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9506A2 - 다용도 손수건 - Google Patents

다용도 손수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9506A2
WO2022139506A2 PCT/KR2021/019715 KR2021019715W WO2022139506A2 WO 2022139506 A2 WO2022139506 A2 WO 2022139506A2 KR 2021019715 W KR2021019715 W KR 2021019715W WO 2022139506 A2 WO2022139506 A2 WO 202213950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tton
corners
neck
buttonho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97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2139506A3 (ko
Inventor
유은서
Original Assignee
유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서 filed Critical 유은서
Publication of WO202213950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9506A2/ko
Publication of WO202213950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950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5/00Hand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2Buttonholes; Eyelets for button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andkerchief that is used as a handkerchief and used as an apron when eating.
  • the apron used as a background art has an extension 4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ver 10, and a buttonhole 50 in the form of a sl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extension. ) is formed.
  • the extension may not be placed, and the buttonhole 50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 buttonsholes can be manufactured by simply adding incision processing during the disposable apron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simplifying cutting and saving nonwoven fabrics.
  • the wearing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unit 910 is made of a string 60, and the string 60 is cut in a curved shape in a planar state, and the string 60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string is included at the end of the .
  • the string 60 is not cut in a straight shape, but curved and cut as above, thereby minimizing the area occupied by the string 60, thereby maximally reducing the waste of fabric.
  • the user can wear the apron by simply connecting the two strings by passing the end of the other string through the slit 61 formed in one string by turning the string 60 of the apron to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slit 61
  • the string passing through does not escape into the slit 61 by the drop-off prevention part 62 formed at the tip, so that the coupled state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 the coupling force can be increas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drop-off prevention part.
  • the drop-off prevention part in a triangular shape so th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tring,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drop-off prevention part passing through the slit are slit to get caught and prevent it from escaping.
  • the ends of the string 6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parts are cut-off lines 63 in the form of dotted lines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tring that is curv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cover, but either puts it on the head and hangs it on the neck, or separates the string along the cut line 63 and puts each string behind the user's neck. It can be tied and worn.
  • the cut line 63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makes it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string with little force while secur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tring.
  • a predetermined length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ang the interconnected string on the neck.
  • the length to be cut is preferably about 5 cm.
  • the cut portion 64 formed in the cover portion opens when the user wears the cover portion to widen the space, thereby facilitating wearing.
  • the outer tip of the cover part 10 is cut to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bottom to form the string 70, and the cut line 71 stops at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and connects the upper end of the string 70 with the cover part 10. It is left in a state in which i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over part 10 without being separated.
  • an apron installed with a fastening part as a wearing means, it can be mainly used when the user's top is clothes without buttons.
  • the user can simply complete the wearing of the apron by holding the fastening part 20 and push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30 into the clothes through the neck part of the upper garment.
  • the fastening part 20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 is put inside the clothes, the fastening part 20 is bent 180 degrees and is spread over the neck part of the clothes so that the cover part 10 is lowered to the front of the use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 is It is close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from the inside of the clothes.
  • the apron in the case of an apron having a buttonhole 50 as a wearing means, the apron can be worn by opening the buttonhole 50 of the apron to a button attached to the user's top.
  •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eventing the user's top from being dirty by the food when eating food while using it as a handkerchief.
  • 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a multi-purpose handkerchief that plays the role of an apron when eating food because it is hung on the neck due to a simple neck fastening band even when the user's shirt has buttons. will be.
  • 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utting buttonholes in the corners so that the entire upper body of the user can be covered and wearing them on the entire user's upper body using a waist fastening band.
  • a buttonhole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fabric and inserted into a button formed on a user's clothes or a separate string to form a multi-purpose handkerchief configured not to stain the upper garment due to food while eating.
  • buttons of the user's clothes are formed in the corners of three places among the four corners, and the buttonholes formed in the center corner of the corners of the three places are inserted into the buttons of the user's clothes,
  • buttons formed in the corners of both sides are insertable to insert the buttonholes formed in the corners of both sides into the buttons formed in the waist fastening band to be fastened to the user's waist.
  • one buttonhole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rner portion so that it can be hung around the neck in combination with the neck fastening buttons configured on the neck fastening band.
  • the buttonhole is configured in the corners of three places among the four corners,
  • each of the buttons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neck fastening band are fastened to the buttonholes composed of two on both side surfaces around the central corner and hung on the neck,
  • buttons formed in the corners of both side surfaces are insertable to insert the buttonholes formed in the corners of both side surfaces into the buttons formed in the waist fastening band to be fastened to the waist.
