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92328A1 -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 - Google Patents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92328A1
WO2014092328A1 PCT/KR2013/009471 KR2013009471W WO2014092328A1 WO 2014092328 A1 WO2014092328 A1 WO 2014092328A1 KR 2013009471 W KR2013009471 W KR 2013009471W WO 2014092328 A1 WO2014092328 A1 WO 20140923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fi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4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정남
도성준
임대영
이지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4/348,733 priority Critical patent/US9481963B2/en
Priority to DE112013000200.0T priority patent/DE112013000200B4/de
Publication of WO20140923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923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21H27/004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 D21H27/005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stretch, softness
    • D21H27/007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stretch, softness relating to absorbency, e.g. amount or rate of water absorption, optionally in combination with other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12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 D21H5/14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of cellulose fibres only
    • D21H5/141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of cellulose fibres only of fibrous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20Chemically or biochemically modified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02Synthetic cellulose fibres
    • D21H13/04Cellulose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8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chemical for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and to the use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epared therefr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a wet nonwoven fabric by papermaking after carboxymethylation of cellulose fibers.
  • the uniformity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carboxymethylated nonwoven fabric using cellulose fiber,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due to the convenience of the process and the ease of performing the process, and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carboxymethyl cellulose wet nonwovens and the use of carboxymethyl cellulose wet nonwovens prepared therefrom, useful as a use of medical nonwovens or mask packs due to gelation upon contact with body fluids or water.
  • Nonwoven fabric is a planar fiber made by tangling a variety of fibers such as natural fibers, chemical fibers, glass fibers, and metal fibers to form entangled webs, and combining them by mechanical or physical methods. Can be defined as a structure.
  • nonwoven fabrics are widely consumed in our industry and living surroundings, and the us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nonwoven fabrics are becoming known to real users, and various uses using nonwoven fabrics are being created.
  • cellulose is the most abundant biological resource on earth, and it is an infinite resource that repeats the cycle of generation, decomposition, use, and production by natural law, and has been provided as a functional, low-cost renewable material to civilization for thousands of years.
  • Such cellulose has been actively developed in order to utilize the cellulose component of plants as a resource of energy, food, etc.
  • cellulose is used in various functional polymer materials and industrial fields. There is an active research to replace the polymer resources.
  • the third hydroxyl group of the cellulose molecule can react with both monovalent and divalent alcohol groups to undergo chemical reactions such as esterification, nitriding, etherification, and oxidation, and as a biocompatible substance, various biochemical materials can be used for various biomedical applications. Can be converted to a range.
  • oxidized cellulose knitted fabric products using oxidized cellulose (Oxydized cellulose) are commercially available as anti-adhesion agents because of their good adhesion to organs and tissues that are highly curved.
  • oxidized cellulose oxidized cellulose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fiber nonwoven fabric using electrospinning has been attempted, but as a representative method of directly electrospinning cellulose, a method of spinning using NMMO (4-methylmorpholine N-oxide) It is known, but the method is difficult to make nano-sized fibers, even if the nano-sized NMMO solu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solidified at 80 °C or less has a disadvantage that the non-woven fabric is difficult to stack.
  • NMMO 4-methylmorpholine N-oxide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75627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cellulose acetate and deacetylating it with a mixed solution of potassium hydroxide and ethanol.
  • the patent did not mention the nonwoven fabric utilized as a hemostatic agent, an anti-adhesion agent, etc. which has excellent biodegradability as cellulose oxide.
  • a method for producing a cellulose nonwoven fabric a method of producing a wet nonwoven fabric by a papermaking method and then obtaining it by carboxymethylation is used.
  • FIG. 1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wet nonwoven fabric using a paper making process, wherein a process (2) of dispersing pulped fibers obtained through the grinding process (1) with a water-based solvent as needed. After repeating, water is removed on the papermaking wire or screen 31 and attached in the form of a sheet using a vacuum pump 32 (3), which is manufactured in a sheet form by a pressing roll (4).
  • the sheet obtained by the step (5) of winding the wet nonwoven fabric produced from the process is formed by dispersing fibers of extremely short lengths, for example, 1 to 10 mm in water, to ensure uniform dispersion of the fibers. Has excellent uniformity.
  • the wet nonwoven fabric thus obtained is carboxymethylated, oxidation efficiency is low and process complexity is involv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an effort to apply the wet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papermaking method to medical use, and after performing carboxymethylation of the cellulose fibers, devis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et nonwoven fabric by the papermaking metho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epar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uniform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providing convenience of process and ease of process of using the conventionally manufactured cellulose fiber as it i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nonwoven fabric us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wet nonwoven fabric prepared from the manufacturing method.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pack us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epared from the above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oxymethyl cellulose consisting of preparing a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 by the solvent treatment, and dissolv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 in an aqueous solution composed of an alcohol solvent to knead and remove the solvent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wet nonwoven fabric.
