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078B1 -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078B1
KR102077078B1 KR1020190076023A KR20190076023A KR102077078B1 KR 102077078 B1 KR102077078 B1 KR 102077078B1 KR 1020190076023 A KR1020190076023 A KR 1020190076023A KR 20190076023 A KR20190076023 A KR 20190076023A KR 102077078 B1 KR102077078 B1 KR 10207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olymer
copolymer
composition
tissu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078B9 (ko
Inventor
전현진
이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5141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770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즈랩
Priority to KR102019007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07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78B9/ko
Publication of KR10207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조직주복용 조성물과 달리 진피에 직접 주입하여도 결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콜라겐 생성률이 높아 조직 수복 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issue restoration containing biodegradable copolymer}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는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공중합체가 수용액 내에서 자가 조립하여 나노입자를 형성하여 피내 또는 피하 주사시 결절을 방지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는 25~50um의 조직수복용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 미소구체 또는 미립자들이 대식세포에 의해 소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수복 효과의 지속성과 관련이 높다. 하지만 마이크로 크기의 조직수복용 재료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허혈이나 종괴 압박효과로 인한 주입 부위 조직의 혈행 장애나 결절 등이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조직수복재료는 부작용의 우려 때문에 콜라겐 생성에 관여하는 섬유아세포가 많은 진피층이 아닌 섬유아세포가 상대적으로 적은 피하 지방층에 주입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시술자의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고 있다. 제품화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틱산 등의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주는 조직수복용 마이크로 입자를 진피에 주입할 경우, 결절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7780호(조직수복용 조성물)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0464호(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의 중량 비중이 높을 경우 체내에 직접 주입시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중합체 간의 재결합으로 결절 등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생체 내 주입 후에도 결절이 발생하지 않는 조직수복용 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778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0464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 기재된 기존의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들이 갖는 단점들을 해결하고자, 수용액 내 조직 수복용 고분자 물질이 피하 주사시 발생할 수 있는 결절을 방지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피에 직접 주입하여도 결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콜라겐 생성률이 높아 조직 수복 효과가 뛰어난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를 제공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는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이다.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사논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등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카프로락톤 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10 : 20 내지 10 : 50의 중량비로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내지 10 : 30의 중량비 범위로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수평균 분자량이 550 내지 4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15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수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4000g/mo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2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공중합체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16000g/mol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5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는 수용액 내에 0.1 내지 99%(w/w)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w/w)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수용액의 점성 증가로 인해 주사기를 이용한 피부 주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는 50nm 내지 1000nm의 크기의 구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300nm의 구형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촉매는 Stannous octoat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주사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 용매나 젤화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수복용 조성물은 기존의 조직주복용 조성물과 달리 진피에 직접 주입하여도 결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콜라겐 생성률이 높아 조직 수복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비교예 1을 포함하는 주사제, 비교예 2와 실시예를 각각 포함하는 조성물의 바이알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나노입자 입경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2와 실시예가 포함된 주사제 조성물을 37℃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성상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예 1에서 본 발명의 주사제인 실시예를 주입한 후 SD 백서의 충진 부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비교예 1과 실시예를 주사한 부위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 1과 실시예의 주사 부위 피부 조직에서 형성된 콜라겐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비교예 1과 실시예의 주사 부위 피부 조직에서 형성된 콜라겐 양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폴리카프로락톤-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공중합체 마이크로 입자
폴리카프로락톤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가 3 : 7의 중량비로 포함된 수용액의 ELLANSE M(제조사: AQTIS Medical, 판매사: JW중외제약)이며, 평균 입경 약 50 μm의 폴리카프로락톤 입자로 구성된 주사제이다.
<비교예 2>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입자 제형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1000 g/mol) 10g과 ε-카프로락톤 단량체 20g을 중량비 10 : 20 으로 Stannous octoate 촉매 100ul 하에서 120°C로 12시간 동안 중합한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분자량 3000g/mol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얻었다.
