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05738A1 -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05738A1
WO2012105738A1 PCT/KR2011/005935 KR2011005935W WO2012105738A1 WO 2012105738 A1 WO2012105738 A1 WO 2012105738A1 KR 2011005935 W KR2011005935 W KR 2011005935W WO 2012105738 A1 WO2012105738 A1 WO 20121057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joystick
user
adsorp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9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미옥
손창환
김영섭
Original Assignee
Yu Mi Ok
Son Chang Hwan
Kim Yeong Seop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u Mi Ok, Son Chang Hwan, Kim Yeong Seop filed Critical Yu Mi Ok
Publication of WO20121057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057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stick for distinguishing a user's operating strength. More specifically, a part of the conductor included in the joystick is mounted with a joystick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user tilts the joystick (that is, operating strength). A joystick for allowing the user's manipulation intensity to be reflected in the control of the content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different areas of the plate.
  • the joystick is one of the input devices of the computer, and may be used to input desired dire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o control a video game.
  • the joystick is specifically, various characters or other various game contents appearing on the monitor. It has been loved as a kind of auxiliary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bjects, etc. By using this joystick, users can enjoy content more easily through the easy direction switching based on the intuitive interface.
  • the joystick is advantageous in inputting a direction or a curved pattern in shape, but since it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intensity of operation by the user, there is a limit in enjoying the content realistically.
  • the conventional joystick that provides only a simple direction or curved pattern input to the player who executes the game is becoming less popular in the history of the game because the accuracy of the input is less than that of a mouse or a computer keyboard. It wa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the user tilts the gripping portion of the joystick more than a certain angle through the change in the conductor structure of the joystick to the electrical signal to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ystick capable of differently controlling the speed of movement of an object in content controlled by the joystick.
  • a first conducto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ping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when gripped by the user and the gripping surface
  • a holding part including a second conductor extending toward the touch plate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with the first conductor on the upper surface, and in the default state, an outer circumference portion is adsorbed on the touch plate and a center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late to form a space
  • a suction part having a third conductor radially formed from a center of the formed space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when at least a part of the grip part is removed from the default state by the user.
  • Mechanically connected between the gripper and the suction unit And comprising: a fourth conductor and the fourth conductor is a joystick that includes a top support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bottom is connected with the third conductor is provided.
  • Using the joystick for distinguishing the user's operation inten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the angle of inclination (that is, the intensity) so that the speed of the object in the content can be adjusted to diversify the functions of the joystick and the user's curiosity Stimulation is extremely effective in increasing participation.
  • FIG. 1 is an external view of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ystick of FIG. 1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joystick of FIG. 1 is tilt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area where the adsorption unit contacts the touch plat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when a force for tilting the gripping portion is applied by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joy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used.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joystick 100 for distinguishing and transmitting an input of various strengths of a user through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oystick 100 may be configured as a grip part 110, a support part 120, and an adsorption part 130.
  • the gripp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for example, a spherical shape.
  • the gripping portion 110 may have a sphe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within a rang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Can be.
  • the support 120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1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ortion 130, the holding portion 110 and the absorption portion 130 May be mechanically connected, and specifically, may serve to mechanically support the gripper 110.
  • the area of the interface where the supporter 120 is connected to the gripper 110 may be a gripper 11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 the adsorption part 130 may be fixed to a part of the touch plate 300 to be described below, and may be fixed to the touch plate 300. It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part wher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ouch plate 300) that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touch plate 300.
  • a central portion part wher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ouch plate 300
  • FIG. 1 Fo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an adsorption portion 130 is shown in FI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 FIG. 2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ystick 100 shown in FIG. 1.
  • the first conductor 210 may be hermetically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per 1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 the first conductor 210 may be held by the gripper 110. It may be distribut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or may be distributed on all parts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However, in FIG. 2, only the surface of the upper hemisphere portion 110a of the gripping part 110 is the first conductor 210.
  • the conductor is a material which is easy to conduct electricity due to it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 metal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second conductor extending inside the gripper 110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er 120 is positioned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late 300 is positioned) through the gripper 110. It can be seen that 220 is located. Specifically, the second conductor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210 and the fourth conductor 240 included in the support 120 to electrically connect them. You can perform the function of connecting.
  • the fourth conductor 240 penetrates the support 12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sorption plate 300 is positioned.
