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72674A1 -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72674A1
WO2015072674A1 PCT/KR2014/010132 KR2014010132W WO2015072674A1 WO 2015072674 A1 WO2015072674 A1 WO 2015072674A1 KR 2014010132 W KR2014010132 W KR 2014010132W WO 2015072674 A1 WO2015072674 A1 WO 20150726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borage
present
composition
insuli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1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윤화
김성수
이지원
노유헌
김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CN201480061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722519A/zh
Priority to JP2016553186A priority patent/JP6220081B2/ja
Publication of WO20150726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72674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Definitions

  •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borage extrac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borage extract.
  • Metabolic disease is a condition in which several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besity, coronary or atherosclerosis, which occur due to chronic metabolic disorders, occur simultaneously.
  • Reaven Reaven GM, Diabetes, 1988, 37: 1595- 1607).
  • Metabolic diseases are characterized by insulin resistance,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most of which are accompanied by overweight or obesity.
  • Metabolic disease is also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death from all cause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diseases is reported to be higher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an in type 1 diabetes, and it is known that mortality increases when metabolic diseases are accompanied by type 2 diabetes (Bonora E, et al. Diabet Med).
  • Borage officinal is a favorite herb from ancient Greek or Roman times, and it is said to be a "cuphorosium,” which pours flowers and leaves into a drink and washes all the sadness or rum, making it pleasant and cheerful. Called.
  • the leaves contain a lot of minerals, calcium, potassium, diuretics, pain relief, sweating, purification, skin softening . Excellent action, etc.
  • Mr. Borage's seeds contain a lot of "gammarinorenic acid (strength)", which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hastiness, eczema, and skin diseases that sharpen nerves before menstruation.
  • the present inventors sought to develop natural products that can improve, prevent or treat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dyslipidemia (311 ⁇ 0161 3),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
  •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dyslipidemia (311 ⁇ 0161 3),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reduc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effect of reducing abdominal fat and improving blood lipid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Borage officinali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sought to develop natural products that can improve, prevent or treat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dyslipidemia,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dyslipidemia,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 borage extract the effect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reduction, abdominal fat reduction effect and blood lipid improvement effect was identified.
  • various extracting solvents may be used.
  • a polar solvent or a nonpolar solvent may be used.
  • Suitable solvents for polar solvents include (i) water, (ii) alcohol (preferably methane, ethanol, propanol, butane, normal-propanol, iso-propane). , Normal-butane, 1-pentanol, 2-butoxyethanol or ethylene glycol), (iii) acetic acid, (iv) dimethyl-formamide (DMFO) and (v) dimethyl sul ioxide (DMS0).
  • Suitable nonpolar solvents include acetone, acetonitrile,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fluoroalkane, pentane, nucleic acid, 2,2,4-trimethylpentane, decane, cyclonucleic acid, cyclopentane, diisobutylene, 1- Pentene, 1-chlorobutane, 1-chloropentane, 0-xylene, diisopropyl ether, 2-chloropropane, toluene, 1-chloropropane, chlorobenzene, benzene, diethyl ether, diethyl sulfide, chloroform, Dichloromethane, 1,2-dichloroethane, anneal, diethylamine, ether, carbon tetrachloride and THF.
  •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 a ) water, ( b )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propane, butane, etc.), (c) the lower alcohol Mixed solvent of water with (d) acetone, (e) ethyl acetate, (f) chloroform, (g) butyl acetate, (h) 1, 3- butylene glycol, (i) nucleic acid and (j) diethyl Ether.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treating water, ethanol or a combination thereof in borage.
  • the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rage extract extracted with water, ethan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term 'extract' has the meaning commonly used as a crude extract in the art as described above, but broadly includes a fraction additionally extracting the extract (fract i onat i on). .
  • the borage extract is not only obtain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includes one obtained by additionally applying a purification process. For example, fractions obtained by passing the extract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The fraction obtained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is also included in the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rag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powder form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 the term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to include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the following borage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extracted from borage, which is a natural plant material, so even when excessively administered, there is no side effect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borage extrac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prevent or treat metabolic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diabetes, dyslipidemia,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 the dyslipidemia is hyperlipidemia.
  •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cludes at least on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hyperlipidemia, hyperinsulin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ue to insulin resistance.
  •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differentiation of fat cells.
  • the borage extract reduces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by 10-60%, 15-55% or 20-50%.
  •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roduction of triglycerides.
  • the borage extract reduces triglycerides by 20-60%, 30-50% or 35-45%.
  •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 the borage extract increases the mRNA expression of adiponectin by 30-70%, 40-60% or 45-55% compared to the control.
  • Borag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expression of laptin.
  • the borage extract reduces the mRNA expression of raptine by 30-70%, 40-60% or 45-553 ⁇ 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abdominal fat.
