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09035A1 -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 Google Patents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09035A1
WO2015009035A1 PCT/KR2014/006400 KR2014006400W WO2015009035A1 WO 2015009035 A1 WO2015009035 A1 WO 2015009035A1 KR 2014006400 W KR2014006400 W KR 2014006400W WO 2015009035 A1 WO2015009035 A1 WO 20150090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iocompatible polymer
polymer
injection
hydrophobic
hydr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64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Yu Jae W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u Jae Won filed Critical Yu Jae Won
Publication of WO20150090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090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ssue injectable injection injection comprising a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a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n an aqueous solution, and more particularly, a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a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t relates to an injection injection for tissue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pension particles themselves form in an aqueous solution.
  • tissue repair materials for the skin field.
  • Collagen suspensions have been used in 1981, when collagen can be extracted and cultured in cattle. This product has shown the effect of tissue repair by resupplying the collagen disappeared in the body, but the effect is very limited because it is reabsorbed in the body within 1 to 3 months due to the nature of collagen.
  • allergic reactions have been observed in about 2% of patients due to the use of collagen extracted from animals and are not currently in the spotlight.
  • Hyaluronic acid was original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eye drops in ophthalmology, but it has excellent biocompatibility for tissue repair and has a merit of almost no biotoxicity.
  • Tissue repair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extracting and replanting fat cells obtained from patients themselves, but they also have problems because they are reabsorbed in vivo within weeks.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Sanofi Co., Ltd. has developed Scultra, a tissue repair product using biocompatible polymer microparticles that can be degraded in vivo.
  • This product has polylactic acid as its main raw material, and the polymer's biodegradation rate is long. Also lasts about two years.
  • This product differs in that the hyaluronic acid or collagen product is efficacious due to the hydrated volume of the inserted substance, whereas the inserted polylactic acid forms the patient's own tissue cells and is effective.
  • the polylactic acid microspheres or particulates are suspended and injected into carboxymethylcellulose. At this time, the microspheres or particulates must have a diameter of 20 ⁇ m or more so as not to be attracted to the macrophage phagocytes.
  • the microspheres or fine particles should be less than 40 ⁇ m in diameter so that they can be injected by fine needles and do not form granules under the skin.
  • Polylactic acid began to be used as a therapeutic material for facial trauma in 1981, and has been used in various medical fields, and its safety has been sufficiently proved, and whether carboxymethyl cellulose, which is used as a carrier gel, does not originate from animals and causes allergy. It is not necessary to check whether or not.
  • this product has a disadvantage that carboxymethyl cellulose used as a suspending agent takes a long time to be hydrated and dissolved in water, and must be dissolved in water 2 to 24 hours before the procedure. There is also a problem of frequent clogging.
  • the sterilization operation using a sterilization filter is impossible, and the polymer has to be sterilized using gamma rays known to cause decomposition or crosslinking of high molecules, and all manufacturing processes have to be performed in a very high level sterilization facility.
  • the present inventors inject an injection for tissue repair comprising a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nto a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that is a conventional tissue repair polymer material in an aqueous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jection injection for tissue repair comprising a polymer of a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a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n an aqueous solution, the polymer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a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ssue injectable injection injec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pension particles are formed in themselves in an aqueous solution so that injection is possible without using a separate solubilizer.
  •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is an aliphatic polyester, more preferably from a sing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prolactone,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dioxanone and polyhydroxybutyl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containing these.
  •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s polyalkylene oxide, more preferably ethylene glycol or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 the polymer combined with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forms a suspension containing particles when water is added, and some polymers are capable of penetrating a sterile filter, and the injection injection solution in an aqueous solution including all the prepared polymers is 23 All in vivo injections were possible without clogging through the gauge syringe needle.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jecting the injection into the rat intradermal or subcutaneou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issue formation can be used for tissue repair.
  •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re preferably polymeriz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10, and more preferably in a range of 1: 1 to 1: 5. Do.
  •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preferably has a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00 g / mol, more preferably 1,000 to 50,000 g / mol.
  •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preferably has a molecular weight of 500 to 50,000 g / mol, more preferably 750 to 10,000 g / mol.
  • the weight ratio and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form a suspension including particles by dispersing themselves in an aqueous solution.
  • the weight of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s at least 1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exceeds 50,000 g / mol or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is less than 500 g / mol, the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may be completely dissolved in water so as not to form a suspension including particles.
