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558A -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4558A KR20230164558A KR1020230038701A KR20230038701A KR20230164558A KR 20230164558 A KR20230164558 A KR 20230164558A KR 1020230038701 A KR1020230038701 A KR 1020230038701A KR 20230038701 A KR20230038701 A KR 20230038701A KR 20230164558 A KR20230164558 A KR 202301645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ocompatible polymer
- composition
- copolymer
- tissue repair
- hydrophobi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29920000249 biocompatible 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0000017423 tissue regener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9000004632 polycaprolac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972 injectable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954 Polyglycol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33 polyglycol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0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XNWFRZJHXBZDAG-UHFFFAOYSA-N 2-M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OCCO XNWFRZJHXB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PAPBSGBWRJIAAV-UHFFFAOYSA-N ε-Cap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O1 PAPBSGBWRJI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YQGOJNYOYNNSMM-UHFFFAOYSA-N eosin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C1=C2C=C(Br)C(=O)C(Br)=C2OC2=C(Br)C(O)=C(Br)C=C21 YQGOJNYOYNNS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5422 Foreign-Body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1643 prefilled syringe Drug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2544 Cicatrix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19 collagen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16 cosmetic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87 scar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79 cervix uteri Anatomy 0.000 description 2
- PBAYDYUZOSNJGU-UHFFFAOYSA-N chelido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1=CC(=O)C=C(C(O)=O)O1 PBAYDYUZOSNJ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00 hydrophob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69 inflammatory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60 1H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691 Granul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7 Rattus norveg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65 bio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74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1 coal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96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687 granuloma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62 hist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61 laser diffra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98 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67 med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21 particle siz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78 reconstructive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90 scatte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21 water soluble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체내에서 신속한 생분해성과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콜라겐 재생성 효과를 가짐으로써 조직수복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생체 내로 주사 가능한 우수한 성상을 가짐으로써 주사 주입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온도감응성, 생체 내로 주사 가능한 성상, 및 콜라겐 재생성 효과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로 사용될 수 있다.
대다수의 사람은 노화로 인해 콜라겐 생성 능력이 부족해질 경우 주름이 생성되고 피부 염증이 심한 경우 진피 조직 손실 등으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성이 부족하여 진피에 변형이 생겨 송곳으로 찌른 모양이나 푹 패이는 형태가 되어 흉터가 남게 된다.
진피 조직 소실로 인한 콜라겐 생성이 부족한 경우 주름 또는 흉터로 남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진피 조직 손실로 인한 주름 또는 흉터를 개선하기 위해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진피 조직 복원을 위해서 생체적합성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를 사용한다.
현재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는 안면 성형용 히알루론산 겔을 이용한 제품들이 주로 개발되었으며,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생체 내 재흡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히알루론산 겔은 진피 조직 내에 콜라겐 생성 자극 기능이 없고 입자 크기가 크며 점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좁고 깊은 피부 흉터 진피에 직접 주입 시 주변 피부가 융기할 우려가 있어 적절하지 않다. 또한, 필러 뭉침현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면 히알루론산니다제를 필러 시술 부위에 주사하여 기존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시술을 진행해야 하며, 필러 시술 부위에 심한 멍이나 붓기가 발생한다.
한편, 기존 안면 성형용 합성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티산을 이용한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는 투여 시 뭉침과 비염증성 결절 등의 부작용 우려때문에 깊은 주름의 피하에 주입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부작용이 발생하면 수술을 통해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티산을 이용한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는 체내 생분해성 기간이 12개월에서 24개월로 체내에 잔류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티산을 피하에 적용하였을 때 지속적인 조직수복효과를 나타내지만, 피내(intradermal) 적용시 육아종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기반 조직수복용 조성물 또는 주사 주입제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58100호는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합체를 미세입자로 제조한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온도가 증가하면 점도가 증가하는 제형에 대해 보고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3181호는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합체를 미세입자로 제조한 온도감응성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30℃ 이하에서는 겔 형태이지만 30℃ 이상에서는 점도가 증가하여 졸 형태를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진피 소실 부위 피부 주입 시 결절 또는 필러 뭉침 형성 등의 부작용 우려가 크므로 적절하지 않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2111호는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합체를 미세입자로 제조한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20~35℃에서는 현탁액으로 존재하는 형태만 보고하며 사용 온도에 따른 성상 변화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0464호는 가용화제 없이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공중합체 마이크로 입자로 제조한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사용 온도에 따른 성상 변화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아 온도감응성에 대한 특징은 없고, 실험용 쥐(SD rat) 피부에 주입 시 6주 후 조직에서 종괴와 같은 형태를 확인할 수 있어 조직수복을 위해서는 적절하지 않다.