  • the choge Ridge extract reduces the production of abdominal fat by 30-70%, 40-60% or 45-55%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abdominal fat has the same meaning as visceral fat, and means fat located between the tissues (eg, stomach, liver, intestine, kidney, etc.) and in the abdomen.
  • Abdominal fat differs from subcutaneous fat at the skin and intramuscul ar fat located in skeletal muscle. Fats located in the lower body, such as the thighs and hips, are subcutaneous and are not spaced apart from the tissue, while abdominal fats are usually characterized by visceral and semi-fluidity.
  • the abdominal fat consists of the mesentery (c)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ep i di dymal whi te adipose t i ssue (EWAT)) and the fat depot of the perirenal adipose tissue (per i renal depot).
  • Abdominal fat is considered adipose tissue, while subcutaneous fat is not considered adipose tissue.
  • Boritai extract of the foot ground reduces blood total cholesterol, blood triglycerides, blood free fatty acids and blood sugar.
  • the borage extract was 10-50%, 20-40% or 25-35%, 45-85%, 55-75% or 60-703 ⁇ 4), 30-70%, 40-60% or 45-55%, and 10-60%, 12-55% or 14-50%.
  •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blood pressure ri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orage extract is reduced by 2-20%, 3-18% or 5-15%.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food composition,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food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diabetes, dyslipidemia,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s a food composition, As well as borage extracts, as well as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food production, including,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 agents.
  • Examples of the above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and the like; And sugar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textulin, cyclodextrin, and xyl, sorbitol, and eritlet.
  • sweetening agents natural flavoring agent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crab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with a drink, in addition to the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itric acid, liquid fructose, sugar, glucose, acetic acid, malic acid, fruit juice, tofu extract, jujube extract, licorice extract, etc. Can be. Obesity, diabetic dyslipidemia, containing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 Compositions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s may be prepared as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t includes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eparation, for example Examples includ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and seasonings.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oligosaccharide; Polysaccharides (for example, dextrin, cyclotextin, etc.); And sugar alcohols (eg, xylol, sorbitol, erythritol, etc.).
  • flavoring agent natural flavoring agents (e.g., taumarin, stevia extract,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e.g.,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borag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b)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the above-mentioned borage extra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ose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lactose, textose, sucrose, sorbetle, manny, starch, acacia rubber,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lubricants, wetting agent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preservativ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are Remington'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preferably applied by oral administration.
  • Suitable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age, weight, sex, morbidity, food,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reaction response of the patient. It may be prescribed.
  • Typical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re in the range of 0.0001-1000 mg / day / kg on an adult basis.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unit dose form by formulat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 or excipient according to methods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solutions, suspensions, syrups or emulsions in oils or aqueous media, or may be in the form of axes, powder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and may further comprise dispersants or stabilizer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mprising a Borage officinali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o provide.
  • the method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us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and the common contents between the two are omitted in order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abolic disease (metabolic)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diabetic dyslipidemia, fatty liver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containing Borage officinali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is provid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cellent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abdominal fat reduction effect and blood lipid improving effect.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ell viability at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after treatment with borage extract to the adipocytes.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riglyceride (Triacylglycerol) content after treatment of the adipocytes treated with borage extract.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RNA expression of adiponectin (adiponectin) after the treatment of the adipocytes treated with borage extract.
  • Figure 4 show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leptin (leptin) after treatment of the adipocytes treated with borage extract.
  • 5 is for 25 men and women 50 and 19 years old and younger than 60 years old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 FBS fetal bovine serum
  • antibiotics antibiotics
  • Subcultured were wash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nd then treated with 0.5% trypsin and subcultured.
  • Cells were exchanged for differentiation-inducing cultures containing differentiation inducers insulin (5 ig / mi), dexamethasone (DEX, 0.25 ⁇ ) and MTX (l-methyl-3-methylxanthine, 0.5 ⁇ ). Cultured for 3 days to induce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2-3 days with a medium containing only insulin, and then replaced with a culture medium from which insulin was removed.
  •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low concentration (5 mM) glucose was incubated on day 10-12 and treated with borage extract after differentiation induction.
  • Treated cells are measured in the number of cells attached to 96 wells after 24hr, 48hr and 72hr using MTT assay.
  • triacylglycerol, adiponectin, and laptin were measured in 3T3-L1 cells differentiated for 10 days after borage extract treatment.
  • the change in triglycerides due to the present extract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about 38% in the amount of triglycerides in adipocytes when treated with borage extract for 48 hours.
  • Figure 3 As can be seen, the tn NA amount of adiponectin was approximately 1 hour after borage extract treatment for 48 hours. The amount of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by about 51 time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gest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57BL / 6J mice to confirm the effect of reducing visceral fat before and after ingestion was confirmed the effect of reducing visceral fat.
