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05B1 -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405B1
KR102560405B1 KR1020230042581A KR20230042581A KR102560405B1 KR 102560405 B1 KR102560405 B1 KR 102560405B1 KR 1020230042581 A KR1020230042581 A KR 1020230042581A KR 20230042581 A KR20230042581 A KR 20230042581A KR 102560405 B1 KR102560405 B1 KR 10256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filter
beans
facet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희
Original Assignee
조항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희 filed Critical 조항희
Priority to KR102023004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면서 커피를 수용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구비한 커피여과필터를 준비하는 필터부재 준비단계; 180℃ ~ 220℃에서 10~15분간 로스팅한 제1원두와, 230℃ ~ 250℃에서 6~8분 동안 로스팅하여 제2원두를 준비하고, 제1원두와 제2원두를 섞고 이를 분쇄하여 원두분말을 제조하는 분말형성단계; 상기 제조된 원두분말을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필터부에 20~25g을 충진시킨 후 뚜껑을 부착하여 밀봉시켜 커피여과필터 드립백을 제조하는 필터부재 조립단계; 상기 커피여과필터 드립백을 커피 잔에 거치시키되,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를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걸쳐 고정시키되 걸림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필터부가 커피 잔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드립백의 뚜껑을 탈거한 후 90~96℃의 온수를 부어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커피액상추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Eco-friendly coffee filtration filter and extraction method of undiluted coffe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나이가 젊은 청년층에서부터 노년층까지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기호식품으로, 믹스커피와 같은 인스턴트 커피 및 원두를 이용한 원두 커피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도 맛과 향이 뛰어난 것은 물론 풍미와 고급성에서 커피 원두를 직접 갈아서 제조되는 원두 커피를 더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스턴트 커피는 일회용으로 포장된 커피봉투가 대부분 사무실이나 집안에 비치된 상태이거나 휴대가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일회용으로 포장된 커피를 커피 잔에 부은 후에 뜨거운 물만 부어 혼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반면에, 원두 커피는 원두커피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된 커피원액을 적당량의 물과 혼합하는 것으로, 이러한 원두커피 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이러한 원두커피 추출기가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85565호(선행문헌 1) 및 한국등록특허 10- 1947530호(선행문헌 2)에서 원두 커피 드립백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의 원두 커피 드립백은 간단한 구성으로 음용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품질의 원두 커피를 음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드립백은 커피 맛이 싱겁고, 향이 얕아 맛이 없었고, 커피 잔의 입구 크기가 맞지 않을 경우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85565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피 충진량을 증가시켜 맛과 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커피 잔의 입구 크기가 큰 경우에도 걸림부의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커피를 수용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구비한 커피여과필터를 준비하는 필터부재 준비단계; 180℃ ~ 220℃에서 10~15분간 로스팅한 제1원두와, 230℃ ~ 250℃에서 6~8분 동안 로스팅하여 제2원두를 준비하고, 제1원두와 제2원두를 섞고 이를 분쇄하여 원두분말을 제조하는 분말형성단계; 상기 제조된 원두분말을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필터부에 20~25g을 충진시킨 후 뚜껑을 부착하여 밀봉시켜 커피여과필터 드립백을 제조하는 필터부재 조립단계; 상기 커피여과필터 드립백을 커피 잔에 거치시키되,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를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걸쳐 고정시키되 걸림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필터부가 커피 잔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드립백의 뚜껑을 탈거한 후 90~96℃의 온수를 부어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커피액상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말형성단계의 제1원두 또는 제2원두는 열풍에 의해 로스팅시킨 후 직화에 의해 로스팅시키는 더블로스팅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피액상추출단계는 온수 50㎖를 커피여과필터에 투입한 후 1~2분 대기하면서 커피가 불려지도록 하면서 일부 초기 커피액 추출이 소량 발생되도록 하는 1단계; 상기 1단계 후 10~20초간 대기한 다음 커피여과필터를 받침수단을 이용하여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불려진 커피에 온수 50㎖를 투입하고, 2~3분 대기하면서 본격적으로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2단계; 상기 2단계 추출 후 20~30초간 대기한 다음 온수 50㎖를 투입하고, 3~4분 동안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 준비단계의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에는 필터부의 외주연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수단은 일단이 걸림부의 하부면에 부착된 제1면체와, 제1면체에 연결되어 제1면체에 중첩되게 접혀진 제2면체와, 제2면체에 연결되어 제2면체에 중첩되게 접혀지는 제3면체와, 제3면체에 연결되어 제3면체에 중첩되게 접혀지는 제4면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면체 내지 제4면체를 펼쳐서 4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제2면체가 지지되고, 제1면체와 제4면체가 수직의 지지부를 구성하여 커피여과필터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에는 폭을 조절하는 폭 연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폭 연장수단은 걸림부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출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의 내면에 형성되며,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배출수단은 상기 걸림부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에어통로와, 걸림부의 단부에 상기 에어통로와 통하는 송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충진량을 증가시켜 맛과 향이 향상될 수 있고, 커피 잔의 입구 크기가 큰 경우에도 걸림부의 직경을 확장시키거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적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에 대한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여과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여과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여과 필터에서 '에어배출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에 대한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여과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여과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여과 필터에서 '에어배출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은, 필터부재 준비단계(S10), 분말형성단계(S20), 필터부재 조립단계(S30), 위치설정단계(S40), 커피액상추출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터부재 준비단계(S10)]
상부가 개방되면서 커피를 수용하는 필터부(120)와, 상기 필터부(120)의 상단에 연결되며 커피 잔(C)의 상단 개구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140)를 구비한 커피여과필터(100)를 준비한다.
