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41429A1 - 더치 커피 드립장치 - Google Patents

더치 커피 드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41429A1
WO2015041429A1 PCT/KR2014/008477 KR2014008477W WO2015041429A1 WO 2015041429 A1 WO2015041429 A1 WO 2015041429A1 KR 2014008477 W KR2014008477 W KR 2014008477W WO 2015041429 A1 WO2015041429 A1 WO 20150414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dripper
dutch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4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경연
Original Assignee
황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연 filed Critical 황경연
Priority to JP201651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6522045A/ja
Priority to US14/892,827 priority patent/US20160183714A1/en
Publication of WO20150414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414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drip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extract a coffee having a deep, soft taste and aroma by extracting coffee from a coffee powder by using intermittent drops of room temperature water. It relates to a drip device.
  • Dutch coffee is one of coffee made by directly extracting coffee from coffee powder using beans.
  • the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by slowly dropping water toward the coffee powder located below it.
  • the water is extracted over a long period of 3 to 24 hours us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 Dutch coffee which is extracted in the above manner, is extracted us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so the caffeine content is well extracted from hot water of 80 ° C. or more, and it has a deep and soft taste while being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drip coffee. Thereby, various types of Dutch coffee drip device has been developed.
  •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may include an entrance 110 as shown in FIG. 1.
  •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mply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drip amount control valve 50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00 to control the speed of water falling on the bean tank 400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 the amount (speed) of the falling water but because the water falls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do not fall evenly throughout the coffee powder accommodated in the bean tank 400, as a result of the coffee powder
  • the coffee is excessively extracted, while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from the coffee powder located at the portion not in contact with water is disadvantageous.
  • the coffee making apparatus disclosed in this patent document relates to a drip coffee making apparatus for extracting drip coffee using hot water.
  • a water supply hos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s in the above-described coffee extractors so that water may fall through the hose.
  • the inside of the hose is not hygienic due to pinch of water, and there is a concern that coffee of the same taste may not always be extracted becaus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coffee powder due to the clogging of the hose. There i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utch coffee drip device as described above, while allowing the water at room temperature to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coffee powder and excellent hygiene and can always extract the same taste of Dutch coffee
  • the object is to provide a Dutch coffee drip devi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Dutch coffee drip device, the cradle provided with the upper plate, the middle plate and the lower plate; A water supply container fixed to the upper plate; A pressure pump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pressurize and spray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dripper fixed to the intermediate plate and receiving coffee powder therein to extract coffee by water injected from the pressure pump; A drip server fixed to the lower plate and containing coffee extracted from the dripper, wherein the pressure pump includes a drive motor, a cam rotated by the drive motor, and a press lever operated up and down by the cam; And an injection nozzle for injecting pressurized water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lever.
  • the dripper is an upper portion of the dripper body formed with an extraction hole at the bottom; It is preferably made of a cylindrical injection guide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pper body, the filter is provided inside the dripper body.
  • a water inlet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pump, the water inlet hole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vessel.
  • the injection nozzle is preferably fixed to the pressure lever is operated up and down with the pressure lever.
  • one end of the pressure lever is more preferably carried by the spring.
  • LED is preferably installed.
  • the water pressurized by the pressure pump is sprayed by the spray nozzle to extract coffee, water is uniformly sprayed on the coffee powder, and as a result, excessive or excessive extraction of coffee from the coffee powder is prevented. .
  •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increase the time interval that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ffee powd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an extract the Dutch coffee having a deeper taste and aroma.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utch coffee drip devic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utch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ssur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ssur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sur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racket 32 water inlet ho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drip device for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 Dutch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holder 10,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 The pressure pump 30, the dripper 40 and the drip server 50.
  • the cradle 10 serving as a frame of the Dutch coffee drip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lates in a double 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3, and these layers include a water container 20, a dripper 40, and The drip server 50 and the like are respectively seated.
  • the cradle 10 consists of an upper plate 11 and a lower plate 14 and an intermediate plate 12 installed between these upper and lower plates 11 and 14, which are It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up and down by a plurality of support (15).
  • through holes (11A, 12A)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lat plate-shaped upper plate 11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 respectively, the water supply vessel 20 and the dripper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se through holes (11A, 12A) 40) is inserted and fixed.