  • the weight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is more than 10 times higher than the weight of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exceeds 100,000 g / mol or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s less than 500 g / mol, the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does not dissolve well in water in the aqueous solution or is unevenly dispersed in the form of large particles, thereby preventing injection through a syringe. Can be done.
  • the concentration i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s preferably 0.1 to 99% by weight.
  • the amount is less than 0.1%, the amount of particles formed in the aqueous solution is small, so that the effective level of tissue repair efficiency is hardly exhibited. If the amount is more than 99%, the polymer is difficult to disperse in water and the amount of particles in the aqueous solution is too high. Injection may be impossible.
  • the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particle siz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polymer and the concentration in the aqueous solution, and the particle size of some polymers corresponds to a level capable of sterilization through a filter. do.
  • Existing polymer cosmetic filler products cannot be sterilized by filters and are sterilized by gamma rays or ethylene oxide.
  • Gamma rays are known to decompose polymers to reduce molecular weight or to induce crosslinking between polymers. This can cause a change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 sterilization using ethylene oxide gas has a problem in terms of cost due to complex process with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the fact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polymer in the injection in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filter sterilization may serve as an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terilization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simple advanta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jection for injection of tissue repair using a biocompatible polymer.
  • Existing biocompatible polymers should prepare the polymer to be used as micro-sized particles through cooling or grinding the O / W emulsion using organic solvent and a large amount of water. It is difficult to obtain and the shape of the particles is not adjustable depending on the process used.
  • the conventional microparticle preparation process requires a very complicated process such as evenly dispersed the polymer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thickener or suspending agent, and then undergoing a freeze-drying process.
  • Injectable in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mmediately after the dispersion by simply adding water to the polymer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without the complicated process as described above can save the cost and ti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ssue repair injection injectable, which further comprises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the aqueous solution.
  •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single polymer micropartic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prolactone,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dioxanone and polyhydroxybutylate, to copolymers or block copolymer micros containing them. It is preferably a particle.
  •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microparticles preferabl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to 100 ⁇ m.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less than 20 ⁇ m it is easy to disintegrate by the phagocytes in the tissue, if it exceeds 100 ⁇ m the particle size is large, it may be difficult to intradermal injection through the syringe needle.
  • the content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microparticles is preferably 0.1 to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hydrophilic biocompatible polymer. If the content of the hydrophobic biocompatible polymer microparticles is less than 0.1%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tissue repair effect through the microparticles, and if the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solubilization through the suspension solution may be difficult, and thus the dispersion of the microparticles may be difficult. .
  • 1 i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20% of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2000-polycaprolactone 1000 polymer by weight (left) and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20% of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750-polycaprolactone 3000 polymer by weight (right)
  • the vial containing the solution was laid down to see if it contained particles on the bottom. On the left side, no precipitated particles were found on the bottom, but on the right side, excess precipitated particles were formed. Can be.
  • Figure 2 shows that after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20% by weight of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750-polycaprolactone 3000 polymer by shaking, it can be injected through a 23 gauge needle.
  • Figure 3 is an aqueous solution (left) containing 20% by weight of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750-polycaprolactone 3000 polymer (weight) and an aqueous solution (right) containing 50% by weight of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2000-polycaprolactone 2000 polymer After the injection of 0.1ml into the subcutaneous of the rat prepared by 6 weeks of subcutaneous intradermal picture there is no tissue formation at 2 week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issue is formed at 6 weeks.
  • the polylactic acid (molecular weight: 100,000 g / mol) polymer was pulverized using a polymer mill in a cooling state at -80 ° C and filtered through a 100 ⁇ m microsieve to obtain polylactic acid micr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40 ⁇ m.
  • 150 mg of the polylactic acid microparticles was added to 5 mL of a carboxymethylcellulose solution dissolved in water and an aqueous solution of mannitol serving as a cryoprotectant, and mixed well, followed by lyophilization to obtain a polylactic acid polymer microparticle filler.
  •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molecular weight: 2,000 g / mol) and ⁇ -caprolactone monomer were polymerized under a catalyst at 120 ° C. for one day, and then recrystallized to purify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capro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0 g / mol.
  • the double polymer polymer of lactone was obtained.
  •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molecular weight: 750 g / mol) and the ⁇ -caprolactone monomer were polymerized for one day at 120 ° C. under a catalyst, and then recrystallized and purified to a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caprolact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750 g / mol. The double polymer polymer of was obtained.