  • the pressing process by calendering may be further performed.
  • the cellulose fiber uses any one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scose rayon fiber, cotton fiber, lyocell fiber.
  • the length of the carboxymethyl-treated cellulose fiber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0.1-10 mm.
  • the alcohol solvent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lone or mixed forms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and propano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nonwoven fabric use useful as a hygroscopic material due to the property that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epared from the manufacturing method is gelled upon contact with body fluids.
  • the use of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may be appli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adhesion agents, wound dressings and hemostatic materials.
  • the medical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lored with the biocompatible dye or pigment on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to improve the ease of use or visibility of the procedure, and further adhere the antimicrobial material to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sk pack using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homogeneity prepared from the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wet nonwoven fabric by carboxymethylation after carboxymethylation of cellulose fibers, and thus has a better leveling agent than a carboxymethylated nonwoven fabric using conventional cellulose fibers, and retains conventionally produced cellulose fibers as they are. Mass production is possible due to the convenience of process and ease of process.
  •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 medical nonwoven fabric or mask pack using the same because gelation occurs upon contact with body fluids or water.
  • FIG. 1 illustrate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wet nonwoven fabric using a conventional papermaking method
  • Example 2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viscose rayon fibers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urface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the viscose rayon fibers of FIG. 2,
  • Example 4 is a surface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viscose rayon fibers after calendering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5 is an optical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cotton fibers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optical photograph when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the cotton fiber of FIG. 5 is in contact with water;
  • FIG. 7 is an optical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a cotton fiber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act with wat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in which a carboxymethylated cellulose fiber is used to produce a wet nonwoven fabric by a papermak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comprising dissolving and knead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s in an aqueous solution composed of an alcohol solvent and removing the solvent.
  • Conventional cellulose nonwoven fabrics are prepared by wet paper nonwoven fabric by the paper making process of Figure 1, and then subjected to oxidation treatment in a subsequent process to obtain the final product of the cellulose wet nonwoven fabric.
  • Carboxymethylation of the thus obtained wet nonwoven fabric entails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the form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space between the nonwoven fabrics is small, so that solvent penetration is not easy, the oxidation treatment efficiency is low, and the uniformity is easy to fall.
  • the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 is liable to be brittle, the process is difficult, the production speed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thin nonwoven fabric.
  •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erses the cellulose fibers in a solvent to form carboxymethylated carboxymethylation uniformly and excellent oxidation treatment efficiency.
  • Conventional wet nonwoven fabrics use water as a countertop solvent, but gelation occurs when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s contact water,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with conventional papermaking methods. Therefore,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using an alcohol as a co-solvent, which is excellent in uniformity and can be mass-produced with improved process efficiency.
  • the cellulose fiber to be carboxymethylated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scose rayon fiber, cotton fiber and lyocell fiber.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viscose rayon fiber or cotton fiber is described in detail, but the cellulose fiber is not limited thereto.
  • Carboxymethylation of step 1) is a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methyl cellulose having a degree of substitution of 0.3 or more by reacting monochloroacetic acid after alkali treatment of cellulose fibers.
  • Step 2)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manufacturing a wet nonwoven fabric by the papermaking method, consisting of knead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s in an aqueous solution composed of an alcohol solvent, kneading and removing the solvent to dry.
  • step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queous solu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xymethyl cellulose is in contact with water so that the gelling occurs using an alcohol solvent.
  • ethanol is used as the crude solu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preferably, ethanol is used alone or in a mixed form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and propanol.
  • the length of the carboxymethyl treated cellulose fibers produc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1 to 10 mm. At this time, when the fiber length is less than 0.1mm,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bers is lowered, the morphological st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is lowered, whereas, if the fiber length exceeds 10mm, it is difficult to evenly disperse the fibers in the co-solven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wet nonwoven fabric.
  •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from the above method for preparing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includes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viscose rayon fibers prepared in Example 1; And carboxymethyl cellulose wet nonwoven fabric using the cotton fiber prepared in Example 2 as a second embodiment.
  • FIG. 2 and 3 show a cross-sectional and surface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viscose rayon fibers prepared in Example 1.
  • FIG. 1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viscose rayon fibers is a porous thin film nonwoven fabric having micropore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s are uniformly distributed.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erform a pressing process by a calendering method after removing the solvent of step 2).
