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63B1 -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 Google Patents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163B1
KR100883163B1 KR1020070080917A KR20070080917A KR100883163B1 KR 100883163 B1 KR100883163 B1 KR 100883163B1 KR 1020070080917 A KR1020070080917 A KR 1020070080917A KR 20070080917 A KR20070080917 A KR 20070080917A KR 100883163 B1 KR100883163 B1 KR 100883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cover
coffee
hold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8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드립커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립필터의 외측으로 드립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드립백 상부의 개봉텝을 잡아 당겨줌으로서 상기 드립필터가 개방되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드립커버를 머그컵과 같은 컵용기의 상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드립필터의 상측으로부터 물을 붓어 주게되면 상기 물이 드립필터를 통과하여 컵용기의 내측으로 안내되어지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물을 붓는 과정에서 드립커버의 양단부에 위치한 밴딩부를 절곡형성함으로서 상기 밴딩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밴딩부와 밴딩부 사이의 개구부가 항시 개방된 상태로 제공되어 물을 붓는과정상에서 상기 개구부가 닫히는 종전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어지는 드립커피는 물의 양에 따라 그 농도가 조절가능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컵용기와 결합되어지는 드립백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상기 커피의 농도를 자연적으로 조절가능하여 마시는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커피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함으로서 성인들 모두가 드립커피를 기호식품으로 접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드립커피, 드립백, 드립필터, 제 1홀더부, 제 2홀더부

Description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The drip coffee in which the doped conditioning is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밴딩부 절곡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홀더부가 컵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홀더부가 컵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지부를 결합시킨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종래의 드립커피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드립커피 1-드립백
2-컵 10-드립커버
11-제 1홀더부 12-제 2홀더부
13-파지부 14-개봉텝
15-밴딩부 16-홈부
18,30,31,32-절취선 19-홀더안내홈
41,42-자르는 선 100-드립필터
110,120-컵끼움부 130-결합홈
본 발명은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드립커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립필터의 외측으로 드립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드립백 상부의 개봉텝을 잡아 당겨줌으로서 상기 드립필터가 개방되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드립커버를 머그컵과 같은 컵용기의 상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드립필터의 상측으로부터 물을 붓어 주게되면 상기 물이 드립필터를 통과하여 컵용기의 내측으로 안내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내되어진 드립커피는 공급되어지는 물의 양에 따라 그 농도가 조절가능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컵용기와 결합되어지는 드립백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상기 커피의 농도를 자연적으로 조절가능하여 마시는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커피를 음용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커피의 맛과 향을 돋우기 위하여 원두커피를 주로 마시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두커피는 드립커피와 달리 마실 때마다 먹을 양만큼만 분쇄기(핸드밀)에 갈아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원두를 곱게 분쇄할수록 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에 진한 커피를 원하면 곱게 가루를 내고, 순한 맛을 원하면 조금 굵게 갈아주는 것이며 너무 곱게 가루를 내면 쓴 맛이나 떫은 맛이 지나치게 강해질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마시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원두커피를 우려내는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분 쇄기에 갈은 원두가루를 여과지에 넣고 뜨거운 물로 걸러내는 드립식 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드립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땐 우선 커피가루가 살짝 부풀어오를 정도로 물을 약간 넣은 다음 커피 전체를 골고루 적실 정도로 3∼4번에 나눠서 물을 붓는 것이다.
또한 가능하면 불순물이 적은 물을 이용하여 완전히 끓인 뒤 사용하되, 물의 끓인 후의 온도가 90∼95도가 되도록 잠시(약 5초)동안 식힌 상태에서 부어야 효과적으로 커피의 맛과 향을 우려낼 수 있는 것이다.
종래부터, 손쉽게 본격적인 커피를 즐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커피 추출 방법으로서, 페이퍼 드립 방식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보급되어지는 페이퍼 드립 방식에서는, 통상적으로 여러사람이 마실 수 있는 커피가 한번에 추출되는 것이며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독신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또한 핵가족화나 출생률의 저하 등에 의해 일가족의 구성 인원수도 적어짐에 따라 종래의 여러잔분의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는 페이퍼 드립 방식을 대신하여, 한잔분의 커피의 추출을 손쉽게 행할 수 있는 1회용의 원 드립 커피가 여러가지 형태로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간단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는, 커피가루를 넣은 통수성 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봉지 본체와, 그 봉지 본체를 컵에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해, 봉지 본체의 측면에 점착된 종이제 등의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드립 백 등이 제공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드립 백은 형성재료의 자원 절약화를 꾀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제품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래의 페이퍼 드립 방식과 달리, 커피 추출시에 드립퍼(dripper)가 컵 안에서 커피액에 잠기기 때문에, 커피의 맛과 농도가 항시 일률적으로 제공되어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스타일에 따른 변화가 불가능하여 사용상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다.
