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30280A1 - 포구 자동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포구 자동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30280A1
WO2015030280A1 PCT/KR2013/007847 KR2013007847W WO2015030280A1 WO 2015030280 A1 WO2015030280 A1 WO 2015030280A1 KR 2013007847 W KR2013007847 W KR 2013007847W WO 2015030280 A1 WO2015030280 A1 WO 20150302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leaning
hole
muzzle
cleaning member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78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정밀기계(주) filed Critical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to AU201339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3399269A1/en
Priority to MX2015015554A priority patent/MX2015015554A/es
Priority to JP2016512808A priority patent/JP6049941B2/ja
Priority to SK50069-2015A priority patent/SK500692015A3/sk
Publication of WO20150302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30280A1/ko
Priority to IL240926A priority patent/IL240926B/en
Priority to SA515370125A priority patent/SA515370125B1/ar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41A29/02Scrapers or cleaning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zzle automat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individually clea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uzzle with a steel wire for each steel wire.
  • the inside of the muzzle attaches debris that is generated after the ammunition and ammo is burned, which reduces the accuracy of the shell fired during shooting. Therefore, after the use of the muzzle is removed the bullet and foreign matter trapped inside the muzzle and the rust preventive oil is applied.
  • a large firearm such as a self-propelled artillery or a tow gun cannot be disassembled and cleaned or rusted for maintenance unlike a rifle which is a general personal portable firearm.
  • the prior art is a kind of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uzzle while rotating or reciprocating the cleaning tool installed outside the cleaning apparatus while being driven by a motor to enter the cleaning apparatu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uzzl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wi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t is possible to clean even if the cleaning tool is worn, there is an effect such as easy replacement of the cleaning tool.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Application No. 10-2005-0039179, Registration No. 10-0377487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Application No. 10-2006-0033030, Registration No. 10-0822411
  • 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Application No. 10-2010-0007407, Registration No. 10-1046234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meet the above needs, it is easy to replace the cleaning tool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the durability of the cleaning member is improved,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cleaning member itself is improved, It is to provide a muzzle automatic cleaning device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cleaning of the liner muzzle, such that the combined cleaning tool can move along the liner accurately without leaving the liner's liner.
  • the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muzzle having a plurality of steel wire provided with a cleaning means coupled to the cylindrical body to move back and forth in and out of the muzzle by a feed roller linked to the motor
  • the cylindrical tub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A rotary gear interlocked with the motor; And a cleaning member having a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a bevel gea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gear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 the insertion hole includes a circl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shaft.
  • the automatic muzzle clea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that does not prevent the clean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tube through the large hole.
  • the fixing member has a portion of a circl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mall hole in a concave shape inside the longitudinal section, extending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and laterall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extension to the cylindrical tub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ed lateral extension.
  •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ateral extension, an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hole to receive the lateral extension while extending laterally to the large hole, and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cylindrical tube by the fastening means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fastening hole.
  • the cleaning member has a bottom plate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axis and the bottom plate is open opposite the case; Seating hole is installed in the case by placing the spring and the cleaning por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a cover coupled to the case while the stopper is formed inside the upper part to cover the seat so as to prevent the seat from being detached, and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cover have protrusions for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of both. It is preferable that accommodation grooves are formed, and the distance from the case bottom plate upper surface to the stopper is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seating hole.
  •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ating hole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cleaning tool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projections and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for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of both.
  • the cover is configured of a hard part accommodating the seating hole, and a soft part integrally formed by double-injecting a material softer than the hard part with the hard part, and the stopper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oft part.
  • the case is formed with one or more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 the cleaning tool, brush or non-woven fabric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wire; And, it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rush or non-woven fabric is composed of a fix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at, the brush or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higher than the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eel wire.
  • the cylindrical body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guide rollers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leaning members, each of the guide rollers are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matches the spiral of the steel wire in the muzzle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leaning member and the guide rollers ,
  • the guide roller and the cleaning member are preferably moved along the predetermined steel wire.
  • the guide roller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teel wire, and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passively rotated by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wire.
  • cylindrical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one or more mop mounting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nnular mop is removable.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parate the cleaning member from the cleaning mea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cleaning member itself, easy replacement of the cleaning tool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durability of the cleaning member is improved, cleaning It is possible to clean the steel wire while the cleaning tool coupled to the member moves along the steel wire accurately without leaving the wire of the muzzl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utomatic muzzl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utomatic muzzl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ertion hole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means of FIG.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leaning member and the cylindrical tube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utomatic muzzl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utomatic muzzl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nlarged cleaning means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n.
  • FIG. 1 is an automatic muzzle cleaning apparatus for a 155 mm gun having 48 steel wires
  • FIG. 2 is an automatic muzzle cleaning apparatus for a 105 mm gun having 24 steel wires.
  • the cylindrical body 100 and the cylindrical body 100 and clean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eans 200 is installed, and an oil tank for storing oil, such as washing oil and rust preventive oil, and an oil pump for supplying the same are installed to facilitate the cleaning operation.
  • the oil supplied through the oil pump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installed adjacent to the cleaning means 200.
  • the cleaning mean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tube 210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20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 rotating gear 130 interlocked with the motor 110, and a cleaning member 300. do.
  • the cleaning member 300 includes a rotating shaft 3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0 and a bevel gear 32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10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gear 130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300. Equipped.
  •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ertion hole 220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ertion hole 220 has a shape in which the small holes 222 and the large hole 224 are lateral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receiving hole extending laterally to the large hole 224 at the top of the insertion hole 220 ( 226 is formed and the fastening hole 228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226.