  • a pressure pump 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11A formed in the upper plate 11, and the pressure pump 30 is a water supply container 20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11A.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is located on the upper plate 11 of the holder 10.
  •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is a container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as shown in FIG.
  • a separate lid 21 may be further provided to close the upper portion.
  • the water container 2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therein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 the water supply hole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so that the water stored therein can be supplied to the pressure pump 30 to be described later.
  • the pressure pump 3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to pressurize and spray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is an upper plate 11 as shown in FIGS. 5 to 7.
  • Bracket 31 is fixed to the through-hole 11A of the installation
  • the water inlet hole 32 is installed in the bracket 31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the water flows in, and the water inlet hole 32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33 for injec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inlet hole 32 to the lower, the pressure lever 34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nozzle 33 to pressurize the water, and the pressure lever 34
  • It consists of a drive motor 35 for operating the motor, in which the cam 35A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motor 35, one end of the pressing lever 34 is in the structure of the cam 35A It is installed to repeat contact and non-contact by the spring, the spring (S) is supported on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lever (34).
  • the injection lever 34 is fixed to the injection nozzle as shown in Figure 5, for this purpose is fixed holes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pressure lever 34, respectively, fixed to surround the injection nozzle 33 in the fixed hole
  • the bracket 33A is fitted and fixed.
  • LED 37 for emitting light of various colors is installed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water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 the LEDs 37 of various colors are turned on to illuminate the sprayed water, thereby creating a high aesthetic atmosphere.
  • the pressing lever 34 is formed in a plate shape is bent in a "c" shape of the upper ope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water inlet 32 of the pressure pump 30 in the through-hole Is located.
  • one end of the pressure lever 34 is coupled to the hinge (not shown) installed on the bracket 31, the other end is capable of tilting up and down, and the other end of the tiltable cam (35A) is installed in contact, thereby pressing The lever 34 moves up and down to pressurize water to spray through the spray nozzle 33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 the upper side of the water inlet hole 3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36, as shown in Figure 7, the support member 36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water supply hol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20 is inserted A ball (not shown) is formed, in which the O-ring is installed to maintain watertightness with the water supply hole inside the insertion hole.
  • the Dutch coffee drip device typically supplies a drop of water to the coffee powder every 3 to 4 seconds.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not sho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cradle 10, the controller is attached to the extraction time selection button, there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n multiple stages As a result, the user can extract and enjoy coffee of a deeper taste by selecting the extraction time longer according to taste.
  • the intermediate plate 12 of the support (10) is provided with a dripper 40 over, the dripper 40 is a container in which the top is opened to put the coffee powder therein, the pressure pump 30 is located at the top Coffee is extracted by the water sprayed in.
  • the dripper 4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n extraction hole is formed, as shown in FIG. 8, and a filter (without reference numeral) is inserted therein.
  • the dripper 40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2A), and the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a relatively large outer diameter compared to the through hole 12A to be fixed.
  • the dripp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a dripper body 41 having an extraction hole formed at the bottom, and a cylindrical spray guide having an upper and lower sides opened while being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pper body 41 ( 42), but the injection guide 42 prevents th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33 of the pressure pump 30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o adsorb dust and the like in the air. Prevents sprayed water from scattering outside.
  • the injection guide 42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pper body 41, for this pur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dripper body 41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41A formed with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guide 42 At this time, the fitting portion 41A functions as the locking portion described above.
  • the dripper 40 includes the injection guide 42 and the dripper body 41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11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 to fix the injection guide 42 and the dripper body 41 respectively.
  • Auxiliary plate 13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nd in the center of the auxiliary plate 13, a through hole 13A having the same position and size as the through hole 12A formed in the upper plate is formed.
  • the injection guide 42 is fitt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jection guide 42, and a locking portion 42A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13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guide 42.
  •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dripper main body 41, and the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dripper main body 41, where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33 is guided by the injection guide 42 to the dripper main body.
  • the coffee is extrac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41, the extracted coffee is dropped and stored in the drip server 50 through the extraction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ipper main body 41.
  • the drip server 50 installed in the lower plate 14 of the support 10 is a container in which the extracted coffee is stored as shown in FIGS. 2 and 9, and the drip server 50 is the extracted coffee.
