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02487A1 -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 Google Patents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02487A1
WO2015002487A1 PCT/KR2014/005970 KR2014005970W WO2015002487A1 WO 2015002487 A1 WO2015002487 A1 WO 2015002487A1 KR 2014005970 W KR2014005970 W KR 2014005970W WO 2015002487 A1 WO2015002487 A1 WO 20150024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at
refrigerant
condensation
flui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9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국
Original Assignee
네오그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그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네오그린엔지니어링(주)
Publication of WO20150024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024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4Storage receiver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6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heat pump of multiplex heat exchange type using waste h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heat pump of multiplex heat exchange type using waste heat possessed by a tank containing a medium containing waste heat. .
  • the heat pump is a mechanical devic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and repeats liquefaction and vaporization. Occurs. Cold and heat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 is used for heating and cooling or hot water.
  • the apparatus may, for example, exchange heat of wastewater of domestic sewage with an evaporator to be used as a latent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o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by rais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
  • the conventional heat pump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heat energy of waste heat is inevitably lost while the waste heat moves to a desired point.
  • the receiving tank for receiving the fluid medium containing the waste heat therein and then received;
  • a compression unit configured to compress the refrigeran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 a first condensation unit installed to be immersed in the medium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o exchange heat with the medium,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unit therein, and condensing the refrigerant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medium; It is arranged to receive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first condensation unit,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pipe for supplying the fluid from the outside to pass the inside and the heat passing the condensation heat to the fluid and heat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tank
  • An exchanger having a tube;
  • An expansion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er of the exchanger to expand and receive the condensed refrigerant; It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and includes a evaporator to take the refrigerant and send it to the compression unit.
  • the exchanger An outer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contacting the medium and providing a first path, and a second path provided inside the outer tube and isolated from the outer tube, the same type of fluid as the outer tube
  •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are first condensation portions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 the intermediate tube is a heating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ird passage
  • the intermediate tube is a first condensation uni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third passage
  •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are heating tubes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the third passage.
  •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connecting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w pressure pipe unit installed inside the septic tank to heat the refrigerant mov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ion unit with the medium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 outer view and the inner tube may pass the refrigerant or the fluid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 the intermediate tube may pass the refrigerant or the fluid through the third passage
  • the heat transfer area between the medium and the condensation part containing the waste heat passing through the container is condensed because the condensation part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 the natural condensation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in the part is good, and furthermore, the low pressure piping unit that maintains the constant pressure of the refrigerant entering the compressor by using the waste heat inside the tank is applied, which enables efficient operation.
  • By using a triple pipe tha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ouble pipe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temperature fluid by heat-exchanging the fluid and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ybrid heat pump of a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waste hea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ybrid heat pump of the multiplex heat exchange method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eptic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the basic structure and features of the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2.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3.
  •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hybrid heat pump of a multiplex heat exchange method using waste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ybrid heat pump of a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waste hea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ybrid heat pump 11 of the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waste heat is a fluid medium containing various waste heat generated in an apartment, an office building or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 An accommodating tank 13 accommodating therein and processing, and an exchanger 19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3c of the accommodating tank 13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a medium in the accommodating tank 13; It is installed outside the receiving tank 13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d sends it to the exchanger 19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tube 17a,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changer 19 is a refrigerant circulation tube ( 17b) is passed through the receiver 27, the expansion valve 29 for receiving and expand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ceiver 27, and the expansion valve 29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to evaporate to the gas state
  • the liquid component from the evaporation unit 31 and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provid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33 and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d for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or 33 and the compression unit 15 the
  • the receiving tank 13 is a closed tank provided with a medium inlet 13a and a medium outlet 13b, and is installed in the ground or in water to accommodate a medium having waste heat. Even if the temperature changes abruptly, the inside of the holding tank 13 maintains a certain range of temperature.
  • the receiving tank 13 is connected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tank 37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fluid pipe 39, the high temperature fluid tank 37 is a tank for storing the high temperature fluid to be supplied to the demand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 the hot fluid heated by the changer 19 is received and accommodated, and the hot fluid stored in the hot fluid tank 37 is supplied to the customer through a separate pump.
  • the exchanger 19 takes the form of a triple tube, and passes the refrigerant and the fluid therein.
  • the refrigerant is a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mpression unit 15, passes through the exchanger 19, and condenses by exchanging heat with the medium.
  • the exchanger 19 serves as a condenser in the refrigerating cycle.
  • the fluid is a low-temperature fl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luid pipe 10, and passes through the exchanger 19 and is heated by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and then the hot fluid tank 39 through the hot fluid pipe 39. Go to 37).
  • the high temperature fluid in the high temperature fluid tank 37 is a fluid heated by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 the exchanger 19 takes the form of a triple tube, and has three flow passages isolated from each other in the inside of the exchanger 19,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See for more details.
  • the receiver 27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b connected to the exchanger 19 is a cas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liquid that has arrived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b. It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general receiver.