  • the fourth conductor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nductor 220 and the third conductor 230 formed in the adsorption unit 130 to electrically connect them. Note that the four conductors are distinguish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need not necessaril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0046]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hird conductor 2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 the adsorption unit 130 may be fixed to the touch plate 300.
  • the adsorption unit 130 may be in a default state (that is, a user manipulates the joystick 100).
  • a default state that is, a user manipulates the joystick 100.
  •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130b may be included.
  •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30a of the adsorption portion 130 and the touch plate 300 is formed in a radial shape not contacted with the touch plate 300 in a default state.
  • the third conductor 230 is included.
  • the third conductor 230 branches from one end of the fourth conductor 240 to the inner sidewall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130a of the adsorption part 130 as shown in FIG. 2.
  • the third conductor 230 may be branched from one end of the fourth conductor 240. It may be configured as a simple straight line up to a portion fixed to the inner side wall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130a of the adsorption portion 130, and when divided from one end of the fourth conductor 24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ranches and the central portion 130a 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radially symmetrical petaloid (not shown) coupled to the inner sidewall portion.
  • the at least part of the third conductor 230 may contact the touch plate 300.
  •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uch plate 300.
  • FIG.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joystick 100 when the user tilts the gripper 110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late 300 is increased near the right direction than in the default state as shown in FIG. 2, whereby the third conductor 230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touch plate 300.
  • the center vertical axis of the joystick 100 becomes larger than the default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e area on the touch plate 300 to which the third conductor 230 is in contact with is closer to the area closer to the center vertical axis. In this way,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may be transmitt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area on the touch plate 300 to which the third conductor 230 is in contact. As will be described below.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pane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uch plate 300 is a contact area 300a, which is an area that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130b of the adsorption part 130 in a default state, and a central portion 130a of the adsorption part 130 in a default state.
  • the sensitive area of the touch panel 300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virtual zones, the first zone 310 and the second zone 320, which are in a default state.
  • the case in which the sensitive region of the touch panel 300 is divided into two virtual zones is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touch panel 300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virtual zones.
  • the three conductors 230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first zone 310 (more specifically, of the first zone 310 located in and around the specific direc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zone 310). Some areas are in contact).
  • the third conductor 230 of the suction unit 130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econd zone 320 ( More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second zone 320 located in the specific direction and in the vicinity of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zone 32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zone 320 and the first zone ( 310 may be in contact at the same time, or only the second zone 320 may be in contact.
  • the gripping portion 110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or more), the holding portion 110 ) Is a concept including the meaning that the force is inclined below (or above) a certain angle by applying a force below (or above) a certain intensity, and the angle and intensity are mutually different. It is clear that the concep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area where the adsorption unit 130 contacts the touch plate 30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when a force for tilting the gripping unit 110 by the user is applied.
  • the hatched area corresponds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dsorption part 130 and the touch plate 300.
  • the gripping part 110 is inclined at different intensities in the 12 o'clock direction.
  • the left figure shows an adsorption part 130 without a joystick operation (ie, a default state).
  • the middle figure shows a contact surface (hatched portion) wider at 6 o'clock and 6 o'clock.
  • Zone 320 is being touched .
  • Objects within the content controlled by the gripper 110 may be moved at or below a predetermined speed, and when a portion of the third conductor 230 contacts the second zone 320.
  • An object in the content controlled by the gripper 110 may be moved at a speed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ed.
  • the object may be moved. It may be supported by some program code to adjust the speed of the object and the like.
  • 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ystick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oystick 600 has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joystick 100 of FIG. 2 except for the third conductor 230a.
  • the entire third conductor 230a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wall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130a of the adsorption part 130.
  • the gripping part 110 when the user tilts the gripping part 110, the area where the adsorption part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uch plate 300 is enlarged, thereby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idewall of the central portion 130a of the adsorption part 130.
  • the area where the third conductor 230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uch plate 300 may be enlarged. Since such a mechanism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joystick 100 is attached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sorption unit 130 of the joystick 100 is attached to the touch screen 700 of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 the touch screen 700 of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may be out of power.
  •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er 110 through the first to fourth conductors.
  •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dsorption part 130 may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touch plate 300.
  • the content object controlled by the gripper 110 may be a character in a g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bject may include all objects capable of adjusting variables such as speed.
  •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n the content controlled by the gripper 110 moves may also be in a specific direction and its vicinity. Of course.
  • the adsorption unit 1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xcept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onductor 230, so that the user touches with the adsorption unit 130 when the user grips the holding unit 110 and tilts the predetermined angle or more.
