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89218A1 -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89218A1
WO2014189218A1 PCT/KR2014/004038 KR2014004038W WO2014189218A1 WO 2014189218 A1 WO2014189218 A1 WO 2014189218A1 KR 2014004038 W KR2014004038 W KR 2014004038W WO 2014189218 A1 WO2014189218 A1 WO 20141892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verter
fuel cell
temperature
normal range
system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0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JP201651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11378B2/ja
Priority to EP14800441.9A priority patent/EP3001490B1/en
Publication of WO20141892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892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74Current
    • H01M8/04589Current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65Voltage
    • H01M8/0488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95Current
    • H01M8/0491Current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10Fuel cell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system and an input control method of an inverter and a fuel cell. More specifically,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inverter have a dependent role in a fuel cell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system and an inverter and a fuel cell input control method, which are configured to share an inverter with each other so as to actively cope with the fuel cell system and disclose an input control method.
  • a power converter 60 is provided. 60,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to third fuel cells are sensed, and as a result of the sensing,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to third fuel cells 30, 40, and 50 are normal voltages. If the first to third fuel cells 30, 40 and 50 all belong to a normal voltage, the first to third fuel cells 300 (40) are determined. Evenly control the output power of the 50 to provide the load required power of the power system.
  • the first to third fuel cells 30, 40, 50 of The output is output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output power, and when the output voltag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fuel cells 30, 40, 50 is sensed as a threshold voltage, the threshold voltage
  • the control unit does not output power from the fuel cell that outputs the power, and in some cases, the output power of the fuel cell outputting the minimum voltage or the limit voltage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remaining fuel cell compensates for the load required power.
  • the load demand power can be stably supplied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states of the plurality of fuel cells, thereby preventing the fuel cell damag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operation. It has indicated bar.
  • an example of the prior art includes a fuel cell system 10 including a reformer 11, a fuel cell stack 12, an inverter 13, a system controller 14, a system 15, Rod 16, MMI (Man Machine Interface) 17.
  • a fuel cell system 10 including a reformer 11, a fuel cell stack 12, an inverter 13, a system controller 14, a system 15, Rod 16, MMI (Man Machine Interface) 17.
  • MMI Man Machine Interface
  • the inverter 13 includes a DC / DC converter 131, a DC / AC converter 132, and a converter controller 133.
  • the converter controller 133 is operated by the on / off of the system controller 14, is operated after the turn-on command in the system controller 14, and the voltage range (C and D). ) And the current range (between A and B), the system controller 14 turns off the inverter unconditionally when the temperature of one of several parameters falls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F).
  •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inverter play a subordinate relationship in the fuel cell, and the system controller transmits and commands only the on / off to the inverter, and does not understand the state of the inverter.
  • the system controller if the temperature, which is one of several parameters, falls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F), it is designed to give OFF command without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inverter. This restart takes a lot of time and makes irrational control to force off even if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emperature, voltage and current conditions.
  • the converter controller in the inverter is executed with or without the operation by turning the system controller on and off, and the inverter operation is operated after the on command from the system controller, so that the converter controller is driven only between the voltage range and the current range.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inverter have a role of dependency, sharing various parameters with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in the inverter to actively convert the inverter to the fuel cell system.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cell system and an input control method for an inverter and a fuel cell.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allow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in the inverter to share the on-off information and various parameters of the system controller, not the role of dependency, so as to actively drive the operable state of the inverter or the converter.
  • a fuel cell system is featured.
  • the system includes a reformer 11 which receives air and gas and reforms hydrogen gas, a fuel cell stack 12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including a pair of anodes and cathodes are stacked, and an inverter converting direct current into alternating current. 13, a system controller 24 that controls the control of the entire fuel cell system and controls the fuel cell system 20 by us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gas, and air, and the alternating current converted by the inverter 13; A system 15 for outputting to the outside, a load 16 for directly receiving and consuming an alternating current converted from the inverter 13, and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setting from a user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ler 24.
