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65446A1 -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65446A1
WO2014065446A1 PCT/KR2012/008744 KR2012008744W WO2014065446A1 WO 2014065446 A1 WO2014065446 A1 WO 2014065446A1 KR 2012008744 W KR2012008744 W KR 2012008744W WO 2014065446 A1 WO2014065446 A1 WO 20140654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ffeine
paraxanthine
slimming
fermentation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87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성관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주)라이프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프앤진 filed Critical (주)라이프앤진
Priority to CN201280077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968326A/zh
Priority to PCT/KR2012/008744 priority patent/WO2014065446A1/ko
Priority to KR1020157017034A priority patent/KR20150100699A/ko
Publication of WO20140654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65446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polytic slimming composition with caffeine and paraxanthin.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89875 'fat metabolism promoting composition and food and beverages containing the same' has been published as an obesity inhibitor.
  • caffeine which is mentioned as a causative agent of lipolytic action in these patent technologies, does not directly exhibit obesity inhibitory action in the human body
  • cytochrome P450 1A2 Through metabolism in the liver, it is decomposed by an enzyme called cytochrome P450 1A2 in the ratio of paraxanthine 84%, theobromin 12% and theophyllin 4%, respectively.
  • Paraxanthin promotes lipolysis, which increases lipolysis
  • theobromine is known to act as a vasodilator and diuretic
  • theophylline promotes tropical death in the body to reduce obesity.
  • caffeine When us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or cosmetic such as a patch, it also does not immediately act on the skin absorption site, but moves to the liver, undergoes metabolism, and then spreads throughout the body.
  • caffeine metabolites are mainly produced in the liver of the human body, but other active method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but the production method is still insuffici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in view of all the problems that the conventional lipolysis composition by caffeine and paraxanthin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le mass production of caffeine and a metabolite of caffeine in a more efficient manner
  • paraxanthin which is a raw material of functional cosmetics, which slimes down purified caffeine or plants containing caffeine through microbial fermentation or enzyme treatment
  • Paraxanthin a caffeine metabolite in secondary fermentation broth, is absorbed directly from the small intestine and directly acts on the intestines and abdominal fat, promoting fat metabolism and reducing fat cells.
  • the lipolytic slimming composition using caffeine and paraxant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extracts a large amount of paraxanthin which has a slimming effect from microorganism fermentation or enzyme treatment of purified caffeine or caffeine-containing plant, and caffeine including caffeine and paraxanthin.
  • caffeine and paraxant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extracts a large amount of paraxanthin which has a slimming effect from microorganism fermentation or enzyme treatment of purified caffeine or caffeine-containing plant, and caffeine including caffeine and paraxanthin.
  • a slimming effect by excellent lipolytic action can be expected.
  • the lipolytic slimming composition by caffeine and paraxanthi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and mass-produced caffeine metabolite paraxanthine in a more efficient manner, and provides various ways of apply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direct use of caffeine metabolites such as paraxanthine,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site of application without metabolism in the liver.
  • the caffeine metabolite produced when fermenting purified caffeine and caffeine-containing plants using microorganisms varies in content depending on fermentation conditions.
  • Caffeine metabolites such as paraxanthine, theobromine, theophylline, xanthine, 7-methylxanthine have been found to be present.
  • Purified caffeine can be converted into metabolites through metabolic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Inoculation microorganisms that can be applied to fermentation of microorganisms are known to metabolize caffeine, or all microorganisms capable of fermenting plants can be applied. Each microorganism controls fermentation conditions to maximize the production of metabolites.
  • purified caffeine and plants containing caffeine may be used.
  • Caffeine is found in coffee seeds, green tea leaves, cocoa and cola, mate tea and guava.
  • the raw materials may be applied individually, and may be used in a form in which they are mixed with each other.
  • Metabolites of caffeine can also be produced by enzyme treatment.
  • Caffeine is broken down into metabolites by CYP1A2, an enzyme in the liver of animals.
  • Microorganisms with caffeine demethylase can also metabolize caffeine.
  • the microbial ferment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manufacturing process.
