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795B1 -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 Google Patents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795B1
KR101293795B1 KR1020120084398A KR20120084398A KR101293795B1 KR 101293795 B1 KR101293795 B1 KR 101293795B1 KR 1020120084398 A KR1020120084398 A KR 1020120084398A KR 20120084398 A KR20120084398 A KR 20120084398A KR 101293795 B1 KR101293795 B1 KR 101293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ne
sheet
cup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8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6Pods, i.e. closed containers made only of filter paper or simi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여과성을 갖는 봉지본체의 대향되는 2면에 지지시트를 설치하고 지지시트에서 절곡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서 외향으로 절곡되는 지지구가 컵상단에 지지되도록 하여 원두커피(분쇄커피)를 충전한 봉지본체를 컵의 개구부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뜨거운물을 쉽게 붓고, 봉지본체에 설치된 지지시트의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구가 컵의 개구부에 상단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봉지 본체가 추출한 커피액에 잠기는 일이 없으며 컵의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지지구로서 봉지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커피 추출후의 폐기가 보다 쉽도록 한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Drip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본 발명은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커피(분쇄커피)를 충전한 봉지본체를 컵의 개구부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뜨거운물을 쉽게 붓고, 봉지본체에 설치된 지지시트의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구가 컵의 개구부에 상단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봉지 본체가 추출한 커피액에 잠기는 일이 없으며 컵의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지지구로서 봉지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커피 추출후의 폐기가 보다 쉽도록 한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더운 물을 분쇄된 커피에 직접 부어 간단하게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 타입의 커피용 간이여과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립형 커피는 대부분이 일회용 여과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쇄커피에 미리 함께 포장되어 있고, 그 상태로 저장 및 유통되며 개봉후 조립하여 뜨거운 물을 부음으로서 상술한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간이 여과지는 사용 후 일반쓰레기로서 쉽게 폐기될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일회용 타입의 여과지는 분쇄된 원두커피(분쇄커피)를 수납하는 기능을 포함한 여과지주머니와 음료용기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여과지주머니를 지지하게 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드립퍼는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농도 조절이 불가능하였는 바, 드립식 커피를 즐김에 있어서 개인별 취향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일회용 타입의 여과지는 원두커피(분쇄커피)를 수납하여 여과시 여과지가 컵의 상단에서 기울어져, 원두커피가 채 걸러지기전에 컵의 수용된 물에 떨어져 여과된 원두커피물과 원두커피의 가루가 섞여 여과지로서의 기능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원두커피(분쇄커피)를 충전한 봉지본체를 컵의 개구부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뜨거운물을 쉽게 붓고, 봉지본체에 설치된 지지시트의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구가 컵의 개구부에 상단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봉지 본체가 추출한 커피액에 잠기는 일이 없으며 컵의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지지구로서 봉지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커피 추출후의 폐기가 보다 쉽도록 한 새로운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여과성을 가지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개구부를 갖는 봉지본체(10)와;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지본체(10)의 대향하는 2면의 외표면에 부착된 지지시트(20)와; 상기 지지시트(20)의 좌,우측가장자리(31a.31b)와, 상기 지지시트(20)의 하부가장자리(32)는 상기 봉지본체(10)의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하부가장자리(32)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선(33)으로 절곡되며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의 내측에 형성된 커팅선(34)으로 이탈되는 지지부(30)와; 상기 지지부(30)에서 외향으로 절곡되게 상기 지지부(30)에 다수개로 형성된 지지구(40)가 컵(C)상단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0)의 상기 절곡선(33) 양측과, 상기 지지부(3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구(40)의 하부 중앙을 연결하여 형성된 삼각보강선(35)과, 상기 삼각보강선(35)의 상부 꼭지점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수직보강선(36)과, 양 상기 커팅선(34)의 하부와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장자리(32)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보조절곡선(34a,34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40)는 "
Figure 112012061628482-pat00001
