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514A -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514A
KR20130009514A KR1020110070677A KR20110070677A KR20130009514A KR 20130009514 A KR20130009514 A KR 20130009514A KR 1020110070677 A KR1020110070677 A KR 1020110070677A KR 20110070677 A KR20110070677 A KR 20110070677A KR 20130009514 A KR20130009514 A KR 2013000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paper
eco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808B1 (ko
Inventor
노환걸
Original Assignee
노환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환걸 filed Critical 노환걸
Priority to KR102011007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8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종이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용컵에 설치되어 원두커피나 차 등을 걸러 마실 수 있게 하는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종이 재질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고정되는 여과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용기본체가 끼워진 상태의 음용컵 내부로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를 종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보다 친환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Eco-friendly disposable dripping tool}
본 발명은 편리하게 원두커피, 차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본체를 종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보다 친환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뛰어난 것은 물론 풍미와 고급성에서 인스턴트 커피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스턴트 커피보다는 원두커피를 더 선호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음용되는 커피의 양을 비교해보면 대략 8 대 2 정도의 비율로 인스턴트 커피가 더 많이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원두커피가 더 선호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스턴트 커피를 더 많이 마시게 되는 것은 더운 물만 부으면 바로 음용할 수 있는 간편한 인스턴트 커피와 비교할 때 원두커피의 경우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휠씬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마실 수 있는 번거로움 때문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원두커피가 갖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554호, 제20-2010-0012408호를 통해 개시된 것과 같은 원두커피를 보다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는 음용컵에 설치한 후 더운 물을 부으면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바로 마실 수 있기 때문에 인스턴트 커피처럼 아주 편리하게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는 그 구조와 형상의 특성상 견고한 플락스틱 재질로만 제작이 될 수 밖에 없어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불필요하게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즉, 상기 원두커피 추출기구는 원두커피를 한번 추출하고 나면 버려지는 일회용임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제조단계에서 비용이 상승되는 것이며, 사용 후 처리시에도 불필요한 자원낭비의 문제가 대두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견고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많은 갯수의 추출기구를 소지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야외활동시 원두커피를 여러 사람이 편리하게 즐기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원두커피를 야외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즐길 수 있으면서 일회용인 특성을 감안하여 보다 제조원가를 낮추고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원두커피 추출기구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용기를 간단한 구조로 개량하여 종이재질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어 저렴한 생산이 가능함과 함께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제공함과 함께 소지하기가 보다 용이하여 야외활동시에서도 편리하게 원두커피나 차 등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음용컵에 설치되어 원두커피, 차 등을 걸러 마실 수 있게 하는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종이 재질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고정되는 여과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용기본체가 끼워진 상태의 음용컵 내부로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의 연결부에는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용컵에 설치되어 원두커피, 차 등을 걸러 마실 수 있게 하는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종이 재질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고정되는 여과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용기가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공기유통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단 위에 상기 여과지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용기본체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는 용기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는,
추출용기를 종이로 제조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개량하여 종이재질로 제조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어 저렴한 생산이 가능함과 함께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이재질의 용기본체에 절개홈을 형성시켜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갯수를 소지하기가 보다 용이하여 야외활동시에서도 편리하게 원두커피나 차 등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이추출용기의 전개도를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추출용기의 사용을 예시한 사용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100)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추출용기(100)는 용기본체(10)와, 여과지(20)와, 측면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원두커피나 차 등을 마시고자 할 때 음용컵(300)의 상단에 끼워져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그 상단과 하단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0)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절개홈(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절개홈(11)은 