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483A -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483A
KR20200062483A KR1020180147925A KR20180147925A KR20200062483A KR 20200062483 A KR20200062483 A KR 20200062483A KR 1020180147925 A KR1020180147925 A KR 1020180147925A KR 20180147925 A KR20180147925 A KR 20180147925A KR 20200062483 A KR20200062483 A KR 20200062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manufacturing
outer contain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980B1 (ko
Inventor
조문식
Original Assignee
조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식 filed Critical 조문식
Priority to KR102018014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9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끼움 결합되어 탈락이 방지됨으로써 온의 음식물이 용기의 온도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과 같은 별도의 공정을 더 수행하지 않아도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CONTAINER FOR PREVENTING FALLOU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식기, 그릇)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중으로 형성된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세척 및 그릇으로 사용하는 용기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이루어져 음식물의 변질과 오염을 차단하며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이중구조로 형성된 용기는 내용물의 보온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외부로 내용물의 열전달이 느려짐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 용기의 외부를 잡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으로 형성된 용기는 압착법을 이용하거나 인서트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먼저, 압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법은 크기가 다른 내, 외용기를 프레싱하여 제작한 후, 내, 외용기의 외주연을 용접함으로써 음식물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용기를 제작하는 용접과정이 숙련을 요하게 됨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음식물 온도과 외부 온도차에 따라서 용기의 팽창 또는 수축이 반복됨으로써 용기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세척과정에서 물이 들어가거나, 용기가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인서트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내부용기의 외면에 외부용기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성질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8783호(이하 ‘문헌 1’)의 “다층 성형된 식기”에서 내통의 외주면에 외통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포함된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간단한 공정으로 내통과 외통이 완전히 결합되는 장점이 있지만, 잦은 세척에 의해 돌기가 형성되지 못하는 부분에 물이 유입되어 곰팡이 또는 물때가 생성되어 용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4956호(이하 ‘문헌 2’)의 “색상이 다른 그릇의 이중사출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이중사출 그릇”에서, 내부체 외부금형의 내측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결합부를 포함하는 색상이 다른 이중사출방법으로 제작되는 그릇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내부체와 외부체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출형식으로 형성되어 그릇의 재질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거나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985호(이하 ‘문헌 3’)의 “음식물 용기”에서, 외용기의 구부 사이에 고무링을 삽입 결합하여 내, 외용기의 공간부로 습기 및 물의 침투를 완전히 차단하여 용기의 부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음식물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내, 외용기의 구부 사이에 고무링을 삽입한 상태에서 압착(프레싱)하여 제작함에 따라 고무링의 기밀유지로 인해 내, 외용기의 공간부로 습기 및 물의 침투를 차단하여 용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음식물의 온도와 외부 온도의 차이 등에 의해 용기가 팽창하고 수축함에 따라 틈이 발생하여 내, 외용기가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1876호(이하 ‘문헌 4’)의 “이중 용기와 그 제조방법”에서, 내부 용기와 결합에 의해 공간부를 갖도록 하는 이격 안내 돌기를 형성한 외부 용기의 상측 내경에 내부 용기의 공급으로 융착되어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이격 안내 돌기를 갖는 외부용기와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갖는 내부 용기를 결합하여 내부 용기의 돌출턱 내경에서 융착에 의해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고정하여 형성하여 이중구조에 의해 내용물의 온도가 외부 용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정밀한 공정을 더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878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495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9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187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서로 다른 재질의 용기를 압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고온의 음식물이 용기의 온도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내부용기 외측 일측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포함되어 음식물과 외부온도에 의한 용기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내부용기 상측 일측에 밀폐링이 더 포함되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습기 또는 물이 침투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용기(100) 및 외부용기(200)를 제작할 준비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를 거친 재료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내부용기(100)를 제조하는 제2단계(S120); 제1단계(S110)를 거친 재료에 의해 외부용기(200)를 제조하는 제3단계(S130); 및 제3단계(S130)를 거친 외부용기(200) 내측에 제2단계(S120)를 거친 내부용기(100)를 결합시키는 제4단계(S14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단계(S120) 또는 제3단계(S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수행된 후 제2단계(S120)를 거친 내부용기(100) 상측 일측에 밀폐링(130)을 결합하는 제2-1단계(S121);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2단계(S120)는 드로잉가공 또는 사출성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단계(S130)는 드로잉가공 또는 사출성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3단계(S130)를 