  • the material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mount can be easily checked, and a handle (without reference numeral) is provided on the side for easy lifting by the user.
  • Water injec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dripper 40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dripper 40 while the coffee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coffee is drips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through the extrac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ipper 40. Dropped to the server 50 is stored.
  • the present invention pressurizes water with a pressure pump and sprays the coffee powde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so that the coffee is extracted while the water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coffee powder, and thus the Dutch coffee having the same taste and aroma can be extracted.
  • a hose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ffee powder is not necessary, sanitary safer coffee can be extra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의 물을 사용하여 커피분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플레이트(11), 중간 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4)가 구비된 거치대(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급수용기(20)와; 상기 급수용기(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수용기(20)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압하여 분사하는 가압펌프(30)와; 상기 중간플레이트(12)에 고정되며, 내부에 커피분말을 수용하여 상기 가압펌프(30)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드리퍼(4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14)에 고정되며 상기 드리퍼(40)로부터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펌프(30)는 구동모터(35)와, 상기 구동모터(35)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캠(35A)과, 상기 캠(35A)에 의해 상하동작하는 가압레버(34)와, 상기 가압레버(34)의 동작에 의해 가압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3)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커피분말에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깊고 동일한 맛과 향의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치 커피 드립장치
본 발명은 더치 커피 드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간헐적으로 낙하되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분말에서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깊고 부드러운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Dutch coffee)란 원두를 이용한 커피분말로부터 커피를 직접 추출하여 만든 커피 중의 하나로서, 물을 그 하부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쪽으로 천천히 한 방울씩 낙하시킴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며 이러한 더치 커피는 일반적으로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3 ~ 24시간 정도의 장시간에 걸쳐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하는 더치 커피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80℃ 이상의 뜨거운 물에서 잘 추출되는 카페인의 함량이 드립커피(drip coffee)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도 깊고 부드러운 맛이 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더치 커피 드립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13-81558호에 개시된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들 수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10)를 가지는 밀폐형의 물탱크(100)와; 상기 출입구(110)에 조립되어 물탱크(100)를 밀폐하는 제1패킹마개(200)와; 상기 제1패킹마개(200)에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게 끼움되는 드립포트(300) 및; 상기 드립포트(300)의 중간에 구비되고, 물탱크(100)에서 원두탱크(400)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미세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500)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물탱크(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드립량 조절밸브(500)의 개도를 단순히 조절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하는 원두탱크(400)에 떨어지는 물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한 것으로, 낙하되는 물의 양(속도)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물이 물방울 형태로 낙하되기 때문에 원두탱크(400)에 수용된 커피분말 전체에 걸쳐 골고루 낙하되지 못하고, 그 결과 커피분말의 일부에서는 커피가 과도하게 추출되는 반면, 물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는 커피분말로부터의 커피의 추출은 과소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커피분말로부터의 커피 추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37543호에 개시된 드립식 커피 제조장치에서와 같이 물탱크로부터 낙하되는 뜨거운 물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 커피분말이 담긴 용기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물이 커피분말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다소 균일하게 커피가 추출되기는 하지만, 이 장치 역시 기본적으로 물이 물방울 형태로 낙하되기 때문에 균일한 커피의 추출에 한계가 있고, 더구나 이 특허문헌에 개시된 커피 제조장치는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드립식 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더치 커피를 비롯한 대부분의 커피 추출장치에서 커피를 추출할 때에는 상기에서 예를 든 커피 추출장치들에서와 같이 물탱크의 하부에 물공급 호스 등을 마련하여 놓고 이 호스를 통해 물이 낙하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호스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호스의 내부에 물때가 끼어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스의 막힘으로 인해 일정한 양의 물이 커피분말에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항상 동일한 맛의 커피가 추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물이 물방울 형태로 낙하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균일한 커피를 내릴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 특허공보 제6,843,1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539호 등에서와 같이 물을 커피분말의 상부에서 분사함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커피를 