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8167A1 -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8167A1
WO2015088167A1 PCT/KR2014/011493 KR2014011493W WO2015088167A1 WO 2015088167 A1 WO2015088167 A1 WO 2015088167A1 KR 2014011493 W KR2014011493 W KR 2014011493W WO 2015088167 A1 WO2015088167 A1 WO 20150881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ybean
extract
leaves
stems
isoflav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4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기훈
육흥주
송영훈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5543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5129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824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07188B1/ko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1480075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028795B/zh
Priority to JP2016539220A priority patent/JP6364085B2/ja
Priority to EP14869566.1A priority patent/EP3085226B1/en
Publication of WO20150881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8167A1/ko
Priority to US15/179,720 priority patent/US10183050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 A01N57/2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0Oestro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Definitions

  •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uses of the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meal, and soybean leaf or soybean meal A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isoflavone derivatives.
  • Isoflavone derivatives are representative of flavonoids with excellent pharmacological efficacy, and a lot of capital is being invested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plants with high content worldwide.
  • Isoflavones are nonsteroidal estrogens and are called phytoestrogens because they are chemically structural and physiologically similar to estrogens. They are similar to the female hormone estrogen and show useful physiological activity expected from estrogen. In particular, it has been reported to reduce the risk of osteoporosis occurring after menopause and to lower plasma cholesterol. It has also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lowering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 sease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 Isoflavones exist in the form of glycosides linked to beta-glycosides or in the form of nonglycosides in which sugars have been separated.
  • Non-glycosides include geni stein, daidzein and glycidine, and glycosides include geni st in, daidzin and glycidin. t in), etc.
  • Soybean-derived non-fermented foods contain a large number of glycosides, while fermented foods contain mainly non-glycosides as sugars are degraded from glycosides by bacteria related to fermentation. Most isoflavones used in food and pharmaceuticals are extracted from soybeans and red clover.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93025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density isoflavone-containing germinated soybean, in which the washed soybeans are soaked in purified water and then germinated to increase the isoflavone content by 40-70%.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content is low. On the other hand, soybean leaves have been reported to contain a very small amount of isopulabon derivativ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soybean leaves. Or it provides an extract of soybean stem, or food and pharmaceutical materials comprising a fraction of the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ybean leaf or soybean leaf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ethylene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soybean stem;
  • Ri is independently H or 0H
  • 3 ⁇ 4 is independently H, glucose (glucose) or glucose malonate.
  • the present invention is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Provides high content of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containing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of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lth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iseases caused by deficiency of estrogen containing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fo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oxidant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isopulabon derivatives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for antioxidant containing an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car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of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care health food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a (Tea) using isoflavone derivatives high content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ea using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thylene, an ethylene donor or ethylene
  • ethylene Provided is a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isoflavone derivatives from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using a generator.
  •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at isoflavone derivatives accumulate at high concentrations in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when treating ethylene or ethylene donor esepone in soybean plants 10-90 days after sowing.
  •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containing soy isoflavone derivatives, extracts and extract fractions of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containing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as well as methods for producing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t can be usefully used.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 of the increase in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period after the treatment of ethephon on the soybean leaves in UPLC chromatogram.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UPLC chromatogram results of the extract extracted with soybean leaves before ethanol treatment with ethanol.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UPLC chromatogram results of the extract extracted with ethanol soybean leaves after 7 days of the treatment of epone.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1 of FIG. 3 was found to be diidzin.
  •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2 in FIG. 3 is genist in.
  •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3 of FIG. 3 is malonyldaidzin.
  •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4 of FIG. 3 is malonylgeni st in.
  •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4 of FIG. 3 is malonylgeni st i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UPLC chromatogram results of extracts treated with beta-glucosidase ( ⁇ -ghicosidase) in extracts obtained by ethanol extraction of soybean leaves after 7 days of esepon treatment.
  •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increase in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ethylene (ethylene) in soybean stem by HPLC chromatogram.
  • Fig. 11 shows the HPLC chromatogram result of the extract which extracted the soybean stem after ethylene treatment with ethane.
  •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1 of FIG. 11 was found to be daidzin.
  •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mass spectrometry (Q-TOF MS) result of identifying peak 2 of FIG. 11 is geni st in.
  •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dentifying peak 3 of FIG. 11 as malonyldaidzin.
  •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4 of FIG. 11 is malonylgeni st in.
  •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ass spectrometry (Q-TOF MS), in which peak 4 of FIG. 11 is malonylgeni st in.
  • FIG. 16 is a diagram showing UPLC chromatogram results of extracts treated with beta-glucosidase in extracts obtained by ethanol treatment of soybean stem after ethylene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ethylene (ethylene), an ethylene donor or an ethylene generator in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 the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is preferably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soybean stem that has elapsed 10 days or more after sowing, more preferably,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40 days after sowing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thylene donor is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ethephon.
  • the ethylene is the simplest of the olefinic hydrocarbons (C 2 H 4 ), which is colorless and sweet gas. As a type of plant hormone, it has a function of promoting the maturation of plant tissues such as physiological changes after harvesting of fruits and vegetables, in particular, maturation of horticultural crops and yellowing of leafy vegetables.
  • the above-mentioned esephon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 c acid
  • esephon is a kind of ethylene generating agent, generates ethylene under neutral and alkaline conditions of pH 4. 1 or more, 100-2000 times aqueous solution in the liquid phase. When sprayed on fruits, it decomposes and generates ethylene to promote maturation, lodging and coloring.
  • the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ing agent is preferably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500 ppm, more preferably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0 pp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can be treated before or after harvesting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 the isoflavone derivative is preferabl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more preferably any on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to [Formula group], but is not limited to the wor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 prepar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 the isoflavone derivative is preferabl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and more preferably any on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2] to [Formula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ors treated soybean plants (5- 100 ppm) diluted in water with 40 days (growing time R4) soybean plants after sowing, isoflavones from 1 day after treatment Derivatives were found to increase significantly, reaching a maximum around 5-12 days after treatment (see FIG. 1).
  • the camphor-peptide was a kaempferol glycoside, kaempferol-3- ⁇ - ⁇ -D-glucopyranosyl (1 ⁇ 2)- ⁇ — ⁇ rhamnopyranosyl (1 ⁇ 6) ⁇ ⁇ —D ⁇ ga 1 ac t opyr ano s ide,
  •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ethanol from the soybeans treated with the essence and extracts obtained by separating beta-glucosidase ( ⁇ -glucosidase) to the extract and the soybean leaf extract 6 kinds of isoflavones Derivatives, dydazine, zenithine, malonyl dydazine, malonyl zenithine, daidzein and geni stein were obtained (see FIGS. 3-8).
  • the present inventors have quantitatively analyzed four kinds of isoflavone derivatives, dydazine, genistin, malonyl didazine, and malonyl genistin,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soybean leaves harvested after the essence treatment and the soybean leaves after the essence treatment.
  • the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soybean leaves harvested after the treatment with ezephon, and the content of the isoflavone derivatives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the soybean leaves treated with esepon after harvesting.
  • the present inventors treated ethylene (100-1000 ppm) in soybean plants 40 days after sowing (growing season R4), it was confirmed that the isoflavone derivativ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oybean stem after treatment (Fig. 9). In addition, the isoflavone derivative was not detected in the soybean stem which was not treated with ethylene. However, in the ethylene-treated soybean stems, it was confirmed that four isoflavone derivatives, daidzin, zenistin, malonldaidzin, and malonyl zenistin, accumulated rapidly in soybean stem (see Table 3). .
  • the ethylene-treated soybean stem was extracted with ethanol to obtain an extract, and the soybean stem extract was purified by extracting beta-glucosidase ( ⁇ -glucosidase) -extracted six kinds of isoflavone derivatives, Idzin, Zenithin, Malonyl Didezin, Malonyl genistin, daidzein and geni stein were obtained (see FIGS. 11-16).
  • beta-glucosidase ⁇ -glucosidas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quantitatively analyzed four kinds of isoflavone derivatives, didazine, genistin, malonyl didazine and malonyl genistin,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soybean stems harvested after ethylene treatment and the ethylene treated soybean post harvest.
  • isoflavone derivative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soybean stem harvested after ethylene treatment, so that the method of harvesting after treating ethylene in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 high soybean stem production
  • the method was confirmed to be possible (see Table 2).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isoflavone derivatives from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using ethylene ethylene donors or ethylene generators.
  • the soybean leaves or bean sprouts of step 1) is preferably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at has elapsed 10 days or more after sowing, more preferably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at has elapsed 40 days after sowing, and 10 to 90 after sowing Most preferably, the older comb leaf or soybean stem is preferred.