  •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molecular weight: 2,000 g / mol) and L-lactide monomer were polymerized under a catalyst at 120 ° C. for one day, and then recrystallized to purify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 The double polymer polymer of L-lactide was obtained.
  •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5% by weight of the polymer.
  • the aqueous solution is dispersed when shaken, but when left for a long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uspension containing particles sinking to the bottom, it was confirmed that the injection is possible using a 23 gauge needle.
  • Polyethylene glycol (molecular weight: 1,000 g / mol) and the ⁇ -caprolactone monomer were polymerized under a catalyst for one day at 120 ° C., and then recrystallized to obtain purified poly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polycaprolact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4,400 g / mol. Tripolymer polymer was obtained.
  •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0% by weight of the polymer.
  • the aqueous solution is dispersed when shaken, but when left for a long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uspension containing particles sinking to the bottom, it was confirmed that the injection is possible using a 23 gauge needle.
  •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molecular weight: 5,000 g / mol) and ⁇ -caprolactone monomer were polymerized under a catalyst for one day at 120 ° C., and then recrystallized to purify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capro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5,000 g / mol.
  • the double polymer polymer of lactone was obtained.
  • aqueous solution containing 5% of the polymer by weight.
  • the aqueous solution is dispersed when shaken, but when left for a long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uspension containing particles sinking to the bottom, it was confirmed that the injection is possible using a 23 gauge needle.
  •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 (molecular weight: 2000 g / mol) and ⁇ -caprolactone monomer were polymerized under a catalyst for one day at 120 DEG C, and then recrystallized to purify mono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caprolact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4,000 g / mol. The double polymer polymer of was obtained.
  • Example 5 Water was added to the polymer prepared in Example 5 to prepare a 10% aqueous solution by weight, and 100 ml of polylactic acid micr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40 ⁇ m was added to 10 ml of the aqueous solution, followed by mixing to prepare monomethoxypolyethylene containing polylactic acid microparticles.
  • An aqueous glycol 2000-polycaprolactone 2000 solution was prepa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queous solution can be injected using an 18-gauge injection needl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injection injectable for tissue repair of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액 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가 수용액 내에서 스스로 서스펜션 입자를 형성하여 별도의 가용화제 사용 없이 주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에 관한 것이며, 생체 내에 주사된 이후 조직 형성을 유도하여 조직 수복 효과 또한 여전히 갖는다.

Description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본 발명은 수용액 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가 수용액 내에서 스스로 서스펜션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 분야 조직 수복용 재료로서 다양한 많은 물질이 활용되고 있는데, 콜라겐 현탁액의 경우에는 1981년 소에서 콜라겐을 추출 배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제품은 체내에서 사라진 콜라겐을 재공급해 줌으로써 조직 수복의 효능을 보여주었으나, 콜라겐의 특성상 1개월 내지 3개월 이내에 체내에 재흡수되기 때문에 그 효능은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동물로부터 추출된 콜라겐을 사용하기 때문에 약 2%의 환자에게서 알러지 반응이 관찰되었고 그에 따라 현재에는 큰 각광을 받고 있지 않다.