  • the contact area of the plate 300 may be incre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은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기울이는 각도(즉, 강도)에 대응되도록 하여 컨텐츠 내의 객체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바 조이스틱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참여도를 극도로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에 관한 것이다.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기울이는 각도(즉, 조작하는 강도)에 따라 조이스틱에 포함된 도체의 일부분이 조이스틱이 장착되어 있는 터치판의 상이한 구역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강도가 컨텐츠의 제어에 그대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조이스틱에 관한 것이다.
조이스틱은 컴퓨터의 입력 장치 중 하나로서, 원하는 방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가령 비디오 게임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조이스틱은 모니터 상에 등장하는 각종의 캐릭터나 기타 각종 게임 컨텐츠의 객체 등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데에 사용하기 위한 일종의 보조 기구로서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이러한 조이스틱을 사용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한 보다 쉬운 방향 전환 등을 통하여 보다 편하게 컨텐츠를 즐길 수 있었다.
그러나, 조이스틱은 그 형태상 방향이나 곡선형의 패턴 입력에는 유리하지만 사용자에 의한 조작 강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므로 컨텐츠를 현실감 있게 즐기는데에는 한계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었다.
또한, 이와 같이 게임을 실행하는 플레이어에게 단순 방향이나 곡선형의 패턴 입력만을 제공하는 종래의 조이스틱은 마우스나 컴퓨터 키보드에 견주어 보면 입력의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게임의 역사에서 점점 그 인기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조작 강도를 컨텐츠 제어에 반영하는 방법 중 일례로서는 조이스틱 대신에 소정 버튼을 사용자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누르는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가 제어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이마저도 사용자의 과도한 체력소모, 근육의 당김 등을 초래하는바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와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게임의 형태와 진행 방법이 점점 복잡해지고 컴퓨터 입력 장치의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이스틱의 직관적 인터페이스와 곡선 입력의 용이성이라는 장점을 가지면서도 사용자에 의한 조이스틱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고 이를 컨텐츠 내의 객체의 움직임에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조이스틱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이스틱의 파지부를 일정 각도 이상 기울였을 때 조이스틱의 도체 구조의 변화를 통해 터치판의 특정 영역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조이스틱에 의해 조종되는 컨텐츠 내의 객체의 움직임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이스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때 상기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적어도 일부분의 파지면 상에 제1 도체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 상의 제1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터치판을 향해 뻗어 있는 제2 도체를 포함하고 있는 파지부, 디폴트 상태에서 외주부가 상기 터치판에 흡착되어 있고 중심부가 상기 터치판과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디폴트 상태로부터 벗어날 때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터치판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3 도체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착부, 상기 파지부와 상기 흡착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파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를 기구적으로 연결하고 제4 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도체는 상부로는 상기 제2 도체와 연결되어 있고 하부로는 상기 제3 도체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을 사용하면 기울이는 각도(즉, 강도)에 대응되도록 하여 컨텐츠 내의 객체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바 조이스틱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참여도를 극도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의 외부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조이스틱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조이스틱을 오른쪽으로 기울인 경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파지부를 기울이는 힘이 가해질 때 힘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가 터치판에 접촉되는 면적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을 외부 단말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이스틱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강도의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이를 구별하여 전달하기 위한 조이스틱(100)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100)은 파지부(110), 지지부(120) 및 흡착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10)는 가령 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범위의 외경을 갖는 구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0)는 파지부(110)의 하부와 흡착부(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파지부(110)와 흡착부(130)를 기구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파지부(110)를 기구적으로 지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지지부(120)가 파지부(110)와 연결되는 경계면의 면적은 파지부(110)의 최대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130)는 후술할 터치판(300)의 일부 영역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터치판(300)에 밀착되는 외주부와 터치판(300)에 밀착되지 않는 중심부(터치판(300)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이와 같은 흡착부(13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등을 참조로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조이스틱(100)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파지부(110)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적어도 일부분에 제1 도체(210)가 포진하고 있을 수 있다.