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49328A2 - 고무 장갑 - Google Patents

고무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49328A2
WO2011049328A2 PCT/KR2010/007070 KR2010007070W WO2011049328A2 WO 2011049328 A2 WO2011049328 A2 WO 2011049328A2 KR 2010007070 W KR2010007070 W KR 2010007070W WO 2011049328 A2 WO2011049328 A2 WO 201104932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ubber gloves
rubber
support
rubber glove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70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49328A3 (ko
Inventor
정인상
Original Assignee
Jung In Sa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ung In Sang filed Critical Jung In Sang
Priority to JP2012600042U priority Critical patent/JP3182864U/ja
Publication of WO201104932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49328A2/ko
Publication of WO201104932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4932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58Three-dimensional gloves
    • A41D19/0062Three-dimensional gloves made of one layer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bber glove, and relates to a rubber glove that is naturally dried by allowing the rubber glove to be stored in an upright state without a separate mounting means.
  • rubber gloves ar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has a waterproof function to block a liquid such as water. Therefore, when washing dishes in a kitchen or a restaurant or using a water to wash a specific object, the hand is prevented from getting wet and wears rubber gloves to protect the user's hand.
  • moisture may be generated inside the rubber gloves due to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rubber gloves or sweat generated from the skin of the human body.
  • odor is generated inside the rubber gloves, causing discomfort, or harmful bacteria such as bacterial bacteria are inhabited, causing skin diseases on the human body.
  • the rubber gloves should be mounted to dry the inside of the rubber gloves, and the conventional rubber gloves are made of a flexible rubber material, and it is difficult to dry them with the rubber gloves upright. In particular, rubber gloves alone could not be left standing on the floor and dried.
  • the rubber gloves are turned upside down and dried.
  • the process of inverting the rubber gloves is very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ssle has to be used after turning the rubber gloves upside down and drying again.
  • the rubber gloves are inconvenient, such as the user's fingers are inserted at the same time the user is not turned upside down, the user flips over or blows the rubber gloves.
  • the rubber gloves may be mounted and dried in various ways, such as clothespins to be hung and suspended, or to be folded or mounted on a rod or chair, or to be mounted on a drying rack provided with a hook mean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bber glove that can be dried in a state in which the rubber glove is standing on the bottom surface only by the rubber glove itself without a separate mounting mean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bber glove to allow ventilation to be made more smoothly in a state in which the rubber glove is uprigh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bber glov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 can withstand the load of the rubber glove, so that the rubber glove is standing on the floor.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rubber glove so that the rubber glove is not folded,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rubber glove is upright maintain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ubber glove that can be made more firmly upright rubber glov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bber glove such that the rubber glove is not bent and is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rubber glo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gloves can be dried in a standing state by the support means.
  •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low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s,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s.
  •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let or outlet is provided with a vent.
  • the lowe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b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rubber glov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oft material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gloves.
  • the uppe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bber glov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oft material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gloves.
  •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portion extending to the rubber gloves is further formed.
  •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reak is further formed to shorten the extended length of the upper suppo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pporting means of FIG. 1 from another direc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extended to the cuff of the rubber gloves.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ubber gloves.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fractur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of Figure 1 from another direction.
  • the support means 10 is formed on the rubber gloves 100 so that the rubber gloves can be dried in a state in which the rubber gloves are erected only at the bottom surface. To indicate.
  • each portion of the conventional rubber gloves 100, the insertion hole 101 for the user to insert the hand, palm, back of the hand, the hand 102 is to be inserted into the finger, Cuff part 10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ff of the human bod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 102, and the lower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uff 103 to the insertion hole 101 is inserted into the cuff of the human body ( 104).
  • the support means 10 the lower support portion 11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 100, the lower arm portion 104 and the cuff portion 103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 100 ) And an upper support 12 supporting the hand 102.
  • the support means 10 may be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rubber gloves 100.
  • the lower arm 104 is not formed in the conventional rubber glove 100, and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upper support part 12 are formed to support only the cuff part 103 and the hand 102 whe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are short. It is preferable.
  • the lower support part 11 is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s 100 to have a thickness (T) thick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rubber gloves 100, in the state where the rubber gloves 100 are standing
  • T thickness
  • t thickness
  •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 100 is not easily folded by the load of the rubber glove 100.