  • the small hole 222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ry shaft 310
  • the large hole 224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portion of the circle larger than the largest cross-s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310.
  • the largest cross s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310 is generally the upper cross section of the bevel gear 320 as shown in the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eason for forming the insertion hole 220 is to facilitate the fixing and separation of the cleaning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0 and the technology for fixing the cleaning member 300 to the insertion hole 220 Features will be revealed below.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unit 200 in FIG. 1.
  • the upper three insertion holes 220 of the six illustrated insertion holes 220 is inserted of the cleaning member 300 Changes to fixation are shown.
  • the first of the six insertion holes of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only the insertion hole 220 is present
  • the second i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0
  • the third is the insertion hole
  • the cleaning member 300 and the fix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state 220
  • the insertion holes 220 shown below are inserted into the cleaning hole 300 and the fixing member 400 in the insertion hole 220. It shows a state until the completion by the fastening means 430 in the closed state.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leaning member 300 and the cylindrical tube (210).
  • the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cleaning member 300 to the insertion hole 220 of the cylindrical tube 210 is as follows.
  • the fixing member 400 is used to fix the cleaning member 300.
  • the cleaning member 300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mall holes 222, and when the fixing is released, the cleaning member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mall holes 222. It is configured not to prevent the cleaning member 300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10 through the large hole 224 while releasing the state to be.
  • the fixing member 400 recesses a portion of a circl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mall hole 222 to close the rotary shaft 310 of the cleaning member 300 toward the small hole 222. It consists of a lower extension portion 4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310 and a side extension portion 420 is fixed to the cylindrical tube 210 by extending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410 do.
  • the through hole 422 is formed in the lateral extension part 420.
  • the receiving groove 226 at the top of the insertion hole 220 accommodates the lateral extension 42, and the downward extens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hole 228 and the through hole 422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226 coincide.
  • the inner concave surface of the 410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shaft 310 of the cleaning member 300 toward the small hole 222, and in this state to connect and fix the through hole 422 and the fastening hole 228
  • the fixing member 400 is fixed to the cylindrical tube 210 by fastening means 430 such as bolts, rivets, and pins. In this state, the receiving groove 226 has a predetermined clearance to the rear of the fixing member 400.
  • This clearance allows the downward extension 410 and the cleaning member 300 of the fixing member 400 to retreat from the small hole 222 side to the large hole 224 when the fastening means 430 is released.
  • the member 300 may be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10 through the large hole 224.
  • the cleaning member 300 and the fixing member 4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how the width and length of the downward extension part 410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large hole 224 are determin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o as to exit from 224,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cleaning member 300 is released after the fixing member 400 is first released from the large hole 224.
  • the cleaning memb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leaning means 200,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inspection,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cleaning member 200, and furthermore, the cleaning member 300 )
  • the cleaning member 300 is fixed to the cylindrical tube 210 as well as the cleaning member 300 in the cylindrical tube 210 as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oceed after separation to meet various needs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 the cleaning member 300 includes the rotating shaft 310 and the bevel gear 320, but a case 330 is installed above the rotating shaft 310.
  • the case 330 has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310 and the top is open.
  • the seating hole 350 is installed by placing a spring 340 on the case 330.
  • the cover 370 is installed on the seating hole 350 so as to prevent the seating hole 3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330.
  • At least one stopper 372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370 to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seating hole 350, so that the seating hole 350, which is elastically driven by the spring 340, is formed in the case 330.
  • the upper cover 370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cover 370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ating hole 350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375 and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355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two.
  •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case 350 to the stopper 372 is the height of the seating hole 350 so that the seating hole 35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340 can be displaced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configured to be longer.
  • the cover 370 accommodates the seating hole 350 therein, and has a hard part 371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ase 330, and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hard part 371. ) And a stopper 372 is formed in the soft portion 373.
  • the hard part 371 is preferably made of a hard material including a material commonly referred to as engineering plastic, and the soft part 373 is formed of a single material by double injection with the hard part 371 as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This is preferred.
  • the stopper 372 is formed to be slightly inclined downward to effectively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seating hole 350, while allowing the entrance of the cleaning device (360, 360 ')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hole 350 from the upper side is preferred. Do. By forming the stopper 372 in the soft portion 373, the insertion of the cleaning tools 360 and 360 ′ may be made easier.
  • the hard part 371 i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the seating hole 350 is covered with the protrusion 375 and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 355 in engagement with the seating hole 350 mainly made of metal. There is an effect to rotate without turning against (370).
  • both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ating hole 350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cleaning hole 360, 360' may be Receiving grooves 357 and the projections 367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is preferably formed respectively.
  • a protrusion 377 is formed at an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cover 370, and a receiving groove 334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case 330 is formed.
  • the case 370 sinc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may be accumulated and contaminated, the case 370 may preferably have one or more discharge holes 332 through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case 370 rotates. As the foreign matter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32 by the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 a protrusion 367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364 to prevent the spheres 360 and 360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seating hole 350.
  • the brush 361 or the nonwoven fabric 362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higher than the edge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eel wire.
  • the cleaning tool 360 or 360 ' is selected as a brush 361 or a nonwoven fabric 362 according to the nature or order of the work.
  • the outside of the rotary shaft 310 may be composed of a rotary bearing (312, 315) positioned up and down, and the spacers (313, 314) for determ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rotary bearing (312, 315), the upper rotary bearing ( An upper washer 316 and a lower washer 311 are installed below and below the rotary bearing 312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315.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sher 31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sher 31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mall hole 222 on one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wer extension 410 on the other side. The member 300 is prevented from escaping up and down, and the cleaning member 300 is constrained and rot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inner surfaces of the small holes 222 and the lower extension 410.