  • the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of step 1) can be treated before or after harvesting the soybean leaves.
  • the ethylene donor of step 1) is preferably etheph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ubstance which induces or generates ethylene may be used.
  • the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of step 1) The generator is preferably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00 ppm, more preferably at a concentration of 5 to 500 ppm, and even more preferably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0 ppm.
  • the isoflavone derivative is preferabl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more preferably any one or mor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2] to [Formula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ethylene and ethylene donor esepone to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to produc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containing high isoflavone derivatives, and the preparation method can be usefully used as a mass production method of isoflavone derivatives.
  • the method of harvesting soybean front or soybean stem after the treatment of esepon, and the method of harvesting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o treat the esepon confirms that the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is remarkably increased.
  • a method of preparing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containing high isoflavone derivatives by treating ethylene and ethylene donors after harvesting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may be usefully used as a mass production method of isoflavone derivative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soybean stem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To provide a composition.
  •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is preferably prepa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step 2) concentrat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to prepare a 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f step 1) is collected from a soybean plant in which isoflavone is accumulated at a high concentration after ethylene or esepone treatment.
  • the ethylene or esepon treatment may be possible even after collecting the plant,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treat the sample before collecting.
  • the soybean plants treated with ethylene or esepone may be used as leaves, stems or roo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 the extraction solvent of step 1) is preferably water, alcohol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extracted by adding 1 to 10 times the amount of dried soybean leaves or bean stems, and more preferably 4 to 6 times to extract the extractant. Extraction degree is preferably 20 ° C to 100 ° C, more preferably 20 ° C to 40 ° C, most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0 to 48 hours, more preferably 15 to 30 hours, most preferably 24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umber of extraction is preferably 1 to 5 times, more preferably 3 to 4 repeated extraction, and most preferably 3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ecompression concentration in step 3) preferably uses a vacuum decompression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reduced pressure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oybean 3 ⁇ 4 or soybean stem extract of step 4) is preferably a brown brown crude extract, which is a concentrated soybean stem extra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ganic solvent may be n-nucleic acid, chloroform, ethyl acetate, or the like. It is preferably butanol, 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loroform More preferred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fractions are n-nucleic acid fractions, chloroform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s, butanol fractions or water obtained by suspending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s in water and then sequentially dividing the mixture into n-nucleic acid, chloroform ,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It is preferably a f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raction may be obtained by repeating the fractionation process 1 to 5 times, preferably 3 times from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and preferably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the f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or the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containing estrogen deficiency.
  • the disease caused by the estrogen deficiency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steoporosis, heart disease, breast cancer, vulva disease, hyperlipidemia, skin aging and facial relief.
  • Isopolbon derivatives isolated from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hysiological activity, so the soybean leaf or soybean extract containing the above compounds and fractions thereof are prevented and treated for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external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rectal injection, intradermal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thoracic injection injection method when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owders, granules, tablets, It may be used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such a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bi, manny, xili, erysri, malty,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idone, water, methyl hydroxy benzoate, propyl 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and surfactants are usual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medicines with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 base of the suppository wi 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Preferred dosages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0001 to 1 g / kg, preferably 0.001 to 200 mg / kg per d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 the dosage is seen in any way I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disease caused by the estrogen deficiency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steoporosis, heart disease, breast cancer, vulvovaginal disease, hyperlipidemia, skin aging and hot flash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containing the compounds and fractions thereof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health food.
  • the health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the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of soybean leaves or soybean meal,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the fraction of the extract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Can be used as appropriate.
  • the kind of foo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food.
  • the foods include functional tea blends, meats, sausages, breads, biscuits, rice cakes, candies, snacks, sweets, pizzas, ramen noodles, dairy products including noodles, gums, ice creams, various soups, drinks, and alcohol.
  •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etc. includes all of the health food in the usual sense.
  •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may be added at a ratio of 0.02 to 5 g, preferably 0.3 to 1 g, based on 100 m.
  •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cept for containing the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a proportion thereof.
  • various flavors,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as additional ingredients.
  • the above described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for example,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 S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xyly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tau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intermediate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 the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the fraction of the extract may contain the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and fruit juice beverage and vegetable beverage.
  • the ratio of the additive is not so important but is generally selected from the range of 0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the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a soybean front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oxidant cont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n antioxidant health food containing.
  • soybean leaf or soybean extract containing the above compounds and fractions thereof may be usefully used as an antioxidant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i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care cont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a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cont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soflavone derivatives prepared by treating ethylene, ethylene donor or ethylene generator in a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It provides a skin care health food containing an extract of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lotions, ointments, gels, creams, patches or sprays.
  •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Invention In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extracts of the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or fractions of the extracts, the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only used in 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High content of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r fractions of the extract may be added in 3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or 20 parts by weigh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an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in addition to fatty substances, organic solvents, solubilizers, thickening agents and gelling agents, softeners.
  • Antioxidants suspending agents, stabilizers, foaming agents, fragrances, surfactants,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metal ion sequestrants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ers, wetting agents, It may contain adjuva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dermatology, such a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lipid vesicles or any other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 the ingredients may also be introduced in amounts generally used in the field of dermatolog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a (tea) using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ves or Beanstalks, and herbaceous plants with flavors, provide a blending tea. Tea using the bean leaf or bean stem
  • 3) may be prepa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rying the roasted bean leaves or stems.
  • the pulverization of step 1) is preferably crushed to 1 to 5 kPa using a crusher, but the siz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oasting of step 2) is preferably roasted for 30 to 6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250 to 300 ° C. in the roasting machine, but the temperature and time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drying of step 3) may be dried using a natural drying or a dryer, preferably drying for 24 to 36 hours at a temperature of 30 to 50 ° C, but the temperature and time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herbaceous plant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emomile, lemongrass, rosehip, lavender, peppermint, fennel, rosemary, jasmine, hibiscus, rose flower, apple fruit, strawberry fruit, lemon fruit and orange flower All herbs are available.
  • the tea or mixed tea may be processed into a for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avor tea, tea bags, instant teas and can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r treat a disease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n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of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to the subject Provide a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oxidant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n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an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car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of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to an individual.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for use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Offer ' shoul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the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for use as a health food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d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ves or soybeans, extracts of the soybean leaves or soybean stems, or fractions of the extract for use as an antioxida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for use as an antioxidant health food.
  • the present invention is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care,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or an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as a skin care health foo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extract of the soybean leaf or soybean stem, or sesam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as tea.
  •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 Soybean seed (Glycine max) was cultiva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grown in soybean plants 10 to 90 days after sowing, ethephon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 c ac id) at a concentration of 5-100 ppm. Or 5 ⁇ 500 ppm of ethylene was treated to prepare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soybean leaves.
  • the accumulation of isoflavones in the soybean leave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reated esepone or ethylene and the growing season of the treated plant.
  • soybean leaves began to accumulate rapidly from day 1 and 5 to 12 days after treatment, soybean leaves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isoflavones were obtained.
  • soybean leaves were harvested from soybean plants (10-90 days old) after sowing and treated with soybean leaves periodically treated with ezephon diluted to a level of 5-100 ppm. Soybean leaves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isoflavone derivatives were obtained about 3-10 days after treatment.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1,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soybean leaves increased after treatment, and obtained soybean leaves accumulat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isoflavone derivatives after 5-12 days after treat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oybean leaves gradually changed to yellow under the influence of ethylene, a plant aging hormone (FIG. 1).
  • Soybean seed (Glycine max) was collected and cultivated in Rong Chong, soybean pi ant from 10 to 90 days after sowing, ethephon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c acid) 100-1000 ppm of ethylene was treated to produce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stem.
  • the accumulation of isoflavones in soybean stem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reated esepone or ethylene and the growing season of the plant.
  • soybean plants were treated with soybean plants with ethylene at a concentration of 200 ppm periodically.
  •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isoflavone derivative of the soybean stem increased after treatment.
  • the soybean stem gradually changes to yellow under the influence of ethylene, a plant aging hormone (FIG. 9). Therefore, the content of the isoflavone derivatives after treatment with 100-1000 ppm of ethylene or di-estone which was distilled at 5 ppm 100 ppm level in soybean plants 10 to 90 days after sowing Accumulated soybean stem was obtained.
  • Example ⁇ 1-1> After drying the soybean leaves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 1-1> and extracting the solvent extracted by drying the extracted soybean leaves 1 kg with 8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7 days, 86 g of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Got it. The dried soybean leaves were extracted with pure water at 40-100 ° C. The extracted solven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xtract in a yield of 10-17%.
  • Example ⁇ 1-2> After the beans obtained by the method of Example ⁇ 1-2> were dried and extracted with 50-1003 ⁇ 4 alcohol at 20-10 CTC conditions for 3-10 days. The extracted solven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xtract in 8 ⁇ 15% yield.