현재는 히알루론산 젤을 이용한 제품들이 시장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히알루론산은 원래 안과에서 안약의 원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물질이었으나, 조직 수복 용도로도 생체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여러 임상을 통해 확인한 결과 생체 독성이 거의 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다만, 히알루론산은 2주에서 2달 사이에 매우 빠르게 생체 내 재흡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최근에는 히알루론산과 가교 물질을 서로 가교 연결하여 최대 6개월까지 생체 내 재흡수 기간을 연장시킨 제품이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교제품도 가교물질의 독성으로 인한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자 자신으로부터 얻어진 지방세포를 추출하여 재이식하는 조직수복 기술도 개발되었으나, 지방 세포는 수 주 내에 생체 내에 재흡수되기 때문에 역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생체내 분해가 되지 않는 고분자를 이용한 조직수복용 제품도 다수 개발되었는데, 그 중 하나로 젤라틴 용액 또는 콜라겐 용액에 현탁시킨 직경 20 내지 40 ㎛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미소구체(microsphere) 형태의 PMMA 제품의 경우에는 PMMA가 생체 내 오랫동안 노출되면서 나타나는 많은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노피(Sanofi) 사에서는 생체 내에서 분해가 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미립자를 이용한 조직 수복용 제품인 스컬트라를 개발하였는데, 이 제품은 폴리락트산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고분자의 생체 내 분해속도가 길어서 조직 수복 효과도 2년 정도 지속이 된다. 이 제품은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 제품이 삽입된 물질의 수화된 부피로 인해 효능을 발휘하는 것에 반해, 삽입된 폴리락트산이 환자 자신의 조직세포를 형성해 효능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폴리락트산 미소구체 또는 미립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에 현탁되어 주사되는데, 이 때 미소구체 또는 미립자는 마크로파지 탐식세포에 흡인되지 않도록 그 직경이 20㎛이상이어야 한다. 한편, 미소구체 또는 미립자는 미세한 주사바늘에 의해 주입가능하고 피부 아래에서 과립체를 형성하지 않도록 그 직경이 40㎛ 미만이어야 한다. 폴리락트산은 1981년 안면 외상 치료용 재료로 활용되기 시작하여 다양한 의료 분야에 활용이 되고 있어 그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이 된 상황이며, 캐리어 젤로 활용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도 동물에서 유래하지 않아 알러지를 일으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이 제품은 현탁제로 사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가 물에 수화되어 녹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시술 2시간에서 24시간 전에 미리 물에 녹여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미소구체의 입자크기로 인해 주사기 바늘이 막히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멸균필터를 이용한 멸균작업이 불가능해 고 분자의 분해 혹은 가교결합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감마선을 이용해 고분자를 멸균해야 하고, 제조공정이 모두 매우 높은 수준의 멸균시설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에 기재된 기존의 조직 수복용 제품들이 갖는 단점들을 해결하고자, 수용액 내 종래의 조직 수복용 고분자 물질인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주입제를 개발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액 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로서,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는 수용액 내에서 스스로 서스펜션 입자를 형성하여 별도의 가용화제 사용없이 주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며,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사논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 고분자 내지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알킬렌옥시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된 중합체는 물을 가하면 입자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을 형성하며, 일부 중합체는 멸균 필터 투과도 가능하고, 제조된 모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상의 주사 주입제는 23게이지 주사기 바늘을 통해 막힘없이 모두 생체 내 주사가 가능하였다. 또한, 상기 주사 주입제를 래트(rat)의 피내 혹은 피하에 주사한 결과, 조직 형성의 효과를 확인하여 조직수복용으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중량비 1:1 내지 1:10 범위로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의 범위로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500 내지 5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1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상에서 스스로 분산되어 입자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 및 분자량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그것보다 1배 이상 높은 경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50,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500 g/mol 미만인 경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는 물에 완전히 녹아 입자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을 형성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반대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이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보다 10배 이상 높은 경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100,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500 g/mol 미만인 경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가 수용액 상에서 물에 잘 녹지 않거나, 큰 입자 형태로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주사기를 통한 주사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의 수용액내 농도는 중량비로 0.1 내지 99%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미만인 경우, 수용액 상에서 형성된 입자의 양이 적어 유효한 수준의 조직수복 효능이 나타나기 힘들며, 99%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체가 물에 분산이 쉽지 않고 수용액상에서 입자의 양이 너무 많아 마이크로 단위의 주사기를 통한 주사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는 중합체의 구성 및 수용액 상에서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가지게 되는데, 일부 중합체의 입자 크기는 필터를 통한 멸균이 가능한 수준에 해당한다. 기존의 고분자 미용 필러(filler) 제품은 필터를 통한 멸균이 불가능하여 감마선 혹은 에틸렌옥시드를 통한 멸균을 거치는데, 감마선은 고분자를 분해하여 분자량을 떨어뜨리거나 혹은 고분자간의 가교결합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고분자의 물성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옥시드 가스를 이용한 멸균은 환경문제와 함께 공정이 복잡하여 비용상으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사 주입제 내 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필터 멸균이 가능한 수준인 점은 이러한 종래 멸균 공정상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조 공정상으로도 본 발명은 기존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대비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기존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고분자를 냉각분쇄 혹은 유기용매와 다량의 물을 이용한 O/W 에멀젼 등의 공정을 통해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로 준비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공정을 통해서는 균일한 입자크기를 얻기 힘들며 입자모양 또한 사용된 공정에 따라 조절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마이크로 입자 준비공정은 증점제 또는 현탁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상에서 고분자를 골고루 분산시킨 후, 동결건조 과정을 거치는 등 매우 복잡한 공정을 요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 주입제는 위와 같은 복잡한 공정없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에 단순히 물을 가하여 흔들어 분산시킨 후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공정상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른 한 측면으로, 본 발명은 상기 수용액 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를 제공한다.