거친 외부용기(200)의 내측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함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서로 다른 재질의 용기를 압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고온의 음식물이 용기의 온도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과 같은 별도의 공정을 더 수행하지 않아도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용기 외측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음식물과 외부온도에 의해 용기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분리되는 것이 예방되며, 선택적으로 내부용기 상측 일측에 밀폐링이 더 포함되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습기 또는 물이 침투되는 것이 예방되어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인서트 또는 압착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아니고, 사출성형과 압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두 방법의 장점을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문헌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문헌 2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문헌 3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문헌 4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S110: 제1단계, S120: 제2단계, S121: 제1단계, S130: 제3단계, S140: 제4단계
100: 내부용기, 110: 제1단부, 120: 제1돌출부, 130: 밀폐링
200: 외부용기, 210: 제2단부, 211: 제1고정부, 212: 제1고정홈, 220: 제1함몰부
300: 제1공간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이하, ‘용기’라 한다.)의 제조방법은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준비 공정>
1)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는 준비물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내부용기(100) 및 외부용기(200)를 제작할 준비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적용되는 내부용기(100) 및 외부용기(2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용기(1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외부용기(200)는 합성수지재로 서로 다른 재질의 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내부용기(100)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계열의 금속이 적용되며, 외부용기(200)는 열 변형 및 수축률이 낮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수지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경우, 천연고분자계, 화학합성고분자계 또는 미생물상샌고분자계 생분해성 플라스틱재료가 더 포함된 합성수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전분, 키틴, PBS(polybutylene succinate),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CL(Polycaprolactone), PLA(Polylactic acid), PHA(Polyhydroxy alkanoate) 또는 PHB(Polyhydroxy butyrat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재료를 이용할 경우,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내구성유지를 위해 합성수지재 전체 100중량부 대비 생분해성 플라스틱재료 3중량부 미만으로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합성수지재 전체 100중량부 대비 생분해성 플라스틱재료 3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제조단가가 높아지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2)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10)를 거친 재료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내부용기(10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단계(S120)는 내부용기(100)의 소재에 따라, 드로잉가공 또는 사출성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2단계(S120)에 의해 제조되는 내부용기(100)의 소재가 금속일 경우, 판 형태로 형성된 금속을 하나 이상의 형틀에 놓고 압력기에 의해 압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드로잉 가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00)의 소재가 합성수지재일 경우, 소재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몰드에 합성수지재를 주입하여 성형시키는 사출성형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자극에 의한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부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가 오랫동안 보존되기 위해 내부용기(100)는 음식물과 외부온도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변화 속도가 낮은 금속소재가 적용되어 드로잉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압력은 소재에 따라 다르며, 형틀에서 금속소재를 압착하여 내부용기(100)의 모양을 낼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력기라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2단계(S120)에 의해 내부용기(100)는 제1단부(110) 및 돌출부(120)가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내부용기(100)의 상측 단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단부(1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단부(110)는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내부용기(100) 내측으로부터 넘쳐흐를 경우,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제1단부(110)의 상측 면은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외부용기(2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제2단부(210)가 내측에 인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단부(110)가 형성되어 제2단부(210)가 제1단부(110) 내측에 인입됨으로써,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최종 제조되는 용기에 내부용기(100) 및 외부용기(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내부용기(100)의 돌출부(120)는 내부용기(100)의 외면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120)는 내부용기(100)의 외면 둘레를 따라 띠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돌기 형식으로 형성되어 돌기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형상이 최소화되어 잦은 세척 등에 의한 습기 또는 물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돌출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압착법에 의해 제조된 용기의 단점인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에 발생되는 틈이 최소화 되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의 단점인 외부 온도에 따라 용기가 팽창 또는 수축함으로써 틈이 발생되어 분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될 제4단계(S140) 수행 시 외부용기(200) 내측 공기가 내부용기(100)와의 결합과정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돌출부(120) 일측이 함몰되도록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내부용기(100)의 내측 면은 돌출부(120)의 형상에 따라 외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세척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용기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음식물이 담길 수 있는 깊이를 표시하는 역할이 수행됨으로써, 뚜껑 등과 같은 덮개와 결합될 경우, 음식물이 담긴 용량에 의해 넘침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1) 제2-1단계(S121)