  •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MMI (Man Machine Interface) 17, wherein the inverter includes a converter controller, a system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uel cell system and a converter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 the controller controls subordinate components, and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share various parameter information including on / off, temperature, gas, air,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performs the control based on the state of the inverter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performs the control based on the state of the fuel cell system.
  • Step S1 includes an eighth step S8 for determining whether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air, gas, and temperature are in a normal range.
  • a ninth step S9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is in the normal range is performed, and in the fifth step S5, the voltage is in the normal range. If not, a tenth step S10 of displaying a voltage error on the screen is performed. If the current is not in a normal range in the sixth step S6, an eleventh step S11 of displaying a current error on the screen is performed. If the parameter is not in the normal range in the eighth step S8, the twelfth step S12 of displaying the parameter error on the screen is further included.
  • the temperature is not in the normal range in the ninth step (S9) proceeds to the thirteenth step (S13) for stopping the inverter, and in the ninth step (S9) the temperature is in the normal range or the third step ( If the temperature is not in the normal range in S3) it further comprises the 14th step (S14) to put the inverter into the standby state.
  • a fifteenth step S15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inverter is performed, and the fifteenth step is performed.
  • a sixteenth step S16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inverter is performed every hour, and further includes branching to the second step S2.
  •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inverter sha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ystem controller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in the inverter share a configuration so that the inverter can cope with the fuel cell system actively.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uel cell system.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nverter.
  • Figure 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conventional converter controller.
  • Figure 4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conventional system controller.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control method of an inverter and a fue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 the fuel ce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be applicable in buildings or homes.
  • a reformer 11 for receiving air and gas and reforming hydrogen gas, a fuel cell stack 12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including a pair of anodes and cathodes are stacked, and an inverter 13 for converting direct current into alternating current.
  • a system controller 24 that controls the control of the entire fuel cell system and controls the fuel cell system 20 us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gas, and air.
  • MMI Man Machine Interface
  • MMI 17 which is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setting from a user is provided.
  • Input voltage detecting means 234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input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fuel cell stack 12 and input current detecting means 235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input current are provided.
  • the converter controller 233 in the inverter 13 controls the inverter 13 by using parameters such as an input voltage and an input current of the fuel cell stack 12.
  • the information in the system controller 24 (various parameters such as gas, air, temperature, etc.) is shared with the converter controller 233 in the inverter 13 so as to actively drive the subordinate part.
  • the converter controller 233 judges on the basis of this and enters a standby by mode (Stand by) mode, operates the inverter 13, or operates quickly so as not to operate the inverter 13, the fuel cell system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 a first step S1 is performed in which the system controller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inverter based on the inverter on / off, temperature, time parameters, and the like.
  • a second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verter is turned on or a third step S3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range between the minimum temperature and the maximum temperature if the inverter is turned on is performed.
  • a fifth step S5 of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is in the normal range and a sixth step S6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s in the normal range are performed in sequence.
  • step S7 If the voltage and current are normal, the seventh step S7 in which the inverter operates normally proceeds, and the eighth step S8 in which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air, gas, and temperature are in the normal range is performed.
  • a ninth step S9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is in the normal range. If the voltage is not in the normal range in the fifth step S5, a voltage error is detected. A tenth step S10 of displaying on the screen is performed.
  • step S6 if the current is not in the normal range, an eleventh step S11 is performed to display a current error on the screen.
  • step S8 if the parameter is not in the normal range, the parameter err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 step S12 of displaying is performed.
  • the ninth step (S9) proceeds to the thirteenth step (S13) for stopping the inverter, and in the ninth step (S9) the temperature is in the normal range or the temperature in the third step (S3) If S is not within the normal range, the fourteenth step S14 of putting the inverter in a standby state is performed.