제1 도체(210)는 파지부(110)의 표면 중 일부에 분포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모든 부분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다만, 도 2에서는 파지부(110)의 상반구 부분(110a)의 표면에만 제1 도체(210)가 포진하고 있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여기서 도체는 전기 도전율이 높아서 전기를 통하기 쉬운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율이 일정 수치 이상의 물질이라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파지부(110)의 내부에는 파지부(110)를 관통하여 지지부(120)가 위치하는 방향(즉, 흡착판(30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도체(220)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구체적으로, 제2 도체(220)는 제1 도체(210)와 지지부(120)에 포함되어 있는 제4 도체(240)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20)의 내부에는 지지부(120)를 관통하여 흡착판(30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4 도체(240)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구체적으로, 제4 도체(240)는 제2 도체(220)와 흡착부(130)에 형성된 제3 도체(2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여기서, 제1 내지 제4 도체는 설명의 편의상 구별하고 있지만 반드시 구별되어 존재할 필요는 없음을 밝혀둔다.한편, 제3 도체(230)의 특이한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흡착부(130)는 적어도 일부분이 터치판(30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또한, 흡착부(130)는 디폴트 상태(즉, 사용자가 조이스틱(100)을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판(300)에 접촉되어 있을 때 터치판(30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중심부(130a)와 터치판(300)과 접촉되어 밀착되는 부분인 외주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흡착부(130)의 중심부(130a)와 터치판(300)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는 디폴트 상태에서 터치판(300)과 접촉되지 않는 방사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도체(230)가 포함되어 있다.제3 도체(230)는 도 2에서와 같이 제4 도체(240)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어 흡착부(130)의 중심부(130a)의 내부 측벽 부분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이때, 제3 도체(230)는 제4 도체(240)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는 부분부터 흡착부(130)의 중심부(130a)의 내부 측벽 부분에 고정되는 부분까지 단순한 직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4 도체(240)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될 때 둘 이상의 갈래로 나뉜 후 상기 중심부(130a)의 내부 측벽 부분에서 결합되는 방사대칭형의 꽃잎 구조 형태(petaloid)로 구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여기서, 사용자가 파지부(110)를 파지하여 조이스틱(100)의 중심 수직축이 디폴트 상태에서 일정 각도 이상 벗어나도록 움직이면 제3 도체(230)의 적어도 일부분이 터치판(300)에 접촉할 수 있으며, 터치판(300)과의 접촉된 부분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파지부(110)를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였을 때의 조이스틱(100)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흡착부(130)의 일부는 도 2와 같은 디폴트 상태일 때보다 오른쪽 방향 부근에서 터치판(300)과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제3 도체(230)가 터치판(300)의 일부 영역과 접촉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이스틱(100)의 중심 수직축이 디폴트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가 커지면 제3 도체(230)가 접촉되는 터치판(300) 상의 영역이 상기 중심 수직축에 보다 근접한 영역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3 도체(230)가 접촉되는 터치판(300) 상의 영역이 어떠한 위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판(3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터치판(300)은 디폴트 상태에서 흡착부(130)의 외주부(130b)에 접촉하는 영역인 접촉 영역(300a)과 디폴트 상태에서 흡착부(130)의 중심부(130a)에 대응되는 감응 영역(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터치판(300)의 감응 영역은 디폴트 상태에서 두 개 이상의 가상 구역인 제1 구역(310) 및 제2 구역(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참고로, 도 4에서는 터치판(300)의 감응 영역이 두 개의 가상 구역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세 개 이상의 가상 구역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제2 구역(320)이 제1 구역(310)보다 중심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파지부(110)가 특정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하로 기울여지면 흡착부(130)의 제3 도체(230)가 제1 구역(310)의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구역(310)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특정 방향 및 그 근방에 위치하는 제1 구역(310)의 일부 영역이 접촉됨).
