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363B1 - 포신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포신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363B1
KR102500363B1 KR1020210030951A KR20210030951A KR102500363B1 KR 102500363 B1 KR102500363 B1 KR 102500363B1 KR 1020210030951 A KR1020210030951 A KR 1020210030951A KR 20210030951 A KR20210030951 A KR 20210030951A KR 102500363 B1 KR102500363 B1 KR 10250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n barrel
bracket
clean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543A (ko
Inventor
전치형
이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벡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벡스
Priority to KR102021003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3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543A/ko
Priority to KR1020230017743A priority patent/KR2023003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363B1/ko
Priority to KR1020240033790A priority patent/KR20240047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41A29/02Scrapers or clean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군, 해군, 공군을 막론하고 전 부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곡사포, 직사포, 전차포, 대공포, 자주포, 박격포, 다련장로켓 등의 포신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신 내부를 세척할 때 사용하는 기존의 막대형상을 가지고 다단으로 분절된 다수의 마디가 축방향으로 조립되어진 세척봉과 세척솔, 상기 세척봉과 세척솔이 포신의 내부로 쉽게 인입과 인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두 개의 장구형롤러와 장구형롤러에 회전력을 전달을 통해 상기 세척봉과 세척솔을 포신의 내부에 인입인출하기위한 회전핸들을 갖춘 세척봉의 인입인출 포신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신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FOR INNER-SURFACE OF ARTILLERY}
본 발명은 군에서 화포를 사격할 때 화포무기체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포신의 (포신 내부)을 상시로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포신 내경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화에 의해 자성으로 포신에 부착되며 고정되는 방식 및 기구적인 요소에 의해서 포신에 거치되어지며, 마찰력이 높은 재질(가령, 우레탄, 고무 등)이 외부를 감싸고 있는 롤러장치, 상기 롤러장치는 포신세척용 세척봉(원형 파이프)이 잘 물릴 수 있도록 장구형상으로 이뤄지며, 상기 2개의 롤러장치 사이에 꼬질봉이 위치되며, 2개의 롤러장치중 최소 1개는 호형상의 캠락홈을 통해 캠락이라는 운동이 이뤄지고, 이 캠락운동을 통해 꼬질대가 전진 또는 후진시 롤러장치에 의해 꼬질대가 단 본 발명은 육군, 해군, 공군을 막론하고 전 부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곡사포, 직사포, 전차포, 대공포, 자주포, 박격포, 다련장로켓 등의 포신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신 내부를 세척할 때 사용하는 기존의 막대형상을 가지고 다단으로 분절된 다수의 마디가 축방향으로 조립되어진 세척봉과 세척솔, 상기 세척봉과 세척솔이 포신의 내부로 쉽게 인입과 인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두 개의 장구형롤러와 장구형롤러에 회전력을 전달을 통해 상기 세척봉과 세척솔을 포신의 내부에 인입인출하기위한 회전핸들을 갖춘 세척봉의 인입인출 포신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방법에 의한 포신내부 세척은 세척봉의 끝부분에 세척솔을 부착시켜 약 6~8명 정도의 다수의 작업자가 포신내부로 상기 세척솔을 밀어넣고 조립되어진 약 4~8미터 정도의 세척봉을 밀고 당기는 방법으로 약 40~60분간 세척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4~8미터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세척봉을 다수의 작업자가 파지하고서 세척봉을 전후 이동할 경우, 세척솔의 이동력은 작업하는 작업자 개개인의 컨디션과 포신을 세척하는 장소가 평평한 개활지인지 비탈면인지 등의 주변환경에 따라서 포신의 세척 상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게되고, 이는 결국 작업자의 컨디션과 작업환경의 영향에 따라 포신 내부의 세척상태가 포신 내부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한 포신 세척 작업시 그 작업 반경이 세척봉의 길이만큼인 최소 4~8미터 이상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세척봉이 포신의 벽면에 닿아 포신 내부의 긁힘을 방지하기위한 가이드링 장치를 세척봉이 인입되는 포신의 끝단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위해서 출원번호 10-2002-0019308호, 