상기의 제조된 공중합체에 상온의 증류수를 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하여 고분자가 자가 조립을 통해 나노입자를 형성하도록 하여 공중합체가 수용액 내에 30%(w/w)로 포함되는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나노입자 제형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1000g/mol) 21 g과 ε-카프로락톤 단량체 10 g를 중량비 21 : 10로 Stannous octoate 촉매 100ul 하에서 120°C로 12시간 동안 중합한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분자량 3100g/mol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얻었다. 제조한 공중합체에 상온의 증류수를 가한 후 혼합하여 공중합체가 자가 조립을 통해 나노입자를 형성하도록 하여 공중합체가 수용액 내에 30%(w/w)로 포함되는 수용액을 얻었다. 수용액에 포함된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62 nm였다.
<실험예 1> 온도에 따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나노입자 제형 비교
실시예 1과 비교예 2를 37℃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온도에 따른 성상을 비교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소수성 고분자의 비율이 높은 비교예 2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나노 입자의 제형은 입자들의 재결합으로 인해 침전물이 생성되었으며 불균일한 입자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1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나노입자의 제형은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실험예 2>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나노입자 수용액의 조직 수복 효과의 평가
본 발명의 조직 수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대조군으로서 0.1 ml의 마이크로 입자 조성물인 비교예 1을 포함하는 주사제, 실험군으로서 0.1 ml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나노 입자 조성물인 실시예를 포함하는 주사제를 이용하였다.
주사제 주입시험을 위해 SD 백서(SD Rat, 라이온바이온(주), 대한민국)를 사용하였다. 주사 전 각 쥐를 isoflurane gas (Hana Pharm. Co., Ltd., Korea)로 마취하였다. 진정 작용이 분명해지면, 동물은 앙와위의 외과 테이블에 놓였고, 발톱은 탄력있는 스트립으로 묶여있었다. 쥐의 두피의 2 x 1 cm 표면을 제모하였다.
패닝 기술은 일회용 인슐린 주사기(26G)를 사용하여 균일한 압력으로 두피에 물질을 주입하는데 사용되었다. 머리 부위의 1곳에서 주사부를 선택하여 주입하였다(도 4).
주사 3개월 후에 주입부위 2×1 cm2 이상을 절개하여 결절이 형성된 피부를 포함하여 표재근 상층까지, 결절 부위가 모두 포함되도록 충분히 절제하였다.
주사제를 주입한 후 3개월 후의 SD 백서의 주사 부위의 두피 조직은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시험물질의 적용 3개월 후 적출한 피부조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대조군의 두피조직은 주사제에 의한 결절이 확인되었으나 실험군의 두피조직은 주사제로 인한 결절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사 부위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한 결과, SD 백서의 주사제 적용부위 피부를 적출하여 조직학적 검사결과 조직 내 수용액의 흡수 등으로 인해 나노 입자가 상호 결합하여 주입 부위에 존재하며 콜라겐과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콜라겐 생성 정량 평가
상기 실험예 2의 콜라겐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시험물질 주입 후 4주, 8주, 12주째 되는 SD 백서의 두피 조직을 절개하여 얻었다.