  • the neck fastening buttons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neck fastening band into the button 1 hole and button 2 hole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button hole of the central part to be worn on the neck region.
  • a separate triangular non-woven fabric is configured so that a fabric of a triangle smaller than the triangle configured in the corner part of the square can be configured in one corner of the fabric made of a quadrangle,
  • buttons formed in the corners of the triangular non-woven fabric are formed in the corners of the triangular non-woven fabric, and the central buttonhole is inserted into a button formed on the user's clothes, or the two button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uttonhole are butt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neck fastening band; It is preferable to combine it so that it can be hung on the neck.
  • the first effect is to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user's top from being dirty by the food when he eats food while using it as a handkerchief normally.
  • the second effect is to have the effect of a multipurpose handkerchief that plays the role of an apron when eating food because it is hung on the neck due to a simple neck fastening band even when the user's top has buttons as well as when the top has no buttons.
  • the third effect is to put a buttonhole in the corner so that it can cover the entire upper body of the user and use a waist fastening band to wear it on the entire top of the user. Especially,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and the elderly it will work
  • FIG. 1 is a diagram of a multi-purpose handkerchief having a buttonhole in the upper left corner.
  • FIG. 2 is a view showing that two buttonholes are configured on the side part of the upper left corner and hung around the user's neck by a separate band.
  • 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ree buttonholes in one corner.
  •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buttonholes in three corners of the four corners.
  • FIG. 4 is a diagram of a separate multi-purpose handkerchief.
  •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neck fastening band.
  • a fourth handkerchief button 1 hole 410, a fourth handkerchief button 2 hole 420, and a fourth handkerchief button 3 hole 43 are configured in the fourth handkerchief 400, so that food is consumed while being used as a handkerchief in normal times.
  • the handkerchief is used as an apron to protect the user's clothes from food and drink.
  • Buttonholes 110, 210, 220, 310, 320, 330, 410, 420, 430, 510, 520, 530 are formed in the corners of the fabric and inserted into the buttons 630 and 640 formed on the user's clothes or a separate string 600, 700 to configure a multi-purpose handkerchief so that the top is not stained by food during meals. .
  • FIG. 1 A first embodiment is shown in FIG. 1 .
  • the buttonhole 110 is formed in one of the corners.
  • the second embodiment is shown in FIG. 2 .
  • FIG. 3A A third embodiment is shown in Fig. 3A.
  • buttons 310, 320, and 330 are formed in one of the corners, and if there is a button on the user's top, insert the button into the buttonhole 330 of the central part to use or
  • Each of the three buttonholes is composed of a third handkerchief button 1 hole 310, a third handkerchief button 2 hole 320, and a third handkerchief button 3 hole 330 in the third handkerchief 300 in the drawing, respectively.
  • the third handkerchief button 1 hole 310 and the third handkerchief button 2 hole 3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ttonhole in the central part are neck fastened at both ends of the neck fastening band 600 By inserting the buttons 630 and 640, a multi-purpose handkerchief is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neck.
  • buttons 630 and 640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neck fastening band 600 .
  • buttons were made on both sides with the center corner as the center.
  • the buttonholes 440 and 450 are each fastened with the buttons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neck fastening band 600 and hung on the neck.
  • the buttonhole is composed of a fourth towel button 4 hole 440 and a fourth towel button 5 hole 450 .
  • FIG. 1 A sixth embodiment is shown in FIG.
  • a separate triangular part 550 fabric is configured so that a smaller triangular fabric than the triangle configured in the corner part of the quadrangle can be configured
  • buttons 510, 520, and 530 are formed in the corners of the triangular part 550 fabric, so that the central buttonhole 530 is inserted into a button configured on the user's clothes, or two buttons configur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uttonhole 530.
  • the buttonholes 510 and 520 are combined with the butt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neck fastening band 600 to form a multi-purpose handkerchief so that it can be hung on the neck.
  • the buttonhole of the fifth handkerchief 500 is composed of a fifth handkerchief button 1 hole 510 , a fifth handkerchief button 2 hole 520 , and a fifth handkerchief button 3 hole 530 .
  • buttons 630 and 640 are buttons 630 and 640 at both ends.
  • 6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in which the first handkerchief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shirt button 650 .
  • 6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ifth embodiment are fastened to the user's neck.