제2-1단계(S12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S120) 또는 제3단계(S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수행된 후, 제2단계(S120)를 거친 내부용기(100) 상측 일측에 밀폐링(13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밀폐링(130)은 내부용기(100)의 상측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밀폐링(130)에 의해 제1단부(110) 내측에 형성된 틈이 채워지게 되어 내부용기(100)의 제1단부(110)와 외부용기(20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밀폐링(130)은 제1단부(110)의 내측에 인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밀폐링(130)이 제1단부(110)의 내측에 인입되어 제1단부(110) 내측이 외부용기(200)의 제2단부(210)에 의해 진공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용접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밀폐링(13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무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음식물에 의한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용될 수 있는 실리콘 고무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는 30~80이며, 상용온도가 -75~200℃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쇼어 경도가 30 미만인 것이 적용될 경우, 낮은 경도에 의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쉽게 끊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쇼어 경도가 80 이상이면, 높은 경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용온도가 -75℃ 미만이거나, 200℃ 이상인 것이 적용될 경우, 상용온도 범위가 넓은 실리콘 고무 제조를 위한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3)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는 제1단계(S110)를 거친 재료에 의해 외부용기(20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3단계(S130)는 외부용기(200)의 소재에 따라, 드로잉가공 또는 사출성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3단계(S130)에 의해 제조되는 외부용기(200)의 소재가 금속일 경우, 판 형태로 형성된 금속을 하나 이상의 형틀에 놓고 압력기에 의해 압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드로잉 가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용기(200)의 소재가 합성수지재일 경우, 소재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몰드에 합성수지재를 주입하여 성형시키는 사출성형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용기(100)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의 온도를 오랫동안 보존시키며, 단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재가 적용되어 사출성형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외부용기(2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써, 뜨거운 음식이 내부용기(100)에 담기더라도 사용자가 외부용기(200)를 용이하게 잡고 최종 제조되는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용기(200)는 내부용기(100)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내부용기(100)에 담긴 음식물이 지면 온도에 의해 온도가 변하는 속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단계(S130)에 의해 외부용기(200)는 제2단부(210) 및 제1함몰부(220)가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2단부(210)는 내부용기(100)의 제1단부(110)의 내측에 인입될 수 있도록 외부용기(200) 상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단부(110) 내측에 제2단부(210)가 인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부(110)의 외측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1고정부(2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단부(110)의 하측 단부가 제2단부(210)와 제1고정부(211) 사이에 안착되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음식물 및 외부 온도변화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용기가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내부용기(100) 및 외부용기(200) 사이에 틈이 발생되더라도 제2단부(210)와 제1고정부(211)에 의해 제1단부(110) 하측 단부가 고정되어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2단부(210)와 제1고정부(211) 사이는 제1단부(110) 하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단부(110)의 하측 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단부(210)와 제1고정부(211) 사이에 제1고정홈(21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고정홈(212)은 제2단부(210)와 제1고정부(211) 사이에 홈 모양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단부(110)의 하측 면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외측에 제1고정부(211)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제1고정부(211)의 하측 면은 제1고정홈(212)의 하측 면보다 하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용기(200)의 상측 단부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용기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함몰부(220)는 외부용기(200) 내측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함몰부(220)는 돌출부(120)와 대응되도록 띠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제1함몰부(220) 내측에 돌출부(120)가 인입되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용기(200)의 외측 면은 제1함몰부(220)의 형상에 따라 돌출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4) 제4단계(S140)
제4단계(S140)는 제3단계(S130)를 거친 외부용기(200) 내측에 제2단계(S120) 또는 제2-1단계(S1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거친 내부용기(100)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즉, 제3단계(S130)를 거친 외부용기(200)의 내측에 제2단계(S120) 또는 제2-1단계(S1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거쳐 형성된 내부용기(100)를 놓고 내부용기(100)가 외부용기(200) 내측에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압착함으로써 본 발명인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가 제조되는 것이다.