폴리락트산마이크로입자를 이용한 종래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제형은 병원에서 사용하기 2시간 혹은 24시간 전에 미리 물을 가해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물에 녹지 않는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락트산 마이크로 입자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이용해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으로, 이 때 사용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가 물에 쉽게 녹지 않아 녹이기까지 2시간 내지 24시 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주입제는 스스로 물에 분산되는 서스펜션 입자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바, 폴리락트산 마이크로 입자와 같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를 본 발명에 따른 주사 주입제에 추가로 포함시켜도 별도의 증점제나 현탁제없이 바로 조직수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사논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내지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는 평균 입자경이 20 내지 1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경이 20μm 미만이면 조직 내 식세포에 의한 분해가 용이해지며, 100μm을 초과하는 경우 입자크기가 커져 주사기 바늘을 통한 피내 주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함량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마이크로 입자를 통한 조직수복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의 서스펜션 용액을 통한 가용화가 어려워 마이크로 입자의 분산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는 별도의 현탁제 또는 증점제의 첨가 없이도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합체 자체가 물에 스스로 가용화되어 주사가능한 수준의 입자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을 형성하여 생체내 주사가 가능하며, 생체내에 주사된 이후 조직형성을 유도하여 조직수복효과 또한 여전히 갖는다
도 1은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폴리카프로락톤1000 고분자를 중량비로 20% 포함하는 수용액 (좌측)과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750-폴리카프로락톤3000 고분자를 중량비로 20% 포함하는 수용액 (우측)을 녹여서 준비한 후, 24시간 경과한 후 용액을 포함하는 바이알을 눕혀 바닥에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관찰한 것으로 왼쪽은 바닥에 침전된 입자가 없으나, 오른쪽은 과량의 침전입자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750-폴리카프로락톤3000 고분자를 중량비로 20% 포함하는 수용액을 흔들어 준비한 후, 23게이지 주사용 바늘을 통해서 주사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도 3은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750-폴리카프로락톤3000 고분자를 중량비로 20% 포함하는 수용액(좌측)과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폴리카프로락톤2000 고분자를 중량비로 50% 포함하는 수용액(우측)을 준비하여 래트의 피하 내로 0.1ml 주사한 후 6주 경과 피하 내 사진으로 2주에는 조직 형성이 없으나, 6주에는 조직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명확히 하는 목적을 지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비교예1. 폴리락트산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제형
폴리락트산(분자량: 100,000g/mol) 고분자를 -80℃ 냉각상태에서 고분자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한 후 100μm 마이크로채(Sieve)를 통해 걸러내어, 평균 입경 약 40μm의 폴리락트산 마이크로 입자를 얻었다. 물을 가해 녹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용액 및 동결보호제인 만니톨 수용액 5mL에 상기 폴리락트산 마이크로 입자 150mg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동결건조 하여, 폴리락트산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필러를 얻었다.
비교예 2.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폴리카프로락톤1000 고분자 제형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2,000g/mol)과 ε-카프로락톤 단량체를 촉매 하에서 120℃ 온도로 하루 동안 중합한 뒤, 재결정하여 정제된 분자량 3,000g/mol의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의 2중 중합체 고분자를 얻었다.
상기 고분자에 상온의 물을 가한 후 가볍게 흔들어 혼합하고, 상기 고분자를중량비로 20%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었다. 상기 수용액은 고분자가 수용액 상에서 완전히 녹아서 입자가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실시예 1.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750-폴리카프로락톤3000 고분자 제형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750g/mol)과 ε-카프로락톤 단량체를 촉매 하에서 120℃ 온도로 하루 동안 중합한 뒤, 재결정하여 정제된 분자량 3,750g/mol의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의 2중 중합체 고분자를 얻었다.