  • liquid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ceiver 27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29 and is reduced in pressure, and then moves to the evaporator 31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c, and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31. It evaporates and becomes a gaseous state at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 the refrigerant phase-changed in the gaseous state in the evaporator 31 passes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33 and then passes through the low pressure pipe 35 to return to the compression unit 15.
  • the low pressure pipe 35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tank 13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of the refrigerant by heat-exchanging the refrigerant mov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ion via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d with the medium. It plays a role.
  •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s increased to some extent.
  •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low pressure pipe part 35 and the pressure of which is raised in a constant state is a smooth refrigerant in the compressor by preventing a shortage of refrigerant that may occur when the refrigerant moves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ion part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winter is low. By inducing compression, the compressor is prevented from being overloaded so that the compressor can achieve smooth compression, and the above circulation is repeated.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ybrid heat pump of the multiplex heat exchange method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eptic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ybrid heat pump 12 of the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eptic tank after receiving the various wastewater generated in the apartment, office building or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therein and processing
  • the exchanger 19 installed in the septic tank 13 'to be discharged, the internal space 13c of the septic tank 13',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waste water inside the septic tank 13 ', and the outside of the septic tank 13'.
  • the septic tank 13 ' is a closed tank provided with the waste inlet 13a' and the waste outlet 13b ', and the septic tank 13' can be manufactured by FRP.
  • the landfill is installed in the ground, the septic tank 13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37' through the hot water pipe 39 '.
  • the hot water tank 37 ' is a tank for storing hot water to be supplied to a demand destination in a building.
  • the hot water tank 37' receives and receives hot water heated by the exchanger 19 and stores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37 '. Is supplied to a point where hot water is needed through a separate pump.
  • the exchanger 19 takes the form of a triple tube, and passes through the refrigerant and water therein, where the refrigerant is a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mpression unit 15 and passes through the exchanger 19 and surrounds it. Is condensed by exchanging heat with waste water, and the exchanger 19 serves as a condenser in the refrigerating cycle, and the water is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ld water pipe 10 'and passes through the exchanger 19. And it is moved to the hot water tank (37 ') through the hot water pipe (39') in a state heated by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37 ' is water heated by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 the hybrid heat pump 12 of the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eptic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10 'from the hot water tank 37', and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37 '.
  • the hot water contained in the hot water tank 37 ' is moved to the cold water pipe 10' to recycle the exchanger 19, thereby recovering hot water at a proper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100 be installed.
  • the exchanger 19 takes the form of a triple tube, it has three flow passage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inside thereof, and thu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changer 19 i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First, it will be described.
  •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the basic structure and features of the exchanger 19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
  • the exchanger 19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as shown in FIG. 2, but is shown in FIG. 3 as a straight lin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exchanger 19 has an outer tube 19a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ste water,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and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tube 19a.
  • An inner tube (19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19b with the inner tube 19b in the state including the inner tube 19a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tube 19a.
  • the inner tube (19b) is a pipe mounted on the inner central shaft portion of the outer tube (19a), both ends thereof open in both ends of the outer tube (19a).
  •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tube (19c) is sealed inside the outer tube (19a)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ube (19a).
  • the second passage 20b provided by the inner tube 19b and the first passage 20a provided by the outer tube 19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third passage 20c of the intermediate tube 19c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20a and 20b.
  • first passage 20a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19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ube 19c
  • second passage 20b is a flow passage provided by the inner tube 19b
  • the three passages 20c are passage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9b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ube 19c.
  • the third passage 20c is completely connected to the first passage 20a and the second passage 20b. Be surrounded.
  •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third passage 20c is in contact wit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20a and 20b and can exchange heat in a large area.
  • the compression unit 15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tube 19c side of the exchanger 19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a.
  •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unit 15 passes through the third passage 20c of the exchanger 19 and flows to the receiver 27 in a condensed and condensed state to the opposite side. .
  • the col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ld water pipe (10 ') falls into the hot water pipe (39') connected to the other end via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20a, 20b) of the exchanger (19).
  •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xchanger 19 is condensed by heat exchange with surrounding waste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passage 20c, and exits the exchanger 19 in a condensed state. Go to the receiver 27 through).
  •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20a and 20b is heated by receiving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 the cold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ld water pipe 10 'passes through the exchanger 19 is heated by receiving condensation heat, and then is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pipe 39'.
  • the intermediate tube 19c serves as the first condenser 21 for inducing condensation while passing the refrigerant through the third passage 20c
  • the outer tube 19a and the inner tube 19b are It serves as a heating tube 41 to be heated while passing the water through the third passage (20c).
  • the second condenser 25 may further include heat exchanged with cold water for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compression unit 15.
  • the second condensation unit 25 is a condenser that operates when the condensation by the first condensation unit 21 is not sufficient.
  • the supply of cold water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cold water pipe 25a branched from the cold water pipe 1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enser, and the supply of the refrigerant is a second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branched from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a. Through 25c.