  • 6c and 6d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rth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user's neck and wa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직물; 상기 직물의 모서리부에 단추홀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옷 또는 별도의 끈에 구성된 단추에 삽입하여 식사시에 음식물로 인하여 상의가 얼룩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손수건
본원발명은 손수건으로 사용하면서 식사시에는 앞치마로 사용하는 다용도 손수건에 관한 기술이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기술로 사용하는 앞치마는 커버부(10)의 상단에 연장부(40)가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연장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슬릿형태의 단추구멍(50)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단추구멍을 바로 커버부(10) 상단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연장부를 두지 않을 수 있으며, 단추구멍(50)은 수직 방향 이외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추구멍은 일회용 앞치마 제조공정시 단순히 절개가공만을 더함으로서 제작가능하며, 이로 인해 재단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부직포 원단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9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착용수단이 끈(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끈(60)은 평면상태에서 만곡된 형태로 재단되며, 끈(60)의 끝단에는 각 끈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이 포함된다.
최초 앞치마 재단시 끈(60)을 직선형태로 재단하지 않고 위와같이 만곡시켜 재단함으로써, 끈(60)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원단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일측 끈(60)의 끝단에 형성되는 일자 형태로 절결된 소정 크기의 슬릿(61)과, 다른쪽 끈(6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탈락방지부(6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앞치마의 끈(60)을 목 뒤쪽으로 돌려 일측 끈에 형성된 슬릿(61)에 다른쪽 끈의 끝단을 통과시켜 두개의 끈을 간단히 연결시킴으로서 앞치마를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슬릿(61)을 통과한 끈은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탈락방지 부(62)에 의해 슬릿(61)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결합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탈락방지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데 일례로, 탈락방지부를 삼각형태를 이루게 하여 좌우 모서리부분이 끈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슬릿을 통과한 탈락방지부의 좌우 모서리가 슬릿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끈(60)은 그 끝단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며, 연결부분은 서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점선형태의 절단선(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반원형태로 만곡되어 커버부에 연결되어 있는 끈의 연결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바로 머리에 끼워 목에 걸어 사용하거나, 절단선(63)을 따라 끈을 분리하여 각 끈을 사용자의 목 뒤로 하여 묶어 착용할 수 있다.
점선형태의 절단선(63)은 끈의 연결상태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적은 힘으로 손쉽게 끈을 분리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끈을 사용자가 목에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커버부(10) 상단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단되는 길이는 약 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부 상단에서 끈(60)까지의 길이를 최소화하더라도, 사용자가 착용시 커버부에 형성된 절단부(64)가 벌어지면서 공간을 넓혀주게 되어 착용을 용이하게 해준다.
도면 7d에 따르면, 상기 착용수단이 끈(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끈(70)은 커버부(10)의 양쪽 측면 또는 하단에서 커버부의 외측선단을 따라 커버부 상단까지 일정 폭으로 절결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커버부(10)의 외측선단이 하단에서부터 일정 폭으로 절단되어 끈(70)을 이루게 되며, 절단선(71)은 커버부 상부에서 정지하여 끈(70)의 상단을 커버부 (10)와 분리시키지 않고 커버부(10)와 일체로 연결한 상태로 두게 된다.
이와같이 착용수단으로써 끈이 사용되더라도, 끈이 커버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재단되지 않게 되므로써, 끈 형성에 따른 원단의 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착용수단으로서 체결부가 설치된 앞치마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의가 단추가 없는 옷일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도7e의 경우에 사용자는 체결부(20)를 잡고 상의의 목부분을 통해 옷 내부로 이탈방지부(30)를 밀어넣음으로서 앞치마의 착용을 간단히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탈방지부(30)가 옷 내부로 넣어지게 되면 체결부(20)는 180도 꺽여져 옷의 목부분에 걸쳐져 커버부(10)는 사용자의 전면으로 내려뜨려지게 되고 이탈방지부 (30)는 옷 내부에서 옷 내측면에 밀착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앞치마를 밑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앞치마가 사용자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게되는 것이다.
