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442B1 - 건식 필터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필터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42B1
KR101677442B1 KR1020140141142A KR20140141142A KR101677442B1 KR 101677442 B1 KR101677442 B1 KR 101677442B1 KR 1020140141142 A KR1020140141142 A KR 1020140141142A KR 20140141142 A KR20140141142 A KR 20140141142A KR 101677442 B1 KR101677442 B1 KR 101677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filter
housing
filter
mounting ro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491A (ko
Inventor
이진호
김창범
하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4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41/0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of rigid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건식 필터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에 건식 필터가 수납되는 입구를 가지며 또한 타단에 건식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건식 필터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봉, 상기 장착봉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 어링을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봉의 상, 하측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상, 하측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봉에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상, 하측 분사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에 삽입 장착된 건식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건식 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식 필터 재생 장치{DEVICE FOR REGENERATING FILTER}
본 발명은 건식 필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 필터를 필터 장착봉에 견고하게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4각형상의 하우징의 커버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하고,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하나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나의 개폐밸브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건식 필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강 및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공정에서 재료의 전성분 분석을 위해 발광분광분석기(OES;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가 사용된다. 발광분광분석기는 재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빛을 통해 스펙트럼을 얻고, 분석하고자 하는 원소의 스펙트럼선의 존재 여부나 스펙트럼선의 세기를 측정하여 원소의 정량이나 정성을 분석하게 된다.
발광분광분석기는 시료를 성분분석하기 위해 재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연소시 발생된 그을음(carbon)과 흄(fume), 분진(dust) 등이 발생된다. 이에 상기 발광분광분석기는 연소시 발생되는 이러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 장치가 구비된다. 필터링 장치 내에는 원통형태의 건식 필터가 구비되어 연소시 발생된 이물질을 흡착 처리하게 된다.
발광분광분석기가 재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건식 필터를 깨끗이 청소하여 청정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건식 필터는 정해진 시간이나 사용량에 따라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해줌으로써 청정한 상태로 재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식 필터 청소를 위한 특별한 장치가 전무하여, 작업자가 진공청소기로 필터에 묻은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통해 필터를 재생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필터의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필터의 재생이 불량하게 되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건식 필터를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된 장치를 개발하여 '건식 필터 재생장치'란 명칭으로 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13-0160641호).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재생장치를 사용한 결과,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구조와 비교하면 건식 필터의 이물질 제거 효율이 높긴 하나,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발광분광분석기(OES)로 금속의 성분을 분석할 때 발광스탠드에서 연소시키면 그을음(Carbon)과 흄(Fume) 등이 발생되며,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된 건식 필터(Filter)를 통과하면서 흡착 제거되며 건식 필터는 수회 청소 후 재사용 하고 있는데 건식 필터를 청소하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13-0160641호의 원통형 건식 필터 재생장치에서 건식 필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장치인 건식 필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의 꼬치(64)와 필터정지 위치인 삽입관(30)의 상단부에서 견고하게 회전 지지되지 못하여 회전 상태가 불량하며 또한 회전시킬 때 회전부의 꼬치(64)가 건식 필터(200)에 자주 꽃히면서 도 2와 같이 건식 필터 실에 손상을 주어 실이 절단되거나 건식 필터로부터 실이 풀려 필터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3개의 밸브, 즉 공급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46), 에어관(54)에 설치되는 개폐밸브(56), 및 충전탱크(48)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능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분진 출구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개폐밸브(56)는 마지막으로 작동시켜야 하나 3개의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사용하는 데 번거로움으로 한꺼번에 작동시켜 오히려 고압의 공급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46)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 하우징(10)은 공급관(44), 에어관(54) 등과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공급관(44)와 에어관(54)은 충전탱크(54)와 용접으로 결합되어 제작되므로 하우징(10)의 내부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하우징(10)의 분해가 곤란하여 정비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건식 필터를 필터 장착봉에 견고하게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4각형상의 하우징의 커버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하고,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하나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나의 개폐밸브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건식 필터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건식 필터가 수납되는 입구를 가지며 또한 타단에 건식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건식 필터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봉,