종이 재질의 상기 용기본체(10)가 용이하게 접히면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추출용기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그 부피가 고정이므로 특히 등산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여러 개를 소지하는데 불편함(큰 부피를 차지하므로)이 있었으나, 상기와 같이 용기본체(10)를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 보다 많은 갯수를 소지하는데도 불편함이 없어 야외활동시에도 여러 사람이 원두커피 등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부 일측에는 용기손잡이(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용기손잡이(12)는 원두커피 또는 차 등의 추출 후 음용컵(300)에 끼워진 용기본체(10)를 빼낼 때 보다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단차부(13)는 용기본체(10)의 직경에 변화를 주는 바, 용기본체(10)를 다양한 크기의 음용컵(300)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여과지(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하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여과지(20)로는 물이 투과될 수 있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재(3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본체(10)와 마찬가지로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도시된 것처럼 용기본체(10)의 일측면에 종이가 말려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부재(30)는 먼저 용기본체(10)가 음용컵(300)에 끼워진 상태일 때 음용컵(300)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측면부재(30)의 내부에 공기유통의 통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용기본체(10)와 음용컵(300) 사이에 공기유통이 가능한 틈을 형성시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30)는 손잡이로서 기능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측면부재(3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측면부재(30)가 용기본체(10) 위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면 측면부재(30)를 파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용기손잡이(1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30)는 상기 용기본체(10)와의 연결부에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절취선(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절취선(31)이 형성되면 상기 측면부재(30)를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시켜 필요시에는 스틱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 용기본체(10)와 측면부재(30)가 펼쳐져 전개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면으로서, 상기 도 3 중 A부분이 원형으로 감겨 접착되면 용기본체(10)가 되고 B부분이 말려 고정이 되면 측면부재(30)가 되는 것이며, 먼저 상기 도 3와 같은 형태로 원단종이를 재단한 후 A부분을 감아 용기본체(10)를 형성하고 B부분을 감아 측면부재를 형성한 후, 용기본체(10)의 하단에 여과지(20)를 고정시키면 상기한 구성의 종이추출용기(100)를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200)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측면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종이추출용기(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용기본체(10)가 내부용기(14)와 외부용기(15)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부분을 위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본체(10)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용기(14)와 외부용기(15)가 결합된 이중구조의 용기로 이루어지며, 이 때 외부용기(15)는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요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외부용기(15)가 요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용기(14)와 외부용기(15)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16)가 내부용기(14)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이 된다.
상기 내부용기(14)와 외부용기(15) 사이에 공간부(16)가 마련되므로 용기본체(10)가 음용컵(300)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공간부(16)를 통해 공기의 유통이 가능해지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파지하는 경우 상기 공간부(16)로 인해 열이 차단되므로 사용자의 손 뜨거움을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본체(10)에 여과지(20)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14)의 하단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지지단(17)을 형성시킨 후, 이러한 지지단(17) 위에 상기 여과지(20)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여과지(2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종이추출용기(200)는 용기본체(10) 자체가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자체적인 공기유통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제1 실시예처럼 측면부재(30)를 반드시 형성시킬 필요는 없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물론, 스푼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형성시켜도 무방함.)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종이추출용기의 사용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살펴보면(편의상 제1 실시예에 따른 종이추출용기(100)를 기준으로 살펴봄.), 크게 2가지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종이추출용기(100)와 함께 원두커피분말(400)(또는 녹차 등 다양한 차의 분말)이 수용된 별도의 포장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종이추출용기(100)의 용기본체(10)를 음용컵(300)에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를 뜯어 원두커피분말(400)을 상기 용기본체(10) 내부로 투입시킨 후, 뜨거운 물을 용기본체(10) 내부로 주입시켜 주면 된다.
그러면, 원두커피액이 여과지(20)를 통과하여 음용컵(300)으로 낙하하게 되며(이 때, 측면부재(30)를 통해 공기유통이 되기 때문에 원두커피액의 낙하가 가능함,), 투입된 모든 물이 커피액으로 음용컵(300)에 채워지게 되면 끼워졌던 용기본체(10)를 음용컵(300)에서 다시 빼준 후(이 때, 용기본체(10)에 형성된 용기손잡이(12) 또는 측면부재(30)를 잡고 뜨겁지 않게 용기본체(10)를 빼낼 수 있음.) 음용컵(300)에 채워진 원두커피액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원두커피분말을 별도의 포장체에 수용시키는 대신 처음부터 본 발명의 종이추출용기(100)의 용기본체(10)를 접어 그 내부에 원두커피분말(400)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0) 자체를 밀봉 포장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용기본체(10)를 밀봉한 포장지를 먼저 뜯은 후 접혀진 용기본체(10)를 원래의 원통형상으로 펼치고, 이를 음용컵(300)에 끼워 설치한 후 바로 뜨거운 물을 용기본체(10) 내부로 주입시켜 주면 된다.