한편, 착용수단으로서 단추구멍(50)이 형성된 앞치마의 경우 사용자 상의에 부착된 단추에 앞치마의 단추구멍(50)을 벌려 끼워줌으로서 앞치마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평상시에는 손수건으로 사용하다가 음식을 먹을 때에는 음식으로 인한 사용자 상의가 더럽혀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사용자의 상의에 단추가 있을 경우 뿐만 아니라 상의에 단추가 없을때에도 간단한 목체결 띠로 인하여 목부위에 걸므로 음식을 먹을때 앞치마의 역활을 해주는 다용도 손수건의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는 사용자의 상부몸체의 전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단추홀을 모서리부에 두어 허리체결띠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의 전부에 착용토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직물;
상기 직물의 모서리부에 단추홀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옷 또는 별도의 끈에 구성된 단추에 삽입하여 식사시에 음식물로 인하여 상의가 얼룩지지 않도록 구성한 다용도 손수건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 4개 중에 3군데의 모서리부에 상기 단추홀을 구성하여 상기 3군데의 모서리부의 중앙모서리부에 구성된 단추홀은 사용자의 옷의 단추에 삽입하고,
양측면부의 모서리부에 구성한 단추홀에는 허리체결띠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결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의 양측면부에 단추홀을 각각 1개씩 구성하여 목체결띠에 구성된 목체결단추들과 결합하여 목주위에 걸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 4개 중에 3군데의 모서리부에 상기 단추홀을 구성하되,
상기 3군데의 모서리부의 중앙모서리부에는 상기 중앙모서리부를 중심으로 양측면부에 2개로 구성된 단추홀에 목체결띠의 양단부에 구성된 단추들과 각각 체결하여 목부위에 걸고,
양측면부의 모서리부에 구성한 단추홀에는 허리체결띠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여 허리부위에 결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 한군데에 상기 단추홀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 한군데에 세개의 단추홀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상의에 단추가 있는 경우에는 중앙부의 단추홀에 상기 단추를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상의에 상기 단추가 없는 경우에 상기 중앙부의 단추홀의 양측부에 구성된 단추1홀과 단추2홀에 목체결띠 양단부에 구성된 목체결단추들과 삽입하여 목부위에 착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실시예로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직물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사각형의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된 삼각형보다 더 작은 삼각형의 직물이 구성될 수 있도록 별도의 삼각부직물을 구성하되,
상기 삼각부직물의 모서리부에 3개의 단추홀을 구성하여 중앙단추홀은 사용자의 옷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거나 상기 중앙단추홀의 측부에 구성된 두개의 단추홀에는 목체결띠의 양단부에 구성한 단추들과 결합하여 목부위에 걸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번째 효과는 평상시에는 손수건으로 사용을 하다가 음식을 먹을 때에는 음식으로 인한 사용자 상의가 더럽혀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두번째 효과는 사용자의 상의에 단추가 있을 경우 뿐만 아니라 상의에 단추가 없을때에도 간단한 목체결띠로 인하여 목부위에 걸므로 음식을 먹을때 앞치마의 역활을 해주는 다용도 손수건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는 사용자의 상부몸체의 전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단추홀을 모서리부에 두어 허리체결띠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의 전부에 착용토록 하는 것으로 효과가 있는 것이다.특히 어린아이들과 노년층의 경우에는 더욱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좌측상단의 모서리부에 단추홀이 구성된 다용도 손수건에 관한 도이다.
제2도는 좌측상단의 모서리부의 측면부에 두개의 단추홀을 구성하고 별도의 띠에 의하여 사용자의 목주위에 걸기 위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하나의 모서리부에 세개의 단추홀을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4개의 모서리부중에 3개의 모서리부에 단추홀을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별도의 다용도 손수건에 관한 도이다.
제5도는 목체결띠를 보이는 도이다.
제6a 도 내지 제6d도는 다용도 손수건을 사용자에게 체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7a 내지 제7e도는 종래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는 제4실시예이다.
제4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실시예는 도면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모서리부 4개 중에 3군데의 모서리부에 상기 단추홀(410,420,430)을 구성한다. 상기 3군데의 모서리부의 중앙모서리부에 구성된 단추홀(430)은 사용자의 옷의 단추(650)에 삽입한다.
양측면부의 모서리부에 구성한 단추홀(410,420)에는 허리체결띠(700)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결착하도록 다용도 손수건을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제4손수건(400)에 제4손수건단추1홀(410)과 제4손수건단추2홀(420) 및 제4손수건단추3홀(43)을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손수건으로 사용하다가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에는 손수건을 앞치마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옷을 식음료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직물(100,200,300,400)을 구성한다.