  • the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denser 25 and obtained by heat exchange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pipe 39 'through the third hot water pipe 25b connecting the second condenser and the hot water pipe 39'.
  • the refrigerant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37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denser 25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ondenser 25d through a third refrigerant pipe 25d connecting the second condenser 25 and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b. Sent to 17b).
  • the second condenser 25 is opera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37 ′ is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to quickly secure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 the 25 and the exchanger 19 may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and the hot water is secured.
  • the second condensation unit 25 may not operate.
  •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cooling fan for cooling the second responder 25.
  • the receiver 27 is a cas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liquid that has arrived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b, and its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receiver.
  • liquid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ceiver 27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29 and is reduced in pressure, and then moves to the evaporator 31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c, and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31. It evaporates and becomes a gaseous state at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 the refrigerant phase-changed in the gaseous state in the evaporator 31 passes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33 and then passes through the low pressure pipe 35 to return to the compression unit 15.
  • the low pressure pipe part 35 is provided inside the septic tank 13 'and heat-exchanges the refrigerant moving from the evaporation part to the compression part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d with the waste water,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t plays a role.
  •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s increased to some extent by heating the refrigerant whose pressure has been lowered due to cold external air temperature during the winter season using waste heat inside the septic tank 13 '.
  •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low pressure pipe part 35 and raised in a constant state is compres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mpression part 15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circulation.
  •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ion unit 15 to the exchanger 19 can be bypassed, and the evaporator 31
  • the pressure regulator 50 is preferably installed to enable the bypass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compression unit 15 in the pressure regulator,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generated in the compression unit 15 is to be accommodated by the exchanger (19)
  •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s out of the range, a part of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ion unit 15 to the exchanger 19 is stored,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ion unit is insufficient, the refrigerant stored in the compression unit
  • By maintaining the pressure suitable for the action of the compression unit can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hybrid heat pump 12 of the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eptic tank 13 '.
  • the septic tank 13 ' that must accommodate the exchanger (19)
  • the buried depth of the septic tank 13 ' may be deep enough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installing the exchanger 19 in the septic tank 13'.
  • the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13 'through a circulation pump (not shown), and the hybrid heat pump 12 of the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eptic tank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he septic tank 13'.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e disclosed with a separate receiving portion (not shown) to perform the role of.
  • a separat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eptic tank 13 ′ so that the depth of embedding of the septic tank 13 ′ containing waste heat does not affect the workability in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ybrid heat pump 12 of the multiple heat exchange method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eptic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uter tube 19a and the inner tube 19b serve as the first condensation part 21, and the intermediate tube 19c functions as the heating tube 41.
  •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unit 15 is conden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er tube 19a and the inner tube 19b of the exchanger 19 and then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17b.
  •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20a, 20b) provided by the outer tube (19a) and the inner tube (19b) is condensed by heat exchange with the waste water in the septic tank 13 'and generates heat of condensation to the surroundings. .
  • the cold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ld water pipe 10 'flows into the intermediate tube 19c of the exchanger 19 and receives heat of condensa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passage 20c.
  • the intermediate tube 19c serves as a heating tube for heating cold water.
  • the heated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tube 19c passes through the hot water pipe 39 'and collects in the hot water tank 37' as described in FIG. 2 and circulates the above-described path described in FIG.
  • the refrigerant conden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20a and 20b flows along the path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returns to the compression unit 15 to be compressed again. Circulate
  • the receiv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ptic tank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container in which waste heat can be recei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용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수용조의 내부에 매체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매체와 열교환하는 것으로서, 압축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 1응축부와, 제 1응축부의 응축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물에 응축열을 전달하여 가열시킨 후 수용조 외부로 내보내는 가열관을 구비한 익스체인저와; 익스체인저의 제 1응축부에 연결되는 팽창밸브 및 증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는, 응축부가 수용조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므로 수용조를 통과하는 매체와 응축부와의 전열면적이 넓어 응축부 내에서의 냉매의 자연 응축 효율이 좋고, 더 나아가 압축기로 들어가는 냉매의 압력을 수용조 내부의 폐열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저압배관부가 적용되어 효율적 운전이 가능하며, 특히 전열면적이 기존 2중관보다 현저히 높은 3중관을 이용하여 저온 유체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고온 유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폐열을 포함하고 있는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조가 보유하고 있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히트펌프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성된 기계장치로서, 냉매가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순환하며 액화와 기화를 반복하고 이때 발생하는 응축열과 증발열을 이용하여 냉기와 열기를 발생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발생된 냉기와 열기는 냉난방이나 급탕 등에 사용된다.
한편, 상기 히트펌프의 동작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대한 절감하고 또한 버려지거나 사용되지 않은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하여, 이를테면 생활폐수나 지열 등을 히트펌프에 적용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즉 폐수가 가지고 있는 폐열이나 지열 등을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가령 생활하수의 폐열을 증발기와 열교환하게 하여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응축잠열로 사용되게 한다거나, 또는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상승시켜 압축기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등의 동작을 한다.