  • Table 1 shows the blending ratio (%) of green tea leaves as an example of purified caffeine used for microbial fermentation and a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caffeine.
  • Example 1 (raw material 1)
  • Example 2 (raw material 2)
  • Example 3 Tablets caffeine 100 - 50 Green tea leaves - 100 50
  • the pre-cultured microorganisms are inoculated into the ground plant material.
  • the raw materials 1-3 of Example 1-3 of Table 1 were ferment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 Table 3 The lactic acid bacteria were inoculated into the raw materials at a concentration of 5% (v / w), and 35 to The fermentation broth was prepared by fermenting at 40 ° C. for 1 to 2 days under anaerobic conditions.
  • the strain was inoculated at 5% (v / w) concentration in the raw material, and fermented broth by fermentation for about 2 to 3 days at aerobic conditions at 25 ⁇ 35 °C Manufacture.
  • Most of the microbial fermentation is carried out under the above conditions, low-temperature aging fermentation, etc. carried out at 4 ° C refriger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microorganism strain may be applied to optimize the production.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Plant raw materials - Raw material 1
  • Raw material 2 Raw material 3 Microbial strain Lactobacillus Lactobacillus Lactobacillus Lactobacillus Lactobacillus Lactobacillus
  • the microorganisms were removed using 0.2 um Whatman paper filter paper,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ied to obtain a dry powder.
  • the enzyme treatment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manufacturing process.
  • the plant raw material used for an enzyme treatment is mix
  • Enzyme solution is added to the ground plant.
  • Enzyme used for enzyme treatment uses CYP1A2 isolated from animal liver, a natural enzyme capable of metabolizing caffeine, and caffeine demethylase present in microorganisms.
  • the pulverized raw material to which the said enzyme liquid was added is made to react at the temperature of 30-40 degreeC for 12 to 24 hours.
  • the enzyme solution was inactivated by rai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impurities were removed using a 0.2 um Whatman paper filter paper,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freeze-dry to obtain a dry powder.
  • Purified caffeine is mixed with the culture medium from which the carbon source has been removed to prepare a primary fermentation broth.
  • the primary fermentation broth prepared above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t a concentration of 5% (w / v) and fermented for 1 to 2 days at a temperature of 30 to 40 ° C. under anaerobic conditions.
  • the fermentation conditions ar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caffeine metabolite is optimally produced and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lactic acid bacteria.
  • Lactic acid bacteria cause the fermentation process using caffeine as a carbon source, and during the caffeine fermentation process, primary fermentation i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that the maximum production of caffeine metabolites including paraxanthin, an intermediate metabolite.
  • Medicinal plants used for secondary fermentation include caffeine, green tea, mate tea, guarana, etc., which promote fat metabolism and have a fat reducing effect,
  • the medicinal plant powder is mixed with the primary fermentation broth in a ratio of 1: 1 to 1/3, and secondary fermentation is performed for 1 to 2 days at 30 to 40 ° C. under anaerobic conditions.
  • the fermentation product is filtered using a filter.
  • the lipolytic slimming composition using caffeine and paraxanthin according to Example 5 is subjected to primary and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e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metabolite of lactic acid bacteria beneficial to human body with paraxanthin.
  • the fermented product extracted through the secondary fermentation contains a large amount of useful components for the human body, such as caffeine metabolites including paraxanthin, which promote fat metabolism, and plant metabolites and lactic acid bacteria,
  • Anti-obesity reduced visceral fat, increased bowel movements, elimination of harmful substances by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al tract, smooth intestinal movement, constipation, improved blood circulation.
  •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long with commonly used auxiliaries used in the manufacture of cosmetics, according to the usual method of cosmetic preparation, lotion or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essence, It can be prepared and used in various forms of cosmetics such as eye cream, pack, gel, spray or powder. It can also be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for body care and patch for topical diet.
  • Table 4 shows an example prepar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bdominal slimming gel.
  • Table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mposition of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ral preparation.