  • the lower support part 11 is thickly formed under the rubber glove 100, the lower part of the rubber glove 100 is torn even after frequent contact or pulling to wear or detach the rubber glove 100. Do not lose.
  • the lower support portion 11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s 100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insertion hole 101 of the rubber gloves 100.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 100 is able to support the hand 102, the cuff 103 and the lower arm 104 of the rubber glove 100 without being folded or sitting down.
  • the lower support portion 11 is more preferably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as not to inconvenience the use of the rubber gloves 100. Therefore, the lower support part 11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ubber glove 10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rubber glove 100, or is preferably formed by attaching silicon, synthetic resin material, or fiber material.
  • the upper support part 12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1 thick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rubber glove 100, like the lower support part 11, and includes a hand par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 100. 102, the cuffs 103 and the lower arm 104 is not to be easily folded so that the rubber gloves 100 to stand, and the state that the rubber gloves 100 upright can be maintained.
  • the upper support portion 12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bber gloves 10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11). At this time, the upper support portion 12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a plurality in the form of a line having a thickness, so as not to cause inconvenienc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rubber gloves 100.
  • the upper support 12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orm of a strip or have a thickness and width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 the upper support 12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rubber glove 100 is formed to be separated only by a distance that can be erected.
  • the upper support portion 12 like the lower support portion 11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as not to be uncomfortable to use the rubber gloves 100. Therefore, the upper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ubber gloves 100 by the same material as the rubber gloves 100, or may be formed by attaching silicon,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fiber material.
  • the support means 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in which the inside of the rubber glove 100 is not sealed by the bottom surface in the state in which the rubber glove 100 is set up, and outside air is introduced or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entilation part 13 is provid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uses the rubber glove 100, the ventilation part is more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part 11 so that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ventilation part 13.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extended to the cuff of the rubber gloves, as shown, the upper support 1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support 11 to the cuff (103).
  • the upper support part 12 is formed to extend only to the cuff part 103 so that the elasticity and flexibility of the hand part 102 are not reduced by the upper support part 12. Therefore, the upper support 12 does not restrict the user's movement in the hand 102 having a lot of movements such as bending, straightening, or picking up an object.
  • the upper support part 12 is formed to extend only to the cuff part 103 only when the hand part 102 is not easily folded or bent.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ubber gloves, showing that the support means 1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rubber gloves 100.
  • the support means 10 is formed inside the rubber glove 100
  • the lower support part 11 of the support means 1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rubber glove 100.
  • the upper support 12 is also formed to a thickness T1 thick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rubber gloves. At this time, the upper support portion 12 is to prevent the rubber glove 10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nside the rubber glove (100).
  • the rubber gloves 100 when there is water or moisture in the rubber gloves 100, the rubber gloves 100 ar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skin, so that the hand does not easily fall out, and the upper support part 12 protrudes inward.
  • the rubber glove 100 is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e outside air is to be introduced.
  • the upper support part 12 is formed to be convex, or a groove may be formed so that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s reduced.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inforcing support 14 is further formed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upper support 12.
  • the reinforcement support part 14 is formed to intersect the upper support part 12, and is formed of a thick soft material like the upper support part 12.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support 14 supports the upper support 12 so that the upper support 12 is not easily bent or folded to the left and right.
  • the reinforcing support 14 may be in the form of a line or in the form of a strip.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fractur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at the fracture portion 15 is formed in the support means 10 as shown in FIG.
  • the breaking part 15 is to extend the upper support portion 12 is cu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upper support portion 1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bber glove 100 is not bent or bent. At this time, the break 15 is to cut the extended upper support 12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upper support 12, thereby maintaining the upper support 12 in a straight state.
