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573U -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 Google Patents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573U
KR20110008573U KR2020100002117U KR20100002117U KR20110008573U KR 20110008573 U KR20110008573 U KR 20110008573U KR 2020100002117 U KR2020100002117 U KR 2020100002117U KR 20100002117 U KR20100002117 U KR 20100002117U KR 20110008573 U KR20110008573 U KR 201100085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s
container
cup
wal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534Y1 (ko
Inventor
김세경
Original Assignee
김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경 filed Critical 김세경
Priority to KR2020100002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53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찬통을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함에 따라 컵이나 찬통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을 경우 플라스틱에서 인체에 해로운 환경호르몬이 방출되면서 음식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210)이 구비되며,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찬통으로 사용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바닥부(120)와 벽체(110)에 의해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안쪽 몸체(100)와; 벽체(110) 외주면을 감싸도록 안쪽 몸체(100)의 외부면에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안쪽 몸체(100)와 간섭되지 않는 내주면이나 외주면 일 부위에 나사산(210)이 형성되는 바깥쪽 몸체(20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보온병의 컵과 보온도시락의 찬통을 제작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안쪽 몸체(100)의 외주면에 플라스틱 재질의 바깥쪽 몸체(200)를 사출 성형되게 이중 구조로 하므로서 음식물을 컵이나 찬통에 담으면 음식물은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안쪽몸체(100)에만 접촉되어 환경호르몬에 의해 음식물이 오염될 우려가 없어 사용자가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물질을 섭취할 우려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Thermos And Container For Packed Lunch For Keeping Warmth}
본 고안은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보온병의 컵과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안쪽 몸체의 외주면에 플라스틱 재질로 된 바깥쪽 몸체를 사출 성형하여 이중구조로 제작하므로서 컵과 찬통에 담아지는 음식물이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안쪽 몸체에만 접촉되게 하므로서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물질이 음식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없도록 한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은 용기내에 담겨지는 음식물의 온도가 일정한 시간동안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야외에 나들이를 가거나 기타의 목적을 가지고 보온병에 뜨겁거나 차거운 음식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보온병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마시고자 할때 음식물 자체의 온도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은 음식물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보온병본체와 본체의 입구를 밀폐하며 음식물 인출구 개폐가 가능한 마개와 마개의 상부를 커버하고 덮개 대용으로 사용되면서 본체에 결합되는 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온도시락용 용기의 경우에는 반찬을 수용하는 반찬통과 국을 수용하는 국통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의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보온병의 경우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보온력을 가지는 보온병본체(10)의 상부에는 결합부(11)를 형성하고, 덮개를 겸하는 컵(20)의 내주면에는 결합부(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나사산(21)이 형성된 상태로 컵(20)을 한번의 공정으로 손쉽게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컵(20)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하여야 한다.
여기서 컵(20)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컵(20)을 안쪽몸체와 바깥쪽몸체로 나누어 이중으로 제작되게 하여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몸체는 외관미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쪽 몸체만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 제품도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컵(20)전체 모두를 플라스틱 재질 한가지로 구성하든 컵(20)을 안쪽 몸체와 바깥쪽 몸체로 구분하여 안쪽 몸체만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든 종래에는 컵(20)에 담겨지는 음식물이 모두 플라스틱 재질과 접촉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플라스틱에는 플라스틱의 원료물질 중 하나인 비스페놀(Bisphenol a)이라는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 성분이 들어 있고 이러한 환경호르몬은 열이 전달되면 외부로 쉽게 방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뜨거운 음식물(이하 음식물이라 칭함)을 플라스틱 재질로 된 컵(20)에 담을 경우 플라스틱에서 환경호르몬이 방출되면서 음식물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환경호르몬에 오염된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조직의 지방층에 축적되면서 생체 기능을 교란시켜 면역성 저하, 선천성 기형, 발육장애 및 기능저하, 발암 등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온도시락용 찬통의 경우에도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뜨거운 국 이나 반찬 등을 넣을 경우 이역시 환경호르몬이 방출되면서 음식물을 오염시켜 음식물을 섭취하는 사용자에게 해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에 음식물을 담더라도 컵이나 국통 및 찬통에서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이 인체에 해로운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한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찬통으로 사용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으로 사용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바닥부와 벽체에 의해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안쪽 몸체와; 안쪽 몸체의 벽체 외주면을 감싸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되어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되며, 안쪽 몸체와 간섭되지 않는 내주면이나 외주면 일 부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깥쪽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을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위는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하고, 음식물이 접촉되지 않는 부위만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므로서 컵이나 찬통에 열이 있는 음식물을 담어주더라도 음식물이 환경호르몬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보온병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보온병의 컵을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실시된 보온병의 컵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보온도시락의 국통이나 찬통으로 사용되는 용기 를 예시한 분리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보온병의 컵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이 실시된 보온병의 컵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보온도시락의 국통이나 찬통으로 사용되는 용기를 예시한 분리 단면도로서 여기서의 용기는 소비자가 국을 담을수도 있고, 찬을 담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210)이 구비되며,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으로 사용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바닥부(120)와 벽체(110)에 의해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안쪽 몸체(100)와; 안쪽 몸체(100)의 벽체(110) 외주면을 감싸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되어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되며, 안쪽 몸체(100)와 간섭되지 않는 내주면이나 외주면 일 부위에 나사산(210)이 형성되는 바깥쪽 몸체(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에서 음식물과 접촉되지 않는 부위는 플라스틱 재질로 하고,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위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하여 인체에 해로운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종래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위가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 다량의 환경호르몬이 방출되면서 음식물을 오염시키고 그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함으로 인해 건강을 해치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용의 국통 및 찬통을 이중구조로 하여 즉, 바닥부(120)와 벽체(110)에 의해 용기본체를 구성하면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안쪽 몸체(100)를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된 바깥쪽 몸체(200)와 서로 강제 결합하거나 또는 바깥쪽 몸체(200)를 안쪽 몸체(100)의 벽체(110)외주면을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되게 한다.
여기서 바깥쪽 몸체(200)에는 안쪽 몸체(100)와 간섭되지 않은 외주면 일부위에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있어 즉, 바깥쪽 몸체(20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나사산(210)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안쪽 몸체(100)의 간섭을 받지 않는 부위에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컵의 경우에는 보온병본체와 결합하고, 국통 및 찬통의 경우에는 뚜껑이 결합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보온병의 컵과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은 담겨지는 음식물이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된 바깥쪽 몸체(200)와는 전혀 접촉되지 않고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안쪽 몸체(100)에만 접촉되는 것인데 스테인레스 재질에서는 인체에 해로운 환경호르몬 등이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컵이나 국통 및 찬통에 담겨진 음식물이 환경호르몬에 오염될 우려가 없어 안심하고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의 안쪽 몸체(100)는 벽체(110)의 구경에 비해 바닥부(120)의 구경이 좁아지도록 벽체(110) 하단에 단턱부(111)를 형성하고 바깥쪽 몸체(200)는 하단부(220)가 벽체(110) 하단의 단턱부(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출되어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안쪽 몸체(100)와 바깥쪽 몸체(200)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바깥쪽 몸체(200)는 안쪽 몸체(100)의 바닥부(120) 밑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쪽 몸체(100)의 벽체(110)에만 사출되게 형성하여 스테인재질로 이루어진 안쪽 몸체(100)에서 바닥부(120)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므로서 그만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안쪽 몸체(100)의 벽체(110)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2)를 형성하여 바깥쪽 몸체(200) 사출 성형시 플랜지(112)가 바깥쪽 몸체(200)의 내벽에 삽입되게 하므로서 안쪽몸체(100)가 상향이나 하향으로 처지 지 않고 바깥쪽몸체(200)와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안쪽몸체 110 : 벽체
111 : 단턱부 112 : 플랜지
120 : 바닥부 200 : 바깥쪽몸체
210 : 나사산 220 : 하단부