  • the slimming gel was massaged into the abdomen twice daily for four weeks each morning and evening for 40 adult men an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 the test subject applied each manufacturing example 1-5, and observed each group. Abdominal circumferential changes over 8 weeks were measured before, after 4 weeks of use and after 8 weeks of use of slimming gel. The measured abdominal circumference is shown in Table 6 by statistical treatment.
  • Preparation Example 1 prepared as a control containing no microbial fermentation or enzyme treatment extract, no change in abdominal circumference was observed.
  • Preparation Examples 2 to 5 containing microbial fermentation or enzyme treatment extra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bdominal circumference decreased with increasing use period at 4 weeks and 8 weeks of use.
  • mice Six week old mice are allowed to acclimate for a week, followed by a two-week high-fat diet to induce obesity.
  • Eighteen obese rats were randomly grouped into six groups in each group,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orally administe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purified caffeine, and fermentation broth three times daily for two weeks.
  • the rats inges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had a weight increase of 10.8%, and the rats ingesting the purified caffeine had an increase rate of 4.6%, compared to the rats inges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 Rats fed fermentation broth reduced body weight by -4.2% compared to pre-do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intake between groups.
  • Subcutaneous fat, post-peritoneal fat, and mesenteric fat in the abdomen and intestine of the test animal are extracted and weighed.
  • Abdominal fat is divided into subcutaneous aspiration and intraperitoneal fat, and intraperitoneal fat is divided into visceral fat and peritoneal fat.
  • Mesenteric fats are fats deposited on the mesentery that maintain the physical form between the intestine and the intestine.
  • the fermented broth showed the lowest weight of subcutaneous fat, post-peritoneal fat and mesenteric fat.
  • the lipolytic slimming composition using caffeine and paraxant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f reducing fat cells, abdominal and visceral fat reduction, and promoting fat metabolism.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or a dosage for subcutaneous fat removal for a die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정제된 카페인 또는 카페인이 함유된 식물을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를 통하여 슬리밍 작용을 하는 파라잔틴을 효과적으로 대량 추출하여, 카페인과 파라잔틴을 포함한 카페인 대사 산물이 직접적으로 피부 또는 내장 및 복부 지방에 바로 작용하여 지방 대사를 촉진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지방 분해 작용와 함께, 이뇨 촉진 작용 및 셀룰라이트 제거 작용 등을 통하여 피부의 슬리밍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본 발명은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만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증가와 함께, 개인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다이어트의 하나로 피하 지방을 제거하는 방안이 여러 가지로 강구되고 있다.
그 방안의 하나로서, 차나 커피 등에 함유된 카페인이 지방 분해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카페인에 의한 다이어트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 몇 가지 예를 살펴보면,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126881호로 '카페인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첩부제' 가 공개된 바 있고,
국내 특허 제10-0998990호로 '슬리밍용 조성물' 이 등록된 바 있으며,
국내 특허 제10-1001492호로 '안티셀룰라이트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등이 화장품 관련 특허로 소개된 바 있고,