"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와, 상기 하부가장자리(32)가 서로 연결되어 보강편(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의 내측상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외측양측이 절취선을 형성하여 연결되는 연결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두커피(분쇄커피)를 충전한 봉지본체를 컵의 개구부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뜨거운물을 쉽게 붓고, 봉지본체에 설치된 지지시트의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구가 컵의 개구부에 상단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봉지 본체가 추출한 커피액에 잠기는 일이 없으며 컵의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지지구로서 봉지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커피 추출후의 폐기가 보다 쉽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에 형성된 삼각보강선 및 수직보강선을 절곡한 지지부를 스틱대용으로 하여 봉지본체에 수납된 인스턴트 커피(기호차)를 컵에 수용된 뜨거운물에 쉽게 용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봉지본체에 양측면에 설치된 지지부에 보강편을 형성하여 보강편을 기반으로 컵의 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부의 지지구로 안정되게 지지하여 봉지본체의 수납된 원두커피(분쇄커피)가 컵의 내부에서 한쪽으로 치우지지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보강선 및 수직보강선을 접힌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조절곡선을 따라 접힌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보강선 및 수직보강선을 접힌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보조절곡선을 따라 접힌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은 봉지본체(20)와, 지지시트(20)와, 지지부(30)와, 지지구(40)로 구성한다.
상기 봉지본체(10)는 여과성을 가지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개구부를 갖고, 내부에는 원두커피(분쇄커피)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봉지본체(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개구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백의 측면에 개더를 형성한 형상도 포함되어 있다. 또 백의 하부의 단면은 V자형으로 되어 있으면 액 떨어짐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에는 내용물을 봉입하지 않고 오픈한 상태로 하고, 사용시 적당히 커피 입자 등 내용물을 넣고 끓인 물을 주입하여 사용하는 백 외에, 미리 커피 입자 등이 백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고, 사용시 점선 자국 등을 잡아 뜯어 백의 입구를 열고, 끓인 물을 주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상기 지지시트(20)는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지본체(10)의 대향하는 2면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지지시트(20)의 좌,우측가장자리(31a.31b)와, 상기 지지시트(20)의 하부가장자리(32)는 상기 봉지본체(10)의 표면에 접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가장자리(32)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선(33)으로 절곡되며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의 내측에 형성된 커팅선(34)으로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40)의 상기 좌,우측면가장자리(31a.31b)는 상기 커팅선(35)에서 이탈되고, 상기 지지부(40)의 상기 하부가장자리(32)는 상기 절곡선(33)에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40)의 하부를 중심으로 상기 봉지본체(10)의 전면에서 외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40)는 상기 지지부(30)에서 외향으로 절곡되게 상기 지지부(30)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40)는 상기 지지부(30)의 표면에 여백선(37)으로
Figure 112012061628482-pat00002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구(40)의 중앙이 외향되도록 지지구절곡부(40a)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40)의 구성인 상기 지지구절곡부(40a)는 컵(C)의 상단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봉지본체(10)를 상기 컵(C)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40)는 상기 지지부(30)의 표면에 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컵(C)의 길이와 크기 및 상기 지지부(30)의 크기와, 상기 봉지본체(10)의 크기에 따라 그 갯수는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40)를 2개로 형성하는 것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컵(C)의 높이에 따라 상기 봉지본체(10)의 높이를 상기 지지구(40)로서 그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봉지본체(10)에 수용된 원두커피(분쇄커피)의 농도를 뜨뜨거운물을 상기 봉지본체(10)의 개구부를 통해 그 내부로 부어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0)의 상기 절곡선(33) 양측과, 상기 지지부(3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구(40)의 하부 중앙을 연결하여 형성된 삼각보강선(35)과, 상기 삼각보강선(35)의 상부 꼭지점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수직보강선(36)으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삼각보강선(35) 및 상기 수직보강선(36)은 상기 지지구(40)를 상기 컵(C)의 상단에 안착시키기 전에 상기 삼각보강선(35) 및 상기 수직보강선(36)을 미리접어서 상기 지지구(40)가 상기 컵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구(40)를 상기 컵(C)의 상단둘레에 설치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삼각보강선(35) 및 상기 수직보강선(36)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지지구(40)가 상기 컵(C)의 상단둘레에서 보다 강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기위함이다.