또한, 커피 추출후에 드립퍼를 제거할 때, 드립퍼가 뜨거운 커피액 속에 잠겨 있기 때문에, 상기 드립퍼를 인출시마다 주의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등록 특허 10-723855호(드립백)가 안출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면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되어 오던 것이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래의 페이퍼 드립 방식으로 추출한 커피의 맛을 얻을 수 있고,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또한 컵에 세팅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컵에 세팅한 후의 형상도 안정적이며, 커피 추출후의 폐기도 용이하면서 안전한 드립 백으로서, 특정한 형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드립 백을 제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도면은 드립 백에 커피가루를 충전하여, 그 상단의 개구부를 닫고, 상단부에 절취점선을 형성한 커피 드립 백의 평면도이고, 이하 도면은 각각의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된 드립 백은, 봉지 본체와,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걸림부재와, 걸림부재의 외주부에 형성된 보강편으로 이루어져 있 다.
상기 걸림부재는 종이, 플라스틱 시트 등의 박판형상재료에 커팅선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둘레 가장자리부, 아암부, 및 설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편부가 봉지 본체의 외표면에 점착되며(도면에서 파선 p 로 둘러싸인 부분이 점착부위), 설편부의 하단과 아암부의 하부가 연속되고, 아암부의 상단과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부가 연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피 드립 백의 사용시에서는, 절취점선을 따라 봉지 본체의 상단부를 잘라냄으로써 개구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화살표 A와 같이 들어 올리고, 컵의 직경에 맞춰 둘레 가장자리부를 더욱 들어 올려 이것을 컵의 측벽에 걸게 되는 것이다.
또한 봉지 본체는 아암부에 의해 대향하는 2 면으로부터 화살표 B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 당겨져, 개구부가 크게 벌어진 상태로 컵의 중앙 상부에 매달리게 되는 것이며 보강편은 봉지 본체를 구성하는 앞뒤의 시트가 휘어져 개구부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둘레 가장자리부가 컵 측벽의 외면을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력으로 인하여 커피 드립 백은 매우 안정된 형상으로 컵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커피 드립 백을 컵에 매우 안정된 상태로 간단하게 세팅한 후에는, 개구부로부터 화살표와 같이 뜨거운 물을 붓는 것만으로 쉽게 맛있는 커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커피 추출후의 커피 드립 백의 폐기도 쉽게 실시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안된 종래의 기술 또한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기가 극히 제한적이며 또한 드립커피의 보관의 용이성에 대한 한계점이 문제로 제기되어지고 티백타입의 커피를 즐기기에 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의 농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드립필터를 지지하는 드립커버의 외측으로 2단의 홀더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드립커버의 홀더부가 커피잔의 가장자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여 상기 드립필터를 통과하게 되는 물의 커피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립커버의 상부 양측으로 밴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밴딩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줌으로서 상기 밴딩부와 밴딩부가 상호 대향되어지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드립백의 상부면에 호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드립커버의 양가장자리부에 절취선을 형성하고 상기 드립커버의 하부 중앙에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절취선을 중심으로 홀더부가 돌출되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컵(2)과 드립백(1)으로 구성되어지는 드립커피(A)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피(A)의 드립백(1)은 내측으로 드립필터(100)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필터(100)의 외측으로 드립커버(10)가 형성되어져 상기 드립필터(100)와 드립커버(10)의 상부가 개봉텝(14)에 의하여 한몸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개봉텝(14)의 하부에 절취선(30)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백(1)으로부터 개봉텝(14)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드립커버(10)는 상부 양측으로 절곡가능한 밴딩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가 각각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는 상측으로 절취선(31),(32)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자르는 선(4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로부터 컵끼움부(110),(120)가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드립커버(10)의 중앙 하부에는 파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양단부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커버(10)가 절취선을 중심으로 180도 이상 개방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이며 상기 드립커버(10)의 밴딩부(15)와 밴딩부(15) 사이에 접는선(50)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드립커버(10)의 밴딩부(15) 하부와 상기 드립커버(10)의 양단부의 절취선 사이에 따내기 홈부(16)가 형성되어 상기 밴딩부(15)의 절곡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파지부(13)의 중앙에는 결합홈(130)이 형성되어 또 다른 파지부(13)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결합홈(130)과 끼움결합되어지도록 형성되어 티백형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드립커버(10)의 정면에는 상측으로 개봉텝(14)이 절취가능하게 절취선(30)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30)의 양단부에는 절취홈(300)이 형성되어 상기 개봉텝(14)의 절취를 편리하게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개봉텝(14)을 절취시 드립커버(10)와 드립필터(100)가 개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하부에는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를 일부 절취함으로서 컵(2)과 안정적으로 결합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를 보다 