  • Example 4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viscose rayon fibers after calendering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ed to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calendering process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nonwoven fabric decreased after the calendering process.
  •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can be adjust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calendering process is further performed,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can be improved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oduced from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to ensure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the carboxymethylation is uniformly performed, and the uniformity is excellent. Furthermore, when the carboxymethyl cellulose wet nonwoven fabric is in contact with the body fluid, Due to its gelling property, it is useful as a medical nonwoven fabric as a hygroscopic material.
  •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 medical nonwoven fabric appli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adhesion agents, wound dressings and hemostatic materials.
  • an anti-adhesion film in the form of a knit or a film is commercially available.
  • an inter-fiber gap is too large and a region that is not blocked by gelation may occur.
  • such a knit anti-adhesion film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knit only by using a filament ( ⁇ ⁇ , ⁇ ⁇ , Filament).
  • the anti-adhesion film us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epared fro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fine pore size than the conventional knit form while securing the intelligence. That is, the carboxymethyl cellulose wet nonwoven fabric used as the medical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esigned to have micropores of 1 to 500 ⁇ m, and in this case, when less than 1 ⁇ m, the function of the micropores between fibers is poorly absorbed / absorbed. On the other hand, if the pore size of the micropores is slower than 500 ⁇ m, the inter-fiber voids tend to be excessively large, resulting in poor barrier properties even when gelation of the material by moisture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ease of use or the procedure of the medical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by coloring the biocompatible dye or pigment on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 the dye or pigment may be selected from harmless substances known to the art, and after the procedure, it is preferable to use a color of blood and complementary color so as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medical nonwoven fabric is attached to the organ and the attachment position. Do.
  •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n antimicrobial material to the carboxymethyl cellulose wet nonwoven fabric,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fection prevention ability of the medical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 the antimicrobial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harmless antimicrobial substances known to the ar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ilver, silver compounds, triclosan, biguanide compounds, and methylene blue.
  • this invention provides the mask pack us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from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 FIG. 5 is an optical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cotton fibers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optical photograph of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cotton fibers as shown in FIG. 5 when contacted with water.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he gelling form upon contact with water.
  • Figure 7 relates to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using a cotton fiber nonwoven fabric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that is,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obtained by first preparing a nonwoven fabric of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n carboxymethylated contact with water If so, a partially gelled area is observed.
  • Step 1 400 g of 25%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prepared by mixing 1,350 ml of 2-propanol and 1,350 ml of ethanol to prepare an alkalizing solution. 30 g of viscose rayon fiber was added to the alkalizing solution, and stirred for 20 minutes to prepare an alkali treated viscose rayon fiber.
  • MCA monochlorochloroacetic acid
  •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 was poured into 99.5% methanol, washed with water, neutralized with acetic acid and stirred for 10 minutes. After washing with 95% ethanol for 10 minutes, it was washed sequentially with 99.5% methanol and 95% ethanol for 10 minutes each. Washed carboxymethyl cellulose (CMC) fibers were dried at 50 ° C.
  • Step 2 5 mL of 95% ethanol was used to prepare an aqueous solution using 2.25 g 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fiber prepared in Step 1 above as ethanol as a co-solvent, followed by sufficient kneading, followed by a hand sheet former. Ethanol, a crude solvent, was removed to prepare a 100 g / m 2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Thereafter, the prepared nonwoven fabric was dried at 50 ° C.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 Step 3 The nonwoven fabric prepared in Step 2 was calendered at 90 ° C. at a pressure of 200 psi.
  • Step 1 400 g of 25%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prepared by mixing 1,350 ml of 2-propanol and 1,350 ml of ethanol to prepare an alkalizing solution. 30 g of cotton fiber was added to the alkalizing solution, followed by stirring for 20 minutes to prepare an alkali treated cotton fiber.
  •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 was poured into 99.5% methanol, washed with water, neutralized with acetic acid and stirred for 10 minutes. After washing with 95% ethanol for 10 minutes, it was washed sequentially with 99.5% methanol and 95% ethanol for 10 minutes each. Washed carboxymethyl cellulose (CMC) fibers were dried at 50 ° C.
  • Step 2 Using a 6.75 g of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 prepared in the above step in 5 L of 95% ethanol to prepare an aqueous solution using a ethanol as a co-solvent, and kneaded sufficiently, using a hand sheet former Ethanol, a crude solvent, was removed to prepare a 300 g / m 2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Thereafter, the prepared nonwoven fabric was dried at 50 ° C.
  •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under the carboxymethylation conditions of Example 2 after preparing a 50 g / m 2 nonwoven fabric.