그러면,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원두커피액이 음용컵(300)에 채워지게 되면서 원두커피액을 역시 간편하게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종이추출용기는 원두커피나 차 등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면서도 재질이 종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플라스틱 추출기구에 비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친환경적인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를 보관 소지할 때는 접었다가 사용시 원래의 상태로 펼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야외활동시에도 보다 편리하게 원두커피 등을 즐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용기본체 11: 절개홈
12: 용기손잡이 13: 단차부
14: 내부용기 15: 외부용기
16: 공간부 17: 지지단
20: 여과지 30: 측면부재
31: 절취선

Claims (7)

  1. 음용컵에 설치되어 원두커피나 차 등을 걸러 마실 수 있게 하는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종이 재질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고정되는 여과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용기본체가 끼워진 상태의 음용컵 내부로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의 연결부에는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4. 음용컵에 설치되어 원두커피나 차 등을 걸러 마실 수 있게 하는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종이 재질의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고정되는 여과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용기가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공기유통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단 위에 상기 여과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용기본체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는 용기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1020110070677A 2011-07-15 2011-07-15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10137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677A KR101378808B1 (ko) 2011-07-15 2011-07-15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677A KR101378808B1 (ko) 2011-07-15 2011-07-15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14A true KR20130009514A (ko) 2013-01-23
KR101378808B1 KR101378808B1 (ko) 2014-04-01

Family

ID=4783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677A KR101378808B1 (ko) 2011-07-15 2011-07-15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88B1 (ko) * 2013-01-04 2013-03-25 강정모 커피드리퍼용 물흘림구
WO2015126212A1 (ko) * 2014-02-21 2015-08-27 반채일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KR20160113876A (ko) *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드립식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음료컵
WO2017171175A1 (ko) * 2016-03-29 2017-10-05 주식회사 더블에이치 Led들을 이용하여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0190S1 (en) 2017-11-06 2019-02-12 Hero Outdoor Products, LLC Coffee dripper for tumbler
KR20190070000A (ko)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KR101919108B1 (ko) * 2018-04-09 2019-02-11 김수현 차 추출용 텀블러
KR102337485B1 (ko) 2020-03-12 2021-12-09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KR20210145478A (ko)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익스트림모션 스틱형 친환경 화장품 용기 및 그의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377A (ja) * 1991-10-29 1993-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簡易ドリツプ式コーヒー容器
CA2354778C (en) * 2000-09-28 2007-02-27 George Kataoka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KR20040065945A (ko) * 2003-01-17 2004-07-23 정용석 컵형 거름막
KR200455438Y1 (ko) * 2009-06-05 2011-09-05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88B1 (ko) * 2013-01-04 2013-03-25 강정모 커피드리퍼용 물흘림구
WO2015126212A1 (ko) * 2014-02-21 2015-08-27 반채일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커피컵
KR20160113876A (ko) *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드립식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음료컵
WO2017171175A1 (ko) * 2016-03-29 2017-10-05 주식회사 더블에이치 Led들을 이용하여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808B1 (ko)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08B1 (ko)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US20170181565A1 (en) Cup set for drip coffee
US20090229472A1 (en)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JP5946442B2 (ja) 飲料用包装容器
EP2275009B1 (en) Disposable tea set and teapot thereof
KR101633012B1 (ko) 개봉기능을 갖는 커피 추출용 백
KR100868462B1 (ko) 티스푼 종이컵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KR102232300B1 (ko) 커피액 추출 도구
JP2008142271A (ja) 飲料作製具
US10624487B2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JP3200328U (ja) 受け口の大きさを変更可能なドリップ補助具
CN106809536B (zh) 包括可进入开口的茶包
KR102540368B1 (ko) 친환경 음료추출용기
KR20130073058A (ko) 컵에 장착하는 케익박스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KR100899782B1 (ko) 다기능 커피믹스 드립퍼
JP3200342U (ja) カップ被せ部に段差を有するドリップ補助具
JP3123356U (ja) 湯飲み
JP3200320U (ja) バッグ受け部を有するドリップ補助具
CN212574696U (zh) 过滤杯、滤纸、支撑件及手冲咖啡壶套装
KR20110111896A (ko) 티스푼 내장형 커피믹스
KR100883163B1 (ko)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JP6530801B2 (ja) ティー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