  • ethylene-treated soybean stem was extracted with ethanol as compared to the extract of ethanol-treated soybean stem before ethanol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the isoflavone derivatives in the extract is significantly high (Figs. 10 and 11).
  • Example ⁇ 2-1>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isoflavone derivatives from the isoflavone high content soybean leaf ethane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 2-1> was performed using MPLC Teledyne Isco Comb Flash Companion.
  • the column material C18 silica gel (YMC, 50 ii m) was used, and the elution condition was a water / acetonitrile mixture solution, which was obtained by applying a gradient elution (gradi ent elut ion) in which the acetonitrile solvent was increased to an initial 0-90%. Isoflavone derivatives of each species were isolated.
  •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f ethane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 2-1> above to separate and purify the isoflavone derivative from the extract treated with beta-glucosidase ( ⁇ -glucosidase) C18 silica gel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to separate the two isoflavone derivatives in which the four isoflavone glycosides were converted by beta glucosidase, respectively. Thus, a total of six isoflavone derivatives were isolated.
  • Example ⁇ 2-2>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isoflavone derivatives from the extract of isoflavone high content soybean stem ethane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 2-2> was performed using MPLC Teledyne Isco Combi Flash Companion.
  • the column material was C18 silica gel (YMC, 50 ⁇ ⁇ ), and the elution condition was water / acetonitrile mixture solution. Isoflavone derivatives were isolated.
  • UPLC is a company of Waters (USA) .
  • ACQUITY UPLCTM system was used, and the column used ODS-based BEH C18 (100 ⁇ 2.1 mm).
  • the mobile phase used was water containing 0.1% acetic acid and acetonitrile containing 0.1% acetic acid, and gradient elution was applied in which the acetonitrile solvent was increased from 57% to 15% for 15 minutes.
  • the flow rate was adjusted to 0.4 i / min, the amount of the injected extraction solution was 2 t, and the detection wavelength was analyzed at 254 nm.
  • isoflavone compounds separat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 Example 3> were dissolved in methane to prepare a standard solution in the range of 1-100 iiglvA, followed by UPLC analysis, and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from the peak area. .
  • the isoflavone standards used in the analysis were four types of dydazine, genistin, malonyl didazine, and malonyl genistin, and all of them used high purity standards of 98% or more (Table 1).
  • Example ⁇ 1-1> soybean leaves of 10-90 days old soybean plants after the seeding of Example ⁇ 1-1> were collected and treated with 50 ppm of concentration of ezefonol, and the four isoflavone compounds were prepa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 3-1>. After separation,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s above (Table 2).
  • HPLC was used for Perkinelmer (USA) HPLC Series 200 system, column was used Zolbox Bonus-RP (150x4.6150) of 0DS series.
  • the mobile phase used water containing 0.1% acetic acid and acetonitrile containing 0.1% acetic acid, and gradient elution was applied in which the acetonitrile solvent was increased from 95% to 95% for 85 minutes.
  • the flow rate was adjusted to 1 m «/ min, the amount of extracted solution was 10, and the detection wavelength was analyzed at 254 nm.
  • Example ⁇ 3-2> Four isoflavone compounds separat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 3-2> were dissolved in methanol to prepare a standard solution in the range of 1-100 / g /, to be analyzed by HPLC and calibrated from the peak area.
  • the isoflavone standards used in the analysis were four types of dydazine, genistin malonyl didazine, and malonyl genistin, and high purity standards of 98% or more were used (Table 3).
  •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 Extracts thereof or fractions of extracts 0.01 g Lactose 1.5 g Talc 0.5 g The above ingredients were combined and packed in a blister to prepare a powder.
  • Extract thereof or fraction of extract 0.1 g lactose 7.9 g crystalline salose 1.5 g magnesium stearate 0.5 g
  • a tablet was prepared by a di rect tableting method.
  •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Extracts 1 g Corn starch 5 g Carboxycellose 4, 9 g
  • the powder is filled into hard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capsules.
  • To prepare a capsule ⁇ l-4> Preparation of the injection
  •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component was added and dissolved in purified water, and lemon flavor was added in an appropriate amount, followed by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hen, purified water was added to adjust the total to 100, and then filled into a brown bottle to sterilize to prepare a liquid.
  • purified water was added to adjust the total to 100, and then filled into a brown bottle to sterilize to prepare a liquid.
  •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ixed with a high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its extract or a fraction of the extract and herb plants having a flavor, a mixed tea was prepared.
  •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0.5 5.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r fractions of the extract is added to the flour, and the mixed mixture Using bread, cake. Cookies, crackers and noodles were prepared.
  •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content of soybean leaves and soybean stems, extracts thereof or fractions of extracts thereof were added to soups and broths to prepare meat products for health promotion, soups and broths of noodles.
  • Isopolbon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content soybean leaves and soybean stem, 1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r fractions of the extract was added to the ground beef to prepare a ground beef for health promotion.
  • Brown rice. Barley, rice, and yulmu were alphad by a known method, and then dried and roasted, and then ground to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 Black beans, black sesame seeds The perilla was also steamed and dried by a known method, and then powdered into a grin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of soybean leaves and soybean stem, extracts thereof or fractions of extracts wer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in a vacuum concentrator and sprayed.
  • the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with a hot air dryer was pulverized with a particle size of 60 mesh to obtain a dry powder.
  • Cereals (30 parts by weight brown rice, 15 parts by weight, 20 parts by weight of barley) ,
  • Seeds (7 parts by weight perilla, 8 parts by weight black beans, 7 parts by weight black sesame seeds),
  • Isoflavone derivative high content soybean leaves and soybean stem extracts thereof or fractions of the extract (3 parts by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oybean leaf and soybean stem with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sulting solution is filtered and obtained in a sterilized container, sealed sterilization and stored in a steamed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reparation of healthy beverage compositions.
  • composition ratio is a composition suitable for a preferred beverag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si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demand hierarchy, demand country, use purpose.
  •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Extract 3.5 parts by weight Setostearyl alcohol 1.6 parts by weight Stearic acid 1.4 parts by weight 4 lipophilic glycerol monostearate 1.8 parts by weight sebum-100 stearate 2.6 parts by weight sesquilane sorbate sorbate 0.6 parts by weight squalene 4.8 parts by weight macadamia oil