또한 국내 공개 특허 제10-2001-0089875호의 '지방 대사 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이 비만 억제 물질로서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기술에서 지방 분해 작용의 원인 물질로서 언급되고 있는 카페인은 직접적으로 인체 내에서 비만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간에서 대사 작용을 거쳐 cytochrome P450 1A2 라는 효소에 의해 파라잔틴(paraxanthine) 84 %, 테오브로민(theobromin) 12 %, 테오필린(theophyllin) 4 % 의 비율로 각각 분해되어,
파라잔틴은 지질 분해 반응을 증가시키는 지방 분해 촉진 작용을, 테오브로민은 혈관 확장 및 이뇨 작용을, 테오필린은 체내 열대사를 촉진하여 비만 해소에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페인이 첩부제 등의 외용제나 화장료로 사용되는 경우 역시, 피부 흡수 부위에 바로 작용하지 못하고 간으로 이동하여 대사 작용을 거친 후, 온몸으로 퍼지게 됨으로써,
그에 따른 흡수 효율 및 반응 시간의 저하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카페인 대사 산물은 인체의 간에서 주로 생산되며, 그 외의 생산 방식에 대해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조성물이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페인과 카페인의 대사 산물인 파라잔틴을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카페인과 파라잔틴을 지방 분해 조성물로 적용하는 보다 효과적인 다양한 방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된 카페인 또는 카페인이 함유된 식물을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를 통하여 슬리밍 작용을 하는 기능성 화장료의 원료가 되는 파라잔틴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카페인과 파라잔틴을 포함한 카페인 대사 산물을 직접적으로 피부에 작용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지방 분해 작용와 함께, 이뇨 촉진 작용 및 셀룰라이트 제거 작용 등을 통하여 피부의 슬리밍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원이 제거된 배양액에 정제된 카페인을 혼합한 1차 대사용 배양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1차 발효시킨 뒤,
상기 1차 발효액에 카페인이 함유된 약용 식물을 다시 혼합하여 2차 발효시켜, 파라잔틴이 대량 포함된 2차 발효액을 추출한 후,
이를 경구 투여하여,
2차 발효액에 함유된 카페인 대사 산물인 파라잔틴이 소장에서 바로 흡수되어 내장과 복부 지방에 직접적으로 바로 작용하여 지방 대사를 촉진하여 지방 세포를 감소시킴으로써,
내장과 복부 지방을 감소시켜, 슬리밍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은 정제된 카페인 또는 카페인이 함유된 식물을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를 통하여 슬리밍 작용을 하는 파라잔틴을 효과적으로 대량 추출하여, 카페인과 파라잔틴을 포함한 카페인 대사 산물이 직접적으로 피부 또는 내장 및 복부 지방에 바로 작용하여 지방 대사를 촉진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지방 분해 작용에 의한 슬리밍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은 카페인 대사 산물인 파라잔틴을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하고, 이를 적용하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파라잔틴과 같은 카페인 대사 산물을 직접 이용함으로써, 간에서 대사작용 없이 바로 적용 부위에 작용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결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제 카페인과 카페인 함유 식물을 발효하였을 때 생성되는 카페인 대사 산물은 발효 조건에 따라 그 함량이 다양하며,
파라잔틴,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잔틴, 7-메틸잔틴 등의 카페인 대사 산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제된 카페인은 미생물을 이용한 대사 과정을 통하여 대사 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미생물 발효에 적용할 수 있는 접종 미생물은 카페인을 대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식물을 발효시킬 수 있는 미생물은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각 미생물마다 발효 조건을 조절하여 대사 산물의 생산량을 극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효 원료는 정제된 카페인과 카페인이 함유된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카페인은 커피 열매 안의 씨앗, 녹차잎, 코코아와 콜라 열매, 마테차 나무와 구아바 열매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미생물로 발효할 경우, 카페인 대사 산물을 포함하여 해당 식물의 다양한 저분자 영양물질도 같이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원료는 개별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서로 혼합된 형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카페인의 대사 산물은 효소 처리에 의해서도 생산이 가능하다.
카페인은 동물의 간에 존재하는 효소인 CYP1A2 에 의해 대사 산물로 분해되며,
caffeine demethylase 를 보유한 미생물도 카페인을 대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3
다음과 같은 제조 공정을 거쳐 미생물 발효 과정을 진행하였다.
1. 식물 원료 혼합
미생물 발효에 사용되는 정제 카페인과,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 원료의 한 예로 녹차잎의 배합 비율(%)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1(원료 1) 실시예 2(원료 2) 실시예 3(원료 3)
정제 카페인 100 - 50
녹차잎 - 100 50
2. 건조 분쇄
상기 표 1 에 기재된 비율로 균일하게 배합된 식물 원료를 충분히 건조시킨 뒤, 고르게 분쇄한다.
3. 미생물 접종
미리 배양된 미생물을 상기 분쇄된 식물 원료에 접종한다.
실시예 1 - 3 에 적용할 수 있는 미생물의 종류와 그 대표 균주는 표 2 와 같다.