10-2014-0070481호, 10-2020-7016456호, 20-2003-0023436호에서와 같이 자동포신 세척장치가 출원 또는 등록되어져 있으며, 해당 발명 및 고안은 모터, 실린더와 같은 동력원을 이용하여 포신의 내경에 삽입하여 포신의 내측의 벽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를 통해 포신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왕복작동하며, 적정한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해당 모터 또는 실린더가 구동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자동방식은 전기나 공압과 같은 별도의 동력장치의 설치 등으로 인하여 생산가격이 약 2000만원이상으로 높은 생산원가를 요구하고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전기 또는 공압 등을 이용한 자동식으로 포신의 세척 도중 장비 결함발생시 장비 수리가 매우 곤란한 문제와 수리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별도의 전기나 공압의 동력공급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인해 야전에서는 사실상 위에서와 같은 자동 청소기의 사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현재 임무를 수행하고있는 포병 인원들은 오히려 자동청소기 보다 수작업으로 포신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판단하여 현재 수작업으로 포신 내부를 청소하는 실정이다. 또한 약실에 장전된 불량탄의 제거를 위해서는 기존의 세척봉에 불량탄 제거기를 조립하여 수동으로 충격을 가하여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도 기존의 세척봉 및 세척솔은 계속 운용되어야만 한다.
또한 출원번호 10-2015-0128981호 에서는 항타식 포구청소기가 예시되어 있다. 세척솔과 결합되는 세척봉에 햄머링이라 일컷는 타격식 장치를 두어 4~8미터 정도의 세척봉을 밀고 당기때 작업자가 세척봉을 순간적으로 강하게 타격하여 포신 내부를 세척하는 것으로 기존의 세척봉을 이용한 포신 세척에 비해 작업자는 약 50% 감소한 3~4명, 세척시간도 약 50% 줄어든 약 20~30분간 세척작업을 실시한다고 제조사 및 발명자 또는 고안자는 밝히고 있다.
하지만 타격식의 단점은 타격시 소음이 발생하여, 전투상황에서는 아군 진지의 위치를 적에게 노출 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타격의 순간 세척솔이 포신내부에서 순간적으로 이동하여 포신내부의 세척이 균일하게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반경도 세척봉을 완전히 조립된 4~8미터 정도의 작업반경이 필요하다. 뿐만아니라 세척봉이 포신의 벽면에 닿아 포신 내부의 긁힘을 방지하기위한 가이드링 장치를 세척봉이 인입되는 포신의 끝단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출원번호 10-2015-0038936호 에서는 세척솔을 포신내부에서 자동으로 인입인출하기위해 세척봉을 대체하는 케이블체인과 케이블체인의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포신내부를 세척하는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해당 장치는 케이블체인 권취장치가 별도로 부설되어져야 하며, 케이블체인 권취장치의 크기가 커서 야전에서는 사용이 불편하며, 또한 케이블 체인을 포신 내부로 인입시 케이블체인의 휨을 방지하기위한 가이딩롤러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게된다. 결론적으로 케이블체인 권취장치의 구동이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전기 또는 공압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포신 세척도중 장비 결함발생시 장비 수리가 매우 곤란한 문제와 수리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며, 게다가 약실에 장전된 불량탄의 제거를 위해서는 기존의 세척봉에 불량탄 제거기를 조립하여 수동으로 충격을 가하여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도 기존의 세척봉 및 세척솔은 계속 운용되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출원번호 10-2009-0113742호 에서는 세척솔의 양단에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고, 와이어의 양단은 포신의 포탄투입구(폐쇄기)와 포탄발사구(제폐기)측에 위치하는 와이어 이송장치에 연결하여 이를 통해 포신 외부의 양단에서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김에 따라 세척솔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포신 내부를 세척하는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해당장치는 포탄투입구와 포탄발사구에 별도의 와이어 이송장치를 각각 별개로 설치하여야 하며, 포탄투입구 방향과 포탄발사구 방향에 작업자가 1명씩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약실에 장전된 불량탄의 제거를 위해서는 기존의 세척봉에 불량탄 제거기를 조립하여 수동으로 충격을 가하여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도 기존의 세척봉 및 세척솔은 계속 운용되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02-0019308호, 특허출원 제10-2014-0070481호, 특허출원 제10-2020-7016456호, 실용신안 제20-2003-0023436호, 특허출원 제10-2015-0128981호, 특허출원 제10-2015-0038936호, 특허출원 제10-2009-0113742호.