상기 장착봉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봉의 상, 하측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상, 하측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봉에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상, 하측 분사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에 삽입 장착된 건식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건식 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분사관과 상기 하측 분사관을 일체로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타단부에는 상기 장착봉에 삽입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의 삽입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필터 정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분사관의 일단부 외측에 각각 연결되고,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구 방향 상, 하측 유도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건식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구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 하측 유도 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건식 필터의 측단에 마주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돌출 형성되어 건식 필터의 측단에 삽입되는 건식 필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꽂이와,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핸들 또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식 필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꽂이가 삽입 장착되기 위한 제1 장착홈이 상기 건식 필터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식 필터의 타단부에는 상기 필터 정지판이 삽입 장착되기 위한 제2 장착홈이 상기 건식 필터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양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워있는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그 상단부를 개방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덮어주기 위한 상부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꽂이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아치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식 필터를 필터 장착봉에 견고하게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4각형상의 하우징의 커버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하며,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하나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나의 개폐밸브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광분광분석기 및 동일 형태의 오염된 건식 필터를 재생하여 연속 사용하므로 건식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청소가 어려울 때 조금 사용 후 버리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것에 따른 원가상승을 절감케 할 수 있으며,
또한, 오염된 건식 필터의 청소 용이로 발광분광분석기의 분석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며 건식 필터의 청소를 빈번하게 하지 않고 장기산 사용시 설비의 기능저하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오염된 건식 필터의 청소를 간편하게 반자동화 또는 자동화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근무환경이 개선되고 청소시 발생하는 그을음의 분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필터 케이스 내부의 오염된 건식 필터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오염된 건식 필터의 측면부에서 필터 실이 풀리고 마모되는 현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건식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회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건식 필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건식 필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하우징의 상부 커버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건식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회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건식 필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건식 필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하우징의 상부 커버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필터 재생장치(100A)는, 일단에 건식 필터(200A)가 수납되는 입구(112)를 가지며 또한 타단에 건식 필터(200A)에서 분리된 분진이나 그을음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4)를 갖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2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건식 필터(200A)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봉(130),
상기 장착봉(13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14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봉(130)의 상, 하측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상, 하측 분사구(152, 153)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봉(130)에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200A)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상, 하측 분사관(150, 151), 및
상기 도어(120)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130)에 삽입 장착된 건식 필터(200A)에 연결되어 상기 건식 필터(200A)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측 분사관(150)과 상기 하측 분사관(151)을 일체로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관(154),
상기 연결관(154)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관(154)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55), 및
상기 공급관(155)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155)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40)의 타단부에는 상기 장착봉(130)에 삽입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200A)의 삽입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필터 정지판(17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하측 분사관의 일단부 외측에 각각 연결되고,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구 방향 상, 하측 유도 분사구(158, 159)가 형성되어 상기 건식 필터에서 분리된 분진 등을 배출구 방향(115)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 하측 유도 분사관(156, 1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도어(120)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190)과, 상기 도어(120)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190)에 설치되어 건식 필터(200)의 측단에 마주하는 회전판(192), 상기 회전판(192)에 돌출 형성되어 건식 필터(200)의 측단에 삽입되는 건식 필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꽂이(194), 상기 도어(12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190)에 연결되어 회전축(190)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핸들(196)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90)에 핸들(196)을 연결하는 대신에, 상기 회전축(190)에 상기회전축(190)을 구동시켜 시켜 주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를 연결하여 회전축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190)은 상기 도어(120)의 외측에 설치되는 너트(198)에 의하여 상기 핸들(19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건식 필터(200A)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장착봉(130)에 삽입되기 위한 홀(210A)이 형성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식 필터(200A)는 발광분광분석기에 장착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나가는 시편의 연소가스에서 그을음이나, 분진, 흄 등을 포집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 건식 필터(200A)의 일단부에는 상기 꽂이(194)가 삽입 장착되기 위한 제1 장착홈(220)이 상기 건식 필터(200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식 필터의 타단부에는 상기 필터 정지판(170)이 삽입 장착되기 위한 제2 장착홈(230)이 상기 건식 필터(200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홈(220)은 상기 건식 필터의 일측 