  • At least one guide roller 140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leaning member 300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body (100).
  • the cleaning member 300 and the guide roller 140 correspond to that means that the cleaning member 300 and the guide roller 140 can be positioned at the same time in any one spiral among the steel wires in the spiral.
  • the guide roller 140 is installed about 300.
  • the guide roller 140 When the guide roller 140 is installed in this way, the guide roller 140 and the cleaning member 300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teel wire while receiving a force to guide each other to move along a predetermined steel wire without leaving the steel wire do.
  • the guide roller 140 may exist in correspondence with each cleaning member 300, but the corresponding guide roller 140 may exist only for a few cleaning members 300, and the cleaning member 300 It may be possible to have one guide roller 140 per one, but it would be more desirable if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40 exist.
  • the guide roller 140 may be configured to be actively rotated, but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teel wire and is sufficient to be coupled to the cylindrical body 100 so as to be passively rotated by contact with the steel wire inner surface.
  •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00 is preferably formed with one or more mop mounting groove 15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cleaning of the steel wire can be completed and finally used to clean the interior of the muzzle.
  • the user inserts the automatic muzzl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muzzle, and operates the motor 110 to advance the muzzle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into the muzzle.
  • the guide roller 140 and the cleaning member 300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steel wire of the muzzle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the guide roller 140 and the cleaning member 300 as well as the feed roller 120, automatic muzzle cleaning device Will follow without breaking the liner inside the muzzle.
  • Cleaning means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eel wi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uzzle is manufactured to be clean each.
  • the cleaning holes 360 and 360 ′ at the upper end thereof rotate to brush 361 or nonwoven fabric.
  • the cleaning proceeds to 362.
  •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height and the highest height of the seating hole 350 is 2.7 mm, and the cleaning holes 360 and 360 'are worn for the wear up to 2.7 mm with the new cleaning holes 360 and 360' mounted.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out replacement.
  • the cleaning tool 360, 360 ' can be separated by simply grasping the upper side of the cleaning tool 360, 360 'with a tool such as a long nose pliers. At this time, the stopper 372 is blocked, so that the seating hole 350 is not separated out of the cover 370. Inserting a new cleaning tool 360, 360 ′ is also possible by gripping and pushing the cleaning tool 360, 360 ′ with a simple tool. Since the stopper 372 firmly blocks the upper edge of the seating hole 350, since the protrusion protrudes only a little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the stopper 272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departure of the seating hole 350 is prevented. Sepa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360, 360 ') is possible with a slight force, the insertion of the cleaning device (360, 360') is made possible with a smaller force.
  • the fastening means 430 fixing the fixing member 400 is required.
  • the reassembly process can be done in the reverse order, which can be done very simply.
  •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muzzle automat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individually clea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uzzle with a steel wire for each steel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연동되는 이송롤러에 의해 포구 내외측으로 전후진하는 원통형 몸체에 결합된 청소수단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강선이 형성된 포구 내면을 청소하기 위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청소수단은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원통관; 모터에 연동되는 회전기어; 및, 삽입공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하부에 결합되고 회전기어에 연동되어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청소부재;로 이루어지며, 삽입공은 상기 회전축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하는 소공과, 상기 소공과 측방향으로 연통되며 상기 회전축 아래 부분 중 가장 큰 단면보다 큰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하는 대공을 포함하고, 청소부재의 고정시에는 상기 청소부재를 소공쪽으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한편, 고정해제시에는 상기 대공을 통해 청소부재가 원통관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구 자동 청소 장치
본 발명은 강선이 있는 포구 내면을 강선마다 개별적으로 청소 가능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탄을 발사한 후 포구 내면에는 장약과 탄약이 연소된 후 발생되는 이물질이 달아붙고 이에 따라 사격시 발사되는 포탄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포구의 사용 후에는 포구 내부에 끼어 있는 탄매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방청유를 바르게 된다.
통상, 자주포나 견인포 등과 같이 포구의 크기가 큰 화기는 일반 개인 휴대 화기인 소총과 달리 유지보수를 위하여 분해하여 세정 또는 방청작업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포구 내면을 세정하기 위해서 연결대의 단부에 솔이 달린 솔몽치를 결합하고 이를 포구 내부측에 넣어서 넣었다 뺏다하면서 포구의 내경측에 묻어 있는 탄매 등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이는 많은 인원과 체력을 요구하는 장시간의 힘든 작업이다.
이에 따라, 포구 내부를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컸던 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왔으며,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07407호도 그 중 하나이다.