  • 30 g of a cotton fiber nonwoven fabric was added to the alkalizing solution, followed by stirring for 20 minutes, to prepare an alkali treated cotton fiber.
  • carboxymethyl cellulose fiber was poured into 99.5% methanol, washed with water, neutralized with acetic acid and stirred for 10 minutes. After washing with 95% ethanol for 10 minutes, it was washed sequentially with 99.5% methanol and 95% ethanol for 10 minutes each. Washed carboxymethyl cellulose (CMC) fibers were dried at 50 ° 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by papermaking after the carboxymethylation of the cellulose fibers.
  • the uniformity is excellent.
  • mass production is possible due to the convenience of the process and the ease of performing the process using the existing commercialized cellulose fiber as it is.
  •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gelling upon contact with body fluids or water, it provides a useful use as a medical nonwoven fabric or mask pack using the same.

Abstract

본 발명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카복시메틸화를 선 수행한 후, 초지법에 의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종래 부직포를 카복시메틸화한 경우보다 공정의 편의성 및 공정수행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체액 또는 물과의 접촉시 젤화가 일어나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는 의료용 부직포 또는 마스크 팩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
본 발명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카복시메틸화 한 후, 초지법에 의해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종래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해 부직포를 제조하여 카복시메틸화한 경우보다 균제도(uniformity)가 우수하고, 공정의 편의성 및 공정수행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체액 또는 물과의 접촉시 젤화로 인해 의료용 부직포 또는 마스크 팩의 용도로서 유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천연섬유, 화학섬유, 유리섬유, 금속섬유 등 각종 섬유를 상호간의 특성에 따라, 엉키게 하는 시트 모양의 웹(Web)을 형성하고, 이를 기계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평면구조의 섬유구조체로 정의할 수 있다.
최근에 와서는 우리산업과 생활주변에 부직포가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으며, 부직포 용도와 특성 및 기능이 실수요자에게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부직포를 이용한 다양한 용도가 창출되고 있다.
특히, 천연 섬유 중에서도 셀룰로오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자원으로 자연계의 법칙에 의해 생성, 분해, 이용 및 생성의 순환을 반복하는 무한정 자원에 해당되어 수 천년 동안 인류에게 기능성, 저비용 재생물질로 제공되어 왔다. 이러한 셀룰로오스는 에너지, 식량 등의 자원으로서 식물체의 셀룰로오스 성분을 활용하려고 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환경친화적인 고분자 재료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셀룰로오스를 각종 기능성 고분자 재료 및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고분자 자원으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분자의 제 3 하이드록실 그룹은 1가 및 2가 알코올 그룹과 모두 반응하여 에스테르화, 질화, 에테르화, 산화와 같은 화학적 반응을 할 수 있어 생체 적합 물질로서 다양한 생의학적 적용에 따라 여러 넓은 범위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셀룰로오스를 산화처리한 산화 셀룰로오스(Oxydized cellulose)를 이용한 편물형태의 제품이 굴곡이 심한 장기나 조직에 대한 밀착성이 좋아 현재 유착방지제로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공극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여러 가지 세포, 혈액 단백질 등의 투과가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분리막으로서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를 카복시메틸화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이용한 필름 형태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필름형태는 미세 기공이 존재하지 않아 밀착성이 떨어지고 뻣뻣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셀룰로오스를 직접 전기 방사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NMMO(4-메틸모르포라인 N-옥사이드)를 이용하여 방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 방법은 나노 크기의 섬유를 만들기 어렵고 나노 크기가 되더라도 80℃ 이하에서 고화가 되는 NMMO 용액 특성 때문에 부직포 적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75627호에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전기방사하고 이를 수산화 칼륨과 에탄올의 혼합용액으로 탈아세틸화시켜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산화 셀룰로오스로서 생분해성이 우수한 지혈제, 유착방지제 등으로 활용되는 부직포의 언급이 없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세포, 혈액 단백질 등의 투과가 쉽게 일어날 수 없는 분리막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지혈제, 유착방지제 등의 의료용에 적용 가능한 나노 섬유로 구성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부직포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반면에, 셀룰로오스 부직포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초지법에 의해 습식 부직포를 제조한 후, 카복시메틸화하여 수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초지법(paper making process)을 이용한 습식 부직포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분쇄공정(1)을 거쳐 얻은 펄프화된 섬유를 물을 초조용매로 하여 분산시키는 공정(2)을 필요에 따라 반복 수행하고, 제지용 와이어 또는 스크린(31) 위에 물을 제거하고 진공펌프(32)를 이용하여 시트 형태로 부착시킨 후(3), 압착롤에 의해 시트상으로 제조되는데(4), 상기 제조과정으로부터 제조된 습식 부직포를 권취하는 공정(5)으로 얻어진 시트는 섬유의 균일 분산을 보장하기 위하여 극히 짧은 길이, 예를 들면 1 내지 10 mm의 섬유들을 물에 분산시켜 형성되기 때문에, 건식 부직포보다 우수한 균일성을 가진다. 