상기 직물의 모서리부에 단추홀(110,210,220,310,320,330,410,420,430,510,520,530)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옷 또는 별도의 끈(600,700)에 구성된 단추(630,640)에 삽입하여 식사시에 음식물로 인하여 상의가 얼룩지지 않도록 다용도 손수건을 구성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로는 도1과 같다.
상기 모서리부 한군데에 상기 단추홀(110)을 구성한다.
사각형상의 직물인 제1손수건(100)에 제1수건단추홀(110)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단추에 삽입하여 평상시에는 손수건으로 사용하고 식사시에는 앞치마로 사용하는 다용도 손수건에 관한 것이다.
제2실시예는 도2와 같다.
사각형상의 직물인 제2손수건(200)에 상기 모서리부의 양측면부에 단추홀인 제2손수건단추1홀(210) 및 제2손수건단추2홀(220)을 각각 1개씩 구성하여 목체결띠(600)에 구성된 목체결단추들인 목체결띠1단추(630) 및 목체결띠2단추(640)과 결합하여 목주위에 걸 수 있도록 구성한 다용도 손수건에 관한 것이다.
제3실시예로 도3a에 도시되어있다.
상기 모서리부 한군데에 세개의 단추홀(310,320,330)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상의에 단추가 있는 경우에는 중앙부의 단추홀(330)에 상기 단추를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세개의 단추홀은 각각 도면에서는제3손수건(300)에 제3손수건단추1홀(310),제3손수건단추2홀(320) 및 제3손수건단추3홀(330)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용자의 상의에 상기 단추가 없는 경우에 상기 중앙부의 단추홀의 양측부에 구성된 제3손수건단추1홀(310)과 제3손수건단추2홀(320)에 목체결띠(600) 양단부에 구성된 목체결단추(630,640)들과 삽입하여 목부위에 착용하도록 다용도 손수건을 구성한다.
제4실시예로는 도3b의 구성으로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5실시예로는 도면3c에 구성되어있다. 중앙모서리부를 중심으로 양측면부에 단추홀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추홀은 목체결띠(600)의 양단부에 구성된 목체결단추(630,640)로 체결하는 것이다.
단추홀은 중앙모서리부를 중심으로 양측면부에 2개로 구성하였다. 단추홀(440,450)에 목체결띠(600)의 양단부에 구성된 단추들과 각각 체결하여 목부위에 거는 구성이다.
단추홀은 제4수건단추4홀(440) 및 제4수건단추5홀(450)로 구성되어있다.
제6실시예로는 도4에 도시되어있다.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직물(500)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사각형의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된 삼각형보다 더 작은 삼각형의 직물이 구성될 수 있도록 별도의 삼각부(550)직물을 구성하되,
상기 삼각부(550)직물의 모서리부에 3개의 단추홀(510,520,530)을 구성하여 중앙단추홀(530)은 사용자의 옷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거나 상기 중앙단추홀(530)의 측부에 구성된 두개의 단추홀(510,520)에는 목체결띠(600)의 양단부에 구성한 단추들과 결합하여 목부위에 걸수 있도록 다용도 손수건을 구성한다.
제5손수건(500)의 단추홀은 제5손수건단추1홀(510),제5손수건단추2홀(520) 및 제5손수건단추3홀(530)로 구성한 것이다.
제5도는 목체결띠(600)로 양단부에 단추(630,640)가 각각 구성되어있다.
제6a도는 제1실시예의 제1손수건(100)을 셔츠단추(650)에 삽입한 사용상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제6b도는 제2실시예,제3실시예 및 제5실시예를 사용자의 목부위에 건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6c도 및 제6d도는 제4실시예를 사용자의 목부위 및 허리부위에 결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평상시에는 손수건으로 사용하다가 음식을 먹을 때에는 음식으로 인한 사용자 상의가 더럽혀짐을 방지하는 이중의 효과를 갖도록 발명한 것이다.
사용자의 상의에 단추가 있을 경우 뿐만 아니라 상의에 단추가 없을 때에도 간단한 목체결띠로 인하여 목부위에 걸어서 음식을 먹을때 앞치마의 역활을 해주는 다용도 손수건으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것이다.