  • mice Thirty C57BL / 6J mice (female, 10 weeks old) were given high fat / sugar diet foods (Or i ental Yeast Co.) optionally for 8 weeks to induce dietary obesity. After that, the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5 rats, and the normal food (Or i ettal Yeast Co.) was used as a basic diet. It was. In both groups, mice were allowed to freely eat for 4 weeks and fasted overnight after 4 weeks, then opened under ether lump / ketamine anesthesia and bled from the abdominal aorta to kill mice. Next, the peripheral uterine fat and the peripheral fat were extracted and measured. The fat weights of these two parts were combined and recorded as the intraperitoneal fat mas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the KK-Ay mouse an animal model of hereditary obesity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used to confirm the diabetes prevention and lipid metabolism efficacy of borage extract.
  • Diabetic mice female, 8 weeks o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ight animals, and normal foods were used as the basic diet, and a control group (untreated group) and borage extract treated group were made. Diabetic mice in all groups were allowed to free eat for 4 weeks. Borage extract was added to normal foods at a final concentration of 0.3% and used in the study.
  • mice were fasted overnight and then opened under lump / ketamine anesthesia to collect blood from the abdominal aorta and to extract and measure liver. From this blood, total cholesterol in serum (Total-Cholesterol; T-CH0), Triglyceride (TG), Free fatty acid (Non-ester if ied Fatty Acid; NEFA), G0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Liver Activator Protein (LAP), Cholinesterase (CHOE), Total Protein (TP-S) and Albumin (ALB-S) were analyzed by the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Total-Cholesterol T-CH0
  • Triglyceride TG
  • Free fatty acid Non-ester if ied Fatty Acid
  • NEFA Free fatty acid
  • G0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GPT Glut
  •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weight change for 4 weeks.
  • a significant decrease of more than 4 g was observed from 3 weeks after ingestion of the borage extract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verage body weight of the mice.
  • the blood glucose data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weeks after the intake of borage extract. This means 4 weeks of borage extract at 4 parking hours When ingested, the blood glucose reduction effect of about 200 mg / cW or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extract effectively inhibits blood sugar rise.
  •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weight change for 4 weeks.
  • Table 3 shows liver weight and blood tests. The data is show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ose who consumed borage extract in relation to toxicity such as liver weight, GOT and GPT. This is a result showing that borage extract has no hepatotoxicity. On the other hand, diabetic mice fed the borage extrac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of about 29%, 65%, and 49% in all of T-CHO, TG, and NEFA,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borage extract can reduce hyperlipidemia through lipid metabolism improvement.
  • Control borage extract intake group Liver weight (g / lOOg body weight) 4.19 ⁇ 0.82 4.01 ⁇ 0.62
  •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a hypertension animal model in which hypertension was induced with aging, was used to confirm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borage extract.
  • SHR male, 6 weeks old was divided into two groups, 10 animals in each group,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eating a normal basic diet and a group containing a food containing borage extract.
  •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3 m. (Vkg / day propylene glycol, and the borage extract group was mixed with the borage extract in propylene glycol at a dosage of 30 mg / 3 m £ / kg / day.
  • Blood pressure was measured in the tail artery using a non-vascular autonomous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on the day immediately before the start of treatment and on days 7, 14, 21 and 28 after treatment. Blood pressure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each sample administration. Blood pressure data is shown in Table 4. Before the start of the administration, the blood pressure was 115 g Hg, and all the groups had normal values. In the control group, blood pressure began to rise 7 days after treatment, and hypertension began to appear. However, treatment with borage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in blood pressure, unlike the control group. On the 14th, 21st and 28th days, the control group started to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Was observed.
  • Example 6 Weight control and obesity improvement efficacy through human test
  • Body-Mass Index 50 men and women (22 males, 28 females) who agreed to the test were ingested a placebo-controlled placebo and a mixture of the extract (8: 2 combination ratio). Each group was randomly divided into 25 groups to receive 400 mg of placebo or experimental drug per day for 4 weeks. Subjects were selected to have a body mass index (BMI) of 23 or more, or a man 90 cm or 80 cm.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efore and after Metabolic disease risk factors such as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pulse, body composition (body fat rate and lean body mass-impedance method), and blood tests to measure HDL-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Evaluation of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efficacy of the syndrome was conducted.
  • Body-Mass Index 23 or more, or a man 90 cm or 80 cm.
  • Metabolic disease risk factors such as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pulse, body composition (body fat rate and lean body mass-impedance method), and blood tests to measure HDL-cholesterol, trigly
  • the BMI (Body Mass Index) results of the borage extract intake group and the placebo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4, and the results were written 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 the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tudent's t-test. Indicated as significant at .05.
  • the BMI of the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ingestion.
  • the BMI of the composi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about 2.4 kg / n compared to before the intak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hown to reduce obesity or overweight by improving the body mass index.