필터부(1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부직포로 형성되어 투과성이 좋게 하여 커피가 걸러져 액상으로 추출될 수 있다.
걸림부(140)는 필터부(120)의 상단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피 잔(C)에 얹혀져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속되는 원판상 또는 부분적으로 돌출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재 준비단계(S10)의 커피여과필터(100)의 걸림부(140)에는 필터부(120)의 외주연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수단(160)은 일단이 걸림부의 하부면에 부착된 제1면체(161)와, 제1면체(161)에 연결되어 제1면체(161)에 중첩되게 접혀진 제2면체(162)와, 제2면체(162)에 연결되어 제2면체(162)에 중첩되게 접혀지는 제3면체(163)와, 제3면체(163)에 연결되어 제3면체(163)에 중첩되게 접혀지는 제4면체(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면체(161) 내지 제4면체(164)를 펼쳐서 4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커피 잔(C)의 상단 개구부에 제2면체(162)가 지지되고, 제1면체(161)와 제4면체(164)가 수직의 지지부를 구성하여 커피여과필터(100)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한 것이다(도 2의 (b)참조).
한편 상기 커피여과필터(100)의 걸림부(140)에는 폭을 조절하는 폭 연장수단(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 연장수단(180)은 걸림부(14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82)와, 상기 수납부(182)에 삽입되어 출몰되는 연장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장부(184)는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고, 수납부(182)는 연장부(184)가 끼움결합되는 포켓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폭 연장수단(180)은 걸림부(140)에 복수개 형성되며, 2개 또는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84)를 인출시켜 걸림부(140) 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잔(C)의 상단에 걸쳐질 수 있다.
[분말형성단계(S20)]
180℃ ~ 220℃에서 10~15분간 로스팅한 제1원두와, 230℃ ~ 250℃에서 6~8분 동안 로스팅하여 제2원두를 준비하고, 제1원두와 제2원두를 섞고 이를 분쇄하여 원두분말을 제조한다.
180℃ ~ 220℃는 중간 강도의 커피 맛을 낼 수 있다.
230℃ ~ 250℃는 강한 강도의 커피 맛을 낼 수 있다.
상기 제1원두 또는 제2원두는 열풍에 의해 로스팅시킨 열풍식 로스팅 원두이거나 또는 직화에 의해 로스팅시킨 직화식 로스팅 원두일 수 있고, 열풍식 로스팅 원두와 직화식 로스팅 원두를 적절하게 배합한 것이다.
이러한 더블로스팅에 의해 맛과 향미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고, 이렇게 로스팅된 각 원두를 최적화된 밸런스로 블렌딩할 수 있다.
[필터부재 조립단계(S30)]
상기 제조된 원두분말을 상기 커피여과필터(100)의 필터부(120)에 20~25g을 충진시킨 후 뚜껑(130)을 부착하여 밀봉시켜 커피여과필터 드립백을 제조한다.
뚜껑(130)을 커피여과필터(100)의 개구부와 걸림부까지 덮도록 한 후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접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뚜껑(130)의 절취가 용이하도록 점선 타입의 절취선을 형성한다.
[위치설정단계(S40)]
상기 커피여과필터(100)을 커피 잔(C)에 거치시키되,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를 커피 잔(C)의 상단 개구부에 걸쳐 고정시키되 걸림부(140)의 길이를 조절하여 필터부(120)가 커피 잔(C)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다.