상기 선행 기술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포구 내면을 따라 청소 장치가 진입하면서 청소장치 외측에 설치된 청소구를 회전 또는 왕복 운동시키면서 포구 내면을 청소하는 장치의 일종으로서, 포탄 발사시 회전력을 주기 위해 포구 내면에 형성된 강선의 내측면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며, 청소구가 마모되어도 청소가 가능하고, 청소구의 교체가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 보다도 더욱 청소부재에 결합되는 청소구의 교체가 용이하며, 청소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청소부재 자체의 교체 및 수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청소부재에 결합된 청소구가 포구의 강선을 벗어나지 않고 정확하게 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등, 추가적인 개선의 필요성도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5-0039179호, 등록 제10-037748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6-0033030호, 등록 제10-0822411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0-0007407호, 등록 제10-1046234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청소부재에 결합되는 청소구의 교체가 용이하며, 청소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청소부재 자체의 교체 및 수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청소부재에 결합된 청소구가 포구의 강선을 벗어나지 않고 정확하게 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등, 강선이 있는 포구의 청소에 더욱 적합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모터에 연동되는 이송롤러에 의해 포구 내외측으로 전후진하는 원통형의 몸체에 결합된 청소수단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강선이 형성된 포구 내면을 청소하기 위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수단은,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원통관; 상기 모터에 연동되는 회전기어; 및, 삽입공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에 연동되어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청소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회전축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하는 소공과, 상기 소공과 연통되며 상기 회전축 아래 부분 중 가장 큰 단면보다 큰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하는 대공을 포함하며, 청소부재의 고정시에는 상기 청소부재를 소공쪽으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한편, 고정해제시에는 상기 대공을 통해 청소부재가 원통관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소공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원의 일부를 종단면 내측의 오목한 형상으로 하면서 상기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와, 상기 하방연장부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관에 고정되는 측방연장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측방연장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상단에는 상기 대공에 측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측방연장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관통공과 체결공을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부재가 원통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청소부재는 바닥판 하면이 회전축 상측에 고정되고 바닥판 반대쪽이 개방된 케이스; 스프링을 게재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측에 청소구가 안착되는 안착구; 및, 상부 내측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안착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착구를 덮으면서 케이스와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내경부와 안착구의 외경부에는 양자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돌기와 그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고, 케이스 바닥판 상면에서 스토퍼까지의 거리가 안착구의 높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구의 내경부와 청소구의 외경부에는 양자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돌기와 그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안착구를 수용하는 경질부와, 상기 경질부보다 연질의 소재를 경질부와 이중사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연질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질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에는 케이스 외부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소구는, 강선 내부의 청소를 위한 브러쉬 또는 부직포; 및, 상기 브러쉬 또는 부직포의 하단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안착구에 삽입되는 부분인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 또는 부직포는 강선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중앙부가 가장자리부에 비해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형 몸체에는 청소부재 중 하나와 대응하는 가이드롤러가 하나 이상 설치되되, 각각의 가이드롤러는 대응하는 청소부재와 가이드롤러를 연결하는 나선이 포구 내 강선의 나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강선 내에 가이드롤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포구 자동 청소 장치를 작동시키면 가이드롤러 및 청소부재가 정해진 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강선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강선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하도록 몸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레장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환형의 걸레가 착탈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부재를 청소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여 청소부재 자체의 교체 및 수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청소부재에 결합되는 청소구의 교체가 용이하며, 청소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청소부재에 결합된 청소구가 포구의 강선을 벗어나지 않고 정확하게 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강선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구 자동 청소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구 자동 청소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삽입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청소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청소부재와 원통관 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청소부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용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원통형 몸체 110: 모터
120: 이송롤러 130: 회전기어
140: 가이드롤러 150: 걸레장착홈
200: 청소수단 210: 원통관
220: 삽입공 222: 소공
224: 대공 226: 수용홈
228: 체결공 300: 청소부재
310: 회전축 311: 하부와셔
312, 315: 회전베어링 313, 314: 스페이서
316: 상부와셔 320: 베벨기어
330: 케이스 332: 배출공
334, 355, 357: 수용홈 340: 스프링
350: 안착구 360, 360': 청소구
361: 브러쉬 362: 부직포
364: 고정부 367, 375, 377 : 돌기
370: 덮개 371: 경질부
372: 스토퍼 373: 연질부
376: 탄성절개홈 400: 고정부재
410: 하방연장부 420: 측방연장부
422: 관통공 430: 체결수단
500: 걸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포구 자동 청소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구 자동 청소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구 자동 청소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청소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모터(110)에 연동되는 이송롤러(120)를 구비하여 포구 내외측으로 전후진할 수 있는 원통형 몸체(100)에 청소수단(200)을 결합하여서 다수개의 강선이 형성된 포구 내면을 청소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48개의 강선을 가지는 155mm 포를 위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이며, 도 2는 24개의 강선을 가지는 105mm 포를 위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포구 자동 청소 장치는 강선의 갯수가 상이하고 구경이 상이함에 따라 치수나 부품 형상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기술적 사상인 발명의 관점에서는 다르지 않은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의 예에 국한하여 도면부호와 함께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거나 종래기술에 해당되므로 설명의 편의상 도면부호로 표기하지 않고 있으나, 모터(110) 및 이송롤러(120) 외에도 원통형 몸체(100)에는 원통형 몸체(100) 및 청소수단(20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청소작업을 원활하게 하도록 세정유, 방청유 등의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 및 이를 공급하는 오일펌프가 설치된다. 오일펌프를 통해 공급된 오일은 상기 청소수단(200)에 인접하여 설치된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다.
본 발명의 청소수단(200)은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220)이 형성된 원통관(210)과, 상기 모터(110)에 연동되는 회전기어(130)와, 청소부재(300)를 포함한다.
청소부재(300)는 삽입공(220)에 삽입되는 회전축(310)과, 회전축(310)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130)에 연동되어 청소부재(300)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320)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삽입공(220)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공(220)은 소공(222)과 대공(224)이 상호 측방향으로 연통된 형상으로 되며 삽입공(220) 상단에는 대공(224)에 측방향으로 이어지는 수용홈(226)이 형성되고 수용홈(226)에는 체결공(228)이 형성된다.
소공(222)은 상기 회전축(310)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하며, 대공(224)은 상기 회전축(310) 아래 부분 중 가장 큰 단면보다 큰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한다. 회전축(310) 아래 부분 중 가장 큰 단면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벨기어(320)의 최상측 단면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삽입공(220)을 형성한 이유는 삽입공(220)에 삽입되는 청소부재(300)의 고정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청소부재(300)를 삽입공(220)에 고정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밝혀질 것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청소수단(200)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청소부재(300)가 삽입공(220)에 삽입 고정되는 기술적 특징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총 6개의 도시된 삽입공(220) 중 위쪽 세개의 삽입공(220)은 청소부재(300)의 삽입 고정이 완료되기까지의 변화를 도시하였다.