표 2
미생물 종류 대표 균주
발효 작용을 가진 세균류 아세트산균 글루콘산·비타민 C 제조 등에 이용
유산균 공업용 유산·유제품·덱스트린 등의 제조에 이용
납두균 된장,청국장 제조에 이용
발효 작용을 가진 효모류 진정효모류 맥주 · 포도주 등 알코올 제조에 이용
접합효모류 간장 제조 또는 숙성에 이용
발효 작용을 가진 곰팡이류 코지곰팡이류 술의 양조·시트르산 제조 등에 이용
푸른곰팡이류 빵·떡·치즈·페니실린 제조 등에 이용
거미줄곰팡이류 탁주·고량주 등의 제조에 이용
카페인 대사 작 용을 가진 균류 Pseudomonas putida 카페인 대사 작용
Serratia marcescens 카페인 대사 작용
4. 미생물 발효
상기 표 2 의 미생물 중, 유산균을 이용하여 표 1 의 실시예 1-3 의 원료 1-3 을 발효시켰다.(표 3) 유산균을 원료에 5 %(v/w) 농도로 접종하고, 35 ∼ 40 ℃ 에서 혐기 조건에서 1 ∼ 2 일 정도 발효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표 2 의 미생물 중, 카페인 대사 균주인 Pseudomonas putida 의 경우, 균주를 원료에 5 %(v/w) 농도로 접종하고, 25 ~ 35 ℃ 에서 호기 조건에서 2 ~ 3 일 정도 발효하여 발효액을 제조한다.
미생물 발효는 대부분 상기 조건에서 행하여지며, 생산의 최적화를 위해 미생물 균주에 따라 4 ℃ 의 냉장조건에서 시행하는 저온 숙성 발효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 3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식물 원료 - 원료 1 원료 2 원료 3
미생물 균주 유산균 유산균 유산균 유산균
5. 동결 건조
발효 공정 완료 후, 상기 미생물을 0.2 um 의 와트만 종이 여과지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은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시켜 건조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4
다음과 같은 제조 공정을 거쳐 효소 처리 과정을 진행하였다.
1. 식물 원료 혼합
효소 처리에 사용되는 식물 원료를 상기 실시예 1 - 3 의 표 1 과 같이 배합한다.
2. 건조 분쇄
상기 표 1 에 기재된 비율로 균일하게 배합된 식물 원료를 충분히 건조시킨 뒤, 고르게 분쇄한다.
3. 효소 첨가
효소액을 상기 분쇄된 식물에 첨가한다.
효소 처리에 사용되는 효소는 카페인의 대사가 가능한 천연 효소인 동물의 간에서 분리한 CYP1A2 와 미생물에 존재하는 caffeine demethylase 를 사용한다.
4. 효소 반응
상기 효소액이 첨가된 분쇄된 원료를 30 ∼ 40 ℃ 의 온도에서 12 ∼ 24 시간 반응시킨다.
5. 동결 건조
반응이 완료된 효소액은 반응 온도를 높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후, 0.2 um 의 와트만 종이 여과지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과액은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시켜 건조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5
1. 유산균의 준비
식품공전에 고시된 배지 조건에 맞는 배양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20 - 25 ℃ 에서 24 - 72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에 필요한 유산균의 개체수를 확보한 후,
배양된 유산균의 균체만을 회수하여 발효 공정에 사용한다.
2. 1 차 발효용 배양액의 준비
탄소원이 제거된 배양액에 정제된 카페인을 혼합하여 1 차 대사용의 1 차 발효용 배양액을 준비한다.
3. 1 차 발효
상기 준비된 1 차 발효용 배양액에 유산균을 5 %(w/v)의 농도로 접종하여 혐기 조건에서 30 - 40 ℃ 의 온도에서 1 - 2 일간 발효시킨다.
상기 발효 조건은 카페인 대사 산물이 최적으로 생산되는 조건으로 유산균 종류에 따라 변동 가능하다.
유산균은 카페인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발효 과정을 일으키고, 이 카페인 발효 과정 중에 중간 대사 산물인 파라잔틴을 비롯한 카페인 대사 산물이 최대로 생산되는 조건으로 1 차 발효를 시킨다.