Claims (7)

  1.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직물;
    상기 직물의 모서리부에 단추홀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옷 또는 별도의 끈에 구성된 단추에 삽입하여 식사시에 음식물로 인하여 상의가 얼룩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 4개 중에 3군데의 모서리부에 상기 단추홀을 구성하여 상기 3군데의 모서리부의 중앙모서리부에 구성된 단추홀은 사용자의 옷의 단추에 삽입하고,
    양측면부의 모서리부에 구성한 단추홀에는 허리체결띠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결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 4개 중에 3군데의 모서리부에 상기 단추홀을 구성하되,
    상기 3군데의 모서리부의 중앙모서리부에는 상기 중앙모서리부를 중심으로 양측면부에 2개로 구성된 단추홀에 목체결띠의 양단부에 구성된 단추들과 각각 체결하여 목부위에 걸고,
    양측면부의 모서리부에 구성한 단추홀에는 허리체결띠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여 허리부위에 결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 한군데에 상기 단추홀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 한군데에 세개의 단추홀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상의에 단추가 있는 경우에는 중앙부의 단추홀에 상기 단추를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상의에 상기 단추가 없는 경우에 상기 중앙부의 단추홀의 양측부에 구성된 단추1홀과 단추2홀에 목체결띠 양단부에 구성된 목체결단추들과 삽입하여 목부위에 착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의 양측면부에 단추홀을 각각 1개씩 구성하여 목체결띠에 구성된 목체결단추들과 결합하여 목주위에 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
  7.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직물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사각형의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된 삼각형보다 더 작은 삼각형의 직물이 구성될 수 있도록 별도의 삼각부직물을 구성하되,
    상기 삼각부직물의 모서리부에 3개의 단추홀을 구성하여 중앙단추홀은 사용자의 옷에 구성한 단추에 삽입하거나 상기 중앙단추홀의 측부에 구성된 두개의 단추홀에는 목체결띠의 양단부에 구성한 단추들과 결합하여 목부위에 걸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건.
PCT/KR2021/019715 2020-12-23 2021-12-23 다용도 손수건 WO202213950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754 2020-12-23
KR2020200004754U KR20220001553U (ko) 2020-12-23 2020-12-23 다용도 손수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506A2 true WO2022139506A2 (ko) 2022-06-30
WO2022139506A3 WO2022139506A3 (ko) 2023-01-05

Family

ID=8215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9715 WO2022139506A2 (ko) 2020-12-23 2021-12-23 다용도 손수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01553U (ko)
WO (1) WO2022139506A2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08U (ja) * 1983-07-08 1985-01-30 出重紙工株式会社 ハンカチ
JPH0581212U (ja) * 1992-04-13 1993-11-05 和子 志村 ハンカチエプロン前掛け
KR200189025Y1 (ko) * 2000-01-08 2000-07-15 노경진 유아용 옷에 부착하는 수건걸이 장치
KR200248705Y1 (ko) 2001-06-29 2001-11-16 서영선 일회용 앞치마
KR200398619Y1 (ko) * 2005-07-18 2005-10-13 이승목 자석 앞치마
KR20090000117U (ko) * 2007-06-29 2009-01-07 주순자 타올 탈부착 앞치마
KR200442771Y1 (ko) 2008-04-07 2008-12-11 류선영 다용도 손수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506A3 (ko) 2023-01-05
KR20220001553U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6198A1 (ko) 유아용 턱받이
US6081923A (en) Apparel protector kit
WO2009125939A2 (ko) 다용도 손수건
WO2018021638A1 (ko)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니폼
WO2021006447A1 (ko) 침구 커버 및 침구
WO2022139506A2 (ko) 다용도 손수건
WO2022004980A1 (ko) 마스크
WO2011049328A2 (ko) 고무 장갑
WO1996022032A1 (en) Baby-bathing aid
WO2022196864A1 (ko) 마스크 끈 고정구를 구비한 마스크
WO2011139057A2 (ko) 다변형 의류
US20210368870A1 (en) Baby Garment with Removable and Replaceable Portion
CN208160071U (zh) 一种防护性婴幼儿外套
CN218245800U (zh) 一种icu患者用高便捷性病服
CN210353270U (zh) 一种拼接式保暖大衣
CN216358312U (zh) 一种气管切开病人护肩
WO2011040706A2 (ko) 휴대용 침구시트
WO2014129815A1 (ko) 낚시용 타월
WO2024106547A1 (ko) 악세서리 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
WO2022065596A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턱받이
CN201438857U (zh) 哺乳衣结构
CN213993138U (zh) 一种多功能盖被
CN213848928U (zh) 胯前开连体连帽洁净服
CN218127060U (zh) 一种保暖抗菌儿童开胸衫
WO2023229291A1 (ko)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15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115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