또한, 도 4를 참조로 하면, 파지부(110)가 특정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여지면 흡착부(130)의 제3 도체(230)가 제2 구역(320)의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구역(320)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특정 방향 및 그 근방에 위치하는 제2 구역(320)의 일부 영역이 접촉됨).이때, 제2 구역(320)과 제1 구역(310)이 동시에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2 구역(320)만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참고로, 파지부(110)가 일정 각도 이하(또는 이상)로 기울여진다는 의미는 파지부(110)에 일정 강도(intensity) 이하(또는 이상)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일정 각도(angle) 이하(또는 이상)로 기울여진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각도(angle)와 강도(intensity)는 서로 대응될 수 개념인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부(110)를 기울이는 힘이 가해질 때 힘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130)가 터치판(300)에 접촉되는 면적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참고로, 도면에서 빗금친 영역이 흡착부(130)와 터치판(300)의 접촉 영역에 해당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지부(110)가 12시 방향으로 각기 다른 강도로 기울여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구체적으로, 왼쪽 도면은 조이스틱 조작이 없는 상태(즉, 디폴트 상태)의 흡착부(130)와 터치판(300)의 접촉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중간 도면은 조이스틱이 12시 방향으로 약하게 꺾였을 때의 흡착부(130)와 터치판(300)의 접촉 상태의 예를 나타내며, 오른쪽 도면은 12시 방향으로 강하게 꺾였을 때의 흡착부(130)와 터치판(300)의 접촉 상태의 예를 나타낸다.보다 구체적으로, 중간 도면은 12시 방향으로 접촉면(빗금 부분)이 넓어지고 6시 방향으로 원의 중심이 이동하여 제1 구역(310)이 터치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오른쪽 도면은 12시 방향으로 접촉면(빗금 부분)이 보다 넓어지고 6시 방향으로 원의 중심이 보다 이동하여 제2 구역(320)이 터치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흡착부(130)에 포함된 제3 도체(230)의 일부분이 터치판(300)의 제1 구역(310)에 접촉할 때(제2 구역(320)이 함께 접촉되는 경우를 제외함) 파지부(110)에 의해 조종되는 컨텐츠 내의 객체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제3 도체(230)의 일부분이 제2 구역(320)에 접촉할 때 파지부(110)에 의해 조종되는 컨텐츠 내의 객체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여기서, 이와 같이 제3 도체(230)가 터치판(300)의 어느 영역에 접촉되었는지에 따라 컨텐츠 내의 객체의 속도 등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의 지원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600)의 수직단면도이다.도 6을 참조하면, 조이스틱(600)은 제3 도체(230a)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도 2의 조이스틱(100)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도 6을 참조하면, 제3 도체(230a) 전체가 흡착부(130)의 중심부(130a)의 내부 측벽 부분에 밀착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부(110)를 기울일 때 흡착부(130)가 터치판(300)과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흡착부(130)의 중심부(130a)의 내부 측벽에 밀착된 제3 도체(230a)가 터치판(300)과 접촉되는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이와 같은 메커니즘은 앞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100)을 외부 단말 장치(700)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이스틱(100)의 흡착부(130)가 외부 단말 장치의 터치스크린(700)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이때, 상기 외부 단말 장치의 터치스크린(7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사용자가 파지부(110)를 파지할 때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제1 내지 제4 도체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외부 단말 장치의 터치스크린(700) 영역 중 흡착부(130)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터치판(300)의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파지부(110)에 의해 조종되는 컨텐츠 객체는 게임 상의 캐릭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속도 등의 변수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든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이때, 이동하는 객체는 제3 도체(230)의 일부분이 터치판(300)의 특정 방향에 접촉될 때, 파지부(110)에 의해 조종되는 컨텐츠 내의 객체가 이동하는 방향 역시 특정 방향 및 그 근방이 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흡착부(130)는 제3 도체(230) 부분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일부를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부(110)를 파지하여 일정 각도 이상 기울일 때 흡착부(130)와 터치판(300)의 접촉된 면적이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때 상기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적어도 일부분의 파지면 상에 제1 도체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 상의 제1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터치판을 향해 뻗어 있는 제2 도체를 포함하고 있는 파지부,
    디폴트 상태에서 외주부가 상기 터치판에 흡착되어 있고 중심부가 상기 터치판과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디폴트 상태로부터 벗어날 때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터치판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3 도체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착부,
    상기 파지부와 상기 흡착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파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를 기구적으로 연결하고 제4 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도체는 상부로는 상기 제2 도체와 연결되어 있고 하부로는 상기 제3 도체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흡착부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판의 영역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상 구역(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구역이 상기 제1 구역보다 중심에 존재할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특정 방향으로 기설정된 강도 이하로 기울어지면 상기 특정 방향 및 그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구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3 도체의 일부분과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상기 기설정된 강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특정 방향 및 그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구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3 도체의 일부분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3 도체의 일부분과 접촉되면, 상기 파지부에 의해 조종되는 컨텐츠 내의 객체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구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3 도체의 일부분과 접촉되면, 상기 파지부에 의해 조종되는 상기 컨텐츠 내의 객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며, 