즉, 상기 지지구(40)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30)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구(40)가 상기 컵(C)의 상단에 안착되어 강한 지지력을 얻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삼각보강선(35) 및 상기 수직보강선(36)은 상기 지지부(30)가 손잡이(D)로 사용시 지지부(30)에 지지되는 보강력을 부가하기 하기 위함이다.
한편, 양 상기 커팅선(34)의 하부와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장자리(32)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보조절곡선(34a,34a')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보조절곡선(34a)은 상기 절곡선(33)의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보조절곡선(34a')은 상기 절곡선(33)의 우측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보조절곡선(34a)은 상기 절곡선(33)으로 전방으로 절곡되어진후, 상기 보강편(B)의 좌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선(34)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수직보조절곡선(34a)을 중심으로 상기 좌측가장자리(31a)를 좌측으로 절곡하여주면 , 상기 좌측가장자리(31a)와, 상기 좌측가장자리(31a)가 부착된 상기 봉지본체(10)의 좌측면을 지지하여준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보조절곡선(34a')은 상기 보강편(B)의 우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선(34)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수직보조절곡선(34a')을 중심으로 상기 좌측가장자리(31b)를 우측으로 절곡하여주면, 상기 우측가장자리(31b)와, 상기 우측가장자리(31b)가 부착된 상기 봉지본체(10)의 우측면을 지지하여준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삼각보강선(35) 및 수직보강선(36)을 상기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구(40)에 형성하는 것은 상기 봉지본체(10)에 원두커피가 아닌 인스턴트커피 또는 다른 기호품의 다류 분말을 수용하여 봉입하여 사용시 상기 봉지본체(10)의 인스턴트커피 또는 다른 기호품의 다류를 상기 컵(C)에 수용된 물에 희석하고, 다시 상기 지지부(30)를 상기 절곡선(33)을 중심으로 상기 봉지본체(10)의 상부와 반대쪽인 상기 봉지본체(10)의 하부로 절곡하여 양 상기 지지부(30)를 손잡이(D)로 구성하여 상기 컵(C)에 수용된 물에 저어셔 희석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와, 상기 하부가장자리(32)가 서로 연결되어 보강편(B)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편(B)은 상기 지지부(30)가 상기 봉지본체(10)의 외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봉지본체(10)가 상기 컵(C)에 수용된 물에 잠길시 상기 지지시트(20)에 상기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구(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컵(C)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의 내측상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외측양측이 절취선을 형성하여 연결되는 연결부(50)로 구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50)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지지부(30)가 상기 지지시트(20)에 고정되어 필요시 상기 지지부(30)를 상기 지지시트(20)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30)가 상기 지지시트에서 불필요하게 이탈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봉지본체 20: 지지시트
30: 지지부 31a: 좌측가장자리
31b: 우측가장자리 32: 하부가장자리
33: 절곡선 34: 커팅선
34a,34a': 수직보조절곡선 35: 삼각보강선
36: 수직보강선 40; 지지구
C: 컵 B: 보강편

Claims (5)

  1. 여과성을 가지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개구부를 갖는 봉지본체(10)와;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지본체(10)의 대향하는 2면의 외표면에 부착된 지지시트(20)와;
    상기 지지시트(20)의 좌,우측가장자리(31a.31b)와, 상기 지지시트(20)의 하부가장자리(32)는 상기 봉지본체(10)의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하부가장자리(32)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선(33)으로 절곡되며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의 내측에 형성된 커팅선(34)으로 이탈되는 지지부(30)와;
    상기 지지부(30)에서 외향으로 절곡되게 상기 지지부(30)에 다수개로 형성된 지지구(40)가 컵(C)상단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의 상기 절곡선(33) 양측과, 상기 지지부(3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구(40)의 하부 중앙을 연결하여 형성된 삼각보강선(35)과, 상기 삼각보강선(35)의 상부 꼭지점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수직보강선(36)과, 양 상기 커팅선(34)의 하부와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장자리(32)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보조절곡선(34a,34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40)는 "