  • Jojoba oil 2 parts by weight 0: 4 parts by weight of tocopeacetic acid 0.2 parts by weight of methyl polysiloxylic acid 0.1 parts by weight of ethylparaben 0.1 parts by weight of propylparaben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및 에틸렌 공여체인 에세폰을 처리한 콩잎 또는 콩줄기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는 에스트로겐 불균형 및 항산화능 결핍에 기인한 질환용 기능성 식품 및 의약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 및 그 제조 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즐기의 용도, 및 콩잎 또는 콩즐기로부터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대량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약리학적 효능이 뛰어난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로서 전세계적으로 이들이 고함유된 기능성 식물개발에 많은 자본이 투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소플라본은 비스테로이드 에스트로겐 (nonsteroid estrogen)으로 화학 구조적으로 또한 생리학적 특성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 불린다. 이들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구조로서 에스트로겐에서 기대되는 유용한 생리활성을 보여준다. 특히 폐경기 이후에 발생되는 골다공증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플라즈마 콜레스테를올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관상동맥심장질환 (coronary heart di sease)의 위험을 낮추는 효과와 항산화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소플라본은 베타-글리코시드가 연결된 배당체 형태나 당이 떨어져 나간 비배당체 형태로 존재한다. 비배당체로는 제니스테인 (geni stein) , 다이드제인 (daidzein) 및 글리시테인 (glyci tein) 등이 있으며, 배당체로는 제니스틴 (geni st in), 다이드진 (daidzin) 및 글리시틴 (glyci t in)등이 있다. 콩 유래 비발효 식품에는 배당체가 많은 반면, 발효식품에는 발효에 관계된 박테리아에 의해 배당체로부터 당이 분해되면서 비배당체가 주로 존재하게 된다. 식품 및 의약소재로 이용되는 대부분의 이소플라본은 콩과 붉은잎 클로버 (red clover)에서 추출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소플라본이 고함유된 콩 개발을 위해 많은 육종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4000 jug/g함유한 콩이 최고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 (J . Agric . Food Cehm. 2012, 60, 6045-6055) .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93025에는 세척한 콩을 정제수에 넣고 수침시킨 다음, 발아시켜 이소플라본 함량을 40-70% 증가시킨 고농도 이소플라본 함유 발아 콩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아소플라본 함량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콩잎은 대단히 적은 량의 이소풀라본 유도체를 함유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드진 (daidzin, 검출안됨) , 제니스틴 (genist in, 90 glg , 말로닐 다이드진 (malonyklaidzin, 검출안됨), 말로닐 제니스틴 (malonylgenist in, 310 !igl g) , 다이드제인 (검출안됨), 및 제니스테인 (검출안됨)을 함유하고 있다 (BI0MEDICINE & PHARMACOTHERATY, 2002, 56, 289-295) .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고함유된 콩잎 또는 콩줄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콩의 재배과정에서 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여체인 에세폰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c acid)를 처리하면 높은 농도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들이 콩잎 또는 콩줄기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ethylene) ,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앞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의약소재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틸렌,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이용하여 콩잎 또는 콩줄기로부터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ethylene) ,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imgf000005_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i은 독립적으로 H또는 0H이고, ¾는 독립적으로 H, 글루코오스 (glucose) 또는 글루코오스 말로네이트 (glucose malonate)이다.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ᅳ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풀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올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올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화장료 조성물올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를 이용한 티 (Tea)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를 이용한 티 (Tea)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렌 (ethylene) ,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이용하여 콩잎 또는 콩줄기로부터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콩잎 또는 콩줄기를 제조하는 단계 ; 및
2) 상기 단계 1)의 콩잎 또는 콩줄기를 추출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은 파종 후 10-90일 경과한 콩 식물체 (soybean plant )에 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여체인 에세폰을 처리하면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콩잎 또는 콩줄기에 높은 농도로 축적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뿐만 아니라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콩잎 또는 콩줄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추출 분획물을 에스트로겐 불균형 및 항산화능 결핍에서 유발되는 질환용 식품 및 의약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콩잎에 에세폰 (ethephon)을 처리 후 재배 기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증가양상을 UPLC 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에세폰을 처리하기 전의 콩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UPLC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에세폰 처리 7일 후의 콩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UPLC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피이크 1이 다이드진 (daidzin)임을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피이크 2가 제니스틴 (genist in)임을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피이크 3이 말로닐 다이드진 (malonyldaidzin)임을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3의 피이크 4가 말로닐 제니스틴 (malonylgeni st in)임을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에세폰 처리 7 일 후의 콩잎을 에탄을로 추출한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데이즈 ( β -ghicosidase)를 처리한 추출물의 UPLC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콩줄기에 에틸렌 (ethylene)을 처리 전과 후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 증가 양상을 HPLC 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에틸렌올 처리하기 전의 콩줄기를 에탄을로 추출한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에틸렌 처리 후의 콩줄기를 에탄을로 추출한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ᅳ
도 12는 도 11의 피크 (peak) 1이 다아드진 (daidzin)임을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피크 2가 제니스틴 (geni st in)임올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피크 3이 말로닐 다이드진 (malonyldaidzin)임을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피크 4가 말로닐 제니스틴 (malonylgeni st in)임을 규명한 질량분석 (Q-TOF M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에틸렌 처리 후의 콩줄기를 에탄을로 추출한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데이즈 ( β -glucosidase)를 처리한 추출물의 UPLC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ethylene) ,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는 파종 후 10일 이상 경과한 콩잎 또는 콩줄기또는 콩줄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종 후 40일 경과한 콩잎 또는 콩줄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틸렌 공여체는 에세폰 (ethephon)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틸렌은 가장 간단한 을레핀계 탄화수소 (화학식: C2H4)로 무색이며, 감미가 있는 기체이다. 식물호르몬의 일종으로서 청과물의 수확 뒤의 생리변화, 특히 원예작물의 성숙이나 엽채류의 황색화 등 식물조직의 성숙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에세폰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 c acid)은 에틸렌 발생제의 일종으로, pH 4. 1 이상의 중성 및 알칼리성의 조건하에서 에틸렌을 발생하며, 액상으로 100으 2000 배의 수용액을.과실, 과채에 살포하면 분해하고, 에틸렌을 발생하여 성숙, 추숙이나 착색을 촉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는 5 내지 500 ppm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는 콩잎 또는 콩줄기 수확 전 또는 수확 후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기로 표기되는 화합물 중 아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
Figure imgf000010_0001
Figure imgf000010_0002
【화학식 4】
Figure imgf000011_0001
【화학식 7]
Figure imgf000012_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를 제공한다.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기로 표기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콩 파종 후 40일 (생육시기 R4)의 콩 식물체에 물에 희석한 에세폰 (5- 100 ppm)을 처리한 결과, 처리 후 1일부터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현저히 증가하여 처리 후 5— 12일 경에 최대치에 이르게 됨올 확인하였다 (도 1 참조) . 또한, 에세폰을 처리하지 않은 콩잎에서는 캠퍼페를 배당체 (kaempferol glycoside)인 kaempferol-3-Ο-β -D-glucopyranosyl ( 12)- α—ᄂ一 rhamnopyranosyl ( 16)一 β—D一 ga 1 ac t opyr ano s ide ,
kaemp f erol -3-0- β -D-g 1 ucopyr anosy 1 ( 1→2)- a -L-rhamnopyranosyl ( l→6)-i3 -D- gl ucopyr anos ide ,
kaemp ferol -3-0- ( 2 , 6-d i -0- a -L-r hamnopyr anosy 1 ) - β -D-g 1 ucopyr anos i de , kaemp ferol -3-0- β -digalact opyr anos i de,
kaemp ferol -3-0- β -digl ucopyr ano side , kaemp ferol -3-0- a -L-rhamnopyr ano sy 1 ( 1→6 ) - β -D-ga 1 ac t opyr anos i de 가 주요화합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에세폰을 처리한 콩잎에서는 4 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인 다이드진 (daidzin) , 제니스틴, 말로날 다이드진 (malonyldaidzin), 말로닐 제니스틴이 콩잎에 급격히 축적됨을 확인하였다 (표 1 참조) . 또한, 상기 에세폰을 처리한 콩잎을 에탄을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획득하고, 상기 추출물 및 상기 콩잎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데이즈 ( β -glucosidase)를 차리한 추출물을 분리정제하여 6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다이드진, 제니스틴, 말로닐 다이드진, 말로닐 제니스틴, 다이드제인 (daidzein) 및 제니스테인 (geni stein)올 획득하였다 (도 3 내지 도 8 참조) .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에세폰 처리 후 수확한 콩잎 및 수확 후 에세폰 처리한 콩잎 각각에서 분리된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다이드진, 제니스틴, 말로닐 다이드진 및 말로닐 제니스틴에 대한 정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에세폰을 처리한 후 수확한 콩잎의 경우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아현저하게 증가하고, 또한 수확 후 에세폰을 처리한 콩잎의 경우 역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올 확인함으로써, 콩잎에 에세폰을 처리한 후 수확하는 방법 및 수확한 콩잎에 에세폰을 처리하는 방법 모두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제조 방법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표 1 및 표 2 참조) .
