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29818A1 -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29818A1
WO2014129818A1 PCT/KR2014/001376 KR2014001376W WO2014129818A1 WO 2014129818 A1 WO2014129818 A1 WO 2014129818A1 KR 2014001376 W KR2014001376 W KR 2014001376W WO 2014129818 A1 WO2014129818 A1 WO 20141298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abe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acid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3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방병선
Original Assignee
Bang Byeong S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Bang Byeong Sun filed Critical Bang Byeong Sun
Publication of WO20141298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298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wounds, which contains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CA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 Diabetic wounds are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of diabetes that commonly occur in diabetic patients with poor blood sugar control and account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hospitalization, medical expenses, disability and death.
  • Large-scal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revalence of diabetic wounds in diabetics is about 2-7%, the likelihood of having foot injuries during diabetics is about 15%, and 3% experiences lower extremity amputation (Boulton AJM.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In: Pickup JC, Williams G, editors.Textbook of diabetes.Vol. 2. Oxford: Blackwell Science; 1997. p58).
  • Diabetic foot ulcers are reported to be 17 times more likely than nondiabetic foot ulcers and account for 45% of non-traumatic limb cuts (Rowbotham JL, Gibbons GW, Kozak GP.The diabetic foot.In: Kozak GP, editors.Kozak's clinical diabetes mellitus.Philadelphia: WB Saunders Co .; 1982. p215-28.).
  • Acute wounds without pathophysiological defects can be easily healed through sequential progression of wound healing processes involving multi-step biological processes, but chronic wounds in patients with pathophysiological abnormalities such as diabetes mellitus are not.
  • Multilevel mechanisms affect the healing deficits of diabetic chronic wounds, including decreased production of growth factors, deterioration of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 CAP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urprisingly found that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strongly cures diabetic wounds while searching for therapeutic substanc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wound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ure diabetic wounds when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which can be synthesized relatively easily and obtained in large quantities, is directly applied to the diabetic wounds. Do.
  • CAP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hronic wounds, such as diabetic wounds, including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 chronic wounds such as diabetic wounds, including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 CA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w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w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abetic foot ulcers (diabetic foot ulcers), diabetic angiopathy, or diabetic foot infections (diabetic foot infections) Can be.
  • th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may have a concentration of 100 nM ⁇ 100 mM.
  •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wounds such as diabetic wounds. Therefore, it is very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fficult diabetic wound patients.
  • FIG. 2 is a graph compar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mparative example.
  • diabetic wound refers to a chronic wound occurring in a diabetic patient, and the term chronic refers to wound damage accompanied by a blood circulation disorder due to peripheral blood vessel damage caused by diabetes. Delayed wounds. Wounds and wounds are used herein in the same sense.
  • the diabetic wounds include diabetic foot ulcers, diaebtic angiopathy, diabetic foot infections, and the lik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wounds comprising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CA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 the diabetic wounds preferably include diabetic foot ulcers, diaebtic angiopathy, or diabetic foot infections.
  • th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may have a concentration of 100 nM ⁇ 100 mM.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is an addition salt formed by free acid.
  • Suitable free acids can be used organic and inorganic acids, inorganic acids can be hydrochloric acid, bromic acid,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etc.
  • organic acids citric acid, acetic acid, lactic acid, tartaria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form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trifluoroacetic acid, benzoic acid, gluconic acid, methanesulfonic acid, glycolic acid, succinic acid, 4-toluenesulfonic acid, galluxuronic acid, embonic acid, glutamic acid or aspartic acid Etc.
  •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may include not onl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but also all salts, hydrates and solvates that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ght scattering agents, antioxidants and sunscreens.
  • the subject to whic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is a vertebrate and preferably a mammal, more preferably an experimental animal such as a rat, rabbit, guinea peak, hamster, dog, cat, and most preferably a chimpanzee. , Ape-like animals such as gorillas.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but parenteral administration (eg, application or intravenous,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jection) is preferred, and application is more preferred.
  • parenteral administration eg, application or intravenous,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jection
  • application is more preferr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oft capsules, pills and the like.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Can b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terile aqueous solution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suppositories, aerosols, etc. It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formulation, and preferably, an external sk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ream, gel, patch, spray, ointment, warning agent, lotion agent, linen agent, pasta agent or cataplasma agent may be prepared and used. It is not limited to this.
  • compositions of topical administration may be anhydrous or aqueous, depending on the clinical prescription.
  • Phosphoric acid buffered saline, purified water, sterile water, etc. may be used as the aqueous solvent.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may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ic w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n ointment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affected area.