그 중 상반구면이 상기 제1 도체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흡착부와 상기 터치판의 접촉된 면적이 상기 특정 방향 부근에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이스틱의 중심 수직축이 상기 디폴트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가 커지면 상기 제3 도체가 접촉되는 상기 터치판 상의 영역이 상기 중심 수직축에 보다 근접한 영역으로까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판은 외부 단말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체의 일단은 상기 제4 도체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제3 도체의 타단은 상기 흡착부의 중심부의 내부 측벽의 특정 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체의 전 구간은 상기 흡착부의 중심부의 내부 측벽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체의 일단과 상기 제3 도체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3 도체는 단순한 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체의 일단과 상기 제3 도체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3 도체는 상기 제4 도체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될 때 둘 이상의 갈래로 나뉜 후 상기 흡착부의 중심부의 내부 측벽의 상기 특정 부분에서 결합되는 꽃잎 구조 형태(petaloi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PCT/KR2011/005935 2011-02-01 2011-08-12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WO201210573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09A KR101034743B1 (ko) 2011-02-01 2011-02-01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KR10-2011-0010209 2011-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5738A1 true WO2012105738A1 (ko) 2012-08-09

Family

ID=4436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935 WO2012105738A1 (ko) 2011-02-01 2011-08-12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4743B1 (ko)
WO (1) WO20121057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997A1 (en) * 2018-10-05 2020-04-09 Razer (Asia-Pacific) Pte. Ltd. Joystick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48B1 (ko) 2012-03-06 2013-07-22 이재혁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KR101353296B1 (ko) 2012-08-14 2014-01-24 에이디반도체(주) 디지털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H709255A2 (de) * 2014-02-14 2015-08-14 Michael Adam Bedienerschnittstelle für einen Touchscre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650U (ko) * 1998-06-29 2000-01-25 윤종용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이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JP2000501206A (ja) * 1995-06-20 2000-02-02 ジバ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量結合多軸データ入力装置及び方法
KR20050062362A (ko) * 2004-11-02 2005-06-23 박종진 휴대폰용 조이스틱 악세서리
KR20100003996A (ko) * 2008-07-02 2010-01-12 김연수 3차원 마우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176A (ja) 2000-02-23 2001-08-31 Kazuto Matsuoka アキュポイント(登録商標)を組み込んだハンディーマウス
US8004496B2 (en) * 2002-01-08 2011-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laying of long sorted lis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206A (ja) * 1995-06-20 2000-02-02 ジバ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量結合多軸データ入力装置及び方法
KR20000001650U (ko) * 1998-06-29 2000-01-25 윤종용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이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KR20050062362A (ko) * 2004-11-02 2005-06-23 박종진 휴대폰용 조이스틱 악세서리
KR20100003996A (ko) * 2008-07-02 2010-01-12 김연수 3차원 마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997A1 (en) * 2018-10-05 2020-04-09 Razer (Asia-Pacific) Pte. Ltd. Joystick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3168241A (zh) * 2018-10-05 2021-07-23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操纵杆装置及其制造方法
CN113168241B (zh) * 2018-10-05 2022-05-03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操纵杆装置及其制造方法
US11833416B2 (en) 2018-10-05 2023-12-05 Razer (Asia-Pacific) Pte. Ltd. Joystick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743B1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86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output electrostatic haptic effects
WO2012105738A1 (ko)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JP4829856B2 (ja) 入力制御装置を有する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
US9411467B2 (en) Actionable-object controller and data-entry device for touchscreen-based electronics
US20090048021A1 (en) Inertia sensing input controller and receiver and interactive system using thereof
WO2016208930A1 (ko) 모바일 게임을 위한 자동 조준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68209A1 (en)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
CN101620474A (zh) 电脑系统的动作感应输入装置
EP2813090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control device
WO2022139210A1 (ko) 입력장치
CN207532765U (zh) 手机用游戏手柄
TWI599389B (zh) 結合人體手勢辨識及骨架追蹤之虛擬人物控制系統
WO2023085687A1 (ko) 입력장치
US11925856B2 (en) Controller with removable modular input control and expansion interface
CN113918027B (zh) 手势指套控制方法、手势指套、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116561B1 (ko)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용 조이스틱
WO2015129984A1 (ko) 게임 조정장치
GB2615093A (en)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0008152A2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WO2010147438A2 (ko) 이지키 방식 손 착용형 게임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시스템과 그 게임방법
CN209885210U (zh) 操控组件以及操控系统
KR102619427B1 (ko)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장치
CN1146461C (zh) 外部操作装置及娱乐系统
CN113423479A (zh) 人体工程学游戏控制器和系统
WO2021070770A1 (ja) コントローラを使用したゲー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57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57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