원주면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따라 일정한 크기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홈(230)은 상기 건식 필터의 타측 원주면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따라 일정한 크기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양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워있는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지면에 수평으로 놓여져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단, 즉 입구(112)는 건식 필터(200A)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필터링된 건식 필터(200A)를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입구(112)에는 도어(120)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을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타단, 즉 배출구(114)는 예를 들어, 건식 필터(200A)에서 분리된 분진이나 그을음 등을 재처리하는 집진 설비(미도시)와 덕트(11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그 상단부를 개방하고, 개방된 하우징 상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덮어주기 위한 상부 커버(118)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8)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면과 복수개의 볼트(119) 등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볼트(119)가 고정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117)이 복수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0)는 하우징(110)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도어(120)를 닫거나 열 수 있도록 도어고정구(122)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고정구(122)는 도어(120)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장착봉(130)은 하우징(110) 중앙에 중심축선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장착봉(13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 상단에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140)에 지지되어 도어(120)쪽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장착봉(130)은 건식 필터(200A)의 중앙에 형성된 홀(210A)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건식 필터(200A)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봉(130)은 건식 필터(200A)를 지지하며, 건식 필터(200A) 회전시 회전 중심축을 이룬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4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면에 연결부재를 통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40)은 상기 장착봉(13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커버(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은 상기 장착봉(13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은 상기 하우징(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대략 건식 필터(200A)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은 상기 장착봉(130)에 건식 필터(200A)를 삽입 장착했을 때, 건식 필터(200A) 표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은 표면에 복수개의 상, 하측 분사구(152, 153)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상, 하측 분사구(152, 153)는 건식 필터(200A)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건식 필터(200A) 표면에 에어를 분사한다.
이에, 상기 상, 하측 분사관(150, 151)으로 공급된 에어는 상, 하측 분사구(152, 153)를 통해 건식 필터(200A)의 표면에 분사된다. 이에 따라, 건식 필터(200A)에 부착된 분진이나 그을음 등과 같이 이물질이 에어의 분사압에 의해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상기 공급관(155) 및 연결관(154)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설치되어 상, 하측 분사관(150, 151)에 에어를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을 지지한다. 상기 공급관(155)에는 상기 공급관(155)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160)가 설치된다.
상기 상, 하측 유도 분사관(156, 157)은 표면에 배출구 방향(115), 즉 덕트(116)쪽을 향하는 복수개의 상, 하측 유도 분사구(158, 15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유도 분사관(156, 157)은 에어 공급을 위해 상, 하측 분사관(150, 151)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유도 분사관(156, 157)은 상기 장착봉에 삽입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측 분사관의 일단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유도 분사관에 형성되는 상, 하측 유도 분사구는 도어(120)의 반대쪽인 상기 하우징(110)의 덕트(116)쪽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상, 하측 유도 분사관(156, 157)의 상, 하측 유도 분사구(158, 159)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하우징(110) 내부의 에어 흐름을 하우징(110)의 배출구(114)에 연결된 덕트(116)쪽으로 흐르게 한다. 따라서 건식 필터(200A)에서 분리된 분진이나 그을음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110)에 연결된 덕트(116)를 통해 집진 설비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90)은 하우징(110)에 도어(120)를 닫았을 때, 장착봉(130)의 축중심과 동일축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192)에 설치되는 꽂이(194)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일정한 크기의 곡률을 갖는 아치 형상 또는 사각 형상 등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꽂이(194)는 상기 건식 필터(200A)의 제1 장착홈(220)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꽂이(194)의 설치 위치는 건식 필터(200A)의 측단 위치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꽂이(194)의 크기는 하우징(110)에 도어(120)를 닫았을 때, 건식 필터(200A)의 제1 장착홈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건식 필터(200A)를 장착봉(130)에 삽입 장착하고 도어(120)를 닫게 되면 회전판(192)이 건식 필터(200A)의 측단쪽으로 이동되면서 회전판(192)에 설치된 꽂이(194)가 건식 필터(200A)의 측단에서 제1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면서 건식 필터(200A)가 회전판(192)과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에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20)에 설치된 회전핸들(196)을 돌려주게 되면 회전판(192)이 회전되고, 회전판(192)에 꽂이(194)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건식 필터(200A)가 장착봉(13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식 필터(200A)는 상기 장착봉(130)에 삽입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건식 필터(200A)의 제1 장착홈(220)에 꽂이(194)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건식 필터(200A)의 제2 장착홈(230)에 필터 정지판(170)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장착봉은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건식 필터(200A) 청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건식 필터(200)의 회전 지지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 건식 필터 재생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타단은 집진 설비(미도시)의 덕트(116)와 연결된다. 이 때,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단, 즉 입구(112)를 열어준 개방 상태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재생 처리할 건식 필터(200A)를 하우징(110)의 개방된 입구(112)를 통해 내부에 장착하고 도어(120)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하우징(110) 입구(112)를 닫아주면 도어고정구(122)에 의하여 도어 고정 상태로 된다.