  • the ointment is prepared by combin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ic w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inorganic substance and then coating it with a fat-soluble base.
  • the inorganic material is preferably used a material having excellent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effect, epidermal regeneration effect,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zinc oxide, zinc carbonate, iron oxide.
  • a ceramic carrier that can safely impregnat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iabetic wound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water-soluble substance.
  • the ceramic carrier zeolite, talc, gypsum, seed powder and mixtures thereof are preferably used.
  • Such a ceramic carrier is excellent in the impregnation of the water-soluble component can facilitate the supply of the water-soluble component to the ski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includ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ctive ingredient for administration.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if necessary, as antioxidants, buffers And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bacteriostatic agents can be added.
  •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and lubricants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formulate injectable formulation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and the like.
  • injectable formulation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and the like.
  • it may be preferably formulated according to each disease or component by a suitable method in the art or using a method disclosed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2006).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ly used excipients, disintegrants, sweeteners, lubricants, flavoring agents and the like.
  • the disintegrants include sodium starch glycolate, crospovidone, croscarmellose sodium, alginic acid,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hitosan, guar gum,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polyacryline Potassium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wherein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include starch, gelatinized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lactose, povidone, colloidal silicon dioxide, Calcium hydrogen phosphate, lactose, mannitol, malt, gum arabic, pregelatinized starch, corn starch, powdered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opadry, sodium starch glycolate, carnauba lead, synthetic aluminum silicate, stearic acid, magnesium stearate, Aluminum stearate, calcium stearate, sucrose, dextrose, sorbitol, talc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cluded 0.1 to 9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s on the absorption rate, inactiva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age, sex and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However, for the desired effect, in the case of oral administration, it is generally recommended to administe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dult at 0.0001 to 100 mg / kg, preferably 0.001 to 100 mg / kg, per kg of body weight per day. good.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ic w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o th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wound therapeutics, and when administered in combination,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in an amount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diabetic wound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diseases involving inflammation. have.
  • the dorsal hair of chronic diabetes / db / db mice was shaved using a hair remover, and then the hair was secondarily removed with an epilator, sterilized with alcohol, and the entire skin layer was removed to a diameter of 9 mm on both sides.
  • 20 ⁇ L of 35% ethanol saline solution containing 35% ethanol containing 5 mM CAPE was used as a test group, and 20 ⁇ L of 35% ethanol saline solution containing no CAPE was used as a comparative example.
  • 20 ⁇ L of 35% ethanol saline solution containing no CAPE was used as a comparative example.
  • FIG. 1 Digital images of each wound were taken every two or three days until the 21st da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 the open window area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initial wound area using the ImageJ analysis softwar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USA) and quantified and displayed in FIG. 2.
  • the Example was significantly healed from 3 days after the woun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FIG. 1).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area of open wounds were observed until day 21 (Figure 2. CAPE 3.21 ⁇ 0.68%; PBS 30.25 ⁇ 4.3%, day 21, p ⁇ 0.05).
  • a fat-soluble ointm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hydrophilic ointm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a cream containing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lactose 1 g was mixed with 0.01-10 g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and filled with an airtight cloth to prepare a 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처리하였을 때 당뇨병성 창상의 치료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그 치유속도 또한 빠르므로 당뇨병에 의해 수반되는 창상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성 창상은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게 되어 입원, 의료비용, 장애 및 사망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되는 당뇨병의 주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대규모 연구 결과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성 창상의 유병률은 약 2~7 %이고, 당뇨병환자가 사는 동안 족부창상을 앓을 가능성은 약 15 %로 알려져 있으며 3 %는 하지 절단을 경험한다 (Boulton AJM. Foot problem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Pickup JC, Williams G, editors. Textbook of diabetes. Vol. 2. Oxford: Blackwell Science; 1997. p58). 또한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성 창상이 한번 발생하면 발생하지 않은 환자보다 치명률이 2 배 정도 높고, 하지절단의 가능성도 10~15 배 높다 (Most RS, Sinnock P. The epidemiology of lower extremity amputations in diabetic individuals. Diabetes Care 1983;6:87-91./S Siitonen OI, Niskanen LK, Laakso M, Siitonen JT, Pyorala K. Lower-extremity amputations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A population-based study in eastern Finland. Diabetes Care 1993;16:16-20./ S Boyko EJ, Ahroni JH, Smith DG, Davignon D. Increased mortality associated with diabetic foot ulcer. Diabet Med 1996;13:967-72.3-5)]. 당뇨병성 족부궤양은 비당뇨병성 족부궤양보다 발생률이 17 배 높고 비외상성 하지절단의 45 %를 차지한다고 보고되었다 (Rowbotham JL, Gibbons GW, Kozak GP. The diabetic foot. In: Kozak GP, editors. Kozak's clinical diabetes mellitus.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82. p215-28.).