Claims (3)

  1.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210)이 구비되며,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으로 사용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바닥부(120)와 벽체(110)에 의해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안쪽 몸체(100)와;
    안쪽 몸체(100)의 벽체(110) 외주면을 감싸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되어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되며, 안쪽 몸체(100)와 간섭되지 않는 내주면이나 외주면 일 부위에 나사산(210)이 형성되는 바깥쪽 몸체(2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안쪽 몸체(100)는,
    벽체(110)의 구경에 비해 바닥부(120)의 구경이 좁아지도록 벽체(110) 하단에 단턱부(111)를 형성하고,
    바깥쪽 몸체(200)는,
    하단부(220)가 벽체(110) 하단의 단턱부(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출되어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쪽 몸체(100)는,
    벽체(110)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2)를 형성하여 바깥쪽 몸체(200) 사출 성형시 플랜지(112)가 바깥쪽 몸체(200)의 내벽에 삽입되게 하고,
    바깥쪽 몸체(200)는,
    안쪽 몸체(100)의 바닥부(120) 밑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쪽 몸체(100)의 벽체(110)에만 사출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KR2020100002117U 2010-03-02 2010-03-02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KR200462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117U KR200462534Y1 (ko) 2010-03-02 2010-03-02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117U KR200462534Y1 (ko) 2010-03-02 2010-03-02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73U true KR20110008573U (ko) 2011-09-08
KR200462534Y1 KR200462534Y1 (ko) 2012-09-14

Family

ID=4509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117U KR200462534Y1 (ko) 2010-03-02 2010-03-02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5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83A (ko) * 2018-11-27 2020-06-04 조문식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429084A (zh) * 2022-09-05 2022-12-06 浙江奇翼特种服装有限公司 一种温控水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064A (ko) 2018-06-04 2019-12-12 박치완 끓일 수 있는 보온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329Y1 (ko) * 2000-12-11 2001-09-25 김창덕 이중구조용기의 결합구조
KR100942963B1 (ko) * 2007-08-18 2010-02-17 이재웅 이중 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83A (ko) * 2018-11-27 2020-06-04 조문식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429084A (zh) * 2022-09-05 2022-12-06 浙江奇翼特种服装有限公司 一种温控水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534Y1 (ko) 201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55788A (en) Infant's feeding kit
US20150197381A1 (en) Container with a mountable scoop
US20150014333A1 (en) Coaster Cup
KR102269413B1 (ko)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US20160031630A1 (en) Insulating Vessel
US20150344178A1 (en) Container system
JP2014104346A (ja) 食べ物及び飲み物用容器
KR200462534Y1 (ko)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KR20180044042A (ko)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Z1960U1 (cs) Tepelně izolující přepravní zařízení na jídla
KR200464792Y1 (ko) 스티로폼 위생보온 도시락
KR200486323Y1 (ko) 이중 구조의 이유식 보온 용기
KR101208434B1 (ko) 적층형 이유식 보관용기
KR20130135693A (ko) 다기능 젖병
KR200469248Y1 (ko) 도시락 용기
KR101388153B1 (ko) 보온 도시락
KR20110004017U (ko) 광고지 삽입이 가능한 휴대용 보온컵
US20140263352A1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US20120298675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or cooling inser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80113391A (ko) 식판 보온용기
JP4431552B2 (ja) 汁物用密閉容器
JP2015020776A (ja) 断熱容器
KR101439930B1 (ko)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용기
JP3185084U (ja) 保温用又は保冷用の容器、蓋、ソーサー、皿、魔法瓶
US9687115B1 (en) Representative, contaminant and temperature protective food cover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