이렇게 얻어진 습식 부직포를 카복시메틸화하면, 산화처리 효율이 낮아 공정의 까다로움이 수반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초지법에 의해 제조되는 습식 부직포를 의료용도에 적용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한 결과, 셀룰로오스 섬유를 카복시메틸화를 선 수행한 후, 초지법에 의해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안출하고,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균제도가 우수하고, 기존 제품화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그대로 사용하는 공정의 편의성 및 공정수행의 용이성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제도가 우수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이용한 의료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용매처리에 의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알코올 용매로 이루어진 초조용액에 풀어 혼련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용매제거 후, 캘린더링법에 의한 압착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셀룰로오스 섬유는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 면 섬유,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얻은 카복시메틸 처리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길이는 0.1∼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알코올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및 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 혼합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체액과 접촉시 젤화되는 성질로 인하여 흡습 재료로 유용한 의료용 부직포 용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는 유착방지제, 창상피복재 및 지혈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부직포는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에 생체적합성 염료 또는 안료로 착색되도록 하여 시술편의성 또는 사용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에 항균 물질을 더 부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균제도가 우수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카복시메틸화한 후, 초지법에 의해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해 부직포를 제조하여 카복시메틸화한 경우보다 균제도가 우수하고, 기존 제품화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그대로 사용하는 공정의 편의성 및 공정수행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체액 또는 물과의 접촉시 젤화가 일어나므로, 이를 이용한 의료용 부직포 또는 마스크 팩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종래 초지법을 이용한 습식 부직포의 제조공정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단면사진이고,
도 3은 도 2의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표면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캘린더링처리 이후의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표면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면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광학 사진이고,
도 6은 도 5의 면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물에 접촉시 광학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면 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부직포가 물에 접촉시 광학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카복시메틸화한 후, 초지법에 의해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셀룰로오스 섬유를 화학 처리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준비하고,
2)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알코올 용매로 이루어진 초조용액에 풀어 혼련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셀룰로오스 부직포는 도 1의 초지법(paper making process)에 의해 습식 부직포를 제조한 후, 산화처리를 후속공정으로 수행하여,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최종제품을 수득한다. 이렇게 얻어진 습식 부직포를 카복시메틸화할 때 부직포 형태를 유지하는 공정의 까다로움이 수반되며 부직포 사이의 공간이 작아 용매 침투가 용이하지 않고 산화처리효율이 낮고 균제도가 떨어지기 쉽다.
또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니들펀칭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할 경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가 부스러지기 쉬워 공정이 까다로우며 생산 속도도 낮고 박막의 부직포를 제조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 수행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용매에 분산시켜 카복시메틸화하므로 카복시메틸화가 균일하게 일어나며 산화처리 효율이 우수하다. 통상의 습식 부직포는 물을 초조 용매로 사용하지만,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가 물에 접촉했을 때 젤화가 일어나므로 통상의 초지법으로는 제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는 알코올을 초조용매로 하여 제조됨으로써 균제도가 우수하며 공정 효율개선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단계 1)에서 카복시메틸화 대상인 셀룰로오스 섬유는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 면 섬유 및 라이오셀 섬유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 또는 면 섬유를 이용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셀룰로오스 섬유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단계 1)의 카복시메틸화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알칼리 처리한 후 모노클로로아세트산을 반응시켜 치환도가 0.3이상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단계 2)는 초지법에 의한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알코올 용매로 이루어진 초조용액에 풀어 혼련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단계 2)에서 초조용액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물과 접촉했을 때 겔화가 일어나므로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조용액으로서 에탄올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메탄올, 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 혼합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제조된 카복시메틸 처리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길이는 0.1∼10 mm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섬유길이가 0.1mm 미만이면, 섬유 사이의 결합력이 떨어져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이 저하되고, 반면에, 10mm를 초과하면, 습식 부직포 제조 시 초조용매에 섬유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상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 및 제2실시형태로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면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제공한다.