편리하게 절취하기 위하여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의 가장자리 상측에는 별도의 홀더안내홈(19)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드립커버(10)의 양단부에 형성된 푸쉬홈(17)을 내측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드립커버(10)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이때 상기 홀더안내홈(19)을 중심으로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안내홈(19)를 중심으로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를 잡아당김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홀더부(11),(12)를 돌출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 제공되는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는 하측으로 컵끼움부(110),(120)가 형성되어지도록 상측으로 절취선(31),(32)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자르는 선(41),(42)이 각각 형성되어짐으로서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의 컵끼움부(110),(120)를 인출하여 컵(2)에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드립커버(10)의 양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취선(18)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절취선(18)과 절취선(18) 사이에는 상술한 푸쉬홈(17)이 형성되어 드립커버(10)의 형상을 원형상으로 변형가능한 것이며, 하부에 형성된 파지부(13)에는 양측으로 결합홈(13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결합홈(130)의 형상은 일측으로 형성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밴딩부(15) 절곡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드립커버(10) 상측의 밴딩부(15)를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드립커버(10)가 개방되어진 상태의 입체도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의 컵끼움부(110),(120)를 절취형성하여 외측으로 돌설함으로서 상기 드립커버(10)의 하측으로 제공되어지는 컵(2)과 용이하게 결합가능한 것이다.
또한, 하부에 도시된 파지부(13)는 상기 드립커버(10)를 양측으로 벌리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바 이하 후술하는 도면의 설명에서 기재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홀더부(11)가 컵(2)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홀더부(12)가 컵(2)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의 컵끼움부(110),(120)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컵(2)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상기 컵(2)에 담겨지는 드립커버(10) 내측의 드립필터(100)가 컵(2)의 내측에 제공되어지는 커피물을 중심으로 담겨지는 위치가 변형되어 상기 커피물의 농도가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파지부(13)를 결합시킨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시된 것과 같이 파지부(13)를 상측으로 접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3)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130)을 상호 결합하여 줌으로서 티백과 같은 타입의 커피가 제공되어 상기 커피물에 적절히 드립필터(100)를 담군상태에서 좌우로 흔들어줌으로서 본인의 취향에 따라 적절한 맛의 커피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드립커버(10)의 양단부에 형성된 파지부(13)를 양측으로 90도씩 잡아당겨 펼친 상태에서 상기 드립커버(10)를 컵(2)의 상부에 걸쳐놓음으로서 상기 드립필터(100)만 커피물에 담겨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드립커버(10)가 컵(2)의 상부를 밀폐하게 되어 상기 커피물의 온도를 장시간 따뜻하게 보관가능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드립커피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드립백의 양단부에 별도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양측으로 펼쳐 컵에 걸쳐 사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드립백 커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피를 마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함으로서 성인들 모두가 드립커피를 기호식품으로 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며 물을 붓을때 상기 밴딩부가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드립커버와 드립필터가 일정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서 물을 붓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가 수축되거나 닫히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드립커피는 일반적인 원두커피를 이용하여 드립필터를 통하여 내리는 커피타입과 티백형식 타입 및 컵 상부면을 임시로 막아서 장시간 따뜻하게 커피를 보관가능하게 제공하는 타입 등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의 드립커피를 제공함으로서 마시는 사람들에게 보다 실용적으로 제공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삭제
  2. 컵과 드립백으로 구성되어지는 드립커피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피(A)의 드립백(1)은 내측으로 드립필터(100)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필터(100)의 외측으로 드립커버(10)가 형성되어져 상기 드립필터(100)와 드립커버(10)의 상부가 개봉텝(14)에 의하여 한몸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개봉텝(14)의 하부에 절취선(30)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백(1)으로부터 개봉텝(14)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드립커버(10)는 상부 양측으로 절곡가능한 밴딩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가 각각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는 상측으로 절취선(31),(32)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자르는 선(4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로부터 컵끼움부(110),(120)가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 하부에는 파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양단부는 절취선(33)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커버(10)가 절취선을 중심으로 180도 이상 개방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3. 