또한, 본 발명자들은 콩 파종 후 40일 (생육시기 R4)의 콩 식물체에 에틸렌 ( 100 - 1000 ppm)을 처리한 결과, 처리 전보다 처리 후 콩줄기에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9 참조) . 또한, 에틸렌을 처라하지 않은 콩줄기에서는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에틸렌을 처리한 콩줄기에서는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인 다이드진 (daidzin) , 제니스틴, 말로닐 다이드진 (malonyldaidzin), 말로닐 제니스틴이 콩줄기에 급격히 축적됨을 확인하였다 (표 3 참조) . 또한, 상기 에틸렌을 처리한 콩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획득하고, 상기 콩줄기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데이즈 ( β -glucosidase)를 처리한 추출물을 분리정제하여 6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다이드진, 제니스틴, 말로닐 다이드진, 말로닐 제니스틴, 다이드제인 (daidzein) 및 제니스테인 (geni stein)을 획득하였다 (도 11 내지 도 16 참조) .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에틸렌 처리 후 수확한 콩줄기 및 수확 후 에틸렌 처리한 콩즐기 각각에서 분리된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다이드진, 제니스틴, 말로닐 다이드진 및 말로닐 제니스틴에 대한 정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에틸렌을 처리한 후 수확한 콩줄기의 경우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콩줄기에 에틸렌을 처리한 후 수확하는 방법이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줄기 제조 방법은로 가능함올 확인하였다 (표 2 참조) . 또한, 본 발명은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이용하여 콩잎 또는 콩줄기로부터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1)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콩잎 ᅳ또는 콩줄기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콩잎 또는 콩줄기를 추출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콩잎 또는 콩즐기는 파종 후 10일 이상 경과한 콩잎 또는 콩줄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종 후 40일 경과한 콩잎 또는 콩줄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파종 후 10 내지 90일 경과한 콤잎 또는 콩줄기가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는 콩잎 수확 전 또는 수확 후 처리 가능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에틸렌 공여체는 에세폰 (ethephon)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틸렌을 유도하거나 발생시키는 물질을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는 5 내지 1000 ppm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500 ppm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기로 표기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에틸렌 및 에틸렌 공여체인 에세폰을 콩잎 또는 콩줄기에 처리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고함유된 콩잎 또는 콩줄기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방법을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대량생산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에세폰을 처리 후 콩앞 또는 콩줄기를 수확하는 방법 및 콩잎 또는 콩줄기를 수확하여 에세폰을 처리하는 방법 모두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ᅳ 콩잎 또는 콩즐기 수확 전 또는 콩잎 또는 콩줄기 수확 후 에틸렌 및 에틸렌 공여체를 처리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고함유된 콩잎 또는 콩줄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대량생산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폴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콩잎 또는 콩줄기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단계 ;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 및
4) 단계 3)의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콩잎 또는 콩줄기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콩잎 또는 콩줄기는 에틸렌 또는 에세폰 처리 후 이소플라본이 높은 농도로 축적된 콩 식물체에서 채취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틸렌 또는 에세폰 처리는 식물체를 채취하고난 후에도 가능하나 채취하기 전에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 또는 에세폰을 처리한 콩 식물체는 잎, 줄기 또는 뿌리 모두 이용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콩잎 또는 콩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상기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d 내지 C2 저급 알코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아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콩잎 또는 콩줄기 분량에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내지 6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은도는 20 °C 내지 100°C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C 내지 40°C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실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 15 내지 30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4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콩¾ 또는 콩줄기 추출물은 감압농축된 콩줄기 추출물인 흑갈색 조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또한, 유기용매는 n-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클로로포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n-핵산, 클로로포름ᅳ 에틸아세테이트, 붙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n-핵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즐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올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은 골다공증, 심장질환, 유방암, 외음질 질환, 과지질혈증, 피부노화 및 안면흥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소폴라본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에서 분리한 이소폴라본 유도체들은 생리활성이 확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회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꾀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를, 만니를, 자일리를, 에리스리를, 말티를,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를로즈, 메틸 셀를로즈, 미정질 셀를로스, 폴리비닐 피를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산제,과립제,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흔합생약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 cium carbonate) ,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 lactose) ,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둥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 ,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템솔 (wi tepsol ) , 마크로골, 트원 (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ᅳ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즐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은 골다공증, 심장질환, 유방암, 외음질 질환, 과지질혈증, 피부노화 및 안면흥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아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고함유 콩잎 또는 콩줄기에서 분리한 이소플라본 유도체들은 생리활성이 확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 예방 및 개선용—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즐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의 예로는 기능성 흔합차ᅳ드링크제,육류,소세지,빵,비스켓,떡 쵸코렛,캔디류,스넥류,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흔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이소풀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와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내지 15중량으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자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아드, 예를 들어 덱스 S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를, 소르비를, 에리트리를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계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을,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앞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고함유 콩잎 또는 콩줄기에서 분리한 이소플라본 유도체들은 생리활성이 확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콩잎 또는 콩즐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항산화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풀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마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고함유 콩잎 또는 콩줄기에서 분리한 이소플라본 유도체들은 셉리활성이 확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콩잎 또는 콩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피부미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꾀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이 3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또는 20 증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 foaming agent ) ,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를 이용한 차 ( tea)를쎄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및 향미를 갖는 허브 식물체를 흔합한 흔합차를 제공한다.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를 이용한 차는
1) 본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를 세척한 후 파쇄하는 단계;
2) 상기 파쇄된 콩잎 또는 줄기를 볶는 단계; 및
3) 상기 볶은 콩잎 또는 줄기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분쇄는 파쇄기를 이용하여 1내지 5隱로 잘게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ᅳ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볶음은 볶음 기에서 250 내지 300°C의 온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타지 않게 볶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온도 및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건조는 자연건조 또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으며, 30 내지 50°C의 온도로 24 내지 36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온도 및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허브 식물체는 케모마일, 레몬그라스, 로즈힙, 라벤다, 페퍼민트, 펜넬,로즈마리,자스민,히비스커스,로즈플라워, 애플후르츠,스트로베리후르츠, 레몬후르츠 및 오렌지 플라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티로 사용되는 허브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차 또는 흔합차는 착향차 (着香茶), 티백 (tea bag) , 인스턴트 ( instant tea) 및 캔 (c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즐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용 건강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미용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미용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ᅳ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미용용 건강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샅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이소플라본유도체 고함량콩잎 및 콩줄기의 제조
<1-1>이소플라본유도체 고함량콩잎의 제조
농촌진흥청에서 콩 종자 (Soybean seed , Glycine max)를 분양받아 재배하여 파종 후 10일에서 90일 된 콩 식물체 (soybean plant )에 5-100 ppm 농도의 에세폰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 c ac id) 또는 5ᅳ 500 ppm의 에틸렌을 처리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을 제조하였다. 이소플라본이 콩잎에 축적되는 양상은 처리하는 에세폰 또는 에틸렌의 농도 및 처리하는 식물체의 생육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종 후 40일 된 콩 식물체에 50 ppm의 농도로 물에 희석된 에세폰을 주기적으로 콩 식물체에 처리한 결과, 목표 이소플라본은 처리 후 1일부터 급격히 축적되기 시작하였으몌 처리 후 5-12일 경에 최고 농도의 이소플라본이 축적된 콩잎을 획득하였다.
또한, 파종 후 콩 식물체 ( 10-90일 경과)로부터 콩잎을 수확하여 5-100 ppm 농도로 수준으로 희석된 에세폰을 주기적으로 콩잎에 처리하였다. 처리 후 3-10일 경에 최고 농도의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축적된 콩잎을 획득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콩잎의 목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농도는 처리 후 증가하였으며, 처리 후 5-12일 경에 최고 농도의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축적된 콩잎을 획득하였다. 또한, 콩잎은 식물노화호르몬인 에틸렌의 영향으로 점점 노랗게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도 1) .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파종 후 10일 내지 90일 된 콩 식물체에 5-100 ppm 수준으로 희석된 에세폰 또는 5-500 ppm의 에틸렌 처뫼한 후 첫째 날부터 콩잎에 이소플라본이 축적되기 시작하며 처리 5-12일째 날에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최고치에 이르는 콩잎을 획득하였다. <1-2>이소플라본유도체 고함량콩줄기의 제조
농촌진홍청에서 콩 종자 (Soybean seed , Glycine max)를 분양받아 재배하여 파종 후 10일에서 90일 된 콩 식물체 (soybean pi ant )에 5-100 ppm 농도의 에세폰 (ethephon , 2-chloroethylphosphonic acid) 또는 100-1000 ppm의 에틸렌을 처리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줄기을 제조하였다. 이소플라본이 콩줄기에 축적되는 양상은 처리하는 에세폰 또는 에틸렌의 농도 및 처리하는 식물체의 생육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종 후 40일 된 콩 식물체에 200 ppm의 농도로 에틸렌을 주기적으.로 콩 식물체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콩줄기의 목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농도는 처리 후 증가하였다. 또한, 콩줄기는 식물노화호르몬인 에틸렌의 영향으로 점점 노랗게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도 9) .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파종 후 10일 내지 90일 된 콩 식물체에 5ᅳ 100 ppm 수준으로 회석된 에세폰 또는 100-1000 ppm의 에틸렌 처리한 후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급격히 축적된 콩줄기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2>이소플라본유도체 고함량콩잎 및 콩줄기 추출물의 제조
<2-1>이소플라본유도체 고함량콩잎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수득한 콩잎을 건조 후 50-100% 알코올로
3-10일간 20-100°C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한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8-15% 수율로 추출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한 콩잎올 건조하고, 상기 건조돤 콩잎 1 kg을 80% 에탄올로 7일간 실온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용매를 감압농축 후 86 g의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건조한 콩잎을 순수한 물로 40-100°C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한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10-17%의 수율로 추출물을 얻었다.
그 결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세폰 처리 전 콩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비교하여 에세폰 처리 7 일 후 콩잎올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2 및 도 3) .
<2-2>이소플라본유도체 고함량콩줄기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수득한 콩즐기를 건조 후 50-100¾ 알코을로 3-10일간 20-10CTC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한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8ᅳ15% 수율로 추출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한 콩줄기를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콩줄기 1 kg을 8OT 에탄올로 7일간 실온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용매를 감압농축 후 86 g의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건조한 콩줄기를 순수한 물로 40-100°C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한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10-17%의 수율로 추출물을 얻었다.
그 결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 처리 전 콩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비교하여 에틸렌 처리 콩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10 및 도 11) .