균일하게 추출하는 커피 추출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들 커피 추출장치는 모두 온수를 사용하는 드립 커피 추출장치로서 상온의 물을 간헐적으로 커피분말에 공급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또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긴 길이의 호스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호스의 내부에 물때 등이 끼는 단점은 그대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치 커피 드립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온의 물이 커피분말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동시에 위생성이 우수하며 항상 동일한 맛의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더치 커피 드립장치를, 상부플레이트,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가 구비된 거치대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수용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압하여 분사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내부에 커피분말을 수용하여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드리퍼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드리퍼로부터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펌프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캠과, 상기 캠에 의해 상하동작하는 가압레버와, 상기 가압레버의 동작에 의해 가압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드리퍼는 상부가 개방되며 하단에 추출공이 형성된 드리퍼본체와; 상기 드리퍼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원통 형상의 분사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리퍼본체의 내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펌프의 상부에는 물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공은 상기 급수용기의 하단에 형성된 급수공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노즐은 가압레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레버와 함께 상하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레버의 일단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가압펌프의 하부에는 LED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물을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커피분말에 물이 균일하게 분사되며, 그 결과 커피분말로부터의 커피 추출이 과도하거나 과소하게 추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펌프의 동작이 기계적인 캠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동작이 담보될 수 있고, 그 결과 동일한 맛과 향의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커피분말에 물이 분사되는 시간 간격을 자유로이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깊은 맛과 향기를 가지는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드립 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드립 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펌프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펌프의 예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펌프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 드립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거치대 11: 상부플레이트
11A: 관통공 12: 중간플레이트
12A: 관통공 13: 보조플레이트
13A: 관통공 14: 하부플레이트
15: 지지대 20: 급수용기
21: 뚜껑 30: 가압펌프
31: 브래킷 32: 물유입공
33: 분사노즐 33A: 고정브래킷
34: 가압레버 35: 구동모터
35A: 캠 36: 지지부재
37: LED 40: 드리퍼
41: 드리퍼본체 41A: 끼움부
42: 분사가이드 42A: 걸림부
50: 드립서버 S: 스프링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더치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 드립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 급수용기(20), 가압펌프(30), 드리퍼(40) 및 드립서버(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치 커피 드립장치의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는 거치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판이 상하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들 층에는 후술하는 급수용기(20), 드리퍼(40) 및 드립서버(50) 등이 각각 안착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는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4) 및 이들 상하부플레이트(11, 14)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복수 개의 지지대(15)에 의해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평판 형상의 상부플레이트(11)와 중간플레이트(12)의 중앙에는 관통공(11A, 12A)이 각각 형성되며, 이들 관통공(11A, 12A)을 통해 후술하는 급수용기(20)와 드리퍼(40)가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1)에 형성된 관통공(11A)의 하부쪽에는 후술하는 가압펌프(30)가 설치되며, 이 가압펌프(30)는 관통공(11A)의 상부쪽에 설치되는 급수용기(20)의 하단에 형성된 급수공(도면부호 없음)과 연결된다.
거치대(10)의 상부플레이트(11)에는 급수용기(20)가 위치되는데, 이러한 급수용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로서, 개방된 상부를 닫기 위해 별도의 뚜껑(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급수용기(20)는 그 내부에 담긴 물의 양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급수용기(20)의 하단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후술하는 가압펌프(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공이 하향 돌출 형성된다.
급수용기(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수용기(20)의 급수공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압하여 분사시키는 가압펌프(3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의 관통공(11A)에 설치 고정되는 브래킷(31)과, 브래킷(31)에 설치되며 급수용기(20)의 급수공과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32)과, 물유입공(32)과 연결되어 물유입공(3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하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33)과, 노즐(33)을 승하강시켜 물을 가압하는 가압레버(34)와, 가압레버(34)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35)로 이루어지며, 이때 구동모터(35)의 회전축에는 캠(35A)이 설치되고, 이 캠(35A)에는 가압레버(34)의 일단이 캠(35A)의 구조에 의해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도록 설치되며, 가압레버(34)의 타단에는 스프링(S)이 탄지된다.
그리고 가압레버(34)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이 고정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가압레버(34)의 양 측면에는 각각 고정공이 형성되며, 이 고정공에 분사노즐(33)을 감싸는 고정브래킷(33A)이 끼움 고정된다.