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야전에서 많이 사용하는 세척봉과 세척솔을 100% 활용하여 생산단가 및 판매단가를 절감하고, 작업자 1~2명 정도의 소수 인원과 1~2미터 정도의 작은 작업반경과 더불어, 작업자가 혼자서도 10~20kgf의 적은힘으로도 기존의 세척봉과 세척솔을 포신의 내부에서 인입인출이 가능토록하며, 자동 포신세척장치 또는 와이어나 케이블체인 방식의 포신세척장치에서는 불가능한 불량탄의 제거를 기존의 세척봉을 사용하여 제거가 가능하며, 자동포신세척장치와 같이 전기 또는 공압과 같은 별도의 동력공급원이 필요치 않으며, 소형 및 경량으로 제작하여 포탄발사구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토록 자성으로 포신에 부착되며 고정되는 방식 및 기구적인 요소를 통해 포신(10)에 부착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기구적인 클램핑 방식 또는 영구자석방식의 마그네틱 방식을 이용함으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기위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신(10)에 진입되고 진입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는 세척솔(201) 및 세척솔(201)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로드를 포함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를 가압하고 회전을 통해 포신(10) 내부로 진입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를 고정하는 브라켓 및 브라켓과 연결되고 포신(10)과 자성을 통해 결합되는 바디(121)를 포함하는 구동계(100)를 포함한다.
세척솔(201)은 하나 이상이 연결된 로드의 단부에 마련되고,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솔(201)은 금속사가 채용될 수 있고 로드의 중심축으로부터 포신(10)의 반경 이상의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신(10)의 단부측에 구동계(100)를 부착시키고, 구동계(100)를 통해 세척부(200)를 포신(10) 내부로 인입시킴으로써 세척을 수행한다.
포신(10)에 부착되는 구동계(100)는 선택적으로 자화되도록 할 수 있어 포신(10)의 연장단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롤러는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로드와 결합시에 로드를 일측에서 가압하는 제1롤러(113) 및 타측에서 가압하는 제2롤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의 가압에 의해 포신(10)이 가압되어 롤러의 회전방향(R)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가 로드를 가압 및 회전하여 세척부(200)를 포신(10) 내측으로 진입시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브라켓은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을 포함한다. 제1브라켓(111)은 제1롤러(113)의 회전축(113a)과 연결되고, 제2브라켓(112)은 제2롤러(114)의 회전축(113a)과 연결될 수 있다. 각 브라켓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의 회전축(113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112)을 포함하고,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은 경첩(111a)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조립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21)는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자화에 의해 포신(10)이 바디(121)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자화는 인가부(126)를 조작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신(10)에 부착이 요구되는 경우 포신(10)에 인접하여 인가부(126)를 조작함으로써 바디(121)의 영구자석이 자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자화되어 부착되는 표면은 “V”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각 포신(10)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이며, 포신(10)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는 브라켓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되는 표면은 "V"자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ㄷ”자 형과 같은 절곡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포신(10)의 외경에 대응하는데 있어서는 본 예시와 같이 “V”자 형태의 표면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표면에는 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점탄성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탄성부(125)는 우레탄,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소재일 수 있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점탄성부(125)에 포신(10)의 외경이 마찰되어 바디(121)가 포신(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는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의 조립에 의해 치차결합되어 연동되고, 제2롤러(114)의 회전축(113a)과 연결된 조작부(119)의 회전방향(R)에 따라 