  •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borage extract intake group and placebo (Placeb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5, and the result values were written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tudent's t-test, and at p ⁇ 0.05. Marked as signific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지(Borage officinalis)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metabolic disease)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dyslipidemia),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복강 지방 감소 효과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보리지 추출물올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기술분야】
본 특허출원은 2013 년 11 월 12 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3-0136877 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대사질환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관상 또는 동맥경화증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서 1988 년 Reaven(Reaven GM, Diabetes, 1988, 37: 1595-1607)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대사질환은 인슐린저항성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체중이나 비만을 동반하고 있다. 대사질환은 또한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이며,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제 2 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제 1 형 당뇨병과 달리 대사질환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제 2 형 당뇨병 환자가 대사질환을 동반할 때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Bonora E, et al. Diabet Med. , 2004, 21:52-8; Ford ES, Diabetes Care. , 2005, 28:1769-78; Alexander CM, et al. Diabetes, 2003, 52:1210-1214). 또한, 제 2 형 당뇨병의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대사질환의 구성요소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있다 (Mykkanen L, et al . Diabetologia. , 1993, 36:553-559; Haffner SM, et al. Diabetes, 1992, 41:715-722).
대사질환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당뇨병성 망막증, 신증, 신경병증,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만성 합병증의 발생이다 (Wolf SPᅳ Br Med Bull., 1993, 49:642-652). 이러한 만성 합병증은 대부분 일단 발생 된 이후에는 비가역적인 진행과정을 밟게 되며 아직까지는 이러한 과정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증상을 초래하여 환자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다. 그러므로 복합적 증상을 갖는 대사질환의 효과적인 관리 또는 치료를 위해서는 정상 혈당의 유지를 위한 혈당강하 효과와 동시에 신병증, 간병증, 고지혈증 등을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이상적이나, 아직까지 이러한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으며, 혈당강하제, 혈압강하제, 콜레스테를 치료제 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별도로 복용하고 있다.
보리지 (Borage officinal is)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부터 즐겨 애용한 허브로서 꽃이나 잎을 술에 담그었다가 마시면 모든 슬품이나 시름을 씻어 주어서 기분을 즐겁고 명랑하게 해준다고 "쾌활초 (cuphorosium)" 라고 불렸다. 특히, 잎에는 미네랄, 칼슘, 칼륨 등이 많이 함유되어서 이뇨, 진통완화, 발한, 정화, 피부연화. 작용 등이 뛰어나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보리지의 씨는 "감마리노렌산 (힘) " 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월경 전에 신경이 날카로워지는 조급증, 습진이나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잎과 꽃을 입욕제로 이용하면 피부를 부드럽고 청결하게 하는 것은 물론 심신의 긴장까지 풀어주어 최근에는 보리지 종자에서 기름을 짜내어 마사지 오일, 화장용 크림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ᅳ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자들은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311^0161 3), 지방간 및 인술린 저항성 증후군 (insulin resistance syndrome)과 같은 대사질환 (metabolic disease)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보리지 (Borage officinalis)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에, 지방세포 분화 감소 효과, 복강 지방 감소 효과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리지 (Borage officina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metabolic disease)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과 같은 대사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에, 지방세포 분화 감소 효과, 복강 지방 감소 효과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보리지 추출물은 보리지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ᅳ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을,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을, 노말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을, 노말-부탄을,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0( dimethyl sul i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핵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핵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 클로로펜탄, 0-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를루엔, 1- 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을, 부탄을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흔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 f )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 , 3- 부틸렌글리콜, ( i ) 핵산 및 ( j )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보리지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물, 에탄을 또는 이의 조합으로 추출한 보리지 추출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 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 (crude extract )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 ( fract i onat i 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보리지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 -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보리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란 하기의 보리지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보리지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보리지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상지방혈증은 고지혈증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에 의한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인슐린혈증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술린 저항성 증후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ᅳ 상기 보리지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10一 60%, 15-55% 또는 20-50%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중성지방의 생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지 추출물은 중성지방을 20-60%, 30- 50% 또는 35-4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지 추출물은 아디포넥틴의 mRNA 발현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30-70%, 40-60% 또는 45-55%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랩틴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지 추출물은 랩틴의 mRNA 발현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30-70%, 40-60% 또는 45-55¾>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복강 지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ᅳ 리지 추출물은 복강지방의 생성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30-70%, 40-60% 또는 45-55% 감소시킨다.