또한, 기존 조직수복용 주사 주입제의 입자는 물리적인 조직수복에 초점을 두어 점성과 탄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제조되므로, 30게이지 이상의 주사침에서는 높은 주입력이 요구되며, 주사침이 막히는 등의 시술상의 불편함을 덜고자 18~27게이지 주사침을 사용하지만 이는 시술 시 환자에게 큰 고통을 수반한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며 작은 입자 크키를 가짐으로써 주사 주입제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우수한 효과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에 포함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는 1:1 내지 15:1이고, 상기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에 포함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2:1 내지 8:1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4:1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 3,000 내지 9,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조성물 내의 농도는 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입자 크기는 10 μ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5 μm 이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디히디록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실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리콜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은 주사 제형일 수 있으며, 상기 주사 제형의 주입력은 15 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은 피내 주입 후 12주 이내에 생분해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주 이내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2주 내지 8주 사이에 생분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콜라겐 재생성 효과를 가짐으로써 조직수복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온도감응성 및 생체 내로 주사 가능한 우수한 성상을 가짐으로써 부작용의 우려없이 주사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단, n 및 m은 각각 정수를 의미한다.) 및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통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중합비율의 계산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침전물 생성 여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성상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의 주사 주입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부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4주 후의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4주 후의 피부 조직을 Masson's Trichrome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피부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하고, 1주, 2주, 8주 후에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하고, 1주, 2주, 8주 후에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비교예 3 폴리카프로락톤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하고, 1주, 2주, 8주 후에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침전물 생성 여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성상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의 주사 주입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부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4주 후의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4주 후의 피부 조직을 Masson's Trichrome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피부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하고, 1주, 2주, 8주 후에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하고, 1주, 2주, 8주 후에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비교예 3 폴리카프로락톤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주입하고, 1주, 2주, 8주 후에 피부 조직을 Hemato & Eosin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조직 수복"이란 외상, 염증, 및 노화 등의 원인으로 조직에 괴사 및 결손 등이 생겼을 때에 그 조직을 본래 상태로 되돌리거나, 얼굴 또는 신체의 주름 개선, 윤곽 개선, 조직의 부피감 형성, 또는 흉터 치유 등의 목적으로 조직을 재생하는 기전을 말한다.
상기 조직수복용 조성물은 수용액 또는 하이드로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수용성 용제에 대한 친화성 및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고분자로서, 천연 또는 인공합성 고분자 물질 등 생물학적 활성 물질에 부가될 수 있는 인체에 유용한 모든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총칭하며, 주로 약물의 용해도와 생체적합성을 개선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디히디록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실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비수용성 용제에 대한 친화성 및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고분자로서, 비수용성 의약품 비히클 또는 소수성 의료용 재료의 제조용도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리콜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카프로락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는 하기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화학식 1]
(단, 상기 n 및 m은 각각 정수를 의미한다.)
상기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는 친수성 물질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과 소수성 성분인 폴리카프로락톤의 중합 고분자인 mPEG-PCL의 회합으로 이루어지는 선형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켜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공중합체를 생리식염수에 가하여 수용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3,875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2,000g/mol) 23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분자량: 114g/mol) 114g에 촉매를 첨가하여 120℃로 18시간 동안 중합하여 분자량 3,875g/mol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분자량은 GPC(겔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제조예 2]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3,316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2,000g/mol) 22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3,349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2,000g/mol) 29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7,569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4,000g/mol) 23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114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8,464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4,000g/mol) 22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6,426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4,000g/mol) 29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7,721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5,000g/mol) 23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114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7,775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5,000g/mol) 22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9]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7,882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5,000g/mol) 29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10,342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8,000g/mol) 23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114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9,776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8,000g/mol) 22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11,711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8,000g/mol) 29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72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847g/m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400g/mol) 230g과 단량체 카프로락톤 114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가교 히알루론산 조직수복용 주사제
가교 히알루론산이 2.2% 포함된 하이드로겔 제형(1.1mL)으로, 프리필드 시린지에 충전된 조직수복용 주사제(제품명: 더채움 프리미엄 No.1, 제조사: (주)아크로스)이다.
[비교예 2]
가교 히알루론산 조직수복용 주사제
가교 히알루론산이 2.2% 포함된 하이드로겔 제형(1.1mL)으로, 프리필드 시린지에 충전된 조직수복용 주사제(제품명: 더채움 프리미엄 No.2, 제조사: (주)아크로스)이다.