  • the fifteenth step S15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inverter is performed, and after the fifteenth step S15, Performs a sixteenth step S16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inverter every hour, and branches to the second step S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zzy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시스템에서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는 종속관계역할로 되어 있는 구성을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 내의 컨버터제어기에 여러 파라미터를 서로 공유하여 인버터를 연료전지시스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입력제어방법을 개시한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 내의 컨버터 제어기를 종속관계가 역할이 아닌 시스템제어기의 온오프 정보와 여러 파라미터를 공유하여 인버터 또는 컨버터의 동작가능상태를 능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본 발명은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시스템에서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는 종속관계역할로 되어 있는 구성을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 내의 컨버터제어기에 여러 파라미터를 서로 공유하여 인버터를 연료전지시스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입력제어방법을 개시한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6022호 "연료전지의 전력 제어방법 및 그의 연료전지시스템"에 따르면, "3대 이상의 연료전지 즉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40)(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40)(50)로부터 각각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전력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해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기(60)가 구비된다. 상기 전력변환기(6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싱 결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40)(50)의 출력전압이 정상전압, 최저전압, 한계전압에 속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40)(50)가 모두 정상전압에 속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0(40)(50)의 출력전력을 각각 균등하게 제어하여 전력계통의 부하 요구전력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40)(50) 중 적어도 하나의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이 최저전압으로 센싱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40)(50)의 출력은 미리 프로그램된 일정한 출력전력으로 출력되게 한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료전지(30)(40)(50) 중 적어도 하나의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이 한계전압으로 센싱되면, 상기 한계전압을 출력하는 연료전지에서 전력이 출력되지 않게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최저전압 또는 한계전압을 출력하는 연료전지의 출력전력은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연료전지가 부하 요구전력을 보상하여 출력되게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연료전지의 출력전압 상태에 따라 부하 요구전력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어 연료전지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 시스템 운전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일례를 예시하면, 연료전지시스템(10)은 개질기(11), 연료전지스택(12), 인버터(13), 시스템제어기(14), 계통(15), 로드(16), MMI(Man Machine Interface; 17)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13)는 DC/DC컨버터(131), DC/AC컨버터(132), 컨버터제어기(133)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버터제어기(133)는 시스템제어기(14)의 온오프에 의해 동작유무가 실행되고, 시스템제어기(14)에서 턴온명령후 동작하며, 전압범위(C와 D 사이)와 전류범위(A와 B 사이)에서만 동작되고, 시스템제어기(14)는 여러 파라미터중 하나인 온도가 기준온도(F)보다 떨어지면 무조건 인버터를 오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전지 내에서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는 종속관계 역할을 하게 되고, 시스템제어기에서는 인버터에 온오프(on/off)만 전달, 지령하는 구조이며, 인버터의 상태는 파악하지 않고 시스템제어기에서 연료전지시스템의 상태만 고려하여 여러 파라미터중의 하나인 온도가 기준온도(F) 보다 떨어지면 무조건 인버터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오프(OFF) 지령을 내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연료전지 스택이 재가동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온도조건과 전압, 전류 조건에 상충하여도 강제로 오프(OFF)하는 불합리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인버터 내의 컨버터제어기는 시스템제어기의 온오프에 의해 동작의 유/무로 실행하게 되고, 인버터동작은 시스템제어기에서 온 명령후 동작진행하여 컨버터제어기는 전압범위와 전류범위 사이에서만 구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전지시스템에서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는 종속관계 역할로 되어 있는 것을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내의 컨버터제어기에 여러 파라미터를 서로 공유하여 인버터를 연료전지시스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 내의 컨버터 제어기를 종속관계의 역할이 아닌 시스템제어기의 온오프 정보와 여러 파라미터를 공유하여 인버터 또는 컨버터의 동작가능상태를 능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스템은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아서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11)와, 한 쌍의 애노드와 캐소드를 구비한 복수개의 셀이 적층된 연료전지스택(12)과,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3)와, 전체 연료전지시스템의 제어를 관장하며 온도 및 가스, 공기 등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20)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24),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계통(15),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직접 공급받아 소비하는 로드(load; 16), 상기 시스템제어기(24)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MMI(Man Machine Interface; 17)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내에는 컨버터제어기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와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컨버터제어기는 각각 종속된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제어기와 상기 컨버터제어기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제어기와 상기 컨버터제어기는 온오프, 온도, 가스, 공기를 비롯한 여러 파라미터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상기 시스템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상태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컨버터제어기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상태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인버터온/오프, 온도, 시간 파라미터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제어기가 