상기 복강 지방은 내장지방과 동일한 의미로, 조직 (예컨대, 위 , 간, 장, 신장 등)의 사이 및 복부 내 위치한 지방을 의미한다. 복강 지방은 피부 아래의 피하지방 (subcut aneous f at ) 및 골격근에 위치하는 근간지방 ( intramuscul ar fat )과 차이를 갖는다. 허벅지 및 엉덩이와 같은 하체에 위치하는 지방은 피하이고, 조직과 일정한 간격을 두지 않는 반면, 복강 지방은 대개 내장 및 반유동성의 특징을 갖는다. 복강 지방은 장간막 (mesenter i c) ' 부고환 백색 지방 조직 (ep i di dymal whi te adipose t i ssue ; EWAT) 및 신장 주변 지방 조직 (per i renal depot )의 지방 저장소 (adipose depot )로 구성된다. 복강 지방은 지방 조직으로 간주되는 반면 , 피하 지방은 지방 조직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본 발땅의 보리지 추출물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혈중 중성지방, ᅳ 혈중 유리 지방산 및 혈당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지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10-50% , 20-40% 또는 25-35% , 45-85% , 55-75% 또는 60-70¾), 30—70% , 40-60% 또는 45-55% , 및 10-60% , 12- 55%또는 14-50%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은 혈압 상승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지 추출물은 2-20% , 3-18% 또는 5-1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 포함하는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보리지 추출물 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텍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를, 소르비를, 에리트리틀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 글리시르히진 등] ) 및 합성 향미게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보리지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올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 디사카라이드 (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텍스트린 등) ; 및 당알코올 (예컨대, 자일리롤, 소르비를, 에리쓰리틀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 (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 은 상술한 보리지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텍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틀, 만니를,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썰를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를로스, 물, 시럽, 메틸 셀를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 ' s
Pharmaceut i cal Sci ences ( 19th ed . ,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웅 감웅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01- 1000 mg/day/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액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리지 (Borage officina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 (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metabolic diseases)의 개선ᅳ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상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으로서, 이 둘 사이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보리지 (Borage officina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dyslipidemia), 지방간 및 인술린 저항성 증후군 (insulin resistance syndrom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질환 (metabolic disease)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복강 지방 감소 효과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보리지 추출물을 지방세포에 처리한 후 24 시간, 48 시간 및 72시간에 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 는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처리한 후 중성지방 (Triacylglyc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 은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처리한 후 아디포넥틴 (adiponectin)의 mRNA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 는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처리한 후 렙틴 (leptin)의 mRNA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 는 만 19 세 이상 60 세 미만의 남녀 50 명을 대상으로 25 명씩
2 군으로 나누어 위약 (placebo) 또는 보리지 추출물을 섭취 전 /후의 허리둘레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보리지 추출물의 제조
보리지의 잎, 꽃, 씨앗을 흔합하여 분쇄한 뒤, 10 배 부피량의 정제수를 흔합하여 이들의 흔합용매로부터 s(rc 추출온도에서 6 시간 5 회 반복 열수추출하였다. 본 추출물을 여과하여 진공 농축한 후 1:2 로 보리지와 덱스트린을 흔합한 후, 분무건조하여 보리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보리지 추출물의 활성 분석
본 발명의 조성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세포내 비만관련 지질, 지단백질 및 호르몬의 측정을 통한 내장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지방세포 3T3-L1 세포의 분화 억제효과 전지방세포 (preadipocyte)인 3T3— L1 세포는 지방세포의 대사과정을 연구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세포 배양과정에서 조성물을 처리한 후, 세포의 분화가 적올수록 항비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냈다. 3T3-L1 세포를 배양액을 이용하여 5%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배양기에서 37°C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은 10% FBS(fetal bovine serum)과 항생제 (ant ibiot ics)가 포함된 Dulbecco' s Modified Eagle' s Media(DMEM)을 사용하였다. 2-3 일 간격으로 배양된 세포 표면을 인산완충염용액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한 후 0.5% 트립신 (trypsin)을 넣고 처리하여 세포를 탈착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는 분화유도물질인 인슐린 (5 ig/mi), 텍사메타손 (dexamethasone; DEX, 0.25 μΜ) 및 MTX(l-methyl-3-methylxanthine, 0.5 ηιΜ)이 함유된 분화유도 배양액으로 교환하여 1-3 일 동안 배양하여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배양 3 일 후 인슐린만 함유하는 배지로 2-3 일 동안 배양한 후 인슐린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중성지방으로 유입되는 포도당 측정 실험이나 포도당 산화 실험시에는 10—12 일째에 저농도 (5 mM) 포도당을 함유한 배양액으로 배양하고 분화유도 후에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포는 24hr, 48hr 및 72hr 후에 96 웰에 붙어 있는 세포를 MT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수를 측정한다. 다음, 보리지 추출물 처리 후 10 일 동안 분화시킨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triacylglycerol), 아디포넥틴 (adiponectin) 및 랩틴 (leptin)의 양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를 이용하였으며, p<0.05 시에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표시하였다.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도 1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24hr, 48hr 및 72hr 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21%' 35% 및 4 세포수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본 추출물 처리로 인한 중성지방의 변화는 도 2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보리지 추출물을 48 시간 처리한 경우 대조군 대비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양이 약 38% 가량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추출물을 처리 후 아디포넥린의 mRNA 발현 양을 비교한 결과, 도 3 에서 보듯이 아디포넥틴의 tn NA 양에 있어서 보리지 추출물을 48 시간 처리한 경우 대조군 대비 약 1 . 51배 정도의 mRNA 발현양 증가를 확인하였다.