가령,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4-0106826호의 지열 및 폐열을 이용한 히트펌프시스템은, 급탕장소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폐수조에 일단 저장한 후, 폐수조 내의 물을 열교환기로 이동시켜 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하게 하거나, 지중에 설치된 지열교환파이프를 통해 얻은 열을 증발기와 열교환시키는 등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히트펌프시스템은, 폐열이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폐열이 가진 열에너지가 손실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당연히, 폐열의 이동거리가 길어질 수 록 열에너지의 손실량은 커진다. 이에 따라 급탕을 위한 보일러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지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냉방시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과다 배열을 지열교환파이프가 충분히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지열교환파이프의 개수를 늘리거나 아니면 별도의 냉각탑을 추가해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는, 폐열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 상태의 매체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수용한 후 통과시키는 수용조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수용조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매체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매체와 열교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 1응축부와, 상기 제 1응축부의 응축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유체에 응축열을 전달하여 가열시킨 후 수용조 외부로 내보내는 가열관을 구비한 익스체인저와; 상기 익스체인저의 제 1응축부에 연결되어, 응축된 냉매를 받아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 연결되며 냉매를 이어받아 증발시켜 상기 압축부로 보내는 증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익스체인져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매체에 접하며 제 1경로를 제공하는 아우터튜브와, 상기 아우터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며 아우터튜브와 격리된 제 2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아우터튜브와 같은 종류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인너튜브와, 상기 인너튜브를 그 내부에 포함한 상태로 아우터튜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튜브 및 인너튜브와 격리된 제 3경로를 제공하며, 아우터튜브 및 인너튜브와 다른 종류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중간튜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아우터튜브와 인너튜브는, 제 1통로와 제 2통로를 통해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 1응축부이고, 상기 중간튜브는, 제 3통로를 통해 유체를 통과시키는 가열관이다.
또한, 상기 중간튜브는, 제 3통로를 통해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 1응축부이고, 상기 아우터튜브와 인너튜브는, 제 1통로 및 제 3통로를 통해 유체를 통과시키는 가열관이다.
또한, 상기 압축부와 팽창밸브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조 내에서 상기 매체와 익스체인저간의 열교환이 원활하지 않을시 작동되며, 상기 압축부에서 흐르는 냉매의 응축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유체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와 열교환시키는 제 2응축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증발부와 압축부를 연결하는 냉매순환관에는, 상기 정화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증발부로부터 압축부로 이동하는 냉매를 상기 매체와 열교환시켜 냉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저압배관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뷰브와 인너튜브는, 제 1통로와 제 2통로를 통해 냉매 또는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고, 상기 중간튜브는, 제 3통로를 통해 냉매 또는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는, 응축부가 수용조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므로 수용조를 통과하는 폐열을 포함하고 있는 매체와 응축부와의 전열면적이 넓어 응축부 내에서의 냉매의 자연 응축 효율이 좋고, 더 나아가 압축기로 들어가는 냉매의 압력을 수용조 내부의 폐열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저압배관부가 적용되어 효율적 운전이 가능하며, 특히 전열면적이 기존 2중관보다 현저히 높은 3중관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고온 유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익스체인져의 기본 구조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측단면도이다.
도 4은 상기 도 3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의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1)는, 아파트나 오피스빌딩 또는 기타 주거시설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열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 상태의 매체를 내부로 수용하여 처리한 후 내보내는 수용조(13)와, 수용조(13)의 내부공간(13c)에 설치되며 수용조(13) 내부의 매체와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익스체인져(19)와, 수용조(13)의 외부에 설치되며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순환관(17a)을 통해 익스체인져(19)로 보내는 압축부(15)와, 익스체인져(19)를 통과한 냉매를 냉매순환관(17b)을 통과시키는 수액기(27)와, 수액기(27)를 통과한 냉매를 받아들여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9)와, 팽창밸브(29)에 연결되며 냉매를 이어받아 증발시켜 기체상태로 만드는 증발부(31)와, 증발된 냉매 중에서 액체 성분을 분리하는 기액분리기(33)와, 기액분리기(33)와 압축부(15)를 연결하는 냉매순환관(17d)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용조(1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압배관부(35)를 포함한다.
먼저, 수용조(13)는, 매체입구(13a) 및 매체출구(13b)가 구비되어 있는 밀폐탱크이며, 지중 또는 수중에 설치되어 폐열을 가진 매체를 수용함으로써, 수용조(13) 외부에서 외기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더라도 수용조(13) 내부는 일정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상기 수용조(13)는 고온유체관(39)을 통해 고온유체탱크(37)에 연결되는데, 고온유체탱크(37)는 고온유체의 수요처로 공급될 고온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로서, 익스체인저(19)에 의해 가열된 고온유체를 받아들여 수용하며, 고온유체탱크(37)에 저장되어 있는 고온유체는 별도의 펌프를 통해 수요처로 공급된다.