세척솔(201)이 포신(10) 내부로 진입 또는 포신(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이 도 2(b)와 같이 조립방향(A)으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연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차결합되는 부분에 의해 회전연동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롤러의 양단부 중 하나가 치차결합되고 중앙부는 로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는 장구 모양(또는 모래시계 모양)으로 형성되어 각각 로드의 반경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는 의미는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에서 로드에 접촉되는 부분이 로드의 반경 이하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나아가, 접촉표면이 고마찰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로드가 포신(10)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롤러가 회전하거나 포신(10) 외부로 배출될 때 제1롤러(113)가 로드를 보다 더 강한 힘으로 가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조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브라켓은 바디(121)와 슬라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더(112a)를 포함하고, 바디(121)는 슬라이더(112a)에 대응되는 가이드(121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112a)는 제2브라켓(112)에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112a)와 가이드(121a)는 “T” 형상이나 더브테일(Dovetail) 형상에 의해 연결되어 가이드(121a)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는 점탄성부(125)에 안착된 포신(10)의 직경에 대응되는 구조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직경이 증가할수록 점탄성부(125)의 상단에 안착되고, 보다 상단에 안착된 포신(10)은 원심의 위치도 상향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121a)-슬라이더(112a)를 통해 상기 원심에 대응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원심에 대응되도록 조정함의 의미는, 포신(10)으로 인입될 로드와 원심이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는 의미이다.
가변적으로 상하방으로 조정이 가능한 브라켓은 포신(10)에 대응되는 기 결정된 위치에서 제2브라켓(112)과 바디(121)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은 고정부(112b)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12b)는 제2브라켓(112)의 슬라이더(112a) 측에 볼트와 같은 패스너를 통해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고정부(112b)를 통한 결합으로 가이드(121a)와 슬라이더(112a)가 고정될 수 있다.
제1브라켓(111)은 제1롤러(113)의 회전축(113a)과 연결되는 곡형장공(111b)이 형성되고, 곡형장공(111b)은 포신(10)으로 세척부(200)의 진입 및 배출 시에 제1롤러(113)가 로드 측으로 더 가압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곡형장공(111b)은 하방을 향해 곡선방향으로 장공이 연장되고, 제1롤러(113)가 회전되고 장공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롤러(113)의 회전축(113a)이 이동될 수 있다. 즉, 접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가압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곡형장공(111b)은 포신(10) 내부로 세척부(200)가 이동되는 방향 및 하방, 포신(10) 외부로 세척부(200)가 이동되는 방향 및 하방으로 곡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임의의 연장선(CL)이 곡형장공(111b)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브라켓이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 하방으로 제1롤러(113)가 이동되면서 로드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가압에 의해 마모를 완화하고, 가압력을 증가하기 위해 가압시 접촉되는 롤러의 면적은 고무 등의 고마찰소재로 표면이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첫째, 기존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세척봉을 본 발명을 이용하게되면 세척봉을 장구형 롤러에 밀착시켜 회전핸들로서 장구형 롤러를 회전시켜 세척봉을 포신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왕복시켜 작업함으로써, 포신의 세척시 작업인원을 1~2명으로 최소화가 가능하며, 시간을 기존대비 50%이상 단축할 수 있다.
둘째, 작업자가 본 발명의 회전핸들을 조작함에 있어서 10~15kgf의 적은 힘으로도 약 150~200kgf의 큰 추력을 발생시켜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작업자가 본 발명의 회전핸들을 회전시키는 속도에 따라 포신 내부에서의 세척솔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또는 천천히 할 수 있어 빠른 작업 및 미세한 세척 작업이 가능하다.