즉, 도 4의 6개의 삽입공 중 위의 첫번째는 삽입공(220)만 존재하는 상태, 위의 두번째는 삽입공(220)에 청소부재(300)가 삽입된 상태, 위의 세번째는 삽입공(220)에 청소부재(300)와 고정부재(400)가 삽입된 상태이고, 아래에 도시된 삽입공(220)들은 삽입공(220)에 청소부재(300)와 고정부재(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수단(430)에 의한 체결까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청소부재(300)와 원통관(210) 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부재(300)를 원통관(210)의 삽입공(220)에 고정시키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청소부재(300)의 고정을 위해서는 고정부재(400)가 사용된다. 고정부재(400)는 청소부재(300)의 고정시에는 청소부재(300)를 소공(222)쪽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도록 되고, 고정해제시에는 소공(222)쪽으로 청소부재(300)를 밀착시키는 상태를 해제하면서 물러나 대공(224)을 통해 청소부재(300)가 원통관(21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400)는 청소부재(300)의 회전축(310)을 소공(222)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소공(222)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원의 일부를 종단면 내측의 오목한 형상으로 하면서 회전축(31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410)와, 상기 하방연장부(410)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관(210)에 고정되는 측방연장부(420)로 구성된다. 측방연장부(420)에는 관통공(422)이 형성된다.
삽입공(220) 상단의 수용홈(226)은 측방연장부(42)를 수용하게 되며, 수용홈(226)에 형성된 체결공(228)과 관통공(422)이 일치하는 위치에서는 하방연장부(410)의 내측 오목한 면이 청소부재(300)의 회전축(310)과 접하면서 소공(222)쪽으로 밀착시킨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관통공(422)과 체결공(228)을 연결 고정하는 볼트, 리벳, 핀 등의 체결수단(430)에 의해서 고정부재(400)가 원통관(210)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홈(226)은 고정부재(400) 뒤쪽으로 일정한 여유공간을 갖게되며. 이 여유공간으로 인해 체결수단(430)의 해제시 고정부재(400)의 하방연장부(410) 및 청소부재(300)가 소공(222)쪽에서 대공(224)쪽으로 물러날 수 있게 되고, 그 후 청소부재(300)가 대공(224)을 통해 원통관(210) 외부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방연장부(410)의 폭과 길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 대공(224)의 크기와 형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따라, 청소부재(300)와 고정부재(400)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대공(224)에서 빠져나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부재(400)를 먼저 대공(224)에서 이탈시킨 후 청소부재(300)가 빠져나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청소부재(300)는 청소수단(200)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여 청소부재(200)의 점검, 수리 및 교체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또한, 청소부재(300) 상단에 부착된 청소구가 마모되어 이를 교체하는 작업을 할 때, 원통관(210)에 청소부재(300)가 고정된 상태는 물론 필요에 따라 청소부재(300)를 원통관(210)에서 분리한 후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 조건에 따른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청소부재(300)에 대한 개량도 이루어진 바, 그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청소부재(300)가 회전축(310)과 베벨기어(32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은데, 회전축(310)의 상측에는 케이스(33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330)는 바닥판의 하면이 회전축(310)의 상측에 고정되며 위쪽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30)의 위로는 스프링(340)을 게재하여 안착구(350)가 설치된다. 안착구(350)의 상측에는 청소구(360, 360')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안착구(350) 위로는 안착구(350)를 케이스(330)에 대해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덮개(370)가 설치된다. 덮개(370)의 상부 내측에는 스토퍼(37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안착구(350) 상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막음으로써, 스프링(340)의 탄성력을 받는 안착구(350)가 케이스(330)의 위쪽 덮개(37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370)의 내경부와 안착구(350) 외경부에는 양자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돌기(375)와 그에 대응하는 수용홈(355)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3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안착구(350)가 일정거리 상하로 변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케이스(350) 바닥판 상면에서 스토퍼(372)까지의 거리가 안착구(350)의 높이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덮개(370)는 안착구(350)를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하부가 케이스(3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질부(371)와, 경질부(371)보다 연질의 소재로 되어 경질부(371) 상측을 덮도록 형성된 연질부(373)로 구성되고, 스토퍼(372)는 연질부(373)에 형성된다. 경질부(371)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 통칭되는 소재를 비롯한 경질의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연질부(373)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경질부(371)와 이중사출하여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372)는 하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안착구(35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상측으로부터 안착구(350)에 삽입되는 청소구(360, 360')의 진입은 허용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372)를 연질부(373)에 형성함에 의해 청소구(360, 360')의 삽입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강선을 청소하는 것은 강선 내를 따라 이동하는 청소구(360, 36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청소구(360, 360')가 베벨기어(320)의 회전에 응해 헛돌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경질부(371)를 경질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은 주로 금속으로 제작되는 안착구(350)와의 관계에서 돌기(375)와 그에 대응하는 수용홈(355)이 맞물린 상태로 안착구(350)가 덮개(370)에 대해 헛돌지 않고 회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청소구(360, 360')가 안착구(350)에 대해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바, 안착구(350)의 내경부와 청소구(360, 360')의 외경부에는 양자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수용홈(357)과 돌기(367)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370)가 케이스(330)에 대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370)의 외경부에 돌기(377)가 형성되고 케이스(330)의 내경부에 그에 대응하는 수용홈(3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370)를 케이스(330) 삽입 결합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덮개(370) 하부의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탄성절개홈(376)을 덮개(370)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회전축(310)의 회전은 케이스(330)로, 케이스(330)의 회전은 덮개(370)로 덮개(370)의 회전은 안착구(350)로, 마지막으로 안착구(350)의 회전은 청소구(360, 360')로 헛돌지 않고 그대로 전달되어, 강선의 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케이스(370) 내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이 쌓여서 오염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370)에는 외부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332)을 하나 이상 관통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케이스(37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의 작용으로 이물질이 배출공(332)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된다.