이에, 도 2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단면 및 표면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는 미세공을 가지는 다공성 박막형 부직포이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공에 의한 모세관현상을 유도하여 젤화 속도를 보다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2)의 용매제거 이후, 캘린더링법에 의한 압착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캘린더링처리 이후의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표면을 관찰한 사진으로서, 캘린더링 공정이전의 부직포의 평균기공크기(도 3)보다 캘린더 공정 이후 부직포의 평균기공크기가 감소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평균기공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캘린더공정을 더 수행할 경우 부직포의 지력을 개선할 수 있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는 부직포의 지력이 확보되고, 카복시메틸화가 균일하게 수행되어 균제도가 우수하고, 더욱이, 상기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체액과 접촉시 젤화되는 성질로 인하여 흡습 재료로서 의료용 부직포로 유용하다.
이에, 본 발명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는 유착방지제, 창상피복재 및 지혈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의료용 부직포로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유착방지제로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종래에는 니트(knit)형태 또는 필름(film)형태의 유착방지막이 시판되고 있는데, 니트형태의 경우, 섬유간 공극이 지나치게 커서 젤화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니트형태의 유착방지막은 장섬유(長纖維, Filament)를 사용하여야 니트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이용한 유착방지막은 지력이 확보되면서도 종래 니트형태보다 미세 기공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료용 부직포로 사용되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는 1 내지 500㎛의 미세공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1㎛ 미만이면, 섬유간의 미세공의 기능이 떨어져 흡액/흡수속도가 느려지고 반면에, 미세공의 기공크기가 500㎛를 초과하면, 수분에 의한 소재의 젤화가 일어나더라도 섬유간 공극이 지나치게 커져 차단 특성이 떨어지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에 생체적합성 염료 또는 안료를 착색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의료용 부직포의 시술편의성 또는 사용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염료 또는 안료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인체 무해한 물질 중에서 선택가능하며, 시술 후, 의료용 부직포의 기관 내 부착여부 및 부착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혈액과 보색관계의 색상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에 항균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의료용 부직포의 감염방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항균물질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인체 무해한 항균 물질 중에서 선택가능하며, 은, 은계 화합물, 트리클로산, 바이구아나이드계 화합물, 메틸렌 블루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면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광학 사진이고, 도 6은 도 5의 면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물에 접촉시 광학 사진으로서, 상기의 결과로부터 물에 접촉시 젤화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면 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즉, 종래 제조방법인 부직포를 먼저 제조한 후, 카복시메틸화하여 얻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부직포가 물에 접촉했을 경우, 부분적으로 젤화되지 않는 영역이 관찰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 제조
단계 1: 2-프로판올 1,350㎖ 및 에탄올 1,350㎖을 혼합 조제한 혼합용액에, 25% 수산화나트륨 용액 400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알칼리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알칼리화 용액에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 30g을 넣고 20분간 교반하여 알칼리 처리된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제조하였다.
이후, 70℃로 유지된 2-프로판올 1,350㎖ 및 에탄올 1,350㎖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MCA(Mono chloroacetic acid) 26.3g을 녹여 에테르화 용액을 준비한 후, 상기 알칼리 처리된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99.5% 메탄올에 넣어 수세한 후, 다시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다시 95% 에탄올로 10분간 수세한 후, 99.5% 메탄올과 95% 에탄올로 각각 10분씩 순차적으로 수세하였다. 수세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섬유를 50℃에서 건조하였다.
단계 2: 95% 에탄올 5 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섬유 2.25g을 사용하여 에탄올을 초조용매로 하여 초조용액을 제조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수동제지기(hand sheet former)를 이용하여 초조용매인 에탄올을 제거하여 100g/m2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부직포를 50℃에서 건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90℃에서 200 psi의 압력으로 캘린더링하였다.
<실시예 2> 면 섬유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
단계 1: 2-프로판올 1,350㎖ 및 에탄올 1,350㎖을 혼합 조제한 혼합용액에, 25% 수산화나트륨 용액 400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알칼리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알칼리화 용액에 면 섬유 30g을 넣고 20분간 교반하여 알칼리 처리된 면 섬유를 제조하였다.
이후, 70℃로 유지된 2-프로판올 1,350㎖ 및 에탄올 1,350㎖으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모노클로로 아세트산 87g을 녹여 에테르화 용액을 준비한 후, 상기 알칼리 처리된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99.5% 메탄올에 넣어 수세한 후, 다시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다시 95% 에탄올로 10분간 수세한 후, 99.5% 메탄올과 95% 에탄올로 각각 10분씩 순차적으로 수세하였다. 수세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섬유를 50℃에서 건조하였다.
단계 2: 95% 에탄올 5 L에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6.75g을 사용하여 에탄올을 초조용매로 하여 초조용액을 제조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수동제지기(hand sheet former)를 이용하여 초조용매인 에탄올을 제거하여 300g/m2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부직포를 50℃에서 건조하였다.