본 추출물을 48 시간 처리한 후 렙틴의 mRNA 발현양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도 4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랩틴 mRNA 의 양에 있어서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 대비 약 0.49배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보리지 추출물의 내장비만 감소 효과 확인
C57BL/6J 마우스들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게 하여 섭취 전후 내장지방 감소효과를 확인하여 내장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C57BL/6J 마우스 30 마리 (암컷 , 10 주령)에게 고지방 /고당분 식품 (Or i ental Yeast Co . 제품)을 임의로 8 주 동안 부여하여 식이성 비만으로 유도하였다. 그 후 마우스들을 15 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고, 정상식품 (Or i ental Yeast Co . )을 기본식으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및 제조된 보리지 추출물로 보축식이를 공급한 군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마우스들이 4 주 동안 자유 취식하도록 하였고 4 주 이후에 하룻밤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 럼푼 /케타민 마취하에 개복하여 복부대동맥으로부터 방혈시켜 마우스를 도살하였다. 다음, 자궁 주변 지방 및 신장 주변 지방을 적출하여 측량하였다. 이 두 부분의 지방 중량을 합하여 복강 내 지방량으로서 기록하고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결과에 따르면, 보리지 추출물을 한달 동안 지속적으로 섭취한 마우스에서 전체적인 체중의 감소뿐 아니라 복강내 지방량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지방 /고당분 식품의 섭취에 의해서 축적된 내장지방이 보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의 섭취에 의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표 1】
(n=15 ,평균土 SD) 취식량 (g/day/mouse)복강내 지방량 /체중 (9 대조군 3.13±0.48 1.53±0.21
보리지 추출물
3.04±0.64 0.79±0.09 *
섭취군 실시예 4: 보리지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 효과 확인
유전성 비만올 나타내고 2 형 당뇨병이 진행되는 동물 모델인 KK-Ay 마우스를 이용하여 보리지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 효과와 지질 대사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당뇨병 마우스 (암컷, 8 주령)를 8 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을 기본식으로 사용하여, 대조군 (비처리군)과 보리지 추출물 처리군을 만들었다. 모든 군에서 당뇨병 마우스들은 4 주 동안 자유 취식하도록 하였다. 보리지 추출물은 최종 농도 0.3%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급식기간동안, 마우스의 몸무게와 마우스의 꼬리 정맥으로부터 소량의 혈액을 매주 채취하고, 간이 혈당시험기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급식기간 종료 후, 마우스들은 하룻밤 절식 시킨 후 럼푼 /케타민 마취 하에 개복하여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고 간을 적출하여 측량하였다. 또한 이 혈액으로부터 혈청 중 총 콜레스테를 (Total- Cholesterol; T-CH0) , 트리글리세라이드 (Triglyceride; TG) , 유리 지방산 (Non-ester if ied Fatty Acid; NEFA) , G0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GPT(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 LAP(Liver Activator Protein), 콜린에스터라제 (Cholinesterase; ChoE), 총 단백질 (TP-S) 및 알부민 (ALB-S)을 중앙대학교 병원 임상병리학과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ᅳ
표 2 는 마우스의 4주 동안 체중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에 비하여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마우스들의 평균 체중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보리지 추출물 섭취 3주 후부터 4 g 이상의 현저한 감소가 확인되었다. 혈당을 나타낸 데이터에서는 보리지 추출물 섭취를 시작한 후 2 주 후부터 대조군과 대비하여 현저한 혈당 감소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4 주차에 서는 보리지 추출물을 4 주 동안 섭취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약 200 mg/ cW이상의 혈당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추출물이 혈당상승을 효과적으로 저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
Figure imgf000015_0001
표 3 은 간 중량 및 혈액 시험. 데이터를 나타낸 결과이다. 결과에 의하면 우선 간 중량, GOT 및 GPT 등 독성과 관련되어 대조군과 보리지 추출물을 섭취한 분을 비교하면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보리지 추출물이 간독성을 전혀 갖지 않는 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보리지 추출물을 섭취한 당뇨병 마우스에서 T-CHO , TG 및 NEFA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약 29%, 65% , 49%의 통계학적으로 뚜렷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는 보리지 추출물이 지질 대사 개선 작용을 통해서 고지질 혈증을 감소 시켜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3】
대조군 보리지 추출물섭취군 간 중량 (g/lOOg 체중) 4.19±0.82 4.01±0.62
T-CH0(mg7 O 172 ±18 121±11*
TG(mg'/di,) 137±48 48 ±17*
NEFA( u Eq/L) 3733 ±704 1905 ±575*
GOTC1U/L) 104 ±27 91±18
GPKIU/L) 35.7±14.7 31.1±12.5
LAP(1U/L) 61.3士 9.3 59.3±5.3
ChoE(lU/L) 158士 18 159士 15
TP-S(g/di,) 4.83±0.36 5.03±0.42
ALB-S(g/d ) 3.01±0.35 2.88±0.53
상기 결과들로부터, 보리지 추출물은 혈당 상승 저해와 체중 감소 뿐 아니라 지질 대사 개선작용을 모두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5: 보리지 추출물의 고혈압 예방 효과
노화에 따라 고혈압이 유발되는 고혈압 동물 모델인 자발성 고혈압 랫트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를 사용하여 보리지 추출물의 항고혈압 효능을 확인하였다.