    Figure 112012061628482-pat00003
    "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와, 상기 하부가장자리(32)가 서로 연결되어 보강편(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가장자리(31a,31b)의 내측상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외측양측이 절취선을 형성하여 연결되는 연결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KR1020120084398A 2012-08-01 2012-08-01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KR10129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98A KR101293795B1 (ko) 2012-08-01 2012-08-01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98A KR101293795B1 (ko) 2012-08-01 2012-08-01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795B1 true KR101293795B1 (ko) 2013-08-09

Family

ID=4922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98A KR101293795B1 (ko) 2012-08-01 2012-08-01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627B1 (ko) * 2015-11-23 2017-06-23 최광호 차 추출용 드립백
CN111994464A (zh) * 2020-08-27 2020-11-27 喀左北印纸塑包装有限公司 一种可降解包装袋及其制备方法
KR102560405B1 (ko) * 2023-03-31 2023-07-26 조항희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574A (ja) 2000-07-11 2002-01-22 Koshuen:Kk 飲料抽出バッグ
KR100826212B1 (ko) 2007-10-25 2008-04-30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농도 조절 기능을 갖는 드립퍼
KR100883163B1 (ko) 2007-08-10 2009-02-10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KR100899782B1 (ko) 2008-08-12 2009-05-28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다기능 커피믹스 드립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574A (ja) 2000-07-11 2002-01-22 Koshuen:Kk 飲料抽出バッグ
KR100883163B1 (ko) 2007-08-10 2009-02-10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KR100826212B1 (ko) 2007-10-25 2008-04-30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농도 조절 기능을 갖는 드립퍼
KR100899782B1 (ko) 2008-08-12 2009-05-28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다기능 커피믹스 드립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627B1 (ko) * 2015-11-23 2017-06-23 최광호 차 추출용 드립백
CN111994464A (zh) * 2020-08-27 2020-11-27 喀左北印纸塑包装有限公司 一种可降解包装袋及其制备方法
KR102560405B1 (ko) * 2023-03-31 2023-07-26 조항희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78202B2 (en) Single serve beverage pod containing cannabis
ES2588024T3 (es) Procedimiento, dispositivo y cápsula para preparar una bebida
US10932606B2 (en) Portable drip coffee apparatus
EP2781174B1 (en)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US10251507B2 (en) Cold coffee brew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EP2891428B1 (en) Cup for making tea on the go
CN107048915A (zh) 用于滴滤咖啡的杯子套装
RU2015140922A (ru) Порционная капсул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с помощью порционной капсулы
IL32412A (en) Device for infusing a drink in a pot
RU2016121311A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з капсулы, капсула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KR101293795B1 (ko)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US20170121065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US20120167774A1 (en) Device
JP2008541804A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方法
CN204802400U (zh) 冲泡物包装容器
US10595663B2 (en) Edo cup 2.0
JP3148480U (ja) 嗜好性飲料用抽出バッグ
US20110014326A1 (en) Filterbag and method of brewing coffee, tea, and the like in a french press
CN109645822A (zh) 防溢漏冲泡过滤器及螺旋挂耳结构
CN206950062U (zh) 一种滤泡式咖啡过滤器
CN202457917U (zh) 茶杯过滤罩
KR200474648Y1 (ko) 커피찌꺼기 분리컵
JP7241451B2 (ja) ドリップバッグ
US20130270175A1 (en) Edo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