<비교예 1> 면 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부직포의 제조
50g/m2 의 부직포를 제조한 후 실시예 2의 카복시메틸화 조건으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먼저, 2-프로판올 1,350㎖ 및 에탄올 1,350㎖을 혼합 조제한 혼합용액에, 25% 수산화나트륨 용액 400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알칼리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알칼리화 용액에 면 섬유 부직포 30g을 넣고 20분간 교반하여 알칼리 처리된 면 섬유를 제조하였다.
이후, 70℃로 유지된 2-프로판올 1,350㎖ 및 에탄올 1,350㎖으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모노클로로 아세트산 87g을 녹여 에테르화 용액을 준비한 후, 상기 알칼리 처리된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를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99.5% 메탄올에 넣어 수세한 후 다시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다시 95% 에탄올로 10분간 수세한 후, 99.5% 메탄올과 95% 에탄올로 각각 10분씩 순차적으로 수세하였다. 수세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섬유를 50℃에서 건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섬유에 카복시메틸화를 선 수행한 후, 초지법에 의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용매처리에 의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알코올 용매로 이루어진 초조용액에 풀어 혼련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균제도가 우수하고, 기존의 제품화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그대로 사용하는 공정의 편의성 및 공정수행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체액 또는 물과의 접촉시 젤화가 일어나므로, 이를 이용한 의료용 부직포 또는 마스크 팩으로서 유용한 그 용도를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분쇄공정 2: 분산공정
3: 시트형태로 부착공정 4: 시트성형공정
31: 제지용 와이어 또는 스크린 32: 진공펌프
5: 권취공정

Claims (10)

  1. 셀룰로오스 섬유를 용매처리에 의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알코올 용매로 이루어진 초조용액에 풀어 혼련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제거 후, 캘린더링법에 의한 압착공정이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 면 섬유,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의 길이가 0.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용매가 에탄올, 메탄올 및 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 혼합 형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체액과 접촉시 젤화가 일어나는 흡습재료로 유용한 의료용 부직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가 유착방지제, 창상피복재 및 지혈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의료용 부직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에 생체적합성 염료 또는 안료가 착색된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의료용 부직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에 항균 물질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의료용 부직포.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
PCT/KR2013/009471 2012-12-10 2013-10-23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 WO20140923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48,733 US9481963B2 (en) 2012-12-10 2013-10-23 Manufacturing method of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and use of carboxymethyl cellulose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thereby
DE112013000200.0T DE112013000200B4 (de) 2012-12-10 2013-10-23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Carboxymethylcellulose-Vliesstoffes und Verwendung eines solchermaßen hergestellten Carboxymethylcellulose-Vliesstoff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09 2012-12-10
KR1020120143109A KR101361629B1 (ko) 2012-12-10 2012-12-10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2328A1 true WO2014092328A1 (ko) 2014-06-19

Family

ID=5027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471 WO2014092328A1 (ko) 2012-12-10 2013-10-23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1963B2 (ko)
KR (1) KR101361629B1 (ko)
DE (1) DE112013000200B4 (ko)
WO (1) WO20140923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276A (zh) * 2017-08-24 2018-02-16 芜湖立新清洁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餐饮行业的擦拭用非织造布层的制备方法
CN111575903A (zh) * 2020-05-15 2020-08-25 长沙蓝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柔韧高保湿的羧甲基纤维素纤维面膜基布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939B1 (ko) 2014-05-15 2016-04-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파이버 또는 섬유포로 이루어진 흡수 코어 및 그를 이용한 흡수 제품
TW201840298A (zh) 2017-03-03 2018-11-16 德商凱爾海姆纖維有限公司 黏性纖維的應用
KR102180370B1 (ko) * 2017-12-14 202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금속 흡착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팩
KR102409027B1 (ko) * 2018-01-19 2022-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나노셀룰로오스 필름,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1828B1 (ko) * 2018-01-25 2022-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나노셀룰로오스 다공성 필름,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4535B1 (ko) * 2020-02-20 2022-06-30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전기방사 및 열압착에 의해 제조한 단층구조의 나노섬유상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CN113430822A (zh) * 2021-06-24 2021-09-24 长春工业大学 一种新型改性纤维素面膜基布的制备方法
CN113338034A (zh) * 2021-06-24 2021-09-03 长春工业大学 一种具有优异保湿能力的改性纤维素面膜基布的制备方法
WO2023237407A1 (en) * 2022-06-09 2023-12-14 Glatfelter Gernsbach Gmbh Fabric comprising a nonwoven web of fibers and corresponding method of prod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0344B1 (en) * 1993-01-22 1998-04-01 Courtaulds Plc Wound dressings
JP2000256958A (ja) * 1999-03-05 2000-09-19 Hogi Medical:Kk 可溶性創傷治癒止血セルロース繊維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創傷部の止血治癒方法
JP2007197862A (ja) * 2006-01-25 2007-08-09 Daicel Chem Ind Ltd 吸水性不織布状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4216A (ja) * 2009-06-09 2010-12-24 Hogi Medical:Kk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176U (ja) * 1996-11-26 1997-06-06 隆造 石垣 人工肛門、人工膀胱保持者用排泄物一時保持用具内の吸液シート
MXPA04002231A (es) * 2001-09-12 2005-03-07 Acordis Speciality Fibres Ltd Vendaje antibacteriano para heridas.
