커(30)와 밀착 결합될 수 있게 접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컵(40)을 외컵(20)에 삽입하여 외컵(20)과 내컵(40)에 암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록커(30)의 록킹돌기(34)와 제2 록커(50)의 록킹돌기(54)를 이용하여 기밀하게 결합시킴으로써, 2중 구조의 냉각음료 용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외컵(20)에 내컵(40)이 결합될 때 외컵(20)의 하부측에 내부공간이 남도록 형성됨으로써, 먼저 외컵(20)의 내부공간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내컵(40)을 삽입시켜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를 결합시켜 냉동고에서 빙결시키므로 무더운 날 외부 활동시 내컵(40)에 제2 내용물을 넣어 휴대할 경우 외컵(20) 내에 수용된 제1 내용물(대표적으로 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제2 내용물(대표적으로 음료수)을 장시간 보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냉각음료는 용기에 들어있는 제2 내용물을 다 마시고 나면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를 해제하여 외컵(20)에 수용되어 있는 제1 내용물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외컵(20)과 내컵(4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바람직하게 물, 음료수 등을 수용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소비자의 요구나 판매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용물은 본 발명의 특징이 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록커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외컵(20)의 내부 공간에 내컵(40)을 수용하고, 외컵 몸체(22)의 내주면(26) 둘레에 접착된 제1 록커(30)와 내컵 몸체(42)의 외주면(46) 둘레에 접착된 제2 록커(5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컵(40)의 오프닝(44)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다수개의 홀(48)이 형성되고, 이 홀(48)에 끈(70)을 결합시켜 야외 활동시 끈(70)을 이용하여 냉각음료 용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끈(70)의 양측 끝단에는 구슬(80)을 형성시켜 활동시 간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외컵(20)에 접착된 제1 록커(30)와 내컵(40)에 접착된 제2 록커(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컵 몸체(22)의 내주면(26)과 제1 록커(30)의 접착부(32)가 서로 접착되며, 내컵 몸체(42)의 외주면(46)에 제2 록커(50)의 접착부(52)에 의해 접착된다. 그리고, 제1 록커(30)에 형성되는 록킹돌기(34)와 제2 록커(50)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돌기(54)를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외컵(20)의 내부공간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내컵(40)을 삽입하여 외컵(20)의 제1 록커(30)의 록킹돌기(34)와 내컵(40)의 외주면(46)에 접착된 제2 록커(50)의 록킹돌기(54)를 밀착 결합시켜 냉동고에서 빙결시키므로 용기를 사용시 내컵(40)의 내부공간에 제2 내용물을 넣음으로써, 제2 내용물을 장시간 보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의 외컵(20) 및 내컵(40)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동등 이상의 물성이 유지되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 각각은 접착부(32, 52)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암수의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록킹돌기(34, 54)로 이루어져, 휴대시 흔들림 등으로 인해 외컵(20)내에 수용되는 용액(대표적으로 얼음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록킹구조는 반드시 상기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는 접착부(32, 52)와 록킹돌기(34, 5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성형하여 접착부(32, 52)를 외컵(20)과 내컵(40)에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커나 열융착(고주파 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결합과정을 개념적인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록킹구조로 서로 결합되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1 록커(30)가 설치되는 외컵(20)과 제2 록커(50)가 설치되는 내컵(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통상 비닐로 이루어져 신축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냉각시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휴대시 손에 잡기 편리하며, 다양한 디자인(비닐의 색상 또는 표면의 인쇄 등을 통해}을 적용하여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내컵 몸체(42)의 상측단에 끈(70)으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컵(40)의 내용물 누출을 방지하면서 디자인적인 만족을 상승시키며, 휴대시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비닐로 내컵(40)의 내컵 몸체(42)와 외컵(20)의 외컵 몸체(22)를 제조{물론 이와 같은 제조는 통상의 비닐재질의 봉지를 제조하는 과정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한 후, 상측에 홀(48)을 2차 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그리고, 사출성형을 통해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를 성형한다. 물론, 이와 같은 과정에서 내컵 몸체(42)와 외컵 몸체(23)를 이루는 비닐지,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의 색상 및 종류를 다양화하여 서로 다른 디자인의 용기(1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끈(70)과 구슬(80)은 시중에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제품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접착방법을 통해 외컵 몸체(22)와 내컵 몸체(42)에 부착되고, 끈(70)은 수작업을 통해 내컵 몸체(42)의 상측에 형성된 홀(48)를 꿰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끈(70)의 양 끝단에 구슬(80)을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내컵(40)은 외컵(20)의 내부에 삽입하여 외컵(20)의 내주면(26)에 접착된 제1 록커(30)와 내컵(40)의 외주면(46)에 접착된 제2 록커(50)를 결합함으로써, 도 5d와 같이 외컵(20)과 내컵(40)이 휴대하기 편리하게 밀착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해보면,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10)은 무더운 여름철 바닷가, 유원지와 같은 야외 활동시에 도 6a와 같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갈증이 있을시 도 6b와 같이 시원한 음료를 마실 수 있고 특히, 외컵(20)에 제1 내용물(대표적으로 물)을 넣은 후 내컵(40)을 삽입시켜 록킹돌기(34, 54)에 의해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를 고정시킨채 냉동고에서 냉동시킨 다음{물론, 외컵(20)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먼저 냉동시킨 후, 내컵(40)을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할 때 제2 록커(50)에 제2 내용물을 넣어 휴대함으로써, 보냉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용물을 마신 후 제1 록커(30)와 제2 로커(5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록킹돌기(34, 54)를 해제하여 제1 록커(30)에 수용되어 있는 제1 내용물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는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외컵(20) 및 상기 외컵(20)에 삽입되는 내컵(40)을 포함하되;