청소구(360, 360')는 브러쉬(361) 또는 부직포(362)와 브러쉬(361) 또는 부직포(362)의 하단을 고정하면서 안착구에 삽입되는 부분인 고정부(364)로 구성되며, 청소구(360, 360')가 안착구(35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367)는 상기 고정부(364)에 형성된다. 상기 브러쉬(361) 또는 부직포(362)는 강선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중앙부가 가장자리부에 비해 높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청소구(360, 360')를 브러쉬(361) 또는 부직포(362)로 된 것 중 어떤 것으로 선택하는가 하는 것은 작업의 성격이나 순서에 따라 정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축(310)의 외부는 상하로 위치하는 회전베어링(312, 315)과, 회전베어링(312, 315) 간의 간격을 정하는 스페이서(313, 31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의 회전베어링(315)의 위쪽 및 하측의 회전베어링(312)의 아래쪽에는 상부와셔(316)와 하부와셔(311)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와셔(316)의 하면과 하부와셔(311)의 상면은 일방으로는 소공(222)의 상단면 및 하단면과 접하고 타방으로는 하방연장부(410)의 상단 및 하단에 접하여 청소부재(300)가 상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고, 청소부재(300)는 소공(222)과 하방연장부(410)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속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100)에는 청소부재(300) 중 하나와 대응하는 가이드롤러(140)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청소부재(300)와 가이드롤러(140)가 대응한다는 의미는, 나선으로 되어 있는 포구 내 강선 중 어떤 하나의 나선 내에 청소부재(300)와 가이드롤러(140)가 동시에 위치할 수 있게끔 청소부재(300)에 대해 가이드롤러(140)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롤러(140)가 설치되면, 가이드롤러(140)와 청소부재(300)가 각각 강선의 내부와 접촉하여 힘을 받으면서 상호간을 가이드하여 강선을 벗어나지 않고 정해진 강선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140)는 각각의 청소부재(300) 마다에 대응하여 존재할 수도 있겠으나, 몇 개의 청소부재(300)에 대해서만 대응 가이드롤러(140)가 존재하여도 무방하며, 청소부재(300)당 하나의 가이드롤러(140)가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40)가 존재한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가이드롤러(140)는 능동적으로 회전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강선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강선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하도록 원통형 몸체(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충분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레장착홈(150)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걸레장착홈(150)에 환형으로 된 걸레(500)를 착탈할 수 있게 되면 강선에 대한 청소를 끝낸 후 최종적으로 포구 내부를 마무리 청소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구 자동 청소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포구 자동 청소 장치를 포구에 삽입하고, 모터(110)를 가동시켜 포구 자동 청소 장치를 포구 내측으로 진행시키게 된다. 이때 가이드롤러(140)와 청소부재(300)가 포구의 강선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이송롤러(120) 뿐 아니라 가이드롤러(140)와 청소부재(300)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포구 자동 청소 장치는 포구 내면의 강선을 이탈하지 않고 따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청소수단(200)은 포구 내면의 강선의 개수에 따라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각각 청소 가능하게 제작된다.
이에 따라, 회전기어(130)에 연동되는 베벨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청소부재(30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그 상단의 청소구(360, 360')가 회전하여 브러쉬(361) 또는 부직포(362)로 청소를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361) 또는 부직포(362)가 마모가 되는 경우, 압축된 스프링(340)이 마모되는 양만큼 청소구(360, 360')를 상측 방향으로 복원시켜 항상 동일한 조건과 상태에서 청소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구(350)의 최저높이와 최고높이의 차는 2.7mm 인바, 새로운 청소구(360, 360')를 장착한 상태에서 2.7mm 까지의 마모에 대해서는 청소구(360, 360')의 교체없이 진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청소구(360, 360')의 교체가 필요하면, 간단히 청소구(360, 360')의 상측을 롱노즈 플라이어와 같은 도구로 파지하여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스토퍼(372)가 저지하고 있어 의해 안착구(350)가 덮개(370) 외부로 이탈되지는 않는다. 새로운 청소구(360, 360')를 삽입하는 것 역시 간단한 도구로 청소구(360, 360')를 파지하여 밀어넣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스토퍼(372)가 안착구(350) 상부 테두리를 단단히 막아주는 것과 달리 테두리 안쪽에 대해서는 조금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또한 스토퍼(272)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안착구(350)의 이탈은 방지되고 청소구(360, 360')의 분리는 약간의 힘으로 가능하며, 청소구(360, 360')의 삽입은 더욱 작은 힘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청소구(360, 360')의 교체가 상술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되지 않는 등 청소부재(300)의 점검, 교체,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부재(400)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수단(430)을 풀고 고정부재(400)를 뒤쪽으로 당겨 주는 간단한 조작으로 청소부재(300)를 분리할 수 있다. 재조립하는 과정은 이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며, 이 역시 매우 간단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강선이 있는 포구 내면을 강선마다 개별적으로 청소 가능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에 사용된다.