4. 2 차 발효용 원료 준비
2 차 발효에 사용되는 약용 식물은 카페인이 함유되어 지방 대사를 촉진하고 지방 감소 효과를 가지는 녹차, 마테차, 과라나 등이 사용되며,
충분히 건조하여 고르게 분쇄시킨 뒤,
상기 1 차 발효액에 상기 약용 식물 분말을 1 : 1 - 1/3 의 비율로 혼합하여, 혐기적 조건으로 30 - 40 ℃ 에서 1 - 2 일간 2 차 발효를 진행한다.
5. 발효물 여과
배양에 사용된 약용 식물 원료를 여과하고, 유산균의 개체수를 낮추어 대사 산물의 농도를 높이기 위한 과정으로,
2 차 발효 후, filter를 사용하여 발효물을 여과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실시예 5 에 의한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은 1, 2 차 발효 과정을 거쳐, 파라잔틴과 함께, 인체에 유익한 유산균의 대사 산물을 다량으로 포함하게 되는데,
1 차 발효 공정에서는 탄소원으로 카페인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로 카페인 분해와 파라잔틴의 대사가 활발히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1 차 발효 직후에 바로 이루어지는 2 차 발효 공정에서는 카페인 외 다른 탄소원으로 약용 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다. 유산균은 탄소원으로 카페인을 탄소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가 당류로 구성된 탄소원이 첨가될 경우, 카페인의 사용을 중지하고 당류로 이루어진 탄소원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2 차 발효 공정에서는 약용 식물을 첨가하여 유산균이 식물에 함유된 당류를 탄소원으로 사용하게 하여 카페인의 대사를 중지시키고, 약용 식물의 발효가 진행된다.
이렇게 2 차 발효를 거쳐 추출된 발효물은 지방대사를 촉진하는 파라잔틴을 비롯한 카페인 대사 산물과 식물의 대사 산물 및 유산균 등의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복용시, 식도와 위를 거쳐 소장에서 바로 흡수되어 내장과 복부 지방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항비만, 내장 지방 감소, 배변 증대, 유산균에 의한 유해물의 제거, 장관 내 유해균 증식 억제, 장운동 원활, 변비 해결, 혈행 개선 등의 효과를 갖게 된다.
제조예 1 - 5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 1 - 4 의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등과 함께, 화장품 제조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화장수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팩, 젤,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등의 여러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형 관리용 기능성 의류와 국소 부위 다이어트용 패치 등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부용 슬리밍 젤에 적용하여 제조한 예를 표 4 에 나타내었다.
표 4
원료 함량 (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추출물 비교예 1 5 - - - -
실시예 1 - 5 - - -
실시예 2 - - 5 - -
실시예 3 - - - 5 -
실시예 4 - - - - 5
디소디움 EDTA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 5 5 5 5
1,3 부틸렌글리콜 9 9 9 9 9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3 3 3 3 3
폴리사카라이드검-1 0.8 0.8 0.8 0.8 0.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20 20 20 20 20
에탄올 3 3 3 3 3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0.4 0.4 0.4 0.4 0.4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2 0.2 0.2 0.2 0.2
트리에탄올 아민 0.2 0.2 0.2 0.2 0.2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프로필 파라벤 0.1 0.1 0.1 0.1 0.1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제조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5 의 조성물을 경구용 제재에 적용한 예를 표 5 에 나타내었다.