병태생리학적 결함이 없는 급성 상처는 다단계 생물학적 과정이 관여된 창상 치유과정의 순차적인 진행을 통하여 쉽게 치유될 수 있으나, 당뇨병 등과 같은 병태생리학적 이상이 존재하는 환자에서의 만성 상처는 그렇지 않다. 다단계 메커니즘이 당뇨병성 만성 상처의 치유 결손에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성장인자의 생성 감소, 케라티노사이트와 섬유아세포의 이동 및 증식 악화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에는 당뇨병성 창상이 발생된 경우, 창상이 잘 낫지 않는 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들이 경주되어 왔는데, 그 중에는 전접촉 기브츠 및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성장인자 치료 등과 같은 요법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성장인자 (growth factor)'의 사용이다. 성장인자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혈소판 기원 성장인자(PDGF), 전환성장인자-B(TGF-B), 표피성장인자(EGF)등이 대표적이고, 이들 성장인자는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하는데, 창상치유에 있어서는 주요조절분자 (key regulatory molecule)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고 있는 펩티드 EGF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상처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고 임상치료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뇨병성 창상 질환들은 심하게 되면 결국 '절단' 이라고 하는 가장 극단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당뇨병성 창상질환의 연구를 통해 발생률, 절단율, 사망률, 위험인자 및 치료 방법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한 새로운 치료법을 발굴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는 다양한 천연자원에 존재하는 저분자물질로서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Demestre M, Messerli SM, Celli N et al. (August 2008). "CAP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based propolis extract (Bio 30) suppresses the growth of human neurofibromatosis (NF) tumor xenografts in mice". Phytother Res 23 (2): 226-230). 그 생물학적 효능에 대한 메커니즘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항알레르기, 항암 그리고 면역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Jung WK, Lee DY, Choi YH, et al. Caffeic acid phenethylester attenuate s allergic airway infla mmation andhyperres ponsiveness in mu rine model of ovalbumin- inducedasthma. Life Sci 2008;82(13- 14):797-805./ Carras co-Legleu CE, Mdo L, Fatt el-Fazenda S,et al. Che moprotective effect of caffeic acid phe nethyl ester on promotion in a medium-term rat hepatocarcino genis assay. Int J Cancer 2004;108(4):488-492). 최근에 고지방식 사료를 투여한 동물에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투여시에 nuclear factor kB 억제를 통한 비만이 억제되었다고 보고되었으며 (Bezerra RMN, et al,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reduces the activation of the nuclear factor κBpathway by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mice, Metabolism (2012),61(11):1606-1614), 또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항암효과는 신생혈관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난다고 국내연구진에 의해 발표되었고, 그 연구결과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신생 억제제'로서 특허등록되었다 (등록특허 제 10-0420498).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새로이 밝힌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당뇨병성 창상의 치유 효과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성 창상의 치유를 위한 치료물질 탐색을 진행하던 중, 놀랍게도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가 강력하게 당뇨병성 창상을 치유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비교적 쉽게 합성하여 대량으로 획득이 가능한 저분자화합물을 당뇨병성 창상에 직접 도포하였을 때 당뇨병성 창상을 치유할 수 있어, 그동안 낮은 가격의 합리적인 치료가 어려운 당뇨병성 창상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과 같은 만성 창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당뇨병성 창상이 당뇨병성 족부궤양 (diabetic foot ulcers), 당뇨병성 혈관병증 (diaebtic angiopathy), 또는 당뇨병성 족부감염 (diabetic foot infection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농도가 100 nM ~ 1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당뇨병성 창상과 같은 만성 창상의 치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치료가 어려운 당뇨병성 창상 환자들을 치유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당뇨병성 창상(diabetic wound)'이라 함은 당뇨병 환자에 발생되는 만성 창상 (chronic wound)을 말하며, 상기 만성이라 함은 당뇨로 인한 말초혈관의 손상으로 혈액순환 장애가 동반하여 상처 치유가 지연되는 창상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창상과 상처는 동등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당뇨병성 창상은 당뇨병성 족부궤양 (diabetic foot ulcers), 당뇨병성 혈관병증 (diaebtic angiopathy), 당뇨병성 족부감염 (diabetic foot infections)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라,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당뇨병성 창상은 당뇨병성 족부궤양 (diabetic foot ulcers), 당뇨병성 혈관병증 (diaebtic angiopathy), 또는 당뇨병성 족부감염 (diabetic foot infections)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농도가 100 nM ~ 1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부가염이 유용하다. 적합한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citric acid), 초산, 젖산, 주석산 (tartariac acid), 말레인산, 푸마르산 (fumaric acid), 포름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광산란제, 항산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그보다 바람직하게는 쥐, 토끼, 기니아피크,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침팬지, 고릴라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나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도포 또는 정맥내, 피하, 복강 내 주사)가 바람직하며, 특히 도포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국소 투여의 조성물은 임상적 처방에 따라 무수형 또는 수성형일 수 있다. 