<실시예 3>콩잎 및 콩줄기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 분리정제
<3-1>콩잎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 분리정제
상기 실시예 <2-1>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한 이소플라본 고함량 콩잎 에탄을 분획물에서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분리정제는 MPLC Teledyne Isco Comb i Flash Companion)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칼럼 소재는 C18 실리카겔 (YMC , 50 ii m)을 사용하였으며, 용리조건은 물 /아세토니트릴 흔합용액으로 아세토니트릴 용매가 초기 0-90%로 증가되는 구배 용출 (gradi ent elut ion)을 적용하여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2-1〉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에탄을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데이즈 ( β -glucosidase)를 처리한 추출물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분리정제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C18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상기 4종의 이소플라본 배당체가 베타 글루코시데이즈에 의해 전환된 2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따라서, 총 6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3-2>콩줄기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 분리정제
상기 실시예 <2-2>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한 이소플라본 고함량 콩줄기 에탄을 추출물에서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분리정제는 MPLC Teledyne Isco Combi Flash Companion)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칼럼 소재는 C18 실리카겔 (YMC , 50 μ ιπ)을 사용하였으며, 용리조건은 물 /아세토나트릴 흔합용액으로 아세토니트릴 용매가 초기 0-9OT로 증가되는 구배 용출 (gradient ekit ion)을 적용하여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2-2>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줄기 에탄올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데이즈 ( β -glucos idase)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분리정제하기 위하여 C18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종의 이소플라본 배당체가 베타 -글루코시데이즈에 의해 전환된 2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따라서, 총 6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실시예 4 분리된 이소플라본유도체의 구조분석
상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으로 분리된 6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HPLC, UPLC/Q-TOF MS와 NMR 분광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 6종의 이소폴라본 유도체 중 피크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기되는 다이드진 (daidzin)임을 확인하였다 (도 4 및 도 12).
[화학식 2]
Figure imgf000029_0001
다이드진 (피이크 1): ESI-MS(Q-TOF) [M+H]+ 417.1186 (calc. 417.1186, C21H2109, 0.0 ppm); 1H蘭 R (500MHz, DMSC 16) δ 3.30 (2H, m, H-4" ,2" ), 3.47 (3H, m, H-3" , H-5" ,6 " b) , 3.73 (1H, dd, J = 14.2, 7.4 Hz, H-6" a), 5.12 (IH, m, H-l" ), 6.82 (2H, d, J = 8.6 Hz, H-3 ' ,5 ' ), 7.15 (IH, dd, J = 8.6, 2.1 Hz, H-6), 7.24 (IH, d, J = 2.1 Hz, H-8), 7.41 (2H, d, J = 8.6 Hz, H—2 ' , 6 ' ), 8.04 (IH, d, J = 8.9 Hz, H-5), 8.39 (IH, s, H-2), and 9.56 (IH, s, 4 ' -OH); 13C NMR (125 MHz, DMS0_d6) δ 61.1 (C-6 " ), 70.1 (C-4 " ), 73.6 (C-2 " ), 76.9 (C-3 " ), 77.7 (C-5 " ), 100.5 (C-8) , 104.5 (Ol " ), 115.6 (03 ' ,5 ' ), 116.0 (C-6), 118.9 (C-4a), 122.8 (C-3), 124.2 (C-l ' ), 127.4 (C-5), 130.6 (C-2 ' ,6 ' ), 153.8 (C-2) , 157.5 (C-4 ' ), 157.7 (C-8a), 161.9 (C-7), 175.2 (C-4).
또한, 도 5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이크 2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기되는 제니스틴 (genistin)임을 확인하였다 (도 5 및 도 13).
[화학식 3]
Figure imgf000030_0001
제니스틴 (피이크 2): ESI-MS(Q-TOF) [M+H] + 433.1139 (calc. 433.1135, C21H21010, 0.9 ppm); IH NMR (500 MHz, DMS0-d6) δ 3.19 (IH, dd J = 9.9, 4.8 Hz, H-4" ), 3.29 (IH, dd, m, J = 13.4, 7.4 Hz, H— 2" ), 3.32 (IH, dd, J = 13.4, 4.8 Hz, H-3" ), 3.45 (IH, m, H_5" ), 3.48 (IH, dd, J = 11,4, 5.5 Hz, H-6" b), 3.73 (IH, dd, J = 11.4, 4.8 Hz, H-6" a), 5.06 (IH, d, J = 7.4 Hz, H-l" ), 6.49 (IH, d, J = 2.1 Hz, H-6), 6.72 (IH, d, J = 2.1 Hz, H-8), 6.84 (2H, d, J = 6.6 Hz, H-3 ' ,5 ' ), 7.41 (2H, d, J = 6.6 Hz, H-2 ' ,6 ' ), 8.41 (IH, s, H— 2), 9.53 (IH, s, 4 ' -OH), and 12.9 (IH, s, 5-OH) . 13C蘭 R (125 MHz, DMS0-d6) 8 61.1 (C-6" ), 70.1 (C-4" ), 73.6 (C-2" ), 76.9 (C-3" ), 77.6 (C-5" ), 95.0 (C-8), 100.0 (C-6), 100.4 (C-l" ), 106.5 (C-4a) , 115.5 (03 ' ,5 ' ), 121.4 (C-3), 123.0 (C-l ' ), 130.5 (C-2 ' ,6 ' ), 154.9 (C-2), 157.6 (C-4 ' ), 157.9 (C-8a) , 162.0 (C-5), 163.4 (C-7), 180.9 (C-4).
또한, 도 6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6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중 피이크 3은 하가 [화학식 4]로 표기되는 말로닐 다이드진 (malonyldaidzin)임을 확인하였다 (도 6 및 도 14).
[화학식 4]
Figure imgf000031_0001
말로닐 다이드진 (피이크 3): ESI-MS(Q-TOF) [M+H] + 503.1190 (calc. 503.1190, C24H23012, 0.0 ppm); 1H 醒 R (500 MHz, DMS0-d6) δ 3.17 (2H, m, malonyl-CH2), 3.19 (1H, m, H-4" ), 3.34 (1H, m, H-2" ), 3.38 (1H, m, H— 3" ), 3.75 (H-5" ), 4.14 (1H, m, H— 6" b) , 4.34 (1H, m, H-6" a), 5.14 (1H, d, J = 7.6 Hz, H-l" ), 6.52 (2H, d, J = 8.2 Hz, H-3 ' ,5 ' ), 6.74 (1H, d, J = 8.9 Hz, H-6), 7.04 (1H, s, H-8), 7.38 (2H, d, J = 8.2 Hz, H-2 ' ,6 ' ), 7.95 (1H, d, J = 8.9 Hz, H-5), 8.42 (1H, s, H-2). 13C N雕 (125 MHz, DMS0-d6) δ 41.9 (malonyl-CH2), 64.2 (06" ), 67.3 (04" )' 71.4 (02 ), 72.9 (C-5" ), 75.6 (C-3" ), 95.7 (C-8) , 100.2 (C-l" ), 102.2 (C-6), 106.5 (C~3 ' ,5 ' ), 113.1 (C-4a), 120.4 (C-3), 121.9 ((XT ), 130.2 (C-2 ' ,6' ), 157.6 (02), 154.8 (C- ' ) , 162.2 (C-8a), 161.9 (C-7), 166.8 (malonyl-COOR), 169.5 (malonyl-COOH), 179.9 (C-4) .
또한, 도 7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6종의 이소폴라본 유도체 증 피이크 4는 하기 [화학식 5]로 표기되는 말로닐 제니스틴 (malonylgenistin)임을 확인하였다 (도 7 및 도 15).
[화학식 5]
Figure imgf000032_0001
말로닐 제니스틴 (피이크 4): ESI-MS(Q-TOF) [M+H] + 519.1138 (calc. 519.1139, C24H23013, -0.2 ppm); IH NMR (500 MHz, DMS0-d6) δ 3.19 (2H, m, malonyl-CH2), 3.20 (IH, m, H-4" ), 3.28 (IH, m, H-2" ), 3.33 (IH, m, H-3" ), 4.12 (IH, m, H-6" b), 4.35 (IH, m, H-6" a), 5.12 (IH, d, J = 7.7 Hz, H-l" ), 6.46 (IH, s, H-6), 6.71 (IH, s, H-8) , 6.83 (2H, d, J = 8.1 Hz, H-3 ' ,5 ' ), 7.39 (2H, d, J = 8.1 Hz,. H-2 ' ,6 ' ), 8.40 (IH, s, H-2). 13C NMR ( 125 MHz , DMS0-d6) δ 41.6 (malonyl-CH2) , 63.9 (C-6" ), 69.4 (C-4" ), 72.7 (02" ), 73.6 (C-5" ), 76.1 (C-3" ), 94.3 (C-8), 99.3 (C-Γ ), 99.4 (C-6), 106.0 (C-4a), 115.0 (C-3 ' ,5 ' ), 120.9 (C— 1 ' ), 122.5 (03), 130.2 (C-2 ' ,6 ' ),154.6 (02), 157.1 (C-8a), 157.4 (C-4 ' ), 162.2 (C-5), 162.6 (07), 167.0 (malonyl-COOR), 167.5 (malonyl-COOH), 180.5 (C-4).