표 5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5의 발효 물질 1~10
구연산 0.01~0.5
올리고당 1~10
정제수 100 까지
시험예 1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 1 - 4 에 따른 제조예 1 - 5 의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에 대한 관련 시험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슬리밍 시험
(1) 시험법
생산된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추출물의 복부 슬리밍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복부 비만이 있는 40 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4 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하루 2 회씩 상기 슬리밍 젤을 복부에 마사지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는 각 10 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각각 제조예 1 ∼ 5 를 적용하여 관찰하였다. 슬리밍 젤 사용 전, 사용 4 주 후 및 사용 8 주 후로 구분하여 8 주 동안의 복부 둘레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복부 둘레는 통계 처리하여 표 6 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CTKR2012008744-appb-T000001
(2) 시험 결과
상기 표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군으로 제조한 제조예 1 에서는 복부 둘레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추출물이 함유된 제조예 2 ∼ 5 에서는 사용 4 주와 8 주에서 사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복부 둘레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제 카페인만으로 발효된 제조예 2 가 가장 좋은 효능을 보였는데, 이는 추출물 자체가 카페인과 그 대사 산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며, 카페인이 함유된 녹차잎를 이용하여 발효하였을 경우에도 좋은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5 에 따른 제조예 6 의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에 대한 관련 시험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발효액의 효과 검증을 위한 동물 실험
(1) 실험 동물의 비만 유발
6 주령 된 쥐를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2 주간 고지방 사료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시킨다.
(2) 시료 경구 투여
비만 유발된 쥐 18 마리를 각 군당 임의로 6 마리씩 묶어 3 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유산균 배양액, 정제 카페인, 발효액을 2 주간 매일 3 회씩 경구 투여한다.
(3) 실험 동물의 몸무게 측정
매주 1 회씩 실험 동물의 몸무게의 변화를 측정하고, 시료 투여 전, 후 무게를 비교하여 몸무게 감소 정도 확인한다.
표 7
시료 섭취 전 체중 시료 섭취 후 체중 체중 증가율(%)
유산균 배양액 32.95 36.45 10.6*
정제 카페인 34.12 35.68 4.6*
발효액 33.62 32.18 -4.2*
* p < 0.05
상기 표 7 에서와 같이, 유산균 배양액을 섭취한 쥐는 체중이 10.8% 증가하였으며, 정제 카페인을 섭취한 쥐는 4.6%의 증가로 증가율이 유산균 배양액을 섭취한 쥐에 비해 감소하였다.
발효액을 섭취한 쥐는 - 4.2 % 의 증가율로 체중이 섭취전에 비해 감소하였다. 사료 섭취량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복부 및 내장 지방의 측정
실험 동물의 복부와 내장에 존재하는 피하지방, 복막후 지방, 장간막 지방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복부 지방은 피하 지망과 복강내 지방으로 나뉘며, 복강내 지방은 다시 내장지방과 복막후 지방으로 나뉜다. 장간막 지방은 장과 장 사이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는 장간막에 침착된 지방이다.
이 3 부분의 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여 복부와 내장에 침착된 지방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표 8 과 같다.
표 8
유산균 배양액 정제 카페인 발효액
피하지방 1.03 0.88 0.69
복막후 지방 1.42 1.34 1.19
장간막 지방 1.57 1.48 1.25
3 종의 시료를 섭취한 쥐 중, 발효액을 섭취한 쥐들의 피하 지방, 복막후 지방, 장간막 지방이 가장 적은 무게를 보였기 때문에 발효액이 복부 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은 지방 세포의 감소, 복부 및 내장 지방 감소, 지방 대사 촉진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다이어트를 위한 피하 지방 제거용 외용제나 복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정제된 카페인 또는 카페인이 함유된 녹차잎의 유산균에 의한 미생물 발효 또는 CYP1A2, caffeine demethylase 에 의한 효소 처리 추출물로 파라잔틴을 포함한 카페인 대사 산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 대사 산물은 파라잔틴,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잔틴, 7-메틸잔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에 의한 미생물 발효 또는 CYP1A2, caffeine demethylase 에 의한 효소 처리 추출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팩, 젤,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에 의한 미생물 발효 또는 CYP1A2, caffeine demethylase 에 의한 효소 처리 추출물은 다이어트용 기능성 의류, 다이어트용 패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5. 탄소원이 제거된 배양액에 정제된 카페인을 혼합한 1차 대사용 배양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1차 발효시킨 뒤,
    상기 1차 발효액에 카페인이 함유된 녹차를 다시 혼합하여 2차 발효시켜, 파라잔틴이 대량 포함된 2차 발효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PCT/KR2012/008744 2012-10-24 2012-10-24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WO20140654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77948.6A CN104968326A (zh) 2012-10-24 2012-10-24 以咖啡因和副黄嘌呤来分解脂肪的瘦身组合物
PCT/KR2012/008744 WO2014065446A1 (ko) 2012-10-24 2012-10-24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KR1020157017034A KR20150100699A (ko) 2012-10-24 2012-10-24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8744 WO2014065446A1 (ko) 2012-10-24 2012-10-24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446A1 true WO2014065446A1 (ko) 2014-05-01

Family

ID=5054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8744 WO2014065446A1 (ko) 2012-10-24 2012-10-24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100699A (ko)