또한, 익스체인져(19)는 3중관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로 냉매와 유체를 통과시킨다.
이때, 냉매는 압축부(15)로부터 유입된 냉매로서, 익스체인져(19)를 통과하며 매체와 열교환하여 응축된다.
즉, 익스체인져(19)가 냉동사이클에서의 응축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유체는, 유체관(10)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저온 상태의 유체로서, 익스체인저(19)를 통과하며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고온유체관(39)을 통해 고온유체탱크(37)로 이동한다.
결국, 고온유체탱크(37) 내부의 고온유체는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가열된 유체인 것이다.
여기서, 익스체인져(19)는 3중관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익스체인져(19)의 내부에 서로에 대해 격리된 3개의 유동 통로를 갖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4의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한다.
한편, 익스체인져(19)와 연결되는 냉매순환관(17b)과 연결되는 수액기(27)는, 냉매순환관(17b)을 통과해 도착한 고온 고압의 냉매액을 일시저장하는 케이스로서 그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액기와 동일하다.
또한, 수액기(27)를 거친 액상의 냉매는 팽창밸브(29)를 통과하며 감압된 후 냉매순환관(17c)을 거쳐 증발부(31)로 이동하고, 냉매는 증발부(31)를 통과하며 증발되어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가 된다.
또한, 증발부(31)에서 기체상태로 상변화한 냉매는, 기액분리기(33)를 거친 후, 저압배관부(35)를 통과하여 압축부(15)로 귀환한다.
또한, 저압배관부(35)는, 수용조(13)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매순환관(17d)을 통해 증발부로부터 압축부로 이동하는 냉매를 매체와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동절기시 차가운 외부 기온에 의해 낮아진 냉매를 수용조(13) 내부의 폐열을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냉매의 압력을 어느 정도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한, 저압배관부(35)를 통과하며 압력이 일정한 상태로 상승된 냉매는, 동계 외부 기온이 낮을시 증발부에서 압축부로 냉매가 이동하며 발생할 수 있는 냉매의 부족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의 원활한 냉매압축을 유도시켜 압축기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압축기가 원활한 압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순환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종래기술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압축부, 응축부, 팽창밸브, 증발부와 관련된 기술, 압축부, 응축부, 팽창밸브, 증발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히트펌프의 기본 구성 및 사용방법 등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는, 아파트나 오피스빌딩 또는 기타 주거시설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폐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처리한 후 내보내는 정화조(13')와, 정화조(13')의 내부공간(13c)에 설치되며 정화조(13') 내부의 오폐수와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익스체인져(19)와, 정화조(13')의 외부에 설치되며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순환관(17a)을 통해 익스체인져(19)로 보내는 압축부(15)와, 익스체인져(19)를 통과한 냉매를 냉매순환관(17b)을 통과시키는 수액기(27)와, 수액기(27)를 통과한 냉매를 받아들여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9)와, 팽창밸브(29)에 연결되며 냉매를 이어받아 증발시켜 기체상태로 만드는 증발부(31)와, 증발된 냉매 중에서 액체 성분을 분리하는 기액분리기(33)와, 기액분리기(33)와 압축부(15)를 연결하는 냉매순환관(17d)이 구비된다.
먼저, 정화조(13')는, 오폐수입구(13a') 및 오폐수출구(13b')가 구비되어 있는 밀폐탱크로, 정화조(13')는 FRP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정화조와 마찬가지로 건물의 지하나 지중에 매립 설치되며, 정화조(13')는 온수관(39')을 통해 온수탱크(37')에 연결된다.
또한, 온수탱크(37')는 건물내 수요처로 공급될 온수를 저장하는 탱크로서, 상기 익스체인저(19)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받아들여 수용하며, 온수탱크(37')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는 별도의 펌프를 통해 온수가 필요한 지점으로 공급된다.
또한, 익스체인져(19)는 3중관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로 냉매와 물을 통과시키는데, 여기서, 냉매는 압축부(15)로부터 유입된 냉매로서, 익스체인져(19)를 통과하며 주변의 오폐수와 열교환하여 응축되는 것으로, 익스체인져(19)가 냉동사이클에서의 응축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물은 냉수관(10')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수로서, 익스체인저(19)를 통과하며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온수관(39')을 통해 온수탱크(37')로 이동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온수탱크(37') 내부의 온수는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가열된 물인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에는 온수탱크(37')에서 냉수관(10')으로 연결되어, 온수탱크(37')에 보관된 온수가 일정 온도 이하일 때, 온수탱크(37')에 수용되어 있는 온수를 냉수관(10')으로 이동시켜 익스체인져(19)를 재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적정한 온도의 온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회수관(1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익스체인져(19)는 3중관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니만큼, 그 내부에, 서로에 대해 격리된 3개의 유동 통로를 갖는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통해 익스체인져(19)의 세부 구성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익스체인져(19)의 기본 구조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익스체인져(19)는 도 2에서와 같이 다수회 벤딩된 형태를 취하지만, 도 3에는 설명의 편의상 직선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익스체인져(19)는 그 외주면이 오폐수와 직접 접촉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회 밴딩되는 일정 직경의 아우터튜브(19a)와, 아우터튜브(19a)의 내부에 설치되며 아우터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너튜브(19b)와, 인너튜브(19b)를 그 내부에 포함한 상태로 아우터튜브(19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간튜브(19c)를 포함한다.