인버터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제 1 단계(S1), 인버터의 턴온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2), 인버터가 턴온된 상태라면 온도가 최소온도에서 최대온도 사이의 온도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 인버터가 턴온, 최소온도와 최대온도 사이의 온도라면, 인버터가 정상동작하는 제 4 단계(S4), 전압이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S5), 전류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S6), 전압과 전류가 정상이라면 인버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 7 단계(S7), 공기, 가스, 온도를 비롯한 각종 파라미터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인버터가 턴오프 상태이면 온도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S9)가 진행되고, 상기 제 5 단계(S5)에서 전압이 정상범위가 아니라면 전압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0 단계(S10)가 수행되고,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전류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전류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1 단계(S11)가 진행되고, 상기 제 8 단계(S8)에서 파라미터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파라미터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2 단계(S12)가 수행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제 13 단계(S13)를 진행하고,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이거나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라면 인버터를 대기상태로 하는 제 14 단계(S14)가 진행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거나 상기 제 14 단계(S14)를 거친 후에는 인버터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 15 단계(S15)가 진행되고, 상기 제 15 단계(S15) 후에는 매시간 마다 상기 인버터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 16 단계(S16)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단계(S2)로 분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과에 따르면, 연료전지시스템에서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는 종속관계역할로 되어 있는 구성을 시스템제어기와 인버터 내의 컨버터제어기에 여러 파라미터를 서로 공유하여 인버터를 연료전지시스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입력제어방법을 개시한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통합적인 구성을 통해서 시스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전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인버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컨버터제어기의 동작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는 종래의 시스템제어기의 동작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시스템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시스템은 건물이나 가정에서 적용가능하도록 착안된 것이다.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아서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11)와, 한 쌍의 애노드와 캐소드를 구비한 복수개의 셀이 적층된 연료전지스택(12)과,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3)와, 전체 연료전지시스템의 제어를 관장하며 온도 및 가스, 공기 등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20)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24)가 구비된다.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계통(15),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직접 공급받아 소비하는 로드(load; 16), 상기 시스템제어기(24)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MMI(Man Machine Interface; 17)가 구비된다.
상기 연료전지스택(12)으로부터 전달된 입력전압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수단(234), 입력전류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류검출수단(235)이 각각 구비된다.
인버터(13)내의 컨버터제어기(233)는 연료전지스택(12)의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 등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인버터(13)를 제어한다. 이에 종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능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시스템제어기(24)의 정보(가스, 공기, 온도 등의 여러 파라미터)를 인버터(13)내의 컨버터제어기(233)와 공유하면서 인버터(13)내의 컨버터제어기(233)는 이를 바탕으로 판단하여 인버터(13)를 대기하는(Stand by) 모드로 들어가거나, 인버터(13)를 동작하거나, 인버터(13) 동작을 하지 않도록 빠르게 동작하여, 연료전지시스템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토대로 도 6을 참조하여,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온/오프, 온도, 시간 파라미터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제어기가 인버터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제 1 단계(S1)가 진행된다.
인버터의 턴온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2), 인버터가 턴온된 상태라면 온도가 최소온도에서 최대온도 사이의 온도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가 수행된다.
인버터가 턴온, 최소온도와 최대온도 사이의 온도라면, 인버터가 정상동작하는 제 4 단계(S4)가 진행된다.
전압이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S5), 전류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S6)가 차례로 수행된다.
전압과 전류가 정상이라면 인버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 7 단계(S7)가 진행되고, 공기, 가스, 온도를 비롯한 각종 파라미터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S8)가 진행된다.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인버터가 턴오프 상태이면 온도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S9)가 진행되고, 상기 제 5 단계(S5)에서 전압이 정상범위가 아니라면 전압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0 단계(S10)가 수행된다.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전류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전류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1 단계(S11)가 진행되고, 상기 제 8 단계(S8)에서 파라미터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파라미터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2 단계(S12)가 수행된다.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제 13 단계(S13)를 진행하고,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이거나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라면 인버터를 대기상태로 하는 제 14 단계(S14)가 진행된다.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거나 상기 제 14 단계(S14)를 거친 후에는 인버터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 15 단계(S15)가 진행되고, 상기 제 15 단계(S15) 후에는 매시간 마다 상기 인버터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 16 단계(S16)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단계(S2)로 분기한다.