두피 조직의 무게를 정량하여 10배 양의 0.5M acetic acid 용액을 넣고 4℃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원심분리(15,000g, 60분)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부피가 총 100ul가 되게 하였다. 1 ml의 sircol dye reagent를 첨가하여 콜라겐과 염색시약을 결합시킨 뒤 원심분리(10,000g, 10분) 후 얻은 침전물에 1ml의 alkali reagent를 첨가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soluble collagen assay kit(SircolTM, Biocolor Ltd., Irrland)를 이용하여 각 조직 내의 정량적인 콜라겐 양을 확인하였고, 비교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비교예 1을 주입한 대조군에서는 4주차 0.51 mg/g에서 8주차 0.6 mg/g으로 소량 증가하였고 그 양이 12주차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실시예를 주입한 실험군에서는 4주차 0.88mg/g에서 12주차 1.22mg/g으로 콜라겐이 0.34mg/g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는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가 10 : 21의 중량비로 중합되고,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친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중합된 고분자 공중합체는 상온인 15~25℃에서 자가 조립을 통해 나노입자를 형성하고, 수평균 분자량 31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50nm 내지 300 nm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수용액 내에 0.1 내지 30%(w/w)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KR1020190076023A 2019-06-26 2019-06-26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KR10207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23A KR102077078B1 (ko) 2019-06-26 2019-06-26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23A KR102077078B1 (ko) 2019-06-26 2019-06-26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078B9 KR102077078B9 (ko) 2020-02-14
KR102077078B1 true KR102077078B1 (ko) 2020-02-14

Family

ID=6951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023A KR102077078B1 (ko) 2019-06-26 2019-06-26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0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292A1 (ko) * 2020-02-13 2021-08-19 주식회사 로즈랩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WO2023003384A1 (ko) * 2021-07-21 2023-01-26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WO2023229187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로즈랩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WO2024106970A1 (ko) * 2022-11-17 2024-05-23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379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50054012A (ko)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태평양 코엔자임 q10을 함유한 자기회합성 고분자 나노입자 및이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007051A (ko) * 2013-07-10 2015-01-20 유재원 조직 수복용 생체적합성 고분자 주사 주입제
KR20150010464A (ko) 2013-07-19 2015-01-28 유재원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KR20160028834A (ko) * 2014-09-04 2016-03-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감응성 생분해 하이드로겔
KR20160033897A (ko) *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7780A (ko)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KR20170094345A (ko) * 2014-12-17 2017-08-17 로레알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379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50054012A (ko)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태평양 코엔자임 q10을 함유한 자기회합성 고분자 나노입자 및이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007051A (ko) * 2013-07-10 2015-01-20 유재원 조직 수복용 생체적합성 고분자 주사 주입제
KR20150010464A (ko) 2013-07-19 2015-01-28 유재원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KR20160028834A (ko) * 2014-09-04 2016-03-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감응성 생분해 하이드로겔
KR20160033897A (ko) *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4345A (ko) * 2014-12-17 2017-08-17 로레알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07780A (ko)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292A1 (ko) * 2020-02-13 2021-08-19 주식회사 로즈랩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WO2023003384A1 (ko) * 2021-07-21 2023-01-26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WO2023229187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로즈랩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WO2024106970A1 (ko) * 2022-11-17 2024-05-23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078B9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078B1 (ko)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US20040109893A1 (en)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s of anesthetics for pain management
US9295691B2 (en) Method for repairing or replacing damaged tissue
KR101531091B1 (ko)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EP2067468A1 (en)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s of anesthetics for pain management
KR101689357B1 (ko) 조직 수복용 조성물
KR101689798B1 (ko)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 Melo et al.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a polycaprolactone dermal filler when mixed with lidocaine and lidocaine/epinephrine
AU2022202881A1 (en) Composition for tissue repai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60033897A (ko)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32113A (ko) 생분해성 고분자의 다공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 조성물
Yu et al. Microgel-integrated, high-strength in-situ formed hydrogel enables timely emergency trauma treatment
KR20190027274A (ko)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053224A1 (en) Composition for restoration of tissue including biodegradable polymeric copolymer
KR20200072322A (ko) 온도감응형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서방성 약물전달체 제조방법
CN115317665B (zh) 一种聚酯粒子复合温敏即型凝胶皮下植入剂
KR101132673B1 (ko) 소수성 및 친수성 약물 전달용 유비쿼터스 주입형 온도감응성 겔
Park et al. Injectable and sustained delivery of human growth hormone using chemically modified Pluronic copolymer hydrogels
CN113117142B (zh) 可生物降解的注射填充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US20200376128A1 (en) Monodisperse resorbable polyester polymer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EP3753586A1 (en) Crosslinkable hydrogel compositions
EP4043044A1 (en) Tissue restoration composition
KR20230164558A (ko)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Constantinou et al. Novel thermoresponsive polymer outperforming Pluronic® F127
CN116333378A (zh) 一种聚羟基脂肪酸酯微球复合凝胶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27;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413

Effective date: 2021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