제4단계(S140)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용기는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의 깊이 차이에 의해 제1공간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용기(200) 내측 하측 면과 내부용기(100)의 하측 면이 이격되어 형성된 제1공간부(300)에 의해 지면의 온도에 따라 내부용기(100) 내측에 형성된 음식물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는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서로 다른 재질의 용기를 압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고온의 음식물이 용기의 온도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과 같은 별도의 공정을 더 수행하지 않아도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용기(100) 외측 일측에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음식물과 외부온도에 의해 용기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분리되는 것이 예방되며, 선택적으로 내부용기(100) 상측 일측에 밀폐링(130)이 더 포함되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에 습기 또는 물이 침투되는 것이 예방되어 최종 제조되는 용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인서트 또는 압착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아니고, 사출성형과 압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두 방법의 장점을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돌출부에 의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끼움 결합되어 탈락이 방지됨으로써 온의 음식물이 용기의 온도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과 같은 별도의 공정을 더 수행하지 않아도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6)

  1. 내부용기(100) 및 외부용기(200)를 제작할 준비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를 거친 재료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내부용기(100)를 제조하는 제2단계(S120);
    제1단계(S110)를 거친 재료에 의해 외부용기(200)를 제조하는 제3단계(S130); 및
    제3단계(S130)를 거친 외부용기(200) 내측에 제2단계(S120)를 거친 내부용기(100)를 결합시키는 제4단계(S140);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단계(S120) 또는 제3단계(S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수행된 후 제2단계(S120)를 거친 내부용기(100) 상측 일측에 밀폐링(130)을 결합하는 제2-1단계(S121);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단계(S120)는 드로잉가공 또는 사출성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단계(S130)는 드로잉가공 또는 사출성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단계(S130)를 거친 외부용기(200)의 내측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함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KR1020180147925A 2018-11-27 2018-11-27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6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925A KR102126980B1 (ko) 2018-11-27 2018-11-27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925A KR102126980B1 (ko) 2018-11-27 2018-11-27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83A true KR20200062483A (ko) 2020-06-04
KR102126980B1 KR102126980B1 (ko) 2020-06-25

Family

ID=7108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925A KR102126980B1 (ko) 2018-11-27 2018-11-27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98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83Y1 (ko) * 2000-03-31 2000-10-02 신영열 다층성형된 식기
JP2004097631A (ja) * 2002-09-11 2004-04-02 Fureggu Shokuhin Kogyo Kk 二重包装食品の容器掛合機構
KR20040057378A (ko) * 2002-12-26 2004-07-02 (주)옥야 투명 합성수지 이중 용기 제조 방법 및 그 용기
JP2007099377A (ja) * 2005-10-07 2007-04-19 Fujimori Kogyo Co Ltd 耐熱容器
KR20090115349A (ko) * 2008-05-02 2009-11-05 성재훈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KR20110008573U (ko) * 2010-03-02 2011-09-08 김세경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KR20120002755U (ko) * 2010-10-13 2012-04-23 동아정밀공업(주)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83Y1 (ko) * 2000-03-31 2000-10-02 신영열 다층성형된 식기
JP2004097631A (ja) * 2002-09-11 2004-04-02 Fureggu Shokuhin Kogyo Kk 二重包装食品の容器掛合機構
KR20040057378A (ko) * 2002-12-26 2004-07-02 (주)옥야 투명 합성수지 이중 용기 제조 방법 및 그 용기
JP2007099377A (ja) * 2005-10-07 2007-04-19 Fujimori Kogyo Co Ltd 耐熱容器
KR20090115349A (ko) * 2008-05-02 2009-11-05 성재훈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KR20110008573U (ko) * 2010-03-02 2011-09-08 김세경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KR20120002755U (ko) * 2010-10-13 2012-04-23 동아정밀공업(주)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980B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853B2 (en) Insulated double walled drinking vess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414700B2 (en) Insulated double walled drinking vess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1547836B (zh) 利用直接吹塑成形法形成的合成树脂制双层容器
US3277220A (en) Method for making composite foamed plastic containers
CN100376459C (zh) 用于储存食品的非塑料容器
FR2970951A1 (fr) Recipient modulaire compose d&#39;une pluralite de conteneurs emboitables axialement, et procede d&#39;obtention de tels conteneurs par soufflage d&#39;une preforme
US324730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lural walled container
WO2013146109A1 (ja) 金属色の外観を有する延伸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
FR2733715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ieces thermoplastiques et pieces obtenues selon ce procede
JPH03504955A (ja) 熱可塑材製スクリュー・キャップ
KR102126980B1 (ko)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9146701A1 (ja) 樹脂製の容器部品の製造方法、金型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ブロー成形機
US20190367250A1 (en) Bimaterial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KR101593773B1 (ko) 대나무 용기 및 그것의 제조방법
CN109927238B (zh) 一种环保杯的制备方法
JP5077463B2 (ja) 把手付耐熱容器の製造方法
KR102112677B1 (ko)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KR20150085892A (ko) 대나무 용기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248572B1 (ko) 유리보울 제조장치
JP2006062743A (ja) 容器の蓋部材
FR2902040A1 (fr) Procede pour realiser un recipient en matiere plastique et recipient obtenu avec un tel procede
KR101520448B1 (ko) 용기의 인서트 사출방법
JPS6238892Y2 (ko)
FR2540074A1 (fr) Fermeture avec garniture plastisol formant bourrelet de retenue et sa methode de fabrication
KR20170094956A (ko) 색상이 다른 그릇의 이중사출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이중사출 그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