또한 가압펌프(30)의 하부쪽에 설치된 분사노즐(33)의 주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방사하는 LED(37)가 설치되며, 이에 의해 분사노즐로부터 물이 분사될 때 다양한 색상의 LED(37)가 점등되어 분사된 물을 비춤으로써 심미감이 높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압펌프(30)의 구조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5)가 회전 동작되면, 이에 의해 캠(35A)이 회전 동작되고, 이 캠(35A)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가압레버(34)의 일단이 눌려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다시 캠(35A)의 형상에 의해 가압레버(34)의 눌림이 해제되면서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복귀됨으로써 상하로 동작되며, 이러한 가압레버(34)의 상하 동작에 의해 가압레버(34)에 고정된 분사노즐(33)이 함께 승강되면서 물유입공(32)의 물이 가압되어 분사노즐(33)을 통해 하향 분사된다.
이때 가압레버(34)는 판 형상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에는 가압펌프(30)의 물유입공(32)이 위치된다.
그리고 가압레버(34)의 일단은 브래킷(31)에 설치된 힌지(도면부호 없음)에 결합됨으로써 타단이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틸팅 가능한 타단에는 캠(35A)이 접촉 설치되며, 이에 의해 가압레버(34)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물을 가압하여 하부에 설치된 분사노즐(33)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물유입공(32)의 상부쪽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6)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지지부재(36)에는 급수용기(20)의 돌출된 급수공이 삽입되는 삽입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며, 이때 삽입공의 내부에는 급수공과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오링이 설치된다.
더치 커피는 물을 천천히 공급할수록 깊은 맛을 내게 되며, 이에 따라 더치 커피 드립장치에서는 통상 커피분말에 3~4초 간격으로 한 방울씩의 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더치 커피는 물 공급시간이 길수록 더욱 깊은 맛과 풍미를 내는데, 종래의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서는 물의 자연낙하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물 공급시간을 늘리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거치대(10)의 상부플레이트(11)의 외측면에 제어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데, 이 제어기는 추출시간 선택 버튼이 부착되고,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속도가 다단으로 제어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추출시간을 길게 선택함으로써 더욱 깊은 맛의 커피를 추출하여 음미할 수 있다.
지지대(10)의 중간플레이트(12)에는 드리퍼(40)가 걸쳐 설치되며, 이러한 드리퍼(40)는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부에 커피분말이 담기는 용기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펌프(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데 이를 위해 드리퍼(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추출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필터(도면부호 없음)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드리퍼(40)의 상부쪽에는 드리퍼(40)가 관통공(12A)에 끼움 결합된 다음,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12A)에 비해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걸림부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추출공이 형성된 드리퍼본체(41)와, 드리퍼본체(41)의 상부에 조립되면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분사가이드(4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는데, 이때 분사가이드(42)는 가압펌프(30)의 분사노즐(33)에서 분사되는 물이 외부 공기와 접촉됨으로써 공기 중의 먼지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분사된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분사가이드(42)는 드리퍼본체(41)의 상부에 끼움 조립되는데, 이를 위해 드리퍼본체(41)의 상부에는 분사가이드(42) 하단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끼움부(41A)가 구비되며, 이때의 끼움부(41A)는 상술한 걸림부의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드리퍼(40)가 분사가이드(42)와 드리퍼본체(41)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분사가이드(42)와 드리퍼본체(41)를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11)와 중간플레이트(12) 사이에 보조플레이트(13)를 설치하고, 이 보조플레이트(13)의 중앙에는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12A)과 동일한 위치와 크기의 관통공(13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13A)에 분사가이드(42)가 끼움 고정되는데, 이때 분사가이드(42)의 상부에는 관통공(13A)에 걸릴 수 있도록 외경이 관통공(13A)보다 큰 걸림부(42A)가 형성된다.
이때 필터는 드리퍼본체(4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드리퍼본체(41)에는 커피분말이 수용되며, 이에 의해 분사노즐(33)로부터 분사된 물이 분사가이드(42)에 의해 안내되어 드리퍼본체(4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드리퍼본체(41)의 하단에 형성된 추출공(도면부호 없음)을 통해 드립서버(50)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지지대(10)의 하부플레이트(14)에 설치되는 드립서버(5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추출된 커피가 저장되는 용기로서, 이때 드립서버(50)는는 추출된 커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쉽게 들 수 있도록 측면에는 손잡이(도면부호 없음)가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더치 커피 드립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리퍼(40)의 내부에 필터를 설치한 다음, 일정 양의 커피분말을 담아 거치대(10)의 중간플레이트(12)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급수용기(20)에 물을 담은 다음, 사용자가 제어기를 조작하여 물이 낙하되는 속도(시간)를 선택한 다음, 시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35)가 회전 동작되면서 이에 의해 캠(35A)이 회전 동작된다.