넷째, 기존 세척봉은 다단으로 분절된 다수의 마디가 축방향으로 조립되어지는 세척봉 마디를 모두 체결후 약6~8명의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세척봉을 파지후 포신 내부에 밀어넣고 세척함에 따라 작업반경이 포신의 길이에 따라 상이하지만 평균 6~10미터정도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일정길이만큼 세척봉을 포신에 밀어넣거나 포신으로부터 빼내어서 세척봉을 조립 또는 분해가 가능하여 작업반경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신세척장치 및 포신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계 저면측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에 결합된 제1롤러의 측면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계와 세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신의 바디에 부착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신의 바디에 부착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신의 바디에 부착된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포신(1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포신(10)의 단부 측에 결합되어 포신(10) 내측으로 세척솔(201)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자화에 의해 자성으로 포신에 부착되며 고정되는 방식 및 기구적인 요소를 통해 포신(10)에 부착되는 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류한 두 방식의 차이를 제외한 후술할 특징들은 별도의 기재가 생략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신세척장치 및 포신(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신세척장치는 포신(10)에 진입되고 진입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는 세척솔(201) 및 세척솔(201)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로드를 포함하는 세척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척부(200)를 가압하고 회전을 통해 포신(10) 내부로 진입시키는 롤러, 롤러를 고정하는 브라켓 및 브라켓과 연결되고 포신(10)과 자성을 통해 결합되는 바디(121)를 포함하는 구동계(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척솔(201)은 하나 이상이 연결된 로드의 단부에 마련되고,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솔(201)은 금속사가 채용될 수 있고 로드의 중심축으로부터 포신(10)의 반경 이상의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다수의 병사가 포신(10)의 세척을 위해 포신(10)의 길이방향으로 세척도구를 넣어 왕복하거나 자동 세척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세척을 하는 방식으로 세척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다수의 병사가 세척을 수행하는 것은 병사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데 반해 세척효율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자동으로 세척하는 방식은 고가의 자동세척기를 구비하여 별도로 휴대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포신(10)의 강선이 불균일하게 마모되고 탄매 등 이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으면 사격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은 명백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포신(10)의 단부측에 구동계(100)를 부착시키고, 구동계(100)를 통해 세척부(200)를 포신(10) 내부로 인입시킴으로써 세척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고, 자동세척장치보다 저렴하고 가벼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로드는 포신(10)의 길이에 따라 본 예시와 같이 제1로드(210), 제2로드(220) 및 제3로드(230)를 이어서 연결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분리하여 보관가능하므로 적은 부피로 보관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계(1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구동계(100)의 미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구동계(100)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신(10)에 부착되는 구동계(100)는 선택적으로 자화되도록 할 수 있어 포신(10)의 연장단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롤러는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로드와 결합시에 로드를 일측에서 가압하는 제1롤러(113) 및 타측에서 가압하는 제2롤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의 가압에 의해 포신(10)이 가압되어 롤러의 회전방향(R)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가 로드를 가압 및 회전하여 세척부(200)를 포신(10) 내측으로 진입시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브라켓은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을 포함한다. 제1브라켓(111)은 제1롤러(113)의 회전축(113a)과 연결되고, 제2브라켓(112)은 제2롤러(114)의 회전축(113a)과 연결될 수 있다. 각 브라켓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의 회전축(113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112)을 포함하고,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은 경첩(111a)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조립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바디(121)는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자화에 의해 포신(10)이 바디(121)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자화는 인가부(126)를 조작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신(10)에 부착이 요구되는 경우 포신(10)에 인접하여 인가부(126)를 조작함으로써 바디(121)의 영구자석이 자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자화되어 부착되는 표면은 “V”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각 포신(10)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ㄷ”자 형과 같은 절곡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포신(10)의 외경에 대응하는데 있어서는 본 예시와 같이 “V”자 형태의 표면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표면에는 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점탄성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탄성부(125)는 우레탄,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소재일 수 있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점탄성부(125)에 포신(10)의 외경이 마찰되어 바디(121)가 포신(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포신(10)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는 브라켓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는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의 조립에 의해 치차결합되어 연동되고, 제2롤러(114)의 회전축(113a)과 연결된 조작부(119)의 회전방향(R)에 따라 세척솔(201)이 포신(10) 내부로 진입 또는 