    상기 외컵(20)은 상면에 오프닝(24)이 형성되고, 상기 오프닝(24)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26)을 갖는 외컵 몸체(22) 및,
    상기 오프닝(24)의 하측에서 상기 외컵 몸체(22)의 내주면(26) 둘레로 접착되는 제1 록커(30)를 구비하고,
    상기 내컵은(40)은 상면에 오프닝(44)이 형성되고, 상기 오프닝(44)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외커 몸체(22)의 내주면(26) 내로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외주면(46)을 갖는 내컵 몸체(42) 및,
    상기 내컵 몸체(42)의 외주면(46) 둘레로 접착되어 상기 제1 록커(30)와 고정되되, 상기 제1 록커(30)와 고정되었을 때 상기 내컵(40)의 하측에 상기 외컵(20)의 내부공간이 남도록 하는 위치에 접착되는 제2 록커(50)를 구비하여,
    상기 외컵(20)에 제1 내용물을 넣은 후 상기 내컵(40)을 삽입시키고, 상기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외컵(20) 내에 수용된 제1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20)과 내컵(40)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E) 수지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40)은 상기 오프닝(44)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46)을 끈(70)으로 결합시켜 소지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커(30)와 제2 록커(50) 각각은 상기 외컵 몸체(22)와 내컵 몸체(42)에 부착되는 접착부(32, 52)와,
    상기 접착부(32, 52)로부터 돌출되어 암수의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록킹돌기(34, 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KR1020080041163A 2008-05-02 2008-05-02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KR20090115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63A KR20090115349A (ko) 2008-05-02 2008-05-02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63A KR20090115349A (ko) 2008-05-02 2008-05-02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349A true KR20090115349A (ko) 2009-11-05

Family

ID=4155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163A KR20090115349A (ko) 2008-05-02 2008-05-02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3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55Y1 (ko) * 2010-01-14 2010-04-21 주식회사 엠티엠코 화장용 솔 케이스구조
KR20150099472A (ko) * 2014-02-21 2015-08-31 반채일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KR20160109213A (ko) 2015-03-10 2016-09-21 정승은 빙과 제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빙과 제조방법
KR20200062483A (ko) * 2018-11-27 2020-06-04 조문식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00893B2 (en) * 2017-05-19 2023-10-31 Samuel Oliver ARTZ Chilling water pipe and method of u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55Y1 (ko) * 2010-01-14 2010-04-21 주식회사 엠티엠코 화장용 솔 케이스구조
KR20150099472A (ko) * 2014-02-21 2015-08-31 반채일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KR20160109213A (ko) 2015-03-10 2016-09-21 정승은 빙과 제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빙과 제조방법
US11800893B2 (en) * 2017-05-19 2023-10-31 Samuel Oliver ARTZ Chilling water pipe and method of use
KR20200062483A (ko) * 2018-11-27 2020-06-04 조문식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4113B (zh) 用于分开地容纳消耗品的系统
US20140060777A1 (en) Beverage container sleev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10940987B2 (en) Insulated carry bag
KR20090115349A (ko)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US9567150B2 (en) Refrigerating assembly
US20120125943A1 (en) Container for pet bottle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AU2003100960A4 (en) Insulating Sleeve for a Glass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US11414259B2 (en) Beverage insulating device
KR101884195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US20050087538A1 (en) Iceless multiple can cooler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KR101562649B1 (ko) 이중 구조의 용기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US20090020542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JP2008505812A (ja) 冷却効果向上のためのボトルキャップ及びそれを利用した冷却方法
KR200460978Y1 (ko) 물통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US10730685B2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KR101100090B1 (ko) 페트병용 덮개병
KR200340429Y1 (ko) 보온 보냉이 가능한 이중용기
US20090020541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KR200285209Y1 (ko) 냉각캔
KR200361979Y1 (ko) 보온 보냉용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