이렇게 캠(35A)이 회전 동작되면, 캠(35A)과 접촉 설치된 가압레버(34) 일단의 눌림과 눌림 해제가 반복되면서 물을 가압하여 가압레버(34)에 부착된 분사노즐(33)을 통해 드리퍼(40) 쪽으로 분사하게 된다.
드리퍼(40)의 상부로 분사된 물은 드리퍼(40)에 담긴 커피분말을 통과하면서 커피가 추출되고, 이렇게 추출된 커피는 드리퍼(40)의 하부에 형성된 추출공을 통해 그 하부에 위치하는 드립서버(50)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펌프로 물을 가압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커피분말에 분사하기 때문에 커피분말에 물이 고르게 분포되면서 커피가 추출되고, 그 결과 동일한 맛과 향을 지니는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커피분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더욱 안전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Claims (6)

  1. 상온의 물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치 커피 드립장치는,
    상부플레이트(11), 중간 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4)가 구비된 거치대(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급수용기(20)와;
    상기 급수용기(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용기(20)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압하여 분사하는 가압펌프(30)와;
    상기 중간플레이트(12)에 고정되며, 내부에 커피분말을 수용하여 상기 가압펌프(30)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드리퍼(4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14)에 고정되며 상기 드리퍼(40)로부터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펌프(30)는 구동모터(35)와, 상기 구동모터(35)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캠(35A)과, 상기 캠(35A)에 의해 상하동작하는 가압레버(34)와, 상기 가압레버(34)의 동작에 의해 가압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40)는 상부가 개방되며 하단에 추출공이 형성된 드리퍼본체(41)와; 상기 드리퍼본체(41)의 상부에 조립되는 원통 형상의 분사가이드(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리퍼본체(41)의 내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30)의 상부에는 물유입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공(32)은 상기 급수용기(20)의 하단에 형성된 급수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3)은 상기 가압레버(34)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레버(34)와 함께 상하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34)의 일단은 스프링(S)에 의해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30)의 하부에는 LED(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드립장치.
PCT/KR2014/008477 2013-09-17 2014-09-11 더치 커피 드립장치 WO20150414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15293A JP2016522045A (ja) 2013-09-17 2014-09-11 ダッチコーヒーのドリップ装置
US14/892,827 US20160183714A1 (en) 2013-09-17 2014-09-11 Dutch coffee dri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761A KR101381480B1 (ko) 2013-09-17 2013-09-17 더치 커피 드립장치
KR10-2013-0111761 2013-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1429A1 true WO2015041429A1 (ko) 2015-03-26

Family

ID=5065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477 WO2015041429A1 (ko) 2013-09-17 2014-09-11 더치 커피 드립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83714A1 (ko)
JP (1) JP2016522045A (ko)
KR (1) KR101381480B1 (ko)
WO (1) WO20150414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536B2 (en) * 2016-05-31 2019-05-07 Chouki International Company Ltd. Steam show device for beverage mak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6218B2 (en) * 2012-10-09 2022-08-09 Ene Holdings Ltd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KR101550537B1 (ko) * 2014-04-08 2015-09-07 김승현 분사식 더치커피 제조 장치
KR101622481B1 (ko) 2014-11-21 2016-05-18 조중배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558895B1 (ko) * 2015-02-06 2015-10-13 문성윤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2102894B1 (ko) * 2018-02-05 2020-05-29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드립 커피 메이커
US11103103B2 (en) * 2018-09-24 2021-08-3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ld brewed coffee system in a refrigerator appliance
JP2022174384A (ja) * 2021-05-11 2022-11-24 株式会社グリーンハウス コーヒーメーカ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892A (ja) * 1999-09-14 2001-03-27 Ooji:Kk 冷水式コーヒー抽出装置
KR20120078180A (ko) * 2010-12-31 2012-07-10 윤대민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KR20120106406A (ko) *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커피가 더치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더치 커피 제조 방법
KR101269885B1 (ko) * 2012-12-14 2013-05-31 김윤지 더치 커피기구 스텐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1560A (ko) * 1974-10-27 1976-05-07 Yoshihiro Tanaka