상기 고분자에 상온의 물을 가한 후 가볍게 흔들어 혼합하고, 상기 고분자를중량비로 20%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었다. 상기 수용액은 흔들어 주면 분산이 되지만 오랜 시간 방치해두면 바닥에 가라앉는 입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서스펜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1), 23게이지의 주사용 바늘을 사용해 주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실시예 2.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폴리-L-락트산10000고분자 제형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2,000g/mol)과 L-락타이드 단량체를 촉매 하에서 120℃ 온도로 하루 동안 중합한 뒤, 재결정하여 정제된 분자량 12,000g/mol의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L-락타이드의 2중 중합체 고분자를 얻었다.
상기 고분자에 80℃의 물을 가한 후 흔들어 혼합하고, 상기 고분자를 중량비로 15%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었다. 상기 수용액은 흔들어 주면 분산이 되지만 오랜 시간 방치해두면 바닥에 가라앉는 입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서스펜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3게이지의 주사용 바늘을 사용해 주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폴리카프로락톤1700-폴리에틸렌글리콜1000-폴리카프로락톤1700 고분자제형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1,000g/mol)과 ε-카프로락톤 단량체를 촉매 하에서 120℃ 온도에서 하루 동안 중합한 뒤, 재결정하여 정제된 분자량 4,400 g/mol의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의 3중 중합체 고분자를 얻었다.
상기 고분자에 상온의 물을 가한 후 가볍게 흔들어 혼합하고, 상기 고분자를중량비로 10%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었다. 상기 수용액은 흔들어 주면 분산이 되지만 오랜 시간 방치해두면 바닥에 가라앉는 입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서스펜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3게이지의 주사용 바늘을 사용해 주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5000-폴리카프로락톤30000고분자제형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5,000g/mol)과 ε-카프로락톤 단량체를 촉매 하에서 120℃ 온도로 하루 동안 중합한 뒤, 재결정하여 정제된 분자량 35,000g/mol의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의 2중 중합체 고분자를 얻었다.
상기 고분자에 80℃의 물을 가한 후 혼합하고, 상기 고분자를 중량비로 5%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었다. 상기 수용액은 흔들어 주면 분산이 되지만 오랜 시간 방치해두면 바닥에 가라앉는 입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서스펜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3게이지의 주사용 바늘을 사용해 주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폴리카프로락톤2000 고분자 제형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2000g/mol)과 ε-카프로락톤단량체를 촉매 하에서 120℃ 온도로 하루 동안 중합한 뒤, 재결정하여 정제된 분자량 4,000g/mol의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의 2중 중합체 고분자를 얻었다.
상기 고분자에 상온의 물을 가한 후 가볍게 흔들어 혼합하고, 상기 고분자를중량비로50%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었다. 상기 수용액은 흔들어 주면 분산이 되지만오랜 시간 방치해두면 바닥에 가라앉는 입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서스펜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3게이지의 주사용 바늘을 사용해 주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고 분자에 물을 가한 후 가볍게 흔들어 혼합하여 중량비로 5%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한 후, 상기 수용액을 0.45μm의 필터를 통해 필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준비된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중합체를 래트(rat)의 피내 혹은 피하에 주사한 뒤, 조직 수복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2주 경과 시점에서는 육안으로아무것도 확인할 수가 없었지만, 6주 경과시점에는 조직이 형성되는 수복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3)
실시예 6. 폴리락트산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폴리카프로락톤2000 고분자 제형
실시예5)에서 준비된 중합체에 물을 가하여 중량비 10% 수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수용액 10ml에 평균입경이 약 40μm의 폴리락트산마이크로입자 100mg을 가한 후 혼합하여 폴리락트산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폴리카프로락톤2000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수용액은 18게이지의 주사용 바늘을 사용해 주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인체의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수용액 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주입제로서,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는 수용액 내에서 스스로 서스펜션 입자를 형성하여 별도의 가용화제 사용 없이 주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2.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고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알킬렌옥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3. 제2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사논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고분자 내지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블록공중합체이고, 폴리알킬렌옥시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주입제.