CN (1) CN104968326A (ko)
WO (1) WO20140654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1094A1 (en) * 2020-01-23 2021-07-29 Ingenious Ingredients, LP Paraxanthine-based bioac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22204180A1 (en) * 2021-03-22 2022-09-29 Ingenious Ingredients, LP Paraxanthine-based compositions for promoting weight loss
US20230113817A1 (en) * 2021-10-12 2023-04-13 Ingenious Ingredients, LP Dileu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fat lo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0263A (zh) * 2017-01-19 2017-06-20 长沙协浩吉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酵素抗衰老眼霜的配制方法
KR102173192B1 (ko) 2020-03-11 2020-11-03 이정음 내구성이 향상된 패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90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6881A (ko) * 2008-06-05 2009-12-09 (주)아모레퍼시픽 카페인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첩부제
US20090325984A1 (en) * 2006-06-12 2009-12-31 Pierre Fabre Medicament Use of 1,7-dimethylxanthine for the manufacture of a non-anxiogenic psychoanaleptic drug for the treatment of a neuropsychiatric disorder
KR101105542B1 (ko) * 2010-12-10 2012-01-13 이경록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90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US20090325984A1 (en) * 2006-06-12 2009-12-31 Pierre Fabre Medicament Use of 1,7-dimethylxanthine for the manufacture of a non-anxiogenic psychoanaleptic drug for the treatment of a neuropsychiatric disorder
KR20090126881A (ko) * 2008-06-05 2009-12-09 (주)아모레퍼시픽 카페인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첩부제
KR101105542B1 (ko) * 2010-12-10 2012-01-13 이경록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KABAYASHI, H. ET AL.: "Inhibitory effects of caffeine and its metabolites on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murine 3T3-L1 adipocytes", BIOFACTORS, vol. 34, no. 4, 2008, pages 293 - 302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1094A1 (en) * 2020-01-23 2021-07-29 Ingenious Ingredients, LP Paraxanthine-based bioac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22204180A1 (en) * 2021-03-22 2022-09-29 Ingenious Ingredients, LP Paraxanthine-based compositions for promoting weight loss
US20230113817A1 (en) * 2021-10-12 2023-04-13 Ingenious Ingredients, LP Dileu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fat loss
WO2023064425A1 (en) * 2021-10-12 2023-04-20 Ingenious Ingredients, LP Dileu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fat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68326A (zh) 2015-10-07
KR20150100699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5446A1 (ko) 카페인과 파라잔틴에 의한 지방 분해 슬리밍 조성물
KR20120061733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26855A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1059292A2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WO2020116962A1 (ko) 작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61632A1 (ko) 신규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균주 eb-fpdk11 및 그의 용도
WO2022260454A1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노화 방지용 조성물
WO2020218720A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8043874A1 (ko)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9160365A1 (ko) 효모를 이용하여 이취가 개선된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71630A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6072655A1 (ko)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4048934A1 (ko) 체지방 감소용 신규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란타룸 sko-001 및 이의 용도
WO2017138788A1 (ko) 청국장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와 천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균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6724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1074765A2 (ko) 한약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092523A1 (ko) 중대가리풀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자가면역 질환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158641A1 (ko) 신규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WO2015152653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071159A1 (ko) 서목태의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혈압강하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21261631A1 (ko) 신규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eb-fpdk9 균주 및 그의 용도
WO2020055171A1 (ko)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42098A1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71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7017034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71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