즉,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상기 건식 필터(200A)는 중앙의 홀(210A)을 장착봉(130)에 삽입하며, 상기 건식 필터(200A)의 제2 장착홈(230)에 필터 정지판(170)이 삽입 장착될 때까지 건식 필터(200A)를 밀어 넣으면 건식 필터(200A)가 장착봉(130)에 완전히 장착된다. 장착봉(130)에 건식 필터(200A)가 완전히 장착되면 개방되어 있는 도어(120)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하우징(110)의 입구(112)를 폐쇄한다. 도어(120)는 하우징(110) 일단에 설치된 도어고정구(122)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도어(120)가 닫혀지면 도어(120) 내측으로 설치된 회전판(192)의 꽂이(194)가 건식 필터(200A)의 제1 장착홈(222)에 삽입 장착 장착되어 건식 필터(200A)와 회전판(19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건식 필터(200A)가 하우징(110) 내에 장착되면 공급관(155)에 설치된 개폐밸브(160)를 개방 작동하여 공급관(155)으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한다.
공급관(155)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는 연결관(154)을 통하여 상, 하측 분사관(150, 151)으로 유입되어 상, 하측 분사구(152, 153)를 통해 건식 필터(200A) 표면으로 분사된다. 이 때, 건식 필터(200A) 표면에 부착된 분진이나 그을음 등과 같은 이물질은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의 상, 하측 분사구(152, 153)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떨어져 나가 제거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어(120) 외측에 설치된 핸들(196)을 돌려주거나 구동 모터(미도시) 작동시켜 주면 하우징(110) 내부에서 건식 필터(200A)가 베어링 하우징(140)의 베어링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건식 필터(200A) 표면 전체에 고르게 에어가 분사된다.
즉, 핸들(196)을 회전시켜 주면 회전축(190)이 수동으로 회전되고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동시켜 주면 회전축(190)이 자동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190)에 설치된 회전판(192)이 회전된다. 상기 회전판(192)은 꽂이(194)를 매개로 건식 필터(200A)와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판(192)이 회전되면 건식 필터(200A) 역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건식 필터(200A)는 베어링 하우징(140)에 의하여 안정되게 회전 지지된 장착봉(13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건식 필터(200A)는 회전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을 연속적으로 지나게 된다. 상, 하측 분사관(150, 151)에서 에어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건식 필터(200A)가 상, 하측 분사관(150, 151)을 연속적으로 지남으로써, 건식 필터(200A)의 표면 전면에 에어가 고르게 분사된다. 따라서, 건식 필터(200A) 전면에서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 하측 분사관(150, 151)으로 유입된 고안의 에어는 상, 하측 유도 분사관(156, 157)으로 유입되어, 상, 하측 유도 분사구(158, 159)를 통해 하우징(110)의 덕트(116)쪽, 즉 배출구 방향(115)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의 에어 흐름을 하우징(110)의 덕트(116)쪽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 하측 분사관(150, 151)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건식 필터(200A)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상, 하측 분사관의 일단 외측에 연결된 상, 하측 유도 분사관(156, 157)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덕트(116)쪽으로 이송되어 집진 설비(미도시)로 배출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건식 필터(200A)의 청소 처리가 완료되면 하우징(110) 하단의 도어(120)를 개방하고 처리된 건식 필터(200A)를 빼내면, 건식 필터의 재생 처리가 완료된다.
그리고, 하우징(110) 내부의 정비나 청소를 위하여 하우징(110)의 분해가 필요한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상단면과 상부 커버(118)를 고정 결합하고 있는 볼트(119)를 풀어준 후 상기 볼트(119)를 결합구멍(117)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커버(118)를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주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가 개방되고, 이 개방된 하우징(110)의 상부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를 정비하거나 청소 작업을 행하면 된다.