Claims (11)

  1. 모터에 연동되는 이송롤러에 의해 포구 내외측으로 전후진하는 원통형 몸체에 결합된 청소수단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강선이 형성된 포구 내면을 청소하기 위한 포구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수단은,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원통관;
    상기 모터에 연동되는 회전기어; 및,
    삽입공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에 연동되어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청소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회전축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하는 소공과, 상기 소공과 측방향으로 연통되며 상기 회전축 아래 부분 중 가장 큰 단면보다 큰 원의 일부를 단면형상으로 하는 대공을 포함하고,
    청소부재의 고정시에는 상기 청소부재를 소공쪽으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한편, 고정해제시에는 상기 대공을 통해 청소부재가 원통관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소공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원의 일부를 종단면 내측의 오목한 형상으로 하면서 상기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와, 상기 하방연장부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관에 고정되는 측방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연장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상단에는 상기 대공에 측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측방연장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관통공과 체결공을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부재가 원통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바닥판 하면이 회전축 상측에 고정되고 바닥판 반대쪽이 개방된 케이스;
    스프링을 게재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측에 청소구가 안착되는 안착구; 및,
    상부 내측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안착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착구를 덮으면서 케이스와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내경부와 안착구의 외경부에는 양자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돌기와 그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며, 케이스 바닥판 상면에서 스토퍼까지의 거리가 안착구의 높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의 내경부와 청소구의 외경부에는 양자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돌기와 그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안착구를 수용하는 경질부와, 상기 경질부보다 연질의 소재를 경질부와 이중사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연질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질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케이스 외부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구는,
    강선 내부의 청소를 위한 브러쉬 또는 부직포; 및,
    상기 브러쉬 또는 부직포의 하단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안착구에 삽입되는 부분인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 또는 부직포는 강선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중앙부가 가장자리부에 비해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에는 청소부재 중 하나와 대응하는 가이드롤러가 하나 이상 설치되되, 각각의 가이드롤러는 대응하는 청소부재와 가이드롤러를 연결하는 나선이 포구 내 강선의 나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강선 내에 가이드롤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포구 자동 청소 장치를 작동시키면 가이드롤러 및 청소부재가 정해진 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강선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강선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하도록 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레장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환형의 걸레가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PCT/KR2013/007847 2013-08-30 2013-08-30 포구 자동 청소 장치 WO2015030280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3399269A AU2013399269A1 (en) 2013-08-30 2013-08-30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muzzle
MX2015015554A MX2015015554A (es) 2013-08-30 2013-08-30 Aparato para limpiar automaticamente bocas de armas de fuego.
JP2016512808A JP6049941B2 (ja) 2013-08-30 2013-08-30 砲身自動掃除装置
SK50069-2015A SK500692015A3 (sk) 2013-08-30 2013-08-30 Zariadenie na automatické čistenie ústia hlavne
IL240926A IL240926B (en) 2013-08-30 2015-08-30 Device for automatic barrel cleaning
SA515370125A SA515370125B1 (ar) 2013-08-30 2015-11-10 معدة للتنظيف الآلي لفوهة بندقي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882 2013-08-30
KR1020130103882A KR101411525B1 (ko) 2013-08-30 2013-08-30 포구 자동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280A1 true WO2015030280A1 (ko) 2015-03-05

Family

ID=5113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7847 WO2015030280A1 (ko) 2013-08-30 2013-08-30 포구 자동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341428B2 (ko)
EP (1) EP2843351B1 (ko)
JP (1) JP6049941B2 (ko)
KR (1) KR101411525B1 (ko)
CN (1) CN104415953A (ko)
AU (1) AU2013399269A1 (ko)
BR (1) BR102014021291A2 (ko)
CO (1) CO7461122A2 (ko)
IL (1) IL240926B (ko)
IN (1) IN2014DE02402A (ko)
MX (1) MX2015015554A (ko)
MY (1) MY174686A (ko)
PL (1) PL2843351T3 (ko)
RU (1) RU2581108C2 (ko)
SA (1) SA515370125B1 (ko)
SG (1) SG10201405202QA (ko)
SK (1) SK500692015A3 (ko)
TW (1) TW201520505A (ko)
WO (1) WO2015030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63B1 (ko) * 2014-06-11 2014-08-25 김인영 포신 자동청소기
KR101642388B1 (ko) * 2015-09-11 2016-07-27 손원호 항타식 수동 포강 수입기
KR101941059B1 (ko) 2017-09-27 2019-01-22 수성정밀기계(주) 자동 포구 청소장치
CN107606990A (zh) * 2017-10-19 2018-01-19 龙之盾军工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自走式火炮擦膛机
CN108519021B (zh) * 2018-07-03 2024-02-23 四川科立达智能系统有限公司 一种炮管清洗机器人
KR101991385B1 (ko) * 2018-11-05 2019-06-21 안상진 강선형 포구 자동 청소 장치
CN110375577B (zh) * 2019-08-08 2022-03-15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多口径战斗部壳体清洗机械设备