수성용제로는 인산 완충 식염수, 정제수, 멸균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당뇨병성 창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외용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성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적당히 용해하여 피부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당뇨병성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고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제는 본 발명의 당뇨병성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무기물질과 배합한 다음, 이를 지용성 기제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기물질은 항균성, 소염효과, 표피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철 등이 있다. 또한, 수용성 물질인 본 발명의 당뇨병성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안전하게 함침할 수 있는 세라믹 담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담체로는 제올라이트, 활석, 석고, 모려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세라믹 담체는 수용성 성분의 함침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수용성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2006)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키토산, 구아검,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라크릴린 칼륨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 일에 체중 1 kg 당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0.0001~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당뇨병성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 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창상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병용하여 투여할 경우 다른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단독 투여 또는 병용 투여 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만성 당뇨 생쥐인 db/db 마우스의 등쪽 털을 제모기를 이용하여 깎은 후 제모제로 2 차적으로 털을 제거하고, 알코올로 소독한 후 양쪽으로 지름 9 mm의 크기로 피부 전 층을 제거하였다. 오른쪽 상처에는 실험군으로 CAPE가 5 mM 의 농도로 들어있는 35 % 에탄올이 함유된 생리식염수 용액을 20 μL를 적용하였고, 왼쪽은 비교예로 CAPE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35 % 에탄올 생리식염수 용액을 20 μL를 적용하였다.
제 21 일까지 2 일 또는 3 일마다 각 창상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ImageJ 분석 소프트웨어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USA)를 사용하여 개방창 면적을 초기 창상 면적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 정량한 후 도 2에 표시하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상처회복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물질 적용 후 3 일, 7 일, 14 일 및 21 일에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CAPE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3 일째 상처에서 삼출물이 많이 보였고, 6 일째에서는 고름도 관찰되었으며, 재상피화가 많이 진행되지 않아 실험군에 비해 상처크기가 큰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 6 일 후에는 재상피화가 많이 진행되어 상처크기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1).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상처 후 3 일부터 유의성 있게 치유 촉진되었다 (도 1). 개방 상처의 면적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이 21 일까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도 2. CAPE 3.21 ± 0.68 %; PBS 30.25 ± 4.3 %, 21 일째, p < 0.05).
제조예 1: 지용성(W/O 제형) 연고제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0.01-10.0 %
스테아릴 알콜 7.0 %
스테아린산 2.2 %
스쿠알렌 3.4 %
옥틸두오데칸올 5.0 %
올리브유 6.0 %
글리세린모노하우릴 지방산 에스텔 10.0 %
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2.0 %
테고 0.3 %
카복실비닐폴리머 3.0 %
프로필렌 글리콜 5.0 %
코직산 0.05 %
알파-케토글루타민산 0.2 %
시스테인 0.2 %
파라벤류 0.3 %
멸균 정제수 또는 0.02 M 인산 또는 완충용액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지용성 연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친수성(O/W 제형) 연고제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0.01-10.0 %
백색바세린 25.0 %
스테아릴알콜 20.0 %
프로필렌글리콜 12.0 %
프로필렌미스스틴산 0.1 %
소디움 글리세린 모노라우렐 0.2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4.0 %
베타인 함유 양이온성 유화제 0.2 %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에스텔 0.1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친수성 연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크림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0.01-10.0 %
유동파라핀 6.0 %
스쿠알란 4.0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
폴리솔베이트 60 1.5 %
밀랍 10.0 %
카프필릭/카프릭프리글리세라이드 5.0 %
부틸렌글리콜 6.0 %
프리에탄올아민 3.0 %
방부제 2.0 %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조성으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예 4 : 산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0.01 내지 10 g 에 유당 1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정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5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캡슐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 내지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주사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 내지 100 ㎎ 에 주사용 증류수 적량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 및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성 창상이 당뇨병성 족부궤양(diabetic foot ulcers), 당뇨병성 혈관병증(diaebtic angiopathy), 또는 당뇨병성 족부감염(diabetic foot infectio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농도가 100 nM ~ 1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선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약 조성물.