  • the break 15 is preferably formed to a minimum length.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rubber gloves to stand only on the rubber glove itself,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stored by standing the rubber gloves even without a separate mounting means, while the rubber gloves are stored naturally dried When the rubber gloves are re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ubber gloves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oisture inside the rubber gl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rubber gloves stand up, and provided with a vent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the inside of the rubber glove in the rubber glove standing state is not sealed, the rubber glove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ry smoothly.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upport means in the form of a thick belt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s withstand the load of the rubber gloves,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s do not hesitate or fold easily even when the rubber gloves are standing on the floor
  • the rubber gloves can be set up more easily, and can be produced integrally during the production of rubber glove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upport portion in the form of a thick line so that the rubber gloves are not fold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gloves is easily bent or folded even when the rubber gloves are upright, and is built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of the rubber gloves. The effect is that the rubber glove is in an upright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einforcing support to make the rubber gloves upright state, the reinforcing support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bber gloves, the upper support to support the rubber gloves more firmly It is effective.
  •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break so that the rubber glove does not bend, the state in which the rubber glove is upright, so that the extended upper support is not bent by its length, the rubber glove in the straight st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o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이 별도의 거치수단이 없이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장갑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고무장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수단에 의해 세운 상태로 건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 장갑
본 발명은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 고무장갑이 별도의 거치수단을 수반하지 않고도 세운 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하여 자연건조가 이루어 지는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물과 같은 액체를 차단하는 방수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주방이나 식당 등에서 설겆이를 하거나 물을 이용하여 특정 대상물을 씻기는 경우 손에 물기가 묻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고무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고무장갑의 내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거나, 인체의 피부에서 발생된 땀 등으로 인해 고무장갑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곤 한다. 이때, 습기가 남아 있는 고무장갑이 방치된 경우 고무장갑의 내부에서 악취가 발생되어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박테리아 균과 같은 유해한 균이 서식되어 인체에 피부병을 유발하는 등의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고무장갑을 사용하고 난 후 고무장갑을 거치시켜 고무장갑의 내부를 건조시켜야 하는데, 통상적인 고무장갑이 유연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로 건조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특히,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바닥면에 세워두고 건조시킬 수 없었다.
그에 따라, 통상적으로 고무장갑의 내부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고무장갑을 뒤집어서 건조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고무장갑을 뒤집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고무장갑을 뒤집어서 건조한 후 다시 뒤집어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던 것이다. 특히, 고무장갑은 인체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부가 한번에 뒤집어 지지 않아 일일히 사용자가 뒤집어 주거나, 고무장갑에 바람을 불어 넣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또한, 고무장갑은 빨래집게와 같은 것으로 집어서 매달아 두거나, 봉이나 의자 등에 접어서 거치하거나, 걸이수단이 구비된 건조대에 거치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되어 건조되기도 한다.
그러나, 봉이나 의자와 같은 것에 고무장갑을 접어서 거치하는 경우 고무장갑을 거치하기는 편하나 고무장갑의 내부 습기가 원활하게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게 또는 건조대와 같은 별도의 거치수단을 구비하여 고무장갑을 거치하는 경우 고무장갑을 건조하기 위해 거치되는 과정이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며, 비용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던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수단이 없이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고무장갑이 바닥면에서 세운 상태로 건조할 수 있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에서 통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의 하부가 고무장갑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고무장갑이 바닥면에 세워지게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꺽여 접히지 않게 하여,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구부러지지 않고, 곧게 세운 상태로 지지되게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이 지지수단에 의해 세운 상태로 건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상기 고무장갑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고무장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에는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통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의 삽입구에서 상부로 연장된 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에는, 상기 고무장갑에 연장된 상기 상부 지지부를 지지하는 