포신(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이 도 2(b)와 같이 조립방향(A)으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연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차결합되는 부분에 의해 회전연동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예시의 경우 롤러의 양단부 중 하나가 치차결합되고 중앙부는 로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는 장구 모양(또는 모래시계 모양)으로 형성되어 각각 로드의 반경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는 의미는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에서 로드에 접촉되는 부분이 로드의 반경 이하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나아가, 접촉표면이 고마찰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로드가 포신(10)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롤러가 회전하거나 포신(10) 외부로 배출될 때 제1롤러(113)가 로드를 보다 더 강한 힘으로 가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조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계(100)의 저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은 바디(121)와 슬라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더(112a)를 포함하고, 바디(121)는 슬라이더(112a)에 대응되는 가이드(121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112a)는 제2브라켓(112)에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112a)와 가이드(121a)는 “T” 형상이나 더브테일(Dovetail) 형상에 의해 연결되어 가이드(121a)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는 점탄성부(125)에 안착된 포신(10)의 직경에 대응되는 구조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직경이 증가할수록 점탄성부(125)의 상단에 안착되고, 보다 상단에 안착된 포신(10)은 원심의 위치도 상향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121a)-슬라이더(112a)를 통해 상기 원심에 대응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원심에 대응되도록 조정함은, 포신(10)으로 인입될 로드와 원심이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으로 로드가 안착 및 가압되는 롤러의 위치를 상하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롤러와 연결된 브라켓을 바디(121)를 기준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동축이 되도록 조정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변적으로 상하방으로 조정이 가능한 브라켓은 포신(10)에 대응되는 기 결정된 위치에서 제2브라켓(112)과 바디(121)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은 고정부(112b)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12b)는 제2브라켓(112)의 슬라이더(112a) 측에 볼트와 같은 패스너를 통해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고정부(112b)를 통한 결합으로 가이드(121a)와 슬라이더(112a)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111)에 결합된 제1롤러(11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111)은 제1롤러(113)의 회전축(113a)과 연결되는 곡형장공(111b)이 형성되고, 곡형장공(111b)은 포신(10)으로 세척부(200)의 진입 및 배출 시에 제1롤러(113)가 로드 측으로 더 가압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곡형장공(111b)은 하방을 향해 곡선방향으로 장공이 연장되고, 제1롤러(113)가 회전되고 장공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롤러(113)의 회전축(113a)이 이동될 수 있다. 즉, 접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가압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곡형장공(111b)은 포신(10) 내부로 세척부(200)가 이동되는 방향 및 하방, 포신(10) 외부로 세척부(200)가 이동되는 방향 및 하방으로 곡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임의의 연장선(CL)이 곡형장공(111b)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브라켓이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 하방으로 제1롤러(113)가 이동되면서 로드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가압에 의해 마모를 완화하고, 가압력을 증가하기 위해 가압시 접촉되는 롤러의 면적은 고무 등의 고마찰소재로 표면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계(100)와 세척부(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구동계(100)에 세척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5(b)는 세척부(200)가 포신(10) 내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롤러(114)의 회전축(113a)은 조작부(119)와 연결되어 조작부(119)의 회전에 의해 제2롤러(114)가 회전될 수 있다. 제2롤러(114)의 회전은 치차결합되어 연동되는 제1롤러(113)의 회전을 유발하고, 제1롤러(113)와 제2롤러(11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 사이에 개재된 로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롤러(113) 및 제2롤러(114)에 가압되어 포신(10)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드와 포신(10)은 동축 상에 위치되므로, 세척솔(201)은 포신(10)의 내경인 그루브(12)에 접촉되고 왕복이동됨으로써 그루브(12)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그루브(12)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로드(210)의 경우 세척솔(201)과 베어링 등을 통해 결합이 되어 세척솔(201)이 자유회전 가능하므로, 포신(10) 내로 진입하거나 포신(10)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척솔(201)은 그루브(12)의 나선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구조적인 결합을 통해 바디가 포신(10)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바디는 제1롤러(113')와 결합되는 제1바디(121-1) 및 상기 제2롤러(114')와 결합되는 제2바디(12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각각 제1브라켓(111') 및 제2브라켓(11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바디(121-1) 및 제2바디(121-2)는 포신(10) 사이즈에 따라 대응되는 바디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포신 사이즈란 포신(10)의 외경을 의미하고, 바디의 접촉표면은 각각 포신(10)의 외주면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바디(121-1)와 제2바디(121-2)는 포신(10)과의 접촉표면 즉, 점탄성부(125')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경과 동일한 곡률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포신(10)의 외경과 점탄성부(125')는 면접촉을 통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21-1) 및 제2바디(121-2)는 각각이 자화를 선택적으로 결정함으로서 자성에 의한 포신(10)과의 결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되는 바디가 적용되므로, 전술한 가이드(121a) 및 슬라이더(112a)의 구성은 본 예시에 미포함될 수 있다.