PCT/KR2014/001376 2013-02-21 2014-02-20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41298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788A KR101451816B1 (ko) 2013-02-21 2013-02-21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3-0018788 2013-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9818A1 true WO2014129818A1 (ko) 2014-08-28

Family

ID=5139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376 WO2014129818A1 (ko) 2013-02-21 2014-02-20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1816B1 (ko)
WO (1) WO2014129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583B1 (ko) * 2018-05-18 2022-12-16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00047220A (ko) 2018-10-27 2020-05-07 장정훈 창상, 당뇨병성 족부/손 궤양 또는 버거씨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72948B1 (ko) 2019-08-06 2020-02-04 주식회사 씨엔엘바이오텍 염증치료용 약학적 발효 조성물
KR102633737B1 (ko) 2022-12-20 2024-02-0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도복숭아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창상 치유 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217A1 (en) * 2003-02-26 2004-08-26 Giovanni Scapagnini Neuroprotective effects of polyphenolic compounds
KR100968367B1 (ko) * 2006-10-02 2010-07-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카페인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217A1 (en) * 2003-02-26 2004-08-26 Giovanni Scapagnini Neuroprotective effects of polyphenolic compounds
KR100968367B1 (ko) * 2006-10-02 2010-07-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카페인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 SERARSLAN ET AL.: "Caffeic acid phenetyl ester accelerates cutaneous wound healing in a rat model and decreases oxidative stress.",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vol. 32, no. 6, November 2007 (2007-11-01), pages 709 - 715 *
JOSE MAURICIO SFORCIN ET AL.: "Propolis: Is there a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JOURNAL OF ETHNOPHANNACOLOGY., vol. 133, no. 2, 27 January 2011 (2011-01-27), pages 253 - 260, XP027596099, DOI: doi:10.1016/j.jep.2010.10.032 *
SEFA CELIK ET AL.: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exhibits significant potential as an antidiabetic and liver-protective ag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HARMACEUTICAL RESEARCH., vol. 60, no. 4, October 2009 (2009-10-01), pages 270 - 276, XP026524584, DOI: doi:10.1016/j.phrs.2009.03.017 *
SUSAN V. MCLENNAN ET AL.: "The anti-inflammatory agent Propolis improves wound healing in a rodent model of experimental diabetes.", WOUND REPAIR AND REGENERATION., vol. 16, no. 5, 2008, pages 709 - 7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823A (ko) 2014-08-29
KR101451816B1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26370A1 (en) Film-form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ettersson et al. Pain relief by wound infiltration with bupivacaine or high-dose ropivacaine after inguinal hernia repair
ES2390226T3 (es)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fecciosas
RU2012156266A (ru) Новая синергическ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топического нанесения
RU2010140682A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а от инфекци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арианты) 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WO2014129818A1 (ko)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1882473A1 (en) Use of anthocyanosides to prepare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mucositis induced by antitumoral drugs
CA2600773C (en) Benzamidine derivative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 therapy induced mucositis
WO2017175909A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WO2019027132A1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10149877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eripheral ulcers of various origins
JP2018528259A5 (ko)
WO2020080589A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난치성 궤양 치료용 조성물
WO2010151004A2 (ko)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함유하는 치핵 치료를 위한 국소투여용 주사제 조성물
WO2021125632A1 (ko) 파에오놀 및 판테놀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혀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WO2020222552A1 (ko) 6-디아조-5-옥소-l-노르루신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104932A (ko)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U2013301215B2 (en) A method of managing diabetic foot ulcers, pressure ulcers, venous leg ulcers and associated complication
CN108578418B (zh) 一种治疗糖尿病难愈创面并发症的组合药物
US2020039084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wounds
KR102644156B1 (ko) 피부 상처 또는 화상 치료 작용제
Sakthibalan et al. Evaluation of wound healing effect of colostrum and curcumin cream in rat excision wound model
US20160256505A1 (en) Fatty acid composition and plant extract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ES2782826T3 (es) Preparaciones farmacéuticas tópicas o de dispositivo médico que contienen combinaciones de sucralfato, ácido hialurónico, arginina y un agente humectante natural
KR20140113063A (ko) 알파 리포산의 방사선 유발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53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53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