JPS5483110A (en) * 1977-12-15 1979-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spray
JPS6032504B2 (ja) * 1978-04-06 1985-07-29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往復ポンプ
JPS5927A (ja) * 1982-06-23 1984-01-05 福谷 修治 水にてコ−ヒ−液を抽出する方法
US4603620A (en) * 1985-02-01 1986-08-05 Bunn-O-Matic Corporation VPS with hot water dispenser
JPH0368318A (ja) * 1989-08-08 1991-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抽出装置
JP2881334B2 (ja) * 1990-06-05 1999-04-12 日産テクシス株式会社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緯入れポンプ
US6827004B2 (en) * 2002-05-17 2004-12-07 Sunbeam Products, Inc. Drip coffee maker with horizontal spray shower head
JP2004009040A (ja) * 2002-06-05 2004-01-15 Narusa Tokyo:Kk 照明付き噴霧器
JP3107803U (ja) * 2004-09-17 2005-02-17 ▲燠▼梁 林 低温抽出装置
JP3118417U (ja) * 2005-11-08 2006-01-26 セントラルジャパン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サー
US8250972B2 (en) * 2007-04-05 2012-08-28 Primo Products, LLC Select serving and flavored sparkling beverage maker
US20090317526A1 (en) * 2008-06-18 2009-12-24 Christopher Tacklind Coffee brewing system
JP2010096415A (ja) * 2008-10-16 2010-04-30 Oiwa Machinery Corp 冷却用ミスト噴霧システム
JP3149699U (ja) * 2009-01-27 2009-04-09 李源紘 コーヒーの氷ドリップ装置
ES2374237T3 (es) * 2009-10-23 2012-02-15 Gruppo Cimbali S.P.A. Una máquina de café con regulación de presión de dispensación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KR101392192B1 (ko) * 2013-01-21 2014-05-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496932B1 (ko) * 2013-09-16 2015-03-02 이동열 더치커피 제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892A (ja) * 1999-09-14 2001-03-27 Ooji:Kk 冷水式コーヒー抽出装置
KR20120078180A (ko) * 2010-12-31 2012-07-10 윤대민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KR20120106406A (ko) *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커피가 더치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더치 커피 제조 방법
KR101269885B1 (ko) * 2012-12-14 2013-05-31 김윤지 더치 커피기구 스텐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536B2 (en) * 2016-05-31 2019-05-07 Chouki International Company Ltd. Steam show device for beverage ma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2045A (ja) 2016-07-28
US20160183714A1 (en) 2016-06-30
KR101381480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41429A1 (ko) 더치 커피 드립장치
US20200315247A1 (en) Electrically-Powered Hookah Apparatus, Capsule of Combustible Material for Use Therewith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U2016353897B2 (en) Water pipe
WO2011049267A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18159958A1 (ko) 커피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 방법
WO2020009391A1 (ko)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WO2016186384A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MD3265C2 (ro) Sistem pentru transferarea pacheţelelor individuale de cafea din container în camera de extragere a aparatului de preparare a cafelei ESPRESSO
WO2013032104A1 (ko)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WO2015012529A1 (ko) 더치커피 드립 장치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EP2311503A1 (en) Aroma dispenser
WO2015178533A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WO2018194355A1 (ko)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WO2014137150A1 (ko) 화장실 방향제분사장치
WO2013154260A1 (ko) 액체질소 공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KR101651939B1 (ko)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 장치
HK1035998A1 (en) Automatic basting roaster
WO2019088553A1 (ko) 멀티 음료 캡슐
CN202287821U (zh) 全自动泡茶机
CN205830481U (zh) 一种智能植物生长机
CN213216384U (zh) 一种磁吸式茶滤网杯盖组件及办公杯
WO2016137036A1 (ko)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WO2010098512A1 (ko) 밸브개폐구조를 갖는 액상화장용 퍼프
CN213155213U (zh) 一种自动出水的泡茶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55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1529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2827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455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