이때, 인너튜브(19b)는 아우터튜브(19a)의 내부 중심축부에 장착된 파이프로서, 그 양단부가 아우터튜브(19a)의 양단부 내에 개방된다.
또한, 중간튜브(19c)의 양단부는 아우터튜브(19a)의 내부에서 밀폐되며 아우터튜브(19a)의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인너튜브(19b)가 제공하는 제 2통로(20b)와 아우터튜브(19a)가 제공하는 제 1통로(20a)는 상호 연통한다. 이에 비해, 중간튜브(19c)의 제 3통로(20c)는, 제 1,2통로(20a,20b)에 대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또한, 제 1통로(20a)는, 아우터튜브(19a)의 내주면과 중간튜브(19c)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며, 제 2통로(20b)는 인너튜브(19b)가 제공하는 유동통로이며, 제 3통로(20c)는 인너튜브(19b)의 외주면과 중간튜브(19c)의 내주면 사이의 통로이다.
결국, 아우터튜브(19a)의 일단부로 유입된 유체는, 그 일부가 제 1통로(20a)로 나머지가 제 2통로(20b)로 유입하여 이동하고, 중간튜브(19c)로 유입하는 냉매는 다른 통로의 유체와 섞이지 않은 상태로 제 3통로(20c)를 따라 유동하여 반대편으로 유출된다.
특히 중간튜브(19c)가, 인너튜브(19b)를 수용한 상태로 아우터튜브(19a)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3통로(20c)는 제 1통로(20a) 및 제 2통로(20b)에 완전히 포위된다.
이를 통해, 제 3통로(20c)를 통과하는 냉매는, 제 1,2통로(20a,20b)를 통과하는 유체와 동시에 접하며 넓은 면적에서 열교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압축부(15)는 냉매순환관(17a)을 통해 익스체인져(19)의 중간튜브(19c)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부(15)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는, 익스체인져(19)의 제 3통로(20c)통과하며 응축되고 응축된 상태로 반대측으로 빠져 수액기(27)로 유동한다.
또한, 냉수관(10')을 통해 유입한 냉수는 익스체인져(19)의 제 1,2통로(20a, 20b)를 거쳐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온수관(39')으로 빠진다.
이때, 익스체인져(19)로 유입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 3통로(20c)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오폐수와 열교환하여 응축되고, 응축된 상태로 익스체인져(19)를 벗어나 냉매순환관(17b)을 통해 수액기(27)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1,2통로(20a,20b)를 통과하는 냉수는 냉매의 응축열을 전달받아 가열된다.
즉, 냉수관(10')을 통해 공급된 냉수가 익스체인져(19)를 통과하며 응축열을 전달받아 가열된 후 온수관(39')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결국, 중간튜브(19c)는, 제 3 통로(20c)를 통해 냉매를 통과시키며 응축을 유도하는 제 1응축부(21)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아우터튜브(19a)와 인너튜브(19b)는 제 3통로(20c)를 통해 물을 통과시키며 가열되게 하는 가열관(41)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압축부(15)와 팽창밸브(29)의 사이에서 정화조(13')의 외부에 설치되어, 정화조(13') 내부에서 매체와 익스체인저(19)간의 열교환이 원활하지 않을시 작동되며, 압축부(15)에서 흐르는 냉매의 응축시 발생되는 열을 냉수와 열교환시키는 제 2응축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응축부(25)는, 제 1응축부(21)에 의한 응축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작동하는 응축장치이다.
즉, 상기 익스체인져(19)를 통과해 냉매순환관(17b)으로 들어온 냉매 중, 정화조(13') 내부의 폐열의 온도 변화로 인해 응축되지 않은 기체성분이 있을 경우 동작하여 냉매를 완전히 응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냉수의 공급은 냉수관(10')에서 분기되어 제 2응축기와 연결된 제 2냉수관(25a)을 통하여 수행되고, 냉매의 공급은 냉매순환관(17a)에서 분기된 제 2냉매순환관(25c)을 통하여 수행된다.
아울러, 제 2응축기(25)를 통과하며 열교환에 의해 열을 얻은 온수는 제 2응축기와 온수관(39')을 연결하는 제 3온수관(25b)을 통해 온수관(39')으로 공급되어 온수탱크(37')에 저장되고, 제 2응축기(25)를 통과한 냉매는 제 2응축기(25)와 냉매순환관(17b)을 연결하는 제 3냉매관(25d)을 통해 냉매순환관(17b)으로 보내진다.