보강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에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연장된 길이를 짧게 하는 파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수단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고무장갑의 팔목부까지 연장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고무장갑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지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지수단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고무장갑이 바닥면에서 세운 상태로 건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장갑(100)에 지지수단(1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고무장갑(100)의 각 부분을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는 삽입구(101)와, 손바닥, 손등, 손가락이 삽입되게 되는 손부(102)와, 상기 손부(102)의 하부에서 인체의 팔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팔목부(103)와, 상기 팔목부(103)의 하부에서 상기 삽입구(101)까지 연장되어 인체의 팔목이 삽입되는 아래팔부(104)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를 바닥면에서 지지되게 하는 하부 지지부(11)와, 상기 고무장갑(100)의 상부에 형성된 아래팔부(104)와 팔목부(103)와 손부(102)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12)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고무장갑(100)에 상기 아래팔부(104)가 형성되지 않고, 상,하 길이가 짧은 경우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팔목부(103)와 손부(102)만 지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를 상기 고무장갑(100)의 두께(t)보다 두꺼운 두께(T)를 가지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고무장갑(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가 쉽게 접히지 않게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에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 고무장갑(100)을 착용하거나, 착탈하기 위한 잦은 접촉이나 당김에도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가 찢어지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삽입구(101)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하여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에서 띠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가 접히거나, 주저앉지 않고 상기 고무장갑(100)의 손부(102)와 팔목부(103) 및 아래팔부(104)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사용에 불편하지 않게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과 같은 재질로 상기 고무장갑(100)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실리콘, 합성수지재, 섬유재 등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와 같이 상기 고무장갑(100)의 두께(t1)보다 두꺼운 두께(T1)를 가지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무장갑(100)의 상부에 형성된 손부(102)와, 팔목부(103)와, 아래팔부(104)가 쉽게 접히지 않게 하여 상기 고무장갑(100)이 세워지게 하고, 상기 고무장갑(100)을 세운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의 상부로부터 상기 고무장갑(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고무장갑(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게, 두께를 가지는 선의 형태로 다수개를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두께와 폭을 가지고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띠의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고무장갑(100)이 세워질 수 있는 정도의 거리만 분리되게 형성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전술한 하부 지지부(11)와 같이 사용자가 고무장갑(100)을 사용하는데 불편하지 않게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100)과 같은 재질로 상기 고무장갑(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실리콘, 합성수지재, 섬유재 등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무장갑(100)을 세운 상태에서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부가 바닥면에 의해 밀폐되지 않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다수 개의 통기홈으로 형성된 통풍부(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고무장갑(10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통풍부(13)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상기 통풍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3은 고무장갑의 팔목부까지 연장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상기 하부 지지부(11)에서 상기 팔목부(103)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에 의해 상기 손부(102)의 신축성이나, 유연성이 감소되지 않게 상기 상부 지지부(12)를 상기 팔목부(103)까지만 연장되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구부리거나, 펴거나, 물건을 집는 등의 움직임이 많은 손부(102)에서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손부(102)가 쉽게 접히지 않거나, 꺽여지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상부 지지부(12)를 상기 팔목부(103)까지만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고무장갑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상기 지지수단(10)이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10)이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에 형성되더라도, 상기 지지수단(10)의 하부 지지부(11)는 고무장갑(100)의 두께(t)보다 두꺼운 두께(T)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12) 또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t1)보다 두꺼운 두께(T1)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고무장갑(100)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부에 물이나, 습기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상기 고무장갑(100)이 더 밀착되어 쉽게 손이 빠지지 않게 되는데,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고무장갑(100)이 사용자의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면적이 적어지게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지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부(12)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 지지부(14)를 더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 지지부(14)는, 상기 상부 지지부(12)와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12)와 같이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 지지부(14)는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좌,우측으로 쉽게 꺽이거나 접히지 않게 상기 상부 지지부(12)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보강 지지부(14)는 선의 형태이거나, 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써, 도시돤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0)에 파단부(15)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파단부(15)는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일정 