컵과 드립백으로 구성되어지는 드립커피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피(A)의 드립백(1)은 내측으로 드립필터(100)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필터(100)의 외측으로 드립커버(10)가 형성되어져 상기 드립필터(100)와 드립커버(10)의 상부가 개봉텝(14)에 의하여 한몸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개봉텝(14)의 하부에 절취선(30)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백(1)으로부터 개봉텝(14)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드립커버(10)는 상부 양측으로 절곡가능한 밴딩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가 각각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는 상측으로 절취선(31),(32)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자르는 선(4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로부터 컵끼움부(110),(120)가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 하부에는 파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양단부는 절취선(33)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커버(10)가 절취선을 중심으로 180도 이상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버(10)의 밴딩부(15)와 밴딩부(15) 사이에 접는선(50)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4. 컵과 드립백으로 구성되어지는 드립커피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피(A)의 드립백(1)은 내측으로 드립필터(100)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필터(100)의 외측으로 드립커버(10)가 형성되어져 상기 드립필터(100)와 드립커버(10)의 상부가 개봉텝(14)에 의하여 한몸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개봉텝(14)의 하부에 절취선(30)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백(1)으로부터 개봉텝(14)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드립커버(10)는 상부 양측으로 절곡가능한 밴딩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가 각각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는 상측으로 절취선(31),(32)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자르는 선(4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홀더부(11)와 제 2홀더부(12)로부터 컵끼움부(110),(120)가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버(10)의 중앙 하부에는 파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커버(10)의 양단부는 절취선(33)이 형성되어 상기 드립커버(10)가 절취선을 중심으로 180도 이상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드립커버(10)의 밴딩부(15) 하부와 상기 드립커버(10) 양단부의 절취선(33) 사이에 따내기 홈부(16)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5. 삭제
KR1020070080917A 2007-08-10 2007-08-10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KR100883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17A KR100883163B1 (ko) 2007-08-10 2007-08-10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17A KR100883163B1 (ko) 2007-08-10 2007-08-10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163B1 true KR100883163B1 (ko) 2009-02-10

Family

ID=4068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917A KR100883163B1 (ko) 2007-08-10 2007-08-10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795B1 (ko) 2012-08-01 2013-08-09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3480U (ko) 1979-02-27 1980-09-02
JPS55130628U (ko) 1979-03-09 1980-09-16
US5318786A (en) 1992-09-03 1994-06-07 Melvin Clarkson Suspended beverage infusion bag
JP2002017574A (ja) * 2000-07-11 2002-01-22 Koshuen:Kk 飲料抽出バッグ
JP2005296213A (ja) * 2004-04-09 2005-10-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ドリッパ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3480U (ko) 1979-02-27 1980-09-02
JPS55130628U (ko) 1979-03-09 1980-09-16
US5318786A (en) 1992-09-03 1994-06-07 Melvin Clarkson Suspended beverage infusion bag
JP2002017574A (ja) * 2000-07-11 2002-01-22 Koshuen:Kk 飲料抽出バッグ
JP2005296213A (ja) * 2004-04-09 2005-10-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ドリッパ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795B1 (ko) 2012-08-01 2013-08-09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205A (en) Infuser unit for beverages
US5937737A (en) Personal brewing filter device for coffee, tea and other brewable beverages
US6007853A (en) Disposable beverage infuser
CA28763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US20170181565A1 (en) Cup set for drip coffee
US20150053090A1 (en) Portable cup lid assembly with a d-shaped infuser basket or strainer
US3370524A (en) High-speed coffee brewer
WO2013162438A1 (en) Lid for a cup
KR100883163B1 (ko)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JPH11178720A (ja) ドリップバッグ
KR200404021Y1 (ko) 여과기가 마련된 종이컵
US10624487B2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JPH0642581Y2 (ja) コーヒーフィルター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102576031B1 (ko) 기호성 음료 추출용 드립백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포장용기
JPH04279116A (ja) ティーバッグ等の抽出嗜好品バッグとその押し込み・もみ出し棒
KR20190070000A (ko)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JP2005538911A (ja) 容器
JP3123356U (ja) 湯飲み
RU142240U1 (ru) Заварочный пакетик
JP4127173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S5842281Y2 (ja) 茶濾し紙を収納した箱
JP2008000623A (ja) ドリップ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