또한, 제 2 응축부(25)는 온수탱크(37')에 저장되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 범위 이하일 시 작동하여 일정 범위 이상의 온도를 갖는 온수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 2 응축부(25)와 익스체인져(19)는 냉매의 응축 여부와 그에 따른 온수의 확보상황에 따라 동시에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익스체인져(19)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완전한 응축상태이고, 온수의 온도가 일정범위 이상이라면 제 2응축부(25)가 동작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면부호 23는 상기 제 2응측부(25)를 공랭시키기 위한 냉각용 팬이다.
또한, 수액기(27)는, 냉매순환관(17b)을 통과해 도착한 고온 고압의 냉매액을 일시저장하는 케이스로서 그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액기와 동일하다.
또한, 수액기(27)를 거친 액상의 냉매는 팽창밸브(29)를 통과하며 감압된 후 냉매순환관(17c)을 거쳐 증발부(31)로 이동하고, 냉매는 증발부(31)를 통과하며 증발되어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가 된다.
여기서, 증발부(31)에서 기체상태로 상변화한 냉매는, 기액분리기(33)를 거친 후, 저압배관부(35)를 통과하여 압축부(15)로 귀환한다.
이때, 저압배관부(35)는, 정화조(13')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매순환관(17d)을 통해 증발부로부터 압축부로 이동하는 냉매를 오폐수와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동절기시 차가운 외부 기온에 의해 압력이 낮아진 냉매를 정화조(13') 내부의 폐열을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냉매의 압력을 어느 정도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한, 저압배관부(35)를 통과하며 압력이 일정한 상태로 상승된 냉매는, 압축부(15)를 통과하며 압축되어 상기한 순환운동을 반복한다.
아울러, 정화조(13')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에는, 압축부(15)에서 익스체인져(19)로 흐르는 냉매의 바이패스가 가능하고, 증발부(31)에서 압축부(15)로 흐르는 냉매의 바이패스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정압기(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정압기는 압축부(15)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압력이 익스체인져(19)가 수용할 수 있는 냉매의 압력 범위를 벗어날 때, 압축부(15)에서 익스체인져(19)로 공급되는 냉매의 일부를 저장하고, 증발부에서 압축부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이 부족할 때 저장된 냉매를 압축부로 보충하여 압축부의 작용에 적합한 압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화조(13')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의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를 현장에 적용할 시, 익스체인져(19)를 수용해야하는 정화조(13')의 매설 깊이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깊어, 작업자가 정화조(13')에 익스체인져(19)를 설치할 수 없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정화조(13')의 지면측 상부에 별도의 수용부(미도시)를 정화조(13')와 순환펌프(미도시)를 통해 연결시켜,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가 정화조(13')의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의 수용부(미도시)와 함께 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폐열을 포함하고 있는 정화조(13')의 매설 깊이가 본 발명을 개시함에 있어서 작업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정화조(13')의 지면측 상부에 별도의 수용부(미도시)를 형성시키고, 순환 펌프(미도시)를 통해 폐열을 별도의 수용부(미도시)로 이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수용부(미도시)가 정화조(13')의 역할을 대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수용부(미도시)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12)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여기서,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5의 경우, 아우터튜브(19a) 및 인너튜브(19b)가 제 1응축부(21)의 역할을 하고, 중간튜브(19c)가 가열관(41)의 기능을 한다.
즉, 압축부(15)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는, 익스체인져(19)의 아우터튜브(19a) 및 인너튜브(19b)를 통과하며 응축된 후 냉매순환관(17b)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때, 아우터튜브(19a) 및 인너튜브(19b)가 제공하는 제 1,2통로(20a,20b)를 통과하는 냉매는 정화조(13') 내부의 오폐수와 열교환하며 응축되고 주변으로 응축열을 발생한다.
또한, 냉수관(10')을 통해 공급된 냉수는, 익스체인져(19)의 중간튜브(19c)로 유입하여, 제 3통로(20c)를 통과하면서 응축열을 받아 가열된다.
즉, 중간튜브(19c)가, 냉수를 가열하는 가열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간튜브(19c)를 통과하며 가열된 온수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관(39')을 통과해 온수탱크(37')에 모이며 도 2에서 설명한 상기한 경로를 순환한다.