JP4475509B2 (ja) 2004-06-08 2010-06-09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ロフェン系物質含有レーヨ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2266B1 (ko) * 2005-12-30 2007-07-26 한국원자력연구원 수분 방지 효과가 우수한 상처 치료용 수화겔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56464B1 (ko) * 2007-02-13 2008-09-04 박원호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US8039683B2 (en) * 2007-10-15 2011-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mposites having improved fluid wicking and web integrity
EP2511346B1 (en) * 2009-12-11 2016-09-07 Kao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
KR101070358B1 (ko) * 2009-12-24 2011-10-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0344B1 (en) * 1993-01-22 1998-04-01 Courtaulds Plc Wound dressings
JP2000256958A (ja) * 1999-03-05 2000-09-19 Hogi Medical:Kk 可溶性創傷治癒止血セルロース繊維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創傷部の止血治癒方法
JP2007197862A (ja) * 2006-01-25 2007-08-09 Daicel Chem Ind Ltd 吸水性不織布状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4216A (ja) * 2009-06-09 2010-12-24 Hogi Medical:Kk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276A (zh) * 2017-08-24 2018-02-16 芜湖立新清洁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餐饮行业的擦拭用非织造布层的制备方法
CN111575903A (zh) * 2020-05-15 2020-08-25 长沙蓝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柔韧高保湿的羧甲基纤维素纤维面膜基布及其制备方法
CN111575903B (zh) * 2020-05-15 2021-05-04 江西登云健康美业互联有限公司 一种高柔韧高保湿的羧甲基纤维素纤维面膜基布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1963B2 (en) 2016-11-01
KR101361629B1 (ko) 2014-02-13
US20160002859A1 (en) 2016-01-07
DE112013000200T5 (de) 2014-08-07
DE112013000200B4 (de)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92328A1 (ko)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습식 부직포의 용도
WO2011078442A1 (ko) 의료용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CA2548070C (en) Rotary spinning processes for forming hydroxyl polymer-containing fibers
CN100376623C (zh) 具有稳定形态的壳聚糖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
US20200330641A1 (en) Biodegradable graphene oxide biocomposite fibrous membrane,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KR20140080655A (ko)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한 혼성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CN104906623B (zh) 一种纤维素基敷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251904A (zh) 多糖纤维及其制备方法
JP2007236551A (ja) キチン誘導体複合材料及び医療用材料
WO2014044011A1 (zh) 海藻酸盐机织布及其制备方法
CN107130333B (zh) 一种海藻酸与壳聚糖混编纤维及其制备方法
JPH10248872A (ja) ミクロフィブリル状微細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267240A (zh) 一种医用敷料用壳聚糖/海藻酸钙无针静电纺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CN106758217A (zh) 一种明胶/壳聚糖复合纳米纤维膜的交联制备方法
CN107929794A (zh) 一种基于化学交联的纤维素‑壳聚糖复合敷料及其制备方法
CN105497969A (zh) 一种多层复合膜敷料及其制备方法
CN104294479A (zh) 一种天然纤维素/聚丙烯腈纳米抗菌纤维膜及其制备方法
WO2022245059A1 (ko) 히알루론산염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05175558A (zh) 一种复合膜的制备方法
CN106120327A (zh) 一种具有快速止血功能的氧化纤维素纳米纤维膜片的制备方法
CN112999402A (zh) 一种静电纺丝凝胶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177802A (zh) 甲壳素与纤维素皮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113445155A (zh) 一种壳聚糖基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
CA3012973C (en) Carboxymethlated cellulose sheet for covering a wound
WO2023191385A1 (ko) 히알루론산염 나노 파브릭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48733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3000200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30002000

Country of ref document: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630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630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