한편, 유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도 7과 같은 예시에 의하면, 바디(121-3)는 잠금플레이트(127b)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플레이트(127b)는 포신(10)과 바디(121-3)를 개재시키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바디(121-3)를 포신(10)에 부착시키위한 배치이고, 고정력은 유볼트(127a)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유볼트의 단부는 각각 잠금플레이트(127b)를 관통하고, 너트 등의 잠금부재를 통해 잠기게 된다. 여기서 유볼트는 포신(10)의 외경에 가변적으로 대응될 수 있으나, 유볼트(127a)의 폭 이하의 외경을 가진 포신(10)에 한정될 수 있다.
그 외에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8과 같은 예시에 의하면 바디(121-4)는 벨트(128a)에 의해 포신(10)과 결합될 수 있다. 벨트(128a)는 일단이 바디(121-4)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디(121-4)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면에 결합은 결합공(121b)에 의한 결합이고 타측면에 의한 결합은 클립(128b)에 의한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공(121b)은 바디(121-4)에 하나 이상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클립(128b)은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포신(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장력이 벨트(128a)에 발생하면 클립(128b)을 통해 벨트길이를 고정함으로써 포신(10)과 바디(121-4)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128a)는 섬유, 가죽, 금속 등의 소재를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고, 클립(128b)은 조(Jaw)방식으로 벨트를 고정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포신
11 : 총렬
12 : 그루브
100 : 구동계
111, 111' : 제1브라켓
111a : 경첩
111b : 곡형장공
112, 112' : 제2브라켓
112a : 슬라이더
112b : 고정부
113, 113' : 제1롤러
113a : 회전축
113b : 제1가압부
113c : 제1치차부
114, 114' : 제2롤러
114b : 제2가압부
114c : 제2치차부
119 : 조작부
121, 121-3, 121-4 : 바디
121-1 : 제1바디
121-2 : 제2바디
121a : 가이드
121b : 결합공
125, 125' : 점탄성부
126 : 인가부
127a : 유볼트
127b : 잠금플레이트
128a : 벨트
128b : 클립
200 : 세척부
201 : 세척솔
210 : 제1로드
220 : 제2로드
230 : 제3로드
R : 회전방향
A : 조립방향
CL : 연장선

Claims (9)

  1. 포신에 진입되고 진입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는 세척솔 및 상기 세척솔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로드를 포함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부를 가압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포신 내부로 진입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를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포신과 탈부착 가능한 바디를 포함하는 구동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를 일측에서 가압하는 제1롤러 및 타측에서 가압하는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가 가압 및 회전하여 상기 세척부를 상기 포신 내측으로 진입시키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은 경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조립상태를 구성할 수 있는, 포신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는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조립에 의해 치차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된 조작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세척솔이 상기 포신 내부로 진입 또는 상기 포신으로부터 배출되는, 포신세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상기 자화에 의해 상기 포신이 상기 바디에 부착되는, 포신세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롤러와 결합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2롤러와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포신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포신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로드와 접촉되어 가이드하는, 포신세척장치.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포신이 부착되는 바디의 표면에는 점탄성부가 마련되어 부착상태를 유지하는, 포신세척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곡형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곡형장공은 상기 포신으로 세척부의 진입 및 배출 시에 제1롤러가 상기 로드 측으로 더 가압되도록 연장되는, 포신세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와 슬라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포신세척장치.