RU2758885C1 (ru) * 2021-01-11 2021-11-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истки канала ствола
CN113145581B (zh) * 2021-02-08 2022-04-26 常州大学 一种变截面管道除垢装置
US11549775B1 (en) * 2022-07-27 2023-01-10 Sheng Chen Gun barrel cleaner rod and connecting mechanism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09A (ko) * 1998-12-15 2000-07-05 최동환 자동 포구청소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압력유체제어장치
KR100610183B1 (ko) * 2005-05-11 2006-08-09 주식회사 로템 전차의 포구 청소장치
US20060218735A1 (en) * 2005-04-01 2006-10-05 Parker-Smith Steven C M Barrel cleaning system
KR100920446B1 (ko) * 2007-08-02 2009-10-08 수성정밀기계(주) 탈장착이 용이한 소제구를 가지는 포구자동청소기
KR101046234B1 (ko) * 2010-01-27 2011-07-04 수성정밀기계(주) 포구 자동 청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098A (en) * 1973-12-17 1975-08-26 Dotco Inc Angle drive unit
US4499625A (en) * 1983-10-24 1985-02-19 Bottomley C Edward Two-way gun cleaner tip and butterfly path for use therewith
US5052496A (en) * 1989-10-11 1991-10-01 Ingersoll-Rand Company Apparatus for attaching power tool housing extensions
JPH07239199A (ja) * 1994-02-25 1995-09-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長尺円筒用内部清掃装置における送りねじの中間支持装置
JPH10122791A (ja) * 1996-10-16 1998-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砲身清掃装置
RU2107877C1 (ru) * 1996-10-24 1998-03-27 Борис Петрович Тала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истки ствола оружия
US6182545B1 (en) * 1999-07-12 2001-02-06 Francis Richard Janek, Jr. Wedge-lockable removable punch and die bushing in retainer
KR100377487B1 (ko) 2002-04-09 2003-03-26 수성정밀기계(주) 포신세척장치
KR20050039179A (ko) 2003-10-24 2005-04-29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여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66764B1 (ko) 2004-07-16 2007-10-17 미츠비시 가가쿠 메디아 가부시키가이샤 광기록 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광기록 방법
KR100662606B1 (ko) * 2006-04-12 2006-12-28 수성정밀기계(주) 포구자동청소기
KR100822411B1 (ko) * 2007-02-15 2008-04-16 수성정밀기계(주) 강선이 있는 포구 자동 청소 장치
KR20100007407A (ko) 2008-07-14 2010-01-22 한규성 염료감응 투명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보도블럭
CN102431088B (zh) * 2011-11-28 2013-08-14 姚瑜 可分解式弹簧合模螺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09A (ko) * 1998-12-15 2000-07-05 최동환 자동 포구청소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압력유체제어장치
US20060218735A1 (en) * 2005-04-01 2006-10-05 Parker-Smith Steven C M Barrel cleaning system
KR100610183B1 (ko) * 2005-05-11 2006-08-09 주식회사 로템 전차의 포구 청소장치
KR100920446B1 (ko) * 2007-08-02 2009-10-08 수성정밀기계(주) 탈장착이 용이한 소제구를 가지는 포구자동청소기
KR101046234B1 (ko) * 2010-01-27 2011-07-04 수성정밀기계(주) 포구 자동 청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7461122A2 (es) 2015-11-30
EP2843351B1 (en) 2017-04-05
IN2014DE02402A (en) 2015-06-26
SG10201405202QA (en) 2015-03-30
RU2581108C2 (ru) 2016-04-10
BR102014021291A2 (pt) 2015-09-22
CN104415953A (zh) 2015-03-18
EP2843351A1 (en) 2015-03-04
JP2016522878A (ja) 2016-08-04
KR101411525B1 (ko) 2014-06-24
TW201520505A (zh) 2015-06-01
IL240926B (en) 2019-07-31
IL240926A0 (en) 2015-10-29
MY174686A (en) 2020-05-07
MX2015015554A (es) 2016-02-05
SK500692015A3 (sk) 2016-01-07
RU2014135000A (ru) 2016-03-20
SA515370125B1 (ar) 2019-04-01
JP6049941B2 (ja) 2016-12-21
US9341428B2 (en) 2016-05-17
PL2843351T3 (pl) 2017-09-29
US20150059107A1 (en) 2015-03-05
AU2013399269A1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0280A1 (ko) 포구 자동 청소 장치
KR101046234B1 (ko) 포구 자동 청소 장치
WO2017043755A1 (ko) 항타식 수동 포강 수입기
KR100963166B1 (ko) 포신 청소기
WO2010128741A1 (ko) 관로용 스케일 제거기 및 도료분사기
SE442099B (sv) Anordning for fasthallning och indrivning av festorgan
US7958664B2 (en) Automatic striated gun barrel cleaner
CN111036590B (zh) 一种计算机主板除杂装置
WO2012108603A1 (ko) 양방향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US7331742B2 (en) Spindle unit of machine tool
WO2016143950A1 (ko) 전동압축기 및 상기 전동압축기의 유분리기 가공 방법
WO2014030843A1 (ko) 다단 포구 약실 청소 장치
EP3690382A1 (en) Automatic muzzle cleaning apparatus
KR102500363B1 (ko) 포신세척장치
KR101991385B1 (ko) 강선형 포구 자동 청소 장치
US20110239515A1 (en) Device for cleaning gun barrels
KR100920446B1 (ko) 탈장착이 용이한 소제구를 가지는 포구자동청소기
KR101677442B1 (ko) 건식 필터 재생 장치
CN108480975B (zh) 一种拆螺母机
CN108466359B (zh) 一种拆螺母设备
CN219731355U (zh) 一种退浆机
CN220170064U (zh) 一种装配式药室清洁装置
KR200410251Y1 (ko) 무 슬라이드식 회전 에어실린더
CN113731877A (zh) 用于轴承套圈的清洗装置
KR860001514Y1 (ko) 회전드럼의 연속 급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922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09107

Country of ref document: TR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40926

Country of ref document: IL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500692015

Country of ref document: SK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1280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MX/A/2015/015554

Country of ref document: MX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P1518/2015

Country of ref document: AE

Ref document number: 15271133

Country of ref document: CO

Ref document number: IDP00201507308

Country of ref document: ID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399269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30830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922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