100A: 건식 필터 재생 장치 110: 하우징
120: 도어 130: 장착봉
140: 베어링 하우징 150, 151: 상, 하측 분사관
160: 개폐밸브 170: 필터 정지판
190: 회전축 192: 회전판
194: 꽂이 196: 핸들
200A: 건식 필터 210A: 홀
220, 230: 제1, 제2 장착홈

Claims (9)

  1. 일단에 건식 필터가 수납되는 입구를 가지며 또한 타단에 건식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건식 필터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봉,
    상기 장착봉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장착봉의 상, 하측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상, 하측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봉에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상, 하측 분사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에 삽입 장착된 건식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건식 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분사관과 상기 하측 분사관을 일체로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 하측 분사관의 일단부 외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건식 필터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구 방향 상, 하측 유도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건식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구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 하측 유도 분사관을 포함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봉의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삽입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의 삽입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필터 정지판이 설치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건식 필터의 측단에 마주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돌출 형성되어 건식 필터의 측단에 삽입되는 건식 필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꽂이와,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핸들 또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필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꽂이가 삽입 장착되기 위한 제1 장착홈이 상기 건식 필터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필터의 타단부에는 상기 필터 정지판이 삽입 장착되기 위한 제2 장착홈이 상기 건식 필터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워있는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그 상단부를 개방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덮어주기 위한 상부 커버를 설치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아치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KR1020140141142A 2014-10-17 2014-10-17 건식 필터 재생 장치 KR10167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42A KR101677442B1 (ko) 2014-10-17 2014-10-17 건식 필터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42A KR101677442B1 (ko) 2014-10-17 2014-10-17 건식 필터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91A KR20160045491A (ko) 2016-04-27
KR101677442B1 true KR101677442B1 (ko) 2016-11-18

Family

ID=5591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142A KR101677442B1 (ko) 2014-10-17 2014-10-17 건식 필터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076B1 (ko) * 2016-12-21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 청소 장치
KR102108095B1 (ko) 2017-08-21 2020-05-07 안승수 프리필터 재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233A (ja) * 1999-05-25 2000-12-05 Miyoshi:Kk フィルタエレメント洗浄装置
JP2010125433A (ja) 2008-11-29 2010-06-10 Iseki & Co Ltd フィルター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531A (ja) * 1992-11-26 1994-06-03 Matsui Mfg Co フィルターの清浄装置
KR101324648B1 (ko) * 2011-12-16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건식 필터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233A (ja) * 1999-05-25 2000-12-05 Miyoshi:Kk フィルタエレメント洗浄装置
JP2010125433A (ja) 2008-11-29 2010-06-10 Iseki & Co Ltd フィルター清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91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430B2 (en) Cleanable filter
US8632639B2 (en) Mobile cleaning device and method
KR101677442B1 (ko) 건식 필터 재생 장치
KR101999243B1 (ko) 굴뚝용 정화장치
KR101324648B1 (ko) 건식 필터 재생장치
JP2009039691A (ja) 濾過装置
US9541287B2 (en) Combustion furnace auto cleaner
KR101568025B1 (ko) 건식 필터 재생장치
KR20120020974A (ko) 차압을 감지하여 필터를 세척하는 메탈 에지 필터장치
US20120175293A1 (en) Gravity-Flow Water Purifier
KR101482529B1 (ko) 공기 중 부유미생물의 샘플링 장치
CN115634529B (zh) 一种气体除尘用过滤器
KR20190109149A (ko) 유체 여과장치
CN105738641B (zh) 分析装置
CN114160068A (zh) 一种高效化工反应釜
CN209207641U (zh) 多功能切片机
KR101879076B1 (ko) 필터 청소 장치
KR102152576B1 (ko) 차량의 엔진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CN102735505A (zh) 一种取样探头
CN221046321U (zh) 一种注水井无壳体过滤器及卡阻拆装工具和微阻拆装工具
KR101291564B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집진기
CN220386071U (zh) 一种气相色谱仪的过滤装置
CN215311301U (zh) 一种涂料车间废气处理系统
CN218794254U (zh) 一种可拆卸的芯式过滤器
KR101801461B1 (ko) 비산 석면농도 측정을 위한 이미지데이터 취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