또한, 도 8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에서 전환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중 하나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기되는 다이드제인 (daidzein)임을 확인하였다 (도 8 및 도 16).
[화학식 6]
Figure imgf000033_0001
다이드제인: ESI-MS(Q-TOF) [M+H]+ 255.0658 (calc. 255.0657, C15H1104, 0.4 ppm); IH匪 R (500 MHz, DMS0-d6) δ 6.84 (2H, d J = 8.6 Hz, H-3 ' , 5 ' ) , 6.85 (IH, d, J = 2.0 Hz, H-8), 6.96 (IH, dd, J = 8.8, 2.2 Hz, H-6), 7.38 (2H, d, J = 8.6 Hz, H-2 ' ,6 ' ), 8.07 (IH, d, J = 8.8 Hz, H-5), 8.15 (IH, s, H-2). 13C NMR (125 MHz, DMS0-d6) δ 102.5 (08), 115.4 (06), 115.6 (C— 3 ' ,5 ' ), 117.0 (C-4a), 123.0 (C-l ' ), 123.9 (03), 127.7 (C-5) , 130.5 (C-2 ' ,6' ), 153.2 (C-2), 157.6 (C-4 ' ) , 157.9 (08a), 163.1 (07), 175.1 (04).
또한, 도 8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에서 전환된 이소풀라본 유도체 중 하나는 하기 [화학식 기로 표기되는 제니스테인 (geni stein)임을 확인하였다 (도 8 및 도 16).
[화학식 7]
Figure imgf000033_0002
제니스테인: ESI-MS(Q-TOF) [M+H] + 271.0600 (calc. 271.0606, C15H1105, -2.2 ppm); IH NMR (500 MHz, DMS0-d6) δ 6.21 (IH, d J = 1.6 Hz, H-6), 6.33 (IH, d J = 1.6 Hz, H-8), 6.86 (IH, dd, J = 6.7, 1.8 Hz, H-3 ' ,5 ' ), 7.38 (IH, dd, J = 6.7, 1.8 Hz, H-2 ' ,6 ' ), 8.06 (1H, s, H-2). 13CNMR (125 MHz, DMS0-d6) δ 94.0 (C-8), 99.3 (C-6), 104.8 (C-4a) , 115.4 (C-3 ' ,5 ' ) , 121.6 (03), 122.7 (C-l ' ), 130.5 (C-2 ' ,6 ' ), 154.3 (C— 2), 157.8 (04 ' )' 158.0 (C-8a) , 162.4 (C-5) , 164.7 (C-7) , 180.6 (C-4) .
<실시예 5> UPLC를 이용한 이소플라본유도체 정량분석
<5-1>콩잎에서 분리된 4종의 이소플라본화합물의 정량분석
상기 실시예 <3-1>에 기재된 방법으로 분리된 4종의 이소플라본 화합물 및 채집 후 에세폰을 처리한 콩잎에서 분리된 4종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에 대한 정량분석을 UPLC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UPLC는 Waters(USA)사의. ACQUITY UPLCTM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칼럼은 ODS 계열의 BEH C18( 100X2.1 mm)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0.1%아세트산을 함유한 물과 0.1%아세트산을 함유한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으며, 아세토니트릴 용매가 초기 3%에서 15분간 57%로 증가되는 구배 용출 (gradient elution)을 적용하였다. 유속은 0.4 i /min로 조절하였고 주입된 추출 용액의 양은 2 t였으며, 검출파장은 254 nm로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으로 분리된 4 개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을 메탄을에 용해시켜 1-100 iiglvA 범위의 표준 용액을 조제하여 UPLC 분석을 실시하고 피이크 지역 (peak area)으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이소플라본 표준물질은 4종으로 다이드진, 제니스틴, 말로닐 다이드진, 말로닐 제니스틴이며, 모두 98% 이상의 고순도 표준물질을 사용하였다 (표 1).
또한, 상기 실시예 <1-1>의 파종 후 10-90일 된 콩 식물체의 콩잎을 채집하여 50 ppm 농도의 에세폰올 처리하고 실시예 <3— 1>에 기재된 방법으로 4 개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을 분리한 후, 상기와 같이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표 2).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세폰을 처리하지 않은 콩잎의 에탄올 분획물에서는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검출되지 않는 반면, 50 ppm의 에세폰을 처리한 콩잎의 에탄올 분획물에서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에세폰 처리 7일 후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17073 g/g으로 최고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표 1).
또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집 후 에세폰을 처리한 콩잎에서도 에세폰을 처리 후 수확한 콩잎과 마찬가지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표 2).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에세폰을 처리한 후 콩잎을 수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수확한 콩잎에 에세폰을 처리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의 제조가 가능함올 확인하였다.
【표 11
Figure imgf000035_0001
【표 2】
함량 g/g)
이소플라본
무처리 처리 1일차 처리 2일차 처리 3일차 다이드진 (1) 검출안됨 1280.4±22.9 1551.2±31.4 1991.5±51.8 제니스틴 (2) 검출안됨 1316.7±27.5 1803.4±48.2 2098.7±56.2 말로닐 다이드진 (3) 출<가 i 된 2312.1±33.4 3337.9±56.2 3528.4±94.1 말로닐 제니스틴 (4) s ι_ί ϋ 2347.4±37.2 3480.6± 72.4 3909.2±91.7 총 이소폴라본 - 7256.6±121 10173.1±208 11527.8+294 <5-2>콩줄기에서 분리된 4종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의 정량분석
상기 실시예 <3-2>에 기재된 방법으로 분리된 4종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에 대한 정량분석을 HPLC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PLC는 Perkinelmer(USA)사의 HPLC Series 200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 칼럼은 0DS계열의 Zolbox Bonus-RP (150x4.6隱)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0.1%아세트산을 함유한 물과 0.1%아세트산을 함유한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으며, 아세토니트릴 용매가 초기 5%에서 85분간 95%로 증가되는 구배 용출 (gradient elution)을 적용하였다. 유속은 1 m«/min로 조절하였고 주입된 추출 용액의 양은 10 였으며, 검출파장은 254 nm로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3-2>에 기재된 방법으로 분리된 4 개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1-100 /g/ 범위의 표준 용액을 조제하여 HPLC 분석을 실시하고 피이크 지역 (peak area)으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이소플라본 표준물질은 4종으로 다이드진, 제니스틴 말로닐 다이드진, 말로닐 제니스틴이며, 모두 98% 이상의 고순도 표준물질을 사용하였다 (표 3).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을 처리하지 않은 콩줄기의 에탄을 분획물에서는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검출되지 않는 반면, 100-1000 ppm의 에틸렌을 처리한 콩즐기의 에탄올 분획물에서 4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에틸렌 처리 후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11951 /g으로 최고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표 3).
【표 1】
함량 ½/g)
이소플라본
무처리 처리 후
다이드진 (1) 검출안됨 1931.7±71.2 제니스틴. (2) α _ί α 2004.6±86.1 말로닐 다이드진 (3) α ο 3982.0± 129.2 말로닐 제니스틴 (4) 口출 θ|·된口 4033.1+156.5 총 이소플라본 11951.3±443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0. 1 g 유당 1.5 g 탈크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흔합하고 기말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0. 1 g 락토오스 7.9 g 결정성 샐를로오스 1.5 g 마그네슴 스테아레이트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흔합한 후 직타법 (di rect tablet ing method)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¾술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0. 1 g 옥수수전분 5 g 카르복시 셀를로오스 4, 9 g 상기의 성분들을 흔합하여 분말올 제조한 후, 상기 분말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경질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l-4>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0. 1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띠라 1앰플 당 (2 m*)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1-5>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0. 1 g
이성화당 10 g
만니를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올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흔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흔합차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과 향미를 갖는 허브 식물체를 흔합하여, 흔합차를 제조하였다.