KR1020210030951A 2021-03-09 2021-03-09 포신세척장치 KR10250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51A KR102500363B1 (ko) 2021-03-09 2021-03-09 포신세척장치
KR1020230017743A KR20230037015A (ko) 2021-03-09 2023-02-10 포신세척장치
KR1020240033790A KR20240047341A (ko) 2021-03-09 2024-03-11 포신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51A KR102500363B1 (ko) 2021-03-09 2021-03-09 포신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743A Division KR20230037015A (ko) 2021-03-09 2023-02-10 포신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543A KR20220126543A (ko) 2022-09-16
KR102500363B1 true KR102500363B1 (ko) 2023-02-15

Family

ID=8344503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951A KR102500363B1 (ko) 2021-03-09 2021-03-09 포신세척장치
KR1020230017743A KR20230037015A (ko) 2021-03-09 2023-02-10 포신세척장치
KR1020240033790A KR20240047341A (ko) 2021-03-09 2024-03-11 포신세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743A KR20230037015A (ko) 2021-03-09 2023-02-10 포신세척장치
KR1020240033790A KR20240047341A (ko) 2021-03-09 2024-03-11 포신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00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22993A (zh) * 2022-11-18 2023-04-07 扬州扬铭新材料有限公司 一种pvc地板膜生产用具有冷却清洗功能的印花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2791A (ja) * 1996-10-16 1998-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砲身清掃装置
KR100380180B1 (ko) 2000-09-05 2003-04-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매립지 차수막의 파손위치 검지용 감지기
JP2003081581A (ja) 2001-09-12 2003-03-19 Sugiyasu Industries Co Ltd 車輌整備用リフトのスイングアーム
KR20090113742A (ko) 2008-08-25 2009-11-02 재 훈 장 자동 추적 카메라 장치
CN104903098B (zh) 2012-11-29 2016-12-07 Lg化学株式会社 具有包含无机颗粒的保护涂层的气体阻隔膜
US20140271277A1 (en) 2013-03-15 2014-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nthetic jet with non-metallic blade structure
KR20150038936A (ko) 2013-10-01 2015-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341A (ko) 2024-04-12
KR20230037015A (ko) 2023-03-15
KR20220126543A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7341A (ko) 포신세척장치
US20110119845A1 (en) Gun bore cleaning system
US9341428B2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gun barrel
CN105537931B (zh) 一种门把手自动组装机
US83023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firearm barrels
US8434256B2 (en) Apparatus for cleaning gun barrel
KR101058503B1 (ko) 양방향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AU2002308910B2 (en) Piston retention system for a fastener driving tool
CN107949763A (zh) 击打式手动炮膛清洁器
KR101237944B1 (ko)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US20040182728A1 (en) Strip of fasteners for a fastening apparatus with loading device intended to take the strip, the apparatus and the loading device
US20130153621A1 (en) Fastener driving device
US20110239515A1 (en) Device for cleaning gun barrels
US6874403B2 (en) Assembly and a method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a projectile
KR101193205B1 (ko) 회전식 탄창부가 구비된 총
CN110340810A (zh) 内壁喷丸枪
RU28167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аряжения пулемётных л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CN210281961U (zh) 内壁喷丸枪
KR101761370B1 (ko) 모의총의 리코일 쇼크 장치
CA3179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marks on bullets
CN117921605A (zh) 一种自动化舰炮炮身更换设备
CN111791154A (zh) 一种喷丸抛光机
WO2003064959A2 (en) Firearm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