[커피액상추출단계(S50)]
상기 커피여과필터(100)의 뚜껑(130)을 탈거한 후 90~96℃의 온수를 부어 커피가 추출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수 50㎖를 커피여과필터(100)에 투입한 후 1~2분 대기하면서 커피가 불려지도록 하면서 일부 초기 커피액 추출이 소량 발생되도록 하는 1단계(S50-1);
상기 1단계 후 10~20초간 대기한 다음 커피여과필터(100)를 받침수단(160)을 이용하여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불려진 커피에 온수 50㎖를 투입하고, 2~3분 대기하면서 본격적으로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2단계(S50-2);
상기 2단계 추출 후 20~30초간 대기한 다음 온수 50㎖를 투입하고, 3~4분 동안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3단계(S50-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커피여과필터(100)의 걸림부(140)의 내면에 형성되며,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배출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배출수단(400)은 걸림부(14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에어통로(420)와, 걸림부(140)의 단부에 상기 에어통로(420)와 통하는 송기공(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통로(420)는 한줄 또는 여러줄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부(1400)의 하부면에 요철 형태로 에어통로(4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피를 추출하는 동안 발생되는 수증기가 에어배출수단(400)을 통해 적절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커피여과필터 120 ; 필터부
140 : 걸림부 130 : 뚜껑
160 : 받침수단 180 : 폭 연장수단
182 : 수납부 184 : 연장부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면서 커피를 수용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구비한 커피여과필터를 준비하는 필터부재 준비단계;
    180℃ ~ 220℃에서 10~15분간 로스팅한 제1원두와, 230℃ ~ 250℃에서 6~8분 동안 로스팅하여 제2원두를 준비하고, 제1원두와 제2원두를 섞고 이를 분쇄하여 원두분말을 제조하는 분말형성단계;
    상기 제조된 원두분말을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필터부에 20~25g을 충진시킨 후 뚜껑을 부착하여 밀봉시켜 커피여과필터 드립백을 제조하는 필터부재 조립단계;
    상기 커피여과필터 드립백을 커피 잔에 거치시키되,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를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걸쳐 고정시키되 걸림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필터부가 커피 잔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드립백의 뚜껑을 탈거한 후 90~96℃의 온수를 부어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커피액상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피액상추출단계는
    온수 50㎖를 커피여과필터에 투입한 후 1~2분 대기하면서 커피가 불려지도록 하면서 일부 초기 커피액 추출이 소량 발생되도록 하는 1단계;
    상기 1단계 후 10~20초간 대기한 다음 커피여과필터를 받침수단을 이용하여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불려진 커피에 온수 50㎖를 투입하고, 2~3분 대기하면서 본격적으로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2단계;
    상기 2단계 추출 후 20~30초간 대기한 다음 온수 50㎖를 투입하고, 3~4분 동안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 준비단계의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에는 필터부의 외주연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수단은 일단이 걸림부의 하부면에 부착된 제1면체와, 제1면체에 연결되어 제1면체에 중첩되게 접혀진 제2면체와, 제2면체에 연결되어 제2면체에 중첩되게 접혀지는 제3면체와, 제3면체에 연결되어 제3면체에 중첩되게 접혀지는 제4면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면체 내지 제4면체를 펼쳐서 4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커피 잔의 상단 개구부에 제2면체가 지지되고, 제1면체와 제4면체가 수직의 지지부를 구성하여 커피여과필터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커피여과필터의 걸림부에는 폭을 조절하는 폭 연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폭 연장수단은
    걸림부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출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형성단계의 제1원두 또는 제2원두는 열풍에 의해 로스팅시킨 열풍식 로스팅 원두이거나 또는 직화에 의해 로스팅시킨 직화식 로스팅 원두일 수 있고, 열풍식 로스팅 원두와 직화식 로스팅 원두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KR1020230042581A 2023-03-31 2023-03-31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KR10256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581A KR102560405B1 (ko) 2023-03-31 2023-03-31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581A KR102560405B1 (ko) 2023-03-31 2023-03-31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405B1 true KR102560405B1 (ko) 2023-07-26

Family

ID=8742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581A KR102560405B1 (ko) 2023-03-31 2023-03-31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795B1 (ko) * 2012-08-01 2013-08-09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KR20160085565A (ko) 2015-01-08 2016-07-18 이의선 간단한 구조의 원두 커피 드립 백
KR20220039593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커피앤두 커피 드립 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795B1 (ko) * 2012-08-01 2013-08-09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기호성 음료추출용 드립백
KR20160085565A (ko) 2015-01-08 2016-07-18 이의선 간단한 구조의 원두 커피 드립 백
KR20220039593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커피앤두 커피 드립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559B1 (ko) 음료 카트리지 및 필터 요소
JP3045520B2 (ja) 飲料フレーバリングカセット
US9492027B2 (en) Infusion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US6921480B2 (en) Flat-foldable filter funnel
US20150257582A1 (en)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US20170121065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JP6442517B2 (ja) 遠心処理コーヒーマシン内においてカプセルからクレマを有するロングコーヒー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カプセル、及びその液体コーヒー抽出物
KR102560405B1 (ko) 거치 호환성을 개선한 필터를 이용하여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고농도 커피 원액의 추출 방법
GB2174890A (en) In-cup drink and drinking cup
US20190269273A1 (en) Portable brewing device
US2022017517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brewing beverages
US20150307267A1 (en) Permeable disposable filter and beverage system
US20230037611A1 (en) Beverage filter
US20040083897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CN210697235U (zh) 一种便携式手冲饮料滤杯
CN106714628B (zh) 冰滴咖啡提取装置及提取方法
TWM622180U (zh) 浸泡式咖啡濾杯
JP3148480U (ja) 嗜好性飲料用抽出バッグ
TWI765817B (zh) 浸泡式咖啡濾杯
US2400613A (en) Coffee maker
JP2017131583A (ja) 飲料抽出用フィルタ及び飲料抽出バッグ
JP2005199007A (ja) コーヒー液抽出方法とそのコーヒー液抽出器
JPS6336981Y2 (ko)
JPH08154835A (ja) 液体の濾過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