<2-2>밀가루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0.5 5.0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를 흔합한 흔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3>스프 및 육즙 (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0. 1 - 5.0 증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4>그라운드 비프 (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폴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5>유제품 (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5 - 10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6>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참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한 후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을 하기의 비을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 (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증량부, 보리 20 증량부),
종실류 (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3 중량부),
영지 (0.5 중량부),
지황 (0.5 중량부)
<제조예 3>건강 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구연산
올리고당
매실농축액
타우린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C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넁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으나,수요계층,수요국가,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화장료조성물의 제조
<4-1>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즐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4.6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을 2.8 증량부 밀납 2.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피이지 -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세스퀴을레인산소르비탈 1.4 중량부 호호바오일 4 중량부 스쿠알란 3.8 증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 1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를 0.2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4 중량부 에칠파라벤 0. 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 1 중량부
Euxyl K-400 0. 1 중량부
1 , 3-부칠렌글리콜 7 중량부 메칠파라벤 0.05 중량부 글리세린 6 중량부 d-판데놀 0.2 중량부 트리에탄을아민 0.2 중량부 pt 41891 0.2 중량부
P-H20 46.05 중량부
<4-2>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콩줄기,
이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3.5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중량부 피이지 -100 스테아레이트 2.6 중량부 세스퀴을레인산소르비탈 0.6 중량부 스쿠알렌 4.8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호호바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를 0:4 중량부 메칠폴리실톡산 0.2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증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산탄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 d-판데놀 0.15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카르보내 (2% aq. Sol) 4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에탄올 3 중량부 pt 41891 0.1 중량부
P-H20 48.3 중량부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ethylene) ,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은 파종 후 10 내지 90일 경과한 콩잎 또는 콩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 .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여체는 에세폰 (etheph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는 5 내지 1000 ppm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imgf000044_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0H 이고, R2는 독립적으로 H , 글루코오스 (glucose) 또는 글루코오스 말로네이트 (gl ucose ma lonate)이다. )
I청구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기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imgf000044_0002
[화학식 3]
Figure imgf000045_0001
[화학식 6]
Figure imgf000046_0001
Figure imgf000046_0002
【청구항 7】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청구항 8]
1) 콩잎 또는 콩줄기에 에틸렌 , 에틸렌 공여체 또는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콩잎 또는 콩줄기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 )의 콩잎 또는 콩줄기을 추출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대량생산방법.
【청구항 9】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0]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은 골다공증, 심장질환, 유방암, 외음질 질환, 과지질혈증. 피부노화 및 안면홍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12]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청구항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은 골다공증. 심장질환. 유방암, 외음질 질환, 과지질혈증, 피부노화 및 안면홍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청구항 14】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15]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청구항 16]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17]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8】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건강식품.
【청구항 19】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을 이용한 차 ( tea) .
【청구항 20]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청구항 21]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방법 .
【청구항 22]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방법 .
【청구항 23】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청구항 24]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청구항 25】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청구항 26】
항산화용 건강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청구항 27]
피부미용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플라본 -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청구항 28】
피부미용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폴라본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
【청구항 29]
피부미용용 건강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상기 콩잎 또는 콩줄기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청구항 30】
차로 사용하기 위한 제 7항의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
PCT/KR2014/011493 2013-12-13 2014-11-27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881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75528.3A CN106028795B (zh) 2013-12-13 2014-11-27 具有高含量异黄酮衍生物的豆叶或豆茎及其制备方法
JP2016539220A JP6364085B2 (ja) 2013-12-13 2014-11-27 イソフラボン誘導体含量の高い豆葉部又は豆茎部及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EP14869566.1A EP3085226B1 (en) 2013-12-13 2014-11-27 Bean leaves or bean stems having high isoflavone derivative conten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15/179,720 US10183050B2 (en) 2013-12-13 2016-06-10 Bean leaves or bean stems having high isoflavone derivatives conten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30A KR101451298B1 (ko) 2013-12-13 2013-12-13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그 제조방법
KR10-2013-0155430 2013-12-13
KR10-2014-0082481 2014-07-02
KR1020140082481A KR101607188B1 (ko) 2014-07-02 2014-07-02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줄기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179,720 Continuation US10183050B2 (en) 2013-12-13 2016-06-10 Bean leaves or bean stems having high isoflavone derivatives conten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67A1 true WO2015088167A1 (ko) 2015-06-18

Family

ID=5337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493 WO2015088167A1 (ko) 2013-12-13 2014-11-27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또는 콩줄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3050B2 (ko)
EP (1) EP3085226B1 (ko)
JP (1) JP6364085B2 (ko)
CN (1) CN106028795B (ko)
WO (1) WO2015088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0739B (zh) * 2019-06-24 2022-05-27 延边大学 一种促进黄芪不定根异黄酮积累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025A (ko) 2002-06-01 2003-12-06 고을빛 생식마을 (주) 고농도 이소플라본이 함유된 발아콩의 제조방법
KR20050104097A (ko) * 2004-04-28 2005-11-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이소플라본 강화 발아 콩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611B1 (ko) * 2005-09-07 2008-04-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콩에서 이소플라본의 추출 방법 및 그추출용 초음파 반응기
KR20110009402A (ko) * 2009-07-22 2011-01-2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콩 종자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20136164A (ko) * 2011-06-08 2012-12-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대두분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83964C2 (ru) * 1997-07-30 2002-06-27 Индена С.П.А. Экстракт со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JP2000262244A (ja) * 1999-03-18 2000-09-26 Ajinomoto Co Inc 大豆イソフラボン含有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EP1359215B1 (en) * 2002-04-30 2010-03-1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Use of a soya cell strains with high isoflavone content
CN1711035A (zh) * 2002-11-15 2005-12-21 嘉吉有限公司 可溶性异黄酮组合物
WO2005074710A1 (en) * 2004-02-06 2005-08-18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rperation Corp Sprouted bean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isoflavone and the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0553522B1 (ko) * 2004-02-06 2006-02-2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이소플라본 강화 발아 녹두 및 그 제조방법
DE102004020712A1 (de) * 2004-04-27 2005-11-24 Beiersdorf Ag Kosmetische Kapseln
US7553505B2 (en) * 2006-01-12 2009-06-30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alth care product containing isoflavone aglycon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1723926B (zh) * 2008-10-10 2012-02-22 四川省中医药科学院 一种异黄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1513484B (zh) * 2009-03-17 2011-06-22 河北大学附属医院 一种预防和治疗骨质疏松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974577A (zh) * 2010-09-27 2011-02-16 徐州技源天然保健品有限公司 一种新型提取大豆异黄酮苷元的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025A (ko) 2002-06-01 2003-12-06 고을빛 생식마을 (주) 고농도 이소플라본이 함유된 발아콩의 제조방법
KR20050104097A (ko) * 2004-04-28 2005-11-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이소플라본 강화 발아 콩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611B1 (ko) * 2005-09-07 2008-04-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콩에서 이소플라본의 추출 방법 및 그추출용 초음파 반응기
KR20110009402A (ko) * 2009-07-22 2011-01-2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콩 종자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20136164A (ko) * 2011-06-08 2012-12-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대두분말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ICINE & PHARMACOTHERATY, vol. 56, 2002, pages 289 - 295
J. AGRIC. FOOD CEHM., vol. 60, 2012, pages 6045 - 6055
SHAILY GOYAL K. ET AL.: "ETHREL TREATMENT ENHANCED ISOFLAVONOIDS ACCUMULATION IN CELL SUSPENSION CULTURESOF PUERARIA TUBEROSA, A WOODY LEGUME", ACTA PHYSIOL PLANT, vol. 30, no. 6, 2008, pages 849 - 853, XP0552884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5226B1 (en) 2020-09-09
US20160317597A1 (en) 2016-11-03
CN106028795B (zh) 2020-03-03
JP2017501700A (ja) 2017-01-19
EP3085226A4 (en) 2016-11-30
US10183050B2 (en) 2019-01-22
JP6364085B2 (ja) 2018-07-25
CN106028795A (zh) 2016-10-12
EP3085226A1 (en)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497B1 (ko) 새싹보리 유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1298B1 (ko)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032B1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133171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0842B1 (ko)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20140133016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0183050B2 (en) Bean leaves or bean stems having high isoflavone derivatives conten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607188B1 (ko)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줄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282625B1 (ko) 암조건(dark condition)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KR101925420B1 (ko) 요산 배출용 디노익산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33283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51100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6.4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102321579B1 (ko) Kiom 법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86362B1 (ko)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84432B1 (ko) 카테치노세아노틱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70091242A (ko)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651105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9.2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20230071796A (ko) 스마트-대사체 챔버를 이용한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증진된 콩 식물체 재배방법
KR101651103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9.24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20230072430A (ko) 스마트-대사체 챔버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b1, Rb2 및 Rg2가 증진된 새싹인삼의 재배방법
KR20180035769A (ko)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9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3922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69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69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