거리 끊어져서 연장되게 한 것으로, 상기 고무장갑(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파단부(15)는 연장된 상부 지지부(12)를 끊어지게 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12)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곧은 상태를 유지하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 파단부(15)는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고무장갑이 바닥면에서 세워질 수 있게 함으로써, 별도의 거치수단이 없어도 고무장갑을 간편하게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세운 고무장갑이 보관되면서 자연적으로 건조되어 고무장갑을 재사용하는 경우 보다 위생적으로 고무장갑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에서 고무장갑 내부의 습기가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통풍부를 구비함으로써, 고무장갑이 세워진 상태에서 고무장갑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고 환기가 이루어져 고무장갑이 원활하게 건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의 하부가 고무장갑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두꺼운 띠의 형태의 지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무장갑을 바닥면에 세운 상태에도 고무장갑의 하부가 쉽게 주저않거나, 접히지 않게 되어 고무장갑을 보다 쉽게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고무장갑의 제조시 일체로 제작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꺽여 접히지 않게 두꺼운 선의 형태의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에서도 고무장갑의 상부가 쉽게 꺽이거나, 접혀지지 않고 고무장갑의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세워지게 되는 효과와, 고무장갑이 세워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 지게 보강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무장갑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를 보강 지지부가 지지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가 고무장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구부러지지 않고,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유지되게 파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연장된 상부 지지부가 자체의 길이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가 곧은 상태로 상기 고무장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이 지지수단에 의해 세운 상태로 건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무장갑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고무장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통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의 삽입구에서 상부로 연장된 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고무장갑에 연장된 상기 상부 지지부를 지지하는 보강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연장된 길이를 짧게 하는 파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PCT/KR2010/007070 2009-10-19 2010-10-15 고무 장갑 WO2011049328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600042U JP3182864U (ja) 2009-10-19 2010-10-15 ゴム手袋の支持手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32 2009-10-19
KR1020090099332A KR101114934B1 (ko) 2009-10-19 2009-10-19 고무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9328A2 true WO2011049328A2 (ko) 2011-04-28
WO2011049328A3 WO2011049328A3 (ko) 2011-09-29

Family

ID=4390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7070 WO2011049328A2 (ko) 2009-10-19 2010-10-15 고무 장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82864U (ko)
KR (1) KR101114934B1 (ko)
WO (1) WO201104932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5699A (zh) * 2020-09-29 2020-12-15 江苏顶洁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便于内部空气流通的pvc手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68B1 (ko) 2013-02-06 2014-09-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고무장갑
KR101463928B1 (ko) * 2013-09-10 2014-11-25 장환준 걸어놓기 용이한 꺾이는 고무장갑
KR101648681B1 (ko) * 2015-12-04 2016-08-23 임기창 고무장갑
JP2019014991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手袋
WO2019013410A1 (ko) * 2017-07-11 2019-01-17 장창훈 다목적 고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060A (ja) * 2002-07-08 2004-02-05 Masao Sakai 防水手袋
KR200353750Y1 (ko) * 2004-03-19 2004-06-22 남호성 목 부분이 흘러내리지 않는 고무 장갑
JP2004225217A (ja) * 2003-01-24 2004-08-12 Atom Kk 手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0028U (ko) * 1977-02-04 1978-09-02
JPS6451620U (ko) * 1987-09-25 1989-03-30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060A (ja) * 2002-07-08 2004-02-05 Masao Sakai 防水手袋
JP2004225217A (ja) * 2003-01-24 2004-08-12 Atom Kk 手袋
KR200353750Y1 (ko) * 2004-03-19 2004-06-22 남호성 목 부분이 흘러내리지 않는 고무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5699A (zh) * 2020-09-29 2020-12-15 江苏顶洁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便于内部空气流通的pvc手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934B1 (ko) 2012-03-06
JP3182864U (ja) 2013-04-18
WO2011049328A3 (ko) 2011-09-29
KR20110042598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49328A2 (ko) 고무 장갑
WO2009125939A2 (ko) 다용도 손수건
WO2017146490A2 (ko) 기능성 고무장갑
WO2018226064A1 (ko) 반려견 방수 이어캡
US20070199143A1 (en) Shower curtain
CN212036176U (zh) 一种新型冠状病毒医用防护服
WO2020184843A1 (ko) 수세미 장갑
CN204765359U (zh) 一种纸巾盒
EP3210483A1 (en) Rubber glove
JP2003169744A (ja) 手袋の着脱スタンド
WO2020180020A1 (ko) 하의 끝단 끌림방지용 슬리퍼
WO2022065596A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턱받이
WO2020213940A1 (ko) 거치대가 구비된 샤워타월세트
CN205409861U (zh) 一种家用多功能鞋套
KR19990018214U (ko) 옷걸이
CN211268767U (zh) 洗手衣
CN214762158U (zh) 一种仿手型拍背排痰器
CN208892532U (zh) 肠镜检查辅助装置
WO2022139506A2 (ko) 다용도 손수건
CN208550971U (zh) 一种浴室专用防湿衣物挂钩
WO2013027931A1 (ko) 티슈팩 케이스
KR200432665Y1 (ko) 고무장갑을 파지하는 결착고리
WO2020017773A1 (ko) 세족용 신발
CN106109076B (zh) 一种约束手套
CN110140668A (zh) 一种宠物毛发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251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600042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 (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251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