[부호의 설명]
11 ; 개질기
12 ; 연료전지스택
15 ; 계통
16 ; 로드
17 ; MMI
20 ; 연료전지시스템
24 ; 시스템제어기
231; DC/DC 컨버터
232; DC/AC 컨버터
233; 컨버터 제어기
234; 입력전압검출수단
235; 입력전류검출수단

Claims (5)

  1.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아서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11)와, 한 쌍의 애노드와 캐소드를 구비한 복수개의 셀이 적층된 연료전지스택(12)과,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3)와, 전체 연료전지시스템의 제어를 관장하며 온도 및 가스, 공기 등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20)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24),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계통(15),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직접 공급받아 소비하는 로드(load; 16), 상기 시스템제어기(24)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MMI(Man Machine Interface; 17), 상기 연료전지스택(12)으로부터 전달된 입력전압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수단(234), 입력전류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류검출수단(235)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내에는 컨버터제어기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와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컨버터제어기는 각각 종속된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제어기와 상기 컨버터제어기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제어기와 상기 컨버터제어기는 온오프, 온도, 가스, 공기를 비롯한 여러 파라미터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상기 시스템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상태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컨버터제어기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상태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2.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아서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11)와, 한 쌍의 애노드와 캐소드를 구비한 복수개의 셀이 적층된 연료전지스택(12)과,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3)와, 전체 연료전지시스템의 제어를 관장하며 온도 및 가스, 공기 등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20)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24),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계통(15), 상기 인버터(13)에서 변환된 교류를 직접 공급받아 소비하는 로드(load; 16), 상기 시스템제어기(24)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MMI(Man Machine Interface; 17), 상기 연료전지스택(12)으로부터 전달된 입력전압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수단(234), 입력전류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류검출수단(235)을 이용하는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에 있어서,
    인버터온/오프, 온도, 시간 파라미터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제어기가 인버터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제 1 단계(S1);
    인버터의 턴온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2), 인버터가 턴온된 상태라면 온도가 최소온도에서 최대온도 사이의 온도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
    인버터가 턴온, 최소온도와 최대온도 사이의 온도라면, 인버터가 정상동작하는 제 4 단계(S4);
    전압이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S5), 전류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S6);
    전압과 전류가 정상이라면 인버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 7 단계(S7);
    공기, 가스, 온도를 비롯한 각종 파라미터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S8)를 포함하는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인버터가 턴오프 상태이면 온도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S9)가 진행되고, 상기 제 5 단계(S5)에서 전압이 정상범위가 아니라면 전압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0 단계(S10)가 수행되고,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전류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전류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1 단계(S11)가 진행되고, 상기 제 8 단계(S8)에서 파라미터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파라미터오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2 단계(S12)가 수행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면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제 13 단계(S13)를 진행하고,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이거나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라면 인버터를 대기상태로 하는 제 14 단계(S14)가 진행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니거나 상기 제 14 단계(S14)를 거친 후에는 인버터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 15 단계(S15)가 진행되고, 상기 제 15 단계(S15) 후에는 매시간 마다 상기 인버터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 16 단계(S16)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단계(S2)로 분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PCT/KR2014/004038 2013-05-21 2014-05-07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WO201418921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15256A JP6111378B2 (ja) 2013-05-21 2014-05-07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インバーターと燃料電池の入力制御方法
EP14800441.9A EP3001490B1 (en) 2013-05-21 2014-05-07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of inverter and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264A KR101404173B1 (ko) 2013-05-21 2013-05-21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KR10-2013-0057264 2013-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9218A1 true WO2014189218A1 (ko) 2014-11-27