[비교예 3]
폴리카프로락톤 조직수복용 주사제
폴리카프로락톤 25%과 카르복시메틸셀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75%가 포함된 하이드로겔 제형(1mL)으로, 프리필드 시린지에 충전된 조직수복용 주사제(제품명: 엘란쎄, 제조사: Sinclair)이다.
[실시예 1]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13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농도가 각각 20%가 되도록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가한 후 혼합 및 교반하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12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농도가 각각 30%가 되도록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가한 후 혼합 및 교반하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12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농도가 각각 40%가 되도록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가한 후 혼합 및 교반하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농도가 각각 10%가 되도록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가한 후 혼합 및 교반하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농도가 각각 5%, 10%, 20%, 25%, 30%, 및 40%가 되도록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가한 후 혼합 및 교반하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중합비율 및 분자량에 따른 조성물의 성상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유리 바이알에 3mL을 병입하고 밀봉하여 7일간 25℃ 항온기에 보관한 후 침전물 생성의 여부를 육안으로 판정하였고, 침전물이 확인되는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판단하였다.
중합된 공중합체는 분자구조는 1H-NM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신호를 확인하여 분자구조를 분석한 후 피크의 적분값을 이용하여 친수성 고분자의 분자량과 소수성 고분자의 분자량 중합비율을 산정하였다.
구분 | 친수성:소수성 고분자의 중합비율 | 분자량 (g/mol) |
성상 | 침전물 (생성 ○, 없음 -) |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1 | 실시예 2 | |||
제조예 1 | 3.37:1 | 3,875 | 졸 | 겔 | - | - |
제조예 4 | 2.16:1 | 7,569 | 겔 | 겔 | - | - |
제조예 5 | 3.16:1 | 8,464 | 졸 | 겔 | - | - |
제조예 6 | 7.02:1 | 6,426 | 졸 | 졸 | - | - |
제조예 7 | 16.4:1 | 7,721 | 현탁액 | 현탁액 | ○ | ○ |
제조예 10 | 8.14:1 | 10,342 | 현탁액 | 현탁액 | ○ | ○ |
제조예 11 | 23.15:1 | 9,776 | 현탁액 | 현탁액 | ○ | ○ |
제조예 12 | 27.8:1 | 11,711 | 현탁액 | 현탁액 | ○ | ○ |
상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 중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은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았고, 평균 입자크기 또한 현저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중합비율이 1:1 내지 15:1이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 g/mol인 공중합체가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 및 성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농도에 따른 조성물의 성상 평가
상기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성상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농도별 성상 | |||||
5% | 10% | 20% | 25% | 30% | 40% | |
제조예 1 | 졸상 | 졸상 | 졸상 | 겔상 | 겔상 | 겔상 |
제조예 4 | 졸상 | 졸상 | 겔상 | 겔상 | 겔상 | 겔상 |
제조예 5 | 졸상 | 졸상 | 졸상 | 졸상 | 졸상 | 겔상 |
제조예 6 | 졸상 | 졸상 | 졸상 | 겔상 | 겔상 | 겔상 |
상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5~40% 농도로 포함된 조성물 모두 졸(sol) 또는 겔(gel)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농도가 5 내지 40%로 포함되는 경우 생체 내로 주사 가능한 우수한 성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제조예 4, 및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유리 용기에 충전하여 각 5℃, 20℃, 25℃, 30℃, 및 35℃의 온도로 설정된 항온수조에 20분간 담근 후 점도계(VISCO B, ATAGO)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온도별 점도(mPaㆍs) | |||||
5℃ | 20℃ | 25℃ | 30℃ | 35℃ | ||
실시예 1 | 제조예 1 | 449 | 213 | 180 | 84 | 31 |
제조예 4 | 36,102 | 10,605 | 9,319 | 1,202 | 948 | |
제조예 5 | 279 | 179 | 160 | 97 | 43 | |
실시예 3 | 제조예 1 | 28,565 | 9,735 | 3,152 | 1,238 | 735 |
제조예 5 | 15,605 | 3,089 | 2,328 | 968 | 427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제조예 4, 및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생체 내로 주사 가능한 우수한 성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주사침 주입력 평가
온도가 25℃로 유지되는 항온기에서 48시간 이상 보관한 후,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프리필드 주사기에 충전한 후 26G 주사침과 30G 주사침을 각각 결속하여 주입력을 확인하였다. 주입력 측정은 압축시험기(MCT-1150, AND)을 이용하여 12 mm/min의 속도로 밀대를 미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은 기존 제품에 각각 26G 주사침과 30G 주사침을 결속하여 주입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상 | 주입력(N) | ||
26G | 30G | |||
실시예 1 | 제조예 1 | 겔 | 1.2 | 4.1 |
제조예 4 | 겔 | 3.9 | 14.5 | |
제조예 5 | 졸 | 1.6 | 4.8 | |
제조예 6 | 졸 | 0.9 | 2 | |
실시예 2 | 제조예 1 | 겔 | 2.6 | 10.2 |
제조예 5 | 겔 | 2.7 | 8.8 | |
제조예 6 | 겔 | 1.3 | 4.8 | |
비교예 | 비교예 1 | 겔 | 16 | 37.2 |
비교예 2 | 겔 | 10.9 | 23 | |