  4.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중량비 1:1 내지 1:10 범위로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5.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중량비 1:1 내지 1:5 범위로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6.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7.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8.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500 내지 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9.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750 내지 1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10.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의 수용액 내 농도가 중량비로 0.1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11.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 내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사논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 고분자 마이크로입자 내지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는 평균 입자경이 20 내지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함량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함량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PCT/KR2014/006400 2013-07-19 2014-07-15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WO20150090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531A KR101531091B1 (ko) 2013-07-19 2013-07-19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KR10-2013-0085531 2013-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9035A1 true WO2015009035A1 (ko) 2015-01-22

Family

ID=5234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6400 WO2015009035A1 (ko) 2013-07-19 2014-07-15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1091B1 (ko)
WO (1) WO20150090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15A1 (ko) 2017-06-12 2018-12-20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알긴산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콜로이드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CN112807486A (zh) * 2021-02-09 2021-05-18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两亲性聚氨基酸共聚物基可注射填充剂及注射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79B1 (ko) * 2018-05-24 2020-08-13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7078B1 (ko) 2019-06-26 2020-02-14 주식회사 로즈랩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EP4104873A4 (en) * 2020-02-13 2024-02-21 Rose Lab Co Ltd COMPOSITION FOR TISSUE RESTORATION, COMPRISING A COPOLYMER OF BIODEGRADABLE POLYMERS
KR20230164558A (ko) 2022-05-25 2023-12-04 주식회사 로즈랩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KR20240043261A (ko) 2022-09-27 2024-04-03 전현진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099A (ko) * 2007-02-14 2008-08-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및 피에치 민감성 블록공중합체 고분자 하이드로겔을이용한 주사가능한 약물전달체 및 약물전달방법
WO2009106641A2 (en) * 2008-02-29 2009-09-03 Coloplast 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ugmentation and regeneration of living tissue in a subject
WO2009121631A2 (en) * 2008-03-31 2009-10-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Nanoparticles for targeted delivery of active agents to the 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099A (ko) * 2007-02-14 2008-08-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및 피에치 민감성 블록공중합체 고분자 하이드로겔을이용한 주사가능한 약물전달체 및 약물전달방법
WO2009106641A2 (en) * 2008-02-29 2009-09-03 Coloplast 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ugmentation and regeneration of living tissue in a subject
WO2009121631A2 (en) * 2008-03-31 2009-10-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Nanoparticles for targeted delivery of active agents to the l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15A1 (ko) 2017-06-12 2018-12-20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알긴산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콜로이드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US11071807B2 (en) 2017-06-12 2021-07-27 Mcnulty Pharma Co., Ltd. Liquid composition including alginic acid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colloidal polysaccharide
CN112807486A (zh) * 2021-02-09 2021-05-18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两亲性聚氨基酸共聚物基可注射填充剂及注射液
CN112807486B (zh) * 2021-02-09 2024-03-26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两亲性聚氨基酸共聚物基可注射填充剂及注射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091B1 (ko) 2015-06-24
KR20150010464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09035A1 (ko)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DE69819694T2 (de) Subkutan oder intradermal injizierbares implantat in der plastischen oder wiederherstellenden chirurgie
CN111184909B (zh) 一种透明质酸缓释填充物及制备方法
ES2871977T3 (es) Biomateriales inyectables
HUE031598T2 (hu) Érzéstelenítõ szereket tartalmazó hialuronsav alapú gélek
CN103405773A (zh) 一种可生物降解的温敏性原位水凝胶的制备与应用
US20220233454A1 (en) Tunable degradation in hydrogel microparticles
CN111150883A (zh) 可生物降解的注射填充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N111617315A (zh) 可生物降解的注射填充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N105708789B (zh) 一种载药纳米纤维微球/水凝胶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5040276A (ja) 生分解性ポリマーと粘土鉱物とを複合してなるヒドロゲル化剤
EP4063433A1 (en) Hydrogel of mercapto-modified macromolecular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CN110123779A (zh) 一种用于关节腔内注射的微球及其制备方法
KR20150007051A (ko) 조직 수복용 생체적합성 고분자 주사 주입제
KR20220095199A (ko) 즉시 사용 가능한 에스테틱 조성물
WO2023191385A1 (ko) 히알루론산염 나노 파브릭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1576A (ko)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성물, 미용 조성물, 의료 용품 및 미용 용품
WO2022231360A1 (ko) 분해시간 조절이 가능한 색전용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08124A1 (en) Hydrogel microparticle-based soft tissue fillers
CN116370707A (zh) 一种注射填充剂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Vancomycin-loaded silk fibroin microspheres in an injectable hydrogel for chronic osteomyelitis therapy
WO2021158072A2 (ko) 콜라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젤 조성물 및 제조 방법
WO2021162292A1 (ko)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Bartoli et al. 25 Recent Polymers Advancements for Biomedical in Applications
US20240091413A1 (en) Hydrogel microparticle-based lubric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264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264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