SHR (수컷, 6 주령)들을 각 군당 10 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고, 정상적인 기본식이를 섭취하는 대조군과 보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고혈압을 유발하기 위하여 대조군은 3 m.(Vkg/일 프로필렌 글리콜을 처리하고 보리지 추출물군은 30 mg/3 m£/kg/일의 투약량으로 프로필렌 글리콜에 보리지 추출물을 흔합하여 섭취시켰다. 모두 4주간 혈압 저하 효능을 경구 투여를 통해서 확인했다. 나머지 취식과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처리 개시일 바로 전날 및 처리 후 7 일, 14 일, 21 일 및 28 일에 비관혈식 자동혈압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꼬리 동맥에서 혈압을 측정하였다. 혈압 측정은 각 시료 투여 전에 수행하였다. 혈압 데이터를 표 4 에 나타내었다. 투여 개시 전, 혈압은 115 瞧 Hg로 각 군은 모두 정상 수치에 해당되었다. 대조군의 경우 처리 후 7 일에 혈압이 상승되기 시작하여 고혈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보리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과 달리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14 일 , 21 일 및 28 일 째는 대조군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기 시작해서 투여 후 28 일에는 약 12% 정도 혈압 저하가 관찰 되었다.
【표 4]
대조군 보리지 추출물섭취군 투여 전 115士 3.1 118±2.7
1주 137±2.8 126±2.1*
2주 148±5.1 131土 3.6*
3주 168±4.2 143±6.8*
4주 167士 3.8 147±5.1*
실시예 6: 인체시험을 통한 체중 조절 및 비만 개선 효능
남녀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게 하여 섭취 전후 체중 변화 및 체지방 측정을 통해서 체중 조절 및 비만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검사에 동의한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의 남녀 50명 (남성 22명 , 여성 28 명)을 위약을 섭취한 대조군 (placebo)과 본 추출물의 흔합물 (8:2 흔합비)을 섭취한 실험군으로 각 25 명씩 임의로 분류하여 4주간 위약 또는 실험약을 일일 400 mg 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는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가 23 이상인 사람 또는 복부둘레 남자 90 cm, 여자 80 cm 이상인 사람을 선정하였다. 섭취 전과 후에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맥박, 신체조성 (체지방율 및 제지방량-임피던스법) 및 혈액검사를 통해서 HDL-콜레스테를,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를 등을 측정하여 보리지 조성물의 섭취로 대사성 질환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체질량지수 (Body-Mass Index)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 섭취군과 위약군 (Placebo)의 BMI(체질량지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으며, 결과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기입하였고ᅳ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를 이용하였고, pO.05 시에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표시하였다.
시험 결과, 대조군의 BMI 가 섭취 전후 크게 차이가 없는 반면ᅳ 본 조성물 섭취군은 섭취 전에 비해 BMI 가 약 2.4 kg/n 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만 혹은 과체중을 조절 흑은 개선시킬 수 있음을 체질량지수의 감소를 통해서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imgf000018_0001
허리둘레
본 발명의 보리지 추출물 섭취군과 위약군 (Placebo)의 허리둘레를 도 5 에 나타내었으며, 결과 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기입하였고,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를 이용하였으며, p<0.05 시에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표시하였다.