비교예 3 | 겔 | 23 | 34 |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은 26G 주사침과 30G 주사침 모두에서 15N 이하의 주입력을 나타내었고, 이는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주입력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생체 내로 주사 가능한 우수한 성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입도 분석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침전물이 생성되는 제조예와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고 졸 또는 겔을 형성하는 군으로 구분하였다. 침전물이 생성되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7, 제조예 10, 제조예 11, 및 제조예 12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은 Mastersizer 2000(제조사: MALVERN)을 사용하여 레이저 회절 및 산란법으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는 졸과 겔의 형태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은 ELSZ-1000(제조사: OTSUKA ELECTRONICS)을 사용하여 동적 광산란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상 | 평균 입자 크기(μm) | |
실시예 1 | 제조예 1 | 겔 | 1.0 |
제조예 4 | 겔 | 0.3 | |
제조예 5 | 졸 | 0.7 | |
제조예 6 | 졸 | 0.8 | |
제조예 7 | 현탁액 | 14.1 | |
제조예 10 | 현탁액 | 21.6 | |
제조예 11 | 현탁액 | 33.0 | |
제조예 12 | 현탁액 | 25.8 | |
실시예 2 | 제조예 1 | 겔 | 0.8 |
제조예 5 | 겔 | 0.4 | |
비교예 | 비교예 1 | 겔 | 측정되지 않음 |
비교예 2 | 겔 | 측정되지 않음 | |
비교예 3 | 겔 | 42 (보고된 수치*) | |
*Kim J. (2020). Isovolemic Degradation of Polycaprolactone Particles and Calculation of Their Original Size from Human Biopsy.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Global open, 8(6), e2866. |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는 졸과 겔의 형태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5, 및 제조예 6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은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3의 입자 크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생체 내로 주사 가능한 우수한 성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조직수복능 평가
본 발명의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피내 이식을 통한 생체적합성 평가 및 콜라겐 재생성 확인을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1cc 주사기에 충전하여 30게이지 주사침을 사용하였으며(도 4 참조), 대조군으로 0.2mL의 생리식염수를 1cc 주사기에 충전하여 30게이지 주사침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 0.2mL를 실험용 쥐(SD rat) 경배부의 피내에 주입하였다. 주입 후 0주, 1주, 2주, 4주, 6주, 12주마다 SD rat를 희생시킨 후 주입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여 피부 조직을 적출하였다. 피부 조직은 Hemato & Eosin 염색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하여 조직병리학적 평가와 피부 두께, 콜라겐 재생성 등을 확인하였다. 주입 부위의 조직병리학적 평가는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histologic score를 기준으로 등급을 산정하였고, 피부 두께는 염색한 피부 조직을 광학현미경(BX51, Olympus)과 디지털카메라(DP74, Olympus)로 촬영하고 cellsens 소프트웨어(Olympu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표피(epidermis)와 진피(dermis)만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Grade | Histologic findings | |
0 | No inflammation | No visible reaction |
1 | Almost clear | Slight reaction with a few inflammatory cells |
2 | Mild | Clear inflammatory reaction with one or two giant cells |
3 | Moderate | Fibrous tissue with inflammatory cells, lymphocytes, and giant cells |
4 | Severe | Granuloma with encapsulated implant-clear foreign body reaction |
그 결과, 조직병리학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H&E염색 슬라이드를 평가한 결과, 전 시험기간 동안 0 또는 1 등급으로 판정되어 이물반응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이 주입된 피부 부위는 정상 조직에 비해 피부의 두께 및 진피의 밀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콜라겐의 재생성 또한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생분해성 평가
본 발명의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피내 이식을 통한 생분해 시간 확인을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상기 실험예 6과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을 1cc 주사기에 충전하여 30게이지 주사침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는 비교예 3(제품명: 엘란쎄)에 27게이지 주사침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군 및 대조군 0.2mL를 실험용 쥐(SD rat) 경배부의 피내에 각각 주입하고, 주입 시점으로부터 2주, 4주, 6주, 8주마다 SD rat를 희생시킨 후 주입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여 피부 조직을 적출하였다. 피부 조직은 Hemato & Eosin 염색을 하였고, 염색한 피부 조직을 광학현미경(BX51, Olympus)과 디지털카메라(DP74, Olympus)로 촬영하였는데, 주입 부위의 조직수복용 조성물 입자의 잔존 유무 및 이물(foreign body)반응 등으로 생분해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5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이 주입된 피부 부위에서 조성물 주입 후 1주차와 2주차에서 관찰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이물반응이 8주 후 확인되지 않았고, 조직수복용 조성물 입자도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3의 폴리카프로락톤 기반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경우, 1주차와 2주차에서 관찰되는 이물반응이 8주 후까지 확인되었고, 조직수복용 조성물 입자도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다(도 11).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체내 생분해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8)