또한, 제 1,2통로(20a,20b)를 통과해 응축된 냉매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경로를 따라 유동하여 압축부(15)로 돌아가 다시 압축되며 도 2에서 설명한 상기한 경로를 순환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데, 본 발명의 수용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화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폐열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용기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1. 폐열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 상태의 매체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수용한 후 통과시키는 수용조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수용조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매체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매체와 열교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 1응축부와, 상기 제 1응축부의 응축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유체에 응축열을 전달하여 가열시킨 후 수용조 외부로 내보내는 가열관을 구비한 익스체인저와;
    상기 익스체인저의 제 1응축부에 연결되어, 응축된 냉매를 받아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 연결되며 냉매를 이어받아 증발시켜 상기 압축부로 보내는 증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체인져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매체에 접하며 제 1경로를 제공하는 아우터튜브와,
    상기 아우터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며 아우터튜브와 격리된 제 2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아우터튜브와 같은 종류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인너튜브와,
    상기 인너튜브를 그 내부에 포함한 상태로 아우터튜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튜브 및 인너튜브와 격리된 제 3경로를 제공하며, 아우터튜브 및 인너튜브와 다른 종류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중간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튜브와 인너튜브는, 제 1통로와 제 2통로를 통해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 1응축부이고,
    상기 중간튜브는, 제 3통로를 통해 유체를 통과시키는 가열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는, 제 3통로를 통해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 1응축부이고,
    상기 아우터튜브와 인너튜브는, 제 1통로 및 제 3통로를 통해 유체를 통과시키는 가열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와 팽창밸브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조 내에서 상기 매체와 익스체인저간의 열교환이 원활하지 않을시 작동되며, 상기 압축부에서 흐르는 냉매의 응축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유체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와 열교환시키는 제 2응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와 압축부를 연결하는 냉매순환관에는, 상기 수용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증발부로부터 압축부로 이동하는 냉매를 상기 매체와 열교환시켜 냉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저압배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상기 소나 센서부(52)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수중 로봇.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뷰브와 인너튜브는, 제 1통로와 제 2통로를 통해 냉매 또는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고,
    상기 중간튜브는, 제 3통로를 통해 냉매 또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PCT/KR2014/005970 2013-07-04 2014-07-03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WO201500248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44 2013-07-04
KR1020130078444A KR101369806B1 (ko) 2013-07-04 2013-07-04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2487A1 true WO2015002487A1 (ko) 2015-01-08

Family

ID=5064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970 WO2015002487A1 (ko) 2013-07-04 2014-07-03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9806B1 (ko)
WO (1) WO201500248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095A (ja) * 1991-09-18 1993-03-23 Mc Sci:Kk 気体供給装置
JPH11257791A (ja) * 1998-03-09 1999-09-24 Aqua Reinetsu Kk ヒートポンプ式排熱回収給湯装置
KR100609455B1 (ko) * 2004-02-16 2006-08-03 태봉산업기술주식회사 폐열회수 시스템
KR100775905B1 (ko) * 2006-12-12 2007-11-13 한국신재생에너지주식회사 폐수열 열교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594B2 (ja) 2009-12-25 2014-02-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095A (ja) * 1991-09-18 1993-03-23 Mc Sci:Kk 気体供給装置
JPH11257791A (ja) * 1998-03-09 1999-09-24 Aqua Reinetsu Kk ヒートポンプ式排熱回収給湯装置
KR100609455B1 (ko) * 2004-02-16 2006-08-03 태봉산업기술주식회사 폐열회수 시스템
KR100775905B1 (ko) * 2006-12-12 2007-11-13 한국신재생에너지주식회사 폐수열 열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806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976862A3 (ru) Установка дл передачи тепла и влаги
WO2012036361A1 (ko)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
US20100170655A1 (en) Air Supply Unit
WO2012020955A2 (ko) 냉난방 및 급탕용 히트펌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HK1043186A1 (en) Liquid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underground energy
WO2016195375A1 (ko) 백연 가스 저감 장치
WO2018182084A1 (ko) 냉온동시 히트펌프 시스템
WO2014051188A1 (ko) 축열식 냉난방 장치
WO2018135850A1 (ko) 폐열회수형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시스템
WO2018026137A1 (ko) 열교환기 교번타입 히트펌프시스템
WO2012165684A1 (ko) 태양열 냉방겸용 급탕시스템
GB2476567A (en) Water heater having a heat pump
WO2013012270A2 (ko) 응축기가 증발기 하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는 저온비등 냉각시스템
WO2010050663A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WO2015050372A1 (ko) 복합열원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WO2015002487A1 (ko) 정화조의 폐열을 이용한 다중복합 열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WO2016108578A1 (ko) 증발장치에 의한 고효율 저온 발전시스템
CN206876025U (zh) 一种多液位环路热管系统
WO2014148704A1 (ko) 하이브리드형 공기열 히트펌프 시스템
CN106052200A (zh) 一种新型冷凝器、蒸发器
WO2010143841A2 (ko) 복수 개의 증발부재를 구비한 히트펌프
WO2020004702A1 (ko) 열사이펀을 이용해 공조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
WO2017007194A1 (ko) 공기열 히트펌프를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WO2017082434A1 (ko) 동결식 해수의 담수화 장치
RU219144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бросного тепла метрополите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200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5/05/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200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