시험 결과, 대조군의 허리둘레가 섭취 전 /후 크게 차이가 없는 반면, 보리지 추출물의 섭취군은 섭취 전에 비해 허리둘레가 약 3.98 cm 가량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이 복부 지방 증가를 예방하고 개선시킬 수 있음을 허리둘레 감소를 통해서 타나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보리지 (Borage officina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metabolic diseases)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dyslipidemia), 지방간 및 인슬린 저항성 증후군 (insulin resistance syndrom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질환 (metabolic diseas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방혈증은 고지혈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술린 저항성 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에 의한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인슐린혈증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슐린 저항상 증후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6】
보리지 (Borage officina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 (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metabolic diseases)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
【청구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 이상지방혈증 (dyslipidemia),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insulin resistance syndrom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질환 (metabol ic diseas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8】
제 6 항에 있어서ᅳ 상기 이상지방혈증은 고지혈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에 의한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인슐린혈증 및 비알코을성 지방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14/010132 2013-11-12 2014-10-27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726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61856.8A CN105722519A (zh) 2013-11-12 2014-10-27 包含琉璃苣提取物的代谢性疾病的改善、预防或治疗用组合物
JP2016553186A JP6220081B2 (ja) 2013-11-12 2014-10-27 ボリジ抽出物を含む代謝疾患の改善、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877 2013-11-12
KR1020130136877A KR101620077B1 (ko) 2013-11-12 2013-11-12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2674A1 true WO2015072674A1 (ko) 2015-05-21

Family

ID=5305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132 WO2015072674A1 (ko) 2013-11-12 2014-10-27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20081B2 (ko)
KR (1) KR101620077B1 (ko)
CN (1) CN105722519A (ko)
WO (1) WO20150726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6806B1 (en) * 2018-06-13 2019-10-01 Muhammad Iqbal Choudhary Anti-obesity effect of Borago officinalis linn. extracts to prevent and treat metabolic disord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96646A1 (en) 2012-12-27 2014-07-03 Hayashibara Co., Ltd. Skin-exterior anti-ageing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8432924A (zh) * 2018-06-08 2018-08-24 贵州玉屏展鸿茶叶有限公司 一种防治糖尿病的保健茶
KR102193317B1 (ko) * 2019-03-12 2020-12-22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38430B1 (ko) * 2019-05-29 2021-04-09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37997A (ko) 2020-09-18 2022-03-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디메틸칼콘 유도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5001A (ko) 2022-03-15 2023-09-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디메틸칼콘 유도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6463A (en) * 1997-02-19 1998-07-07 Arginteanu; Ronit Method of reducing stress and circulatory heart disease with freeze-dried borage petal extracts
JPH11322628A (ja) * 1998-05-12 1999-11-24 Fukiya Tadashi 皮膚外用剤
KR20040052904A (ko) * 2004-05-13 2004-06-23 약초나라(주)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 저하 기능을 가지는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8949A (zh) * 2010-11-16 2011-02-23 王京南 γ-亚麻酸酯脂肪乳静脉注射液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6463A (en) * 1997-02-19 1998-07-07 Arginteanu; Ronit Method of reducing stress and circulatory heart disease with freeze-dried borage petal extracts
JPH11322628A (ja) * 1998-05-12 1999-11-24 Fukiya Tadashi 皮膚外用剤
KR20040052904A (ko) * 2004-05-13 2004-06-23 약초나라(주)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 저하 기능을 가지는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ILANI, ANWARUL HASSAN ET AL.: "Pharmacological basis for the use of Borago officinalis in gastrointestinal,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order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114, 2007, pages 393 - 399 *
PIESZAK, MARZENA ET AL.: "Borage (Borago officinalis L.) - a valuable medicinal plant used in herbal medicine", HERBA POLONICA, vol. 58, no. 4, 2012, pages 95 - 10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6806B1 (en) * 2018-06-13 2019-10-01 Muhammad Iqbal Choudhary Anti-obesity effect of Borago officinalis linn. extracts to prevent and treat metabolic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0081B2 (ja) 2017-10-25
KR20150054439A (ko) 2015-05-20
JP2016537422A (ja) 2016-12-01
CN105722519A (zh) 2016-06-29
KR101620077B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2674A1 (ko)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030447B2 (ja) 緑茶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EP3705127A2 (en) Composition comprisingsalvia miltiorrhiza
KR20190090362A (ko)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2167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8221B1 (ko) 금방동사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2526360B (zh) 一种具有辅助减肥功能的保健品
JP2019513693A (ja) 耽羅笹抽出物を含む女性更年期症状の改善用組成物
KR101445966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69717B1 (ko) 캡시코시드 g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01381B1 (ko) 드라콘토멜론 마크로카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JP4585227B2 (ja) 痩身用キット
TWI719740B (zh) 植物發酵物的製備方法、以及該發酵物及其活性成分的應用
KR20130093045A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01380B1 (ko) 유프텔레아 플레이오스퍼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471048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557557B1 (ko) 엔드리케리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US20210267912A1 (en) Methyl sulfonyl methane-containin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besity, fatty liver, and diabetes
RU2373772C2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веса и комплексы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к пище для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230065192A (ko)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너지 대사 촉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100134A (ko) 필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7527B1 (ko) 1β?하이드록시?2?옥소포몰산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50046699A (ko) 아르디시아 아르보레센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2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5318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4/09/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2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