-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에 포함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1:1 내지 15:1이고, 상기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에 포함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2:1 내지 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3,000 내지 9,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에 포함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2:1 내지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조성물 내의 농도가 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조성물 내의 농도가 5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10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5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1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디히디록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실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리콜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제형의 주입력은 15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내 주입 후 12주 이내에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내 주입 후 10주 이내에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내 주입 후 2주 내지 8주 사이에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4347 | 2022-05-25 | ||
KR20220064347 | 2022-05-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4558A true KR20230164558A (ko) | 2023-12-04 |
Family
ID=8891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8701A KR20230164558A (ko) | 2022-05-25 | 2023-03-24 |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64558A (ko) |
WO (1) | WO2023229187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0464A (ko) | 2013-07-19 | 2015-01-28 | 유재원 |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
KR20150053181A (ko) | 2013-11-07 | 2015-05-15 | 주식회사 에너에버 | 고주파 컨트롤부를 이용하여 배터리 복원과 충전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방법 |
KR20160122111A (ko) | 2016-10-14 | 2016-10-21 | 주식회사 덱스레보 |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3897A (ko) * | 2014-09-19 | 2016-03-29 | 주식회사 덱스레보 |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44479B1 (ko) * | 2018-05-24 | 2020-08-13 | 주식회사 덱스레보 |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JP7205819B2 (ja) * | 2018-08-01 | 2023-01-17 | 学校法人甲南学園 | 生体組織修復剤 |
KR102077078B1 (ko) * | 2019-06-26 | 2020-02-14 | 주식회사 로즈랩 |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
2023
- 2023-03-24 KR KR1020230038701A patent/KR202301645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03-24 WO PCT/KR2023/003957 patent/WO2023229187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0464A (ko) | 2013-07-19 | 2015-01-28 | 유재원 |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
KR20150053181A (ko) | 2013-11-07 | 2015-05-15 | 주식회사 에너에버 | 고주파 컨트롤부를 이용하여 배터리 복원과 충전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방법 |
KR20160122111A (ko) | 2016-10-14 | 2016-10-21 | 주식회사 덱스레보 |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229187A1 (ko) | 2023-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338614A1 (en) | Silk-Hyaluronic Acid Based Tissue Fil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CN110603268B (zh) | 将利用棓酚基改性的透明质酸衍生物用作底物的水凝胶及其用途 | |
TWI789338B (zh) | 原位可交聯的多醣組合物之用途、關聯於其之多筒注射系統、用於形成原位可交聯的多醣組合物之衍生物之組合及用於形成原位可交聯的多醣組合物之套組 | |
CN105473622B (zh) | 用于制造成形的交联的透明质酸产物的方法 | |
US20170333596A1 (en) | Dermal filler based on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carboxymethyl cellulose lubricant | |
EP2892575B1 (en) | Hyaluronic acid/collagen- based dermal fill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 |
Iannitti et al. | A new highly viscoelastic hyaluronic acid gel: rheological properties, biocompatibility and clinical investigation in esthetic and restorative surgery | |
KR20110127746A (ko) | 주사용 바이오물질 | |
AU2019405953A1 (en) | Silk-hyaluronic acid tissue fill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CN110327488A (zh) | 一种注射填充微球制剂及其制备方法 | |
KR20230164558A (ko) |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
CN110279887A (zh) | 一种多用途光子冷凝胶及其制备方法 | |
KR20240043261A (ko) |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 |
RI | PLGA microspheres in hyaluronic acid gel as a potential bulking agent for urologic and dermatologic injection therapies | |
RU2778054C2 (ru) | Гидрогель, содержащий в качестве субстрата производное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е галлольной группо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 |
KR101590313B1 (ko) | 콜라겐으로 구성된 주입형 피하조직재생용 바이오소재 | |
KR102417671B1 (ko) | 자가가교 시스템을 가지는 히알루론산 기반 연조직 충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80099040A (ko) | 수산화인회석을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현탁액 및 그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