Family

ID=5113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038 WO2014189218A1 (ko) 2013-05-21 2014-05-07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01490B1 (ko)
JP (1) JP6111378B2 (ko)
KR (1) KR101404173B1 (ko)
WO (1) WO201418921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059A (ja) * 1998-06-25 2000-01-1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制御方法
JP2007242330A (ja) * 2006-03-07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発電装置システム
JP2010004600A (ja) * 2008-06-18 2010-01-07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装置、電力システム、燃料電池車両及びdc/dcコンバータ装置の制御部に対する物理値入力方法
JP2010010050A (ja) * 2008-06-30 2010-01-14 Aisin Seiki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00036022A (ko)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의 전력 제어방법 및 그의 연료전지시스템
KR20110076534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시스템의 운전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7781B2 (ja) * 1995-05-22 2004-10-13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の出力制御装置
JP4244399B2 (ja) * 1998-05-14 2009-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並びに燃料電池システムの起動制御方法
JP2003104707A (ja) * 2001-07-27 2003-04-09 Honda Motor Co Ltd 燃料改質装置とその停止方法
JP4967380B2 (ja) 2006-03-07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システム
JP5194425B2 (ja) * 2006-10-24 2013-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253967B2 (ja) * 2008-10-31 2013-07-31 東芝燃料電池システム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5491574B2 (ja) * 2009-03-30 2014-05-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出力制御方法
KR101095275B1 (ko) * 2010-02-24 2011-12-20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US20130302711A1 (en) * 2011-04-11 2013-11-14 Panasonic Corporation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776406B2 (ja) * 2011-07-25 2015-09-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3038052A (ja) 2011-08-11 2013-02-21 Panasonic Corp 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059A (ja) * 1998-06-25 2000-01-1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制御方法
JP2007242330A (ja) * 2006-03-07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発電装置システム
JP2010004600A (ja) * 2008-06-18 2010-01-07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装置、電力システム、燃料電池車両及びdc/dcコンバータ装置の制御部に対する物理値入力方法
JP2010010050A (ja) * 2008-06-30 2010-01-14 Aisin Seiki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00036022A (ko)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의 전력 제어방법 및 그의 연료전지시스템
KR20110076534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시스템의 운전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1490A4 (en) 2016-12-21
EP3001490B1 (en) 2019-06-26
KR101404173B1 (ko) 2014-06-09
JP6111378B2 (ja) 2017-04-05
EP3001490A1 (en) 2016-03-30
JP2016520246A (ja)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1622B (zh) 电力存储装置、电力系统和电动车辆
US20130162196A1 (en) Charger
WO2018139742A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차량
EP2509189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EP2701264A1 (en)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US20130249446A1 (en) Storage system, electronic device, electric vehicle and power system
US10069307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power conversion system, and power conversion method
CN103904725B (zh) 电池系统
US20120209441A1 (en) Load control system
US20210245616A1 (en) Charge/discharge device and charge/discharge system
KR102308909B1 (ko) 이동형 충전기
EP3252908B1 (en) Power management device configured to determine mounting directions of current sensors of a power grid
WO2014189218A1 (ko)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입력제어방법
JP5425876B2 (ja) 複数台の急速充電器に対応する充電制御装置
WO2017122852A1 (ko)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WO2018190512A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과방전 방지 및 재기동 장치 및 방법
WO2011126221A2 (en) Power control system by using distributed generation
EP3316373A1 (en) Fuel cell device,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14032574A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通信端末、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KR102253484B1 (ko) 복전 보호 모드를 지원하는 독립 및 계통연계 호환형 인버터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EP4135269A1 (en) Network routing device and method
WO2023224181A1 (ko) 예지 보전 기능을 갖는 스마트 전동기 제어반
KR100434446B1 (ko) 엘리베이터용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JP2019103333A (ja) 充放電器、制御装置および充放電システム
WO2015023065A1 (ko) 연료전지시스템 및 인버터와 연료전지의 출력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004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1525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44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